러시아 로봇 신흥시장 시장조사 보고서 2015. 10. 30
< 목 차 > [ 요 약 ] 1 Ⅰ. 러시아 일반 개황 11 1. 시장 경제 특성 및 전망 11 가. 러시아 시장 개괄 11 나. 러시아 시장 경제 특성 14 2. 주요 경제 지표 21 가. 러시아 경제 동향 21 나. 경제전망 25 II. 러시아 로봇 시장동향 분석 26 1. 로봇 시장의 규모 및 성장률 26 가. 세계 로봇 시장 26 나. 러시아 로봇 시장 33 2. 로봇 시장 정책동향 40 가. 러시아 정부 정책 방향 40 나. 로봇 산업 발전의 장애요인 41 다. 러시아 로봇산업 동향 41 3. 대러시아 수출에 필요한 절차 47 가. 주요품목 관세율 47 나. 러시아의 수입통관 절차 49 다. 러시아 관세 현황 52 라. 러시아 인증 절차 54 마. CU인증 절차 및 방법 (사례) 57 바. 러시아 운송 현황 63 III. 러시아 로봇시장 분야별 업체 및 제품 분석 66 1. 분야별 로봇시장 66 가. 제조용 로봇 주요 시장참여자 및 제품 동향 66 나. 전문서비스용 로봇 주요 시장참여자 및 제품 동향 71 - i -
다. 개인서비스용 로봇 주요 시장참여자 및 제품 동향 78 라. 로봇부품 82 2. 잠재 바이어리스트 86 가. 러시아 로봇 연구소 86 나. 제조용 로봇 관련 잠재 바이어 90 다. 전문서비스용 로봇 관련 잠재 바이어 91 라. 개인서비스용 로봇 관련 잠재 바이어 93 마. 로봇 부품 관련 잠재 바이어 94 IV. 러시아 로봇시장 분석 및 진출 전략 96 1. SWOT 분석 및 전략도출 96 2. BCG 매트릭스 분석 99 3. 진출 전략 100 V. 결어 103 <부록> 러시아 로봇관련 산업 주요 전시회 안내 105 - ii -
<표 차례> [표 1] 러시아 개관 12 [표 2] 러시아 주요 분야별 GDP 구조 변화(2007년과 2012년) 16 [표 3] 러시아 주요 수출 품목 (품목:HS 6단위, 2014년 12월, 단위:천달러, %) 16 [표 4] 러시아 주요 수입 품목 (품목:HS 6단위, 2014년 12월, 단위:천달러, %) 17 [표 5] 러시아 정부 선정 수입대체육성산업 분야(총 18개) 18 [표 6] 러시아 주요 경제지표 22 [표 7] 러시아 주요 경제규모 22 [표 8] 러시아 무역 현황 (단위 : 천달러, %) 23 [표 9] 러시아 주요 수출국 현황 (단위 : 천달러, %) 23 [표 10] 러시아 주요 수입국 현황 (단위 : 천달러, %) 24 [표 11] 러시아 외환보유고 현황 (단위 : 억 달러) 24 [표 12] 2015년 1분기 러시아 주요 경제동향 25 [표 13] 제조용 로봇 각 산업 분야별 판매 수 29 [표 14] 러시아 제조용 로봇산업의 수출, 수입, 수지 통계 (단위: 천달러,%) 34 [표 15] 제조용 로봇기기 주요 수출국 현황, 2014년 기준(단위 : 천달러,%) 34 [표 16] 제조용 로봇기기 주요 수출국 현황, 2014년 기준(단위 : 천달러,%) 34 [표 17] 러시아 정부 선정 수입대체육성산업 분야 43 [표 18] 제조용(제조용) 로봇 관세율 47 [표 19] 서비스용 로봇 관세율 47 [표 20] 로봇 부품 관세율 48 [표 21] 로봇 부품 관세율 48 [표 22] 러시아의 수입통관 통관 절차 49 [표 23] 관세율 사전 인하 수혜 대표 품목 53 [표 24] GOST-R와 TR-CU인증 차이점 54 [표 25] 의료기기 등록 절차 60 [표 26] 철도화물운송 방법의 장단점 64 [표 27] 해상화물운송 방법의 장단점 64 [표 28] 항공화물운송 방법의 장단점 65 [표 29] 차량화물운송 방법의 장단점 65 [표 30] 로봇 부품 82 [표 31] 러시아 로봇 시장 진입 프로세스 85 - iii -
<그림 차례> [그림 1] 러시아 영토 및 주요 도시 13 [그림 2] 주요국의 GDP 대비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15 [그림 3] 세계 로봇 시장 추이 26 [그림 4] 세계 로봇 시장 전망 (단위 : 억 달러) 27 [그림 5] 자동차 용접용 로봇 28 [그림 6] 세계 제조용 로봇 판매량 (단위 : 백만 달러) 29 [그림 7] 제조용 로봇 시장의 주요 시장 참가 기업 (단위 : %) 30 [그림 8] 다빈치(da Vinchi) 로봇 수술 시스템 31 [그림 9] 2013년 전문서비스용 로봇 시장 구조 32 [그림 10] 자동 조립 장비 36 [그림 11] RoboCV의 X-Motion 39 [그림 12] Wicron의 Webot 39 [그림 13] 러시아 주요 산업의 수입 비중 (단위 : %) 42 [그림 14] EAC 마크 54 [그림 15] TR-CU(Custom Union) 인증제도(EAC마크) 55 [그림 16] 의료기기 등록증 59 [그림 17] 의료기기 세부 등록 절차 61 [그림 18] TSR 노선도 63 [그림 19] 러시아 로봇 시장 SWOT 분석 97 [그림 20] BCG 매트릭스 분석 99 - iv -
[ 요 약 ] Ⅰ. 러시아 시장 경제 동향 및 특성 1. 러시아 일반 개황 러시아는 세계 최대 영토 보유국으로 에너지 자원이 다양하고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음 구소련 시절부터 유지되어 기초과학, 우주항공, 위성, 로봇 등 첨단기술 강대국으로서 세계 최고수준의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2000년대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연간 약 3,400억 달러에 달하는 수입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WTO 가입으로 러시아 시장에 대한 경쟁과 진출이 보다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2015년 1월 러시아, 카자흐스탄, 벨라루스의 관세동맹 이 더 높은 차원의 경제통합기구 인 유라시아 경제연합 으로 출범하여 독립국가연합의 거대 공동 시장이 조성될 전망임 2. 러시아 시장 경제 동향 및 특성 1) 에너지 자원 의존형 경제 에너지 자원 비중, 수출의 약 70%, GDP의 24%, 전체 재정 수입의 50%임 1990년 자본주위 시장경제로의 체제전환 이후 제조 산업의 기반 부족으로 인하여 소 비재의 43%를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음 취약한 제조업 발전기반, 적은 제조업 시설 규모, 소비자의 구매력 상승 등으로 외국 인들에게는 러시아의 제조업 부문이 매력적인 투자 시장이 되고 있음 2) 수입대체산업 육성 산업정책에 관한 연방법 제정, 수입대체산업 육성정책을 통해 2020년까지 수입비중 을 평균 40%로 낮추려하고 있으며 18개의 수입대체산업 육성분야를 선정함 2015 위기대응 계획 으로 자국 제조 산업 보호 및 육성, 자국 기업의 해외 수출지원 부문을 점차 강화할 것으로 예상됨 낙후된 농업시설을 현대화하고 농기계 제조 기업 지원이 강화됨 자동차 산업 보호를 위해 정부가 자국산 자동차를 보다 많이 구매할 것으로 예상됨 산업구조 다양화를 위한 경제현대화 정책으로 '2020 러시아 혁신전략' 5대 전략산업 육성을 추진하고 있음. 5대 전략산업은 에너지효율화(전력망 현대화), 원자력기술(원자력발전소 확대 및 기 - 1 -
술력 극대화), 우주기술(위성 및 통신 기술), 의료기술(진단장비 및 의약품 포함), 정 보기술(산업별 IT 분야 현대화) 등임 3) 투자 유치 확대 추진 중 러시아 정부의 외국인 투자 환경 개선 정책 추진 투자전략청 설립 / 투자 옴부즈만 제도 (비즈니스 고충처리제도) 러시아 직접 투자 펀드 조성 / 외국인투자 자문위원회 구성 투자유치, 중소기업 지원, 벤처 투자 조성을 위한 세제 혜택 제공 건설 인허가 간소화 / 수요자중심 전력 공급 제도 개편 노력 이민법 개정을 통한 고급 인력 유치 4) 특이한 비즈니스 문화 아직까지 투명하지 못한 법, 제도, 갖가지 관행으로 비즈니스에 다소 난관이 있음 바이어의 요청으로 편법적인 거래가 종종 이루어지고 있어 편법적인 업무처리를 진 행하여야 할 경우 서류를 잘 보관해야 할 필요가 있음 인간관계와 인맥을 활용한 네트워크가 매우 중요함. 러시아인과 비즈니스 할 때에는 그들의 문화와 사고방식 등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임 5) 소비자 계층 특성 2001년 이후부터 소수의 부유층과 다수의 빈곤층이라는 이중구조를 벗어나 중산층이 꾸준히 형성되어 최근 이들이 시장의 주요 소비층을 형성하고 있음 II. 러시아 로봇 시장동향 분석 1. 세계 로봇 시장 국제로봇협회(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 IFR) 의 World Robotics 보고서에 의하면, 2013년 세계 로봇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10.7% 성장한 147.9억 달러 규모로 2007년 이후 연평균 10% 이상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제조용 로봇 시장 전체 로봇 시장의 64.3% 차지, 95억 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11.9% 성장 전문서비스용 로봇 시장 전체 로봇 시장의 24.1% 차지, 35.6억 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1.9% 다소 감소 - 2 -
개인서비스용 로봇 시장 전체 로봇 시장의 11.6%를 차지하며 17.1억 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40% 급성장 보스턴컨설팅그룹(Boston Consulting Group) 의 The Rise of Robotics 로봇 판매 시장 의 전망 분석에 따르면, 2020년 429억 달러, 2025년경 669억 달러 규모로 전망함 2025년 기준 전체 로봇 판매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제조용 36.5%, 전문서비스용 25.4%, 군용 24.7%, 개인서비스용 13.5%가 될 것으로 전망 분야별 연평균 성장률은 개인 서비스용 17.4%, 전문서비스용 12.3%, 군용 8.1%, 제조 용 7.6% 순으로 개인서비스용 및 전문서비스용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분석함 2. 러시아 로봇 시장 우주, 원자력, 군사 분야에 치우친 개발로 우주제어장비, 극단적 산업 환경, 군용 로봇 위주로 형성되어 있어 현재의 러시아 로봇 시장은 매우 작은 수준임 IFR에 따르면, 2013년 러시아 제조용 로봇 시장은 전세계 시장의 0.17% 정도로 파악 제조용 로봇산업의 수출입 수지 통계 를 보면, 2014년 3,451만 달러 정도의 무역수지 적자이나 수출부분이 증가하고 있어 제조용 로봇산업의 급성장 추세로 볼 수 있음 로봇 주요 수입국은 이탈리아(34.1%), 독일(22.8%), 프랑스(13.4%), 일본(10%) 순 한국은 1.76% 규모 러시아 로봇시장은 주로 우주제어장비, 극단적 산업 환경, 군용 로봇 등 소련 시절부터 축적된 특수 로봇 분야가 가장 발달, 자동차 산업이 제조용 로봇의 주요 소비자층 형성 로봇 기술 분야의 전문가 대부분은 B2C 시장에 상품을 대량 구현한 경험이 없음 로봇공학 분야에서 활동하는 연구 센터의 수는 많지만 로봇공학의 발전에 미치는 영 향력은 미비하다고 평가됨 로봇공학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정책적인 지원 및 R&D 재정 지원 확대는 로봇 업계 의 역동적인 발전에 있어 주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분석됨 전문가들의 러시아 로봇 시장 전망 생산업체들은 기업 현대화에 대한 발전 제도 및 국가 재단을 통한 직접적이고 장기적 인 재정지원이 제조용 로봇 부문의 발달에 있어 주요 조건이 된다고 평가함 세계 로봇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소프트 인공지능 로봇을 통해 자신의 점유율을 넓혀 나갈 역량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음 국가에서 체계적으로 지원할 경우 러시아는 세계 로봇 시장에서 자신의 로봇 제품의 비중을 현저히 늘려나갈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다고 전망함 - 3 -
1) 제조용 로봇 시장 러시아 로봇 시장 참여 기업들에 따르면, 러시아 제조용 로봇 시장의 가장 큰 소비자 는 Avtovaz 러시아 최대의 국영 자동차 업체 러시아 제조용 로봇의 총매출액은 연간 30억 루블(약 4,800만 달러) 정도로 추정됨 자동화 시스템과 로봇 공학 시장에서 러시아의 혁신 잠재력 전문가 분석 보고서 2) 전문서비스용 로봇 러시아 전문서비스용 로봇 시장은 제조용 로봇 시장보다 더 유망하다고 전망 에너지자원 중심 경제 구조의 영향으로 인프라, 물류, 광업, 군사, 의료, 교육 등 특수 용 로봇의 수요가 클 것으로 예상 국내 총생산 (GDP)의 10.9 %를 차지하고 수출 매출의 71.6 %를 차지하는 광업분야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분석 인프라용 로봇은 파이프라인 검사 로봇, 원자로 진단 및 유지 보수, 파이프 라인, 철도 및 도로 등 인프라 모니터링용 드론, 공공부문 청소 로봇 등에 수요가 있을 전망 물류시장은 전문서비스용 로봇으로 자동화가 유망한 분야로 분석 국가 보건의료 설비 현대화 진행으로 의료 전문서비스용 로봇 시장이 확대될 전망 2014년 학교에서 로봇 교육 시작으로 교육용 로봇의 보급이 본격화될 전망 3) 개인서비스용 로봇 2014년 개인서비스용 로봇 시장은 1,000만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 '러시아 전략사업단(Agency For Strategic Initiatives : ASI)' 분석 연구 개발에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이 드는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장점으로 신제품의 출현과 소비자의 구매에 기여할 수 있다고 예측 그러나 러시아에서 가전제품 제조에 드는 높은 비용 때문에 미국, 유럽 연합 (EU), 일본 등 대기업들과 가격 경쟁에 뛰어들기에 여의치 않음 해외 시장에서 개인서비스용 로봇 판매 추진 경험의 부족 등의 한계가 있음 2014년 러시아 전자제품 시장 매출은 사상 최대 액수인 8,180억 루블 기록 따라서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내수시장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음 3. 로봇산업 동향 러시아 산업 자동화(로봇화) 빠른 속도로 증가 최근 유통 및 건설 분야, 광물 석탄 채굴 분야에서 로봇의 도입이 증가 - 4 -
러시아 로봇시장 규모는 향후 년간 약 60% 증가할 것으로 전망 러시아 수출입 정책 수입대체산업 육성, 제조업 육성 정책 러시아 정부는 산업개발펀드를 조성해 신규제조설비 구축에 저리로 자금을 지원할 계획으로 향후 수입 대체산업의 산업설비 도입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 로봇공학분야의 유망프로젝트 지원 정책 - 로봇실험실, 국제로봇공학생산센터 설립 등 러시아 로봇 실험실 설립 / 러시아 국립기술대학 MIS&S" 설치 러시아 로봇공학분야의 유망프로젝트 지원 톰스크국립대학교 로봇기술장비센터 지능적 운송수단 개발 / 인공두뇌를 기초로 한 지능적 제어 시스템 연구 진행 중 해외기술 도입 및 교류 추진 한러 기술협력 추진 - 러시아 벤처 컴퍼니와 한국 기술벤처 재단 MOU 체결 포드,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폴리테크닉 대학교 텔레매틱스 학과와 파트너십 체결 로봇 기술 개발 및 상용화 추진 모든 로봇들의 프로그래밍 메타언어를 러시아에서 개발 러시아에서 최초로 의인화된 구조로봇 테스트 시행 러시아, 최초의 수술로봇 제작 예정 4. 대러시아 수출에 필요한 절차 러시아의 수입통관 절차 수입신고 전 수입신고 물품검사 관세납부 및 물품반출 수입자 등록 수입허가 취득 수입신고 물품검사 관세납부 통관완료 러시아 인증 절차 TR-CU(Custom Union) 인증제도(EAC마크) 2013년 3국 관세동맹(러시아, 벨라루스, 카자흐스탄)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인증제도 러시아,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아르메니아가 공통으로 사용 - 5 -
III. 러시아 로봇시장 분야별 업체 및 제품 분석 1. 분야별 업체 1) 제조용 로봇 주요 시장참여자 및 제품 동향 LLC «Volzhskiy machine building plant» : 로봇 장비, 자동 라인 등 선두 주자 Yaskawa Motoman : 야스카와 북유럽 모스크바 자회사 KUKA Robotics RUS : KUKA Robotics 러시아 자회사 FANUC Russia : FANUC 러시아 자회사 Robowizard : 가와사키 산업용 로봇 디스트리뷰터 Robocv : Skolkovo 혁신 센터 입주업체, 팔레트로드 이동 자동화 생산 2) 전문서비스용 로봇 주요 시장참여자 및 제품 동향 Android Technics : 인간형 로봇 개발 및 생산하는 혁신적인 회사 JSC KEMZ : 러시아 보병 전투 차량 생산업체, Mobile robot complex 제조 CCT (Special Construction Equipment) : 특수 드릴 장비 제조 판매 업체 Diakont : 파이프라인, 원자력 발전소 등 원격 조작 장비 제조, 러시아 시장의 리더 - 6 -
ECOINVENT : 초 중 고 직업학교를 위한 교육 시스템의 개발, 생산. 공급 Exoatlet : 하부 사지 운동 장애를 가진 환자의 외골격 재활 기기 제조 3) 개인서비스용 로봇 주요 시장참여자 및 제품 동향 XTURION : 집 감시 모바일 로봇 플랫폼 Alpha Smart Systems : 인간의 얼굴 표정 인식 로봇 시스템 Alphabot 개발 RBOT : 텔레프레즌스 대화형 이동 다기능 단말기 로봇 «R.BOT (100)» 개발 Wicron : 텔레프레젠스 로봇 개발, 벤로봇 / 유니로봇 / 멀티미디어 로봇 4) 로봇부품 Baikal Electronics Baikal Electronics : 반도체 회사 5) 유통 구조 및 판매 루트 로봇의 종류 용접 로봇 분해 용 로봇 로봇 청소기 의료 로봇 로봇 부품 (모터, 센서) HS 코드 (예비) 세관 문서 판매 준비 문서 시험 / 인증 8479500000 8479500000 8508110000 9022, 9018 850110, 8541 invoice, transaction passport, foreign activity Contract; Packing list (인증서 또는 규정 준수, 세관 수수료 지불, 주문 확인) 계약서, 설명서, A/S 인증 GOST R 인증서, 보건복지부 위생확인서 세일즈 오피스 / Disctributors / 딜러 세일즈 오피스 / Disctributors / 딜러 세일즈 오피스 / Disctributors / 딜러 세일즈 오피스 / Disctributors / 딜러 On-line 쇼핑몰 세일즈 오피스 / Disctributors / 딜러 세일즈 오피스 / Disctributors / 딜러 소비자 판매 방법 비고 B2B B2B B2B / B2C B2B B2B 수입서류 필요한 허가 및 선적 서류 준비 (인증 등) 세금 및 수수료 지불. 상품 통관 (세관 또는 대행업체) - 7 -
2. 기술교류 파트너 및 잠재 바이어 리스트 1) 러시아 로봇 연구소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 로봇 관련 이론 연구 1 Institute of Machines Science named after A.A.Blagonravov of the Russian Academy of Sciences (RAS IMASH) 2 Keldysh Institute of Applied Mathematics (Russian Academy of Sciences) 엔지니어링 생산설계 관련 대학 및 연구기관 : 정부산하 특수 목적 로봇 개발 및 생산 1 Russian State Scientific Centre Central Research Institute of Robotics and Technical Cybernetics (RTC) 2 Bauman Moscow State Technical University (BMSTU) 3 Robotic Systems Development Center of the State Engineering Center MSTU STANKIN 4 Moscow State Institute of Radio Engineering, Electronics and Automation 5 The Institute of Automation and Control Processes with Computation Center of the Far Eastern Scientific Center, Siberian Branch of the Russia Academy of Science 6 Institute for Problems in Mechanics of the Russian Academy of Sciences, IPMech RAS 7 SIC robotics EMERCOM of Russia 8 "OAO "Izhevskiy radiozavod 9 VNII Transmash 10 The main research center of the Ministry of robotics Defense of the Russian Federation 11 Skolkovo Robocenter 12 Institute of Theoretical and Applied Mechanics (Novosibersk 소재) 개인서비스용 로봇 Novaya ERA Company 전문서비스용 로봇 1 쿠즈네초프 응용공학연구소 (페름 소재) 1 우랄바곤자보드 - 8 -
로봇 부품 (시스템)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시스템프로그래밍연구소 2) 제조용 로봇 관련 잠재 바이어 GAZ Group : 러시아 가장 큰 상업용 차량 제조업체 AVIASTAR-SP : 러시아와 CIS국가에서 항공설비 제조업체 LLC EVRAZ : 러시아 시베리아 지역에서 제일 큰 철강생산 시설인 Zapsib 보유 3) 전문서비스용 로봇 관련 잠재 바이어 Stormoff : 러시아와 CIS 지역의 의료 및 요양-휴양 기관 설계 등 종합적 서비스 지원 Medolina : 진단용 장비 설비 Farm-Invest : 러시아와 CIS 시장에 의료 장비 공급 업체 4) 개인서비스용 로봇 관련 잠재 바이어 Ruselectronics : 전자, 컴퓨팅 장치, 집적 회로, 양자 전자 등 전자 장치 제조 Erisson : 전자 제품의 선도적인 러시아 브랜드 중 하나 Rolsen Electronics : 현재 가전제품 500개 이상의 소매업체에 물품 유통 업체 5) 로봇 부품 관련 잠재 바이어 Macro team : 러시아의 산업 단지에 전자 부품 및 액세서리 유통 업체 Promelectronica : 러시아의 우랄과 시베리아에서 전자 부품 가장 큰 유통 업체 IV. 러시아 로봇시장 분석 및 진출 전략 1. 진출 전망 분야 수입제품 필수 시장 : 부품, 전자제품, 의료기기 품목 등 정부정책 신규 시장 : IT, 보안, 친환경, 에너지 절감 품목 등 서비스 산업 선진화 시장 : 교통, 정보통신, 유통 품목 등 제조업 육성정책 시장 : 제조설비, 공장기계, 장비, 부품 품목 등 산업소비재 시장 : 중공업, 발전 플랜트, 군수 품목 등 2. 사전 과제 (기업) 필요한 수출인증, 관련제품별 각종 인증 실시 및 제품 홍보자료 러시아어화 - 9 -
(기업) 잠재바이어 발굴 (정부) 거래선 발굴 등 진출 지원 전략 수립 (시장개척단, 무역사절단 파견 등) (정부) 현지 연구소와 협력으로 기술이전설명회 및 심포지엄 개최 지원 사업 추진 3. 진출 전략 분야별 러시아 진출 협의회 구성 국내 기업간 공동출자 현지 수출마케팅전담법인 설립으로 마케팅 현지화(Localization) 현지 SI업체 또는 디스트리뷰터와 제휴 시장개척단 파견 등 현지 시장 개척 지원 정책 수립 진흥원, 러시아 연구소 및 대학과 MOU 협력을 기반으로 기술 교류 및 기술 이전 사업 화 추진 진흥원과 현지 지방정부간 MOU 협력을 기반으로 한러 로봇 혁신센터 설립 추진 V. 결어 현재까지 미개척분야인 러시아 로봇산업 신흥시장에 진출하여 러시아와의 새로운 산업 협력을 구축하는 계기로 삼을 수 있는 매우 좋은 기회를 맞고 있음 러시아 RVC의 자동화 시스템과 로봇 공학 시장에서 러시아의 혁신 잠재력 전문가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로봇기술 개발의 관점에서 한국의 강점은 전자, 반도체, 정밀 공학이 잘 발달된 산업기반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음 따라서 러시아 로봇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우선 진출 전망 분야의 시장에 대한 면밀한 고찰하여 철저한 준비로 지속적이고 구체적인 전략으로 수립할 필요가 있음 - 10 -
Ⅰ. 러시아 일반 개황 1. 시장 경제 특성 및 전망 가. 러시아 시장 개괄 러시아(Russia)의 공식 명칭은 러시아 연방(Russian Federation) 으로 1991년 12월 25일 소 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이 해체되고 러시아 연방이 출범하였으며 독립국가연합 1) 에 속해 있다. 러시아는 총면적 1,708만km2, 한반도의 78배, 미국의 1.8배이며 지구 육지 면적의 7분의 1을 차지하는 세계 최대 영토 보유국으로 러시아 서쪽의 칼라닌그라드와 동쪽의 추코트반도를 기준으로 동서 양극 지역간 시차가 11시간까지 난다. 우랄 산맥을 중심으로 북쪽은 북극해, 동쪽은 아시아와 태평양, 서쪽은 유럽과 맞닿아 있고 남동쪽은 험준한 산악 지대, 북서쪽은 광활한 평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남쪽으로 북한, 중국, 몽골, 카자흐스탄, 아제르바이잔, 그루 지아, 서쪽으로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라트비아, 폴란드,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 핀란드, 노 르웨이 등과 국경을 마주하고 있다. 러시아의 광활한 영토는 다양한 지질구조로 되어 있고 거의 모든 종류의 에너지 및 광물자 원이 다양하고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다. 그중 석탄, 원유, 천연가스 등의 매장량과 생산량은 세계 최대 수준이다. 러시아의 기후 또한 영토가 넓어 위치, 면적, 지형에 따라 다양하다. 일반적으로는 춥고 긴 겨울과 짧고 서늘한 여름이 특징인 대륙성 기후로, 모스크바 부근은 겨울 평균기온이 영하 10도, 여름 평균기온이 영상 16도이며 러시아의 1~2월 평균 기온은 영하 10 C 전후지만 시베 리아는 영하 15 C에서 영하 35 C이며, 내륙 지역은 영하 70 C 이하로 떨어지는 곳도 있다. 시베리아 베르호얀스크의 경우는 연중 최저기온과 최고기온의 기온차가 약 60 C나 되어, 세 계에서 가장 큰 연교차를 보인다. 러시아의 인구는 약 1억4,247만 명(2014년 기준)이고 민족 구성은 러시아인이 80%에 달하 고, 타타르(Tatar)인이 4%, 우크라이나인이 2%이며, 그 외 140여 개 소수민족이 8.41%를 차지 하고 있고 고려인은 약 20만 명에 이른다. 러시아인의 평균 수명은 세계보건기구(World 1) 독립 국가 연합( 獨 立 國 家 聯 合,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CIS) : 1991년 소련의 해 체로 독립한 10개 공화국의 연합체이며 현재 러시아, 몰도바, 벨라루스,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등 9개국이 공식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고 투 르크메니스탄은 비공식 참관국으로 참여하고 있다. 본부는 벨라루스 민스크에 있다. - 11 -
Health Organization, WHO) 의 2013년 세계보건통계 에 따르면 2013년 기준 70세로 조사대 상 193개국 가운데 하위권인 124위이다. 남성 평균 수명은 64세로 캄보디아 가나와 함께 공 동 148위, 여성 평균 수명은 76세로 남성과 무려 12세 차이가 난다. 종교 분포는 러시아정교 회가 75%, 이슬람교가 5%, 그 외 유대교, 가톨릭, 개신교 등이 있다. 러시아에서 공용으로 사 용하는 언어는 러시아어이지만 각 민족공화국은 고유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 다. 러시아는 구소련 시절부터 유지되어 온 비교적 양호한 교육체계로 교육수준이 높은 양질 의 노동력을 보유하고 있다. 러시아 전체인구 중 노동 가능인구(15~64세)가 전체 인구의 약 70%로 청장년층 비중이 높은 편이다. 특히, 러시아는 과거 구소련 시절 기초과학 및 우주항 공, 위성, 로봇 등 첨단기술 강대국으로서 아직까지 세계 최고수준의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표 1] 러시아 개관 국명 러시아 연방(RF, RussianFederation(영어),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러시아어)) 위치 동부 유럽 및 아시아 중북부, 동경 100 00", 북위 60 00" 면적 민족 1,708만km2(한반도의 78배, 미국의 1.8배), 세계 최대 영토 보유국 - 동서 양극 지역간 시차는 총 11시간 (서쪽: 칼리닌그라드, 동쪽: 추코트 반도) 러시아인(80%), 타타르인(4%), 우크라이나인(2%), 그외 140여개 소수민족 (8.41%, 고려인 20만명) 언어 러시아어, 문맹률 0.6% 문자 키릴 문자(Cyrillicalphabet, Кириллица)를 모체로 한 러시아 문자 기후 대륙성 기후(모스크바 부근은 겨울 평균기온 영하 10, 여름 평균기온 영상 16 ) 인구 약 1억4,247만 명(2014년 기준) 수도 모스크바(Moscow, Москва) (2014년 기준 인구 1,454만 명) 국가형태 정부형태 행정단위 연방공화제 대통령중심제 7개 연방 단위로 묶인 총 89개 연방 구성체 종교 러시아 정교(이외 이슬람, 가톨릭, 기독교, 유대교 등) 교육 6세~15세 의무교육 실시 GDP 1조 1,760억$ (IMF, 세계 15위) 화폐단위 루블(Ruble, рубль, 1미국달러=약 66.80 루블, 2015년 9월 기준) - 12 -
[그림 3] 러시아 영토 및 주요 도시 러시아의 국가체제는 공화국 연방제이나 정부형태는 대통령제로 대통령을 선출해 대통령 이 국정을 운영한다. 공화국 21개, 주 49개, 변경 지역 6개, 자치주 1개, 자치구 10개, 특별시 2개(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등 총 89개의 연방 주체로 구성되어 있다. 수도는 모스크바 (Moscow, 1,454만 명)이고, 그 외의 주요 도시는 상트페테르부르크(513만 명), 예카테린부르 크(138만 명), 니즈니노브고로드(126만 명), 노보시비르스크, 사마라, 옴스크, 카잔, 첼랴빈스 크, 로스토프나도누, 우파, 블라디보스토크, 하바롭스크 등이 있다. 대통령의 임기는 당초 4년이었지만, 2008년의 헌법 개정에 의해 임기는 6년으로 연장되었 고 재선할 수 있다. 선출은 국민의 간접선거로 뽑는다. 연속적으로 당선되는 3선 대통령은 금 지되고 있기 때문에, 연속 취임할 수 있는 상한 기한은 12년이다. 연임은 임기종료 6년이 지 난 후에 다시 선거에 출마가 가능하다. 2000년부터 2008년까지 제2대 대통령직을 맡았던 블 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2012년 3월 당선되어 현재 대통령직을 수행하고 있다. 행정부는 내 각 총리 1명, 제1부총리 2명, 부총리 7명, 장관 18명으로 이루어진다. 의회는 상 하 양원제로 상원은 임기가 2년으로 168석이고, 하원은 임기가 4년으로 450석이 다. 러시아의 주요 정당으로는 통합러시아당, 공산당, 자유민주당 등이 있다. 러시아의 군사력은 2010 밀리터리 밸런스(Military Balance) 2) 의 발표에 따르면 2010년 7월 을 기준으로 총병력이 102만 7,000명이고, 국방예산은 492억 달러로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의 2.95%에 달한다. 그리고 병역제도는 징병제를 채택하고 있다. 2) 영국의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에서 매년 발간하는 세계 군사력 보고서 - 13 -
나. 러시아 시장 경제 특성 러시아는 2000년대 초부터 에너지 자원 수출을 기반으로 한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국민들 의 구매력이 상승해 연간 약 3,400억 달러에 달하는 거대 수입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최근에 는 모스크바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중산층이 형성되어 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러시아는 2012년 8월 WTO 정식 회원국으로 가입해 러시아의 수입시장은 관세율이 2017년 까지 지속적으로 하향 조정될 예정이다. 그리고 해외 기업들의 러시아 시장 진출에 장애였던 낡은 법과 제도 역시 개선되고 있어 러시아 시장을 둘러싼 각국의 시장 경쟁과 진출이 보다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아울러, 2015년 1월에는 러시아, 카자흐스탄, 벨라루스의 관세동맹 을이 더 높은 차원의 경 제통합기구인 유라시아 경제연합 3) 으로 새롭게 출범하면서 상품, 서비스, 자금, 노동력 자유 교류 및 에너지, 산업, 농업, 교통 등 경제 주요 분야에 걸쳐 공동 정책을 수행하고 2016년도 제약, 의료 분야의 공동 시장 창설을 준비하고 있어 독립국가연합 1억 7천만 인구의 거대 공 동 시장이 조성될 전망이다. 2015년 6월 12일 유라시아경제연합과 베트남 간 자유무역협정 (FTA)이 체결되어 유라시아 경제연합에 수출하는 베트남산 농수산물이 0%의 관세율을 적용 받고 섬유 및 의류제품, 가죽구두, 목재제품, 커피, 차 등과 같이 베트남의 수출 잠재력 있는 제품의 관세율은 우선 현행 세율의 80%가 인하되고 향후 단계적으로 철폐될 예정이다. 1) 편중된 에너지 자원 의존형 산업구조와 취약한 제조업 시장 러시아 경제구조의 가장 큰 특징은 에너지 자원 의존형 경제 4) 이다. 러시아 경제에서 에너 지 자원이 차지하는 비중이 수출의 약 70%, GDP의 24%, 전체 연방정부 재정 수입의 50%이 다. 그래서 러시아 경제는 석유, 천연가스 등의 에너지 관련 국제시세 변동에 따라 경제가 민 감하게 반응하는 특징이 있다. 국제유가가 높게 형성될 경우 경제가 좋아지고 소비도 증가하 여 이에 따른 수입시장도 영향을 받는 편중된 에너지자원 의존 경제 구조를 지니고 있다. 러시아는 1990년 자본주위 시장경제로의 체제전환 이후 제조 산업의 기반 부족으로 인하 여 소비재의 43%를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다. 시장경제로의 체제 전환기에 맞은 심각한 경제 난, 1997년 동아시아 금융위기로 불거진 신흥국 금융위기, 1998년 모라토리엄(채무지불유예) 경험 이후 러시아는 국제원유가 고공행진에 편승한 막대한 에너지 자원의 수출정책에 의존 해 경제발전을 추진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국민경제의 근간을 지탱하는 제조업 발전기반이 매 우 취약한 실정이며 작은 시설 규모, 생산설비 노후화, 기술력 부재, 노동력 부족 등 다양한 문제들을 안고 있고 경쟁력 또한 낮은 수준이다. 3) 유라시아 경제연합(Eurasian Economic Union, EEU) : 자유무역지대, 관세동맹, 단일시장결성, 경 제연합결성, 완전경제통합 등을 목표로 한 러시아,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아르메니아, 키르기스스탄 등 5개국의 경제연합. 4) 에너지 자원 의존형 경제는 GDP의 10%, 총 수출액의 40%를 에너지 자원 수출이 차지하는 경우 를 일컫는다. - 14 -
러시아 산업 구조를 살펴보면, 러시아 통계위원회 자료 2012년 기준으로 러시아 제조업의 GDP 비중은 15.2%로 한국 31.1%, 중국 31.1%, 독일 23.8%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이러한 러 시아의 제조업 중 비중이 큰 산업은 정유 20.5%, 철강 16.3%, 식품 16.2%, 자동차 11% 순으 로 나타났다. 이 중 2000년대 이후 성장 산업은 자동차 산업의 비약적인 성장과 더불어 전기 전자와 기계장비 부문이다. 그러나 러시아의 자동차 산업은 자국산 자동차 생산보다 외제 브 랜드의 러시아 국내 조립생산이 대부분이며 자동차 업체들은 간단한 부품들만 현지에서 조 달하고 엔진, 전자 부품과 같은 기술력이 필요한 제품들은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편중된 산업구조와 취약한 제조업 기반을 개선하고자 러시아 정부는 국내 제조업 육성 등 성장 동력 마련을 위해 산업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강력하게 추진 중 인 수입대체산업 육성을 위한 자국 산업 및 과학기술 육성정책 에 따라 제조업 집중 육성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며 기계설비, 플랜트 등 자본재에 대한 수입 수요가 점차 높아지고 있 다. 러시아 정부는 대표적인 육성 산업 중 하나인 자동차 산업과 부품 산업의 자국내 생산 비 율을 높이고, 엔진 및 트랜스미션 등 핵심부문 공장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2000년대 초부터 에너지자원 수출을 기반으로 경제가 급속히 성장하면서 일반 소비자들의 구매력 역시 상승하였다. 2013년 러시아 통계청 기준 3,443억 달러에 달하는 거대 수입 시장 을 형성하였다. 이는 2000년 수입액인 339억 달러와 비교해 약 10배가 증가한 규모이다. 이러 한 러시아의 취약한 제조업 발전기반, 적은 제조업 시설 규모, 소비자의 구매력 상승 등으로 외국인들에게는 러시아의 제조업 부문이 매력적인 투자 시장이 되고 있다. [그림 4] 주요국의 GDP 대비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출처 : KIEF 정책연구 브리핑, 연구보고 14-21-미국의 제조업) - 15 -
[표 2] 러시아 주요 분야별 GDP 구조 변화(2007년과 2012년) (단위: 총 부가가치 기준/ 십억 루블, %) 1차 산업 2차 산업 3차 산업 (서비 스업) 구분 2007년 2012년 규모 비중 규모 비중 전체 28,484.5 100 53,284.5 100 농업, 임업 1,194.8 4.2 1,952.0 3.7 수산업 61.6 0.2 108.9 0.2 광업, 채굴업 2,865.5 10.1 5,801.4 10.9 제조업 5,025.2 17.6 8,091.7 15.2 전기, 가스, 수도업 855.9 3.0 1,845.8 3.5 건설업 1,633.9 5.7 3,445.0 6.5 도소매업, 자동차 및 가전제품 수리업 5,745.0 20.2 10,514.1 19.7 숙박 및 요식업 286.3 1.0 514.3 1.0 교통, 통신 2,750.9 9.7 4,350.6 8.2 금융업 1,253.8 4.4 2,328.5 4.4 부동산 및 임대업 3,102.8 10.9 6,285.6 11.8 사회보장, 행정서비스 1,466.4 5.1 3,520.8 6.6 교육업 769.9 2.7 1,584.0 3.0 보건서비스 950.5 3.3 2,081.9 3.9 커뮤니티 서비스 522.1 1.8 860.0 1.6 (자료: 러시아 통계위원회, KIEO / KOTRA 유망국가 사업연구 13-01 러시아의 주요 산업) [표 3] 러시아 주요 수출 품목 (품목:HS 6단위, 2014년 12월, 단위:천달러, %) 2013년 2014년(12월) 품목명 순위 수출금액 수출증감률 수지 수출금액 수출증감률 수지 총계 526,391,407 0.3 208,586,892 492,143,679-6.5 209,542,474 1 석유, 원유 173,668,303-4.0 173,513,541 152,586,048-12.1 152,278,481 2 기타 석유 91,529,093 3.7 90,305,416 92,799,220 1.4 91,758,430 3 원자재 81,740,431 0.0 75,201,612 67,615,075-17.3 59,146,108 4 경유 17,638,523 14.7 17,133,647 21,903,330 24.2 20,978,510 5 분쇄 역청탄 10,599,688-8.9 10,321,247 10,344,061-2.4 10,207,149 6 밀 3,469,066-22.5 3,351,092 5,289,496 52.5 5,261,940 7 액화천연가스 5,510,958 17.8 5,510,958 5,243,115-4.9 5,243,115 8 다이아몬드 4,105,401 0.0 4,100,252 4,274,154 4.1 4,272,949 9 철 4,036,796-20.4 4,036,610 4,157,144 3.0 4,156,988 10 니켈 3,509,000-3.0 3,474,020 3,724,766 6.1 3,695,841 (출처 : 한국무역협회 (http://stat.kita.net/stat/istat/ruts/rutsitemimpexplist.screen)) - 16 -
순위 [표 4] 러시아 주요 수입 품목 (품목:HS 6단위, 2014년 12월, 단위:천달러, %) 2013년 2014년(12월) 품목명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수지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수지 총계 317,804,515 0.6 208,586,892 282,601,205-11.1 209,542,474 1 원자재 6,538,819 0.0 75,201,612 8,468,967 29.5 59,146,108 2 약제 8,461,898 9.1-8,172,571 7,291,529-13.8-7,002,925 3 1,500~3,000CC 자동차 8,804,479 0.0-7,538,800 6,595,515-25.1-5,373,970 4 셀룰러 휴대폰 / 전화 4,729,239 17.0-4,655,762 4,707,505-0.5-4,631,002 5 승합 차량 본체 3,742,127 0.0-3,741,386 2,631,684-29.7-2,630,494 6 휴대용 디지털 컴퓨터 2,973,027-21.5-2,926,561 2,577,957-13.3-2,164,184 7 3,000CC 자동차 2,687,497 0.0-2,646,374 2,289,800-14.8-2,232,738 8 자동차 안테나 부품 2,446,721-16.0-2,219,291 2,282,106-6.7-2,037,403 9 육우 2,348,397-8.2-2,342,742 2,157,210-8.1-2,150,892 10 자동차 액세서리 2,547,905 0.0-2,482,682 2,114,194-17.0-2,075,409 출처 : 한국무역협회 (http://stat.kita.net/stat/istat/ruts/rutsitemimpexplist.screen) 2) 러시아 투자 환경 - 수입대체산업 육성 및 투자 유치 확대 추진 중 러시아 정부는 산업정책에 관한 연방법 제정, 수입대체산업 육성정책을 통해 2020년까지 수입 비중을 평균 40%로 낮추려하고 있으며 18개의 수입대체산업 육성분야를 선정했다. 그 중 수입비중이 44% 이상인 자동차산업부터 우선적으로 수입대체산업 육성이 필요하다고 분 류하고 있다. 또한 러시아 정부는 2015년 1월 28일 총 60개 항목으로 구성된 약 2조3000억 루블(한화 약 40조원) 규모의 2015 위기대응 계획 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경제구조 개혁, 주요 산업에서의 중요 기업들의 안정성 확보, 노동시장 안정화, 인플레이션 억제, 경제 성장과 중장기 거시경 제 안정성 확보 등 자국 산업 육성 및 제품 수출지원 확대를 추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 다. 이 계획에 따라 러시아는 지나치게 편중된 에너지 자원 의존형 산업구조를 탈피하고자 자국 제조 산업 보호 및 육성, 자국 기업의 해외 수출지원 부문을 점차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 다. 그리고 2014년 러시아의 서방 농식품 수입 금지 후 농업 육성정책 계획안에 포함된 농장 의 대출 조건 완화와 농기계 구매에 대한 파이낸싱 정책을 분석해보면, 낙후된 농업 시설을 현대화하고 농기계 제조 기업 지원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자동차 산업 보호를 위 해 러시아 정부가 자국산 자동차를 보다 많이 구매할 것으로 예상되며 자동차 제조 부문 육 성도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 17 -
[표 5] 러시아 정부 선정 수입대체육성산업 분야(총 18개) 연번 산업분야 1 Heavy Mechanical Engineering 2 Energetics mechanical engineering 3 Oil and gas mechanical engineering 4 Machine-tool engineering 5 Metallurgy 6 Shipbuilding 7 Electronic industry 8 Aviation industry 9 Auto industry 10 Transport industry 11 Agro-mechanical engineering 12 Mechanical engineering for food and processing 13 Road construction and municipal, and air field ground technics 14 Pharmaceutics 15 Medical industry 16 Chemical industry 17 Wood industry 18 Textile industry (자료원 : 러시아 대외무역분석센터) 이외에도 러시아 정부는 산업현대화(제조업 육성)를 위한 방법으로 외국인 투자 유치 확대 에 노력 중이다. 산업구조 다양화를 위한 경제현대화 정책으로 러시아 정부는 과도한 원자재 분야 의존, 산업경쟁력 부족 등에 따른 러시아 경제의 구조적 취약성을 개선하고 향후 지속 적인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 '2020 러시아 혁신전략' 5대 전략산업 육성을 추진하고 있다. 5대 전략산업은 에너지효율화(전력망 현대화), 원자력기술(원자력발전소 확대 및 기술력 극대화), 우주기술(위성 및 통신 기술), 의료기술(진단장비 및 의약품 포함), 정보기술(산업별 IT 분야 현대화) 등이다. 전략산업 현대화 계획의 성공적 실현을 위해 러시아 정부는 외국인투자 및 해외 고급기술 인력 유치 등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현재 러시아는 대외적으로 서방의 대러시아 제재, 대 내적으로 지나친 행정규제, 낙후된 법 제도 및 관료주의, 투명성 부족, 만연한 부패 관행 등 불확실한 투자환경과 높은 물가, 법인세율, 질 낮은 공공의료 서비스수준, 사회 인프라 시설 부족 등은 외국인들의 대러시아 투자 진출의 장애로 작용하고 있다. 세계은행의 2014년 기 업경영여건 에 따르면, 러시아는 189개국 중 종합순위 62위, 사업허가(156위/189개국), 투자 자보호(100위/189개국), 대외무역(155위/189개국) 등 지표에서 낮은 순위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국제투명성기구가 발표하는 국가별 부패인식지수 중 뇌물공여지수(BPI, Bribe Prayers Index)는 28개 대상국 중 28위, 부패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는 2014년 기준 175개국 중 136위로 나타났다. 이러한 대내외적인 여건을 극복하기 위해 러시아는 자국내 제조업 육성을 위해 2014년부 - 18 -
터 정부조달 참여 제한품목을 확대하고 있다. 정부조달 참여 품목 제한으로 외국산 제품의 러시아 정부조달시장 진출은 점점 어려워질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까지는 고부가가치 제품 중 러시아 내에서 자체 생산이 가능한 품목이 많지 않으나, 완성품에 대한 수입 관세 인상, 세이프가드 등 국내시장 보호조치 활용 확대 등으로 점차 러시아의 완성품 수입 시장의 확대 속도는 줄어들 것으로 예상 5) 된다. < 러시아 정부의 외국인 투자 환경 개선 정책> (출처 : 한국무역협회) 1) 러시아 투자전략청 (Agency of Strategic Initiative) 설립 - 2011년 5월, 과도한 행정장벽 제거 및 투자환경 개선 전략 수립 전담청 설립 - 2012년 5월, 관세행정 개선 로드맵 발표 등 현재 총 22개 분야의 행정 장벽 제거하는 투자 개선 로드맵 수립 중 2) 투자 옴부즈만 제도 (비즈니스 고충처리제도) - 옴부즈만은 외국인 또는 내국인 투자자들을 대신해 법정을 대신할 수 있으며 투자자들의 이익을 저해하는 관료들에 대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권리 보호 역할 3) 러시아 직접 투자 펀드(RDIF/Russian Direct Investment Fund) - 2011년 6월, 전력, 에너지, 의료 등의 육성산업 분야에 외국인 투자자와의 공동 파이낸싱 투자를 위해 설립한 펀드 4) 외국인투자 자문위원회(Foreign Investment Advisory council) - 외국인투자자의 애로사항, 대정부 비즈니스 개선 환경 관련 러시아 정부에 건의 - 2012년, 기술규제, 통관, 은행, 금융 시장, 에너지 효율, 극동 시베리아 개발 등 건의 5) 세제 혜택 - 기업들의 투자 환경 촉진 및 R&D 분야로의 투자유치, 중소기업 지원, 벤처 투자 조성을 위한 세 제 혜택 제공 - 투자 촉진 : 2013년 1월, 신규 장비 수입 시 지방세(현행 2.2%) 면제 추진 중 6) 건설 인허가 간소화 - 2012년 1월 건축법 개정 : 정부 임명 전문가 외에 민간 전문가도 건설 승인 획득 가능 - 건설 계획 승인 검토 기간도 종전 90일에서 60일로 단축 - 2011년 8월부터 주요 건설 시설에 대한 불시 검사 금지, 정기검사 횟수 최소화 규제 중 - 그 외 용지 변경 허가 기간 단축 및 토지선정에서의 허가 단계 간소화 등 7) 수요자중심 전력 공급 제도 개편 노력 - 국영화된 러시아 전력시장에서의 수요자 권리 보호 및 편의 제공 - 전력 연결 기한을 30일로 한정하고 15kW까지 전력 연결 시 비용을 550루블(약 $18)로 고정 및 750kW의 대규모 전력 수요건에 대해서는 표준 계약서 제공 - 계약 위반시 전력공급사에 1백만루블(약 $33,000)까지 벌금 부과 가능 8) 이민법 개정을 통한 고급 인력 유치 - 연소득 200만루블(약 $66,000)의 외국 고급 인력, 근로기간 및 연장기한 3년으로 연장 - 그 외 임시 체류자의 거주 등록기간을 종전 3일에서 7일로 연장 5) KOTRA 러시아 수입대체산업 육성정책과 우리 기업의 활용방안 - 19 -
러시아 정부는 이렇게 수입시장을 제한하면서 2000년대 후반부터 투자 및 사업환경 개선 을 위한 여러 제도 등을 수립하여 시행 중이며 지역개발 프로젝트를 외국인 투자가에게 홍보 해 지역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역개발부 산하에 투자유치기관 설립하는 등 투 자 환경 개선을 위해 현재까지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다. WTO 가입 이후로 러시아의 대외 투자 및 교역시장 개방이 가속화됨에 따라 외국인 투자 유치에 많은 공을 들이고 있다. 그 결과, 2010년 이후 러시아 외국인직접투자 유입구조가 변화해 왔는데, 2010년에 22.8%에 달했던 제조업투자비중이 2012년에 12.7%로 감소하였지만, 금융 보험업 및 도소매 자동차 수리업의 비중이 56%(2010년 30.4%)로 크게 확대되었다. 금융 보험업은 2012년 전체 러시 아 외국인직접투자 순유입액의 29.8%를 차지해 2010년 17.7%보다 12.1%포인트 확대되었으 며, 도소매 자동차수리업은 26.2%의 비중을 차지해 2010년 12.7%보다 13.5%포인트 확대되 었다. 2012년에 러시아가 전년 대비 총 외국인직접투자 순유입액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501억 달러로 2011년에 이어 세계 9위의 투자 유입국으로 투자환경이 개선되고 있다. 그리고 러시아 정부가 산업개발펀드를 조성해 신규제조설비 구축에 저리로 자금을 지원할 계획을 추진하고 있어 향후 수입대체산업의 산업설비 도입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제 품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 수입 관세는 인하할 계획으로 제조업에 필요한 산업설비, 각종 기 계, 원료, 원자재, 부품 등의 수출시장이 확대될 전망이다. 3) 특이한 비즈니스 문화 현재 러시아 정부가 투자 및 사업 환경 개선을 위한 여러 제도와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하 고 있음에도 아직까지 법, 제도가 투명하지 못한 편이며, 갖가지 관행 때문에 비즈니스 진행 이 다소 난관에 부딪히기도 한다. 예를 들어 러시아 바이어의 요청으로 편법적인 거래가 종 종 이루어지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 행정 투명화 및 부정부패 척결 등이 사회이 슈로 부상하면서 원칙적인 거래를 원하는 바이어가 늘고 있고, 임시방편으로 법을 우회하는 방법을 쓰는 경우에는 차후에 큰 낭패를 볼 수가 있기 때문에 원칙적인 방향으로 거래를 하 는 것이 좋다. 만약 바이어의 요청으로 편법적인 업무처리를 진행하여야 할 경우 혹시 모를 일을 위해 관련 서류를 잘 보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러시아에서는 우리나라처럼 비즈니스에 있어서 인간관계와 인맥을 활용한 네트워크가 매 우 중요하다. 단순히 한국에서 팩스 전화상 연락만으로 러시아 시장을 진출하려고하는 경우 는 거의 성공할 수가 없다. 업체들의 규모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사장의 의사결정이 직원 의 제안보다 훨씬 중요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단순한 팩스, e-메일은 무시되는 경우가 대 부분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인지 러시아인과 비즈니스 할 때에는 그들의 문화와 사고방식 등 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며, 일적인 대화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대화를 통해 우선 관계를 형 성하여 친밀감을 유발하는 것이 중요하며, 진심어린 관심을 보이는 것이 중요하다. - 20 -
4) 소비자 계층 특성 2001년 이후부터 소수의 부유층과 다수의 빈곤층이라는 이중구조를 벗어나 중산층이 꾸준 히 형성되어 최근 이들이 시장의 주요 소비층을 형성하고 있다. 2012년 2월 러시아 보험회사 로스가스스트라흐(Rosgosstrakh) 社 의 보고서에 따르면, 중산 층을 연소득 2만 달러로 정의하는 경우, 이들은 러시아 전체 인구의 29%인 1,500만 세대를 차지하고, 연 소득 3만 달러의 세대는 950만 세대로 전체 인구의 18%를 차지한다고 발표했 다. 이들 중산층은 기존 러시아 소비자들이 가격에 민감했던 모습에서 벗어나 삶의 편의를 위해 상품과 서비스를 제약 없이 구매하고 품질과 브랜드의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해 꼼꼼히 따지는 특징이 있으므로 이에 맞는 우리기업들의 마케팅 전략과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 2. 주요 경제 지표 가. 러시아 경제 동향 2000년 이후 고유가로 인해 장기간 호황을 누리며 BRICs 신흥경제국에 포함됐던 러시아 는 2008년 초 에너지 자원개발 및 제조업 부문의 수입대체 병행 전략 을 기반으로 2020년까 지 세계 5위의 경제대국으로 부상한다는 비전을 발표하였다. 하지만 2008년 하반기에 발생한 글로벌 경제위기로 인해 러시아 경제는 경제성장률 7.9%의 심각한 침체를 겪게 되었다. 2009년 후반 배럴당 115달러를 넘는 고유가와 민간 소비 증가로 2010, 2011년 각각 경제성 장율 4.3%을 달성해 글로벌 경제위기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였지만 다시 유가하락에 따라 지 속적인 성장에 어려움을 겪어 2012년 3.4%, 2013년 1.3%, 2014년 0.6% 경제성장률 둔화를 보 였고 2015년 더욱 둔화되어 경제성장률이 -2.8%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 미국과 유럽연합 등의 러시아에 대한 경제 제재가 강 화되고 이에 대응해 경제 제재에 참여한 국가(EU, 미국, 캐나다, 호주, 노르웨이)로부터 농식 품 수입을 금지 제한하는 러시아 정부의 식료품 수입 금지조치는 식품물가 상승을 초래하여 2014년 12월 소비자물가는 11.4%로 2009년 8월 이후 최고치로 상승하였다. 이러한 불안감이 커지면서 2014년 3분기까지의 자본유출은 총 852억 달러에 달하고, 국제유가 하락이 가속화 됨에 따라 루블화 가치는 연초 대비 약 50%내외 수준까지 하락해 러시아 경제개발부는 2015 년 물가상승률을 11.9%, 러시아 중앙은행은 10.8% 수준으로 전망했다. - 21 -
1) 주요 경제 지표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에 따르면, 러시아의 국내총생산(GDP)은 2014년 기준 으로 1조 1,760억 달러(세계15위, 한국 : 1조 4,351억 달러-세계11위)이고, 1인당 국내총생산 (GDP)은 8,184 달러(세계74위, 한국 : 2만 8,338 달러-세계28위)이나, 러시아의 구매력 평가 (PPP, Purchasing Power Parity) 기준 GDP는 3조 4,584억 달러(세계6위, 한국 : 1조 8,535억 달러-세계13위)로 높게 나타났다. [표 6] 러시아 주요 경제지표 구분 단위 2011 2012 2013 2014 2015 (전망) 경제성장률 % 4.3 3.5 1.3 0.6 0.0 물가상승률 % 8.4 5.1 6.8 7.5 7.2 재정수지/GDP % 0.8-0.1-0.5 0.3-0.8 환율(U$1당, 평균) RUB 29.38 30.84 31.84 37.54 44.62 대외지급 준비자산 억달러 4986 5376 5096 4531 4201 수입개월수 개월 14.6 14.5 13.0 12.2 11.1 외채잔액 억달러 4986 5376 5096 4236 3682 외채잔액/GDP % 28.6 31.6 34.8 34.4 36.0 DSR % 10.4 9.7 11.4 13.8 14.4 상품수출 억달러 5154 5274 5233 5083 4763 상품수입 억달러 3186 3358 3413 3127 3048 경상수지 억달러 973 713 341 481 224 경상수지/GDP % 5.1 3.5 1.6 2.5 1.3 경상수지/총수출 % 15.8 11.2 5.4 8.0 3.9 출처 : EIU [표 7] 러시아 주요 경제규모 구분 규모 세계순위 기준 GDP 명목기준 1조 1,760억$ 세계15위 2015 IMF 기준 GDP 1인당기준 8,184$ 세계74위 2015 IMF 기준 PPP기준 3조 4,584억$ 세계6위 2015 IMF 기준 빅맥지수 1.36$ 세계55위 2015. 01. The Economist 기준 출처 : 외교부, KOTRA - 22 -
2) 수출 및 수입 2014년 현재 러시아의 교역 규모는 7,747억 달러로, 이 가운데 수출은 4,921억 달러로 주요 수출품은 석유, 석유제품, 천연가스, 원목, 금속, 화학제품 등이고, 수입은 2,826억 달러로 주 요 수입품은 기계, 장비, 자동차, 자동차 부품, 소비재, 의약, 식품 등이다. 2013년 대비 2014 년도 수출은 원유의 국제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6.5% 감소, 수입은 11.1% 감소하였다. 수 입 감소는 유가 하락, 루블화 약세 및 서방 경제 제재가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러시아의 주요 수출국은 네덜란드, 중국, 독일 순이고 한국은 8번째 주요 수출국이며, 주요 수입국은 중국, 독일, 미국 순이고 한국은 9번째 주요 수입국이다. [표 8] 러시아 무역 현황 (단위 : 천달러, %) 년도 수출 수입 수출액 수출증감률 수입액 수입증감률 수지 2010년 397,066,402 0.0 228,910,086 0.0 168,156,316 2011년 478,007,768 20.4 284,735,371 24.4 193,272,397 2012년 524,563,696 9.7 315,984,654 11.0 208,579,042 2013년 526,391,407 0.3 317,804,515 0.6 208,586,892 2014년 492,143,679-6.5 282,601,205-11.1 209,542,474 출처 : 한국무역협회 (http://stat.kita.net/stat/istat/ruts/rutswholelist.screen) [표 9] 러시아 주요 수출국 현황 (단위 : 천달러, %) 2013년 2014년 순 국가명 수출금액 수출증감률 수지 수출금액 수출증감률 수지 위 총계 526,391,407 0.3 208,586,892 492,143,679-6.5 209,542,474 1 네덜란드 70,126,100-7.5 64,280,263 67,758,623-3.4 62,519,054 2 중국 35,630,499 6.2-17,580,962 37,236,790 4.5-13,136,918 3 독일 37,027,783 58.3-888,510 36,815,688-0.6 4,192,136 4 이탈리아 39,323,283 40.8 24,760,144 35,684,148-9.3 23,065,968 5 터키 25,499,743 59.6 18,243,716 24,794,492-2.8 18,222,542 6 일본 19,648,549 29.8 6,085,239 19,742,751 0.5 8,901,135 7 벨라루스 20,027,642-3.5 6,472,724 19,252,118-3.9 7,611,059 8 한국 14,868,249 7.7 4,553,664 17,678,817 18.9 8,757,230 9 우크라이나 23,795,702 70.9 8,005,179 17,050,270-28.3 6,388,214 10 폴란드 19,582,150-0.3 11,247,866 15,906,109-18.8 8,899,553 출처 : 한국무역협회 (http://stat.kita.net/stat/istat/ruts/rutsctrimpexplist.screen) - 23 -
[표 10] 러시아 주요 수입국 현황 (단위 : 천달러, %) 순 2013년 2014년 위 국가명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수지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수지 총계 317,804,515 0.6 208,586,892 282,601,205-11.1 209,542,474 1 중국 53,211,461 9.1-17,580,962 50,373,708-5.3-13,136,918 2 독일 37,916,293 27.3-888,510 32,623,552-14.0 4,192,136 3 미국 16,752,480 37.7-5,514,468 18,274,490 9.1-7,806,618 4 이탈리아 14,563,139 17.7 24,760,144 12,618,180-13.4 23,065,968 5 벨라루스 13,554,918 20.2 6,472,724 11,641,059-14.1 7,611,059 6 일본 13,563,310 101.5 6,085,239 10,841,616-20.1 8,901,135 7 우크라이나 15,790,523-8.9 8,005,179 10,662,056-32.5 6,388,214 8 프랑스 13,021,122 30.6-3,678,725 10,574,330-18.8-3,236,079 9 한국 10,314,585 49.9 4,553,664 8,921,587-13.5 8,757,230 10 영국 8,106,339 43.9 8,438,678 7,687,893-5.2 3,868,243 출처 : 한국무역협회 (http://stat.kita.net/stat/istat/ruts/rutsctrimpexplist.screen) 3) 외환보유고 세계 금융위기가 발생했던 2008년 10월부터 보유 외환이 급격히 줄어들기 시작하여 2009 년 3월말 기준 외환보유고가 3,335억 달러로 줄어들었으나 이후 원유가 상승 에 따른 경상수 지 흑자와 외국인 투자 증가로 인해 2010년 말 4,886억 달러, 2011년 4,986억 달러를 기록하 였으며 2012년 5월 1일 기준 5,244억 달러, 2013년 1월 1일 기준 5,376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2014년 초 5,100억 달러에서 점차 감소, 2015년 3월말 외환보유고는 3,564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외환보유고가 감소한 주된 이유는 중앙은행이 외환시장에 개입했기 때문인 것으 로 분석 6) 된다. [표 11] 러시아 외환보유고 현황 (단위 : 억 달러) 구분 2012.12월 2013.12월 2014.12월 2015.2월 2015.3월 외환보유고 5,376 5,096 3,855 3,602 3,564 (출처 : 주러시아 대한민국 대사관, 2015년 1분기 러시아 주요 경제동향) 6) 출처: KOTRA,2014 러시아 보고서 - 24 -
나. 경제전망 최근 러시아 통계청에 따르면 2015년 1분기 러시아 주요 경제지표는 실질임금 8.3%, 소득 1.4% 감소하는 등 모두 하락하였다. 상품 유통은 6.3% 감소하였고 특히 식품 외 상품에 대 한 유통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6.0% 감소하였다. 그러나 여러 가지 어려움과 불안한 경제 상황에도 불구하고 2014년 러시아 전자제품 시장 매출은 사상 최대 액수인 8,180억 루블에 달했다. 최대 매출을 기록한 분야는 IT였으며 가전 제품, 사진기 제품이 그 뒤를 이었다. GfK사 데이터에 의하면, 러시아 디지털 전자제품 및 가전제품 시장은 2014년 한 해 동안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다. 1) 경제성장률(GDP) 2015년 러시아 경제는 저유가의 지속, 긴축적인 금융시장, 서방파의 상호 경제제재 및 높 은 경제 불투명성으로 침체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러시아 정부 및 주요 국제기구 등도 금년도 러시아 경제성장률은 3 ~ 4% 수준으로 전망하고 있다.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표 12] 2015년 1분기 러시아 주요 경제동향 러시아 정부 (2015.4) 2015년 러시아 중앙은행 (2015.3) 세계은행 (2015.4) IMF (2015.4) 4.3% 3.4% 1.3% 0.6% -2.8% -3.5~-4.0% -3.8% -3.8% (출처 : 주러시아 대한민국 대사관) 2) 환율 지난 2014년 하반기 중 60%이상 평가 절하된 러시아의 루블화는 2015년에 들어 가치를 회 복할 것으로 전망되고 러시아 중앙은행은 2014년 12월 17%까지 인상했던 기준금리를 2015 년 1월과 3월 두 차례에 걸쳐 각각 2%, 1%를 인하하였다. 러시아 재무부는 올해 유가가 평균 배럴당 60달러 선에 머물고 현지 통화인 루블화 환율 은 달러당 51루블 선을 지킬 것으로 예상했다. - 25 -
II. 러시아 로봇 시장동향 분석 1. 로봇 시장의 규모 및 성장률 가. 세계 로봇 시장 국제로봇협회(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 IFR) 의 World Robotics 보고서에 의 하면, 2013년 세계 로봇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10.7% 성장한 147.9억 달러 규모로 2007년 이후 연평균 10% 이상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5] 세계 로봇 시장 추이 로봇 시장은 크게 제조용, 서비스용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2013년 세계 로봇 시장을 제조용 로봇과 서비스용 로봇으로 구분하고, 서비스용 로봇은 전문서비스용 로봇과 개인서비 스용 로봇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조용 로봇 시장은 전체 로봇 시장의 64.3%를 차지하며 95억 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11.9% 성장하였고, 서비스용 로봇 시장 중 전문서비스용 로봇 시장은 전체 로봇 시장의 24.1%를 차지하며 35.6억 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1.9% 다소 감소하였고, 개인서비스용 로 봇 시장은 전체 로봇 시장의 11.6%를 차지하며 17.1억 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40% 급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 이후 분야별 연평균 성장률은 개인서비스용 로봇 시장이 21.2%로 가장 높았고, 전 문서비스용 로봇 시장이 13.3%, 제조용 로봇 시장이 8.5%로 나타났다. - 26 -
보스턴컨설팅그룹(Boston Consulting Group) 의 The Rise of Robotics 로봇 판매 시장의 전망 분석에 따르면, 로봇 판매 시장이 2000년 74억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9%이상 성장하여 2020년 429억 달러, 2025년경 669억 달러 규모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5년 기준 전체 로봇 판매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제조용 36.5%, 전문서비스용 25.4%, 군용 24.7%, 개인 서비스용 13.5%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분야별 연평균 성장률은 개인 서비스용 17.4%, 전문 서비스용 12.3%, 군용 8.1%, 제조용 7.6% 순으로 개인서비스용 및 전문서비스용이 상대적으 로 높을 것으로 분석했다. [그림 6] 세계 로봇 시장 전망 (단위 : 억 달러) (자료 : The Rise of Robotics, Boston Consulting Group, 2014) (출처 :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동향자료] 국내외 로봇 산업 동향-2015년 1분기 보고서) 1) 제조용 로봇 시장 과거 10여전에는 제조용 로봇에서 서비스용 로봇으로 사업추진이 전환되는 패러다임 변화 가 있었지만 최근에는 미국을 중심으로 제조용 로봇에 대한 관심과 공장 자동화 프로젝트 중로 생산 공정에서 인간과 협업이 가능한 로봇에 대한 연구가 확산되고 있으며 중국을 중 심으로 한 제조용 로봇의 수요가 확대되면서 제조용 로봇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제조용 로봇이란 각 산업의 제조 현장에서 제품 생산에서 출하까지 공정 내 작업을 수행 하기 위한 로봇으로 단순히 사람의 명령에 의해 피동적, 반복적 작업을 수행하던 전통적인 로봇과 이에 인공지능 기술, IT기술 및 네트워크 융복합화된 기술을 접목하여 지능적이고 능 - 27 -
동적인작업을 수행하는 제조용 로봇을 통칭한다. 이중지능형 제조용 로봇은 인간과 서로 상호작용을 하면서 인간의 명령과 감정을 이해하 고 이에 따라 반응하는 인간 지향적 로봇 기술이며 환경의 인식, 정보의 획득, 지능적 판단, 자율적 행동 등의 인공 지능 기술과 정보 통신 기술을 갖는 로봇들을 말한다. 사람의 명령에 의해 피동적, 반복적 작업을 수행하던 전통적인 단순 로봇과 첨단 제조 환 경이 필요한 자동차, 선박, 반도체, 디스플레이, 그린, 나노, 바이오산업 등 신산업에 적용 할 수 있는 첨단의 제조업용 로봇을 의미하며 범위는 용접, 자동차 및 일반 기계 분야, 조선 및 해양 산업 분야, IT, BT기기 및 장비 산업 분야 등 다양하게 구분된다. 사용 목적과 용도에 따라 이적을 목적으로 하는 이적재용 로봇, 기계 가공에 필요한 공작 물 착탈용 로봇, 용접용 로봇, 표면 처리용 로봇, 조립/분해용 로봇, 가공용 로봇, 공정용 로 봇, 시험 및 검사용 로봇 등 산업현장에서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림 7] 자동차 용접용 로봇 - 28 -
[그림 8] 세계 제조용 로봇 판매량 (단위 : 백만 달러) ( 일본, 한국, 북미, 독일, 기타, 전체 ) (출처 : 러시아 RVC 자동화 시스템과 로봇 공학 시장에서 러시아의 혁신 잠재력 전문가 분석 보고서) [표 13] 제조용 로봇 각 산업 분야별 판매 수 분야 판매 수 자동 차 전자 및 전기 공학 야금 및 기계 화학 산업 유리, 도자 기 교육 및 R&D 제지 산업 식료 품 목 공 건 물 경공 업 농 업 주택 및 공동 서비스 광업 및 채석 기타 산업 세계 총 소비량 59,705 37,751 14,125 11,825 828 699 484 465 297 256 213 133 40 20 35,002 166,028 (출처 : 러시아 RVC 자동화 시스템과 로봇 공학 시장에서 러시아의 혁신 잠재력 전문가 분석 보고서) 제조용 로봇 각 산업 분야별 판매 수를 살펴보면, 제조용 로봇의 주요 응용 분야는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산업으로 나타났고 노동 비용 상승, 고정밀 생산 증가, 선진국의 산업부흥 정책 등으로 야금 및 기계 분야뿐만 아니라 식품, 제약, 전자 분야 등이 성장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29 -
[그림 9] 제조용 로봇 시장의 주요 시장 참가 기업 (단위 : %) (출처 : 러시아 RVC 자동화 시스템과 로봇 공학 시장에서 러시아의 혁신 잠재력 전문가 분석 보고서) 제조용 로봇 시장의 주요 시장 참가 기업은 다음과 같은 다국적 기업들이다. 제조용 로봇에서 시장의 선두 주자인 Yaskawa(일본, 로봇, 전기 모터 제조업체), ABB(공장 자동화 및 교통 시 스템 스위스-스웨덴 산업 지주 회사, 1980년대 후반 미국 업체 인수), FANUC(일본, 자동차 산업의 로봇 생산 업체), KUKA(독일, 제조용 로봇 및 시스템 제조업체) 등 소위 BIG 4를 형 성하고 있다. 그리고 Comau, Reiss, Stäubli, Nachi-Fujikoshi, Thyssen, Kawasaki, Durr 등의 업체가 선두그룹을 형성하고 있다. 이외에도 제조용 로봇의 세계 시장에서 400개 이상의 제 조업체들이 있다. 2) 전문서비스용 로봇 시장 서비스용 로봇 시장은 전문서비스용과 개인서비스용 로봇 시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문서비스업 로봇은 불특정 다수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및 전문화된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 으로 사람의 복지, 특정한 시설이나 특수목적에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을 말한다. 이들 전문서비스 로봇은 의료로봇, 국방로봇과 같이 전문가를 보조하며, 서비스를 제공하 는 서비스 로봇으로, 정형화되지 않은 작업환경에서 작업을 수행하므로 높은 지능이 요구되 며, 적용분야가 다양하고 특수한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다기능성, 안전성 등이 요구된다. 전문서비스 로봇은 로봇기술의 발달로 건설로봇, 의사로봇, 교사로봇, 경찰로봇 등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한 로봇으로 빠른 진화를 하고 있다. 고난이도 수술에 있어서 전문의 부족, 의 료사고 방지 및 수술의 용이성 등의 요구 증대와 수요 확대로 수술용 로봇의 필요성이 증대 - 30 -
되며, 극한 환경, 특수 작업 환경 등에서의 전문노동력 대체 및 인명 보호를 위한 전문서비 스용 로봇의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전문서비스용 로봇 시장은 2013년 기준 의료용 로봇 14억5,000만 달러, 농업용 로봇 8억 8,300만 달러, 군사용 로봇 7억9,200만 달러, 물류용 로봇 2억1,600만 달러 등의 규모로 형성 되어 있다. 의료용 로봇은 환자 재활을 위한 방사선 치료 및 로봇 수술 시스템, 장비를 포함 하며 복잡한 다빈치(da Vinchi) 로봇 수술 시스템 7) 의 기본 가격은 평균 150만 달러에서 230 만 달러 정도로 비싸다. 농업용 로봇의 대부분은 낙농업의 착유시스템 자동화와 청소 및 사 료의 자동공급 로봇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림 10] 다빈치(da Vinchi) 로봇 수술 시스템 7) 다빈치 수술시스템은 로봇 복강경 수술 시스템 중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미국 인튜이티브 서지컬 (Intuitive Surgical)사에 의해 1999년 처음 출시되어 현재 많은 나라에서 여러 가지 수술에 이용된 다. 다빈치 로봇수술은 기존의 복강경 수술과 같이 환자의 환부에 여러 개의 구멍을 뚫은 뒤 복강경 수술 기구 대신 3차원 확대 영상의 수술용 카메라와 로봇 팔을 삽입한 후 의사가 몇 미터 떨어진 콘 솔에서 원격조정을 하여 수술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 31 -
[그림 11] 2013년 전문서비스용 로봇 시장 구조 (출처 : 러시아 RVC 자동화 시스템과 로봇 공학 시장에서 러시아의 혁신 잠재력 전문가 분석 보고서) 전문서비스용 로봇 시장의 주요 시장 참가 기업은 Intuitive Surgical(미국 업체, 수술 로봇 매니퓰레이터 제조), irobot(가정용 및 전투용 로봇 생산 미국 업체, 청소로봇 - 매출의 88%) 등이 선두주자들이다. 군사용 로봇 시장은 irobot, Boston Dynamics, Foster-Miller, John Deer, General Atomics, Northrop Grumman, AeroVironment, Lockheed Martin, Raytheon, Oshkosh Defense 등이 미국업체로서 리더 그룹을 형성하고 있으며, QinetiQ(영국), Thales (프랑스), Finmeccanica(이탈리아) 등이 있고, 수중 로봇 분야에서는 Kongsberg Maritime(노 르웨이), Bluefin Robotics와 Liquid Robotics(미국), Teledyne Gavia(아이슬란드), International Submarine Engineering(캐나다) 등이 있다. 농업용 로봇 시장은 주로 자동 착 유 시스템을 개발하는 유럽의 제조업체들이 주도하고 있다. 의료용 로봇 시장은 ReWalk Robotics( 前 ARGO), REX Bionics(뉴질랜드), Ekso Bionics(미국), Raytheon(미국), Cyberdyne(일본), Honda(일본) 등, 물류용 로봇 시장은 Kiva Systems(2013년 아마존으로 합 병), Seegrid(미국), BA Systèmes(프랑스) 등이다. 3) 개인서비스용 로봇 시장 개인 서비스용 로봇은 일상생활 속의 다양한 일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들로 인간 공생형 대인지원 로봇이라고도 한다. 개인 서비스용 로봇은 개인의 건강, 교육, 가사, 안전, 정보제공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로봇이며, 청소 및 경비 분야, 인간과의 감성을 통한 흥미 및 취미생활 보조하는 여가지원 분야, 노인 재활복지 분야, 연구용을 포함한 교육용 기자재 - 32 -
및 가정교사용 로봇, 가사지원 분야 등 개인 생활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발전 확대되는 추세 이다. 개인 서비스용 로봇은 용도에 따라 가사, 간병이나 장애인 지원과 같은 생활지원용 로봇, 여가 지원 및 엔터테인먼트 로봇, 교육용 로봇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중 가사용 로봇은 교육용 로봇과 함께 개인 서비스용 로봇 시장의 성장을 이끌어 나가고 있는 가장 중요한 로 봇으로, 청소용 로봇, 가정 경비용, 심부름용, 제초용, 기타 가사용 로봇 등으로 구분하고 있 다. 특히 청소용 로봇은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가장 대중적인 형태의 로봇으로 개인서 비스용 로봇의 60%를 점하며 로봇의 대중화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가사용 로봇은 장기적 으로 우리의 삶을 가사라는 짐으로부터 해방시켜 줄 것으로 기대된다. 개인서비스용 로봇은 로봇청소기, 잔디 깎는 로봇, 기타 가정용품, 엔터테인먼트 로봇 등으 로 17억 달러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개인서비스용 로봇 시장의 주요 시장 참가 기업은 로봇청소기 시장에 Evolution Robotics(2012년 irobot으로 합병), Avidbots, Neato, Electrolux, LG, Samsung 등, 엔터테인먼트 로봇 시장 에 Lego(덴마크), Parrot(프랑스), Aldebaran Robotics(프랑스), WowWee(미국), Orbotix(미 국) 등이 주도하고 있다. 나. 러시아 로봇 시장 1) 러시아 로봇산업 및 수출입 동향 러시아의 로봇 개발 역사를 살펴보면, 소련시절 로봇 개발은 우주 산업과 원자력 산업의 발전뿐만 아니라 군사 기술 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인공위성의 도킹 등 가장 복잡 한 응용 프로그램 개발은 현재 특수 로봇분야 산업 발전의 자극이었으며 우주 산업과 원자 력 산업 발전 방향을 높은 수준으로 이끌었다. 그러나 우주, 원자력, 군사분야에 치우친 개발 로 러시아 로봇 시장은 주로 우주제어장비, 극단적 산업 환경, 군용 로봇 위주로 형성되어 있어 현재의 러시아 로봇 시장은 매우 작은 수준이다. IFR에 따르면, 주요 로봇 생산국은 한국, 일본, 중국, 독일, 미국 등이며, 2013년 전세계적 으로 판매된 로봇의 수는 약 16만대에 달한다. 이중 러시아가 구매한 로봇은 약 800대에 불 과한 것으로 나타났고 2013년 러시아 제조용 로봇 시장은 전세계 시장의 0.17% 정도로 파악 되고 있다. 그리고 [표 14] 러시아 제조용 로봇산업의 수출, 수입, 수지 통계 에서 보듯이 2014년 3,451만 달러 정도의 무역수지 적자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최근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제조업분야의 로봇 개발이 급성장하는 추세로 볼 수 있다. - 33 -
[표 14] 러시아 제조용 로봇산업의 수출, 수입, 수지 통계 (단위: 천달러,%) 연도 수출 수입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수지 2014년 1,475 150.0 35,993-12.2-34,518 2013년 590 56.5 41,007 25.8-40,417 2012년 377-14.3 32,604 50.1-32,227 2011년 440-39.6 21,725 81.0-21,285 2010년 729 0.0 12,005 0.0-11,276 [표 15] 제조용 로봇기기 주요 수출국 현황, 2014년 기준(단위 : 천달러,%) 순위 국가명 2014년 수출금액 수출증감률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수지 총계 1,475.0 150.0 35,993.0-12.2-34,518.0 1 스웨덴 668.0 0.0 1,557.0-20.1-889.0 2 일본 614.0 0.0 3,606.0-23.1-2,992.0 3 벨라루스 190.0 9,400.0 257.0-98.0-67.0 4 폴란드 3.0-92.5 49.0-84.2-46.0 [표 16] 제조용 로봇기기 주요 수출국 현황, 2014년 기준(단위 : 천달러,%) 순위 국가명 2014년 수출금액 수출증감률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수지 총계 1,475.0 150.0 35,993.0-12.2-34,518.0 1 이탈리아 0.0 0.0 12,265.0 823.6-12,265.0 2 독일 0.0 0.0 8,220.0-29.3-8,220.0 3 프랑스 0.0-100.0 4,833.0 146.7-4,833.0 4 일본 614.0 0.0 3,606.0-23.1-2,992.0 5 스웨덴 668.0 0.0 1,557.0-20.1-889.0 6 네덜란드 0.0 0.0 1,372.0-19.6-1,372.0 7 핀란드 0.0 0.0 1,218.0 0.0-1,218.0 8 한국 0.0 0.0 634.0 25.5-634.0 (출처 : k-stat 러시아무역 통계 참조) - 34 -
반면 주요 수입국은 로봇분야에 강세를 보이고 있는 이탈리아(34.1%), 독일(22.8%), 프랑스 (13.4%), 일본(10%) 순으로 높은 수입량을 보였다. 한국은 1.76% 규모로 나타났다. 이탈리아는 유럽에서 독일 다음으로 러시아의 두 번째로 큰 무역 파트너로 이탈리아와 러 시아 사이의 경제 협력은 러시아 경제의 발전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러시아 기계 건축 분야 의 개발에 Finmeccanica 와 FIAT, 자동차 산업에 FIAT, 가전제품에 Ndesit, Candy e Merloni과 같은 첨단 기술 분야로 러시아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특히 이탈리아 Finmeccanica 는 통신, 철도 운송, 항공 우주, 항공기 등 러시아의 산업 현대화 프로젝트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있고 항공기 SUPERJET-100 의 생산에 협력 개발하고 있으며, FIAT 는 러시아에서 가장 큰 이탈리아 투자자로 2011년 러시아와 이탈리아의 발전 협약을 통해 2012년 러시아 자동차 산업에 FIAT 와 러시아스베르방크 와 미국 크라이슬러 브랜드 의 자동차를 생산하는 합작 회사를 설립하는 의향서를 체결하기도 하였다. 러시아 로봇시장은 주로 우주제어장비, 극단적 산업 환경, 군용 로봇 등 소련 시절부터 축 적된 특수 로봇 분야가 가장 발달해있으며 자동차 산업이 제조용 로봇의 주요 소비자층을 형성한다. 로봇화 비율(robot density : 노동자 1만명당 로봇의 개수)로 볼 때 전세계 평균은 60인데, 러시아는 10에 불과하여 매우 뒤떨어진 수준이다. 러시아가 에너지 자원 수출 의존에서 벗어 나 국민 소득 수준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러시아 경제규모와 그 성과, 그리고 자동화 기업이 불충분하다는 사실을 감안해 봤을 때 비용이 효율적이고 높은 생산성과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로봇 산업과 같은 자동화 기술의 도입이 필요하다. 러시아에는 로봇공학 분야에서 활동하는 연구 센터의 수는 많지만 이들이 로봇공학의 발 전에 미치는 영향력은 미비하다. 러시아 로봇기술 개발의 상업화에 있어 첨단 잠재력과 실제 적 성과 사이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로봇 기술 분야의 전문가 대부분은 B2C 시장에 상품을 대량 구현한 경험이 없다. 그래서 러시아 로봇공학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정책적인 지원 및 R&D 재정 지원 확대는 로봇 업계의 역동적인 발전에 있어 주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대부 분의 전문가들이 말한다. 생산업체들은 기업 현대화에 대한 발전 제도 및 국가 재단을 통한 직접적이고 장기적인 재정지원이 제조용 로봇 부문의 발달에 있어 주요 조건이 된다고 평가하고 있다. 8) 게다가, 러시아는 세계 로봇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소프트 인공지능 로봇을 통해 자신의 점유율을 넓혀나갈 역량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국가에서 체계적으로 지원할 경우 러시아는 세계 로봇 시장에서 자신의 로봇 제품의 비중을 현저히 늘려나갈 가능성을 보유하 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최근 수입대체산업 육성을 위한 자국산업 및 과학기술 육성정책 에 따라 제조업 집 중 육성을 추진하고 있고 기계설비, 플랜트 등 자본재에 대한 수입 수요가 점차 높아지고 있 는 상황으로 시장의 잠재력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8) PBK 보고서, 2014-35 -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러시아 산업계의 로봇화는 최근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유통 및 건설 분야에서 두드러지며, 광물 석탄 채굴 분야에서도 로봇의 도입이 증가하고 있 어 러시아 로봇시장 규모는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 9) 된다. 2) 제조용 로봇 시장 IFR 2012년 통계에 따르면, 러시아에서는 307개의 제조용 로봇이 판매되었고, 러시아 FANUC 영업 이사인 알렉산더 야스킨의 발표에 따르면, 2013년 약 350개의 제조용 로봇이 판매되었다. 러시아 로봇 시장 참여 기업들에 따르면, 러시아 제조용 로봇 시장의 약 50% 수요는 러시 아 최대의 국영 자동차 업체 Avtovaz 의 볼시스키 기계 제조 공장(LLC «Volzhskiy machine building plant»(vmz) 건설에 들어갔다고 한다. LLC VMZ은 Avtovaz 공정 장비, 공구 생산과 러시아 제조용 시리얼 로봇을 생산하는 제조업체로 승용차용 발전기, 스타터, 최첨단 기계 제작, 로봇 장비, 자동 라인, 특수 장비 및 도구 등을 제조하는 러시아의 선두 주자로 1984년부터 KUKA의 라이선스를 받아 제조용 로봇 PR601/60 대량 생산하고 있다. 이러한 Avtovaz 는 제조용 로봇의 주요 소비자로 가장 큰 고객인 샘이다. [그림 12] 자동 조립 장비 (출처 : LLC VMZ 홈페이지 http://vmztlt.ru/) 9) 출처 :주러시아 대사관, 러시아 경제 주간동향 - 36 -
그리고 자동차 부품의 산업 매니퓰레이터를 금속 및 장비 생산 관련 산업에 활용하여 로 봇에 대한 수요 증가하고 있고 용접, 절단, 코팅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식품 산업 분야에도 포장 및 고속 정렬에 활용되고 있다. 러시아의 제조용 로봇 시장은 현재까지 제조용 매니퓰레이터 등 시장의 형성이 투명하지 않아 정확한 수치를 얻을 수 없으나 2014년 11월 러시아 벤처 컴퍼니(Russin Venture Company, RVC, 러시아어 : ОАО «РВК») 10) 가 혁신 컨설팅센터 라르자 (러시아어 : Об ОО О «Ларза»)에 의뢰하여 작성한 자동화 시스템과 로봇 공학 시장에서 러시아의 혁신 잠재 력 전문가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러시아에서 제조용 로봇의 총매출액은 연간 30억 루블(약 4,800만 달러) 정도로 추정된다. KUKA Robotics RUS 독일 제조용 로봇 및 시스템 제조업체인 KUKA Roboter GmbH는 러시아 자동차 산 업의 제조용 로봇분야에 진출해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KUKA Robotics는 2007년 11월19일 모스크바에 지사를 설립하여 활발한 영업활동을 전개하여 2008년 6월 모스크바에 자회사 KUKA Robotics RUS 를 설립하는 등 그 사 세를 확장하였고 자회사 설립을 계기로 Avtovaz 자동차 제조사와 그 하청업체 그리 고 금속, 플라스틱, 식품가공 산업과 같은 일반 산업부문과 물류산업을 주 타깃으로 용 접, 벤딩 및 핸들링과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KUKA Robotics RUS 는 고품질 제품 및 유연한 지원 서비스 뿐 아니라 초현대식 KUKA 트레이닝 센터에서 트레이닝을 통해 기존의 시스템 파트너십을 유지하는데 그치 지 않고 새로운 파트너십 구축에도 힘쓰고 있으며, STANKIN 모스크바 국립대학교와 산학협력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KUKA Roboter GmbH의 폭발적 성장은 판매된 로봇 수의 증가뿐 아니라 그에 상응 하는 트레이닝 센터의 양적 및 질적 성장과도 무관하지 않다. 트레이닝 센터는 트레이 닝 수요를 충족시키고 KUKA 로봇에 대한 사용자 맞춤식 교육을 통한 확장 전략을 함 께 구사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이미 1979년부터 실시해오고 있다. 교육 수요 증가는 일반산업 부문의 약진으로 나타났고 교육을 통해 더 많은 시스템 파트너 및 통합업체가 KUKA 로봇의 성능을 확신하게 되었고 그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KUKA 전략의 핵심 요소는 자동차 제조사와 그 하청업체, 금속, 플라스틱, 식품가공 산업과 같은 일반 산업부문, 물류산업 및 항공산업 등을 주 타깃으로 용접, 벤딩 및 핸 들링 등과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솔루션을 제공하면서 엔지니어링, 고객 서비스 및 판매 전후 트레이닝에 집중하는 것이다. 10) 러시아 정부가 벤처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전액 출자해 만든 회사 - 37 -
3) 서비스용 로봇 시장 1 전문서비스용 로봇 자동화 시스템과 로봇 공학 시장에서 러시아의 혁신 잠재력 전문가 분석 보고서에 따르 면, 러시아 전문서비스용 로봇 시장은 제조용 로봇 시장보다 더 유망하다고 분석하고 있다. 에너지자원 중심 경제 구조의 영향으로 인프라, 물류, 광업, 군사, 의료, 교육 등 특수용 로봇 의 수요가 클 것으로 예상하였다. 현재 전문 서비스용 로봇의 세계 시장에서 가장 큰 부분은 무인 항공기를 포함한 군사 로봇으로 이 분야에 러시아의 경쟁력은 매우 크기 때문이다. 그 리고 광업은 국내 총생산 (GDP)의 10.9 %를 차지하고 수출 매출의 71.6 %를 차지하는 러시 아 경제의 핵심 분야 중 하나로 금속 광석과 석탄 광산은 가치 창출에 수요가 점차 증가하 여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분석했다. Neurobotics 업체에 따르면, 서비스용 로봇은 2015년~2016년에 내수 시장의 수요가 3만 개 가량 판매, 30억 루블에 달할 것이며 이중 약 4,000개는 개인서비스용 로봇으로 개인이 구입할 것으로 예측하고, 2025년 러시아 서비스용 로봇 시장은 세계의 2% 수준으로 도약하 여 1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기도 했다. 전문서비스용 로봇 중 인프라용 로봇은 파이프라인 검사 로봇, 원자로 진단 및 유지 보수, 파이프라인, 철도 및 도로 등 인프라 모니터링용 드론, 공공부문 청소 로봇 등에 수요가 있 을 전망이다. RBC 추정에 따르면, 2012년 러시아에서 물류시장은 3,82 5억 달러에 달하며 러시아 물류 시장은 현재 약 50,000개 업체가 있고 95%가 중소기업으로 러시아 영토를 통해 유럽에서 아 시아로 수송 통로의 개발될 가능성이 높아 러시아 운송 및 물류 서비스 시장의 2011년에서 2013년 사이의 평균 성장률이 19%를 기록했다. 향후 물류시장은 독립 저장 장치, 배송운반 장비, 로봇차량 등 전문서비스용 로봇으로 자동화가 유망한 분야로 분석된다. 의료 측면에서 러시아 정부는 2020년까지 국가 보건의료 설비 현대화를 진행하고 있고 예 산은 약 26조6천억 루블(4,400억 달러)로, 연방정부가 9.4%, 지방정부 41.3%, 의료보험기금이 49.2%를 부담하고 있어 의료 로봇 분야의 개발이 유망하다고 볼 수 있어 로봇 수술 시스템, 모니터링 치료 장비, 원격 의료 텔레프레즌스 장비, 외골격 재활 보조 로봇 등 의료 전문서 비스용 로봇 시장이 확대될 전망이다. 교육 측면에서 러시아 정부는 2014년 9월부터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크라스노다르, 첼랴빈스크 지역, 타타르 공화국 등의 학교에서 로봇 교육을 시작하여 교육용 로봇의 보급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그러나 현재 러시아에서 판매되는 서비스용 로봇의 대부분은 외국산이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러시아 개발자의 일부 성공 사례가 있다. RoboCV는 창고 장비 자동 조종 시스템을 생산 하여 2013년 삼성전자 러시아 공장에 납품하기 시작했고, Wicron은 텔레프레즌스 로봇을 제 조, 판매하고 있다. - 38 -
[그림 13] RoboCV의 X-Motion [그림 14] Wicron의 Webot 2 개인서비스용 로봇 '러시아 전략사업단(Agency For Strategic Initiatives : ASI)' 분석에 따르면, 2014년 개인서 비스용 로봇 시장은 1,000만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하기도 했다. 특히 연구 개발에 상대 적으로 적은 비용이 드는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장점으로 신제품의 출현과 소비자의 구매에 기여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러시아의 개인서비스용 로봇 생산업체들은 러시아에서 가전제품 제조에 드는 높은 비용 때문에 미국, 유럽 연합 (EU), 일본 등 대기업들과 가격 경쟁에 뛰어들기에 여의치 않으며 해외 시장에서 개인서비스용 로봇 판매 추진 경험의 부족 등의 한계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2014년 러시아 전자제품 시장 매출은 사상 최대 액수인 8,180억 루블을 기록하여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내수시장도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 39 -
2. 로봇 시장 정책동향 가. 러시아 정부 정책 방향 최근 러시아가 첨단기술 산업 발전에 박차를 가하면서 러시아 로봇산업에 대한 러시아 정 부의 지원이 증가되고 있다. 루블화 가치 하락으로 첨단산업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상승했고 첨단기술 산업 제품을 국 내에서 생산하는 것을 장려하는 것을 바탕으로 러시아 정부는 로봇 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전통 산업에 디지털 기술의 설계 및 생산을 반영한 로보틱스 기초 로 산업의 발전과 경쟁력을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우선 국방 분야에서 2013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러시아 국방부 이사회에서 군사 목적 로봇 시스템 설계 개발 프로그램을 승인하였다. 2013년 러시아 군사 로봇분야에 러시아 국방부 로봇 연구 시험 센터, 로봇 공학 연구실 등 두 조직이 설립되었다. 그리고 산업 및 서비스 로봇분야에서 로봇의 민간분야 사용에 대한 주제는 국내 산업, 과 학 기술의 발전에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었고 2014년 "Innoprom 2014"에서 메드베데프 총리 는 고정밀 가공 장비의 러시아 생산 확립, 컴퓨터 제어 시스템, 제조용 로봇, 그리고 3 차원 프린터 등 생산의 모든 단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지원하는 필요성 을 강조했 고 제조용 로봇에 대한 관할은 러시아 산업통상부가 맡게 되었고 2014년 러시아어 산업무역 부 주도로 첨단 소재, 로봇 공학, 생명 공학, 레이저 기술의 시장 등 신산업투자전략위원회가 설립되었다. 러시아 정부는 2012년 대통령령으로 전자 부품, 신소재, 로봇 공학, 정보 기술, 기술 시스 템 및 소프트웨어 디자인 등 산업분야에서 전문가 훈련을 실시하는 공학 인력 교육 촉진 조치 를 발표하고 교육과학기술부를 통해 러시아 대학의 우수기술센터 를 국가적으로 지원 해 로봇 시스템을 임대, 지원하고 지역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기술 사업화 및 특허 기술 이 전, R&D센터를 지원하고 있다. 그리고 러시아 벤처 기업(RVC), Skolkovo 기금, RUSNANO 기금, 러시아 과학 재단 기 금 등과 같은 개발 기관의 다양한 인프라 구축 및 다양한 활동 (전시회, 포럼, 콘테스트) 등 을 통해 기술혁신 국가 정책을 구현하고 있으며 대학 기술 이전 센터에서 기술 기업의 개발 을 지원하기 위한 인프라를 구축해 산업 단지로 만들고 로봇을 포함한 자동화 시스템 분야 의 전문 인프라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 40 -
나. 로봇 산업 발전의 장애요인 러시아 로봇 산업 발전의 장애요인이 여전히 존재한다. 첫째, 자동화 또는 로봇시스템의 구축비용과 생산비용보다 선진국에 비해 저렴한 노동력이 원인으로 업계에서는 판단하고 있다. 2012년 세계 시장에서 러시아의 첨단 기술 제품 비중은 독일 7.6 %, 미국 13.5 %에 비해 0.35%에 불과했다. 둘째, 발전을 방해하는 또 다른 요인은 높은 이자율이다. 2014년 러시아 연방 중앙은행의 통계에 따르면, 금리가 12.68%이하로 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고금리가 러시아 경제에서 로 봇을 비효율적으로 만들고 있고 가격 경쟁력에서 중국 등의 제품에 밀리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 러시아 업계 전체의 공통된 문제는 로봇 생산을 위한 품질 기준의 부재로, 특히 저 항성 케이블 및 베어링 액츄에이터, 기어 및 전자 부품 등은 해외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넷째, 러시아어 벤처 기업의 절대 다수는 서비스용 로봇분야에 집중되어있다. 산업 분야의 높은 장벽과 상용화 경험 부족이 로봇산업의 성장을 억제한다. 그러나 최근 러시아 정부의 로봇산업에 대한 관심이 깊어지고 있고 일관된 정책과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정부의 노력이 집중되고 있어 발전의 가능성을 내제하고 있다. 스콜코보 연구개발 단지(Skolkovo R&D Center) 11) 등 러시아의 5대 핵심 산업인 에너지 (효율화), IT, 원자력, 바이오 의료기술(장비 및 의약품), 우주항공 분야에서 우수 과학자를 유치하고, 산학공동연구를 진행하며 기술상용화기업 유치를 통한 기술연구개발을 하고 있다. 국가의 관점에서, 로봇 산업은 군과 기업을 넘어 사회 전체로 옮겨가고 있으며, 국가 첨단 산업에 투자 및 관련 법령을 재정비하고 있다. 다. 러시아 로봇산업 동향 1) 러시아 산업 자동화(로봇화) 빠른 속도로 증가 최근 주한러시아대사관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러시아 산업계의 로봇화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유통 및 건설 분야에서 두드러지며, 광물 석탄 채굴 분야에서도 로봇의 도입이 증가하고 있어 러시아 로봇시장 규모는 향후 년간 약 6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그러나 대사관의 보고 자료에 의하면 러시아 산업계의 로봇화가 진전되더라도 로봇의 자 체의 제작까지는 아직 요원하며, 당분간 러시아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로봇은 해외에서 수 11) 스콜코보(Skolkovo)는 모스크바에서 30km 외곽에 위치, 러시아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스콜코 보 연구개발 단지(Skolkovo R&D Center)로 첨단기술 육성과 연구개발을 하는 곳이다. - 41 -
입해야 할 것으로 전망했다. 군사 및 우주용 로봇 등 첨단 로봇 분야에서 선두인 러시아가 대부분의 로봇을 수입해야할 것으로 전망한 이유에 대한 답변은 러시아 정부의 로봇 정책이 군사용 및 우주용등 일부 첨단 분야에만 치우쳐 있음을 유추케 한다. 2) 러시아 수출입 정책 수입대체산업 육성, 제조업 육성 정책 2020년까지 러시아 산업의 평균 수입비중 40% 선으로 낮출 계획이다. 석유가스 산업에 편중된 경제구조 개선을 위해 수입을 대체할 수 있는 국내 제조업 육성 정책은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서방의 경제제재가 이어지면서 그 필요성을 더욱 절감하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수입대체산업 육성을 포함한 산업정책에 관한 연방법 (2015년 7월1일) 을 발효했으며, 러시아 산업통상부가 관련 정책을 입안중이다. 또한 수입대체산업 육성분야를 확정했다. 러시아 주요 산업 중 가장 수입 비중이 높은 분 야는 항공 및 기계제작 산업 등 첨단 분야이다. 러시아 대외무역 분석센터가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항공산업(비행기 제작 제외)이 92%로 가장 수입 비중이 컸으며, 기계제작산업(88.4%) 이 뒤를 이었다. 러시아 정부는 수입 비중 분석에 기초해 올해 초 18개의 수입대체산업 육성분야를 선정했 다. 그중에서도 수입비중이 44%이상인 자동차 산업부터 우선적으로 수입대체산업 육성이 필 요하다고 분류했다. ([그림 13] 러시아 주요 산업의 수입 비중 붉은색 부분) [그림 15] 러시아 주요 산업의 수입 비중 (단위 : %) (자료원 : 러시아 대외무역 분석센터) - 42 -
[표 17] 러시아 정부 선정 수입대체육성산업 분야 연번 산업분야 1 Heavy Mechanical Engineering 2 Energetics mechanical engineering 3 Oil and gas mechanical engineering 4 Machine-tool engineering 5 Metallurgy 6 Shipbuilding 7 Electronic industry 8 Aviation industry 9 Auto industry 10 Transport industry 11 Agro-mechanical engineering 12 Mechanical engineering for food and processing 13 Road construction and municipal, and air field ground technics 14 Pharmaceutics 15 Medical industry 16 Chemical industry 17 Wood industry 18 Textile industry (자료원 : 러시아 대외무역 분석센터) 러시아 정부는 수입대체산업 육성정책으로 특별투자협약, 세제혜택, 산업개발 펀드 등을 검토 중이다. 1 특별투자협약(Special Investment Contrasts) 수입대체산업 육성분야의 해외기업 유치를 위해 연방 지방정부와 특별투자협약을 체결할 경우 세제혜택, 부동산임대 등의 우대조건 등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투자기업은 생산시설 구축, 생산시설 현대화, 기술 도입 중 적어도 1개 이상을 러시 아 내에서 수행해야한다. 현재 러시아 산업통상부가 관련 매커니즘을 구체화하고 있으며, 올해 안으로 확정할 예정이다. 2 세제혜택 자본투자에 대한 소득세액 공제, 신규설립 제조기업에 대한 면세기간(Tax Holiday) 도입, 자본자산에 대한 가속상각 등이다. 3 산업개발펀드 프로그램 도입 - 43 -
펀드 조성을 통해 신규제조설비 도입 등에 금융지원을 할 예정이다. 대출이자는 연 5%로 현재 보통 은행의 대출이자에 비해 1/4 수준이다. 현재 200억 루블을 조성했으며, 약 500개 기업이 신청서를 제출하였다. 4 수입품의 공공조달 참여 제한 최근 해외생산품에 대해 정부조달 참여를 제한하는 품목을 다수 지정했다. 법령에 따르면 유라시아경제연합(러시아, 벨라루스, 아르메니아, 카자흐스탄)이 원산 지가 아닌 경우 정부조달에 참여할 수 없다. 5 제품 표준화 제품표준화를 통해 일정기준에 미달하는 수입품의 러시아 시장진입을 차단하고, 경 쟁력 있는 국내 생산품 개발을 유도할 계획이다. 6 수입관세 완성품에 대한 수입관세를 인상, 원자재 및 반제품에 대한 수입관세를 인하한다. 세이프 가드, 반덤핑관세, 상계관세 등 WTO에서 허용되는 국내시장 보호조치를 최 대한 활용한다. 이에 따라 러시아 정부조달 시장 진출 및 완성품 수출 어려워 질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 국내 제조업 육성을 위해 2014년부터 정부조달 참여 제한 품목을 확대하고 있어, 외국산 제 품의 러시아 정부조달시장 진출은 점점 어려워질 것이다. 현재로서는 고부가가치 제품 중 러시아 내에서 자체 생산이 가능한 품목이 많지 않으나, 완성품에 대한 수입관세 인상, 세이프가드 등 국내시장 보호조치 활용 확대 등으로 점차 러 시아의 완성품 수입 시장의 확대 속도는 줄어들 것이다. 육성예정인 수입대체산업의 산업 설비 및 관련 원자재 수출 등 적극 검토 필요하다. 러시아 정부는 산업개발펀드를 조성해 신규제조설비 구축에 저리로 자금을 지원할 계획으 로 향후 수입 대체산업의 산업설비 도입이 증가할 것이다. 또한 제품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 수입 관세는 인하할 계획을 산업 설비 및 원자재, 부품 수출 등을 적극 검토 할 필요가 있다. 12) 3) 로봇공학분야의 유망프로젝트 지원 정책 - 로봇실험실, 국제로봇공학 생산센터 설립 등 12) 출처 : KOTRA 해외 비즈니스 정보포털<러시아 수입대체산업 육성정책과 우리 기업의 활용방안> (https://wwww.globalwindow.org/gw/overmarket/gwomal020m.html?bbs_id=10&menu_cd=m 10012&UPPER_MENU_CD=M10002&MENU_STEP=2&ARTICLE_ID=5027222) - 44 -
러시아 정부 군산업위원회 산하 러시아 로봇 실험실이 설립되었다. 그리고 러시아 국립기 술대학 MIS&S"에 설치되었다. 센터 설립 목적은 인공지능시스템 개발에서부터 새 세대 로 봇의 다양한 부품 재조를 위한 고급 금속화합물 및 합금 제작까지 한 플랫폼에서 로봇공학 분야의 주요역량들을 결합시키는데 있으며, 러시아 로봇공학분야의 유망프로젝트를 지원하는 것이다. 센터의 업무에는 생체공학, 인지 테크놀로지, 생체인식, 나노로봇공학 등 새로운 로 봇공학의 유망분야들이 포함된다. Kamaz, Cognitive Technologies 그룹 및 MIS&S 가 진행 하고 있는 무인자동차 제작은 센터의 핵심 프로젝트들 중 하나가 될 것이다. 톰스크국립대학교 로봇기술장비센터는 복잡한 제어, 다차원 정보처리, 주요 시설 보호 및 기타 목적의 새로운 로봇 기술 장비 복합체가 생성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교차지역을 분 석하고 장애물을 피하는 기술 등 가장 합당한 이동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지능적 운송수단 을 개발하고 있다. 이외에도 인공두뇌를 기초로 한 지능적 제어 시스템 연구가 진행 중이다. 4) 해외기술 도입 및 교류 추진 1 한러 기술협력 추진 - 러시아 벤처 컴퍼니와 한국 기술벤처 재단 MOU 체결 2015년 6월 1일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러시아 한국 비즈니스 위크> 행사에서 기업 혁신 개발 상호 지원 및 대학교들과의 기술 협력 협조를 골자로 하는 기술 혁신 분야 정보 교환 및 협력 MOU를 체결했다. 이번 MOU 체결은 1년간의 양측의 상호협력의 결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 협약이 러시아 및 동남아시아 시장으로 공동 진출하는 분야에서 양국 간 협력 강 화의 도구 중의 하나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MOU 체결은 양국 기술 동향에 대한 정보 교 환, 혁신 관리의 첨단 경험 교환, 공동 세미나, 전시회 개최, 중소기술기업 지원, 교육자, 연 구원, 기술 인력 및 전문가 교환 등의 분야에서 양자 간 협력을 규정하고 있다. 협력 유망 분야로는 의료 및 바이오 기술,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로봇공학, LED 등이 있다. 2 포드,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폴리테크닉 대학교 텔레매틱스 학과와 파트너십 체결 포드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폴리테크닉대학교 텔레매틱스학과와 함께 3년간 연구 파 트너십을 통해 우주 공간에서 작업하는 스페이스 로봇과 지구 간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대 해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포드의 커넥티드카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의 리더십을 이어가기 위한 일환이며, 교통 문제 해소와 긴급상황시 차량간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이번 연구의 대상 로봇은 저스틴 휴머노이드(JUSTIN Humanoid), 유로봇 그라운드 프로토 타입(EUROBOT Ground Prototype) 그리고 NASA 로보너트 R2(Robonaut R2) 등이다. 포드는 우주 기반 로봇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대한 분석으로 향후 모빌리티 솔루션을 위한 자동차 그물망 네트워크(Vehicle Mesh Network) 개발뿐만 아니라, 차량, 건물, 신호등, 클라우드 시스템과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효과적인 교통 정체 감소 및 사고 예방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5) 로봇 기술 개발 및 상용화 추진 -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