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345FC0AFC0BABFB52DC0CFB0B320BBF3B1DEC1BEC7D5BAB4BFF820C0C7BBE7B5E92E687770>

Similar documents


歯1.PD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서론 34 2

ISSN 제 3 호 치안정책연구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 제29권제3호 ) 치안정책연구소 POLICE SCIENCE INSTITUT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BFCFBCBA30362DC0B1BFECC3B62E687770>

1..

ÀÌÁÖÈñ.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P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An Exploratory Stud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 A basic researc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278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012임수진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33365FC3D6C0BAC8F12DBCF6BCFABDC720B0A3C8A3BBE7C0C728C0FAC0DABEE0B7C2C8AEC0CE29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IPA * Analysis of Perc

04_이근원_21~27.hwp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특수교육논총 * ,,,,..,..,, 76.7%.,,,.,,.. * 1.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NCS) Method of Con

서론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NCS : G * The Analy

03-ÀÌÁ¦Çö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03이경미(237~248)ok

03-서연옥.hwp

6±èÁ¤Àº( ).hwp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NCS : * A Study on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Lumbar spine

다문화 가정의 부모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31362DB1E8C7FDBFF82DC0FABFB9BBEA20B5B6B8B3BFB5C8ADC0C720B1B8C0FC20B8B6C4C9C6C3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歯14.양돈규.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 The Effect of Paren

<35BFCFBCBA2E687770>

hwp

. 45 1,258 ( 601, 657; 1,111, 147). Cronbach α=.67.95, 95.1%, Kappa.95.,,,,,,.,...,.,,,,.,,,,,..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The Mediating Eff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Awareness, Supports

433대지05박창용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LiD) - - * Way to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1-16 DOI: * A Study on Good School


레이아웃 1

DBPIA-NURIMEDIA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view of Research


09È«¼®¿µ 5~152s

<353420B1C7B9CCB6F52DC1F5B0ADC7F6BDC7C0BB20C0CCBFEBC7D120BEC6B5BFB1B3C0B0C7C1B7CEB1D7B7A5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A Study on the Opti

DBPIA-NURIMEDIA

Rheu-suppl hwp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32342D3320B0A3C8A3C7E0C1A420B3EDB9AE2DC3D6C1BE2E687770>

<313120B9DABFB5B1B82E687770>

DBPIA-NURIMEDIA

50-5대지05장후은.indd

:,,.,. 456, 253 ( 89, 164 ), 203 ( 44, 159 ). Cronbach α= ,.,,..,,,.,. :,, ( )

DBPIA-NURIMEDIA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Nov.; 26(11),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C7D1B1B9B1A4B0EDC8ABBAB8C7D0BAB85F31302D31C8A35F32C2F75F E687770>

서론 34 2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1, pp.1-19 DOI: *,..,,,.,.,,,,.,,,,, (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도비라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Suggestions of Ways

hwp

일종합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 지도교수김기경 이논문을석사학위논문으로제출함 2014 년 6 월일 연세대학교대학원 간호학과 김영희

44-4대지.07이영희532~

<28BCF6BDC D B0E6B1E2B5B520C1F6BFAABAB020BFA9BCBAC0CFC0DAB8AE20C1A4C3A520C3DFC1F8C0FCB7AB5FC3D6C1BE E E687770>

<B1B3B9DFBFF83330B1C7C1A631C8A35FC6EDC1FDBABB5FC7D5BABB362E687770>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 ( 황수경 ) ꌙ 127 노동정책연구 제 4 권제 2 호 pp.127~148 c 한국노동연구원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황수경 *, (disabi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A Study on Organizi

., (, 2000;, 1993;,,, 1994), () 65, 4 51, (,, ). 33, 4 30, 23 3 (, ) () () 25, (),,,, (,,, 2015b). 1 5,

untitled

γ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Meta Analysis : T

Transcrip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6 pp. 2607-2616, 2012 http://dx.doi.org/10.5762/kais.2012.13.6.2607 일개상급종합병원의사들의환자안전문화에대한인식분석 유은영 1*, 정상진 1 1 광주보건대학교보건행정과 Analysis of doctors' cognition of patient safety at general hospitals Eun-Yeong Yu 1* and Sang-Jin Jung 1 1 Department of Health Administration, Gwangju Health College University 요약본연구에서는의료기관의환자안전문화를이해하고, 의사들의환자안전문화에대한인식분석을위한기초자료로활용하고자시도하였다. G시에소재한상급종합병원의사를대상으로 2011년 8월 1일부터 9월 5일까지설문조사하여 194부를최종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첫째, 대상자와병동및병원안전문화간의관계는직원배치가성별, 연령별, 병원근무년수, 환자접촉여부, 1주근무시간에따라인식의차이가있으며, 조직학습과병동내팀워크는 1주근무시간에따라, 병동안전문화모든하부영역은진료과별로유의하게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와의료사고보고체계, 환자안전도평가및전반적의식수준과의관계에서는사고에대한피드백과의사소통, 사고빈도보고, 전반적안전의식이진료과별로유의하였으며, 전반적안전의식은환자접촉과 1주근무시간에따라유의한결과를나타냈다. 셋째, 병동및병원안전문화인식하부영역과전반적인식, 환자안전도평가는모두정의상관관계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의료사고보고체계와는직속상관 / 관리자의태도와병원경영진의태도를제외한모든영역에서정의상관관계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넷째, 환자안전도영향을미치는환자안전문화하부영역은조직학습, 의사소통의개방성, 전반적안전인식, 부서간의협조체계, 피드백과의사소통, 비처벌적대응에서유의한결과를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의사들의병동및병원환자안전문화수준을높이고의료사고보고체계를충실하게하기위해서는적절한직원배치와근무시간을바탕으로병동내조직적학습을통한팀워크을활성화시키고, 부서간팀원간의개방적의사소통과사고에대한피드백을제공하여환자안전에대한병원경영진의적극적인지원과진료과별협조체계구축이필요하다.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gure out patient safety culture of medical institutions and try to utilize the study results as basic data for analyzing doctor's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To this en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1st to September 5th, 2011, targeting doctors working at senior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G city, and 194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for final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awareness of deployment of staffs depending on gender, age, term of service in the hospital, contact with patients and working hours per week in relationship between subjects, wards and hospital safety culture, and organizational learning and teamwork in the ward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in accordance with working hours per week, and all sub-areas of the ward safety culture by departments. Second, feedback about the malpractice, communication, report on malpractice frequency and overall safety awarenes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by departments in relationship of subjects, medical incident reporting system, patient safety evaluation and overall level of consciousness, and the overall safety awareness showed significant results according to contact with patients and working hours per week. Third, there was a positive corelation in sub-areas of the ward and hospital safety culture awareness, overall recognition and patient safety evaluation, and a positive corelation with medical incident reporting system was found in all areas except for attitude of managers/immediate supervisors and that of hospital executives. Fourth, sub-areas of patient safety culture which has a effect on patient safety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organizational learning, openness of communication, overall safety awareness, systematic cooperation between departments, feedback/communication and non-punitive response. In conclusion, to increase the level of the ward and hospital patient safety culture of doctors and implement medical incident reporting system faithfully,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eamwork through organizational learning in the ward based on the adequate staffing and working hours, promote open communication between departments and provide feedback on medical malpractice, thereby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by departments and active support of hospital executives for patient safet. Key Words : Patient safety, Medical accident, Organizational culture, Doctors Cognition * Corresponding Author : Eun-Yeong Yu Tel: +82-10-8607-6914 email: yuy368@ghc.ac.kr 접수일 12 년 05 월 23 일수정일 12 년 06 월 04 일게재확정일 12 년 06 월 07 일 260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3 권제 6 호, 2012 1. 서론 소비자들의권리의식향상에따라의료기관을이용하는모든환자와가족들은환자가외래진료를받거나입원해있는동안안전한환경에서치료를받기기대하며 [1], 환자가안전한처치를받는것은환자의기본적권리라할수있다 [2]. 환자안전은의료의질의중요한요소로서지속적인질향상을위한안전문화확립의중요성에대한인식이증가하고있다 [3]. 21세기의료기관은병상규모에상관없이모든직원의안전이보장된상황아래서모든환자들에게항상안전한의료를전달할수있는환경을만들어야할의무가있다 [4]. 의료기관내에서의안전문화는의료서비스제공과정에서발생할수있는환자의피해를최소화하기위한공동의믿음, 가치, 그리고지속적인탐구를바탕으로한통합된개인적행동과조직적행동 [5] 을말하는것으로환자안전의증진은의료전달체계가안전문화를채택할때만이성공적으로성취될수있다 [6]. 의료서비스제공과정에안전문화가구축되면, 보고증가와조직학습을통해심각한안전사고가줄어들고, 이로인해신체적 정신적으로고통받는환자와안전사고로죄책감이나스트레스등에시달리는직원이줄어든다. 또한안전사고로발생되는추가치료비용이나불만, 보상관리에필요한자원을감소시킬수있으며이로써노동일수손실이나장애로인한사회적손실을줄일수있다 [7]. 환자안전문화의조성은위해사건감소를위한다양한노력중하나로이는기술적인해결책의한계점을인정하는데서부터시작된다. 즉환자안전을강조하는리더쉽, 조직내협조체계, 의료과오에대한의사소통의개방성등안전에대한조직문화의개선이결여된채로각종최신과학기술, 의료장비와컴퓨터와소프트웨어등첨단정보기술체계의조성만으로는예방가능한위해사건을감소시킬수없다 [8,9]. 의료서비스가전문화, 대형화, 분업화됨에따라의료인간의의사소통이원활하지못하게되고, 의료관계자들의책임의식및안전의식등이저하되면서병원내안전관리관련의료사고가빈번하게발생하고있다. 환자안전문화에대한연구가시작되기이전까지국내환자안전관련연구는욕창, 낙상, 투약오류, 그리고주사침, 자상사고등병원에서발생할수있는현상들에초점을맞춘사례가위주였다 [10]. 2004년부터시행된의료기관평가를통해환자의안전사고를예방하고관리하기위한활동에대한평가가이루어지면서환자안전에관심을가지기시작하였고, 국민들의권리의식향상과양질의의료서비스요구에따라의료과오감소에대한관심은서서히증가하고있다 [11]. 2010년부터실시된의료기관인증제의인정기준은환자안전, 진료의연속 성, 환자평가및진료체계, 리더쉽및조직, 경영관리로이러한항목이병원급의료기관에서적용될수있도록개발되어있으며 [12] 2012년 6월까지 102개의료기관에서인증을받았다. 국제의료기관평가기관인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JCI) 은환자진료와직접적으로관련된부분은물론이를지원하는체계까지포함하여환자에게진료서비스를제공하는모든과정을평가한다. 환자안전향상을가장최우선과제로여기며, 모든평가의방향을환자안전의향상에초점을맞추고있으며 [13] 우리나라에서는 2012년 6월까지 12개의료기관이 JCI 인증을받았다. 최근에는의료의질을높이기위해안전사고예방과환자안전문화구축이필수적인요소임을인식하고, 안전문화기술을위해안전풍토를측정하는연구가많이진행되었다. AHRQ의 HSOPSC를이용하여일개병원의료종사자의안전문화에관한인식연구가진행되고있으며, 간호사의환자안전문화를다룬국내연구 [10,14,15,16] 가최근들어증가하고있다. 강민아등 [11] 은의사를대상으로환자안전문화와의료사고보고에대한인식을조사하였고, 김영남 [17] 은환자안전문화를정착하고환자안전활동을강화하기위한부서의환경및의사소통과업무절차의용의성을조사한바있다. 본연구에서는의료기관의환자안전문화를이해하기위한기초연구로서의사들의환자안전문화에대한인식분석을위한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한다. 첫째, 대상자의병동및병원안전문화인식현황을파악한다. 둘째, 대상자의의료사고보고체계와환자안전도의식수준을파악한다. 셋째, 전반적인안전의식과환자안전도수준및의료사고보고체계와의관계를파악한다. 넷째, 환자안전문화하부영역이환자안전도미치는요인을파악한다. 2. 연구대상및분석방법 2.1 연구대상및자료수집 본연구대상은국내상급종합병원에근무하는의사를대상으로자기기입식설문조사를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11년 8월 1일부터 9월 5일까지이루어졌으며, 설문지는 220부배포하여 202부를회수하여 91.8% 회수율을보였으며, 이중응답이불완전한설문지는제외한 194부가최종분석대상으로전체대상자의 88.1% 에해당하였다. 2.2 연구도구본연구의도구는미국정부출연기관으로의료질향상에관한연구를총괄하는 AHRQ(Agency for Healthcare 2608

일개상급종합병원의사들의환자안전문화에대한인식분석 Research and Quality)[3] 서환자안전에관한병원의조직과문화에대한의료인들의인식을조사하기위해개발한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를김정은등 [14] 이번안하여사용한 69문항중제구성한 43문항을사용하였다. AHRQ에서는이도구를특별한허가절차를거치치않고사용할수있도록공개하고있다. 연구도구구성은병동안전문화, 병원안전문화, 의료사고보고체계등크게 3영역으로구성되었다. 첫번째병동안전문화인식영역은다시조직학습 3문항, 병동내팀워크 4문항, 직원배치 4문항, 의사소통개방성 3문항, 직속상관의태도 4문항, 총 18개문항으로이루어져있다. 두번째, 병원안전문화영역은병원경영진의태도 3문항, 부서간협조체계 4문항, 부서간환자전송 4문항으로총 11개문항으로이루어져있다. 세번째의료사고보고체계인식은의료사고에대한비처벌적대응 3문항, 의료사고에대한피드백과의사소통 3문항, 의료사고보고빈도 3문항으로총 9개문항으로이루어져있다. 여기에안전에대한전반적인식 4문항, 환자안전도인식수준평가 1문항이포함되어 43문항으로구성되어있다. 각문항에대하여 전혀그렇지않다 1점부터 매우그렇다 5점까지 5점 Likert 척도로측정하였으며, 부정적인문항은의미의일관성을기하기위해역코딩하여분석하였다. 점수가높을수록환자안전문화에대한인식이긍정적임을의미한다. AHRQ[3] 에서도구개발당시영역별신뢰도는 Cronbach α는.63.84 이었고, 수술실간호사를대상으로한주정현 [18] 의연구에서는전체문항에대해 Cronbach α는.90이였고, 병동간호사를대상으로한김윤이 [1] 의연구에서 Cronbach α는병동안전문화.76, 병원안전문화.76, 안전의식수준및사고보고.70이였다. 본연구에서는병동안전문화.85, 병원안전문화.85, 의료사고보고체계인식.74였다. 2.3 분석방법본연구는 JCI 평가항목중국제적수준의환자안전목표와환자중심기준은병동안전문화와의료사고보고체계인식과관련있으며, 병원관리기준은병원안전문화와전반적인식과관련있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2.0 프로그램을이용하여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구하였다. 대상자의일반적특성에따른병동안전문화인식, 병원안전문화인식및의료사고보고체계인식의차이에대한유의성검증은 t-검정또는 ANOVA로분석하였다. 병동및병원안전문화인식하부영역들과안전에대한전반적인인식, 환자안전도평가및의료사고보고충실성과의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분석하였다. 환자안전문화하부영역이환자안전도에미치는요 인은다중회귀분석을하였다. 측정도구의내적일관성신뢰도를확인하기위하여 Cronbach's alpha 값을산출하였다. 2.4 연구의제한점 본연구는국내 1개상급종합병원 1개소에근무하는의사를대상으로하였으므로연구결과를모든상급종합병원의사로일반화시킬수없다. 3.1 일반적특성 3. 연구결과 조사대상의사들의성별분포는남자 84.5%, 여자 15.5% 로남자의비율이높고, 연령별은 31-35세 33.0%, 30세미만 29.4%, 41세이상 23.2%, 36-40세 14.4% 로나타났다. 직위에따른분포는전공의 56.7%, 전문의 43.3% 이다. 진료과별분포는내과계 26.8%, 외과계, 34.0%, 그외기타진료과 39.2% 이다. 환자와의접촉여부는접촉 90.2%, 비접촉 9.8% 로나타났다. 병원근무분포는 1-5년 59.8%, 11년이상 22.7%, 6-10년 11.35, 1년미만 6.2% 로나타났다. 1주근무시간은 60시간미만 45.4%, 60-100 시간 33.0%, 100시간이상 21.6% 로나타났다 [ 표 1]. 3.2 대상자의환자안전문화인식수준 연구대상자의병동안전문화인식은조직학습이 3.30 점, 병동내팀워크 3.74점, 직원배치 2.69, 의사소통의개방성 3.13점, 직속상관 / 관리자태도 3.46점으로직원배치가가장부정적인식을하는것으로나타났다. 병동안전문화인식은병원경영진의태도 3.02점, 부서간협조체계 3.11점, 부서간환자전송 2.88점으로나타났다. [ 표 1] 일반적특성 [Table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특성 변수 빈도 백분율 성별 여성 30 15.5 남성 164 84.5 연령 30세미만 57 29.4 31~35세 64 33.0 36~40세 28 14.4 41세이상 45 23.2 직위 전공의 110 56.7 전문의 84 43.3 진료과 내과계 52 26.8 외과계 66 34.0 기타진료과 76 39.2 (N=194) 260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3 권제 6 호, 2012 환자접촉 접촉 175 90.2 비접촉 19 9.8 병원근무 1년미만 12 6.2 1~5년 116 59.8 6~10년 22 11.3 11년이상 44 22.7 1주 60시간미만 88 45.4 근무시간 60~100시간미만 64 33.0 100시간이상 42 21.6 [ 표 2] 환자안전문화인식 [Table 2] Degree of patient safety culture awareness 특성 변수 평균 표준편차 병동 조직학습 3.30.655 안전문화 병동내팀워크 3.74.632 인식 직원배치 2.69.623 의사소통개방성 3.13.693 직속상관 / 관리자태도 3.46.638 병원 병원경영진의태도 3.02.637 안전문화 부서간협조체계 3.11.587 인식 부서간환자전송 2.88.688 의료사고 비처벌적대응 2.91.583 보고체계 피드백과의사소통 3.34.708 사고빈도보고 3.19.794 전반평가 전반적안전의식 3.41.588 환자안전도평가 3.41.738 3.3 대상자의병동및병원안전문화 조사대상의사들의병동및병원안전문화에대한인식은다음과같다 [ 표 3]. 병동안전문화인식평균은 3.28 점으로나타났다. 성별은조직학습, 병동내팀워크, 의사소통개방성은남성이여성보다높게나타났으나유의하지않았다. 직원배치는여성이남성보다높게나타났으며유의한결과를보이고있다 (p<.05). 직속상관 / 관리자태도와병원안전문화하부영역모두에서도여성이남성보다긍정적인식을하는것으로나타났으나유의하지않았다. 연령별은조직학습에서 30세미만이, 병동내팀워크, 의사소통개방성, 직속상관 / 관리자태도는 36-40세가가장높게나타났으나유의하지않았다. 직원배치는 41세이상이가장높게나타났으며, 그다음이 31-35세, 30세미만, 36-40세순으로나타났으며유의한것으로나타났다 (p<.05). 병원안전문화 3개하부영역모두에서 30세미만이가장높게, 41세이상이가장낮게나타났으나유의하지않았다. 직위는직원배치, 직속상관 / 관리자태도가전공의에서높게나타났으며, 조직학습, 병동내팀워크, 의사소통의개방성에서는전문의에서높게나타났으나유의하지않았다. 병원안전문화인식 3개하부영역모두에서전공의가 전문의보다높게나타났으나, 유의하지않은것으로나타의료사고보고체계는비처벌적대응 2.91점, 피드백과났다. 진료과에서는조직학습, 직속상관 / 관리자태도에서의사소통 3.34점, 사고빈도보고 3.19점으로나타났다. 전기타진료과가가장높게나타났으며그다음이내과계, 반적평가에서는전반적안전의식 3.41점, 환자안전도평외과계순이며유의한결과를보이고있다 (p<.05). 직원가 3.41으로나타났다 [ 표 2]. 배치는내과계에서가장높게나타났으며, 기타과외과계 [ 표 3] 병동및병원환자안전문화 [Table 3] The Correlation between patient safety culture in ward and patient safety culture with hospital 병동안전문화 병원안전문화 특성 변수 조직학습 t or F 병동내팀워크 t or F 직원배치 t or F 의사소통개방성 t or F 직속상관 / 관리자태도 t or F 병원경영진태도 t or F 부서간협조체계 t or F 부서간환자전송 t or F 성별 여성 3.28±.629 3.73±.639 2.96±.563 3.08±.747 3.50±.622 3.15±.500 3.19±.635 2.95±.723 -.143 -.131 2.814* -.406.307 1.425.731 남성 3.30±.666 3.75±.632 2.64±.622 3.14±.685 3.46±.642 3.00±.657 3.10±.579 2.87±.684.505 30세미만 3.44±.743 3.78±.694 2.68±.545 3.18±.734 3.52±.645 3.07±.686 3.25±.568 2.99±.718 연령 31~35세 3.15±.614 3.64±.703 2.78±.631 3.06±.713 3.37±.685 3.03±.641 3.03±.625 2.84±.667 2.321 1.043 3.937*.424.905.155 1.967 36~40세 3.40±.643 3.88±.497 2.34±.717 3.21±.642 3.58±.569 3.01±.625 3.15±.562 2.88±.762.633 41세이상 3.28±.563 3.75±.500 2.79±.579 3.13±.652 3.45±.598 2.98±.590 3.02±.549 2.82±.640 직위전공의 3.29±.675 3.72±.682 2.73±.607 3.11±.713 3.47±.642 3.05±.661 3.14±.577 2.93±.680.103.461 1.198.232.150.400.504 전문의 3.32±.630 3.78±.562 2.63±.642 3.16±.669 3.46±.635 2.99±.606 3.08±.602 2.83±.699.973 진료 내과계 3.28±.709 3.68±.634 3.79±.518 2.97±.783 3.53±.690 3.17±.745 3.15±.689 2.94±.748 외과계 3.12±.550 5.529* 3.59±.543 5.643* 2.44±.645 8.738*** 3.08±.582 3.769* 3.28±.531 4.352* 2.89±.579 2.902 2.95±.521 3.872 2.72±.605 2.877 과 기타과 3.47±.662 3.92±.664 2.84±.609 2.92±.691 3.57±.658 3.04±.588 3.22±.542 2.99±.698 환자 접촉 3.28±.673 3.73±.645 2.66±.622 3.11±.696 3.43±.648 3.05±.656 3.09±.595 2.85±.694 접촉 비접촉 3.50±.406 2.067 3.89±.481 1.145 3.01±.543 5.591* 3.38±.631 2.691 3.77±.440 5.025* 3.15±.406.858 3.30±.482 2.168 3.19±.562 4.286* 1년미만 3.33±.866 3.60±.749 2.33±.633 3.33±.953 3.41±.841 3.11±.769 3.31±.708 3.08±.955 병원 1~5년 3.29±.634 3.72±.637 2.76±.599 3.10±.671 3.48±.614 3.03±.629 3.12±.562 2.92±.660 1.112 2.005 5.292*.578.092.143.649 근무 6~10년 3.51±.801 4.04±.670 2.31±.655 3.24±.743 3.44±.755 3.04±.669 3.05±.727 2.54±.878 2.316 11년이상 3.20±.576 3.69±.538 2.80±.577 3.12±.655 3.44±.582 2.98±.622 3.06±.547 2.90±.528 60시간미만 3.47±.620 3.86±.518 2.81±.656 3.24±.632 3.55±.615 3.18±.612 3.21±.531 2.95±.670 1주 60~100시간 근무 3.15±.653 5.915* 3.68±.730 3.356* 2.55±.657 3.235* 3.07±.766 1.866 2.86±.678 1.736 2.86±.678 5.032* 2.99±.682 2.886 2.82±.719 1.00 미만 시간 100시간이상 3.16±.655 3.58±.652 2.66±.652 3.02±.684 2.95±.558 2.95±.558 3.08±.511 2.82±.679 *p<.05, **p<.01, ***p<.001 2610

일개상급종합병원의사들의환자안전문화에대한인식분석 순으로유의한결과를보이고있다 (p<.000). 의사소통의개방성은외과계에서가장높았으며, 내과계기타과순으로유의한결과를보이고있다 (p<.05). 병원경영진의태도에서는내과계에서높게나타났으며, 부서간협조체계, 부서간환자전송은기타과에서높게나타났으며, 외과계는병원의환자안전문화인식모두에서가장낮게나타났으나유의하지않았다. 환자접촉은비접촉이접촉보다높았으며조직학습, 병동내팀워크, 의사소통개방성에서는유의하지않았으나, 직원배치, 직속상관 / 관리자태도에는유의하였다 (p<.05). 비접촉이병원안전문화인식모두에서높게나타났으나유의하지않았다. 병원근무에따라서는직원배치에서 11년이상이가장높았으며, 1-5년이그다음이고, 1년미만, 6-10년순으로나타났으며유의한결과를보이고있다 (p<.05). 그외의조직학습과병동내팀워크은 6-10년에서, 의사소통의개방성은 1년미만에서, 직속상관 / 관리자태도는 1-5년에서높게나타났으나유의하지않은것으로나타났다. 1년미만이병원안전문화인식 3개하부영역에서가장높게나타났으나, 유의하지않았다. 1 주근무시간은조직학습, 직원배치에서는 60시간미만, 60-100시간, 100시간이상순으로나타났으며유의 한결과를보이고있다 (p<.05). 그러나의사소통개방성은 60시간미만에서직속상관 / 관리자태도는 100시간이상에서높게나타났으나유의하지않았다. 병원경영진의태도는 60시간미만이가장높게나타나유의하였으며 (p<.05), 부서간협조체계, 부서간환자전송은유의하지않은것으로나타났다. 3.4 대상자의의료사고보고체계및안전도의식수준조사대상의사들의의료사고보고체계인식은다음과같다 [ 표 4]. 성별에따른의료사고보고체계는사고에대한비처벌적대응은남성, 사고에대한피드백과의사소통, 사고빈도보고, 환자안전도평가에서는여성이높게나타났으며유의한결과를보이지않았다. 전반적안전의식은성별로같은점수분포로유의하지않았다. 연령은사고에대한비처벌적대응은 31-35세에서높게나타났으며, 사고에대한피드백과의사소통, 사고빈도보고는 30세미만에서높게나타났으며, 환자안전도평가는 41 세이상에서전반적안전의식인 30세미만에서높게나타났으나유의하지않았다. 직위는사고에대한비처벌적대응은전문의에서, 사고에대한피드백과의사소통, 사고빈도보고, 환자안전 [ 표 4] 의료사고보고체계및안전도의식수준 [Table 4] Medical accident report systems and patient safety level evaluation 의료사고보고체계 안전도의식수준 사고에대한사고에대한특성변수피드백과비처벌적대응 t or F t or F 사고빈도보고환자안전전반적 t or F 도평가 t or F 안전의식의사소통 성별 여성 2.72±.661 3.47±.578 3.32±.708 3.46±.730 3.41±.606-1.750 1.356 1.024.396 남성 2.94±.563 3.31±.728 3.17±.809 3.40±.741 3.41±.586 30세미만 2.85±.681 3.40±.681 3.33±.762 3.43±.707 3.44±.580 연령 31~35세 2.96±.562 3.32±.750 3.05±.883 3.42±.812 3.38±.676.355.346 1.509.078 36~40세 2.90±.487 3.34±.728 3.13±.808 3.35±.731 3.42±.560 41세이상 2.90±.544 3.26±.683 3.26±.668 3.42±.690 3.40±.486 직위 전공의 2.88±.613 3.38±.699 3.22±.805 3.44±.711 3.42±.596.695.876.353.602 전문의 2.95±.543 3.28±.720 3.15±.783 3.38±.774 3.40±.579 내과계 2.80±.640 3.25±.721 3.07±.763 3.42±.636 3.42±.661 진료과 외과계 2.93±.570 1.355 3.17±.649 5.357* 3.06±.746 4.156* 3.27±.691 2.340 3.23±.500 기타과 2.96±.550 3.53±.709 3.39±.823 3.53±.823 3.55±.571 환자접촉 2.89±.576 3.32±.717 3.18±.799 3.40±.751 3.37±.595 1.910.405.337 -.675 접촉비접촉 3.08±.636 3.43±.629 3.29±.760 3.52±.611 3.78±.346 1년미만 2.86±.626 3.52±.744 3.33±1.23 3.25±.753 3.33±.807 본병원 1~5년 2.91±.596 3.35±.681 3.22±.743 3.48±.716 3.43±.564.192 1.118.312.909 근무 6~10년 2.98±.539 3.43±1.01 3.10±1.12 3.40±1.18 3.30±.702 11년이상 2.87±.575 3.18±.572 3.14±.581 3.29±.461 3.42±..530 1주 60시간미만 2.96±.501 3.43±.643 3.23±.781 3.46±.757 3.55±.499 근무 60~100시간미만 2.88±.664.632 3.33±.740 2.26 6 3.07±.819 1.348 3.35±.804.391 3.21±.674 시간 100시간이상 2.84±.610 3.15±.765 3.31±.775 3.40±.586 3.41±.543 *p<.05, **p<.01, ***p<.001 t or F.030.099.060 5.503* 8.957*.390 6.471* 26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3 권제 6 호, 2012 도평가, 전반적안전의식은전공의에서높게나타났으며유의하지않았다. 진료과는기타과가의료과오보고체계모두에서높게나타났으며, 사고에대한피드백과의사소통및사고빈도보고, 전반적안전의식에서유의한결과를보이고있다 (p<.05). 그외의사고에대한비처벌적대응과환자안전도평가에서는유의하지않은것으로나타났다. 환자접촉은비접촉이의료사고보고체계하위영역과환자안전도평가모두에서높게나타났으나유의하지않았다. 전반적안전의식에서는비접촉이긍정적인식으로유의한결과를보이고있다 (p<.05). 병원근무는사고에대한비처벌적대응은 6-10년이가장높았으며, 사고에대한피드백과의사소통, 사고빈도보고는 1년미만이, 환자안전도평가와전반적안전의식은 1-5년이가장높은것으로나타났으나유의하지않았다. 1주근무시간은사고에대한비처벌적대응과사고에대한피드백과의사소통에서 60시간미만이가장높은점수이며, 사고빈도보고는 100시간이상, 환자안전도평가는 60시간이상이가장높게나타났으며유의하지는않았다. 전반적안전의식은 60시간미만이가장긍정적인식으로유의한결과를보이고있다 (p<.05). 3.5 환자안전문화영역별상관분석및환자안전도요인병동내환자안전문화인식, 병원의환자안전문화인식하부영역들과전반적안전의식, 환자안전도평가, 의료사고보고체계간의상관분석은다음과같다 [ 표 5]. 병동내환자안전문화인식의 5개하부영역들과전반적안전의식, 환자안전도평가는순상관관계가있는것으로나타났으며, 의료사고보고체계는직속상관 / 관리자의태도를제외한 4개영역에서순상관관계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p<.05). 병원환자안전문화인식 3개하부영역은전반적안전의식, 환자안전도평가에서순상관관계가있는것으로나타났으며, 의료사고보고체계는부서간의협조체계, 부서간의환자전송에서순상관관계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p<.05). 표 6은환자안전문화하부영역이환자안전도에미치는요인을알아보기위하여다중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병동문화에서는조직학습이가장크게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으며, 그다음으로의사소통의개방성, 전반적인식이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p<.05). 병동안전문화가환자안전도에미치는요인을설명하는 R²=.286로나타났다. [ 표 5] 환자안전문화영역별상관분석 [Table 5] Correlation analysis with each area of patient safety culture 변수 전반적환자의료사고안전의식안전도평가보고체계 조직학습.545***.518***.333*** 병동내팀워크.552***.485***.365*** 직원배치.356***.176**.151* 의사소통의개방성.442***.459***.526*** 직속상관 / 관리자의태도.572***.323***.124 병원경영진의태도.388***.249***.115 부서간의협조체계.555***.298***.230** 부서간의환자전송.504***.191**.167* *p<.05, **p<.01, ***p<.001 [ 표 6] 환자안전문화가환자안전도에미치는요인 [Table 6] The effect patient safety culture on th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변수 비표준화계수 표준화계수 t p B SE ß 병동문화조직학습.702.280.293 3.915.000 의사소통개방성.330.074.217 3.107.002 전반적인식.264.090.210 2.930.004 F = 33.988, R²=.286 병원문화 부서간협조체계.375.087.298 4.328.000 F = 18.732, R²=.089 사고보고체계 피드백의사소통.377.070.361 5.403.000 비처벌대응.282.062.303 4.534.000 F = 45.486, R²=.250 병원안전문화에서는부서간협조체계가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으며 (p<.05) 병원안전문화가환자안전도에미치는요인을설명하는 R²=.089로나타났다. 사건보고체계에서는피드백및의사소통과비처벌적대응이가장크게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으며, 그다음이의사소통개방성과전반적인식도환자안전도에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p<.05). 사건보고체계가환자안전도에미치는요인을설명하는 R²=.250으로나타났다. 4. 고찰 본연구는일개상급종합병원에근무하는의사 194명을대상으로 AHRQ의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를이용하여병동및병원환자안전문화인식, 전반적인안전의식및의료사고보고체계등의안전문화에관한인식을파악하고전반적인안전의식과환자안전도 2612

일개상급종합병원의사들의환자안전문화에대한인식분석 수준및의료사고보고체계와의관계를파악하고자하였다. 첫째, 대상자와병동및병원안전문화인식하부영역간의관계에서는성별, 연령, 병원근무에따라직원배치에서유의한차이가있었다. 병동안전문화인식하부영역은진료과에따라유의하였으며, 환자접촉여부에따라직원배치, 직속상관 / 관리자태도, 부서간환자전송에서유의하였으며, 1주근무시간에따라조직학습, 병동내팀워크, 직원배치, 병원경영진의태도에서유의하였다. 성별에따른병동및병원안전문화인식하부영역에서는직원배치만유의한결과를보이고, 그외병동및병원안전문화인식하부영역에서는유의하지않은것으로나타났다. 여성이남성보다업무를담당하는직원들의수가충분하며, 환자들에게최선의처치를할수있는적절한근무시간에긍정적인인식을하는것으로나타났다. 그외직속상관 / 관리자태도및병원안전문화인식모든하부영역에서남성보다긍정적인인식을하는것으로나타났으나유의하지않았다. 강민아등 [11] 은남성이여성보다직원배치에대한긍정적인인식으로유의하였고, 병원경영진의태도에서만남성이여성보다긍정적인식을보였으나유의하지않은것으로보고되어본연구와는다소다른결과를보이고있다. 연령에따른병동안전문화인식은직원배치에서유의한결과를보이고그외병동및병원안전문화영역에서는유의하지않은것으로나타났다. 직원배치에서는 41세이상에서인력에대한인식이긍정적이고, 36-40세는업무수행과환자에게최선의처치를할수있는인력이부족하다는인식을하는것으로나타났다. 김숙경등 [19] 의수술실의료진의환자안전문화인식에서는의사들의연령에따라직원배치가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은것으로보고되었다. 최명희 [20] 의병원종사자를대상으로한연구에서는 50대이상에서병동및병원안전문화에긍정적인식을하는것으로보고되었다. 직위에따른병동안전문화인식에서는전문의가조직학습, 병동내팀워크, 의사소통개방성에서긍정적인인식을, 병원안전문화인식에서는수련의가하부영역모두에서긍정적인식을보였으나모두에서유의하지는않았다. 김정은등 [14] 은병동안전문화인식에교수가수련의보다조직학습, 병동내팀워크, 의사소통개방성에서긍정적인인식으로유의한결과를보고하였고, 병원안전문화인식하부영역에서는교수가긍정적이며부서간팀워크에서유의한결과를보고하였다. 양해용 [21] 은관리자일수록안전사고예방등환자안전에책임이크고다른직원들안전관리업무를관리해야하는입장에있으므로환자안전문화에대한인식이높다고하였다. 제우영 [22] 의병원종사자를대상으로한연구에서관리자가조직학습, 부서내팀워크, 의사소통의개방성에서긍정적으로 유의하였고, 병원안전문화인식하부영역에서는관리자가부서간환자전송에서긍정적인식으로유의하였다. 이같은결과가조사대상시점과상급종합병원의료진의인식변화로인한차이인지를확인할수있는추후연구가필요할것으로사료된다. 진료과는병동안전문화인식모든하부영역에서모두유의한것으로나타났다. 이는진료과별로병동안전문화에대한인식의차이가있는것으로기타과가조직학습, 병동내팀워크, 직속상관 / 관리자태도에대해긍정적인인식을하는것으로나타났다. 외과계는의사소통의개방성에서만긍정적인식으로, 이는외과계가내과계와기타과보다환자에게부정적인영향을미치는안전에대해의료진들간의자유로운대화가원활하게이루어지는것으로분석된다. 내과계는직원배치에서긍정적인식도가높게나타났는데, 이는담당업무에따른직원의수와환자처치를위한근무시간배정이적절하다는인식이다른과보다높은것으로분석된다. 병원안전문화인식은병원경영진의태도는내과계, 부서간협조체계와부서간환자전송은기타과에서긍정적인식을하였다. 김정은등 [14] 은응급실, 중환자실등근무간호사들이인식도가높았는데이는중환자실이나외과계간호사들이응급수술이나환자의중증도가높아져의료사고율도높아안전에대한인식도가높은것이라보고하였다. 강민아등 [11] 은외과계가다른진료과보다직원배치를제외한모든영역에서긍정적인인식을하는것으로나타났으며, 내과계가직원배치를제외한모든영역에서부정적인인식을하는것으로보고되었다. 병원안전문화인식에서는외과계가병원경영진의태도, 부서간팀워크에서기타과는부서간환자전송에서긍정적인식을하는것으로보고되었다. 외과계는특성상다른진료과보다역사적으로환자안전에관심이강조되어왔고, 그결과작업환경이나환자안전문화형성에있어이미다른과에비해보다높은수준에이르렀을수도있다고하였다. 이같은결과가조사대상기관의특성, 지역적, 사회적변화에의한것인지에대한분석이필요할것으로사료된다. 환자접촉은병동및병원안전문화인식모든영역에서비접촉이긍정적인식이높은것으로나타났으며직원배치, 직속상관 / 관리자태도, 부서간환자전송에서유의한결과를나타내고있다. 최명희 [20] 는병원종사자를대상으로한연구에서병동및병원안전문화인식에서비접촉이높은긍정적인식으로유의한것으로나타났다. 노이나 [2] 는안전에대한조직학습, 부서내팀워크에서접촉이긍정적인식을하였으나유의하지않았으며, 의사소통의개방성은접촉이긍정적인식으로유의하였다. 직원배치에서만비접촉이긍정적인식으로유의하였다. 병원안전문화인식에서병원경영진의태 26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3 권제 6 호, 2012 도는비접촉이, 부서간의협조체계와부서간의환자전송은접촉이높게나타났으며두집단간유의한차이는없었다. 이는본연구와상반된결과로노이나 [2] 의연구대상은병원근무직종별조사이고본연구는의사만이조사대상이므로추후에다양한병원근무직종을대상으로한연구가필요할것으로사료된다. 병원근무경력은병동안전문화의직원배치에서 11년이상이긍정적인식으로유의한결과를나타내고, 병원안전문화의모든하위영역에서 1년미만이긍정적인식을하였지만유의하지않았다. 제우영 [22] 은조직학습, 부서내팀워크, 의사소통의개방성에서유의한결과로병원경력이많은 11년이상에서긍정적인식도가높은것으로보고되었다. 병원안전문화인식은부서간의협조체계는 1년미만에서, 부서간의환자전송은 11년이상에서높게나타났으며유의한결과를보고하였다. 김숙경등 [19] 은의사들의직업년수가많을수록의사소통의개방성, 직속상관 / 관리자태도가긍정적인식을나타내고있다. 남문희 [23] 은경력에따라환자안전에대한인식에차이는 2년미만간호사들이다른경력대간호사들보다환자안전인식이높았는데이는최근에환자안전에대한문제가대두되면서환자안전교육효과와신규간호사의안전사고에대한인식율이높아진결과라고보고되었다. 1주당근무시간은병동안전전문화인식은조직학습, 병동내팀워크, 직원배치에서근무시간에따라통계적으로유의하였다. 60-100시간미만은사고예방을위한시스템및환자안전문화에부족함이없는구성가장부정적인식을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사고는긍정적변화를유도하며변화의효율성을평가하는학습적문화라는인식과업무에따른적절한직원수와근무시간이라는인식에서도 60-100시간미만이가장부정적인식을하였다. 100시간이상은팀구성원간의지지와존중감에서가장부정적인식을하였다. 병원안전문화인식은 60시간미만이병원경영진은환자안전을위한근무환경조성과환자안전이최우선이라인식에서가장긍정적인식을하는것으로통계적으로유의하였다. 최명희 [20] 는 1주근무시간이적을수록병동및병원안전문화인식에서긍정적인인식을하는것으로보고되었다. 김숙경등 [19] 는병동및병원안전문화하위영역모두가근무시간별로유의하지않았다. 남문희 [23] 는근무시간이 45시간미만간호사가 45시간이상근무하는간호사보다안전문화인식이유의하게높았다. 이복임등 [24] 의연구에서주당근무시간과피로감의사이에정적상관관계가있어근무시간이길어질수록피로감이증가하여환자안전에부정적인영향을준다고한문항과도관련이된다. 둘째, 대상자와의료사고보고체계, 환자안전도평가 및전반적의식수준과의관계에서는진료과에서는기타과가사고에대한피드백과의사소통, 사고빈도보고에서긍정적인식으로유의한결과를나타냈다. 기타과는발생한사고를직원들과공유하고변화를피드백하며, 사고의예방을위한방안모색이내과계와외과계보다적극적인것으로분석되다. 환자에게해를끼치기전에발견된사고, 해를끼칠잠정성이없는사고그리고해를끼칠수있으나발생되지않은사고등모든위해사건보고빈도에대해기타과가보다긍정적이며외과계와내과계는비슷한인식을하는것으로나타났다. 환자접촉과 1주근무시간은비접촉과 60시간미만이전반적안전의식에서만긍정적인식으로유의한결과를나타내고, 그외영역에서는유의하지않았다. 강민아등 [11] 의연구의료사고보고체계에서는교수가수련의보다사고빈도보고와사고에관한피드백및의사소통, 전반적인식에서긍정적인식으로유의한결과를보고하였으며, 진료과에서는외과계가긍정적인식을하는것으로보고하였다. 노이나 [2] 는관리자가실무자보다사고에대한피드백과의사소통에서긍정적인식으로유의하였고, 환자안전도에서도관리자가실무자보다긍정적으로평가하고있으며, 접촉여부에서는접촉이사고에대한피드백과의사소통, 의료사고보고빈도에서긍정적인식으로유의한결과를보고하였다. 김숙경등 [19] 는연령, 직위, 근무년수, 소속에따라의료사고보고체계및전반적안전인식이유의하지않았으며, 주당근무시간은사고에대한피드백과의사소통에서만유의하다고보고하였다. 최명희 [20] 는 50세이상이보고체계인식과환자안전도에서긍정적인식으로유의하였으며, 관리자, 환자와비접촉대상은환자안전도인식에서긍정적인식으로유의한결과를보고하였다. 셋째, 병동및병원안전문화인식하부영역과전반적인식, 환자안전도평가는모두정의상관관계가나타났다. 의료사고보고체계와는직속상관 / 관리자의태도와병원경영진의태도를제외한모든영역에서정의상관관계가나타났다. 즉병동내조직의학습적문화, 원활한팀워크와직원들간의의사소통이이루어지며, 직속상관 / 관리자및병원경영진의기대나행동이적절하고, 병동간의협조체계가잘구축되어환자정보교환이잘이루어질수록안전의식과환자안전도수준이높게나타났다. 또한조직의학습문화와팀워크, 적절한직원배치와개방적의사소통이이루어지고, 부서간의협조체계와환자전송이원활할수록의료사고를충실히보고하는것으로나타났다. 김윤이 [25] 는병동및병원안전문화모든하위영역과전반적안전의식, 환자안전수준에서는직원배치를제외한모든영역에서정의상관관계를보고하였다. 의료사고보고충실성에서는병동안전문화에서는직 2614

일개상급종합병원의사들의환자안전문화에대한인식분석 원배치, 병원안전문화영역에서는정보교환및환자전송을제외한모든영역에서정의상관관계를보고하였다. 김영남 [17] 는환자안전수준과관련하여직속상관 / 관리자의태도, 의사소통, 사건보고충실성에서정의상관관계를보고하였다. 넷째, 환자안전도에영향을미치는요인은병동안전문화에서조직학습, 의사소통의개방성, 전반적인식이며, 병원안전문화에서는부서간협조체계이며, 사고보고체계에서는피드백과의사소통, 비처벌적대응으로나타났다. 강민아등 [11] 은병동문화에서는직원배치, 절차에의순응, 의사소통개방성, 의료사고문화에서는사고에대한비처벌적대응이환자안전도에영향을미치는요인으로보고하였다. 조직적학습과의사소통이잘이루어지며전반적인식이높을수록환자안전도에긍정적인영향을미치며, 부서간의협조체계가잘이루어질수록, 사고에대한피드백과의사소통이원활하며비처벌적대응이적극적일수록환자안전에긍정적인영향을미치는것으로분석된다. 5. 결론및제언 본연구는상급종합병원에근무하는의사를대상으로환자안전문화에대한인식조사결과는다음과같다. 첫째, 대상자와병동및병원안전문화간의관계에서는성별, 연령, 병원근무는직원배치, 진료과는병동안전문화하부영역에서, 환자접촉은직원배치, 직속상관 / 관리자태도, 부서간환자전송, 1주근무시간은조직학습, 병동내팀워크, 직원배치, 병원경영진의태도에서유의하였다. 둘째, 대상자와의료사고보고체계, 환자안전도평가및전반적의식수준과의관계에서는진료과는사고에대한피드백과의사소통, 사고빈도보고, 전반적안전의식, 환자접촉과 1주근무시간은전반적안전의식에서유의한결과를나타냈다. 셋째, 병동및병원안전문화인식하부영역과전반적인식, 환자안전도평가는모두정의상관관계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의료사고보고체계와는직속상관 / 관리자의태도와병원경영진의태도를제외한모든영역에서정의상관관계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넷째, 환자안전도영향을미치는환자안전문화하부영역은조직학습, 의사소통의개방성, 전반적안전인식, 부서간의협조체계, 피드백과의사소통, 비처벌적대응에서유의한결과를나타냈다. 이상의연구결과를기초로하여다음과같은제언을하고자한다. 본연구의조사대상은상급종합병원 1개소에근무하는의사를대상으로하였으므로확대해석하기어렵다. 연구대상자를지역별, 의료기관규모별, 직종별로세분화하고표집방법을달리하여환자안전문화인식에대한조사연구를확대할필요가있겠다. 결론적으로, 의사들의병동및병원환자안전문화수준을높이고의료사고보고체계를충실하게하기위해서는적절한직원배치와근무시간을바탕으로병동내조직적학습을통한팀워크을활성화시키고, 부서간팀원간의개방적의사소통과사고에대한피드백을제공하여환자안전에대한병원경영진의적극적인지원과진료과별협조체계구축이필요하다. Reference [1] Kim, YI,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of Hospital Nurses,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09. [2] Noh, YN, Analysis of perception patient safety culture among hospital workforc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8. [3] AHRQ, Hospital survey on patient culture, AHRQ Publication. No. 04-0041. from http://www.ahrq.gov/ qual/patientsafetyculture/hospsurvindex.htm.2004. [4] Nieva, V. K. & Sorra, J., Safety culture assessment : A tool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in health organization, Qu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12, pp. 17-23, 2003. [5] Kizer, K. W., Large system change and culture of safety. In: Enhancing Patient Safety and Reducing Errors in Health Care. Chicago, IL: National Academy Press, 1999. [6] Aspden, P., Corrigan, J. M., Wolcott, J. & Erickson, S. M.(eds), Patient Safety : Achieving a New Standard for Care,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004. [7] National Patient Safety Agency, Seven steps to patient safety: The full reference guide, Retrieved April 4, 2011, from http://www. nrls.npsa.nhs.uk/esources/ collections/seven-steps-patient-safety/?entryid45=59787.), 2004. [8] Aron, D. C. & Headrick, L. A., Educating physicians prepared to improve care and safety is no accident: It requires a systemic approach,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11, pp. 168-173, 2002. [9] Walshe, K. & Freeman, T., Effectiveness of quality improvement: Learning from evaluations, Qual Saf 26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3 권제 6 호, 2012 Health Care, 11, pp. 85-87, 2002. [10] Jeong, J.,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t two university hospitals : the case of nursing divisions,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6. [11] Kang, MA, Kim, JE, An KE, Kim, Y & Kim, SW, Physicians' perception of and attitudes towards patient safety culture and medical error reporting, The Korea Society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15(4), pp. 110-135, 2005. [12]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General Information on Health Accreditation, 2010. [13]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Accreditation Standards for Hospital(3rd), 2008. [14] Kim, JE, An, KE & Yun, SH, Nurses' perception of the hospital environment and communication process related to patient safety in Korea,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10(1), pp. 130-135, 2004. [15] Kim, JE, Kang, MA, An, GE & Seong, YH, A Survey of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Related to Hospital Culture and Reports of Medical Errors, Clinical Nursing Research, 13(3), pp. 169-179, 2007. [16] Noh, YN, Analysis of perception patient safety culture among hospital workforc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8. [17] Kim, YN, Factors related to patient safety activities of nurses,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2008. [18] Ju, JH, Operating room nurses'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Graduate School of Forensic and Investigative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1. [19] Kim, SG, Lee, HJ & Oh, EG, Perceived Level and Associated Factors of Patient Safety Culture among Health Care Providers in an Operating Room,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6(2), pp. 57-67, 2010. [20] Choi, MH,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influencing the factors among hospital workers, Graduate School Keimyung university, 2009. [21] Yang, HY, (A) Study on the Effect of Perception of Hospital Nurses Toward the Patient Safety Culture on the Safety Nursing Activity : Focusing on suncheon region, Graduate School Suncheon National University, 2009. [22] Je, WY, Hospital worker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a university hospital, Graduate School of Nursing Science Sungkunkwan University, 2006. [23] Nam, MH, The Cognition Level on the Patient Safety and Safe Nursing Activities among Hospital Nurses in Busan,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2010. [24] Lee, BI & Jung, HS,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Reduction of Working Hours on Fe male Worker's Fatigu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8(2), pp. 276-283, 2007. [25] Kim, YI,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of Hospital Nurses, The Graduate School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 2009. 유은영 (Eun-Yeong Yu) [ 정회원 ] < 관심분야 > 병원 ( 보건 ) 행정, 보건학, 건강보험 2000 년 2 월 : 원광대학교대학원 ( 병원행정학석사 ) 2007 년 2 월 : 원광대학교대학원 ( 보건행정학박사 ) 2008 년 3 월 ~ 현재 : 광주보건대학교보건행정과교수 정상진 (Sang-Jin Jung) [ 정회원 ] < 관심분야 > 병원행정, 건강보험, 경영분석 1996 년 8 월 : 한양대학교행정대학원 ( 병원행정학석사 ) 2010 년 9 월 ~ 현재 : 광주보건대학교보건행정과교수 2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