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PIA-NURIMEDIA



Similar documents
지난 2009년 11월 애플의 아이폰 출시로 대중화에 접어든 국내 스마트폰의 역사는 4년 만에 ‘1인 1스마트폰 시대’를 눈앞에 두면서 모바일 최강국의 꿈을 실현해 가고 있다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5차 편집).hwp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The Effect of Care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歯14.양돈규.hwp


상담학연구 * Shelton(1990) Eden(2001).. D 480,, 425..,... * (Corresponding Author): / / ( ) 1370 Tel: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The Mediating Eff

<C0DBBEF7C1DF202D20C7D1B1B9BFA9BCBAC0CEB1C7C1F8C8EFBFF85FBFA9BCBAB0FA20C0CEB1C728C5EBB1C736C8A3292DB3BBC1F62E687770>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특수교육논총 * ,,,,..,..,, 76.7%.,,,.,,.. * 1.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The Effects of Pare

제19권 제3호 Ⅰ. 문제제기 온라인을 활용한 뉴스 서비스 이용은 이제 더 이 상 새로운 일이 아니다. 뉴스 서비스는 이미 기존의 언론사들이 개설한 웹사이트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 며 기존의 종이신문과 방송을 제작하는 언론사들 외 에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신생 언론사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30392EB9DAB0A1B6F72CC1A4B3B2BFEE2E687770>

230 한국교육학연구 제20권 제3호 I. 서 론 청소년의 언어가 거칠어지고 있다. 개ㅅㄲ, ㅆㅂ놈(년), 미친ㅆㄲ, 닥쳐, 엠창, 뒤져 등과 같은 말은 주위에서 쉽게 들을 수 있다. 말과 글이 점차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바뀌고, 외 국어 남용과 사이버 문화의 익명성 등

게 미치는 다른 부정적인 측면은 없는지에 대해서도 논의해 보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텔레비전의 직접적인 영향 하에 있는 학부모 집단이나 청소년들은 지상파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그다지 유해하지 않다는 입장을 보였다. 오히려 지상파 텔레비전 프로그램 을 통해 보이는 부정적

<35BFCFBCBA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S

노동경제논집 38권 3호 (전체).hwp

. (2013) % % 2. 1% (,, 2014).. (,,, 2007). 41.3% (, 2013). (,,,,,, 2010)... (2010),,, 4.,.. (2012), (2010),., (,, 2009).... (, 2012).

<372E20B9DAC0B1C8F12DB0E62E687770>

ʻ ʼ

교육치료연구 SNS : SNS SNS SNS SNS, SNS, SNS. SPSS MACRO SNS., SNS SNS. SNS, SNS,. SNS SNS,. (2016) (Corresponding Author) : / / 608 / Tel:

2 大 韓 政 治 學 會 報 ( 第 18 輯 1 號 ) 과의 소통부재 속에 여당과 국회도 무시한 일방적인 밀어붙이기식 국정운영을 보여주고 있다. 민주주의가 무엇인지 다양하게 논의될 수 있지만, 민주주의 운영에 필요한 최소한의 제도적 조건은 권력 행사에서 국가기관 사이의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시도서목록(CIP) 일본만화의 폭력성과 우리 청소년 / 청소년위원회 청소년 보호단 매체환경팀 편집. -- 서울:청소년위원회, 2005 p. ; cm. -- (청소년 ; ) ISNB :기타 KDC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view of Research

380 Hyun Seok Choi Yunji Kwon Jeongcheol Ha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이론연구 (Ki, 2010; Lee, 2012), 단순통계분석 (Lee, 2008), 회귀분석 (Kim, 2012)과 요인분석 (Chung, 2012), 경로분석 (Ku,

< FC3BBBCD2B3E2C1A4C3A5C0C720C8AEC0E5B0FA20B9DFC0FC28C3D6C1BE31292E687770>

<303720C7CFC1A4BCF86F6B2E687770>

27 2, * ** 3, 3,. B ,.,,,. 3,.,,,,..,. :,, : 2009/09/03 : 2009/09/21 : 2009/09/30 * ICAD (Institute for Children Ability

, (, 2000) (public management),,, ( ), (Parasuraman, 1988), Lacobucci(1996) (consumer evaluation),,, ( ) ( E x p e c t a t i o n ) (, 2001) Parasurama

<30382E20B1C7BCF8C0E720C6EDC1FD5FC3D6C1BEBABB2E687770>

Issue 두 가지 상대적 관점에서 검토되고 있다. 특히, 게임 중독에 대한 논의는 그 동안 이를 개인의 심리적 차원에서 접근해왔던 것에서 벗어나 청소년에 대한 사회문화 및 정보 리터러시(literacy) 교육의 방향이라든 지 나아가 게임중독과 관련한 사회구조적인 또는

0 Çбް濵-³»Áö

<B0E6C8F1B4EBBBE7C8B8B0FAC7D05F33365F3128C3EBC7D5292E687770>

<30315FC0CCB5BFC1D65FC7D1B1B9BCBAB8C5B8C52E687770>

DBPIA-NURIMEDIA

차 례... 박영목 **.,... * **.,., ,,,.,,

<B0E6C8F1B4EBBBE7C8B8B0FAC7D05F3339B1C732C8A32E687770>

Political Science& International Relations EWHA WOMANS UNIVERSITY

#Ȳ¿ë¼®

大学4年生の正社員内定要因に関する実証分析

118 김정민 송신철 심규철 을 미치기 때문이다(강석진 등, 2000; 심규철 등, 2001; 윤치원 등, 2005; 하태경 등, 2004; Schibeci, 1983). 모둠 내에서 구성원들이 공동으 로 추구하는 학습 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각자 맡은 역할에 따라 함께

,......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 ( 황수경 ) ꌙ 127 노동정책연구 제 4 권제 2 호 pp.127~148 c 한국노동연구원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황수경 *, (disabi


- * (32 ), ,,,, * 2013 ( ) (KRF-2013S1A3A ). :,, 3 53 Tel : ,

최종ok-1-4.hwp

., (, 2000;, 1993;,,, 1994), () 65, 4 51, (,, ). 33, 4 30, 23 3 (, ) () () 25, (),,,, (,,, 2015b). 1 5,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C7D1B1B9B1A4B0EDC8ABBAB8C7D0BAB85F31302D31C8A35F32C2F75F 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A study on Characte



<3037C0CCC8AFB9FC5FC0CCBCF6C3A22E687770>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P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The Grounds and Cons

<353420B1C7B9CCB6F52DC1F5B0ADC7F6BDC7C0BB20C0CCBFEBC7D120BEC6B5BFB1B3C0B0C7C1B7CEB1D7B7A52E687770>



<5BB9E8C0E7B4EBC7D0B1B35DBFACB1B8BAB8B0EDBCAD2DC3D6C1BEC3E2B7C2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Relationship Betw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The Structural Rel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The Effect of Bo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K * The Analysis

<33C2F720BCF6C1A42DC6EDC1FD2D332DBFF8B0E6B8B22E687770>

<BFCFBCBA30362DC0B1BFECC3B62E687770>


<BAB8B0C7B1B3C0B0B0C7B0ADC1F5C1F8C7D0C8B8C1F632392D312E687770>

석사논문연구계획서

202 김 수 현 원 영 신 있으므로, 이러한 선수들의 긍정적인 태도를 높여 구 단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조직적 차원의 연구가 요구된다 하겠다. 따라서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 구단의 조직성과 제고에 관한 학문적 작업은 중요한 연구과제인 것이다. 최근 조직 커뮤


<B9E6BCDBC5EBBDC5BDC9C0C7B5BFC7E220C1A D3032C8A32833C2F720BCF6C1A E687770>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1, pp.1-19 DOI: *,..,,,.,.,,,,.,,,,, ( )

2014 자격연수 제1기_수정.hwp

hwp

도비라

DBPIA-NURIMEDIA

상담학연구 : *.,,,,, (N=495)..,.,.. * (2013). (Corresponding Author): / / / Tel: /

사이버음란물 규제의 합헌성에 관한 한ㆍ미 법리 고찰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stitutionality of Regulation against Cyber Pornography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12주간의 복합 파워트레이닝

원고스타일 정의

,......

untitled

11¹Ú´ö±Ô

<5B31362E30332E31315D20C5EBC7D5B0C7B0ADC1F5C1F8BBE7BEF720BEC8B3BB2DB1DDBFAC2E687770>

HCCP 패널 이슈 브리프 분석 - 기업의 조직문화를 관계, 혁신, 위계, 그리고 시장문화로 분류하여 각 조직 문화가 구성원들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 함. 직무만족은 일의 내용, 임금, 그리고 인간관계에 대한 만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현 안 분 석 2 Catsouphes & Smyer, 2006). 우리나라도 숙련된 인 력부족에 대한 우려가 심화되고 있으며, 일자리의 미 스매치 수준이 해외 주요국보다 심각하다는 점도 지 지부진한 유연근무제의 확산을 위한 진정성 있는 노 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C5EBC0CFBFACB1B8BFF85F4B494E5520C5EBC0CFC7C3B7AFBDBA2832C8A3295FB3BBC1F628C0FCC3BC295F37C2F75F E687770>

Transcription:

인터넷 음란물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음란물 노출이 실제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2) 최명일 ** (남서울대학교 광고홍보학과 전임강사) 이 연구에서는 인터넷 음란물 이용자의 사회적 맥락적 속성, 성격 특성, 미디어 이용 특성이 음란물 노출 에 미치는 영향과 음란물 노출이 실제 성에 대한 태도(허용성과 도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 다. 음란물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인은 미디어 실행 모델과 커뮤니케이션 연구, 청소년 연구, 사회 및 발달 심리학 등에서 다루고 있는 변인들을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감각추구 성향과 다른 미디어를 통한 음란물 노출이 인터넷 음란물 노출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음란물 노출은 성에 대한 허용성과 태도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청소년들이 미디어를 통해 공격적 행동을 학습하게 된다는 논리와 마찬가지로 성에 대한 태도 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를 통해 커뮤니케 이션학, 청소년학 등 관련 학문 분야에서의 이론적 논의를 활발히 하고, 다양한 교육 및 정책적 대안 마련 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〻words:인터넷 음란물, 성에 대한 태도, 청소년 * 이 연구는 2008년 한국언론학회 신진학자 연구비 지원으로 이루어졌음. ** jhmi0410@nsu.ac.kr, 방송 및 뉴미디어 연구 분과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2호(2009년 4월) 50 1. 문제제기 인터넷 공간은 기존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공간들과 비교해서 수평적 커뮤니케이션 공 간, 개방된 커뮤니케이션 공간,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공간,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공간, 능동 적 커뮤니케이션 공간, 메시지의 내부 통제가 없는 커뮤니케이션 공간, 익명적 커뮤니케이 션 공간이라는 특성을 보인다(박성호, 2003). 이 때문에 인터넷 공간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콘 텐츠의 생산과 유통, 소비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 대표적인 것이 인터넷상에 서의 음란물 1) 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반영하듯, 전 세계적으로는 인터넷 웹사이트 중 60%가 포르노 사이트이며(ꡔ매일경제ꡕ, 2006. 3. 28), 이러한 포르노 사이트를 이 용하는 사람은 하루에 약 24억 명이며 72억 원을 지출하고 있다(ꡔ스포츠서울ꡕ, 2007. 7. 31). 이들 사이트의 주요 콘텐츠는 야한 사진, 야한 소설, 야한 동영상, 음란성 대화, 화상 몰카 등 으로 구성되어 있다(정진성ㆍ조동욱, 2003). 인터넷에서의 음란물은 접근이 용이하고, 익명성이 확보되며, 비용이 저렴하다는 점 (Peter & Valkenburg, 2006b)에서 성적 만족을 얻기가 쉽다는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특성은 인터넷에서의 음란물 노출에 따른 청소년의 사회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Paul, 2004; Runkel, 2005). 그 이유는 첫째, 이미 많은 수의 청소년들이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고, 상 당한 이용 기술을 가지고 있다(Madden & Rainie, 2003). 둘째, 청소년들은 일반적으로 성 (sexuality)에 관해 호기심이 많고 성 표현물(sexual content)을 찾는 경향이 있다(Savin-Williams & Diamond, 2004). 마지막으로 청소년들은 어른들과 비교해서 성 경험이 많지 않고, 음란물 을 올바르게 보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Huston, Wartella, & Donnerstein, 1998; Peter & Valkenburg, 2006b, p. 639에서 재인용). 실제로 2004년에는 인터넷 음란물을 자주 접한 중 학생이 음란물 장면을 흉내내어 여자 초등학생을 성폭행한 사건이 발생하였다(ꡔ연합뉴스ꡕ, 2004. 3. 25). 인터넷 음란물이 청소년에게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가늠해볼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하지만 인터넷 음란물의 영향에 관한 연구는 주로 성인 이용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Barak & Fisher, 1997; Barak, Fisher, Belfry, & Lashambe, 1999; Lo & Wei, 2002; Wu & Koo, 2001).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주로 텔레비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Brown, Steele, & Walsh-Childers, 2001; Greenberg & Hofschire, 2001; Malamuth & Impett, 2001; 1) 구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2007. 12. 21. 법률 제877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65조 제1항 제2호에의 규정에 따르면, 음란 이란 사회통념상 일반 보통인의 성욕을 자극하여 성적 흥분을 유발하고 정상적인 성적 수치심을 해하여 성적 도의 관념에 반하는 것으로서, 표현물을 전체적으로 관찰ㆍ평가해 볼 때 단순히 저속하다거나 문란한 느낌을 준다는 정도를 넘어서서 존중ㆍ보호되어야 할 인격을 갖춘 존재인 사람의 존엄성과 가치를 심각하게 훼손ㆍ왜곡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을 정도로, 노골적인 방법에 의하여 성적 부위나 행위를 적나라하게 표현 또는 묘사한 것으로서 사회통념에 비추어 전적으로 또는 지배적으로 성적 흥미에만 호 소하고 하등의 문학적ㆍ예술적ㆍ사상적ㆍ과학적ㆍ의학적ㆍ교육적 가치를 지니지 아니하는 것을 뜻함[출처: 대법원 2008. 3. 13. 선고 2006도3558 판결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위반 (음란물유포 등) 공2008상, 537].

인터넷 음란물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음란물 노출이 실제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51 Smith & Donnerstein, 1998; Lo & Wei, 2005에서 재인용). 더욱이 연구 주제는 음란물 소비에 따른 역학적 문제(epidemiological implication)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Haeggstroem-Nordin, Hanson, & Tydén, 2005; Rogala & Tydén, 2003; Peter & Valkenburg, 2006b, p. 640에서 재인용). 이러한 현상은 국내 연구에서도 예외가 아니어서 청소년의 인터넷 음란물 접촉을 사이 버섹스 중독의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김민, 2003; 이해경, 2002; 남영옥, 2004; 남영옥ㆍ이 상준, 2002; 이상준, 2003). 이들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청소년의 음란물 노출을 전반적인 인 터넷 중독(사이버섹스 중독, 사이버 관계 중독, 네트워크 강박증, 정보 과몰입, 컴퓨터 중독) 의 하위 차원으로서 접근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10대 청소년의 85.6%, 20대 청 소년의 91.5%가 인터넷 음란물을 접한 경험이 있지만(정보통신부, 2005) 선행연구들에서는 대체로 5% 내외의 사이버섹스 중독자들만을 대상으로 사회병리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인터넷 음란물 이용을 청소년 시기에 나타날 수 있는 현상 중에 하 나로 보고, 인터넷 음란물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 속성은 무엇이며, 실제 성에 대 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현실적으로 음란물 사이트에 대한 접근제한이나 규제는 거의 불가능하며 P2P(Peer to Peer) 형식을 통한 음란물의 유통을 막기 는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시시각각 변화하는 사이버 공간에 대한 법적 구속력을 발휘하기 에도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넷 음란물로 인한 청소년의 사회적 폐해를 예방 하기 위한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이용자들의 특성은 무엇이며 그러한 이용이 성에 대한 태 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1) 인터넷 음란물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 미디어 실행 모델(Media Practice Model)에 따르면, 전통적으로 청소년의 성적 미디어 콘 텐츠 선택은 1 인구통계적 속성 2 발달적 특성 3 사회 맥락적 속성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Brown, 2000; Steele, 1999; Steele & Brown, 1995). 이 모델은 청소년의 미디 어 이용 과정을 설명하는 요인들을 밝히기 위해 수십 년간의 민속지학적 연구방법에 의해 개발되었고 정체성-선택-상호작용-응용 의 순환 과정의 틀 속에서 설명하고 있다. 이 모델은 다른 매스미디어 효과 연구들의 접근 방법과는 세 가지 차이점이 있다. 첫째, 이 모델 에서 대부분의 미디어 이용은 능동적이라는 것이다. 즉 자신이 선택하는 매체 및 장르, 내용 에 대한 상호작용 및 거부 등에 있어서 능동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이 모델에서는 미디어 이 용과 효과의 과정이 선형적이라기보다는 상호관련이 있다고 본다. 특히 미디어 효과에 있어 서 이용자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셋째, 청소년의 현재 혹은 잠재적 자아(혹은 정체성) 는 미디어 선택, 미디어와의 상호작용, 삶에 미치는 영향 등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하다고 보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2호(2009년 4월) 52 고 있다. 한편 커뮤니케이션 연구, 청소년 연구, 사회 및 발달 심리학 등에서는 공통적으로 청소년 의 인터넷 음란물 노출이 1 성격 특성 2 미디어 이용 특성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Peter & Valkenburg, 2006a). 이 연구에서는 음란물 노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섯 가지 차원 중에서 사회 맥락적 속성, 성격 특성, 미디어 이용 특성의 차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인구통 계적 속성 중에서는 대체로 성별만이 음란물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 다(Peter & Valkenburg, 2006a; Peter & Valkenburg, 2006b; Mesch, 2008 in press; 이해경, 2002). 또한 성숙 정도(pubertal status), 성 경험 등의 발달적 특성 역시 이론적으로는 음란물 노 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되고 있지만 실증적으로는 검증이 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Peter & Valkenburg, 2006a; 주리애ㆍ하승수ㆍ권석만, 2002). 더욱이 이 연구의 조사대상은 연령, 지역 등이 비교적 비슷한 동질적 집단이고, 성 경험과 같은 민감한 문제를 다루는 것이 어서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사회 맥락적 속 성, 성격 특성, 미디어 이용 특성의 차원에서 인터넷 음란물 노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자 한다. (1) 사회 맥락적 속성 미디어 실행 모델에 따르면, 청소년의 사회화에 있어서 가족, 종교, 동료 등의 사회 맥락 적 속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성 표현물(sexual content)의 노출에 있어서도 영향을 미친다 (Steele, 1999; Steele & Brown, 1995). 실제로 온라인에서 성과 관련한 정보 및 오락을 추구하지 않는 청소년은 오프라인에서의 삶에 만족하는 경향이 있고, 친구 및 가족과 보다 깊은 관계 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에서 성과 관련한 정보 및 오락을 추구하는 청소 년은 인터넷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고, 오프라인에서의 삶의 만족도가 떨어지고, 친구 및 가 족과의 관계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Boies, Cooper, & Osborne, 2004).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사회 맥락적 속성이 인터넷 음란물 노출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였고 가족관계, 친구관계의 차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에서 가족 관계는 주로 부모의 감시(monitoring)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으며 부모 의 감시는 텔레비전에서의 성 표현물 노출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Collins, et al., 2004). 뿐만 아니라 부모들이 자녀가 접하는 웹사이트의 유형에 대한 직접적인 통제를 포함 하여 인터넷 사용을 얼마나 규제하고 있는가에 따라 인터넷 유해정보의 접촉이 감소한다 (Cho & Cheon, 2005; 김은미ㆍ나은영ㆍ박소라, 2007에서 재인용). 연구가설 1-1 : 부모의 인터넷 활동 감시 정도가 높을수록 인터넷 음란물 노출이 적을 것이다. 한편 친구는 가족으로부터 제공받는 정서적 지지와는 다른 성질의 사회적 지지를 제공

인터넷 음란물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음란물 노출이 실제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53 하게 되고, 성의 사회화 과정에서 영향력을 받게 된다(남영옥, 2004). 선행연구에서는 또래집 단 사이에서의 교환을 통해 의도적이지 않은 음란물 노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Greenfield, 2004). 따라서 친구와 어떤 관계를 유지하는냐에 따라 인터넷 음란물 노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예상해 볼 수 있다. 실제로 이해경(2002)의 연구에서는 친구들 로부터의 지지가 낮고 친구 수가 많지 않은 경우에 음란물 노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친구의 지지 혹은 친구관계가 좋을수록 사이버섹스 중독 경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남영옥ㆍ이상준, 2002; 이상준, 2003; 남영옥, 2004). 연구가설 1-2 : 친구지향성이 높을수록 인터넷 음란물 노출은 적을 것이다. (2) 성격 특성 인간의 성격은 개인을 둘러싼 자극과 관련한 일관된 반응(Kassarjian & Sheffet, 1991, p. 281) 혹은 느낌, 생각, 행동의 일관된 패턴을 설명할 수 있는 인간의 특질(Pervin & John, 1997, p. 4) 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미디어 선택과 이용(Rosengren, 1974), 그리고 미디어 선호와 관 련한 동기(Amiel & Sargent, 2004; Weaver Ⅲ, 2003)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 컨대 외부 활동, 사회적 삶에 만족하는 사람은 정보 추구와 같은 도구적 목적에서 인터넷을 이용한다. 반면 사회적 삶에 불만족하고 면대면 상호작용에 별로 가치를 느끼지 못하는 사 람들의 경우에 사회적 상호작용 및 시간 보내기를 위해서 인터넷을 이용한다(Papacharissi & Rubin, 2000). 특히 인간은 미디어 환경을 포함한 주변의 환경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능동적이기 때문 에 그러한 환경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자신의 기질(dispositions) 혹은 성격과 부합하는 것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예컨대 공격적이고 반사회적인 사람은 가학적인 미디어 내용을 선호 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그러한 내용이 보다 친숙하고 인지적으로 수용하기 쉬운 주제이기 때문이다(Huesmann, 1988; Bogaert, 2001에서 재인용).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성격 특성이 인터넷 음란물 노출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에 따라 감각추구(sensation-seeking), 자기통제성(self-regulation)의 차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감각추구란 신기성과 강한 감각성을 추구하려는 개인의 욕구 라고 할 수 있는데 위험행 동(도박, 과속, 다양한 성관계 등)과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Arnett, 1994). 실제 선행연구들에서 감각추구 성향은 음란물 노출뿐만 아니라 폭력물 노출과도 깊은 관련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Peter & Valkenburg, 2006a; Slater, 2003; Bogaert, 2001). 연구가설 2-1 : 감각추구 성향이 높을수록 인터넷 음란물 노출이 증가할 것이다. 한편 자기통제성은 자신의 인지나 정서, 행동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하 며(이상준, 2003; 남영옥, 2004), 자기통제성이 낮은 사람들은 인지적 혹은 학업과 관련된 기 술과 계획을 가지고 있지 못하거나 이를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 을 나타낸다(민수홍,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2호(2009년 4월) 54 2006). 실제로 자기통제의 실패는 충동조절 장애, 중독적 형태 등의 부정적 결과로 나타나게 되는데(이상준, 2003; 남영옥, 2004), 온라인 쇼핑(LaRose & Eastin, 2002)과 인터넷 중독 (LaRose, Lin, & Eastin, 2003) 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제 이상 준(2003)과 남영옥(2004)의 연구에서는 자기통제감이 사이버섹스 중독에 유의미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가설 2-2 : 자기통제 성향이 낮을수록 인터넷 음란물 노출은 증가할 것이다. (3) 미디어 이용 특성 성 표현물을 접할 수 있는 미디어는 인터넷 외에도 잡지, DVD(비디오 포함), 케이블TV 등이 있다. 온라인에서의 성적 활동은 오프라인에서의 성인 잡지, 영화 등의 음란물 이용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Kristian, Michael, & Sven-Axel, 2006; 주리애ㆍ하승수ㆍ 권석만, 2002), 음란물 추구 행동은 인터넷과 전통적 미디어(예컨대, 잡지)에서 동일하게 발 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Ybarra & Mitchell, 2005). 최근의 또 다른 연구에서는 인터넷 이외의 다른 매체를 통한 성 표현물 노출이 인터넷 음란물 노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eter & Valkenburg, 2006a).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성 표현물 노출과 관련한 매체 로 잡지, DVD(비디오 포함), 케이블TV로 한정하였다. 왜냐하면 영화의 경우 성 표현이 많은 19세 이상 관람이 가능 프로그램에는 청소년의 출입이 원칙적으로 제한되어 있고, 텔레비 전은 사전 작업을 통해 배우들의 노출 장면이 삭제되어 방영되기 때문이다. 연구가설 3-1 : 다른 미디어를 통한 성 표현물 노출이 증가할수록 인터넷 음란물 노출이 증가할 것이다. 김민(2003)의 연구에 따르면, 인터넷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음란물에 대한 소요시간도 많 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은미ㆍ나은영ㆍ박소라(2007)의 연구에서도 선정적 내용의 인터넷 접 촉 경험이 인터넷 이용시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권효석과 이 장한(2006)의 연구에서는 인터넷 중독 수준은 사이버섹스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가설 3-2 : 인터넷 이용 시간이 많을수록 인터넷 음란물 노출이 증가할 것이다. 2) 인터넷 음란물 노출의 영향 인터넷 음란물은 음란물이 담고 있는 강간, 성폭력, 아동과의 성 행위 등의 왜곡된 표현 이 많아 청소년들로 하여금 성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갖게 하여 모방 성범죄를 유발할 수도

인터넷 음란물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음란물 노출이 실제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55 있다. 또한 이들 음란물에서 표현된 성범죄나 변태행위를 일반적인 성으로 잘못 이해하여 성적 일탈을 저지르기도 한다(어기준, 2002). 주리애ㆍ하승수ㆍ권석만(2002)의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의 현재 및 과거의 인터넷 음란 물 접촉 수준은 자위행위, 이성친구와 성관계, 낯선 이성과의 성관계 등의 성 행동에 유의미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 음란물 노출이 많을수록 노출, 관음, 근친 상간, 가학 등의 성적사고 경험 빈도 및 불편감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 영욱(2004)의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인터넷 사이버섹스 중독이 의도적 신체접촉, 강제적 키 스나 포옹, 강제적 성관계 등의 성비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김덕 모(2003)의 연구에서는 상당수의 청소년들이 선정ㆍ음란물은 도덕심을 타락시키고(66.8%), 성범죄를 유발시키며(78.3%), 가상의 연출이 아니라 우리사회에 실제로 있는 일들을 표현한 것(40.3%)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주영과 김영희(2004)의 연구에서도 영상 매체에서의 성 메시지가 청소년의 성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음란 영상 매체를 접한 경우, 등장인물의 심한 노출을 본 경우, 음란 영상매체를 접하는 빈도가 잦은 경 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사랑 없는 성관계, 혼전 성관계 등에 대해 더 개방적이고 긍정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상매체 성 메시지는 청소년의 성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등장인물의 심한 노출을 접한 경우, 음란한 성 메시지를 접한 경우, 접하는 빈도 가 잦은 경우에 이성교제 시 더 깊은 신체적 접촉과 성관계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외국의 사례에서도 음란물은 태도 및 행동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고 있다(Allen, D Alessio, & Brezgel, 1995; Allen, Emmers, Gebhardt, & Giery, 1995; Lo & Wei, 2005, p. 221에서 재인용). 음란물이 미치는 영향은 성에 대한 관대한 태도(sexually permissive attitudes), 여성에 대한 태도, 성적 공격성, 성 범죄 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나고 있다(Lo & Wei, 2005). 특히 인터넷 음란물은 접근이 용이하고 익명성이 확보되며 비용 이 저렴하다는 특성이 있고(Peter & Valkenburg, 2006a), 이용자 스스로 자신의 취향에 맞도록 다운로드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인터넷 음란물 노출은 청소년의 성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Peter & Valkenburg, 2006b) 특히 인터넷의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전 통적 형식의 음란물보다 청소년의 성에 대한 관대한 태도 및 행동에 높은 관계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Lo & Wei, 2005). 구체적으로 성에 대한 태도는 허용성, 책임성, 도구성, 교류성 등의 네 가지 차원으로 구 성된다. 이 중에서 허용성과 도구성은 바람직하지 않은 성 태도를 말하며, 책임성과 교류성 은 바람직한 성 태도를 말한다(김주희ㆍ송은일ㆍ강성희, 2003). 인터넷을 통한 음란물은 대 체로 청소년들에게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Cantor, Mares & Hyde, 2003), 이 연구에서는 허용성과 도구성의 차원으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 을 설정하였다. 연구가설 4-1 : 인터넷 음란물 노출이 많을수록 성에 대한 허용성 인식은 증가할 것이다. 연구가설 4-2 : 인터넷 음란물 노출이 많을수록 성에 대한 도구성 인식은 증가할 것이다.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2호(2009년 4월) 56 3. 연구방법 1) 조사대상 및 방법 조사대상자는 인터넷 음란물 이용경험이 있는 16 19세의 서울ㆍ경기 지역 고등학교 청 소년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조사내용이 청소년들에게는 민감한 주 제일 수 있는 인터넷 음란물 노출 과 관련된 부분이므로 수업시간에 일괄 배포ㆍ수집하는 방식을 지양하였다. 훈련된 조사원 20명을 이용하여 성별과 학년을 고려해서 할당표집 (quota sampling)을 하도록 하고 사전에 조사 대상자들에게 동의를 구하도록 하였다. 전체 표 본의 크기는 450명으로 하였고, 할당표집의 원칙은 성별에 따라서는 남녀가 각각 225명 (50%)이 되도록 하였으며 학년별로는 150명씩(33%)이 되도록 하였다. 동의를 얻은 조사대 상자들을 대상으로 미리 만들어 놓은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여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였 다. 실제 민감한 주제와 관련한 연구에서는 인터넷 설문조사(혹은 컴퓨터 매개 설문조사)가 다른 조사 방식보다 좋은 방식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Mustanski, 2001). 자료 수집은 2008년 9월 8일 9월 26일까지 약 3주간에 거쳐 이루어졌으며 최종 분석에 는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약 418명의 응답 내용을 이용하였다. 응답자 중에서 남학생 208명(49.8%), 여학생 210명(50.2%)이었다. 연령은 16세 88명(21.1%), 17세 99명(23.7%), 18 세 133명(31.8%), 19세 98명(23.4%)이었다. 성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129명(30.9%), 경험이 없는 응답자는 289명(69.1%)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조사도구 이 연구의 측정변인은 사회적 맥락(부모의 감시, 친구지향성), 성격(감각추구, 자기통제), 미디어 이용(다른 미디어를 통한 음란물 노출 정도, 인터넷 이용시간), 음란물 노출, 성 태도 등이다. 모두 리커트 5점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 5=매우 그렇다)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 인터넷 음란물 노출 영향 요인 1 사회적 맥락 부모의 감시 정도는 선행 연구(Peter & Valkenburg, 2006a; 김영환ㆍ홍경희ㆍ정희태, 2005)에서 이용된 문항을 바탕으로 연구 목적에 맞도록 수정ㆍ보완하였다. 구체적인 측정 문항은 다음과 같다. 나의 부모님은 내가 인터넷을 이용하는 때를 알고 있다, 나의 부모님 은 인터넷 이용 시간을 정해 놓고 쓰게 한다, 나의 부모님은 내가 인터넷을 이용할 때 수시 로 확인 한다, 나의 부모님은 나의 인터넷 사이트 접속 내역을 확인한다 등이다. 친구지향성은 오미경(1997)이 선행연구를 참고로 작성한 척도 중에서 친구지향 차원

인터넷 음란물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음란물 노출이 실제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57 을 이용하였다. 이는 부모에 비하여 친구와 가깝게 느껴지는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서 구체 적인 설문문항은 다음과 같다. 나는 부모님보다 내 또래 친구들이 더 가깝게 느껴진다, 나 는 친구와 보내는 시간이 가족들과 보내는 시간보다 더 편하다, 나는 인생의 중요한 문제 에 대해 부모보다 친구와 같이 의논하는 편이다, 내가 곤경에 처했을 때 가장 나에게 도움 이 되는 사람은 부모라기보다는 친구이다 등이다. 2 성격 특성 감각추구는 오미경(1997)의 연구에서 이용된 척도 중에서 연구목적에 맞는 것으로 판단 되는 일부 문항을 수정ㆍ보완하여 측정하였다. 오미경은 선행연구(Arnett, 1994; Zuckerman, 1983)를 바탕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설문문항은 나는 새롭고 자극적인 것을 경험하기 좋아 한다, 나는 무서운 것을 하기 좋아한다, 나는 때로 규칙을 어기곤 한다, 나는 재미있고, 예측할 수 없는 친구를 좋아한다 등이다. 자기통제는 민수홍(2006)이 선행연구(Unnever, 2003; Winfree, Taylor, He, & Esbensen, 2006) 를 바탕으로 구성한 문항들을 이용하였다. 총 7문항으로 측정하였으며 응답 평균이 5점에 가까울수록 자기통제성이 약한 경향을 나타내고 1점에 가까울수록 자기통제성이 강한 경향 이 있음을 나타낸다. 구체적인 문항은 다음과 같다. 나는 내일 시험이 있어도 재미있는 일이 있으면 우선 그 일을 하고 본다, 나는 일이 힘들고 복잡해지면 곧 포기한다, 나는 위험한 활동을 즐기는 편이다, 나는 아주 약이 오르면 다른 사람을 때릴 수도 있다, 나는 학교 숙 제를 제때에 잘 해가지 않는 편이다, 나는 사람을 놀리거나 괴롭히는 일이 재미있다, 나는 내 자신이 금방 터질 것 같은 화약과 같다고 생각한다 등이다. 이들 문항은 응답 평균이 5점 에 가까울수록 자기통제성이 약한 경향을 나타내며 1점에 가까울수록 자기통제성이 강한 경향을 나타낸다. 3 미디어 이용 다른 미디어를 통한 성 표현물 노출 정도는 선행연구(Peter & Valkenburg, 2006a)에서 이 용한 측정 방식에 따라 19세 이상 이용 가능 한 잡지, DVD(비디오 포함), 케이블TV 프로그 램의 노출정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지난 6개월 동안 19세 이상 이용 가능한 잡지(사 진 포함)를 얼마나 보셨습니까?, 19세 이상 이용 가능한 DVD(비디오 포함)를 얼마나 보셨 습니까?, 19세 이상 이용 가능한 케이블TV 프로그램을 얼마나 시청하셨습니까? 등이다. 인터넷 이용시간은 개방형 질문을 통해 이메일, 채팅, 정보검색(browsing) 등으로 구분하 여 평소 이용 정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평소 이메일을 자주 이용한다, 평소 채팅을 자주 한다, 평소 정보 검색을 자주 한다 등이다. (2) 인터넷 음란물 노출 인터넷 음란물 노출은 선행연구(Lo & Wei, 2005; Peter & Valkenburg, 2006a)에서 이용된 방식을 종합하여 측정하고자 한다. 인터넷에서 유통되는 음란물의 유형을 제시하고, 지난 6개월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2호(2009년 4월) 58 동안 얼마나 접촉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제시된 음란물 유형은 성 행위는 하지 않지만 남녀 배우의 가슴, 성기 등이 완전히 노출되는 사진과 동영상, 그리고 실제 성 행위를 하면서 가 슴, 성기 등이 완전히 노출되는 사진과 동영상 등이다. 구체적으로, 지난 6개월 동안 인터넷 을 통해 남녀 배우가 성 행위를 하지는 않지만 가슴, 성기 등이 완전히 노출되는 사진을 자주 보았다, 지난 6개월 동안 인터넷을 통해 남녀 배우가 성 행위를 하지는 않지만 가슴, 성기 등이 완전히 노출되는 동영상을 자주 보았다, 지난 6개월 동안 인터넷을 통해 남녀 배우가 성 행위를 하면서 가슴, 성기 등이 완전히 노출되는 사진을 자주 보았다, 지난 6개월 동안 인터넷을 통해 남녀 배우가 성 행위를 하면서 가슴, 성기 등이 완전히 노출되는 동영상을 자 주 보았다 등이다. (3) 인터넷 음란물 노출의 영향 이 연구에서는 인터넷 음란물 노출의 영향을 인터넷 음란물 노출 이후에 느끼는 성에 대한 태도 로 정의하고, 김주희ㆍ송은일ㆍ강성희(2003)의 연구에서 이용된 문항들을 연구 목적에 맞도록 수정ㆍ보완하였다. 이들의 연구에서 성 태도는 허용성, 책임성, 도구성, 교류 성으로 구성하였다. 이 중에서 허용성과 도구성은 바람직하지 않은 성 태도를 말하며 책임 성과 교류성은 바람직한 성 태도를 말한다. 인터넷 음란물은 주로 정상적이지 않은 남녀 관 계를 묘사하고 있으므로 이 연구에서는 허용성과 도구성의 차원에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허용성은 성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정도를 말하며 인터넷 음란물을 본 이후 에 성매매가 괜찮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혼전 성관계가 괜찮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혼외 정사가 괜찮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여러 사람과의 성관계가 괜찮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일회적인 성관계가 괜찮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등이다. 도구성은 성을 단지 도구로 생각하 고 또한 다른 사람을 지배하는 수단이라고 생각하는 정도를 말하며 인터넷 음란물 노출 이 후에 성은 즐기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성은 돈을 주고 살 수 있는 것이라고 생 각하게 되었다, 성은 남녀 간의 단순한 게임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성은 정복감을 느끼 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성은 상대방을 지배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단이라고 생 각하게 되었다 등이다. 4. 연구결과 1) 측정모델 분석 이 연구에서 이용하고 있는 9개의 구성개념(부모 감시, 친구지향성, 감각추구, 자기통제, 다른 미디어를 이용한 성 표현물 노출, 인터넷 이용시간, 인터넷 음란물 노출, 성에 대한 허

인터넷 음란물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음란물 노출이 실제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59 <표 1> 측정모델의 평균, 표준편차, 인자 적재치, 적합도 지수, 크롬바의 알파 구성개념 측정항목 평균 부모 감시 친구 지향성 감각 추구 자기 통제 다른 미디어 이용 인터넷 이용 인터넷 음란물 노출 허용성 도구성 모델 적합도 표준 편차 인자 적재치 나의 부모님은 내가 인터넷을 이용하는 때를 알고 있다 2.93 1.23 0.35 나의 부모님은 인터넷 이용 시간을 정해 놓고 쓰게 한다 2.06 1.10 0.68 나의 부모님은 내가 인터넷을 이용할 때 수시로 확인한다 2.03 1.00 0.74 나의 부모님은 나의 인터넷 사이트 접속 내역을 확인한다 1.58 0.83 0.65 나는 부모님보다 내 또래 친구들이 더 가깝게 느껴진다 3.39 1.02 0.73 나는 친구와 보내는 시간이 가족들과 보내는 시간보다 더 편하다 3.40 1.00 0.77 나는 인생의 중요한 문제에 대해 부모보다 친구와 같이 의논하는 편이다 3.33 1.02 0.67 내가 곤경에 처했을 때 가장 나에게 도움이 되는 사람은 부모라기보다는 친구이다 3.02 1.08 0.68 나는 새롭고 자극적인 것을 경험하기 좋아한다 3.32 1.10 0.65 나는 무서운 것을 하기 좋아한다 2.79 1.20 0.61 나는 때로 규칙을 어기곤 한다 3.39 1.02 0.74 나는 재미있고 예측할 수 없는 친구를 좋아한다 3.45 1.08 0.66 나는 내일 시험이 있어도 재미있는 일이 있으면 우선 그 일을 하고 본다 3.19 1.16 0.61 나는 일이 힘들고 복잡해지면 곧 포기한다 2.70 0.94 0.32 나는 위험한 활동을 즐기는 편이다 2.74 1.07 0.71 나는 아주 약이 오르면 다른 사람을 때릴 수도 있다 2.86 1.19 0.65 나는 학교 숙제를 제때에 잘 해가지 않는 편이다 2.68 1.11 0.51 나는 사람을 놀리거나 괴롭히는 일이 재미있다 2.61 1.14 0.58 나는 내 자신이 금방 터질 것 같은 화약과 같다고 생각한다 2.39 1.10 0.56 나는 지난 6개월 동안 19세 이상 이용 가능한 잡지(사진 포함)를 자주 이용하였다 2.03 1.11 0.82 나는 지난 6개월 동안 19세 이상 이용 가능한 DVD(비디오 포함)를 자주 이용하였다 2.13 1.15 0.78 나는 지난 6개월 동안 19세 이상 이용 가능한 케이블TV 프로그램을 자주 이용하였다 2.23 1.21 0.84 나는 평소 인터넷을 통해 이메일을 자주 이용한다 2.66 1.30 0.83 나는 평소 인터넷을 통해 채팅을 자주 한다 2.55 1.33 0.53 나는 평소 인터넷을 통해 정보 검색을 자주 한다 3.96 0.96 0.35 남ㆍ녀 배우가 성 행위를 하지는 않지만 성기가 완전히 노출되는 사진을 자주 보았다 2.15 1.17 0.89 남ㆍ녀 배우가 성 행위를 하지는 않지만 성기가 완전히 노출되는 동영상을 자주 보았다 2.19 1.21 0.96 남ㆍ녀 배우가 성 행위를 하면서 성기가 완전히 노출되는 사진을 자주 보았다 2.09 1.13 0.91 남ㆍ녀 배우가 성 행위를 하면서 성기가 완전히 노출되는 동영상을 자주 보았다 2.33 1.27 0.90 성매매가 괜찮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2.01 1.10 0.73 혼전 성관계가 괜찮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2.78 1.26 0.66 혼외정사가 괜찮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2.12 1.09 0.73 여러 사람과의 성관계가 괜찮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2.18 1.11 0.86 일회적인 성관계가 괜찮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2.24 1.11 0.80 성은 돈을 주고 살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1.95 1.10 0.82 성은 남ㆍ녀 간의 단순한 게임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1.86 0.97 0.85 성은 정복감을 느끼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1.82 0.93 0.91 성은 상대방을 지배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단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1.73 0.90 0.90 SRMR NNFI CFI RMSEA.056.96.96.058 alpha.68.80.77.77.86.60.95.87.92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2호(2009년 4월) 60 용성과 도구성)에 대한 측정모델의 요인구조를 검정하기 위하여 LISREL 8.53 프로그램 (Jöreskog & Sörbom, 2003)을 이용한 확정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을 실시 하였다. 먼저 다중요인적재 항목(성에 대한 도구성 중 성은 즐기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 었다 )을 제거하였다. 이를 통해 38개의 항목이 이 연구에서 가정한 요인 구조를 보였으며 모델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χ 2 (629)=1483.71, p<.01, SRMR=.056, NNFI=.96, CFI=.96, RMSEA=.058]. 일반적으로 모델 적합도 지수는 SRMR은.08이나 그 이하, CFI는.90 이상, NNFI는.90 이상이면 좋은 모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Kline, 1998). RMSEA는.06이나 그 이하(Browne & Cudeck, 1993)인 경우에 좋은 모델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델 적합도 기준을 고려했을 때 이 연구의 측정모델은 대체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라는 사 실을 알 수 있다. 한편 각 구성개념의 하위 항목들의 인자 적재치는.32.96의 범위를 보였으며, 모두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p<.01). 크롬바의 알파(Cronbach s alpha)값은.60.95의 범위를 보 여서 대체로 만족할 만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 1> 내용은 측정 모델 각 요인들의 평균, 표준편차, 인자 적재치, 크롬바의 알파, 모델 적합도 등을 종합ㆍ정리한 것이다. 2) 연구모델 분석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사회적 맥락(부모의 감시, 친구지향성), 성격 특성(감각추구, 자 기통제), 미디어 이용(다른 미디어를 통한 성 표현물 노출, 인터넷 이용 시간)이 인터넷 음란 물 노출에 미치는 직접 효과와 이를 통해 바람직하지 못한 성 태도(허용성, 도구성)에 미치는 간접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기법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LISREL 8.53(Jöreskog & Sörbom, 2003)을 이용하였다. 연구 모형의 모수 추정은 최대우도법(Maximum-likelihood estimation: ML estimation)을 이용하였으 며, 무응답 자료는 항목 제거(listwise deletion) 방법을 이용하여 제외시켰다. 또한 분석 결과에 왜곡을 초래할 수 있는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이나 정규성(normality)과 관련한 가정을 침해하는 문제들은 발견되지 않았다. 모델 해석에 있어서 방해를 초래할 수 있는 변인 내 혹 은 변인들 간의 오차들의 공변(covariate)은 허용하지 않았다. 한편 선행 연구들에서 인터넷 음란물 노출은 성별(Peter & Valkenburg, 2006a; Peter & Valkenburg, 2006b; Mesch, 2008 in press; 이해경, 2002), 성 행위(Peter & Valkenburg, 2006b; Adebayo, Udegbe, & Sunmola, 2006)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성별, 성 행 위가 연구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하기 위하여 인터넷 음란물 노출, 성 태도에 대하여 잔 차 처리(residualized)하여 연구모델을 분석하였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회적 맥락(부모의 감시, 친구지향성), 성격 특성(감각추구, 자기 통제), 미디어 이용(다른 미디어를 통한 성 표현물 노출, 인터넷 이용 시간)은 외생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인터넷 음란물 노출과 성에 대한 허용성 및 도구성은 내생변인으로 설정하였

인터넷 음란물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음란물 노출이 실제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61 주 1: * p<.05, ** p<.01, 모든 계수는 표준화 계수임. 주 2: χ 2 (642)=1705.12, p<.01, SRMR=.080, NNFI=.95, CFI=.95, RMSEA=.063 주 3: 인터넷 이용이 음란물 노출에 미치는 경로는 가설의 방향과는 반대이지만 연구결과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 하였음. 주 4: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경로는 점선으로 표시하였음. <그림 1> 연구모델 분석 결과 다. 분석결과, 앞서 제시한 모델적합도 지수의 기준을 대체로 만족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χ 2 (642)=1705.12, p<.01, SRMR=.080, NNFI=.95, CFI=.95, RMSEA=.063]. 따라서 이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을 통한 가설 검정에는 무리가 없다고 할 것이다. 한편 다중상관자승 (squared multiple correlation: SMC) 값을 고려했을 때, 제안된 연구모델은 성에 대한 허용성의 48%, 도구성의 31%의 변량을 각각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1>은 연구 모형의 검 증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3) 가설검증 결과 먼저 외생변인(부모의 감시, 친구지향성, 감각추구, 자기통제, 다른 미디어를 통한 성 표 현물 노출, 인터넷 이용 시간)이 인터넷 음란물 노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구가설 1-1>은 부모의 인터넷 활동 감시 정도가 높을수록 인터넷 음란물 노출이 적을 것이라고 예측하였지만,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가설 1-1>은 기각 되었다. <연구가설 1-2>는 청소년의 친구지향성이 높을수록 인터넷 음란물 노출은 적을 것 이라고 예측하였지만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가설 1-2>는 기각되 었다.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2호(2009년 4월) 62 <연구가설 2-1>는 감각 추구 성향이 높을수록 인터넷 음란물 노출이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분석 결과,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γ=.29, t=2.29, p<.01, 단측검증). 따라 서, <연구가설 2-1>은 지지되었다. <연구가설 2-2>는 자기통제 성향이 낮을수록 인터넷 음란물 노출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였지만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 구가설 2-2>는 기각되었다. <연구가설 3-1>은 다른 미디어를 통한 성 표현물 노출이 증가할수록 인터넷 음란물 노 출이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분석결과,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γ=.64, t=11.17, p<.01, 단측검증). 따라서 <연구가설 3-1>은 지지되었다. <연구가설 3-2>는 인터넷 이용 시간이 많을수록 인터넷 음란물 노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분석결과, 유의미한 것 으로 나타났다(γ=-.09, t=-1.85, p<.05, 단측검증). 하지만 이러한 분석결과는 당초 예측 한 가설의 방향과 반대되므로 <연구가설 3-2>는 기각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표준화 계수를 고려했을 때 다른 미디어 이용(γ=.64)이 감각추구 (γ=.29)보다 인터넷 음란물 노출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한편, 인터넷 음란물 노출이 성 허용성 및 도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 다. <연구가설 4-1>은 인터넷 음란물 노출이 많을수록 성에 대한 허용성 인식은 증가할 것 이라고 예측하였다.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β=.69, t=12.47, 단측 검증). 따라서 <연구가설 4-1>은 지지되었다. <연구가설 4-2>는 인터넷 음란물 노출이 많 을수록 성에 대한 도구성 인식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 타났다(β=.56, t=11.24, 단측검증). 따라서 <연구가설 4-2>는 지지되었다. 표준화 계수를 고려했을 때 인터넷 음란물 노출은 도구성보다는 허용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를 종합했을 때, 감각 추구 성향이 높고 다른 미디어를 이용한 성 표현물 노출시간이 증가할수록 인터넷 음란물 노출은 증가하고 이를 통해 성에 대한 바람직 하지 않은 태도인 성에 대한 허용성과 도덕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5. 결론 및 논의 인터넷 음란물 접촉과 관련한 사회적 문제는 인터넷의 지속적인 성장과 함께 상존할 수 밖에 없는 문제일 것이다. 따라서 인터넷 음란물 접촉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을 파악하 고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청소년의 성 사회화와 관련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청소년들이 미디어를 통해 공격적 행동을 학습하게 된 다는 논리와 마찬가지로 성에 대한 태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정(Earles, Alexander, Johnson, Liverpool, & McGhee, 2002)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이 분야에 대한 이론적 논의 를 활발히 하고 다양한 교육 및 정책적 대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

인터넷 음란물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음란물 노출이 실제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63 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미디어 실행 모델과 커뮤니케이션 연구, 청소년 연구, 사회 및 발달 심리학 등 에서 다루고 있는 변인들을 인터넷 음란물 노출의 선행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성에 대한 도 구성과 허용성을 결과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인터넷 음란물 노출의 선행변인은 사회 맥락적 속성(부모의 감시, 친구지향성), 성격 특성(감각추구 성향, 자기통제 성향), 미디어 이용특성 (다른 미디어를 통한 성 표현물 노출, 인터넷 이용 시간) 등의 차원에서 접근하였다. 먼저 이 연구에서는 사회 맥락적 속성인 부모 감시와 친구지향성 모두 인터넷 음란물 노 출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와는 다소 상이한 결과이 다(Collins, et al., 2004; Cho & Cheon, 2005). 하지만 인터넷은 개인화된 매체이고 손쉽게 이용 할 수 있기 때문에 부모나 친구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먼저 부모 의 감시 측면에서 볼 때, 인터넷 성 표현물 혹은 음란물 사이트 이용과 관련해서 청소년 40명 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인터넷 이용 내역 확인과 유해정보차단 등의 부모 감시는 실질적으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청소년들은 그러한 부모의 감 시를 감시로서 인식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Cameron, et al., 2005).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일부 선행연구에서 부모의 통제는 청소년의 인터넷 음란물 노출에 유의미한 영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Mitchell, Finkelhor, & Wolak, 2003). 한편 친구지향성이 인터넷 음란물 노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이유는 청소년들의 음란 물 이용이 과거와는 달리 친구들 사이의 공유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개인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얼마든지 쉽게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인터넷 음란물 은 채팅이나 블로그와 같이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네트워크화된 집단 사이에서 공유되고 이 용되는 경향이 있다(Greenfiled, 2004). 이 때문에 오프라인에서의 일반적인 친구지향성이 유 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후속 연구를 통해서 온라인에서의 친 구지향성 혹은 네트워크가 인터넷 음란물 이용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성격 특성의 차원에서는 감각추구 성향이 높을수록 인터넷 음란물 노출이 증가하는 것 으로 나타난 반면 자기통제 성향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감각추구 성향은 많은 선행 연구결과와 마찬가지로 인터넷 음란물 노출과 관 련해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변인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많은 선행 연구들에서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던 자기통제 성향이 인터넷 음란물 이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청소년들이 음란물 이용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거나 자기 자신에게는 별로 영향이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선행연구에서 는 약 12,000명을 대상으로 성과 관련된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온라인 이용 시간, 성적 충 동성, 위험한 행동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았는데 약 80%의 응답자들은 온라인 성 행동과 관 련해서 문제를 경험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수의 사람들만이 음란물을 다운로드한다고 생각하고 자신의 다른 삶의 영역(직업적, 교육적, 사회적 생활 등) 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Cooper, Scherer, Boies, & Gordan, 1999). 또 다른 연구에서 청소년들은 음란물 노출이 자기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2호(2009년 4월) 64 고 있는데, 음란물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판단이 아직 미숙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Cameron, et al., 2005). 한편 미디어 이용 특성의 차원에서는 다른 미디어를 통한 성 표현물 노출이 증가할수록 인터넷 음란물 노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많은 선행연구 결과 에서와 마찬가지로 인터넷 음란물 노출은 인터넷에서만의 문제로써 독립적으로 접근할 것 이 아니라 TV, 잡지 등 다른 매체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Kristian, Michael, & Sven-Axel, 2006; Peter & Valkenburg, 2006a; Ybarra & Mitchell, 2005; 주리애ㆍ하승수ㆍ권석만, 2002). 반면 이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의 방향과 반대되지만 인터넷 이용 정도가 증가할수록 인터넷 음란물 이용은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들과 상반된 결과이다(Mesch, in press; 김은미ㆍ나은영ㆍ박소라, 2007).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 음란물 노출의 대부분은 배너 광고(Greenfield, 2004), 스팸 메일(Cameron, et al., 2005) 등을 통해서 우연하게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즉 인터넷 음란물에 의도하지 않게 노출된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은 그러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 로 추정되는 배너 광고나 이메일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이메일, 정보 검색 등의 인터넷 이용을 보다 능동적이고 계획적으로 하기 때문에 오히려 인터넷 음란물 노출을 감소 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후속 연구에서는 온ㆍ오프라인 매체를 종합적 으로 고려한 청소년의 음란물 이용 패턴을 밝히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인터넷 음란물 노출이 증가할수록 청소년의 성에 대한 허용성과 도구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많은 선행 연구결과와 일관된 것이다(Peter & Valkenburg, 2006b; Lo & Wei, 2005). 또한 청소년기의 음란물 노출 경험은 성 에 대한 태도뿐만 아니라 대학생이 된 이후에도 혐오감(24.5%), 충격(23.6%), 당황스러움 (21.4%)과 같이 정서적으로 좋지 않은 기억으로 남아 있게 되므로(Cantor, Mares, & Hyde, 2003) 이들의 성장 및 발달에 있어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문제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를 통해서 시사하는 바는 청소년의 인터넷 음란물 노출로 인한 문제를 언론에 보도되는 일부 정상적이지 않은 청소년의 범죄 행위로만 간주하지 말아야 한 다는 점이다. 따라서 청소년의 음란물 노출을 막을 수 있는 정책적ㆍ제도적 지원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부모의 감시는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 으므로 유해 정보 차단 프로그램을 보급하는 등의 근시안적인 정책은 지양하여야 할 것이 다. 오히려 성에 관한 올바른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토론식 교육을 할 수 있는 제도를 마 련하고 학생들 스스로 인터넷 음란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성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있다. 첫째, 조사대상을 고등학생으로 한정하였다는 점이다. 중학생의 경우 인터넷 음란물에 보다 민감한 시기인 것 으로 판단되지만 조사의 어려움으로 인해 고등학생으로 한정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조사대상자의 범위를 확대해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둘 째, 횡단적 조사 방법을 통해 연구가 이루어졌으므로 음란물 노출과 관련한 선행 변인과 결 과 변인의 관계를 명확히 규정하는 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 또한 선행 연구와 달리 부모 감

인터넷 음란물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음란물 노출이 실제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65 시, 친구지향성 등과 같이 인터넷 음란물 노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부분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는 질적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인터넷 이용과 관련 한 조사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즉 이메일, 채팅, 정보 검색 등의 차원에서만 측정하였다. 게임, 개인 블로그, 커뮤니티 활동 등과 같은 다양한 인터넷 이용 활동을 조사하고 있지 못하 고 있다. 또한 인터넷 이용을 빈도의 차원에서 측정하였기 때문에 실제 이용량과는 다소 차 이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인터넷 이용과 관련해서 보다 정교한 측정 도구 를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권효석ㆍ이장한 (2006). 성적 충동성과 인터넷 사용이 사이버섹스에 중독에 미치는 영향. ꡔ한국심리 학회 학술발표 논문집ꡕ, 610 611. 김덕모 (2003). 청소년의 인터넷 음란물 이용 행태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ꡔ언론과학연구ꡕ, 3권 3호, 5 50. 김 민 (2003).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사이버섹스 중독실태 연구. ꡔ청소년복지연구ꡕ, 5권 1호, 53 83. 김영환ㆍ홍경희ㆍ정희태 (2005). 인터넷 관련 부모의 태도 및 가정환경이 중학생의 인터넷 과다사 용에 미치는 영향. ꡔ교육정보미디어연구ꡕ, 11권 2호, 5 27. 김은미ㆍ나은영ㆍ박소라 (2007). 청소년의 인터넷 유해 정보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ꡔ한국방송 학보ꡕ, 21권 2호, 209 257. 김주희ㆍ송은일ㆍ강성희 (2003). 성태도ㆍ성행동과 부모-자녀 관계에 대한 연구: 남녀 대학생을 중심으로. ꡔ대한가정학회지ꡕ, 41권 2호, 111 124. 남영옥 (2004). 청소년의 사이버섹스 중독과 성비행의 심리사회적 변인. ꡔ청소년학 연구ꡕ, 11권 1호, 167 192. 남영옥ㆍ이상준 (2002). 청소년의 사이버섹스 중독과 사이버음란물 접촉 및 성행동과의 관계. ꡔ청소 년학연구ꡕ, 9권 3호, 185 212. 대법원 2008. 3. 13. 선고 2006도3558 판결(2008. 12. 12). Available: http://glaw.scourt.go.kr/jbsonw/jsp/jbsonc/jbsonc08.jsp?docid=497c4811dabf415ae043a C100C64415A&courtValue=대법원&caseNum=2006도3558 민수홍 (2006).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비행과 범죄에 미치는 영향: 패널자료를 이용한 인과성 및 일 반성 검증. ꡔ청소년학연구ꡕ, 13권 6호, 27 47. 박성호 (2003). 사이버 공간의 매체적 특성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연구: 사이버 공간의 자유와 규제 를 중심으로. ꡔ한국방송학보ꡕ, 17권 1호, 75 113. 배병렬 (2005). ꡔ구조방정식 모델: 이해와 활용ꡕ. 도서출판 청람. 어기준 (2002). 청소년 음란물 중독의 원인과 대책. 청소년 관련 음란물의 실태와 대책. ꡔ제27회 21 세기 청소년포럼ꡕ, 33 48, 한국청소년학회. 오미경 (1997). 청소년의 감각추구성향과 위험 행동 간의 관계. ꡔ아동학회지ꡕ, 18권 1호, 109 123.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2호(2009년 4월) 66 이명구 (2007. 7. 31). 성욕은 곧 돈? 숫자로 보는 인터넷 포르노산업. ꡔ스포츠 서울ꡕ. 이상준 (2003). 인터넷 섹스중독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정신건강 연구. ꡔ한국사회복지학ꡕ, 55 호, 341 364. 이해경 (2002). 청소년들의 음란물, 음란채팅 중독 경험에 있어서 사회심리적 예측변인들의 비교. ꡔ청소년학연구ꡕ, 9권 2호, 165 190. 인터넷 음란물 모방 중학생 성범죄 충격(2004. 3. 25). ꡔ연합뉴스ꡕ. 전병득 (2006. 3. 28). 인터넷선 당신도 혹시 음란서생. ꡔ매일경제ꡕ. 정진석ㆍ조동욱 (2003). 음란 사이트 현황과 차단 방법에 대한 고찰. ꡔ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ꡕ, 1권 2호, 474 480. 조주영ㆍ김영희 (2004). 영상매체 성메시지와 청소년의 성반응: 성태도와 성행동을 중심으로. ꡔ대한 가정학회지ꡕ, 42권 3호, 159 178. 조현철 (1998). 구조방정식모델에 의한 구성개념타당성 검정. ꡔ상품학연구ꡕ, 18호, 203 225. 주리애ㆍ하승수ㆍ권석만 (2002). 인터넷 음란물을 자주 찾는 남녀 대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성 행동. ꡔ한국심리학회지: 임상ꡕ, 21권 4호, 965 982. Adebayo, D. O., Udegbe, I. B., & Sunmola, A. M. (2006). Gender, internet use, and sexual behavior orientation among young Nigerians. Cyber Psychology & Behavior, 9(6), 742 752. Allen, M., D Alessio, D., & Brezgel, K.(1995). A meta-analysis summarizing the effects of pornography Ⅱ: Aggression after exposur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2, 258 283. Allen, M., Emmers, T., Gebhardt, L., & Giery, M.(1995). Pornography and rape myth accepta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5, 5 26. Amiel, T., & Sargent, S. L. (2004). Individual differences in Internet usage motiv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0(6), 711 726.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 423. Arnett, J. (1994). Sensation seeking: A new conceptualization and a new sca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16(2), 289 296. Barak, A., & Fisher, W. A. (1997). Effects of interactive computer erotica on men s attitudes and behavior toward women: An experimental stud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3, 353 369. Barak, A., Fisher, W. A., Belfry, S., & Lashambe, D. (1999). Sex, guys and cyber space: Effects of internet pornography and individual differences on men s attitude toward women. Journal of Psychology & Human Sexuality, 11, 63 91. Bogaert, A. F. (2001). Personality, individual differences, and preferences for the sexual media. Archives of Sexual Behavior, 30(1), 29 53. Boies, S., Cooper, A., & Osborne, C. (2004). Variations in Internet-Related Problems and Psychosocial Functioning in Online Sexual Activities: Implications for Social and Sexual Development of Young Adults. Cyberpsychology & behavior, 7(2), 207 230. Brown, J. D. (2000). Adolescents sexual media diet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official publication of the Society for Adolescent Medicine, 27(2), suppl 1, 35 40. Brown, J., Steele, J., & Walsh-Childers, K. (2001). Sexual teens, sexual media: Investigating media s influence on adolescent sexuality.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인터넷 음란물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음란물 노출이 실제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67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36 162). Thousand Oaks, CA: Sage. Cameron, K. A., Salazar, L. F., Bernhardt, J. M., Burgess-Whitman, N., Wingood, G. M., & DiClemente, R. (2005). Adolescents experience with sex on the web: Results from online focus groups. Journal of Adolescence, 28(4), 535 540. Cantor, J., Mares, M. L., & Hyde, J. S. (2003). Autobiographical memories of exposure. Media Psychology, 5(1), 1 31. Cho, C. H., & Cheon, H. J. (2005). Children s exposure to negative internet content: Effects of family context.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9(4), 488 509. Collins, R. L., Elliott, M. N., Berry, S. H., Kanouse, D. E., Kunkel, D., Hunter, S. B., et al. (2004). Watching sex on television predicts adolescent initiation of sexual behavior. Pediatrics, 114, 280 289. Cooper, A., Scherer, C., Boies, S. C., & Gordan, B. (1999). Sexuality on the Internet: From sexual exploration to pathological expression.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0(2), 154 164. Earles, K. A., Alexander, R., Johnson, M., Liverpool, J., & McGhee, M. (2002). Media influences on children and adolescents: Violence and sex. Journal of the National Medical Association, 94(9), 797 801. Greenberg, B., & Hofschire, L. (2001). Sex on entertainment TV. In D. Zillmannn & P. Vorderer (Eds.). Media entertainment: The psychology of its appeal (pp. 93 112).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Greenfield, P. M. (2004). Inadvertent exposure to pornography on the internet: Implications of peer-to-peer file-sharing networks for child development and families.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5(6). 741 750. Haeggstroem-Nordin, E., Hanson, U., & Tydén, T. (2005). Associations between pornography consumption and sexual practices among adolescents in Sweden. International Journal of STD & AIDS, 16, 102 107. Huesmann, L. R. (1988). An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aggression. Aggressive Behavior, 14, 13 24. Huston, A. C., Wartella, E. A., & Donnerstein, E. (1998). Measuring the effects of sexual content in the media: A report to the Kaiser Family Foundation. Menlo Park, CA: Kaiser Family Foundation. Kassarjian, H. H., & Sheffet, M. J. (1991). Personality and consumer behavior: An update (4th ed.). In H. H. Kassarjaian & T. S. Robertson (Eds.). Perspectives in consumer behavior (pp. 281 303).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Kline, R. B. (1998).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The Guilford Press. Kristian, D., Michael, R., & Sven-Axel, M. (2006).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of Sexual Compulsives Who Use the Internet for Sexual Purposes. Sexual addiction & compulsivity, 13(1), 53 67. LaRose, R., & Eastin, M. S. (2002). Is online buying out of control? Electronic commerce and consumer self-regulatio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Electronic media, 45(4), 549 564. LaRose, R., Lin, C. A., & Eastin, M. S. (2003). Unregulated internet usage: Addiction, habit, or deficient self-regulation? Media Psychology, 5(3), 225 253. Lo, V, H., & Wei, R. (2005). Exposure to internet pornography and Taiwanese adolescents sexual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2호(2009년 4월) 68 attitudes and behavior.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9(2), 221 237. Lo, V. H., & Wei, R. (2002). Third-person effect, gender and pornography on the internet.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6, 13 33. Madden, M., & Rainie, L. (2003). America s online pursuits: The changing picture of who s online and what they do. Washington, DC: The Pew Internet & American Life Project. Malamuth, N., & Impett, E. (2001). Research on sex in the media. What do we know about effect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D. G. Singer & J. Singer (Eds.). Handbook of children and the media (pp. 269 287). Thousand Oaks, CA: Sage. Mesch, G. S. (2008, in press). Social bonds and internet pornographic exposure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ce, 1 18. Mitchell, K. J., Finkelbor, D., Wolak, J. (2003). The exposure of youth to unwanted sexual material on the internet: A national survey of risk, impact and prevention. Youth & Society, 34(3), 330 358. Mustanski, B. S. (2001). Getting wired: Exploiting the internet for the collection of sexually valid data. Journal of Sex Research, 38, 292 301. Papacharissi, Z., & Rubin, A. M. (2000). Predictors of internet use. Journal of Broadcasting and Electronic Media, 44, 175 196. Peter, J. (2004). Our long return to the concept of powerful mass media : A cross-national comparative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consonant media coverage.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16, 144 168. Peter, J., & Valkenburg, P. M. (2006a). Adolescents exposure to sexually explicit material on the internet. Communication Research, 33(2), 178 204. Peter, J., & Valkenburg, P. M. (2006b). Adolescents exposure to sexually explicit online material and recreational attitudes toward sex. Journal of Communication, 56, 639 660. Rogala, C., & Tydén, T. (2003). Does pornography influence young women s sexual behavior?. Women s Health Issues, 13, 39 43. Rosengren, K. E. (1974). Uses and gratifications: A paradigm outlined. In J. G. Blumler & E. Katz (Eds.). The uses of mass communication: Current perspectives on gratifcation research (pp. 269 286). Beverly Hills: Sage. Runkel, J. (2005, March 22). When teens find porn online-sites, easy to access, could be hard to give up-availability. San Jose Mercury News, 155, 8E. Savin-Williams, R. C., & Diamond, L. M. (2004). Sex. In R. M. Lerner (Ed.). Handbook of adolescent psychology (pp. 189 231). Hoboken, NJ: Wiley. Slater, M. D. (2003). Alienation, aggression, and sensation-seeking as predictors of adolescent use of violenct film, computer, and website content. Journal of Communication, 51(1), 105 121. Smith, S. L., & Donnerstein, E. (1998). Harmful effects of exposure to media violence: Learning of aggression, emotional desensitization, and fear. In R. G. Geen & E. Donnerstein (Eds.). Human aggression: Theories,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social policy (pp. 167 202). New York: Academic. Steele, J. R. (1999). Teenage sexuality and media practice: Factoring in the influences of family, friends, and school. Journal of Sex Research, 36(4), 331 341. Steele, J. R., & Brown, J. D. (1995). Adolescent room culture: Studying media in the context of everyday life. Journal of Youth & Adolescence, 24, 551 576.

인터넷 음란물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음란물 노출이 실제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69 Unnever, J. D., Cullen, F. T., & Pratt, T. C. (2003). Parental management, ADHD, and delinquent involvement: Reassessing Gottfredson and Hirschi s General Theory. Justice Quarterly, 20(3), 471 500. Weaver Ⅲ, J. B. (2003). Individual differences in television viewing motiv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5, 1427 1437. Winfree, L. T., Taylor, T. J., He, Ni, and Esbensen, F. (2006). Self-control and variability over time: Multivariate results using a 5-year, multisite panel of youths. Crime & Delinquency, 52(2), 253 286. Wu, W., & Koo, S. (2001). Perceived effects of sexually explicit internet contents: The Third person effect in Singapore.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78, 260 274. Ybarra, M. L., & Mitchell, K. J. (2005). Exposure to Internet Pornography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A National Survey. Cyberpsychology & behavior, 8(5), 473 486. Zuckerman, M. (1983). A biological theory of sensation seeking. In M. Zuckerman (Ed.). Biological bases of sensation seeking, impulsivity, and anxiety. Hillsdale, NJ: Erlbaum. 최초 투고일 2008년 12월 18일 게재 확정일 2009년 1월 17일 논문 수정일 2009년 1월 27일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2호(2009년 4월) 420 Determinants on the Exposure to Internet Sexually Explicit Materials and Adolescents Sexual Attitudes Myung-IL Choi Ph. D., Full-time Lecturer, Dept.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Namseoul University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exposure to internetsexually explicit materials and the sexual attitudes. The results show that sensation seeking and sexually explicit materials in other media positively influence exposure to internet sexually explicit materials. Exposure to internet sexually explicit materials had a positively impact on the sexual attitudes. The study empirically shows that adolescent s sexual attitudes is influenced through media exposure in the same way violent media program have an impact on the aggressive behaviors of adolescents. The findings also imply that build educational and political policies on adolescents and promote theoretical discussion on adolescents in related fields, such as communication studies and adolescent studies. Key〻words:internet sexually explicit materials, sexual attitude, adolesc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