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_11_24 김준수.hwp



Similar documents
도감본문(수정)~10p

13-ºÎ·Ï¸ðÀ½-0312

이웅빈 A Flora of Mt. Umyeo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Yongin University Mt. Umyeon is located between Seocho-gu in Seoul and Gwacheon-si in Gyeo

< FBDC4B9B05FC1BEB8F1B7CF2E786C73>

< FBDC4B9B05FC1BEB8F1B7CF2E786C73>

< FBDC4B9B05FC1BEB8F1B7CF2E786C73>

< FBDC4B9B05FC1BEB8F1B7CF2E786C73>

< FBDC4B9B05FC1BEB8F1B7CF2E786C73>

< FBDC4B9B05FC1BEB8F1B7CF2E786C73>

옥천 일대의 지형

BMYIHXZUOVDO.xls

358051_마상_식물상_종목록.xlsx

11.hwp

untitled

도엽별출현종 _ 통계 년전국자연환경조사 - 식물 - 박재홍 - 남원 목명과명출현종남원 (357102) 도엽특이사항영문한글영문한글학명국명 E2 SELAGINELLALES 부처손목 SELAGINELLACEAE 부처손과 Selaginella involvens 바

< FBDC4B9B05FC1BEB8F1B7CF2E786C73>

12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16, No. 1 다 (Kim et al., 2012). 여러가지생물종이어우러져구성된생물군집은종간상호작용이다양할것이므로종다양성이높은군집은구조적으로복잡할것이다

조경식물학 - 활엽수 계열(3) -

UM PDF

정규영 서정수 * 박명순 이선희 최하나 정수영 Flora of Vascular Plants on Mt. Kookmang(Chungju, Chungbuk) School of Bioresource Sci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The K

BTXHINECYMSR.hwp

< C1A4C8EFB6F42E687770>

101.fm

93261.hwp

<BACF3FC1DF20C1A2B0E6C1F6BFAA20B0B3B9DFC7F6C8B220B9D720C8AFB0E6BBF3C5C220C1B6BBE72833C2F72928B0ADC5C3B1B8292E687770>

옥천 일대의 지형

조경식재학 - 식재재료(2) -

7(4)-10.fm

<342EB1E8BCBAB9CE2D2E666D>

박선주.fm

Programs The 201 EABCN symposium will be held on 13 October and two-day field trips will be arranged at October. A side event is also planned to

ZRQWOSTHTGNE.hwp

이상훈 심재국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Department of Life Science, Chung-Ang University The forest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 C FB0E6BACF20B1DDB0ADBCD2B3AAB9ABC0C720C0DABFACBBFDC5C2C0FB20B0A1C4A1BFCD20BCBCB0E8C8AD20B9E6BEC85FC3DFBFACBDC42CC1B6C7F6C1A62CB1E8B3B2C0CF2CBCD5BFB5C7D02CB1C7B5CEC7F62CB1E8B5BFC8AF2E687770>

옥천 일대의 지형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2017, Vol. 8, No. 3, pp DOI: 지리산국립공원세석지역의아고산관속식물상 노일 * 정재민 *

MSYDWHWGQGCB.hwp

<BDC4BBFD32302DBCF8C3B5B1B8B7CA5FC1F8BFB5B1D42DC6EDC1FD2E687770>

16절 백지

401.fm

58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6(4) Ⅰ. 서론곰솔 (Pinus thunbergii Parl.) 은바닷가와해풍의 영향이미치는곳에서자생하고있으며, 분포범위는북위 에서 까지분포하고있다 (Kim & Kil,

fm

조경식물학 - 활엽수 계열(2)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2015, Vol. 6, No. 4, pp DOI: * ** *** *** * ***, *, **, ***

7(3)-03.fm

< D FBDC3C7E8BFACB1B8BAB8B0EDBCAD E687770>

GYYMABRYHANP.xls

untitled

옥천 일대의 지형

YCLYFGGFANQX.xls

102.fm

韓資植誌 Korean J. Plant Res. 24(5) : 549~556(2011) Chen, 2002; Walther et al., 2002; Lee et al., 2009). 기후변화에따른생물계절변화연구는장기간의모니터링을통해이루어지며, 계절변화연구는최근기후변화와기

옥천 일대의 지형

<BDC4BBFD30372DB3AAC1D6C8ADBCF85FB9DAB9AEBCF62DC6EDC1FD2E687770>

(044 김진숙).fm

2(2): 87~97,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ISSN Flora around Gudeok Campsite, Busan Metropolitan City, Korea Yo

03-서연옥.hwp

93251.hwp

hwp

DMZ 의식물 155 마일

년연구과제요약문 과제명광주광역시자연환경조사연구 -4 차년도 연구기간 사업비 47.5백만원성과산출부분정책반영 ( ), 조사연구 (0), 기술개발 ( ), 기타 ( ) 연구목적및목표 본연구는광주광역시의자연환경의현황을파악하고, 연차적으로자연환

유기억.fm

R hwp


옥천 일대의 지형

< C2F7C6EDC1FD BDC3C7E8BFACB1B8BAB8B0EDBCAD2E687770>

< DB3ADC1F62DBEEEB7F92DC6EDC1FD2E687770>

fm

제출문 농림축산식품부장관귀하 이보고서를 허브산업기반활용뷰티산업소재 제품개발및특화산업육성기획 과제의 보고서로제출합니다 년 5 월 16 일 주관연구기관명 :( 주 ) 하이솔 주관연구책임자 : 김광상 세부연구책임자 : 김광상 연 구 원 : 박이경 연 구 원 : 최

<30332D3039C1F6C7FCB0E6B0FC2E687770>

(056 김진숙).fm

fm

< DBFACB1B8BAB8B0EDBCAD28BBFDC5C2C1F6B5B529312E687770>

Korean J. Plant Res. 29(2): (2016) Print ISSN Online ISSN Original Research Art

Arctic Plants living in Ny-Ålesund and Longyearbyen, Svalbard by Yoo Kyung Lee, Gyu Lee, Eun Ju Lee 다산과학기지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북극 식물 Arctic Plants living in N

유주한 홍광표 : 부산광역시 해운정사의 조경식물과 식재특성 분석 Ⅰ. 서론 우리나라의 사찰은 산지, 마을, 도심 등 다양한 지역에 위치 하고, 이 중 전통사찰은 불상 등 불교 신앙의 대상을 봉안하고 승려의 수행활동, 신도 교화를 위한 건립, 축조된 건조물로 경 내지,

untitled

< 표지설명 > 한라산에자생하는왕벚나무와이나무의염색체.

<30302E20B8F1C2F72E666D>

韓資植誌 Korean J. Plant Res. 28(4) : 511~525(2015) 소, 기암 10개소, 계곡 4개소, 해변 1개소등 26개소의경관자원이있으며, 공원깃대종은소나무와원앙이다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3). 경주국립공원의

[00]_목차.hwp

<30312D3039C1F6C7FCB0E6B0FC2E687770>

신바이오작물보호제생물검정표준화및관리체계구축 작물보호생리활성물질소재탐색및 화

03.fm

102(1)-00(74).fm

<38392D B1E8BBF3C5C22E666D>

고당질 특수미 활용 식미 증진 연구

<BFACB1B8C0DAB7E C8A328C8F1B1CDC0AFC0FCC0DABFF8292DB3BBC1F6C6ED2E687770>

발간등록번호

01-Megascolex(dh)


[10_ 최종]JPR15-17(김현준_덕적도(옹진군) 및 인근 도서지역의).hwp

fm

17(2)-08.fm

목차 ⅰ ⅱ ⅱ ⅳ i

<30352D3035C1F6C7FCB0E6B0FC2E687770>

[00]_목차.hwp

Korean J. Pl. Taxon. 45(2): (2015) ISSN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A florisitic

천연물로부터티로시나제활성억제물질외탐색 457 lin \ tyrosinase 당쇄수식에의한성숙과정의저해 (glucosamin, tunicamycin) 이. 세포득성 (hydroquinone 등각종 phenol, catechol 유도체 ) 파^작용으로대별된다. 이처럼 me

서울大형校樹木園땀 f 究報告 22: 45-72(2002) Bull. of Seoul Nat 1 Univ. Arboretum 22: 45-72(2002) 水鳳 f 뻐 近했光橋山의植 4 쩨相 (II) 姜佑昌 1, 張珍成 1, 張桂援 1, 金輝 l, 金正歡 2 서울大學校農業

Transcription:

농업생명과학연구 45(3) pp.9-18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5(3) pp.9-18 비룡산 신갈나무림의 식물 다양성 김준수 1 홍진기 1 김경수 1 조용찬 2 배관호 3* 1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산림환경자원학과, 2 국립수목원, 3 경북대학교 생태환경시스템학부 접수일(2011년 03월 04일), 수정일(2011년 05월 05일), 게재확정일(2011년 06월 23일) Plant Diversity of Qurecus mongolica Forest in Mt. Biryong Jun-Soo Kim 1 Jin-Ki Hong 1 Kyung-Soo Kim 1 Yong-Chan Cho 2 Kwan-Ho Bae 3* 1 Dept. of Forest Environ. and Res., Graduate School of Sci. & Tech., Kyungpook Nat`l Univ., Sangju 742-711, Korea 2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487-821, Korea 3 School of Ecology & Environment syste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angju 742-711, Korea 초록 Received: MAR. 04. 2011, Revised: MAY. 05. 2011, Accepted: JUN. 23. 2011 본 연구는 경상북도 봉화군 비룡산 일대의 신갈나무림을 대상으로 하층수관층에 출현하는 식물 다양 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종-면적 곡선의 분석결과 신갈나무림 내의 식물다양성의 분석에 적정 크기의 방형구를 설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5개 조사구 전체의 소산식물은 47과 80속 91종 11변종 2 아종 3품종으로 총 107분류군이다. 본 조사에서 기록한 식물종 중 우리나라의 특산식물은 지리대사초, 고광나무, 병꽃나무로 총 3종이다. 한편 희귀식물로는 꼬리진달래 1종 뿐이다. 생육형은 광엽초본에 해 당하는 식물종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관목, 교목 순이었다. 검색어 - 신갈나무림, 식물의 다양성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species diversity of understory in Mt. Biryong. The quadrat size was installed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of Species-Area Curve. The vascular plants were enlisted 107 taxa: 47 families, 80 genera, 91 species, 11 varieties, 2 subspecies, and 3 forms. The three taxa such as Carex okamotoi, Philadelphus schrenkii var. schrenkii, and Weigela subsessilis were enlisted from the surveyed sites as the Korean endemic plants. Due to the list from the Korea Forestry Administration, Rhododendron micranthum was enlisted as the rare plant. The growth from was categorized followed by forbs, shrubs and trees, respectively. Key words - Quercus mongolica Forest, Plant diversity Ⅰ. 서 론 최근 기온상승에 따른 임상변화가 급격하게 일어 남에 따라 (장 및 권, 2007) 하층에 생육하고 있는 식물상도 동시에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인 해 생태적 지위폭이 낮은 희귀식물이나, 한국특산식 물 등의 보전 및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임 분 단위의 식물상 연구가 필수적이다. 우리나라에는 지역 (산계, 수계 등)을 중심으로 하는 식물상 연구 가 진행되어 왔으며, 현재에도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특정 임분을 대상으로 하는 식물상 연 구는 산림군락 분류를 목적으로 식물사회학적 조사 결과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으며, 실제적인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신갈나무는 한반도 온대 낙엽수림을 우점하는 식 생으로 (임업연구원 1988), 해발 500~600 m 이상 의 산지에 주로 분포하고 있어 (차 및 전, 1999) 생 태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는 봉화군 비룡산 일대의 신갈나무림을 대상으로 하 층에 출현하는 식물 다양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 었다. *Corresponding author: Kwan-Ho Bae Tel: +82-54-530-1245 Fax: +82-54-530-1248 E-mail: 62khbae@knu.ac.kr

10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5(3) Ⅱ. 재료 및 방법 2.1 조사지 개황 본 조사지역인 비룡산 (1,129 m)은 봉화군 석포 면 승부리와 분천리에 걸쳐 있다 (Fig. 1). 상층 식 생은 신갈나무림이 우점하고 하고 있으며 사면하부 에 인접하고 있는 조사구는 졸참나무, 박달나무 등의 밀도 또한 높게 나타나고 있다. 능선부에는 쇠물푸레 나무의 밀도가 높게 나타난다. 전체 조사구의 평균 흉고단면적은 29.6±1.7 m 2 /ha, 평균 밀도는 972.0± 81.9본으로 나타났다 (Table 1). 100 m 100 m 크기로 이루어진 5개 방형구는 벌채방법[군상잔존벌 (Aggregated Retention Harvest, ARH) 및 산생잔존벌 (Dispersal Retention Harvest, DRH) 및 잔존율 (15%, 50%)에 차이를 둔 사업예정지역과 대조구로 이루어져 있다. Fig 1. Location of studied area. Table 1. Means of area (m 2 /ha) and density (stems/ha) of tree species in studied sites Method of forest cutting Aggregated retention Dispersal retention Control 50% 15% 50% 15% Mean parameter BHA Density BHA Density BHA Density BHA Density BHA Density BHA Density Quercus mongolica 26.4 810.0 17.8 438.0 20.7 913.0 17.1 357.0 17.9 503.0 20.0±1.7 604.2±108.8 Pinus densiflora 7.0 165.0 0.3 4.0 2.2 33.0 6.3 93.0 4.3 51.0 4.0±1.2 69.2±28.0 Fraxinus sieboldiana 0.4 82.0 0.5 124.0 <0.1 6.0 0.1 15.0 0.2 53.0 0.2±0.1 56.0±21.8 Betula schmidtii 0.2 3.0 0.6 32.0 1.6 42.0 4.1 125.0 1.3±0.8 40.4±22.7 Acer pseudosieboldianum 0.1 10.0 0.7 98.0 0.1 24.0 0.4 32.0 0.3 29.0 0.3±0.1 38.6±15.3 Magnolia sieboldii <0.1 9.0 1.1 105.0 <0.1 9.0 0.1 12.0 0.1 24.0 0.3±0.2 31.8±18.5 Fraxinus rhynchophylla <0.1 1.0 1.3 82.0 0.1 14.0 0.2 18.0 0.2 16.0 0.4±0.2 26.2±14.3 Quercus serrata 2.9 57.0 0.2 1.0 1.7 40.0 1.0±0.6 19.6±12.1 Cornus controversa 0.1 3.0 0.2 14.0 1.0 44.0 0.3 13.0 0.3±0.2 14.8±7.8 Morus bombycis <0.1 1.0 0.2 24.0 0.1 15.0 0.1 18.0 0.1 9.0 0.1±0.1 13.4±3.9 Maackia amurensis <0.1 1.0 0.2 15.0 0.2 9.0 0.2 17.0 0.3 17.0 0.2±0.1 11.8±3.1 Tilia amurensis <0.1 2.0 0.3 6.0 0.3 9.0 1.1 29.0 0.3±0.2 9.2±5.2 Juglans mandshurica 0.7 17.0 0.3 7.0 0.6 5.0 0.3 6.0 0.4±0.1 7.0±2.8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0.1 3.0 0.5 13.0 0.3 5.0 0.1 5.0 0.2±0.1 5.2±2.2 Quercus variabilis <0.1 1.0 0.8 13.0 0.4 9.0 0.2±0.2 4.6±2.7 Acer pictum subsp. mono <0.1 1.0 <0.1 2.0 0.1 3.0 0.2 14.0 0.1±0.1 4.0±2.6 Phellodendron amurense 0.1 5.0 <0.1 1.0 0.2 11.0 0.1±0.1 3.4±2.1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0.1 1.0 <0.1 3.0 <0.1 8.0 <0.1 2.4±1.5 Kalopanax septemlobus 0.1 4.0 <0.1 3.0 0.2 4.0 0.1±0.1 2.2±0.9 Sorbus alnifolia 0.1 10.0 <0.1 2.0±2.0 Rhus tricocarpa <0.1 5.0 <0.1 1.0 <0.1 1.2±1.0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0.1 1.0 0.1 4.0 <0.1 1.0 <0.1 1.2±0.7 Populus davidiana 0.1 4.0 <0.1 2.0 <0.1 1.2±0.8 Betula davurica <0.1 1.0 0.1 2.0 0.1 1.0 <0.1 <0.1 0.8±0.4 Styrax obassia <0.1 2.0 <0.1 1.0 <0.1 0.6±0.4 Lindera obtusiloba <0.1 2.0 <0.1 0.4±0.4 Betula costata 0.1 1.0 <0.1 1.0 <0.1 0.4±0.2 Salix caprea <0.1 1.0 <0.1 0.2±0.2 Total 34.2 1087.0 23.9 953.0 29.3 1176.0 29.0 692.0 31.7 952.0 29.6±1.7 972.0±81.9

Kim et al : Plant Diversity of Qurecus mongolica Forest in Mt. Biryong 11 2.2 조사방법 및 내용 식물상 조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1 ha의 방형구를 20 m 20 m 크기의 소방형구로 세분하였다. 소 방형구 내에 원형 방형구를 설치한 후, 3방위 (0, 120, 240 )로 1 m 4 m의 미세방형구를 설치 하였다 (Fig 2). 미세방형구 내에 나타난 모든 종을 기록하였다. 신갈나무림의 식물 다양성을 나타내기 위한 적정 크기의 조사구가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하 기 위해 pc-ord 5.0을 이용하여 종-면적 곡선을 작 성하였다. 출현한 식물종의 동정은 이 (2003a, b), 이 (1996) 등의 도감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출현한 관속식물목록의 작성은 Engler의 분류체계 (Melchior, 1964)를 따랐고, 양치식물은 Tagawa & Iwasuki (1992)의 분류체계에 따라 정리하였다. 학 명 및 국명은 국립수목원 (2007)에서 제시한 국가표 준식물목록에 준하였다. 한국특산식물은 한반도 특 산 관속식물 (오 등, 2005)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으 며, 희귀식물은 한국 희귀식물 목록집 (국립수목원, 2008)에 나타난 목록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다. 군상잔전볼 (15%) 지역은 실제 조사면적인 228 m2 에서도 지속적인 증가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기울 기가 크지 않고, 군상잔존벌 (50%) 시업 예정지, 대 조구, 산생잔존벌 시업 예정지 (15%, 50%) 모두 실 제 조사면적에 도달되면서 기울기가 0에 가까워져 있다. 따라서 신갈나무림 내의 식물 다양성을 분석하 는데 적정 크기의 방형구가 설치되었다고 판단된다. Fig 2. Schematic diagram for sampling design. Ⅲ. 결과 및 고찰 3.1 종-면적 곡선 신갈나무림의 식물 다양성을 나타내기 위한 적정 크기의 조사구가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종- 면적 곡선을 작성하였다 (Fig 3). 5개 조사구의 종- 면적 곡선은 50 m2 이하에서 기울기의 증가가 완만 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군상잔존벌 (50%) 지 역은 25 m2 이내에서부터 기울기의 감소가 나타났 Fig 3. Species-area curve for each plots.

12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5(3) 3.2 식물상 봉화 비룡산 일대의 신갈나무림의 식물상을 조사 한 결과는 Table 2~6과 같다. 군상잔존벌 (15%) 예정지의 소산식물은 30과 46속 47종 2아종 5변종 2품종으로 5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조사된 관속식물 중 양치식물 (Pteridophyte)은 3과 3속 2종 1변종 3 분류군으로 전체의 5.4%, 피자식물 (Angiospermae) 은 27과 43속 45종 2아종 4변종 2품종 53분류군으 로 94.6%로 나타났으며, 나자식물 (Gymnospermae) 은 출현하지 않았다. 또한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 (Dicotyledoneae)은 24과 37속 37종 2아종 3변종 2 품종 44분류군으로 83.0%, 단자엽식물 (Monocoty ledoneae)은 3과 6속 8종 1변종 9 분류군으로 17.0%로 분석되었다 (Table 2). Table 2. Summary on the Floristics of scheduled area for aggregated retention harvest (15%) Taxa / System Family Genus Species subsp var. for. Total taxa Pteridophyte 3 3 2 0 1 0 3 Gymnospermae 0 0 0 0 0 0 0 Angiospermae 27 43 45 2 4 2 53 Dicotyledoneae 24 37 37 2 3 2 44 Monocotyledoneae 3 6 8 0 1 0 9 Total 30 46 47 2 5 2 56 군상잔존벌 (50%) 예정지의 소산식물은 18과 22 속 27종 2변종 1품종으로 3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조사된 관속식물 중 양치식물은 1과 1속 1종 1분류 군으로 전체의 3.3%, 피자식물은 17과 21속 26종 2 변종 1품종 29분류군으로 96.7%로 나타났으며, 나 자식물은 출현하지 않았다. 또한 피자식물 중 쌍자엽 식물은 15과 18속 20종 1변종 1품종 22분류군으로 75.9%, 단자엽식물은 2과 3속 6종 1변종 7분류군으 로 24.1%로 분석되었다 (Table 3). Table 3. Summary on the Floristics of scheduled area for aggregated retention harvest (50%) Taxa / System Family Genus Species subsp var. for. Total taxa Pteridophyte 1 1 1 0 0 0 1 Gymnospermae 0 0 0 0 0 0 0 Angiospermae 17 21 26 0 2 1 29 Dicotyledoneae 15 18 20 0 1 1 22 Monocotyledoneae 2 3 6 0 1 0 7 Total 18 22 27 0 2 1 30 대조구 예정지의 소산식물은 34과 50속 48종 1 아종 7변종 3품종으로 5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조 사된 관속식물 중 양치식물은 2과 2속 2종 2분류군 으로 전체의 3.4%, 피자식물은 32과 48속 46종 1 아종 7변종 3품종 62분류군으로 96.6%로 나타났으 며, 나자식물은 출현하지 않았다. 또한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은 27과 39속 37종 1아종 5변종 2품종 45분류군으로 78.9%, 단자엽식물은 5과 9속 9종 2 변종 1품종 12분류군으로 21.1%로 분석되었다 (Table 4). Table 4. Summary on the Floristics of Control Taxa / System Family Genus Species subsp var. for. Total taxa Pteridophyte 2 2 2 0 0 0 2 Gymnospermae 0 0 0 0 0 0 0 Angiospermae 32 48 46 1 7 3 57 Dicotyledoneae 27 39 37 1 5 2 45 Monocotyledoneae 5 9 9 0 2 1 12 Total 34 50 48 1 7 3 59

Kim et al : Plant Diversity of Qurecus mongolica Forest in Mt. Biryong 13 산생잔존벌 (15%) 예정지의 소산식물은 31과 46 속 45종 2아종 5변종 3품종으로 55분류군이 확인되 었다. 조사된 관속식물 중 양치식물은 3과 3속 3종 3분류군으로 전체의 5.5%, 피자식물은 28과 43속 42종 2아종 5변종 3품종 52분류군으로 94.5%로 나 타났으며, 나자식물은 출현하지 않았다. 또한 피자식 물 중 쌍자엽식물은 23과 34속 33종 2아종 3변종 2 품종 40분류군으로 72.7%, 단자엽식물은 5과 9속 9 종 2변종 1품종 12분류군으로 27.3%로 분석되었다 (Table 5). Table 5. Summary on the Floristics of scheduled area for dispersal retention harvest (15%) Taxa / System Family Genus Species subsp var. for. Total taxa Pteridophyte 3 3 3 0 0 0 3 Gymnospermae 0 0 0 0 0 0 0 Angiospermae 28 43 42 2 5 3 52 Dicotyledoneae 23 34 33 2 3 2 40 Monocotyledoneae 5 9 9 0 2 1 12 Total 31 46 45 2 5 3 55 산생잔존벌 (50%) 예정지의 소산식물은 29과 48 속 49종 2아종 7변종 2품종으로 60분류군이 확인되 었다. 조사된 관속식물 중 양치식물은 4과 5속 4종 2변종 6분류군으로 전체의 10.0%, 나자식물은 1과 1속 1종 1분류군으로 1.7%, 피자식물은 24과 42속 44종 2아종 5변종 2품종 53분류군으로 88.3%로 나 타났다. 또한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은 21과 34속 34종 2아종 4변종 2품종 42분류군으로 79.2%, 단자 엽식물은 3과 8속 10종 1변종 11분류군으로 16.7% 로 분석되었다 (Table 6). Table 6. Summary on the Floristics of dispersal retention harvest (50%) Taxa / System Family Genus Species subsp var. for. Total taxa Pteridophyte 4 5 4 0 2 0 6 Gymnospermae 1 1 1 0 0 0 1 Angiospermae 24 42 44 2 5 2 53 Dicotyledoneae 21 34 34 2 4 2 42 Monocotyledoneae 3 8 10 0 1 0 11 Total 29 48 49 2 7 2 60 5개 조사구 전체의 소산식물은 47과 80속 91종 11변종 2아종 3품종으로 총 107분류군이 확인되었 다. 조사된 관목식물 중 양치식물은 5과 6속 6종 2 변종 8분류군으로 전체의 7.5%로 나타났다. 나자식 물은 1과 1속 1종 1분류군으로 전체 출현식물 중 0.9%, 피자식물은 41과 73속 84종 2아종 9변종 3 품종 98분류군으로 91.5%%로 나타났다.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은 35과 61속 66종 7변종 2아종 2품 종 77분류군으로 전체 출현식물의 72.0%로 나타났 고, 단자엽식물은 6과 13속 18종 2변종 1품종 21분 류군으로 19.6%로 분석되었다. 3.3 한국특산식물 및 희귀식물 조사구 내 한국특산식물은 지리대사초, 고광나무, 병 꽃나무로 총 3종류로 나타났고, 희귀식물로는 꼬리진 달래가 조사되었다 (Table 7). 꼬리진달래는 군상잔존 벌 (50%) 예정지에서만 나타났다. 한국특산식물의 경 우 군상잔존벌 (15%) 예정지, 산생잔존벌 (15%, 50%) 예정지에서는 3종이 모두 나타났고, 대조구와 군상잔 존벌 (50%) 예정지에서는 지리대사초만 나타났다.

14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5(3) Table 7. List of the endemic and rare plants in survey area Family Taxa Note. Cyperaceae Carex okamotoi Ohwi 지리대사초 Endemic Saxifragaceae Philadelphus schrenkii Rupr. 고광나무 Endemic Caprifoliaceae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병꽃나무 Endemic Ericaceae 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꼬리진달래 VU * * 취약종 (VU : Vulnerable) 3.4 생육형 각 조사구의 출현종을 생육형 (교목, 관목, 광엽초 본, 덩굴식물, 양치식물, 협엽초본)으로 구분하였다. 5개 조사구에서 광엽초본의 종 수가 가장 높게 나타 났고, 관목, 교목 순이었다. 대조구 및 산생잔존벌 예정지에서 군상잔존벌 예정지보다 관목종의 수가 높게 나타나는 것은 계곡부 및 사면하부에 위치하고 있어 수분관계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8. Summary on the growth form Site Growth form ARH (15%) ARH (50%) C DRH (15%) DRH (50%) Tree 10 5 11 9 12 Shrub 12 8 15 15 17 Forb 20 10 20 18 16 Vine 6 2 6 5 4 Fern 3 1 2 3 6 Graminoid 5 4 5 5 5 Total 56 30 59 55 60 Ⅳ. 감사의 글 본 연구는 산림청 산림과학기술개발사업 (과 제번호 : S121010L020100) 의 지원에 의해 수행 된 연구결과의 일부입니다. 연구비 지원에 감사 드립니다. Literature cited Melchior, H. 1964. An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Ⅱ. Gebruder Borntraeger, Berlin. 666pp. Tagawa, Iwasuki. 1992. Ferns and Fern allies of Japan. Heibonsha. 국립수목원. 2008. 한국 희귀식물 목록집. 국립수목 원. 205pp. 국립수목원. 2007. 국가표준식물목록. 국립수목원. 534pp. 이창복. 2003a. 원색 대한식물도감(상). 향문사. 서 울, 914pp 이창복. 2003b. 원색 대한식물도감(하). 향문사. 서 울, 910pp. 이영노. 1996. 한국식물도감. 교학사. 서울. 1247pp. 임업연구원. 1988. 참나무자원의 조합이용 개발에 관한 연구(Ⅰ). 과학기술처. 226pp. 오병운, 조동광, 김규식, 장창기. 2005 한반도 특산 관속식물. 국립수목원. 서울, 205pp. 장동호, 권원태. 2007. 위성영상을 이용한 남서해안 지역의 기온변화에 따른 식생 분석. 한국지형학회 지. 14: 67-75. 차윤정, 전승훈. 2009. 신갈나무 투쟁기. 지성사. 304pp.

Kim et al : Plant Diversity of Qurecus mongolica Forest in Mt. Biryong 15 Appendix 1. List of vascular plants of Qurecus mongolica Forest in Mt. Biryong Scientific name Common ARH ARH DRH DRH C name (15%) (50%) (15%) (50%) Pteridophyte 양치식물문 Leptosporangiatae 고사리아강 Filicales 고사리목 Dennstaedtiaceae 잔고사리과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Desv.) Und. ex Heller. 고사리 Osmundaceae 고비과 Osmunda cinnamomea var. fokiensis Copel. 꿩고비 Dryopteridaceae 면마과 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관중 Polystichum tripteron (Kunze) C.Presl 십자고사리 Woodsiaceae 개고사리과 Athyrium yokoscense (Franch. & Sav.) Christ 뱀고사리 Athyrium brevifrons Kodama ex Nakai 참새발고사리 Deparia pycnosora (Christ) M.Kato 털고사리 Gymnospermae 나자식물문 Coniferopsida 구과식물강 Coniferales 구과목 Pinaceae 소나무과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소나무 Angiospermae 피자식물문 Dicotyledoneae 쌍자엽식물강 Archichlamydeae 이판화아강 Salicales 버드나무목 Salicaceae 버드나무과 Populus davidiana Dode 사시나무 Fagales 참나무목 Betulaceae 자작나무과 Betula schmidtii Regel 박달나무 Betula davurica Pall. 물박달나무 Corylus sieboldiana var. mandshurica (Maxim. & Rupr.) C.K.Schneid. 물개암나무 Fagaceae 참나무과 Quercus variabilis Blume 굴참나무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신갈나무 Quercus serrata Thunb. 졸참나무 Urticales 쐐기풀목 Ulmaceae 느릅나무과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Rehder) Nakai 느릅나무 Moraceae 뽕나무과 Morus bombycis Koidz. 산뽕나무 Caryophyllales 석죽목 Caryophyllaceae 석죽과 Pseudostellaria palibiniana (Takeda) Ohwi 큰개별꽃 RAnales 미나리아재비목 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Clematis heracleifolia DC. 병조희풀 Clematis apiifolia DC. 사위질빵 Thalictrum filamentosum var. tenerum (Huth) Ohwi 산꿩의다리 Actaea asiatica H.Hara 노루삼 Cimicifuga heracleifolia Kom. 승마 Magnoliales 목련목 Magnoliaceae 목련과 Magnolia sieboldii K.Koch 함박꽃나무

16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5(3) Appendix 1. (Continued) Specific name Common ARH ARH DRH DRH C name (15%) (50%) (15%) (50%) Schisandraceae 오미자과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 오미자 Lauraceae 녹나무과 Lindera obtusiloba Blume 생강나무 Rosales 장미목 Saxifragaceae 범의귀과 Astilbe rubra Hook.f. & Thomas ex Hook.f. 노루오줌 Deutzia glabrata Kom. 물참대 Deutzia uniflora Shirai 매화말발도리 Philadelphus schrenkii Rupr. 고광나무 Hydrangea serrata for. acuminata (Siebold & Zucc.) Wilson 산수국 Rosaceae 장미과 국수나무 Stephanandra incisa (Thunb.) Zabel Rubus crataegifolius Bunge 산딸기 Sorbus alnifolia (Siebold & Zucc.) K.Koch 팥배나무 Leguminosae 콩과 다릅나무 Maackia amurensis Rupr. & Maxim. Lespedeza maximowiczii C.K.Schneid. 조록싸리 Lespedeza bicolor Turcz. 싸리 Sapindales 무환자나무목 Anacardiaceae 옻나무과 개옻나무 Rhus tricocarpa Miq. Celastraceae 노박덩굴과 회나무 Euonymus sachalinensis (F.Schmidt) Maxim. Celastrus flagellaris Rupr. 푼지나무 Tripterygium regelii Sprague & Takeda 미역줄나무 Aceraceae 단풍나무과 Acer pictum subsp. mono (Maxim.) Ohashi 고로쇠나무 Acer pseudosieboldianum (Pax) Kom. 당단풍나무 Rhamnales 갈매나무목 Vitaceae 포도과 Ampelopsis brevipedunculata (Maxim.) Trautv. 개머루 Parthenocissus tricuspidata (Siebold & Zucc.) Planch. 담쟁이덩굴 측막태좌목 Parietales Actinidiaceae 다래나무과 다래 Actinidia arguta (Siebold & Zucc.) Planch. ex Miq. Violaceae 제비꽃과 남산제비꽃 Viola albida var. chaerophylloides (Regel) F.Maek. Umbellales 산형화목 Alangiaceae 박쥐나무과 박쥐나무 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 (Miq.) Ohwi 음나무 Araliaceae 두릅나무과 Kalopanax septemlobus (Thunb.) Koidz. Umbelliferae 산형과 Pimpinella brachycarpa (Kom.) Nakai 참나물 Angelica decursiva (Miq.) Franch. & Sav. 바디나물 Pyrolaceae 노루발과 Pyrola japonica Klenze ex Alef. 노루발 Ericaceae 진달래과 꼬리진달래 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진달래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 철쭉

Kim et al : Plant Diversity of Qurecus mongolica Forest in Mt. Biryong 17 Appendix 1. (Continued) Specific name Common ARH ARH DRH DRH C name (15%) (50%) (15%) (50%) Vaccinium hirtum var. koreanum (Nakai) Kitam. 산앵도나무 Ebenales 감나무목 Symplocaceae 노린재나무과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Nakai) Ohwi 노린재나무 Styracaceae 때죽나무과 Styrax obassia Siebold & Zucc. 쪽동백나무 Gentianales 용담목 Oleaceae 물푸레나무과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물푸레나무 Fraxinus sieboldiana Blume 쇠물푸레나무 Syringa patula (Palib.) Nakai 털개회나무 Gentianaceae 용담과 Gentiana zollingeri Faw. 큰구슬붕이 Tubiflorales 통꽃식물목 Verbenaceae 마편초과 Callicarpa japonica Thunb. 작살나무 Labiatae 꿀풀과 Isodon inflexus (Thunb.)Kudô 산박하 Isodon excisus (Maxim.) Kudô 오리방풀 Scutellaria indica L. 골무꽃 Rubiales 꼭두서니목 Rubiaceae 꼭두서니과 Rubia akane Nakai 꼭두서니 Rubia chinensis Regel & Maack 큰꼭두서니 Caprifoliaceae 인동과 Weigela florida (Bunge) A.DC. 붉은병꽃나무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병꽃나무 Valerianaceae 마타리과 Patrinia villosa (Thunb.) Juss. 뚝갈 Campanulales 초롱꽃목 Campanulaceae 초롱꽃과 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 Zucc.) Trautv. 더덕 Compositae 국화과 Atractylodes ovata (Thunb.) DC. 삽주 Saussurea grandifolia Maxim. 서덜취 Synurus deltoides (Aiton) Nakai 수리취 Ainsliaea acerifolia Sch.Bip. 단풍취 Eupatorium japonicum Thunb. 등골나물 Solidago virgaurea subsp. asiatica Kitam. ex Hara 미역취 Aster scaber Thunb. 참취 Syneilesis palmata (Thunb.) Maxim. 우산나물 Artemisia keiskeana Miq. 맑은대쑥 Artemisia stolonifera (Maxim.) Kom. 넓은잎외잎쑥 Monocotyledoneae 단자엽식물강 Graminales 벼목 Gramineae 벼과 Sasa borealis (Hack.) Makino 조릿대 Spodiopogon sibiricus Trin. 큰기름새 Calamagrostis arundinacea (L.) Roth 실새풀 Cyperales 사초목 Cyperaceae 사초과 Carex humilis var. nana (H.Lév. & Vaniot) Ohwi 가는잎그늘사초

18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5(3) Appendix 1. (Continued) Specific name Common ARH ARH DRH DRH C name (15%) (50%) (15%) (50%) Carex siderosticta Hance 대사초 Carex okamotoi Ohwi 지리대사초 Arales 천남성목 Araceae 천남성과 Arisaema amurense for. serratum (Nakai) Kitagausa 천남성 Arisaema peninsulae Nakai 점박이천남성 Liliales 백합목 Liliaceae 백합과 Disporum smilacinum A.Gray 애기나리 Polygonatum lasianthum Maxim. 죽대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Miq.) Ohwi 둥굴레 Polygonatum involucratum (Franch. & Sav.) Maxim. 용둥굴레 Polygonatum inflatum Kom. 퉁둥굴레 Smilax nipponica Miq. 선밀나물 Heloniopsis koreana Fuse, N.S.Lee & M.N.Tamura 처녀치마 Hosta capitata (Koidz.) Nakai 일월비비추 Hemerocallis fulva (L.) L. 원추리 Dioscoreaceae 마과 Dioscorea nipponica Makino 부채마 Dioscorea septemloba Thunb. 국화마 Orchidales 난초목 Orchidaceae 난초과 Cephalanthera longibracteata Blume 은대난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