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Biol Psychiatry 2015;22(4): 에 따라 환자마다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므로 환자에 따라 증상의 경과나 약물치료에 대한 반응 예후도 다양하다 이러한 조현병의 다양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조현병의 증상들을 여러 차원으로 나누어 분

Similar documents
Lumbar spine

DBPIA-NURIMEDIA

노인정신의학회보14-1호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DBPIA-NURIMEDIA

44-4대지.07이영희532~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012임수진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歯5-2-13(전미희외).PDF

서론 34 2


(5차 편집).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A 617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 456, 253 ( 89, 164 ), 203 ( 44, 159 ). Cronbach α= ,.,,..,,,.,. :,, ( )

DBPIA-NURIMEDIA

지난 2009년 11월 애플의 아이폰 출시로 대중화에 접어든 국내 스마트폰의 역사는 4년 만에 ‘1인 1스마트폰 시대’를 눈앞에 두면서 모바일 최강국의 꿈을 실현해 가고 있다

DBPIA-NURIMEDIA

ORIGINAL ARTIC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9;58(3): Print ISSN Online ISSN


<30392EB9DAB0A1B6F72CC1A4B3B2BFEE2E687770>

DBPIA-NURIMEDIA

03이경미(237~248)ok

Jkcs022(89-113).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The Effect of Caree

<5BBEF0BEEE33332D335D20312EB1E8B4EBC0CD2E687770>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DBPIA-NURIMEDIA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 45 1,258 ( 601, 657; 1,111, 147). Cronbach α=.67.95, 95.1%, Kappa.95.,,,,,,.,...,.,,,,.,,,,,.. :,, ( )

DBPIA-NURIMEDIA

특수교육논총 * ,,,,..,..,, 76.7%.,,,.,,.. * 1. **

서론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hwp

untitled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IPA * Analysis of Perc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The Mediating Ef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view of Research

±èÇ¥³â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278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DBPIA-NURIMEDIA

<626BBBE7B7CAB0FCB8AEC1F6C4A7BCAD30332E687770>

- 최원희ㆍ 김명희: 중년후기 여성의 집단회상 경험과 효과에 대한 연구 - 에 직면하며 심리 사회적인 역할갈등, 고립, 위축, 상실 감 등을 경험하게 된다. 이 시기동안 위기에 잘 대처하 지 못하면 자신에 대하여 실망하며 두려움과 슬픔 등 을 겪으면서 자아존중감이 낮아

- KEY WORDS 서론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1..

139~144 ¿À°ø¾àħ

., (, 2000;, 1993;,,, 1994), () 65, 4 51, (,, ). 33, 4 30, 23 3 (, ) () () 25, (),,,, (,,, 2015b). 1 5,

歯김길문.PDF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 )Jkstro011.hwp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歯1.PD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김범수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 ( 황수경 ) ꌙ 127 노동정책연구 제 4 권제 2 호 pp.127~148 c 한국노동연구원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황수경 *, (disabi

Sheu HM, et al., British J Dermatol 1997; 136: Kao JS, et al., J Invest Dermatol 2003; 120:

03-서연옥.hwp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원저대한정신약물학회지 2015;26(2):43-49 pissn / eissn online ML Comm 한국판약물순응척도의표준화연구 장진구 1 노대영 2 김찬형 1 연세대학교의과대학정신과학교실, 의학행동과학연구소, 1 한림대학교의과대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자장세기에 따른 MRI 품질관리 영상검사의 개별항목점수 실태조사 A B Fig. 1. High-contrast spatial resolution in phantom test. A. Slice 1 with three sets of hole arr

Microsoft Word doc

untitled

118 김정민 송신철 심규철 을 미치기 때문이다(강석진 등, 2000; 심규철 등, 2001; 윤치원 등, 2005; 하태경 등, 2004; Schibeci, 1983). 모둠 내에서 구성원들이 공동으 로 추구하는 학습 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각자 맡은 역할에 따라 함께

, ( ) * 1) *** *** (KCGS) 2003, 2004 (CGI),. (+),.,,,.,. (endogeneity) (reverse causality),.,,,. I ( ) *. ** ***

Rheu-suppl 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A study on Characte

16(1)-3(국문)(p.40-45).fm

(

다문화 가정의 부모


online ML Comm Korean J Schizophr Res Vol , 2013 자아존중감과의심의상관성 : 정상군, 정신증고위험군, 최근발병조현병군 연세대학교의과대학정신과학교실, 1 연세대학교의학행동과학연구소 2 윤희우 1 송윤영 1,2 강지인 1,2

<31372DB9DABAB4C8A32E687770>

분석결과 Special Edition 녹색건물의 가치산정 및 탄소배출 평가 이슈 서 민간분야의 적극적인 참여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우리나라는 녹색건축의 경제성에 대한 검증에 대 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반면, 미국, 영국, 호주 등은 민간 주도로 녹색건축물

online ML Comm ORIGINAL ARTICLE 환청이있는조현병환자에서음악듣기의효과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2;51: ISSN 울산대학교의과대학서울아산병원정신건강의학교

May 10~ Hotel Inter-Burgo Exco, Daegu Plenary lectures From metabolic syndrome to diabetes Meta-inflammation responsible for the progression fr


차 례... 박영목 **.,... * **.,., ,,,.,,

歯14.양돈규.hwp

<30382EC0C7C7D0B0ADC1C22E687770>

학습영역의 Taxonomy에 기초한 CD-ROM Title의 효과분석

09구자용(489~500)

975_983 특집-한규철, 정원호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권6호-전체최종.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An Exploratory Stud


Transcription:

online ML Comm ORIGINAL ARTICLE ISSN 1225-8709 / eissn 2005-7571 Korean J Biol Psychiatry 2015;22(4):163-172 PANSS 동국대학교일산병원정신건강의학과, 1 동국대학교의과대학임상정신약물학연구소 2 신샘이 1 김세현 1,2 이남영 1,2 윤ㅔ탁 1,2 김용식 1,2 정인원 1,2 Multidimensional Relationship between Auditory Verbal Hallucinations and PANSS Factors of Psychopathology i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am Yi Shin, MD, 1 Se Hyun Kim, MD, 1,2 Nam Young Lee, MD, 1,2 Tak Youn, MD, 1,2 Yong Sik Kim, MD, 1,2 In Won Chung, MD 1,2 1 Department of Psychiatry, Dongguk University Ilsan Hospital, Goyang, Korea 2 Institute of Clinical Psychopharmacology, Donggu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Goyang, Korea ObjectivesZZ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multidimensional relationship between auditory verbal hallucinations (AVHs) and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 factors of psychopathology i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we explored the differences between assessments to hallucination by the clinicians and patients. MethodsZZ82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ho were assessed by the Hamilton Program for Schizophrenia Voices Questionnaire (HPSVQ), Psychotic Symptom Rating Scale-Auditory Hallucination (PSYRATS-AHS), and the PANSS were recruited. Hwang s fivefactor model of PANSS, items and total scores of hallucination scales, Kim s and Haddock s factor models of hallucination were applied to exa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psychopathology and AVHs. AVH-positive patients was 50 in PANSS-HPSVQ group and 24 in PANSS-PSYRATS-AHS. These two groups were separately analyzed. ResultsZZAmong the five factors of the PANSS, negative and depression/anxiety factors were correlated with the total scores of HPS- VQ and PSYRATS-AHS, and positive and autistic preoccupation factors were correlated only with the total score of PSYRATS-AHS. The activation factor was correlated with none of the total scores of HPSVQ/PSYRATS-AHS. These correlation patterns of a total score of HPSVQ/PSYRATS-AHS were same in the emotional factor of HPSVQ and physical factor of PSYRATS-AHS respectively. In the items which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correlation coefficients of PANSS-PSYRATS-AHS group ranged between 0.406-0.755 and those of PANSS-HPSVQ ranged between 0.283-0.420. ConclusionsZZ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psychopathological domains of schizophrenia were differentially correlated with AVHs and the assessment of AVHs by clinicians and patients showed substantial differences which should be integrated into the therapeutic interventions. Key WordsZZSchizophrenia ㆍ Psychopathology ㆍ Auditory verbal hallucination. Received: July 8, 2015 / Revised: August 6, 2015 / Accepted: August 25, 2015 Address for correspondence: In Won Chung, MD Department of Psychiatry, Dongguk University Ilsan Hospital, 27 Dongguk-ro, Ilsandong-gu, Goyang 10326, Korea Tel: +82-31-961-7239, Fax: +82-31-961-7236, E-mail: ciw@duih.org 조현병의 원인 및 병태생리에 대해 통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단일한 가설이나 보편타당한 개념을 세우려는 노력이 지속하여 왔으나 대부분 한계에 부딪혔다 이러한 한계로 인 해 조현병을 단일한 질환으로 보는 관점에서 벗어나 여러 종류의 증상들이 상호작용하여 형성된 다차원적인 질환군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자는 주장 이 설득력을 얻게 되었다 조현병은 사고와 지각 정서 등 전반적인 정신 영역들을 침범하며 각 영역의 병적 증상들이 어떻게 발현하고 조합되느냐 Copyright 2015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Psychiatry 163

Korean J Biol Psychiatry 2015;22(4):163-172 에 따라 환자마다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므로 환자에 따라 증상의 경과나 약물치료에 대한 반응 예후도 다양하다 이러한 조현병의 다양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조현병의 증상들을 여러 차원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각 차원의 상호작용과 위계 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초기 정신의학자들은 조현병의 다양한 증상들을 크게 양성 및 음성 증상으로 나누어 이해하고자 했다 그러나 환자가 가진 문제를 너무 단순화한다는 비판이 있어 왔고 이후 양성 음성 일반 정신병리 요인을 포함하는 요인 모델 또는 양성 음성 정서 흥분 인지 요인을 포함하는 요인 모델 등이 발달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등 이 명의 조현병 조현정동장애 환자의 이하 결과를 요인분석한 결과 양성 음성 자폐적 몰입 활동성 우울 불안 요인들로 나누어짐을 보고한 바 있다 환청은 조현병의 대표적인 양성증상으로 약 의 환자에서 보고되며 주로 언어성 환청의 형태로 나타난다 환청군에서 첫 입원 연령이 낮으며 현실검증력의 손상이 심한 경향이 있다 환청은 종종 환자의 정서적 행동적 반응을 변화시키며 약 의 환자가 환청에 반응하여 심각한 자살기도를 보이지만 환자의 에서는 항정신병약물 등의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다 이처럼 환청은 조현병에서 중요한 임상적 의의를 지니고 있으나 환청에 대한 명확한 개념을 세우고 병태생리를 이해하려는 노력은 대부분 불완전한 시도에 그쳤다 와 는 이러한 실패와 논란이 반복되는 이유로서 환청을 질병 특이적인 혹은 단일한 실체로 바라보려는 시도에서 찾았다 환청은 질병 및 경과에 따라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또한 정신영역 중에서 지각 영역뿐만 아니라 개인의 인지 감정 등의 요소를 포함하며 언어 및 행동 영역 등과 연관되는 복합적 현상이다 환청의 다양성과 복합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조현병의 다른 정신병리와 마찬가지로 다차원적인 접근이 시도되고 있다 등 은 여 가지 차원으로 환청을 설명하였는데 이후로 임상 현장에서 환청의 다차원성을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척도들이 개발되었다 특히 환자용으로 해밀턴 프로그램 조현병 언어성 환청 척도 - 이하 와 임상가용으로 정신증상평가척도 환청 이하 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등 은 환청을 보이는 명의 국내 조현병 환자의 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전체 항목이 크게 정서적 요인과 물리적 요인으로 나뉠 수 있음을 보였다 또 등 은 환청을 보이는 명의 정신증 환 자를 대상으로 를 시행하였고 이를 통해 평가한 환청의 세부항목들이 물리적 요인 인지적 요인 정서적 요인으로 묶일 수 있음을 보였다 조현병뿐 아니라 환청의 다차원적 측면을 고려하였을 때 환청을 양성증상의 하나로만 바라보는 것은 환자가 가진 문제와 고통을 단순화할 위험성이 있다 환청과 조현병의 다른 정신병리들과의 관련성을 탐구한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환청은 음성증상 기분증상 인지증상 등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뇌파나 심리검사 등을 통해 환청과 음성증상이 비슷한 정신기능과 구조의 결함과 연관되어 있음이 알려졌기도 하고 환청이 우울증상을 악화시키거나 불안 등의 부정적 기분이 환청을 지속시킨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인지기능 결함은 환청의 형성에 기여를 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언어적 인지 기능 영역뿐 아니라 암시 기대 등의 정신 기능들이 환청과 관련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처럼 환청은 다차원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으며 조현병의 다른 정신병리 차원과도 유기적인 관련성을 맺는다 여러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상호 과정들은 다층적으로 구성되면서 전반적인 질병양상을 결정짓게 된다 그러나 환청과 다른 정신병리 영역들과의 관계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는 산발적으로 이루어져 환청과 정신병리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돕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현병에서 환청과 다른 정신병리들과의 연관성을 다차원적으로 탐색하여 환청과 정신병리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다음으로는 환자 및 임상가에 의한 환청의 평가가 기타 정신병리들과의 관련성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국내 조현병 환자들 대상으로 등 이 보고한 양성 및 음성 증상척도 의 요인 모델을 기존의 요인 모델들과 비교하여 유사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년 월 일부터 년 월 일까지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입원 치료를 받은 조현병 환자 중 세 이상 세 이하의 남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기간 와 또는 의 시행간격이 주일 이내인 환자들을 분석에 포함했다 물질 중독을 포함한 다른 정신질환을 진단받았거나 정신지체로 진단받은 경우는 제외하였다 정신과적 진단은 - - 을 기준으로 하여 명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들의 합의를 거쳤다 는 등 이 조현병 증상 평가를 위하여 개발한 164

Auditory Verbal Hallucination and Psychopathology Shin SY, et al 도구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항목에 대해 점수를 매긴다 국내에서는 등 이 한국판 표준화 연구를 수행하여 임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여러 연구자에 의해 에 대한 요인분석이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초기의 요인 모델 의 한계를 지적하며 요인 모델 등이 제안되었는데 이 중 요인 모델은 대규모 연구에서 요인 분석을 통해 초기 만성기 조현병 환자 모두에서 그 적합성이 입증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요인별로 세부 항목이나 요인 명칭은 연구자에 따라 다소 간의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의 요인 모델 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요인 중 양성 요인은 환청항목 점수를 포함하고 있어 양성 요인과 환청 척도들과의 상관성이 과장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성 요인에서 환청항목 점수를 뺀 나머지 점수와 환청 척도들과의 관련성도 추가로 살펴보았다 는 국내에서 등 이 번역하여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확인하였으며 환자가 작성하는 설문지이다 문항의 평가척도로 처음 문항은 점 라이커트 스케일 로 채점한다 이 문항의 총점은 언어성 환청의 심각도를 나타낸다 는 환청과 망상의 두 가지 증상을 평가하는데 모두 개 항목 환청 항목 망상 항목 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척도는 임상가가 환청 증상을 평가하게 되어 있으며 개의 환청 평가항목은 점까지 점 척도로 이루어져 있다 국내에서는 등 이 년 번역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번 항목 의 번 항목 - 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환청 척도의 군집분석을 통하여 구조 요인들을 추출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등 과 등 의 구조 요인들을 각각 분석에 사용하였다 의 환각 행동 항목 점수 점을 기준으로 환청군과 비환청군을 구분하였고 환청군을 대상으로 정신병리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환청군과 비환청군 간의 인구학적 정보 및 로 측정한 정신병리의 차이가 있는지 의 순위검정과 카이제곱검정으로 살펴보았다 이후 환청군을 대상으로 의 요인과 및 의 총점 및 세부 항목별 점수 구조 요인별 점수 간에 유의미한 상호관계가 있는지를 - 방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값이 이상 이하 일 때 매우 높은 정적 부적 상관관계 에서 사이 에서 사이 일 때는 높은 정적 부적 상관관계 에서 사이 에서 사이 는 중등도의 정적 부적 상관관계 에서 사이 에서 사이 는 낮은 정적 부적 상관관계 이하 이상 는 매우 약한 정적 부적 상관관계로 보았다 통계적 유의성은 < 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임상윤리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하였다 총 명의 환자가 선정기준을 충족하였으며 그 중 비환청군은 명 환청군은 명이었다 환청군 중 명은 와 를 모두 시행하였다 비환청군과 환청군 간의 나이 유병기간 환청기간 치료기간 성별 등에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환청군에서 양성 요인 점수와 총점이 비환청군에서보다 유의하게 높았는데 이는 환청 증상이 양성 요인에 포함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양성 요인 평균순위 비환청군 환청군 < 총점의 평균순위 비환청군 환청군 < 환청항목 점수를 제외하고 다시 분석한 결과 두 군 간의 양성 요인 점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외의 의 요인 항목에서는 두 군 간 점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전체 환자 중 와 를 시행한 환자들은 명 와 를 시행한 환자들은 명이었다 시행군 내에서 환청군은 명 비환청군은 명이었으며 두 군 간의 나이 유병기간 환청기간 치료기간 성별 등에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환청군에서 총점이 비환청군에서보다 유의하게 높았는데 이는 환청항목 점수가 환청군에서 높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총점의 평균순위 비환청군 환청군 < 양성 요인의 항목 점수에서도 환청군의 점수가 비환청군에서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환청항목 을 제외하고 다시 분석한 결과 두 군 간의 차이는 사라졌다 나머지 요인 항목에서는 두 군 간 점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시행군 중 환청군은 명 비환청군은 명이었으며 두 군 간 나이 유병기간 환청기간 치료기간 성별 등에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역시 환청군에서 양성 요인 항목 점수가 비환청군에서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는데 환청항목 점수를 제외하고 다시 분석한 결과 두 군 간의 차이는 사라졌다 이외의 요인들과 총점에서는 두 군 간 점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PANSS와 HPSVQ 간의상관관계환청군에서 총점과 총점 사이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 총점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진 요인은 의 요인 중 음성 및 우울 불안 요 journal.biolpsychiatry.or.kr 165

Korean J Biol Psychiatry 2015;22(4):163-172 Table 1. Demographic information and PANSS according to the HPSVQ and PSYRATS-AHS i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PANSS-HPSVQ PANSS-PSYRATS-AHS P3 < 3 P3 3 P3 < 3 P3 3 Number of patients 22 50 7 24 Age, year, mean SD 037.6 12.2 38.2 11.6 038.0 14.8 039.5 10.7 Duration of illness, month, mean SD 150.3 92.5 142.1 90.9 0 0121.1 70.3 0 136.8 89.0 Duration of auditory hallucination, month, mean SD 125.0 95.2 126.2 91.8 0 081.3 74.7 130.5 85.9 Duration of antipsychotics treatment, month, mean SD 143.2 93.9 127.6 91.5 0 099.6 72.4 0118.3 86.9 0 Sex, male, n % 0.012 54.5 0.20 40.0 0.005 71.4 00.08 33.3 PANSS score, mean SD Positive in included 008.8 3.4 * 13.8 5.0 * 008.6 3.6 013.3 4.6 Positive ex excluded 006.7 3.3 0 8.8 3.9 06.6 3.6 08.5 3.7 Negative 013.4 7.5 0 15.1 6.8 0 011.7 6.0 0 15.5 6.2 Autistic preoccupation 008.3 3.7 0 9.7 4.3 07.0 1.8 09.8 4.7 Activation 008.7 5.7 0 9.5 4.2 08.0 3.4 09.3 4.5 Depression/anxiety 08.3 2.9 9.2 3.6 06.6 3.4 08.7 3.5 Total 00. 85.0 19.5 0 96.6 22.0 00079.1 14.2 000 96.0 22.2 * : p < 0.01, U = 228.0, Mean ranks of PANSS positive factors in PANSS-HPSVQ group are 12.9 in non-hallucinatory group, 41.9 in hallucinatory group, : p < 0.05, U = 377.0, Mean ranks of PANSS total scores in PANSS-HPSVQ group are 28.6 in non-hallucinatory group, 40.0 in hallucinatory group, : p < 0.05, U = 36.0, Mean ranks of PANSS positive factors in PANSS-PSYRATS-AHS group are 9.14 in non-hallucinatory group, 18.0 in hallucinatory group. PANSS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7 HPSVQ Hamilton Program for Schizophrenia Voices Questionnaire, 18 PSYRATS-AHS The Psychotic Symptom Rating Scales-Auditory Hallucination, 19 SD standard deviation Table 2. Pearson s correlation between PANSS and HPSVQ i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HPSVQ Items and total score Positive in included Positive ex excluded Negative PANSS Activation Autistic preoccupation Depression/ anxiety Frequency 0.143-0.052 0.183-0.188 0.154 0.264 How bad is content 0.073-0.024 0.234-0.043 0.130 0.319* Loudness 0.238-0.130 0.234-0.020 0.320* 0.273 Duration 0.340* -0.228 0.322* -0.141 0.294* 0.283* Interference with life 0.101-0.001 0.393-0.081 0.216 0.398 Distress 0.051-0.077 0.273-0.001 0.162 0.338* How bad do they make you feel 0.121-0.003 0.400-0.026 0.160 0.420 Clarity 0.251-0.160 0.231-0.022 0.221 0.272 Obey commands 0.313* -0.257 0.182-0.089 0.304* 0.142 Total score 0.224-0.104 0.326* -0.011 0.263 0.360* Structural factors Kim et al. 20 Factor 1 emotional 0.093-0.027 0.353* -0.019 0.182 0.400 Factor 2 physical 0.295* -0.019 0.265-0.004 0.291* 0.284* * : p-value < 0.05, : p-value < 0.01. PANSS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7 HPSVQ Hamilton Program for Schizophrenia Voices Questionnaire 18 인이었다 또한 의 구조 요인 중 정서적 요인도 동일하게 의 음성 우울 불안 요인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의 물리적 요인은 의 양성 자폐적 몰입 우울 불안 요인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유의한 관련성을 가진 와 요인들의 상관계수의 범위 는 으로서 전반적으로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의 음성 우울 불안 요인과 상관관계가 있는 - 의 세부항목을 살펴보면 두 요인 모두에서 환청의 기간과 생활상의 방해 환자의 기분을 나쁘게 하는 정도 등과 유 166

Auditory Verbal Hallucination and Psychopathology Shin SY, et al 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특히 우울 불안 요인에서는 환청의 부정적인 내용과 주관적인 고통이 추가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양성 자폐적 몰입 요인들은 일부 세부항목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두 항목 모두에서 환청의 기간 행동화 정도가 관련성을 가졌고 자폐적 몰입 요인에서는 추가로 환청의 크기가 관련성을 가졌다 양성 요인에서 환청항목 을 제외했을 때는 이전에 유의성을 보였던 세부 항목들과의 관련성이 사라졌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증상 요인별로 총점 및 세부항목 구조적 요인들과 관련성을 보이는 양상이 다름을 알 수 있다 PANSS와 PSYRATS-AHS 간의상관관계 총점과 총점 사이에서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상관계수 < 의 요인 중에서 총점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요인은 활동성 요인을 제외한 양성 음성 자폐적 몰입 우울 불안 요인들이다 또한 의 구조 요인 중 물리적 요인도 의 상기 네 가지 요인들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의 인지적 요인은 의 음성 자폐적 몰입 우울 불안 요인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정서적 요인은 우울 불안 요인과만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유의한 관련성을 가진 와 요인들의 상관계수 범위는 로 전반적으로 중등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의 양성 음성 자폐적 몰입 우울 불안 요인과 - 세부항목들과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환청의 빈도 기간 생활상의 방해 항목이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였다 추가로 음성 요인과는 부정적인 내용의 양 항목이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고 자폐적 몰입 요인과는 환청의 크기 원인에 대한 믿음 항목이 관련성을 보였다 우울 불안 요인과는 환청의 크기 부정적인 내용의 양과 정도 주관적인 고통의 양과 강도 항목과의 관련성이 추가로 관찰되었다 활동성 요인은 세부항목 중 환청의 기간 생활상의 방해 항목과만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양성 요인에서 환청항목 을 제외했을 때는 이전에 유의성을 보였던 항목 중 총점과의 관련성은 사라졌고 빈도 기간 생활상의 방해 물리적 요인과의 관련성은 지속하였다 군에서와 마찬가지로 군에서도 요인별로 총점 및 세부항목 구조적 요인들과 관련성을 보이는 양상이 다름을 알 수 있다 PANSS의 5-요인모델들간의유의성 등 등 등 등 의 네 가지 요인 모델 등 의 모델과 - Table 3. Pearson s correlation between PANSS and PSYRATS-AHS i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PSYRATS-AHS Items and total score Frequency Duration Positive in included Positive ex excluded Negative PANSS Activation 0.594 *0.445* *0.408* 0.322 0.755 0.648 *0.492* *0.406* Autistic preoccupation Depression/ anxiety 0.554 0.587 0.686 0.549 Location 0.167 0.116 0.373 0.186 0.375 0.273 Loudness 0.200 0.085 0.290 0.298 *0.465* *0.500* Beliefs reorigin of voices 0.247 0.193 0.299 0.165 *0.506* 0.310 Amount of negative content of voices 0.168 0.154 *0.500* 0.102 0.153 Degree of negative content 0.194 0.134 0.324 0.278 0.248 0.528 0.580 Amount of distress 0.255 0.165 0.259 0.034 0.129 *0.409* Intensity of distress 0.329 0.215 0.232 0.218 0.303 Disruption to life caused by voices 0.538 *0.444* *0.505* *0.418* 0.543 0.603 0.559 Controllability of voices 0.182 0.063 0.221 0.040 0.202 0.333 Total score *0.460* 0.339 *0.493* 0.306 Structural factors Haddock et al. 19 Physical characteristic 0.568 *0.436* *0.504* 0.381 Cognitive interpretation 0.400 0.284 *0.429* 0.251 Emotional characteristic 0.272 0.192 0.386 0.190 0.243 0.530 0.647 0.660 0.600 0.545 *0.508* 0.604 * : p-value < 0.05, : p-value < 0.01. PANSS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7 PSYRATS-AHS The Psychotic Symptom Rating Scales-Auditory Hallucination 19 journal.biolpsychiatry.or.kr 167

Korean J Biol Psychiatry 2015;22(4):163-172 Table 4. Pearson s correlation between PANSS and HPSVQ/PSYRATS-AHS total score according to 5-factor models i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HPSVQ total score Positive in included Positive ex excluded Negative Cognitive disinhibited, autistic preoccupation Emsley et al. 31 0.100-0.001 *0.346* 0.240 White et al. 32 0.180-0.035 *0.308* *0.285* Depressive emotion, depressive/ anxiety Excited activation 0.362-0.084 0.362-0.084 van der Gaag et al. 33 0.163-0.053 *0.310* 0.223 *0.353* -0.084 Wallwork et al. 34 0.180-0.035 *0.319* 0.241 0.380-0.084 Hwang et al. 9 0.224-0.104 *0.326* 0.263 *0.360* -0.011 PSYRATS-AHS total score Emsley et al. 31 0.286-0.175 White et al. 32 0.401-0.253 *0.456* *0.503* van der Gaag et al. 33 0.360-0.241 0.531 0.556 0.518-0.227 0.518-0.227 0.545 *0.495* *0.487* -0.227 Wallwork et al. 34 0.401-0.253 *0.442* *0.453* *0.466* -0.227 Hwang et al. 9 *0.460* -0.339 *0.493* 0.530 0.647-0.306 * : p-value < 0.05, : p-value < 0.01. PANSS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7 HPSVQ Hamilton Program for Schizophrenia Voices Questionnaire, 18 PSYRATS-AHS The Psychotic Symptom Rating Scales-Auditory Hallucination 19 총점 사이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를 에 제시하였다 기존 네 가지 요인 모델에서 세부 요인에 포함되는 항목들은 약간씩의 차이는 있으나 크게 양성 음성 인지 와해 우울 기분 흥분 요인으로 나뉠 수 있다 - 등 은 이 네 가지 요인 모델 간의 유의성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연구에 따르면 모델 간 대응되는 요인들 사이의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요인별로 포함되는 세부항목의 유사성을 고려하면 모델과 기존 요인 모델들 간에는 각각 양성 양성 음성 음성 인지 와해 자폐적 몰입 우울 기분 우울 불안 흥분 활동성 등으로 대응시킬 수가 있다 모델을 포함한 다섯 가지 모델을 총점과 상관성 검증한 결과 모든 모델에서 음성 우울 기분 우울 불안 요인과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양성 흥분 활동성 요인과는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모델을 제외한 나머지 네 모델에서 인지 와해 자폐적 몰입 요인과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다섯 모델과 - 총점과의 관련성을 검증한 결과 모델들 모두에서 음성 인지 와해 자폐적 몰입 우울 기분 우울 불안 요인과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는데 의 모델에서만 양성 요인과의 낮은 정도의 상관관계도 관찰되었다 그러나 환청 점수를 제외한 나머지 양성 요인 점수와 의 상관성 검정을 한 결과에서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다섯 모델 모두에서 흥분 활동성 요인과 상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조현병에 대한 현상학적 관점은 기존의 양성 음성의 이차원적인 관점에서 다차원적 관점으로 발전해왔으며 실제 환자들에게 적용한 연구들에서 다차원적 관점의 유용성이 입증됐다 환청에 대한 관점의 변화도 비슷한 양상으로 이루어져 왔다 오래전부터 환청을 정의하려는 연구자들의 시도는 종종 논란을 불러일으켰는데 이러한 현상에 대하여 는 지금까지 제안된 환청의 정의가 쓸모없다는 뜻이 아니라 환청 자체가 복잡한 현상이라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며 환청을 탐구하기 위해서는 다차원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고 해석하였다 를 비롯한 많은 연구자가 환청을 현상학적으로 다면성을 가진 증상으로 가정하고 이러한 다면성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이어왔다 본 연구에서 다차원적인 척도를 통해 환청의 구조를 분석하려는 노력도 그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조현병과 환청이라는 현상에 대한 다차원적인 접근은 각자의 병태생리 및 원인 등에 대한 이론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최근 조현병의 진단에 있어 기존의 있다 없다의 범주적 관점을 벗어나 다중진단 다차원적 관점의 필요성이 새로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은 환청이 자기 생각이 외부에서 유래한다고 사고하는 외재화 편향 때문에 발생한다고 주장하여 왔는데 과 맥락을 같이 하는 이론들은 이 외재화 편향 이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초점을 맞춰왔던 반면 환청에 대한 다차원적인 접근을 통해서 외재화 편향 외에도 여러 종류의 귀인 오류가 환청의 형성에 관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예를 들어 환청은 내부의 인지 168

Auditory Verbal Hallucination and Psychopathology Shin SY, et al 적 사건을 환자가 만들어낸 외부의 사건으로 잘못 귀인함으로써 발생할 수도 있지만 환자가 만들어내지 않은 내부의 사건으로 잘못 귀인함으로써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조현병 환자군 내에서 환청의 양상을 탐구할 시 개별 증상 요인 간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다차원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이 조현병과 환청에 대한 보다 새롭고 적절한 시각을 제공해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일반 정신병리의 요인들과 환청의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특히 우울 불안 요인은 환청의 모든 구조적 요인들 심각도 물리적 인지적 정서적 요인 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이는 기존 연구들과도 일치하는 결과이다 환청은 종종 위협적이고 모욕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데 특히 좀 더 우울한 환자일수록 부정적인 내용의 환청을 경험하며 역으로 환청이 담고 있는 위협적이고 모욕적인 내용으로 인하여 환자는 이를 불쾌한 경험으로 받아들여 우울 불안 등의 기분 증상이 악화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도 환청과 기분 증상이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는 조현병의 급성 삽화기에 나타나는 환청은 환자 자신에게 우울 불안 등 강력한 정서적 반응을 촉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의 음성 요인과 상관관계를 보이는 환청의 세부 항목들에서는 환청이 오랜 기간 지속할수록 환자의 부정적 정서 반응과 실제 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클수록 음성 증상이 심하다 환자의 정서적 사회적 위축이 지속되면 외부적으로는 활동성의 위축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처럼 정신병적 증상으로 인해 정서적 사회적 위축 및 행동성 감소 등이 나타나는 것을 이차적 음성 증상 이라고 하는데 본 연구에서 보인 환청과 음성 증상과의 관계를 뒷받침하고 있다 반면 흥분 충동성 공격성 등의 지표인 활동성 요인은 환청과 관련성을 보이지 않아 급성 삽화기에는 환청이 외부적 행동성 증가와 직접적인 관련을 맺고 있지 않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종합해보면 급성기 환자에서는 환청은 내적으로 부정적인 정서 경험을 촉발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이차적으로 행동적 사회적 위축이 빈번하게 관찰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양성 증상을 연구한 여러 연구에서 환청 요소와 망상 요소는 뚜렷이 구별되는 두 가지 요인이다 등 은 증상 척도의 분석을 통해 양성 증상이 크게 환청 요인과 망상 요인으로 나뉠 수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도 양성 요인에서 환청을 제외한 요인 즉 망상 요인과 환청은 전반적으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아 기존의 연구 결과들을 지지한다 한편 환청과 망상의 증상들이 조현병의 경과 중 상호작용을 한다는 여러 증거도 있는데 등 은 환청의 여러 차원 중 망상과 관련된 요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도 환청의 물리적 요인은 망상 요인과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냈다 반면 초발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른 연구에서는 환청의 인지적 정서적 요소가 망상 요인과 관련성을 보였다 이를 통해 조현병의 경과나 치료 반응에 따라 환청과 망상의 상호작용 양상이 역동적으로 변화함을 알 수 있다 환청에 대한 다차원적인 접근은 환자가 자신의 환청 경험에 대해 더 다양한 언어로 이야기할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환자의 불안이나 긴장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 임상가의 환청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함으로써 환자와의 치료적 동맹을 강화하는 효과도 있다 본 연구에서 환자와 임상가의 관점에서 환청에 대해 다차원적으로 평가하게 한 결과 환자와 임상가가 각각 평가한 환청은 일반 정신병리와의 상관관계에서 다소 상이한 내용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환자 및 임상가가 환자의 환청을 심각하게 평가할수록 환자의 음성 및 우울 불안이 증가하였는데 임상가의 평가에서는 추가로 조현병의 전체적인 심각도 자폐적 몰입 증상이 악화하였다 특히 관련성을 보이는 요인들에서 상관 계수값을 비교해봤을 때 환자에 의한 평가에서는 낮은 정도의 상관성을 보였으나 임상가에 의한 평가는 중등도의 상관성을 보여 더 높은 관련성을 보였다 이는 일반 정신병리와 환청을 모두 임상가가 평가한 경우 환자가 환청을 평가했을 때보다 임상가측 요소가 더 반영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일 수 있다 기타 정신병리와 환청의 구조적 요인과의 비교에서도 환자가 평가한 경우에는 환청의 정서적 요인이 미치는 영향이 컸던 반면 임상가가 평가한 경우에는 환청의 물리적 요인이 미치는 영향이 컸다 이러한 차이는 환청 등의 정신증상을 평가할 때 환자는 말로 표현되지는 않지만 즉각적인 고통을 야기하는 정서적 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 반면 임상가는 주로 환자와의 면담 및 관찰을 바탕으로 평가하므로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물리적 요인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환청에 대한 임상가와 환자의 평가를 비교한 기존 연구에서도 환자는 환청의 정서적 측면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반면 임상가는 환청의 물리적 요인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때문에 환청의 심각도 및 치료 효과를 다차원적으로 평가할 때 환자와 임상가의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더욱 적절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주로 사용한 의 요인 모델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기존 연구자들의 모델들과 의 모델을 모두 사용하여 환청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의 모델과 기존 모델들이 동일한 항목들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다만 총점과 양성 요인 관계에서 모델 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를 제외한 양성 요인과의 관련성을 다시 살펴보았을 journal.biolpsychiatry.or.kr 169

Korean J Biol Psychiatry 2015;22(4):163-172 때는 다섯 모델 모두 동일하게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정신병리 연구에서 의 모델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모델의 유용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향후 의 모델과 기존 모델들을 직접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급성 삽화기 환자에서 환청은 부정적 정서 경험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행동적 사회적 위축을 유발하는 경향이 있다 환청과 망상 증상과의 관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조현병의 경과에 따라 환청과 다른 정신병리들과의 관계 양상은 변화할 수 있다 이러한 환청과 정신병리의 상관도는 임상가와 환자의 평가에서 각기 다른 양상을 보이므로 임상현장에서 두 가지 척도를 적절하게 통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의 요인 모델과 기존의 요인 모델은 모두 환청과 유사한 양상의 관계를 보여 모델의 유용성에 대해 어느 정도 가늠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로 환자 수가 충분하지 않아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둘째 환자용 환청 척도와 임상가용 환청 척도를 동일한 환자군에서 시행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환자 및 임상가에 의한 평가를 비교한 결과의 해석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더욱 직접적인 비교를 위해 향후 동일한 환자군에서 시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평균 유병기간이 여 년 평균 환청 지속 기간이 여 년 정도인 만성 환자군의 급성 삽화기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조현병 경과에 따라 환청이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점을 고려하면 초발 환자를 포함하여 서로 다른 경과상에 있는 환자군의 정신병리와 환청의 양상에는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치료의 종류 효과 등 본 연구에서 고려하지 못한 요소들이 정신병리와 환청 간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향후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한 연구들이 이루어진다면 정신병리와 환청에 대한 이해가 깊어질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환청과 일반 정신병리의 단면적인 관계만을 살펴보았다 등 의 연구에 따르면 약물 치료를 받는 조현병 환자에서 환청의 구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한다 이를 고려했을 때 향후 환청 환자의 종적인 추적을 통해 치료 단계에 따라 환청의 구조와 일반 정신병리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관찰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요약하면 동국대학교 일산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은 조현병 환자 중에서 를 시행한 환청이 있는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환청과 정신병리와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 각 항목 과 의 구조 요인과 의 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을 사용하여 통계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급성 삽화기 조현병 환 자에서 환청은 부정적 정서적 경험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행동적 사회적 위축을 유발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환자 및 임상가에 의한 환청의 평가는 정신병리와의 상관관계에 있어 각기 다른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의 요인 모델과 기존의 요인 모델들은 모두 환청과 유사 한 양상의 관계를 보였다 중심단어 : 조현병 정신병리 언어성 환청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financial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1) Tsuang MT, Lyons MJ, Faraone SV. Heterogeneity of schizophrenia. Conceptual models and analytic strategies. Br J Psychiatry 1990; 156:17-26. 2) Strauss JS, Carpenter WT Jr. The prognosis of schizophrenia: rationale for a multidimensional concept. Schizophr Bull 1978;4:56-67. 3) Liddle PF. The multidimensional phenotype of schizophrenia. In: Tamminga CA, editor. Schizophrenia in a molecular age. 1st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1999. p.10-28. 4) Volavka J, Citrome L. Oral antipsychotics for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 heterogeneity in efficacy and tolerability should drive decision-making. Expert Opin Pharmacother 2009;10:1917-1928. 5) Carpenter WT Jr, Kirkpatrick B. The heterogeneity of the longterm course of schizophrenia. Schizophr Bull 1988;14:645-652. 6) Adityanjee, Aderibigbe YA, Theodoridis D, Vieweg VR. Dementia praecox to schizophrenia: the first 100 years. Psychiatry Clin Neurosci 1999;53:437-448. 7) Kay SR, Fiszbein A, Opler LA.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 for schizophrenia. Schizophr Bull 1987;13:261-276. 8) Langeveld J, Andreassen OA, Auestad B, Færden A, Hauge LJ, Joa I, et al. Is there an optimal factor structure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in patients with first-episode psychosis? Scand J Psychol 2013;54:160-165. 9) Hwang SS, Chang JS, Lee KY, Ahn YM, Kim YS. The causal model of insight in schizophrenia based on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factor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J Nerv Ment Dis 2009;197:79-84. 10) Nayani TH, David AS. The auditory hallucination: a phenomenological survey. Psychol Med 1996;26:177-189. 11) Mueser KT, Bellack AS, Brady EU. Hallucinations in schizophrenia. Acta Psychiatr Scand 1990;82:26-29. 12) Böcker KB, Hijman R, Kahn RS, De Haan EH. Perception, mental imagery and reality discrimination in hallucinating and non-hallucinating schizophrenic patients. Br J Clin Psychol 2000;39(Pt 4): 397-406. 13) Harkavy-Friedman JM, Kimhy D, Nelson EA, Venarde DF, Malaspina D, Mann JJ. Suicide attempts in schizophrenia: the role of command auditory hallucinations for suicide. J Clin Psychiatry 2003; 64:871-874. 14) Meltzer HY. Treatment of the neuroleptic-nonresponsive schizophrenic patient. Schizophr Bull 1992;18:515-542. 15) Tamburini A, Berrios GE. A theory of hallucinations. Hist Psychiatry 1990;1(1 Pt 1):145-146. 16) McCarthy-Jones S, Trauer T, Mackinnon A, Sims E, Thomas N, Co- 170

Auditory Verbal Hallucination and Psychopathology Shin SY, et al polov DL. A new phenomenological survey of auditory hallucinations: evidence for subtypes and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Schizophr Bull 2014;40:231-235. 17) Stephane M, Thuras P, Nasrallah H, Georgopoulos AP.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henomenology of auditory verbal hallucinations. Schizophr Res 2003;61:185-193. 18) Van Lieshout RJ, Goldberg JO. Quantifying self-reports of auditory verbal hallucinations in persons with psychosis. Canadian Journal of Behavioural Sc 2007;39:73. 19) Haddock G, McCarron J, Tarrier N, Faragher EB. Scales to measure dimensions of hallucinations and delusions: the psychotic symptom rating scales (PSYRATS). Psychol Med 1999;29:879-889. 20) Kim SH, Jung HY, Hwang SS, Chang JS, Kim Y, Ahn YM, et al. The usefulness of a self-report questionnaire measuring auditory verbal hallucinations.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2010; 34:968-973. 21) Graux J, Bidet-Caulet A, Bonnet-Brilhault F, Camus V, Bruneau N. Hallucinations and negative symptoms differentially revealed by frontal and temporal responses to speech in schizophrenia. Schizophr Res 2014;155:39-44. 22) Brébion G, David AS, Jones H, Pilowsky LS. Hallucinations, negative symptoms, and response bias in a verbal recognition task in schizophrenia. Neuropsychology 2005;19:612-617. 23) Freeman D, Garety PA. Connecting neurosis and psychosis: the direct influence of emotion on delusions and hallucinations. Behav Res Ther 2003;41:923-947. 24) Heilbrun AB Jr, Blum NA. Cognitive vulnerability to auditory hallucination. Impaired perception of meaning. Br J Psychiatry 1984; 144:508-512. 25) Johnson RL, Miller MD. Auditory hallucinations and intellectual deficit. J Psychiatr Res 1965;3:37-41. 26) Alpert M. The signs and symptoms of schizophrenia. Compr Psychiatry 1985;26:103-112. 27) Mintz S, Alpert M. Imagery vividness, reality testing, and schizophrenic hallucinations. J Abnorm Psychol 1972;79:310-316. 28) Barber TX, Calverley DS. An experimental study of hypnotic (auditory and visual) hallucinations. J Abnorm Psychol 1964;68:13-20. 29) Young HF, Bentall RP, Slade PD, Dewey ME. The role of brief instructions and suggestibility in the elicitation of auditory and visual hallucinations in normal and psychiatric subjects. J Nerv Ment Dis 1987;175:41-48. 30) Yi JS, Ahn YM, Shin HK, An SK, Joo YH, Kim SH,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1; 40:1090-1105. 31) Emsley R, Rabinowitz J, Torreman M. The factor structure for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 in recent-onset psychosis. Schizophr Res 2003;61:47-57. 32) White L, Harvey PD, Opler L, Lindenmayer JP. Empirical assessment of the factorial structure of clinical symptoms in schizophrenia. A multisite, multimodel evaluation of the factorial structure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The PANSS Study Group. Psychopathology 1997;30:263-274. 33) van der Gaag M, Cuijpers A, Hoffman T, Remijsen M, Hijman R, de Haan L, et al. The five-factor model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I: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ails to confirm 25 published five-factor solutions. Schizophr Res 2006;85:273-279. 34) Wallwork RS, Fortgang R, Hashimoto R, Weinberger DR, Dickinson D. Searching for a consensus five-factor model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for schizophrenia. Schizophr Res 2012; 137:246-250. 35) Nakaya M, Suwa H, Ohmori K. Latent structures underlying schizophrenic symptoms: a five-dimensional model. Schizophr Res 1999; 39:39-50. 36) Jung SM, Kim MK, Lee JB, Choi JH, Jung BJ, Byun W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sychotic Symptom Rating Scale.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7;46: 201-213. 37) Andreasen NC, Olsen S. Negative v positive schizophrenia. Definition and validation. Arch Gen Psychiatry 1982;39:789-794. 38) Strauss JS, Carpenter WT Jr, Bartko JJ. The diagnosis and understanding of schizophrenia. Part III. Speculations on the processes that underlie schizophrenic symptoms and signs. Schizophr Bull 1974;(11):61-69. 39) Peralta V, Cuesta MJ, de Leon J. An empirical analysis of latent structures underlying schizophrenic symptoms: a four-syndrome model. Biol Psychiatry 1994;36:726-736. 40) Dollfus S, Everitt B. Symptom structure in schizophrenia: two-, three- or four-factor models? Psychopathology 1998;31:120-130. 41) Cuesta MJ, Peralta V. Psychopathological dimensions in schizophrenia. Schizophr Bull 1995;21:473-482. 42) Lindenmayer JP, Bernstein-Hyman R, Grochowski S. Five-factor model of schizophrenia. Initial validation. J Nerv Ment Dis 1994; 182:631-638. 43) Lowe GR. The phenomenology of hallucinations as an aid to differential diagnosis. Br J Psychiatry 1973;123:621-633. 44) Peralta V, Cuesta MJ. Clinical models of schizophrenia: a critical approach to competing conceptions. Psychopathology 2000;33:252-258. 45) Bentall RP. The illusion of reality: a review and integration of psychological research on hallucinations. Psychol Bull 1990;107:82-95. 46) Morrison AP, Haddock G, Tarrier N. Intrusive thoughts and auditory hallucinations: a cognitive approach. Behav Cogn Psychother 1995; 23:265-280. 47) Hoffman RE. Verbal hallucinations and language production processes in schizophrenia. Behav Brain Res 1986;9:503-548. 48) Frith CD. The Cognitive Neuropsychology of Schizophrenia. 1st ed. Hillsdale: Lawrence Erlbaum;1992. 49) Smith B, Fowler DG, Freeman D, Bebbington P, Bashforth H, Garety P, et al. Emotion and psychosis: links between depression, selfesteem, negative schematic beliefs and delusions and hallucinations. Schizophr Res 2006;86:181-188. 50) Andreasen NC, Arndt S, Alliger R, Miller D, Flaum M. Symptoms of schizophrenia. Methods, meanings, and mechanisms. Arch Gen Psychiatry 1995;52:341-351. 51) Mellers JD, Sham P, Jones PB, Toone BK, Murray RM. A factor analytic study of symptoms in acute schizophrenia. Acta Psychiatr Scand 1996;93:92-98. 52) Peralta V, Cuesta MJ. Dimensional structure of psychotic symptoms: an item-level analysis of SAPS and SANS symptoms in psychotic disorders. Schizophr Res 1999;38:13-26. 53) Stuart GW, Pantelis C, Klimidis S, Minas IH. The three-syndrome model of schizophrenia: meta-analysis of an artefact. Schizophr Res 1999;39:233-242. 54) Hayashi N, Igarashi Y, Suda K, Nakagawa S. Phenomenological features of auditory hallucinations and their symptomatological relevance. Psychiatry Clin Neurosci 2004;58:651-659. 55) Drake R, Haddock G, Tarrier N, Bentall R, Lewis S. The Psychotic Symptom Rating Scales (PSYRATS): their usefulness and properties in first episode psychosis. Schizophr Res 2007;89:119-122. 56) Carter DM, Mackinnon A, Howard S, Zeegers T, Copolov DL. The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the Mental Health Research Institute Unusual Perceptions Schedule (MUPS): an instrument to record auditory hallucinatory experience. Schizophr Res 1995;16:157-165. 57) Chadwick P, Birchwood M. The omnipotence of voices. II: The Beliefs About Voices Questionnaire (BAVQ). Br J Psychiatry 1995;166: 773-776. 58) Chung IW, Hwang SSH, Kim SH, Chang JS, Jung HY, Kim YS. journal.biolpsychiatry.or.kr 171

Korean J Biol Psychiatry 2015;22(4):163-172 Long-term improvement in auditory verbal hallucinations: Clinician vs. patient perspectives. Poster presentation at the 12th World Congress of Biological Psychiatry;2015 Jun 14-18, Athens, Greece. 59) Chang JS, Yi JS, Ahn YM, Kim JH, Kim YS. Stabilization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persistent auditory verbal hallucinations in schizophrenia. Aust N Z J Psychiatry 2009;43:244-251. 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