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주차. 경음화 들어가기
학습내용 경음화의개념 경음화의종류 : 필수적경음화, 수의적경음화
학습목표 경음화에는두종류가있음을안다. 두종류의경음화의차이는음운적환경의차이임을안다. 음운적환경에따른두경음화의원리와특성을안다. 필수적경음화는음소배열제약을지키기위한음운적행위임을안다. 수의적경음화는첨가에의한사잇소리현상임을안다.
9 주차. 경음화 학습하기 Ⅰ: 경음화의환경과그에따른경음화의종류
1 경음화의두환경 < 한글맞춤법 > 에대해생각해보기! 제 5 항한낱말안에서뚜렷한까닭없이나는된소리는다음음절의첫소리를된소리로적는다. 1. 두모음사이에서나는된소리소쩍새어깨오빠으뜸아끼다 2. ㄴ, ㄹ, ㅁ, ㅇ 받침뒤에서나는된소리산뜻하다잔뜩살짝훨씬담뿍 다만, ㄱ, ㅂ 받침뒤에서나는된소리는, 같은음절이나비슷한음절이겹쳐나는경우가아니면된소리로적지아니한다. 국수깍두기색시법석갑자기
1 경음화의두환경 다만 조항에서와같이받침이 ㄱ, ㅂ 다음에나는된소리는된소리로적지않을까? 이것이한국어발음과관련하여의미하는바는무엇일까?
1 경음화의두환경 다만 조항을두어두경우를구별하는것은발음의차이가있기때문 (1) 가. 된소리를된소리로표기하는경우 a. + + b. 모음ㄲㄸㅃㅆㅉ모음 + + ㄴ / ㄹ / ㅁ / ㅇㄲㄸㅃㅆㅉ모음 나. 된소리를된소리로표기하지않는경우 ㄱ / ㅂ + ㄱㄷㅂㅅㅈ + 모음
1 경음화의두환경 (1 가 ) 의경우는된소리로표기하는경우와그렇지않은경우발음이달라지는반면, (1 나 ) 의경우는어떻게표기하든발음이같음 (1) 가. a. 토기 vs. 토끼 고비 vs. 고삐 가자 vs. 가짜 b. 문득 vs. 문뜩 공자 vs. 공짜 건방 vs. 건빵 나. 갑자기 vs. 갑짜기 국수 vs. 국쑤 색시 vs. 색씨
1 경음화의두환경 (1 가 ) 의경우는된소리로표기한경우와그렇지않은경우발음이다름 - 원칙적으로된소리로발음되지않는경우는된소리로표기하지않고된소리로발음되는경우는된소리로표기 (1 나 ) 의경우는발음이같기때문에굳이된소리로표기할필요가없음 - 특별한경우가아니면된소리로발음되더라도된소리로표기하지않음 (1 나 ) 의관점에서볼때 (1 가 ) 의두번째음절의첫소리가음성적으로꼭된소리로발음되어야할이유가없음
2 경음화의두종류 필수적경음화와수의적경음화 아래의두경우는모두된소리로발음되더라도그성격이다름 (2) 가. 닭고기 [ 닥꼬기 ] 벽돌 [ 벽똘 ] 팥밥 [ 팓빱 ] 크낙새 [ 크낙쌔 ] 옆집 [ 엽찝 ] 나. 물고기 [ 물꼬기 ] 섬돌 [ 섬똘 ] 비빔밥 [ 비빔빱 ] 산새 [ 산쌔 ] 칼자루 [ 칼짜루 ] cf. 불고기 고인돌 김밥 참새 칼잡이
2 경음화의두종류 즉 (2 가 ) 의경우는앞자음의성격상두번째음절의첫소리가반드시된소리로발음되어야하는경우 (2 나 ) 의경우는된소리로발음할수도있고그렇지않을수도있는환경 굴밥 이라는말에대해어떤사람은 [ 굴밥 ], 어떤사람은 [ 굴빱 ] 이러한차이는음운환경의차이에기인하는것 전자는음성적환경이경음화를만드는필수조건 후자는음성적환경은경음화의필수적환경은아니어서단어에따라경음화가일어나기도하고그렇지않기도함
2 경음화의두종류 전자 필수적경음화 후자 수의적경음화, 사잇소리에의한경음화 사잇소리란두말사이에사이시옷과같은소리가첨가되었다는의미 전자가순수음성 음운적현상 후자는단어가갖는문법적또는어휘적특성에의해발음이달라지는형태음운적현상
9 주차. 경음화 학습하기 Ⅱ: 필수적경음화와수의적경음화
1 필수적경음화 표준발음법에서의필수적경음화 제 23 항받침 ㄱ ( ㄲ, ㅋ, ㄳ, ㄺ ), ㄷ ( ㅅ, ㅆ, ㅈ, ㅊ, ㅌ ), ㅂ ( ㅍ, ㄼ, ㄿ, ㅄ ) 뒤에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 은된소리로발음된다. 국밥 [ 국빱 ] 깎다 [ 깍따 ] 넋받이 [ 넉빠지 ] 삯돈 [ 삭똔 ] 닭장 [ 닥짱 ] 칡범 [ 칙뻠 ] 뻗대다 [ 뻗대다 ] 옷고름 [ 옫꼬름 ] 있던 [ 읻떤 ] 꽂고 [ 꼳꼬 ] 꽃다발 [ 꼳따발 ] 낯설다 [ 낟썰다 ] 밭갈이 [ 받까리 ] 솥전 [ 솓쩐 ] 곱돌 [ 곱똘 ] 덮개 [ 덥깨 ] 옆집 [ 엽찝 ] 넓죽하다 [ 넙쭈카다 ] 읊조리다 [ 읍쪼리다 값지다 [ 갑찌다 ]
1 필수적경음화 필수적경음화의환경 1) 앞자음은반드시 [ ㄱ, ㄷ, ㅂ ] 의세음성중하나이어야함표기로서의다른받침은대표음으로발음됨 2) 뒤자음은반드시평음 ㄱ, ㄷ, ㅂ, ㅅ, ㅈ 중하나이어야함이경우에는뒤자음이반드시경음으로발음 ( 필수적경음화 ). 즉, 단어와단어의결합 ( 예 ; 앞집 [ 앞찝 ]) 에서나체언과조사의결합 ( 예 : 집과 [ 집꽈 ]), 용언의어간과어미의결합 ( 예 ; 먹고 [ 먹꼬 ]) 에서나이와같은음운환경에서는예외없이된소리로발음 ( 참고로, 경음화는단일어가아닌복합어에서만일어나는현상 )
참고 : 한국인의영어발음에나타나는경음화 경음화는한국인의영어발음에도적용되어 down, dog 의경우각각 [ 다운 ], [ 독 ] 으로발음되지만, sit down, hot dog 의경우는된소리인 [ 씯따운 ], [ 핟또그 ] 로발음된다.
참고 : 국수, 깍두기, 색시 에서일어나는현상은경음화일까? 경음화란평음이경음으로발음되는것을말한다. 예를들어 소쩍새, 산뜻하다 등은원래부터경음이기때문에경음화에속하지않는다. 따라서엄밀히말하면 국수, 깍두기, 색시 에서일어나는현상은경음화라고보기어렵다. 국수 의 수 나 깍두기 의 두, 그리고 색시 의 시 가원래평음이라는증거가없으며, 또위의설명에서암시되어있듯이 국쑤, 깍뚜기, 색씨 등과같이된소리로적을수도있지만규정상그렇게적지않을뿐이기때문이다. 다시말해, 경음화는한단어내부에서일어나는것이아니라복합어에서만일어나는현상인것이다.
2 수의적경음화 수의적경음화란표면적으로는반드시된소리로발음되어야할이유가없지만경우에따라된소리로발음되는음운현상 대체로 동사, 형용사 나 합성어 등과같이형태적조건, 다시말해단어관련조건이붙는것들이많고같은음성조건이라도개별어휘에따라차이를보이는것들이많음. 예외들도존재
2 수의적경음화 < 표준발음법 > 에나타난수의적경음화에대한규정 제 24 항어간받침 ㄴ ( ㄵ ), ㅁ ( ㄻ ) 뒤에결합되는어미의첫소리 ㄱ, ㄷ, ㅅ, ㅈ 은된소리로발음한다. 신고 [ 신 : 꼬 ] 껴안다 [ 껴ː안따 ] 앉고 [ 안꼬 ] 얹다 [ 언따 ] 삼고 [ 삼ː꼬 ] 더듬지 [ 더듬찌 ] 닮고 [ 담ː꼬 ] 젊지 [ 점ː찌 ] 다만, 피동, 사동의접미사 - 기 - 는된소리로발음하지않는다. 안기다감기다굶기다옮기다
2 수의적경음화 제 25 항어간받침 ㄼ, ㄾ 뒤에결합되는어미의첫소리 ㄱ, ㄷ, ㅅ, ㅈ 은된소리로발음한다. 넓게 [ 널께 ] 핥다 [ 할따 ] 훑소 [ 훌쏘 ] 떫지 [ 떨 ː 찌 ]
2 수의적경음화 제 26 항한자어에서, ㄹ 받침뒤에연결되는 ㄷ, ㅅ, ㅈ 은된소리로발음한다. 갈등 [ 갈뜽 ] 발동 [ 발똥 ] 절도 [ 절또 ] 말살 [ 말쌀 ] 불소 [ 불쏘 ]( 弗素 ) 일시 [ 일씨 ] 갈증 [ 갈쯩 ] 물질 [ 물찔 ] 발전 [ 발쩐 ] 몰상식 [ 몰쌍식 ] 불세출 [ 불쎄출 ] 다만, 같은한자가겹쳐진낱말의경우에는된소리로발음하지않는다. 허허실실 [ 허허실실 ]( 虛虛實實 ) 절절 - 하다 [ 절절하다 ]( 切切 --)
2 수의적경음화 제 27 항관형사형 -( 으 ) ㄹ 뒤에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 은된소리로발음한다. 할것을 [ 할꺼슬 ] 갈데가 [ 갈떼가 ] 할바를 [ 할빠를 ] 할수는 [ 할쑤는 ] 할적에 [ 할쩌게 ] 갈곳 [ 갈꼳 ] 할도리 [ 할또리 ] 만날사람 [ 만날싸람 ] 다만, 끊어서발음할적에는예사소리로발음한다. [ 붙임 ] -( 으 ) ㄹ 로시작되는어미의경우에도이에준한다. 할걸 [ 할껄 ] 할밖에 [ 할빠께 ] 할세라 [ 할쎄라 ] 할수록 [ 할쑤록 ] 할지라도 [ 할찌라도 ] 할지언정 [ 할찌언정 ] 할진대 [ 할찐대 ]
2 수의적경음화 제 28 항표기상으로는사이시옷이없더라도, 관형격기능을지니는사이시옷이있어야할 ( 휴지가성립되는 ) 합성어의경우에는, 뒤낱말의첫소리 ㄱ, ㄷ, ㅂ, ㅅ, ㅈ 을된소리로발음한다. 문 - 고리 [ 문꼬리 ] 손 - 재주 [ 손째주 ] 굴 - 속 [ 굴 ː 쏙 ] 아침 - 밥 [ 아침빱 ] 등 - 불 [ 등뿔 ] 눈 - 동자 [ 눈똥자 ] 길 - 가 [ 길까 ] 술 - 잔 [ 술짠 ] 잠 - 자리 [ 잠짜리 ] 창 - 살 [ 창쌀 ] 신 - 바람 [ 신빠람 ] 물 - 동이 [ 물똥이 ] 바람 - 결 [ 바람껼 ] 강 - 가 [ 강까 ] 강 - 줄기 [ 강쭐기 ] 산 - 새 [ 산쌔 ] 발 - 바닥 [ 발빠닥 ] 그믐 - 달 [ 그믐딸 ] 초승 - 달 [ 초승딸 ]
2 수의적경음화 (1) 제 24 항어간받침 ㄴ ( ㄵ ), ㅁ ( ㄻ ) 뒤에결합되는어미의첫소리 ㄱ, ㄷ, ㅅ, ㅈ 은된소리로발음한다. 신고 [ 신 : 꼬 ] 껴안다 [ 껴ː안따 ] 앉고 [ 안꼬 ] 얹다 [ 언따 ] 삼고 [ 삼ː꼬 ] 더듬지 [ 더듬찌 ] 닮고 [ 담ː꼬 ] 젊지 [ 점ː찌 ] 다만, 피동, 사동의접미사 - 기 - 는된소리로발음하지않는다. 안기다감기다굶기다옮기다 1 내용 : 용언어간의받침이 ㄴ ( ㄵ ), ㅁ ( ㄻ ) 일때뒤에오는어미 ㄱ, ㄷ, ㅅ, ㅈ 을된소리인 [ ㄲ, ㄸ, ㅆ, ㅉ ] 으로각각발음
2 수의적경음화 2 환경적특성 : 용언에만적용 - 체언의경우에는 신도 [ 신도 ], 신과 [ 신과 ] 라든가 바람도 [ 바람도 ], 바람과 [ 바람과 ] 등과같이된소리로바꾸어발음하지않음 - 어간 [ ㄴㅁ ] 다음의어미 ㄱㄷㅅㅈ 은예외없이경음으로발음 - 어간이받침이 ㅇ 인용언은거의존재하지않아제외 - 어간의받침이 ㄹ 인경우에는 울고, 멀지, 돌다 등과같이경음으로발음되지않음 3 다만 조항 : ㄴ, ㅁ 받침을가진용언어간의피동 사동은이규정에따르지않아서 안기다 [ 안기다 ], 남기다 [ 남기다 ], 굶기다 [ 굼기다 ] 와같이발음 - 용언의명사형의경우에는 안기 [ 안 ː 끼 ], 남기 [ 남 ː 끼 ], 굶기 [ 굼끼 ] 와같이된소리로발음
참고 : 용언어미의경음화와 으 삽입의관계 용언어간의받침이 / ㅎ / 를제외한무성음이거나 / ㄴ, ㅁ / 와같은비음일경우에 / ㄱ, ㄷ, ㅅ, ㅈ / 로시작하는어미가결합하면어미의자음은반드시된소리로발음된다. 그러나어간의받침이 / ㄹ / 일경우에는어미의첫소리가된소리로발음되지않는다. 잡 + 고 [ 잡꼬 ] 웃 + 지 [ 욷찌 ] 감 + 도록 [ 감또록 ] 신 + 다 [ 신따 ] 울 + 고 [ 울고 ] 돌 + 지 [ 돌지 ] 불 + 도록 [ 불도록 ] 풀 + 다 [ 달다 ]
참고 : 용언어미의경음화와 으 삽입의관계 즉, / ㄹ / 와다른받침사이에경음화의차이가난다. 이와같은차이는 으 계열어미의 으 삽입에도그대로나타난다. 즉, / ㄹ / 받침용언어간다음에는 으 삽입이이루어지지않으나, 다른받침의용언어간다음에는반드시 으 가삽입된다. 잡 + ( 으 ) 며 잡으며감 + ( 으 ) 려 감으려울 + ( 으 ) 며 울며불 + ( 으 ) 려 불려 웃 + ( 으 ) 니 웃으니신 + ( 으 ) 시고 신으시고돌 + ( 으 ) 니 도니풀 + ( 으 ) 시고 푸시고
2 수의적경음화 (2) 제 25 항어간받침 ㄼ, ㄾ 뒤에결합되는어미의첫소리 ㄱ, ㄷ, ㅅ, ㅈ 은된소리로발음한다. 넓게 [ 널께 ] 핥다 [ 할따 ] 훑소 [ 훌쏘 ] 떫지 [ 떨 ː 찌 ] 1 내용 : 용언어간의받침이 ㄼ, ㄾ 일때뒤에오는어미 ㄱ, ㄷ, ㅅ, ㅈ 을된소리인 [ ㄲ, ㄸ, ㅆ, ㅉ ] 으로각각발음 2 환경적특성 : 용언에만적용 - 체언의경우에는 여덟도 [ 여덜도 ], 여덟과 [ 여덜과 ], 여덟보다 [ 여덜보다 ] 처럼된소리로발음되지않기때문 - 받침 ㅀ 의경우에는 닳고 [ 달코 ] 와같이 ㅎ 과 ㄱ 사이에자음축약이일어남
2 수의적경음화 3 유의사항 : 위의겹받침들은실제적으로 [ ㄹ ] 로만발음 - 알다, 놀다, 멀다 등홑받침 ㄹ 을가진용언과같을것이라고생각할수있지만사실은다름 - 위의겹받침경우에는경음화가일어나지만, 홑받침 ㄹ 의경우에는 알고, 알더니, 알지 와같이된소리로발음되지않음
2 수의적경음화 (3) 제 26 항한자어에서, ㄹ 받침뒤에연결되는 ㄷ, ㅅ, ㅈ 은된소리로발음한다. 갈등 [ 갈뜽 ] 발동 [ 발똥 ] 절도 [ 절또 ] 말살 [ 말쌀 ] 불소 [ 불쏘 ]( 弗素 ) 일시 [ 일씨 ] 갈증 [ 갈쯩 ] 물질 [ 물찔 ] 발전 [ 발쩐 ] 몰상식 [ 몰쌍식 ] 불세출 [ 불쎄출 ] 다만, 같은한자가겹쳐진낱말의경우에는된소리로발음하지않는다. 허허실실 [ 허허실실 ]( 虛虛實實 ) 절절 - 하다 [ 절절하다 ]( 切切 --)
2 수의적경음화 1 내용 : 한자어에서받침 ㄹ 다음에 ㄷ, ㅅ, ㅈ 이된소리로발음되는것을규정한것 - ㅂ, ㄱ 은 결과, 물건, 불복, 설계, 열기, 절기, 출고, 팔경, 활보 등된소리로발음되지않는예들이많음 - 된소리로발음되는경우에는사전에서그발음을표시하여야함 2 환경적특성 : 한자어에만적용되는규정 - 한국어에서는 팔등 [ 팔뜽 ], 일손 [ 일쏜 ], 일자리 [ 일짜리 ] 과같이경음화가일어나는경우도있고, 팔다리, 풀숲, 알사탕, 돌소금, 물장사 등과같이경음화가일어나지않는경우도있음 - 한국어의경우는어휘에따라발음이달라지는수의적경음화 ( 제 28 항에서다룸 )
2 수의적경음화 3 다만 조항 : 한자어에서 ㄹ 다음에오는 ㄷ, ㅅ, ㅈ 이경음화되는규칙의예외 - 예외 1: 다만 조항에서와같이같은한자가겹치는경우 - 예외 2: 3 음절이상의한자복합어 - 한자어의경우에도 갈등, 물질 처럼한단어처럼인식되는경우에는거의대부분경음화가일어나지만, 복합어의성격이있는단어들은 몰상식 [ 몰쌍식 ], 불세출 [ 불쎄출 ] 처럼경음화가일어나는경우도있고, 몰지각, 불성실 처럼경음화가일어나지않는경우도있음 - 물질적, 실질적 의 적 ( 的 ) 과같은경우는사람에따라된소리로발음하기도하고평음으로발음하기도함
2 수의적경음화 (4) 제 27 항관형사형 -( 으 ) ㄹ 뒤에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 은된소리로발음한다. 할것을 [ 할꺼슬 ] 갈데가 [ 갈떼가 ] 할바를 [ 할빠를 ] 할수는 [ 할쑤는 ] 할적에 [ 할쩌게 ] 갈곳 [ 갈꼳 ] 할도리 [ 할또리 ] 만날사람 [ 만날싸람 ] 다만, 끊어서발음할적에는예사소리로발음한다. [ 붙임 ] -( 으 ) ㄹ 로시작되는어미의경우에도이에준한다. 할걸 [ 할껄 ] 할밖에 [ 할빠께 ] 할세라 [ 할쎄라 ] 할수록 [ 할쑤록 ] 할지라도 [ 할찌라도 ] 할지언정 [ 할찌언정 ] 할진대 [ 할찐대 ]
2 수의적경음화 1 내용 : 관형사형어미중에서 -( 으 ) ㄹ 다음에오는명사의첫소리가 ㄱㄷㅂㅅㅈ 인경우에이소리들은된소리로발음된다는것과 -( 으 ) ㄹ걸, -( 으 ) ㄹ지라도, -( 으 ) ㄹ수록 등과같이 -( 으 ) ㄹ 로시작하는어미의경우그뒤의평음이경음으로발음된다는내용 2 환경적특성 : 관형사형어미중에서오직 -( 으 ) ㄹ 다음에만적용됨 먹은것 / 데 / 적 먹는것 / 데 / 적 먹던것 / 데 / 적 먹을것 / 데 / 적 경음화 X X X
2 수의적경음화 3 다만 조항 : 할도리, 앉을자리 등은끊어읽느냐의여부에따라경음또는평음으로발음 - 돌아갈고향, 오늘쓸기름, 곧잡힐도둑, 내가탈자전거 등은경음으로발음되지않음 - [ 붙임 ] 조항의경우는 -( 으 ) ㄹ 로시작하는어미의경우그뒤의평음이경음으로발음된다는내용인데그중에는원래소리가평음인지경음인지불분명한것들이있음. -( 으 ) ㄹ까, -( 으 ) ㄹ꼬, -( 으 ) ㄹ쏘냐 는아예된소리로표기
2 수의적경음화 (5) 제 28 항표기상으로는사이시옷이없더라도, 관형격기능을지니는사이시옷이있어야할 ( 휴지가성립되는 ) 합성어의경우에는, 뒤낱말의첫소리 ㄱ, ㄷ, ㅂ, ㅅ, ㅈ 을된소리로발음한다. 문 - 고리 [ 문꼬리 ] 손 - 재주 [ 손째주 ] 굴 - 속 [ 굴 ː 쏙 ] 아침 - 밥 [ 아침빱 ] 등 - 불 [ 등뿔 ] 눈 - 동자 [ 눈똥자 ] 길 - 가 [ 길까 ] 술 - 잔 [ 술짠 ] 잠 - 자리 [ 잠짜리 ] 창 - 살 [ 창쌀 ] 신 - 바람 [ 신빠람 ] 물 - 동이 [ 물똥이 ] 바람 - 결 [ 바람껼 ] 강 - 가 [ 강까 ] 강 - 줄기 [ 강쭐기 ] 산 - 새 [ 산쌔 ] 발 - 바닥 [ 발빠닥 ] 그믐 - 달 [ 그믐딸 ] 초승 - 달 [ 초승딸 ]
2 수의적경음화 1 내용 : 연못가 와 바닷가 의 ㅅ 의차이는전자는 ㅅ 이 연못 이라는어휘의일부분인반면, 후자는 ㅅ 이발음과관련된것 - 즉, 발음이 [ 까 ] 로발음되기때문에사이시옷 ㅅ 을넣은것 - 이때사이시옷은관형격기능, 즉 바다의가 와같은기능을한다고할수있음 - 위에제시된낱말중에는이와같이 의 의의미가들어있는것들이있음 예 문고리, 발바닥 : 앞말이자음으로끝난것이어서표기상사이시옷을쓸수는없지만, 실제로는있을수있는것들인데이런경우에는된소리로발음한다는내용
2 수의적경음화 2 환경적특성 : 소위사잇소리현상이라고부르는음운현상의가장전형적인예들로, 이또한 ㄴㄹㅁㅇ 다음에경음화가되는경우 - 의미적으로볼때, < 제 28 항 > 에는 관형격기능을지니는사이시옷이있어야할합성어 라고규정하고있지만, 관형격기능을지니는것이어떠한것인지설명하기어려움 - 일반적으로관형격은 의 의의미를갖는다고하나, 헌병 [ 헌 : 병 ] 과 헌법 [ 헌뻡 ] 에서, 그리고 품격 [ 품껵 ] 과 품질 [ 품질 ] 에서과연그러한차이를볼수있는지의문 - < 제 28 항 > 에서말하는수의적경음화는개별낱말차원의문제
2 수의적경음화 예 수의적경음화는개별낱말차원의문제 : 경음으로발음되는것들은합성어의두말사이에어떤소리 ( 예 : ㅅ ) 가첨가되어그다음평음을경음으로발음하게하는것 간격 [ 간격 ] 인격 [ 인껵 ] 헌병 [ 헌병 ] 헌법 [ 헌뻡 ] 불고기 [ 불고기 ] 물고기 [ 물꼬기 ] 발병 ( 發病 ) [ 발병 ] 발병 (- 病 ) [ 발뼝 ] 감기 ( 感氣 ) [ 감기 ] 바람기 [ 바람끼 ] 김밥 [ 김밥 ] 비빔밥 [ 비빔빱 ] 강산 [ 강산 ] 창살 [ 창쌀 ]
2 수의적경음화 3 유의사항 : 사이시옷과관련하여유의할점은사이시옷이들어가경음으로발음되는것이아니라, 경음으로발음되기때문에그것을표기로나타내기위하여사이시옷을사용한다는것 - 바닷가, 촛불 와같이앞말이모음으로끝나는낱말은사이시옷을표기했기때문에 가 와 불 이경음으로발음되는것이아니라, 가 와 불 이각각 [ 까 ] 와 [ 뿔 ] 로발음되기때문에사이시옷을표기해줌으로써자칫 [ 바다가 ] 나 [ 초불 ] 로읽히는것을막기위한것 - 길가, 등불 과같이앞말이자음으로끝나는낱말은 가, 불 이경음으로발음되기때문에사이시옷을표기해주어야하지만, 이미앞말에받침이있기때문에사이시옷을쓰지않는것 - < 제 28 항 > 에는 표기상으로는사이시옷이없더라도...( 중략 )... 사이시옷이있어야할합성어 라는문구를사용하고있는것
9 주차. 경음화 학습하기 Ⅲ: 필수적경음화에대한음운론적해석
1 필수적경음화와수의적경음화의성격차이 필수적경음화 문법적정보와관계없이이웃하는소리의음성 음운적성질에의해서만된소리로발음되는것 [ ㄱㄷㅂ ] 다음의 ㄱㄷㅂㅅㅈ 의경음화는한국어에서는단하나의예외없이모든경우에일어나는자동적이고필수적인현상
1 필수적경음화와수의적경음화의성격차이 수의적경음화 비자동적이고임의적인현상 모음이나유성자음 ㄴㄹㅁㅇ 다음에일어나는경음화 - 어휘가갖는문법적성격또는의미적성격에따라달라질수있음 - 앞에서본 용언에만적용된다. 나 접사가아닌어미에만적용된다. 또는 어휘에따라다르다 와같은것들이그에속하며이들의경우는음성적정보외에문법적또는어휘적정보가더필요한형태음운적인것
1 필수적경음화와수의적경음화의성격차이 필수적경음화 a b c d 명사 : 앞길 [ 압낄 ] 벽돌 [ 벽똘 ] 숯불 [ 숟뿔 ] 숲속 [ 숩쏙 ] 꽃집 [ 꼳찝 ] 명사 + 조사 : 앞과 [ 압꽈 ] 숲도 [ 숩또 ] 꽃보다 [ 꼳뽀다 ] 용언어간 + 어미 : 잡고 [ 잡꼬 ] 입도록 [ 입또록 ] 웃소 [ 욷쏘 ] 먹지 [ 먹찌 ] 용언어근 + 접사 : 맡기다 [ 맏끼다 ] 웃기다 [ 욷끼다 ]
1 필수적경음화와수의적경음화의성격차이 수의적경음화 a 명사 vs. 용언 안개 vs. 안고 [ 안꼬 ] 감기 vs. 감기 [ 감끼 ] 산지 vs. 신지 [ 신찌 ] 암소 vs. 심소 [ 심쏘 ] b 용언의어미와접사 안게 [ 안께 ]vs. 안기다 감고 [ 감꼬 ] vs. 감기다
1 필수적경음화와수의적경음화의성격차이 수의적경음화 c d 형태소내부와복합형태소 담그다 vs. 담고 [ 담꼬 ]( 담 + 고 ) 안다 ( 알 + ㄴ다 ) vs. 안다 [ 안따 ]( 안 + 다 ) 명사의어휘적성격에따라 불고기 vs. 물고기 [ 물꼬기 ] 헌병 vs. 헌법 [ 헌뻡 ]
2 필수적경음화에대한음운론적해석 필수적경음화는한국어자음의음소배열제약으로인해일어남 1) 한국어의음소배열제약 1 (1) 한국어에서연속되는두자음 ( 자음 1 & 자음 2) 은자음강도면에서다음의조건을충족하여야함 (2) 한국어의자음강도 < <
2 필수적경음화에대한음운론적해석 필수적경음화는한국어자음의음소배열제약으로인해일어남 2) 음소배열제약의적용 (1) 유음, 비음, 장애음사이에서음소배열제약이지켜지지않을때일어나는현상자음동화 (2) 장애음연속에서의음소배열제약이지켜지지않은때일어나는현상경음화 1 장애음연속에서의음소배열제약앞자음 < 뒤자음 2 음소배열제약이지켜지지않은때조정현상앞자음의강도를낮추는것이아니라뒤자음의강도를올림
2 필수적경음화에대한음운론적해석 필수적경음화는한국어자음의음소배열제약으로인해일어남 3) 한국어음소배열제약의수정 < 한국어의음소배열제약 >( 수정 ) 1 한국어에서연속되는두자음중뒤자음은앞자음보다자음강도가작을수없다. 단, 장애음끼리연속될경우에는반드시뒤자음이앞자음보다자음강도가커야함 2 한국어의자음강도 : 유음 < 비음 < 장애음 ( 평음 < 경음, 격음 ) * 한국어의필수적경음화는음소배열제약에의한자음강도조정현상
참고 : 영어와일본어에서의장애음연속 영어에서장애음이연속되는경우를보자. /k, p, t/ 와같은장애음이연속될때 act, doctor, opt, adopt 에서보는것과같이오직 /-kt, - pt/ 만을허용할뿐다른어떤자음의연속도허용하지않는다. 이사실을통해우리는두가지사실을알수있는데, 하나는영어에는조음위치에따른음소배열제약이있다는것이고, 다른하나는음성적인것으로, /t/ 앞에오는 /k/ 와 /p/ 는한국어의평음에가까운소리인반면, /t/ 는한국어의격음에가까운소리라는것이다. 이런이유로이들의한글표기에서도 [ 다크터 ] 로표기하지않고 [ 닥터 ] 처럼받침으로표기될수있다. 즉, 영어에서도두장애음이연속할때반드시한소리가다른소리보다커야한다.
참고 : 영어와일본어에서의장애음연속 일본어에서도마찬가지다. 일본어는 /ikkai/( 一回 ), /ippai/( 一杯 ) 등에서앞자음은평음의성격이강하고뒤자음은경음의성격이강하여앞자음보다뒤자음의자음강도가높다.
참고 : 장애음연속에서의강도조정현상 장애음과장애음의연속에서음소배열제약이지켜지지않았을때뒤자음의강도를올려경음으로발음하는것이한국어의경음화이다. 장애음연속에서앞자음의강도를낮추지않고뒤자음의강도를올리는것은불가피한것이라고할수있다. 왜냐하면, 비음화와유음화는뒤자음으로부터비음의성격이나유음의성격을가져와앞자음의강도를낮출수있지만, 연속하는두자음이평음인경우에는새롭게가져올조음방법상의특징이없기때문이다. 따라서뒤자음에소리의변동을주는방법외에는다른방법이없다.
참고 : 평음과평음이만날때, 왜뒤자음이유기음으로는발음되지않을까? 한국어에서유기음화는오직 / ㅎ / 와평음 / ㄱㄷㅂㅈ / 가만날때만가능하기때문이다.
9 주차. 경음화 학습하기 Ⅳ: 수의적경음화에대한음운론적해석
1 어간받침 ㄴ ( ㄵ ), ㅁ ( ㄻ ) 과결합하는어미 ㄱㄷㅅㅈ 의경음화 음성적환경은경음화의필수상황은아니지만매우규칙적으로나타나기때문에학자들은필수적경음화에포함시키기도함 학자에따라서는용언의어간다음에어미의첫자음을경음으로만드는어떤특별한소리 ( 편의상 ʔ 으로한다 ) 가삽입된것으로보기도함 용언의어간말비음 + 자음어미 / ㄱㄷㅅㅈ /
1 어간받침 ㄴ ( ㄵ ), ㅁ ( ㄻ ) 과결합하는어미 ㄱㄷㅅㅈ 의경음화 입력출력어간자음삽입어미어간어미ㄱㄲ ㄷㄸㄴ, ㅁ ʔ ㄴ, ㅁㅅㅆㅈㅉ
1 어간받침 ㄴ ( ㄵ ), ㅁ ( ㄻ ) 과결합하는어미 ㄱㄷㅅㅈ 의경음화 안기다, 감기다, 굶기다, 옮기다 등과같이사동접미사가결합하는경우는이접미사를어간의일부분으로파악하는까닭에필수적경음화의조건을적용을받는것으로해석 - 필수적경음화의조건에의하면비음다음에는굳이경음화가일어날필요가없으므로 ʔ 의삽입도없고따라서경음화가일어나지않는다는것
1 어간받침 ㄴ ( ㄵ ), ㅁ ( ㄻ ) 과결합하는어미 ㄱㄷㅅㅈ 의경음화 사동접미사의경우 입력어간어근접미사ㄴ, ㅁ기 출력어미어간어미ㄱ ㄱㄷㄷ -기ㅅㅅㅈㅈ
1 어간받침 ㄴ ( ㄵ ), ㅁ ( ㄻ ) 과결합하는어미 ㄱㄷㅅㅈ 의경음화 위와같은설명은용언의어간말음이비음인경우에만적용되고유음인 / ㄹ / 다음에는이러한자음삽입이일어나지않는다는점에서위와같은규칙의설정은논리적무리가있음 위의논의에서삽입되는자음이무엇인지모르기때문에특정소리로지정하기는어렵지만음성학적인면에서볼때비음다음에서는굳이경음화현상이일어날필요가없다는점에서볼때용언의어간말비음다음에어떤소리가삽입되어어미의경음화가일어난다는사실을부인하기는매우어려움
1 어간받침 ㄴ ( ㄵ ), ㅁ ( ㄻ ) 과결합하는어미 ㄱㄷㅅㅈ 의경음화 자음삽입을전제로하여보면용언의어간말자음인비음도삽입된자음과합하여져자음의강도가장애음과같은위치로상승하는반면, 자음강도가가장낮은유음 / ㄹ / 은장애음과같은강도로의상승은일어나지않는것으로보임
2 어간받침 ㄼ, ㄿ 과결합하는어미 ㄱㄷㅅㅈ 의경음화 넓게 [ 널께 ], 핥다 [ 할따 ], 훑소 [ 훌쏘 ]. 떫지 [ 떨찌 ] 등 읽게 [ 일께 ], 맑고 [ 말꼬 ] 와같이 ㄺ 받침도포함 이들과 울고, 알다, 살지 등어간말음이 ㄹ 인경우와다름 똑같이어간말음이 [ ㄹ ] 로발음되는데이러한차이를보이는이유가무엇일까하는것이의문의대상 이에대해서는두가지해석이가능
2 어간받침 ㄼ, ㄿ 과결합하는어미 ㄱㄷㅅㅈ 의경음화 1) ㄼ, ㄿ 중 ㄹ 이아닌다른하나의자음, 즉 ㅂ 또는 ㅍ 이장애음이므로이소리로인해어미의첫자음이된소리로발음된다음이자음들이탈락하는것으로해석자음군단순화가경음화다음에일어나는것
2 어간받침 ㄼ, ㄿ 과결합하는어미 ㄱㄷㅅㅈ 의경음화 경음화후탈락 a 음절 음절 초중종 + ㄴㅓㄹㅂ 초중종 ㄱ ㅔ
2 어간받침 ㄼ, ㄿ 과결합하는어미 ㄱㄷㅅㅈ 의경음화 d 음절 음절 초중종 ㄴㅓㄹㅂ 초중종 ㄱ ㅔ [ ㄲ ]
2 어간받침 ㄼ, ㄿ 과결합하는어미 ㄱㄷㅅㅈ 의경음화 e 음절 음절 초중종 ㄴㅓㄹㅂ 초중종 ㄱ ㅔ [ ㄲ ]
2 어간받침 ㄼ, ㄿ 과결합하는어미 ㄱㄷㅅㅈ 의경음화 1) 의경우중요한것은규칙적용의순서 - 발음되지않는두자음 ㅂ, ㅌ 이뒤자음을경음화한후에탈락하여야만 [ 널께 ], [ 할따 ] 로발음 - 만약이순서가바뀌어아래와같은순서로적용된다면우리가발음하는경음화는일어나지않음
2 어간받침 ㄼ, ㄿ 과결합하는어미 ㄱㄷㅅㅈ 의경음화 경음화전탈락 a 음절 음절 초중종 + ㄴㅓㄹㅂ 초중종 ㄱ ㅔ
2 어간받침 ㄼ, ㄿ 과결합하는어미 ㄱㄷㅅㅈ 의경음화 d 음절 음절 초중종 ㄴㅓㄹㅂ 초중종 ㄱ ㅔ
2 어간받침 ㄼ, ㄿ 과결합하는어미 ㄱㄷㅅㅈ 의경음화 e 음절 음절 초중종 ㄴㅓㄹ 초중종 ㄱ ㅔ
2 어간받침 ㄼ, ㄿ 과결합하는어미 ㄱㄷㅅㅈ 의경음화 1) 의해석은한국인의머릿속에과연이러한순서가존재할까하는의문을제기 - 이순서가음운지식으로존재할까하는것 - 만약그러하다면우리가어느순간착각하여그순서를바꾼다면경음으로발음하지않을텐데그런발음을들어본기억들이있느냐하는것
2 어간받침 ㄼ, ㄿ 과결합하는어미 ㄱㄷㅅㅈ 의경음화 다른하나의해석은자음군단순화의결과가탈락이아니라는것 - 다시말하면, 그자음은탈락하는것이아니라음절구조상해석을받지못할뿐 a 음절 음절 초중종 + ㄴㅓㄹㅂ 초중종 ㄱ ㅔ
2 어간받침 ㄼ, ㄿ 과결합하는어미 ㄱㄷㅅㅈ 의경음화 d 음절 음절 초중종 ㄴㅓㄹㅂ 초중종 ㄱ ㅔ [ ㄲ ]
2 어간받침 ㄼ, ㄿ 과결합하는어미 ㄱㄷㅅㅈ 의경음화 e 음절 음절 초중종 = ㄴㅓㄹㅂ 초중종 ㄱ ㅔ [ ㄲ ]
2 어간받침 ㄼ, ㄿ 과결합하는어미 ㄱㄷㅅㅈ 의경음화 2) 이해석이위의해석과다른점은굳이순서를정할필요가없다는것 - 적용할것이있으면적용하는것 - ㅂ 이나 ㅌ 으로인해뒤자음의경음화가이루어지고또자음군단순화에의해음절해석이없어발음이되지않을뿐굳이순서를정할필요가없다는것 - 최근의해석은전자보다후자를더선호하는편 - 이현상은 ㅂㅌㄱ 과같은장애음다음에일어나는경음화이므로엄격하게말하면수의적경음화라할수없음
3 한자어에서 ㄹ 받침뒤에연결되는 ㄷㅅㅈ 의경음화 갈등, 일시, 물질 등과같은경우 2 음절또는하나의단어로해석할수있는대부분의경우에경음화 음운론적해석은 발견, 출발 등에서보는것과같이뒤음절의첫소리가 ㄱㅂ 일경우에는경음화가일어나지않는다는데서출발 ㄷㅅㅈ 과 ㄱㅂ 의음성학적인차이가무엇일까하는것 그차이는혀끝이나전설이입천장쪽으로올라가느냐의여부 ㄷㅅㅈ 의경우는혀의그러한움직임을볼수있으나 ㄱㅂ 에서는그러한움직임을볼수없음
3 한자어에서 ㄹ 받침뒤에연결되는 ㄷㅅㅈ 의경음화 이차이를음성학에서는 [ 설정성 ](coronality) 이라함전자는 [+ 설정성 ] 인반면후자는 [-설정성] ㄹ 도 [+ 설정성 ] 을갖는소리따라서한자어의이러한경음화현상에대해규칙을세울수있음 두자음이모두설정성을가질경우어떤특정의소리가두자음사이에삽입되고, 이삽입된소리로인해뒤자음이된소리로발음된다는것
3 한자어에서 ㄹ 받침뒤에연결되는 ㄷㅅㅈ 의경음화 한자어의경음화 ʔ / ㄹ / + + [ 평음 ] / ㄹ / + [ 경음 ] [+ 설정성 ] [+ 설정성 ] - 위의규칙이한국인의음운지식으로존재
3 한자어에서 ㄹ 받침뒤에연결되는 ㄷㅅㅈ 의경음화 문제 - 판단, 단순, 편지 등과같이 / ㄴ / 받침다음에서는왜경음화가일어나지않느냐하는것에대한답을제시하기어렵다는것 - 이의문이의미있는것은 / ㄴ / 은 / ㄹ / 과마찬가지로 [+ 설정성 ] 의자질을갖기때문 - 아직까지는이문제역시미해결의상태로남아있음
4 관형사형 -( 으 ) ㄹ 뒤에연결되는 ㄱㄷㅂㅅㅈ 의경음화 먹을것, 갈곳, 할수 등과같이관형사형어미 -( 으 ) ㄹ 다음에일어나는경음화 이경음화역시자음삽입에의한것으로추정하지만명확한이유를모름 이현상과위의현상에서의공통점은 / ㄴ / 다음에서는경음화가일어나지않는다는사실 용언어미의경음화가일어나는환경, 즉 / ㄴㅁ / 다음에서는경음화가일어나는반면, / ㄹ / 다음에서는경음화가일어나지않는현상과정반대라는사실이우리의관심을끎
5 관형격기능을하는사이시옷이있어야할합성어의경우 어간받침 ㄼ, ㄾ 다음의경음화를제외한모든수의적경음화와마찬가지로이현상역시자음삽입에의한경음화로해석 표준발음법에서의설명에도잘나타나듯이 사이시옷이있어야할합성어 라는문구에서알수있음 문제는언제사이시옷이들어가는지에대한것인데모든경우에다적용되지는않지만대체로다음과같은경우
5 관형격기능을하는사이시옷이있어야할합성어의경우 1) 선행어근과후행어근이주종관계일때 예 비ㅅ방울, 바다ㅅ물, 손ㅅ등 2) 선행어근과후행어근이수식 - 피수식어관계일때 예 봄ㅅ바람, 움ㅅ집 3) 선행어근이시간을표시할때 예 봄ㅅ비, 가을ㅅ바람, 아침ㅅ밤
5 관형격기능을하는사이시옷이있어야할합성어의경우 4) 선행어근이장소를표시할때 예 산ㅅ달, 안ㅅ방 5) 선행어근이후행어근의출처나기원이될때 예 솔ㅅ방울, 눈ㅅ동자, 초ㅅ불 6) 선행어근이후행어근의용도를표시할때 예 고기ㅅ배, 잠ㅅ자리
5 관형격기능을하는사이시옷이있어야할합성어의경우 사이시옷이개재되지않는경우 1 선행어근이후행어근의형태나재료를표시할때 예 반달, 콩밥, 쌀밥, 질그릇 2 후행어근이용언으로부터전성된경우 예 해돋이, 손잡이 이와같이설명하고있으나올바른설명인지는누구도확신하지못함 그러한경우에는왜사이시옷이들어가는지는더욱알지못함
6 결론 경음화 한국어에서매우강력한음운현상 수의적경음화는아직미해결의문제로남아있음
9 주차. 경음화 정리하기
정리하기 경음화된소리가아닌말소리가선행하는요소의음성적또는문법적요소에의해된소리로발음되는현상 경음화의두가지종류 1 한국어의음운환경상경음으로발음될수밖에없는필수적경음화 2 음운환경과관계없이일어나는수의적경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