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회지제 15 권제 1 호, 2009 년 1 월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Vol.15 No.1, 34-41, January 2009 DOI : 10.4094/jkachn.2009.15.1.34 영유아발달선별검사를위한체크리스트개발및타당도검정 * 주현옥 1) 이내영 2) 박인숙 3) 이선옥 2) 김소희 4) 1) 동아대학교간호학과조교수, 2) 신라대학교간호학과전임강사 3) 김해연합소아과발달클리닉소장, 4) 동아대학교간호학과시간강사 = Abstract = Development & Validation of a Checklist for Infant and Child Developmental Screening* Ju, Hyeon-Ok 1) Lee, Nae-Young 2) Park, In-Sook 3) Lee, Sun-Ok 2) Kim, So-Hee 4) 1)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Dong-a University, 2) Full-time Lecturer, Department of Nursing, Silla University 3) Program Director, Children's Developmental Clinic in Kimhae Alliance Pediatrics, 4) Lecturer, Department of Nursing, Dong-a University Purpose: In this study, a Checklist for Infant and Child Developmental Screening (CICDS) was designed for use by primary pediatric health care providers to identify infants an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Method: Each Item of the CICDS was constructed referring to existing tools. In 5 public health centers of B city, 500 infants and children were selected at the age of 2, 4, 6, 12, & 18 months and assessed between October and December 2006. CICDS and the Korea Denver II were compared to assesses the validity of the CICDS. Results: The CICDS consisted of 30 items in 4 areas; Personal-social, Fine motor-adaptive, Language, Gross motor. The results of the CICD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result of Korea Denver II at each month of age. (r=0.19; p<.01). Of the 500 infants and children, 148 were suspect for development delays (sensitivity of 96%, specificity 73%). On the CICDS, 74.6% of children received same result as Denver II. In discriminant analysis, 89.9% of children were identified correctly by CICDS (p<.01). Conclusion: CICDS could be a screening procedures to quickly and reliably identify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s. It also provides a mean of recording measurements of development characteristics. Key words : Growth and development, Validation Study, Infant, Child development 주요어 : 영유아, 발달선별검사, 도구개발 * 본연구는 2006 년부산시영유아성장발달교육사업비지원에의해이루어짐. * This paper was supported by Busan City Fund in 2006. 교신저자 : 이내영 (E-mail: 245lny@hanmail.net) 투고일 : 2008 년 9 월 16 일심사완료일 : 2009 년 1 월 21 일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Lee, Nae-Young(Corresponding Author) Department of Nursing, Silla University San 1-1, Gwaebop-dong, Sasang-gu, Pusan, Korea Tel: 82-51-999-5871 Fax: 82-51-82-51-999-5176 E-mail: 245lny@hanmail.net 34 아동간호학회지 15(1), 2009 년 1 월
영유아발달선별검사를위한체크리스트개발및타당도검정 서론연구의필요성 최근우리나라는합계출산율이 2000년 1.47, 2005년 1.08로급격하게감소되어저출산이심화되는과정에있다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7). 이러한급격한출산율저하로인해영유아의건강관리에대한관심이고조되고있으며, 성인과달리아동은성장과발달의과정중에있으므로건강관리뿐만아니라성장과발달에대한관리가출생시부터필요하다. 발달은개인간의차이가약간은있으나대개태아때부터성인이될때까지거의모든사람에게있어서여러발달영역간에밀접한상관관계를유지하며지속적이고일정한형태로진행된다 (Kwon, 2004; Park, 1985). 아동의발달장애는서서히나타나기때문에소아과의사가정기검진이나다른목적으로진찰을할때쉽게알아내는것이현실적으로어렵고, 부모가영아의발달에의문을갖고아동을병원에데리고오는경우에도그시기가너무늦는경향이있다 (Lee, 2002). 영유아기의성장발달은평생건강에있어결정적인시기이므로 (Im, 2005) 아동의발달장애를조기에발견하는일은아동건강에매우중요하다. 간호사는아동의발달장애를조기발견하여치료적접근을조기에중재하여야할것이다. 가능한조기에발달장애를진단받고치료를시작하는것이중요하기때문에, 발달장애를가진아동을조기에발견하고조기교육을시작하는것을법으로정해놓은나라도있다 (Blackman, Healy, & Ruppert, 1992; DeGraw et al., 1988). 그러나우리나라는시간의부족, 발달검사필요성에대한인식부족, 발달에대한수련부족등으로현재까지는병 의원에서건강아에게정기적으로발달선별검사를시행하지않고있다 (Lee, 2002). 최근일부보건소에서는의료인외에아동관련전문인이쉽게사용할수있는덴버발달검사를이용하여발달선별검사를실시하고있다. 이도구는출생시부터 6세까지의개인- 사회성, 미세운동, 언어및전체운동영역에서의발달수준을사정하기위해 105항목으로구성되어있고 (Frankenburg et al., 1990), 한국아동을대상으로 Shin, Han, Oh, Oh와 Ha(2002b) 가한국형덴버 II를표준화하여사용하고있다. 그러나하루에수백명의아동이예방접종을위해내원하는보건소상황에서그아동모두에게한국형덴버 II를이용하여발달선별검사를시행하는것은불가능하다. 부산시는 2006년부터특화사업으로영유아성장발달교육사업을실시하면서모자보건담당자를대상으로성장발달관련교육및발달선별검사를위한실습교육을강화하고있으나, 모자보건담당자의 50% 이 상이성장발달검사시어려운점이 시간부족 이라고답하였으며, 대부분이타당성이검정되지않은체크리스트형태의발달검사도구를사용하여발달선별검사를시행하고있었다 (Ju, 2006). 따라서보건소업무량, 발달검사의효율성및현실적여건등을고려할때부모가먼저자녀의발달에대해간단하게직접검토할수있는체크리스트형식의발달평가도구가필요하다. 또한아동들이주로접종을하기위해보건소를내원하므로, 예방접종시기인 2, 4, 6, 12, 18개월월령에맞는발달선별검사용체크리스트의개발및타당화연구가절실하게요구되는실정이다. 이에본연구자는보건소간호사들이일선현장에서효율적으로발달선별검사를실시하여발달지연을조기발견하고영유아건강을증진시키기위해부산시모자보건교육개발사업의일환으로발달체크리스트를개발하여, 그타당도를검정하기위해본연구를시도하게되었다. 연구목적본연구의구체적목적은다음과같다. 영유아발달선별검사를위한체크리스트를개발한다. 영유아발달선별검사를위한체크리스트의타당도를검정한다. 영유아발달선별검사를위한체크리스트의민감도, 특이도및정확도를확인한다. 연구방법도구개발 7-8년간소아과및보건소에서발달선별검사를실시해온간호학박사 2인이한국형덴버 Ⅱ(Shin, Han, Oh, Oh, & Ha, 2002a), 한국 Bayley 영유아발달검사 (Park, Jo, & Choi, 2002), ASQ(Age and Stages Questionatere)(Sung, 2006), 한국영유아발달검사표 (Sung 2006) 등기존의발달선별검사도구들을참고로하여보건소에주로내원하는월령인 2, 4, 6, 12 및 18개월에해당하는발달문항을구성하였다. Jung(2000) 이제시한월령설정기준및각월령별발달특징을참고로하여기존의발달도구로부터여러문항중에서도구개발자가 7-8년간의발달검사경험을토대로각개월별발달지연을평가하는데특히중요한문항을선정하였다. Jung(2000) 의월령설정조건은목가누기, 앉기, 서기, 걷기등누구나검사하기쉬운발달의하나로해당연령의소아대부분 (75-90%) 에서이루어지는시기이며, 뇌신경과반사발달로보아어떤발달단계가해당연령군의반이상에서할수있는시기라고하였 아동간호학회지 15(1), 2009 년 1 월 35
주현옥외 으며, 4개월, 7개월, 10개월, 18개월로제시하였다. 그러나본연구에서는개발자들이 7-8년간보건소에서발달검사를시행하면서보건소간호사들의요구도를수용하여보건소에예방접종을위해내원하는월령을검사월령으로설정하였다. 15 개월이제외된이유는일반적으로 MMR과수두의경우 12월에접종하는경우가많아 15개월에는보건소에내원하는경우가드물고, Jung (2000) 이제시한월령에도없었기때문이다. 그결과각개월마다개인- 사회성발달 2문항 ( 예외 :2개월 1문항 ), 미세운동및적응발달 2문항, 언어발달 2문항 ( 예외 : 18개월 1문항 ) 및운동발달 2문항으로구성되었으며, 월령 18 개월의언어영역에해당하는문항인 현재말할수있는단어수 는 12개월이후의아동들이가장많이사용하는단어들 (Kwak et al., 2005) 을제시한후아동이사용하는단어를모두선택하게하여그수를통계프로그램에입력하여구하였다. 그결과 90 백분위에해당되는단어수가 4개로나타나 18 개월아동의언어영역문항에포함시켰다. 1차완성된체크리스트를각월령별로 10명씩사전조사를실시하였다. 사전조사에서어머니들이이해하기힘들어하는문항은수정하였다. 엎드려놓았을때머리를약간든다 의문항은약간이어느정도인지혼동하여 30도정도라고괄호안에표기하였으며, 목을가눈다 라는문항은 앉히면고개를가눌수있다 로수정하였고, 멀리있는장난감을잡는다 는문항은 멀리있는장난감으로팔을뻗거나잡는다 로, 앉는다 의문항은 양손을앞으로짚고앉아있다 등으로수정하였다. 신뢰도검정신뢰도는실험, 검사혹은측정절차를반복시행하였을때어느정도동일한결과를산출하느냐에관한것으로안정성검사를위한검사- 재검사법, 내적일관성검사를위한 Alpha 계수, 동등성및관찰자간신뢰도등으로검정할수있다 (Lee, Im, & Park; 1998). 본연구에서개발된발달선별검사를위한체크리스트는아동이계속적인발달과정에있기때문에 1-2주후에재검사하는검사- 재검사법을사용할수없고, 내적일관성검사역시각항목들이발달의다른영역을평가하기때문에 Alpha 계수를이용한신뢰도가의미가없었다. 따라서관찰자간신뢰도를측정하였다. 각월령별로 10명의아동을대상으로검사자 3명이함께체크리스트를이용하여발달평가를한후결과를비교하였다. 3명의검사자가평가한결과는 100% 일치율을보였다. 타당도검정 본도구의타당도는기존의척도인한국형덴버 II를준거로 (Kang, Kim, Song, & Sim, 2007) 하여준거타당도를검정하였다. 연구대상및자료수집기간 B 시소재 16개구보건소중발달검사를할장소가있으며, 대상자선정에도움을줄수있는 5개보건소에서모자보건담당자의협조를얻어, 예방접종을위해내원한 2, 4, 6, 12, 18개월아동중보호자가연구참여에동의한아동을각월령별 ( 미숙아의경우, 분만예정일을기준으로하는수정연령을적용 ) 로 100명씩총 500명을연구대상으로선정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6년 10월부터 12월까지였다. 연구도구 한국형덴버 II 덴버 II는 1967년에개발된 DDST(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를 1990년 Frankenburg가개정한영유아선별검사로, 한국형덴버 II는 Shin 등 (2002b) 의재표준화연구에의해개발되었다. 전체 110항목이며하부항목은개인 -사회성, 미세운동, 언어및전체운동영역으로나뉘어져있다. 검사결과의해석은덴버 II가진단적검사가아니라발달선별검사로발달위험도를예측하는목적으로수행되므로해석에서 비정상 을제외하고 정상 과 의심스러운발달 로분류하였다 (Frankenburg et al., 1990). 각발달영역마다 지연 항목이없고 주의 항목이최대한개일때는 정상발달 로평가하고, 한개의 지연 항목이나두개이상의 주의 항목이있을때 의심스런발달 로평가하도록되어있다. 본연구에서도민감도와특이도를산출하기위해이러한분류방법을적용하였다. 발달체크리스트본연구에서개발된발달체크리스트는 2, 4, 6, 12, 18개월영유아를대상으로하며, 개인- 사회성발달 2문항 ( 예외 : 2개월 1문항 ), 미세운동및적응발달 2문항, 언어발달 2문항 ( 예외 : 18개월 1문항 ) 및운동발달 2문항으로구성되었다. 해당항목을모두수행하면 정상, 하나라도수행하지못하면 의심 으로분류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일반적특성및발달체크리스트는도구에대한간략한설명을제공받은후아동의어머니가직접작성하였고, 한국형덴버 II는발달검사자격증을가지고있는간호학석박사 3명이발달검사를시행하였다. 자료분석방법 36 아동간호학회지 15(1), 2009 년 1 월
영유아발달선별검사를위한체크리스트개발및타당도검정 SPSS 통계패키지를이용하여분석하였다. 일반적특성은빈도와백분율을이용하였으며, 발달체크리스트와한국형덴버 II와의상관관계는교차분석을실시하였고, 발달체크리스트의정확도평가는판별분석을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일반적특성과신체적특성, 어머니의산과적특성 대상영유아의일반적특성은 Table 1과같다. 재태기간은평균 30주이며, 37주미만의미숙아가 31명 (6.2%), 정상아 456명 (91.2%), 42주이상의과숙아 11명 (2.2%) 이었다. 출생시체중은평균 3.21kg이었으며, 2.5kg 미만의저체중은 67명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Infants (N=500) Variable Mean Category n(%) Gestational age 30±1.8 <37 31( 6.2) (week)* 37, <42 456(91.2) 42 11( 2.2) Weight at birth(kg)* 3.2±.5 <3%ile 67(13.4) 3%ile, <97%ile 430(86.0) 97%ile 3( 0.6) Height at birh(cm)* 49.8±2.5 <3%ile 37( 7.4) 3%ile, <97%ile 452(90.9) 97%ile 8( 1.6) Sex male 258(51.6) female 242(48.4) Health state at birth Healthy 454(90.8) Unhealthy 46( 9.2) Hospitalization 12.85 ±9.50 duration(day) 1st 275(55.0) Birth order 2nd 201(40.2) 3th 24( 4.8) Siblings of children Y 11( 2.2) with disabilities N 489(97.8) Present weight(kg) 8.7±2.2 <3%ile 16( 3.2) 3%ile, <97%ile 436(87.2) 97%ile 48( 9.6) Present height(cm)* 70.2±8.71 <3%ile 16( 3.2) 3%ile, <97%ile 311(87.2) 97%ile 46( 9.2) (13.4%), 정상체중 430명 (86%), 과체중 3명 (0.6%) 이었다. 출생시신장은평균 49.80cm이며, 저신장 37명 (7.4%), 정상신장 452명 (90.9%), 과신장 8명 (1.6%) 등으로나타났다. 저신장은같은성과연령에서성장백분위가 3백분위수미만인경우이고, 과신장은 97백분위수이상인경우를의미한다 (Ahn, 2004). 성별은남아가 51.6%, 여아는 48.4% 였다. 출생시아기의건강상태는 90.8% 가건강하였고, 입원한영유아는 9.2% 였으며이들의평균입원기간은 12.8일이었다. 형제순위는첫째가가장많았으며, 장애형제가없는경우는 97.8% 였다. 월령별대상자의신체적특성을살펴보면 Table 2와같다. 검사당시체중과신장을한국발육표준치와비교해보면남아는체중과신장모두한국표준치보다전월령에걸쳐약간적었으나여아에서는체중과신장모두약간높게나타났다. 어머니의산과적특성은 Table 3과같다. 분만시어머니의평균연령은 30.46세였으며, 분만형태는자연분만이 64.8% 로가장많았고, 임신횟수는평균 1.83회, 분만횟수평균 1.5회였다. 유산횟수는평균 1.32회였으며, 조산경험은없는경우가 97.4% 였다. 발달체크리스트내용본검사는영유아의부모가자녀의발달상태를손쉽게확인할수있도록체크리스트형식으로개발되었다. 발달체크리스트항목의하위영역은개인 사회성, 미세운동 / 적응, 언어및운동등의 4개영역이며, 2개월과 18개월은 7개항목, 나머지는 8개항목으로구성되었다. 본발달체크리스트의문항은지금까지개발된발달검사항목중대표적인것으로부모가관찰에의해쉽게판단할수있도록문항을구성하였다 (Table 4). 각개월마다 아니오 가 1개항목이라도체크되면발달평가결과는 의심 으로분류하여 1개월후재검사하거나한국형덴버 II를실시하도록권장하였다. 항목별통과빈도각항목에대한통과빈도는최저 73% 에서최고 99% 로, Table 2 Characteristics of the Infants (N=500) Weight(mean±SD) Height(mean±SD) Male Female Male Female Month Sample Standard Sample Standard Sample Standard Sample Standard 2 5.60 0.78 6.22 0.80 6.06 0.72 5.82 0.78 57.78 2.41 60.3 2.8 59.87 2.69 59.2 2.9 4 7.51 0.65 7.62 0.86 7.83 0.83 7.15 0.84 64.97 2.78 65.1 2.6 65.28 2.78 64.0 2.4 6 8.38 1.06 8.45 0.97 8.96 1.13 7.88 0.89 68.10 3.29 69.0 3.0 69.83 3.24 67.4 2.9 12 9.95 1.05 10.26 1.31 10.48 1.23 9.49 1.26 76.13 2.53 77.8 3.3 77.85 3.57 76.2 3.3 18 11.05 1.20 11.34 1.35 11.57 1.22 10.74 1.24 80.31 5.71 82.7 3.8 82.21 2.50 81.6 4.3 아동간호학회지 15(1), 2009 년 1 월 37
주현옥외 Table 3. Obstetric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s Variable Mean Category n(%) Type of delivery NSVD 324(64.8) C/S 176(35.2) Frequency of pregnancy 1.83±0.95 Frequency of delivery 1.50±0.59 Frequency of abrotion (N=124) 1.32±0.68 Artificial 46( 9.2) Spontaneous 70(14.0) Artificial+spontaneous 8( 1.6) Preterm delivery experience (N=499) Yes 12( 2.4) No 487(97.4) Complication at pregnancy Yes 34( 6.8) No 466(93.2) Age at childbirth (years) 30.46±3.57 (N=500) Table 4. Developmental Checklist Month Area Items Y N 2 Personal-social 1. 미소를짓는다. 2. 얼굴을빤히쳐다본다. Fine motor-adaptive 3. 눈앞의물체가움직이면따라본다. 4. 큰소리에깜짝놀란다. Language 5. 웅얼거리는소리를낸다. Gross motor 6. 활발하게양팔다리를움직인다. 7. 엎드려놓았을때머리를약간 (30도정도 ) 든다. 4 Personal-social 1. 쳐다보면웃는다. 2. 자기손을보고논다. Fine motor-adaptive 3. 장난감을주면손을펴서잡는다. 4. 좌우로움직이는물체를따라눈이움직인다. Language 5. 웅얼거리는소리를낸다. 6. 큰소리로웃는다. Gross motor 7. 앉히면고개를가눌수있다. 8. 세우면다리에약간힘을준다. 6 Personal-social 1. 장난감을뺏으려하면뺏기지않으려한다. 2. 무엇이든지입으로가져가빤다. Fine motor-adaptive 3. 멀리있는장난감을팔을뻗거나잡는다. 4. 건포도나콩처럼작은물체를본다. Language 5. 목소리가나는쪽으로고개를돌린다. 6. 짧은단음절소리 ( 바, 빠, 마, 맘, 엄등 ) 를낸다. Gross motor 7. 뒤집는다. 8. 양손을앞으로짚고앉아있다. 12 Personal-social 1. 짝짜꿍, 안녕, 빠이빠이 등의행동을한가지는할수있다. 2. 원하는것을가리켜서표현한다. Fine motor-adaptive 3. 양손에쥔장난감을서로두드려소리를낸다. 4. 엄지와검지로조그만것을집을수있다 ( 머리카락등 ). Language 5. 억양을실어말이안되는소리로조잘거린다. 6. 안돼 라는말에반응한다. Gross motor 7. 누워있는자세에서혼자앉는다. 8. 2초정도잡지않고혼자서있는다. 18 Personal-social 1. 숟가락을사용하여조금흘리면서먹는다. 2. 간단한심부름을한다. Fine motor-adaptive 3. 2개의나무블럭을쌓는다. 4. 아무렇게나그린다. Language 5. 엄마 를포함한 4개정도의단어를말한다. Gross motor 6. 도움없이잘걷는다. 7. 뒷걸음질을친다. 38 아동간호학회지 15(1), 2009 년 1 월
영유아발달선별검사를위한체크리스트개발및타당도검정 정확한진단과정을거치면발달장애가없는정상아동으로판명되는과도위탁이발생하지않도록조절하였다. 통과빈도가낮은항목으로는 2개월발달체크리스트 7번항목 엎드려놓았을때머리를약간 (30도정도 ) 든다 가 73%, 6개월의 8번항목 양손을앞으로짚고앉아있다 가 74% 의통과율을보였다. 발달체크리스트의타당도 발달체크리스트의타당도는한국형덴버 Ⅱ를준거로하여준거타당도를평가하였다. 발달체크리스트와한국형덴버 Ⅱ의전체와하부영역판정결과를교차분석하여카파통계치로상관관계를분석하였다 (Table 5). 각월령별로전체영역에서한국형덴버 Ⅱ와모두유의한상관관계를보여타당도가있었다. 각월령별하부영역을살펴보면 2개월에서는미세운동 / 적응 (kappa=.49, p<.01) 과운동 (kappa=.10, p<.05) 이 4개월에서는개인사회성 (kappa=.32, p<.01) 과언어 (kappa=.37, p<.01) 가, 6개월에서는개인사회성 (kappa=.15, p<.01) 과운동 (kappa=.12, p<.05) 이, 12개월에서는언어 (kappa=.48, p<.01) 와운동 (kappa=.19, p<.01) 이, 18개월에서는전하부영역이한국형덴버 Ⅱ와유의한상관관계를보여타당도가있음을보여주었다. 발달체크리스트의민감도, 특이도, 정확도 한국형덴버Ⅱ 발달선별검사에대한월령별체크리스트의민감도, 특이도및정확도를분석한결과는 Table 6과같다. 한국형덴버Ⅱ 발달선별검사에서 의심 인영유아가발달체크리스트에서 의심 으로옳게판정한비율인민감도는.96이었으며, 한국형덴버Ⅱ 발달선별검사에서 정상 인영유아가발 Table 6.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of Developmental Checklist (N=500) Korean denver II Suspect Normal Suspect 22 126 148 Developmental checklist Normal 1 351 35 23 477 500 달체크리스트에서 정상 으로옳게판정한비율인특이도는 73으로나타났다. 전체적으로 74.6% 가한국형덴버Ⅱ 발달선별검사와동일하게분류된것으로나타났다. 판별분석결과에서는 89.9%(p<.01) 가정확하게분류해낸것으로나타났다. 논의 본연구는전문가에게발달검사를의뢰하기전에부모가스스로아동의발달상태를간편하게평가하여영유아의발달지연조기발견과예방및보건소모자보건담당자의업무효율성향상에기여하고자시도되었다. 발달선별검사는발달과정에서실패할가능성이있는지를판단하기위한간략한사정절차 (Meisels & Provence, 1989) 이며후속적인진단이필요한영유아를변별하는첫단계이다. 선행연구 (Meisels & Atkins-Burnett, 1994; Son, 2000) 에따르면, 선별검사는일반적으로비교적많은검사자들이많은수의유아를대상으로개별적으로실시하게되므로교사나검사를실시하고자하는사람이검사요강을읽고, 검사실시방법에대해쉽게배울수있어야한다. 그러나덴버발달검사, 조기선별검사, 유아발달수준검사의경우의경우교사나전문가에의해서만실시될수있다 (Son, 2000). 또한 Oh, Lee와 Lee(2004) 이지적한대로현실적으로소아과진료중의사가발달검사를병행할경우에는, 시간에쫓기어충분한시간을두고평가를할수없는상황이다. 이때문에발달평가가이루어져야할시점보다훨씬더지난시점에서행해지는경우가많아 (Lee, 1999) 적기를놓치고있는실정이다. 특히발달상의문제가있는영유아는도움이필요한시기를놓치지않고적시에중재프로그램을제공되는것이매우중요하다. 이에대한대안으로 Oh 등 (2004) 은아동학및영유아관련전공자들이임상현장에서발달을평가할수있어야한다고주장했으며, 이미 2004년에영유아관련법안에상정하여발달평가를전국보건소에서의무화하는방식의정책을제안하였다. 그러나보건소는하루에수백명의아동들이예방접종을위해내원하므로모든아동을대상으로현재까지개발된도구들을이용하여발달평가를한다는것은거의불가능하다고볼수있다. 본발달체크리스트의문항은기존의여 Table 5. Validity of Developmental Checklist Area 2M 4M 6M 12M 18M Personal-social 0.00 0.32*** 0.15*** 0.09 0.65*** 0.25*** Fine motor-adaptive 0.49*** 0.02-0.04-0.02 0.42*** 0.11*** Language -0.02 0.37*** -0.02 0.48*** 0.26*** 0.21*** Gross motor 0.10** -0.02 0.12** 0.19*** 0.48*** 0.16*** 0.23*** 0.18*** 0.06* 0.15*** 0.57*** 0.19*** *** p<.01 **p<.05 *p<.10 아동간호학회지 15(1), 2009 년 1 월 39
주현옥외 러가지발달검사도구 ( 한국형덴버Ⅱ, 한국형영유아발달검사표, 한국형 BaylerⅡ, ASQ, PDQ) 에근거하여부모가쉽게이해할수있도록문항을구성하여영유아의부모가자녀의발달상태를 5분이내에손쉽게확인할수있도록하였고, 아동의발달은개인별차이나특성이있으므로즉각적인판단을하는것이아니라발달이상이의심되면 1-2주후에한번더확인한후보건소모자보건담당자가한국형덴버 II 등을이용한발달평가를시행한후발달지연이의심되면상급기관에의뢰하도록하였다. 유아의발달상의장애는조기에발견될수록적절한교육적중재를일찍시작할수있고또한더쉽게회복된다는선행연구 (Son, 2000) 에의거하여, 보건소에접종을위해주로내원하는월령인 2개월부터체크리스트를사용할수있게하였다. 뇌성마비를조기에발견하려면생후 12개월이전에발달검사를받아야하고 (Kim, 1999) 선천적인뇌발달정도를알아보기위해서는생후 4개월에는발달검사를받아야하므로 (Kim, 2000) 검사시기는이시기를모두포함하였으며보건소간호사들의요구에따라주로접종을위해내원하는월령인 2, 4, 6, 12, 18개월의발달문항을개발하였다. 개월별발달체크리스트항목의하위영역에서는개인 사회성, 미세운동 / 적응, 언어및운동등의 4개영역이며, 2개월과 18개월은 7개항목, 나머지는 8개항목으로구성하여유아의발달상의문제를나타내줄수있는하위영역 (Son, 2000) 을선정하고자하였으며, 세부항목은일반적인발달검사의영역과일치하여다른검사와호환하여비교가능하다. 덴버도구가언어영역의민감도가낮다는문제점이제기되어왔기때문에 (Sung, 2006), 본연구에서는어휘력이증가하기시작하는시기인 18개월에서사용하는단어수를알아내기위해 Kwak 등 (2005) 이 한국영아의언어발달에대한연구 에서제시한 13-18개월의영아들이사용하는단어들을모두제시한후아동이사용하는단어들을고르게하여단어수를통계프로그램에입력한후 90 백분위에해당하는단어수가 4개로나타나 18개월아동의언어영역에포함시켰으므로기존의한국형영유아발달검사도구보다 18개월의언어영역은타당성이높을것으로생각된다. 각항목에대한통과빈도는최저 73% 에서최고 99% 로대부분의영유아가검사항목을통과하는것으로나타나 2개월의 7번과 6개월의 8번문항을제외하면모든문항이약90% 이상의문항통과율을보였다. 이것은발달선별검사의목적이후속진단이필요한영유아와일반영유아를변별하고자하는것이므로본체크리스트가정상적인발달을보이는영유아는쉽게통과할수있는문항들로구성되어있다는것을나타낸다고볼수있다. 또모든문항에서 70% 이상의문항통과율을보이는경우발달선별검사항목으로적절하다 (Jung & Hwang, 1996) 고보므로, 본검사도구가전체적으로진단의뢰집단과통과집단을잘선별하고있음을나타낸다. 이중 2개월검사항목의운동영역인 엎드려놓았을때머리를약간 (30도정도 ) 든다 와 6개월의 양손을앞으로짚고앉아있다 의경우, 그통과빈도가낮았는데그이유는 시도해보지않았다 또는 잘모르겠다 라고한경우가많았으므로이부분에대해서는간호사가한번더설명을하거나현장에서수행해본다면통과율을보다향상시킬수있을것으로생각된다. 한국형덴버 II와민감도, 특이도및정확도를분석한결과민감도는.96, 특이도는.73이었으며, 정확도는 74.6% 였고, 판별분석결과 89.9% 가정확하게분류해낸것으로나타났다. 본도구는민감도가높은단점이있어너무많은아동이 2차스크리닝을받아야하지만지연아동을정상으로잘못판단할가능성이낮고, 부모가 5분이내에간편하게발달검사를실시할수있는효율성이높아임상적적용도와경제적효과를기대할수있다. 본연구에서밝혀진사실들을토대로볼때, 영유아발달선별검사를위한체크리스트는일선보건소와보육시설을포함한다양한영유아건강관리기관에서전문가가발달검사를시행하기전부모가스스로자녀의발달상태를간단하게평가함으로써비용효율적인장점이높으며, 모자보건담당자의업무효율성향상에도기여하면서영유아의발달지연을조기발견하여아동의건강증진에기여할수있는타당성있는도구라고생각된다. 결론및제언 본연구는조기에간편하게영유아의발달지연을선별하기위한발달체크리스트를개발하여그타당도를검정하고자시도되었다. 보건소에예방접종을위해내원하는월령인 2, 4, 6, 12, 18개월영유아를대상으로각개월마다개인사회성, 미세운동 / 적응, 언어및운동영역의 4개영역에서발달을점검할수있도록구성하였다. 개발된도구의타당도검정은각개월별영유아 100명총 500명을대상으로한국형덴버 II와준거타당도, 민감도, 특이도및정확도를분석하였다. 준거타당도는전월령에서전체결과가한국형덴버 II와유의한상관관계를보여주어타당도가있음을나타냈다. 따라서본발달체크리스트는매우간편하고효율적으로영유아의발달지연을조기에발견할수있도록개발된도구라고할수있으며, 많은보건소간호사들의업무효율성향상에기여할것으로생각된다. 본연구결과로부터다음과같은제언을하고자한다. 본도구를사용하여모자보건담당자들이직접발달선별검 40 아동간호학회지 15(1), 2009 년 1 월
영유아발달선별검사를위한체크리스트개발및타당도검정 사를실시한타당도검정연구가필요하다. 본연구는부산지역아동만을대상으로하였으므로전국아동을대상으로한표준화연구가필요하다. 발달체크리스트이지만일부항목에대해모자보건담당자들이직접검사를통해특이도를높일수있으므로부모보고와검사를혼합하여사용할필요가있다. References Ahn, H. S. (2004). Hong' Pediatrics. 8th Ed. Seoul: Daehan Printing & Publishing Co. Blackman, J. A., Healy, A., & Ruppert, E. S. (1992). Participation by pediatricians in early intervention: impetus from Public Law 99-457. Pediatrics, 1, 98-102. DeGraw, C., Edell, D., Ellers, B., Hillemeier, M., Liebman, J., Perry, C., & Palfrey J. S. (1988). Public Law 99-457; New opportunities to serve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Journal of Pediatrics, 113. 971-974. Frankenburg, W. K., Dodds, J., Archer, P., Bresnick, B., Maschka, P., Edelman, N., & Shapiro, H. (1990). Denver II technical manual. Denver, CO: Denver Developmental Materials, Inc. Im, S. B. (2005). Development of an interaction behaviors checklist for early dection of autistic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1), 5-15. Ju, H. O. (2006). The workshop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screening for the child and infant: Busan city child and infant growth and development education report. Pusan metropolitan city. Jung, H. Y., & Hwang, H. I. (1996).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for young children. Journal of Child Educare Research, 1, 35-56 Jung, S. J. (2000). Early detective method for infant developmental delay according to ages, Pediatrics Continuing Education, 9-16. Kang, K. A., Kim, S. J., Song, M. K., & Sim, S. Y. (2007).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n instrument for Adolescents Meaning in Life Scale(AMI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5), 625-634. Kim, S. Y. (2000). Development is to learn how to adapt to the world. Retrived from Web site http://www.anne.co.kr/ channel/baby/develop24.htm Kim, Y. H. (1999).The development of hippocampus: Epilepsy and dendrite of interneuron Journal of the Korean Child Neurology Society, 7(2), 171-180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7). 2006 Korean birthand-death linked data sets by administrative districts. Kwak, K. J., Seong, H. R, Jang, U. K., Shim, H. O., Lee, J. H., Kim, S. J., & Bae, G. J. (2005). Korean Infant Developmet, Seoul: Hakjisa. Kwon, S. H. (2004). Neurological examination after the newborn period until 3years of age.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47(11), 1142-1148. Lee, E. O., Im, N. Y., & Park, H. A. (1998). Nursing medical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Seoul:Soomoonsa. Lee, H. J. (1999). Measures of utterance length and lexical diversity of normal and language-delayed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Lee, K. (2002). A study on Ewha infant development screening test.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45(6), 700-711. Meisels, S. J. & Atkins-Burnett, S.(1994). Developmental screening in early childhood: A guide(4thed.), Washington, DC Meisels, S. J., & Provence, S. (1989). Screening and assessment: Guidelines for identifying young disabled and developmentally vulnerable children and the families. Washington, D. C.: National Center for Clinical Infant Programs. Oh, M. H., Lee, I. K., & Lee, H. J. (2004). The developmental comparisons in preterms at risk, full-terms at risk, and normal infants. Journal of the Korean Child Studies, 25(5), 147-161. Park, H. W., Jo, B. H., & Choi, H. J. (2002). A guide book of Korean Bayley Sacales of Infant Development (K-BSID-II), Seoul: Kidspop. Park, Y. A. (1985). A comparative study on the growth & developmental status of premature and full term infants during the first 3 yea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5(3), 62-73. Shin, H. S., Han, K. J., Oh, K. S., Oh, J. J., & Ha, M. N. (2002a). A guide book of Korean Denver II. Seoul: Hyunmoon Co. Shin, H. S., Han, K. J., Oh, K. S., Oh, J. J., & Ha, M. N. (2002b). Denver developmental Ⅱ screening test: A cross cultural comparison.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3(1), 89-97. Son, W. K. (2000). Review and suggestions about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Journal of Child Educare Research, 6, 67-84. Sung, I. K. (2006). Developmental screenign test training courses.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s. 아동간호학회지 15(1), 2009 년 1 월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