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혜 박은혜 ( 이화여자대학교특수교육학과 ) 김주혜 박은혜. 보완대체의사소통중재에서의관련자간협력에대한연구문헌분석. 언어청각장애연구, 2005, 제 10 권, 제 2 호, 128-140. 보완대체의사소통을사용해야할정도의중도의사소통장애아동들도최근에는통합교육의대상이되고있다. 언어치료의방법이과거의치료실중심의분리된형태에서부터교실중심의통합된치료의형태로발전되어가면서이에따른전문가들간의협력이연구의주제로다루어지고있다. AAC 는특히관련전문가들의협력이 AAC 적용의성공에매우중요한요소로여겨지기때문에이에대한논의가많이이루어진반면실제시행에관한연구는그리많지않기때문에, 본연구에서는선행연구를중심으로 AAC 중재에있어서의협력형태와내용등에관하여알아보았다. 최근 10 년간의연구중 AAC 중재에대한것으로서 2 명이상의전문가협력을다루고, 문헌연구나개념설명이아닌연구들을선정하여최종 8 편을대상으로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언어치료사, 특수교사외에도통합교육상황에서의일반교사및부모, 보조교사가중요한 AAC 팀의구성원으로나타났으며, AAC 중재및협력이의사소통뿐아니라사회적참여, 학습수행등에서도긍정적인효과를가져온다는것을알수있었다. 반면이와관련한어려운점도지적되었으며, 사전교육및교사재교육의필요성을알수있었다. 국내의치료교육및언어치료상황과매우다른외국환경에서의선행연구들이기는하지만, 향후 AAC 중재의시행과관련한시사점을찾을수있었다. 핵심어 : 보완대체의사소통, 팀접근, 협력 I. 서론 통합교육의흐름이강조되면서보완대체의사소통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교수가요구되는복잡한의사소통요구를지닌아동들의통합도증가되고있다 (Erickson & Koppenhaver, 1998; Soto et al., 2001a). 통합교육은모든아동들의학습가능성과, 지역사회에위치한학교에서연령에적합하고다양성이존재하는학급에서학습할권리, 그리고아동의다양한요구에부응할수있는학교지역사회의책무성이라는기본신념과가치를기초로하여 (Thousand & Villa, 1992), 개별화교육계획 (IEP) 에근거한핵심교육과정에의접근, IEP와팀접근에따른특수교육, 보조교사와기타전문가에의한서비스를포함하는것이다 (Neary & Halvorsen, 1994). 통합교육에대한많은연구들에서성공적인통합교육을이루어내기위해서는교육철학의공유, 128
교실구조의변화, 전문가역할의재개념화, 협력적팀에대한지속적인요구, 다양한학습자를위한사회적 학습적지원, 긍정적인행동지원의실행이요구된다고보고하였다 (Giangreco, 2000). 특히모든아동의교육적요구에부응할수있도록개별교사에게협력적도움을제공하는지원체계를가지고, 그지원체계내에서전문가간에협력을하는것은필수적이다. 치료서비스에있어서도현재개별학생에게제공되고있는교육내용과방법에있어특수교육과분리된형태로제공되기보다는통합되어제공될때의미있는효과를거둘수있음이여러연구들을통해확인되었다 (Orelove & Sobsey, 1996; Prelock, 2000; Wilcox, Kouri & Caswell, 1991). 협력이란하나의공동의목표를향하여둘이상의팀구성원들이참여하는상호작용, 계획, 의사결정이나문제해결과정 (Snell & Janney, 2000) 으로서효과적인협력과정은정기적이고긍정적인상호작용, 문제를해결하고본래의목적을달성하고분쟁을해결할수있는기술과기능에대한모니터를할수있는구조, 합의된개인의책임을포함한다 (Beukelman & Mirenda, 1998). 그러므로협력적접근이란장애아동을교실안에서함께협력적으로교수하는것뿐아니라목표를세우고, 문제를확인하고, 학생의필요와기술을진단하고, 정보를교환하고, 서로의의견을나누고, 문제를해결하고, 계획을세우고, 세운계획을실행하고평가하는등의장애아동을중심으로한관련업무를수행하는것을의미한다 ( 이소현, 2005). 협력적접근에서전문가에게도전이되는것은바로교육전문가의전통적인역할과책임의변화와팀의전문가들사이에서의역할이중복된다는것이다 (Giangreco, 2000). 이러한역할공유는장애아동들의다양한요구를충족시키기위해서특수교육을지원하는서비스로서의관련서비스가아동을교실로부터분리하여치료하는것이아닌아동의통합을효과적으로지원하기위한체제로인식되면서, 1980년대이후모든서비스들이교육프로그램과연계되는맥락에서강조되었다. 그리고일반교육과정과일반학교의활동이의사소통과언어의맥락이되는통합교육상황에서개인생활의전반적인질에영향을미치는사회적상호작용과이의수단이되는의사소통은팀구성원간의협력이더욱요구되는분야가되었다. 의사소통관련중재방법중최근에주목을받고있는보완대체의사소통은인간의기본적인의사소통요구를중요시하고의사소통할수있는권리를강조하여최중도장애인에게도의사소통할수있는방법을찾아주고자하는중재이다. AAC를사용하는아동의교육팀은아동의질적으로향상된교육성과를위해아동의학습, 이동, 학급참여를위해요구되는다양한테크놀러지의통합과다양한의사소통체계의사용을교육계획에포함하도록해야하며, 아동의일반학급과일반교육과정에서의학습성과와일반학급의구성원으로서의활발한참여를증가시키기위해협력적이고계속적인지원을해야한다 (Erickson et al., 1997; Erickson & Koppenhaver, 1998; Soto et al., 2001a). 특히 AAC 중재에서는개인에게가장적절한의사소통체계를선택하고교육을실시하는과정에서의사소통뿐아니라다양한분야의기술이요구되기때문에이를둘러싼다양한전문가의협력이더욱강조된다. 다시말하면일반학급에통합된장애학생을위한언어중재의바람직한방법으로서언어치료사 ( 또는치료교육교사 ), 특수교사, 일반교사간의협력이중요하게다루어질뿐아니라, 자세잡기, 보조공학기기의사용능력등이함께요구되는 AAC 중재의경우에는중재자체로서더많은관련전문인의협력이요구되는것이 129
언어청각장애연구 다 (Glennen & DeCoste, 1997). 그러나 AAC 중재에있어서의팀접근과협력을강조하면서도협력을통한 AAC 중재의효과를보고한연구와협력에대한구체적인지침이나방법, 협력과정에대해이루어진연구는소수에불과하다. 또한전문가간의협력이라는주제가아직요원한현실로여겨지는것이국내의실정이기는하지만, 최근치료교육교사의특수학급배치와같은정책적결정과 AAC에관한관심이높아져가는시점에서이러한바람직한전달체제에관한연구는향후그시사점이있을것으로생각된다. 따라서본논문에서는중도장애아동을대상으로보완대체의사소통을중재하는과정에서전문가간의협력이이루어지고있는형태와내용및 AAC 중재와관련한협력에대한연구들이어떠한형태로이루어지고있는지선행논문들을중심으로살펴보고자한다. Ⅱ. 연구방법 본연구에서는현재이루어지고있는 AAC 중재와관련한연구에서협력이어떠한형태로반영이되고있는지알아보기위하여 1995년이후의최근 10년간의논문을포함하도록하였다. 문헌의수집은 1) ERIC과 ProQuest에서 AAC,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amwork, collaboration과같은검색어를사용하여논문을검색하였고, 2) 언어치료와 AAC에대한문헌을많이다루고있는저널인 AAC(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LSHSS(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Topics in Language Disorders, Communication Disorders Quarterly, Journal of Childhood Communication Disorders를직접찾아검색하였다. 그리고추가적으로 3) 주제와관련되거나분석대상으로선정된논문의참고문헌을찾아직접검색하였다. 이렇게검색된논문은총 57개였고선정기준에따라이중에서 8개의논문이최종적인분석대상으로결정되었다. 논문선정기준은다음과같다 : 1) AAC 중재와관련된주제를다루며, 2) 2명이상의전문가에대한협력을언급하고, 3) 문헌연구나개념에대한설명이아닌조사연구, 질적연구, 실험연구로서, 4) 저널이나다른공식적인데이터베이스를통해출간된것을포함하였다. 최종적으로선정된논문은연구참여자, 연구방법, 중재방법과종속변인, 협력과관련한연구결과에대해분석되었다. Ⅲ. 연구결과 다음에서는분석한 8개의논문을 1) 연구방법과연구대상, 연구주제및종속변인등을포함한개괄적인형태, 2) 협력의중요성과이에대한인식, 협력을통한 AAC 중재의성과등과같은협력과 130
관련한요소들을중심으로살펴보았다. 본연구에서분석한 8개의논문은연구방법, 연구참여자, 주제변인, 연구결과로나뉘어 < 표 - 1> 에요약되어있다. 연구참여자에서는실험연구와질적연구에서실질적으로연구대상이된참여자와중재에참여한협력팀의구성원또는질적연구에서언급된협력팀의구성원으로나누어제시하였고, 주제변인에서는실험연구의경우에는독립변인 ( 중재 ) 을, 질적연구및조사연구에서는연구의주제를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는질적연구와조사연구의분석결과, 그리고실험연구의종속변인과실험결과를연구결과에제시하였다. 1. 연구의개괄적인형태 AAC 중재에서협력에대한요소를포함하고있는 8편의연구에서 4편 (50 %) 의연구가질적연구방법으로이루어졌다. 4편의질적연구중에서 3편 ( 질적연구의 75 %, 전체논문의 37.5 %) 이포커스그룹을이용한방법이었고 1편의연구는개별적인심층면담을통한것이었다. 그리고 1편의조사연구가실시되었는데여기서는설문을이용하였지만내용의분석차원에서는질적연구와유사한형태를보이고있었다. 8편의연구중 3편 (37.5 %) 은협력적인팀을통한실험연구가이루어졌는데 2편 (25 %) 은단일대상연구의대상자간중다기초선방법을이용한연구였고나머지 1편은주정부차원의실행보고와같은형식의논문으로구체적인실험형식으로보고되지는않았다. 연구참여자로는 AAC 교육팀의구성원으로일반교사, 특수교사, 보조교사, 부모, 언어치료사등을대상으로한연구가 5편 (62.5 %) 으로가장많았고일반교사만을대상으로한연구가 1편, 언어치료사를대상으로실시한연구가 1편이있었다. 구체적인구성원별로는일반교사를포함한것이 7편 (87.5 %), 특수교사 ( 통합지원교사 ) 가 6편 (75 %), 언어치료사 6편 (75 %), 관련전문가 2편 (25 %), 부모 5편 (62.5 %), 보조교사 3편 (37.5 %), 대학교수 1편 (12.5 %) 으로나타났다. 여기에서부모는교육팀의구성원으로포함되기는하지만 1편의논문에서만부모에초점을두고강조하고있었으며, 특이할사항으로는교육팀으로서관련전문가 (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등 ) 보다보조교사가더많은연구에서포함되어있다는점이었다. 각연구의주제요소로는질적연구에서는 AAC 중재를요구하는아동을통합하는것과관련한인식및교육팀구성원들간의책임과역할에대한인식에대한것이주를이루었고, 1편의조사연구에서는 AAC 중재에서의협력적인팀구성원으로서역할을하는것과관련한양성과정에서의교사준비교육에대한것을변인으로보고있었다. 실험연구인단일대상연구에서는 3편모두 AAC 협력팀을통한중재를독립변인으로하고있었고종속변인으로는실험참여아동의또래와의사회적상호작용, 학습수행, 학급활동참여, 주도적상호작용의수준을측정하였다. 131
언어청각장애연구 < 표 - 1> AAC 중재에서협력에대한요소 연구 DePaepe & Wood (2001) Gitlow, Gilmer, Mintz, Kurtz & Bilodeau (1998) Hunt, Soto, Maier, Muller & Goetz (2002) Hunt, Soto, Maier & Doering (2003) 연구방법 2편의조사연구 주정부차원의실행보고서 단일대상연구 - 대상자간중다기초선 단일대상연구 - 대상자간중다기초선 - 인터뷰 - 인터뷰 연구참여자 AAC 중재를실행한경험이있는언어치료사와일반, 특수교사 9명 대학에서 AAC 관련코스나교사양성과정수업을담당하고있는교수 10명 21개의지원팀가운데기준에따라 10개교육팀을선정 : AAC 요구가있는아동과일하고있으며일반교사, 특수교사, 언어치료사, 관련전문가, 부모를포함하고있 학생 : 통합되어있고지체및언어장애로 AAC가요구되는아동 3명 팀 : 5명으로구성된교육팀으로일반교사, 특수교사, 보조교사, 언어치료사, 부모포함 학생 : 통합된중도장애아동 3명과학습적으로 at risk에있는아동 3명 팀 : 일반교사, 특수교사, 부모와기타아동의요구에따른전문가포함 는팀 주제변인 AAC 중재를실시하는현직교사와언어치료사의 AAC 협력에대한훈련경험 대학의 AAC 및기타수업에서협력에대 이틀동안의워크숍과온라인상, 그리고직접적인만남을통한정기적인프로젝트팀의지원 AAC 교육팀협력 - 구조화된모임을통한통합된계획과지원 (UPS) 구조화된모임을통한통합된계획과지원 (UPS) 을기반으로한협력팀의교수적수정과의사소통및사회적지원 한훈련포함여부 연구결과 AAC 에대한훈련과협력을위한시간부족 협력에대한기술부족 양성과정에서협력에대한구체적인훈련부족 대학의양성과정에서는 AAC 협력에대한내용을다루지만실질적인프로그램의정도는매우다양함 각팀의성과에대해분석하고최종프로젝트평가에서 10개팀의컨퍼런스참여자들에게그들의지식과기술을전달하는정도에따른평가예정 아동의사회적참여, 학습수행, 또래와의상호작용, 주도적인의사소통시도증가 자신의지식과기술을통해팀구성원과대상아동에대해지원을할수있었다는것에대해만족하였으며아동에대한책임을공유하였음 아동의학습기술수행과학급의활동참여, 또래와의상호작용, 아동주도의상호작용모두에서의수준증가 132
(< 표 - 1> 계속 ) 연구 Kent-walsh & Light (2003) Parette, Huer & Brotherson (2001) Soto, Muller, Hunt & Goetz (2001a) Soto, Muller, Hunt & Goetz (2001b) 연구방법 질적연구 - 개별면담 질적연구 - 포커스그룹 질적연구 - 포커스그룹 질적연구 - 포커스그룹 연구참여자 AAC 요구가있는아동이속해있는통합학급의일반교사 11명 AAC와가족중심중재의경험이있는언어치료사 37명 일반교사, 특수교사, 보조교사, 부모, 언어치료사 일반교사, 특수교사, 보조교사, 부모, 언어치료사 주제변인 AAC 를사용하는아동을통합하는것의장점과부정적인측면 성공적인통합을막는장벽과이에대한지원 AAC 관련결정에있어서의전문가와가족의역할에대한인식 - 의사소통형태 - 구제적인정보 - 가족의가치 AAC 요구가있는아동을통합하는것과관련한이슈에대한인식 AAC 요구가있는아동을통합하는데필요하다고생각되는전문기술 - 팀협력 - AAC 실행과훈련 연구결과 통합의혜택 - 장애학생 : 또래와의상호작용증가 - 학급급우 : 장애를가진친구에대한수용증가 - 교사 : 개인적인성장과학습 통합의장벽들 : 팀의협력및의사소통부족과교사의 AAC 및특수교육관련기 개방적인의사소통자세와가족의역할에대한의사소통, 가족의가치와가족에대한이해가중요함 AAC 중재를위한구체적인정보와의사결정을위한협력을강조 가족에대한 AAC 훈련과실행을위한지원강조 모든집단은, AAC 중재를요구하는아동의통합은대상아동, 또래, 부모, 넓게는학교지역사회에혜택이있다고믿음 성공적인통합을위한선수조건은행정가지원, 전체교육팀의 AAC 훈련, 팀협력으로나타남 협력적으로일할수있는능력, 핵심교육과정에접근, 촉진적인사회적지원, AAC 체계의작동과유지, 다양한아동을교육할수있는교실구조창조 AAC 서비스전달과통합학급에서의 AAC, 팀구성원으로서의전문가적준비 술제한 133
언어청각장애연구 2. 협력의요소 분석된논문에서는 8편모두가 AAC 중재를요구하는아동의통합이증가하고있음을전제로하여, 언어치료또한통합상황을맥락으로하는통합치료 (integrated therapy) 모델을기초로하고있었다. 이러한통합의추세는교육팀의구성원에서도반영되고있었는데아동의핵심교육팀으로서는일반교사, 특수교사 ( 통합지원교사 ), 보조교사, 언어치료사, 부모를포함하고있었다. 따라서 AAC 중재에서의협력에대한연구들은이상의교육팀구성원들을대상으로하여협력에대한인식과어려움, 효과적인성과를위한팀구성에서의요소들을분석해내고자하였다. Soto와동료들 (2001a; 2001b) 의질적연구에서는 AAC 요구가있는아동을통합하는것과관련하여이들을성공적으로통합하기위해서는행정가의지원, 전체교육팀을대상으로한 AAC 훈련, 팀협력을포함한성공적인통합프로그램을위한선수조건이요구되며, 아동을지원하기위한각전문가들에게요구되는기술로는협력적으로일할수있는능력, 핵심교육과정에의접근능력, 사회적지원의촉진, AAC 체계의작동과유지, 다양한그룹의아동을교육할수있는교실구조화등이제시되었다. Kent-walsh & Light(2003) 는 AAC 요구가있는아동이속해있는통합학급의일반교사 11명을개별면담하였는데여기에서일반교사들은통합의장점으로통합의구성원들이받게되는혜택을강조하였다. 교사들은, 장애학생은또래와의상호작용이증가하고급우들은장애를가진친구에대한수용도가증가하였고교사에게는개인적인성장과학습을하게되는시간이되었다고보고하였다. 반면 AAC를사용하는아동을통합하는데있어서의부정적인측면으로는장애아동에게는교육적인성과의부족과또래와의불평등한관계형성의측면이, 학급급우에게는 AAC 사용으로인한수업방해의측면이있음을보고하였고교사에게는시간적소비가많음을지적하였다. 이와함께제시된통합의장벽들로는팀의협력및의사소통부족과교사의 AAC 및특수교육관련기술제한, 시간의부족등이있었고여기에대한성공적인통합을위한지원으로는학급규모의축소와교사의시간확보, 효과적인팀구성원간의의사소통, 개별적인팀구성원에대한지식과지원, 현실적인교육목표등이제시되었다. 그리고팀구성원으로서가족에대한전문가의인식에대한질적연구를실시한 Parette, Huer & Brotherson(2001) 은팀구성원으로서가족을포함하고의사결정에서가족의역할을존중할것을강조하였다. 여기에서가족과전문가는개방적인태도로의사소통할수있어야하며아동의현실을직시하여아동에게적절한 AAC 중재를선택하도록하는것의중요성을언급하였다. 또한 AAC 중재에서의역할에대해서로의사소통할수있어야하고특히전문가는팀구성원으로서가족의가치를인정하고가족과팀으로서협력할수있어야함을지적하였다. 구체적으로는 AAC 선택, 훈련및중재를위한가족의시간과훈련등에서가족의요구와상황을고려하고격려하며가족과의정기적인모임을가지는것등에대한내용을포함하고있다. 이상의내용을정리해보면 AAC 중재에서협력적인팀에의한중재는매우기초적이면서도중요한과정으로 AAC 중재의성과에중요한영향을미친다는것을알수있다. 이러한협력을실제로시행하는것과관련된어려움으로는 AAC와협력자체에대한지식과기술부족및시간적인어려움 134
이존재한다는것이며, 성공적인중재를위한협력의요소로는정기적인모임을통한의사소통, 서로의영역에대한이해와역할의공유, AAC와협력에대한지식과훈련, 이러한중재와협력을위한시간적인확보등이요구되는것으로나타났다. 실제적으로위의요소들을반영하여협력적인팀을통한 AAC 중재의성과를보고한 Hunt와동료들 (2002; 2003) 은협력적인팀의중재로서한달에한번 1시간 30분이상의모임, 읽기 쓰기 수학에대한교수적수정과실행에대한계획, 학급참여를촉진하기위한의사소통지원, 또래와의상호작용을촉진하기위한사회적지원을실시하였다. 정기적인모임을통한전체과정은아동의사회적, 학습적인프로파일을확인하고사회적인참여와학습적인성공을위한지원계획개발, 지원의계획에대한협력적인실행, 책임에대한체계를설정하는것으로구조화하였다. 이들은협력적인팀을통한중재의효과로아동의사회적참여, 학습수행, 또래와의상호작용, 주도적인의사소통시도의증가와함께, 중재에참여한팀구성원들이자신의지식과기술을통해팀구성원과대상아동에대해지원을할수있었다는것에대해만족하였으며아동에대한책임을공유하였음을보고하였다. 그러나이렇게협력적인팀이주는일반적인효과와중요성에도불구하고 1) AAC 중재를요구하는아동에대한효과적인지원을위한팀접근은매우많은능력을필요로하고, 2) 협력을위한부가적인시간과많은추가적인재정을필요로한다는고려점을많은연구들에서공통적으로제기하고있었다. 이러한문제와관련하여많은연구들에서는 AAC 및협력에대한교사교육과전문가양성과정에서의프로그램의중요성을강조하였으며, 본연구의분석논문중조사연구인 DePaepe & Wood(2001) 의연구에서도현재 AAC 중재실행자들과각대학에서의교육내용에대한설문을실시하여이와같은맥락에서협력을포함하는 AAC의지식에대한능력을증가시키는한가지방법으로 AAC 팀구성원에대한전문가양성과정중에서의준비프로그램을제안하였다. Ⅳ. 논의및제언 이상과같이 AAC 중재에서의협력에대한연구를살펴본결과중주목할점에대해논의하면다음과같다 : 첫째, AAC 중재에서협력에대한실행을보여주는연구가매우제한적이라는것이다. AAC 중재의특성상다른분야보다는구체적인협력에대한논의가이루어졌음에도불구하고협력의실행을보고한연구는소수에불과하다. 특히언어치료사와교사의협력을다루고있는논문이많으나더많은분야의협력이요구되는, 구체적인 AAC 중재에서의협력을다루는연구는적은편이었다. 이것은 1970년대이래로 AAC 중재가독립적인하나의분야로인식된역사가짧고, 언어치료라는영역이오랜시간별도의치료실체계로분리된영역으로실시되어오다가 AAC 중재를요구하는중도장애아동들 135
언어청각장애연구 의통합이증가함에따라통합치료모델로서교실중심중재로받아들여진것이최근이기때문이기도하지만, 협력이라는요소가중재로서구조화되고이에대한효과를평가하기가어려운개념인영향도크다고할수있다. 이러한점을고려하면 AAC에서의협력에대한연구들은소수이지만협력에대한실질적인연구들이다른특수교육영역과비교하여결코적다고만평가할수는없다. 따라서최근관심을모으고있는보완대체의사소통중재가특수교사만의교육중재가아닌언어치료사와물리치료사, 관련공학서비스의다양한전문가들이포함되어야하는분야임을인식하고선행연구들에서반영하고있는협력의요소들과연구방법을기초로하여좀더구체적이고실행적인연구들이활발히이루어져야겠다. 둘째, AAC팀의협력과관련하여문헌에서나타난가장중요한팀구성원은교사와언어치료사임을알수있으며, Hunt et al.(2002; 2003) 을보면 AAC팀의역할은단순히의사소통만이아니라통합교육현장에서아동이성공적으로학교생활을할수있도록하는교수적수정도포함함을알수있었다. 즉, 특수교사와일반교사, 언어치료사가가장핵심적인구성원이며, 이들의역할과전문성이특별히중요함을알수있다. 바로각자의전문성이전제되어야협력이의미가있기때문이다. 이렇게볼때현재여러치료영역을개괄적으로공부하는학부수준의치료교육교사의자격에대한재고가필요할수있다. 또한교수적수정에도언어치료사가함께참여하며, 의사소통지원에도교사가함께참여하여 IEP 작성과실행에있어서의책임을공유하는 Hunt와동료들의모델은통합교육시대의 AAC를포함한언어치료의역할에대해재조명해보게하는부분이다. 치료교육교사들의협력적역할과책임에대해이소현 (2005) 도가능한한학급활동의맥락안에서치료를제공하고, 교사와협력해야한다고제시하고있다. 즉, AAC 적용을위한교사와언어치료사의협력은장소의측면에서볼때교실에서의적용을전제로하고있으며, 내용적인면에서도단순히언어치료를교실에들어가게하는차원을넘어서, 교실내여러상황에서의의사소통과학습참여를증진시키고자하는목표를가지고있다는점을주목해야한다. 셋째, 가족에대한중요성이강조되어야함을알수있었다. AAC가의사소통중재의한부분이라고생각할때아동과가장많은시간을보내는중요한상대자는가족이며, 또한 AAC 중재는보조도구와관련한결정과훈련, 재정적인문제등을포함하기때문에단순한의사소통중재를넘어서는결정들을포함한다. 이러한부분에있어서가족은 AAC 중재와관련하여매우중요한팀구성원임에도불구하고 AAC 중재에서의협력이전문가중심으로강조되고있어가족은소외되기쉽다. 가족은아동의요구를가장잘반영하고아동에대한가장지속적인지원을할수있는중재자로서협력을위한대상에서반드시강조되어야할필요가있다. 본연구결과에서도교사와언어치료사다음으로부모가 AAC 중재팀에많이포함되었음을살펴볼수있다. 넷째, AAC 중재와협력에대한사전교육및교사재교육이필요하다. AAC는다양한영역을포괄하는중재이기때문에효과적인중재를위해서는많은능력을필요로한다. 이러한지식과기술은전문가양성과정에서의사전교육을통해습득되어져야하며현직교사나다른전문가들을위해서도재교육차원에서이루어질필요가있다. 또한모든중재에서협력은성공적인결과를도출하기위한 136
필수요소로 AAC 중재에서도강조되는부분이며이에대한구체적인방법과기술에대해서도교사양성과정에서경험할수있는체제가마련되어야한다. 실제로 AAC 중재와협력에대한교육요구는현직전문가들을대상으로한요구조사에서도높은빈도로나타났으며중재실행에있어서의전문가가갖는효능감과도상관관계가많은것으로나타났다 (Collier & Blackstien-Adler, 1998). 현재우리나라의경우언어치료사나특수교사모두대학의양성과정에서체계적으로보완대체의사소통의적용과전문가간협력에대한정보를제공받는경우가매우드물며, 이에대한연수과정도많이제공되지않으므로정확한정보제공을통한전문가들의지식과기술의향상이시급하다고보인다. 외국문헌에서는일반언어치료사외에 AAC 전문가 (AAC consultant) 라는역할을따로설정하는경우가있는데 (Hill & Romich, 1999) 이는그만큼 AAC 관련지식이기존의언어치료사들에게보편화되지않았음을보여준다고할수있다. 그러나우리나라의경우에는이러한별도의역할을추가하는것보다특수교육및언어치료분야에서각각 AAC에관한지식과기술을함양하는것이더현실적이라고생각된다. 다섯째, 협력적인 AAC 중재과정은많은재정과시간을요구한다. 다양한전문가를포함시키고이들에대한적절한훈련을포함하여협력을위한지속적인지원을하기위해서는행정가와정부의많은재정적인투자가요구된다. 그러나이러한투자가한아동에대한성공적인성과뿐아니라더욱많은아동들의성과를이끌어낼장기적인투자라는안목으로체계적으로이루어져야할것이다. 이러한제안은당장언어치료사또는치료교육교사가특수학급에제대로배치되어중재를제공할수없는국내의현실을볼때매우요원한제안으로보일수있다. 그러나궁극적으로모든장애아동의성공적인통합교육을목표로하고있다는점에서, 우리나라의언어치료및특수교육의발전방향은언어치료의교실중심중재및통합적치료제공으로나아갈수밖에없으며, AAC가필요한아동에게는이러한 AAC팀의효율적운영을지원해야할것이다. 본연구의가장큰제한점은문헌연구이기때문에실제적으로실험을통한적용이나, 관련자간협력의필요성에대한국내설문조사등을통해검증해보지못한자료라는점이며, 이와함께단순한개념제시나입장표명과같은논문을제외하다보니분석에포함된논문의수가적었다는점도매우큰제한점이다. 그러므로본연구결과는이러한제한점을염두에두고이해되어야할것이다. 그러나향후우리나라에서도교육부차원에서통합교육정책을장려함에따라 AAC의사용대상인중도의사소통장애학생들도통합교육의현장으로보다많이배치될것이며, 또한 AAC 적용과치료교육교사의특수학급배치가증가될계획임에비추어볼때본논문의결과가시사하는점이있다고생각된다. 후속연구에서는 AAC 중재에서의협력이통합현장, 지역현장에서얼마나유효한지를보여줄수있는실질적인상황과연계된현장에서의실험연구를실시하고가족과관련전문가들을어떻게포함하고, 그과정이어떻게진행되고, 어떤것이협력을방해하는지, 어떻게팀을구성하고운영하는것이효과적이며성공적인결과를이끌수있는지에대해실제조사연구및실험연구를통하여핵심요소를도출해내어, 많은문헌들에서당위성차원으로제시하고있는것들을실행하고검증해보는연구들이이루어져야할것이다. 또한협력을통한실행을평가할수있는체제에대한연구도이루어져야할것이다. 그리고학교언어치료사가많은미국의경우에도이러한협력적접근이쉽지않음을볼때, 언 137
언어청각장애연구 어치료사양성과정이나배치에있어차이가많은국내의특수교육현실에서 AAC와협력적접근이어떻게도입될수있는지에대한실제적인연구가이루어져야할것이다. 참고문헌 이소현 (2005). 통합교육효율화를위한특수교육장학의방향과과제. 제6회특수교육전문직워크숍자료집. 안산 : 국립특수교육원. Beukelman, D. & Mirenda, P.(1998).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Management of severe communication disorders in children and adults. Baltimore, MD: Paul H. Brookes. Collier, B. & Blackstien-Adler, S.(1998). Building competencies i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mong professionals.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14, 250-260. DePaepe, P. A. & Wood, L. A.(2001). Collaborative practices related to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Current personnel preparation programs. Communication Disorders Quarterly, 22, 77-86. Erickson, K. A. & Koppenhaver, D. A.(1998). Using the Write Talknology with Patrick.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31, 58-64. Erickson, K. A., Koppenhaver, D. A., Yoder, D. E. & Nance, J.(1997). Integrated communication and literacy instruction for a child with multiple disabilities. Focus on Autism and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12, 142-150. Giangreco, M.(2000). Related services research for students with low-incidence disabilities: Implications for speech-language pathologists in inclusive classrooms.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31, 230-239. Gitlow, L., Gilmer, D., Mintz, B., Kurtz, A. & Bilodeau, C.(1998). An innovative training project: Enhancing the capacity of school personnel in Maine to promote the use of alterna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ED 420-941. Glennen, S. L. & DeCoste, D. C.(1997). Handbook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an Diego, CA: Singular Publishing Co. Hill, K. & Romich, B.(1999). Choosing and using augmentative communication systems: Part 1. The goal, the team, and AAC rules of commitment. The Exceptional Parent, 29, 76-80. Hunt, P., Soto, G., Maier, J. & Doering, K.(2003). Collaborative teaming to support students at risk 138
and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Exceptional Chidren, 69, 315-332. Hunt, P., Soto, G., Maier, J., Muller, E. & Goetz, L.(2002). Collaborative teaming to support students with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needs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18, 20-35. Kent-walsh, J. & Light, J. C.(2003). Gener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with inclusion of students who us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19, 104-124. Neary, T. & Halvorsen, A.(1994). What is inclusion? ED 393-248. Orelove, F. P. & Sobsey, D.(1996). Educating children with multiple disabilites: A transdisciplinary approach(3rd ed.). Baltimore, MD: Paul H. Brookes. Parette, H. P., Huer, M. B. & Brotherson, M. J.(2001). Related service personnel perceptions of team AAC decision-making across cultures. Education and Training in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36, 69-82. Prelock, P. A.(2000). An intervention focus for inclusionary practice.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31, 296-298. Snell, M. E. & Janney, R.(2000). Collaborative teaming: Teachers guides to inclusive practices. Baltimore, MD: Paul H. Brookes. Soto, G., Muller, E., Hunt, P. & Goetz, L.(2001a). Critical issues in the inclusion of students who use AAC: An educational team perspectiv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17, 62-72. Soto, G., Muller, E., Hunt, P. & Goetz, L.(2001b). Professional skills for serving students who use AAC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A team perspective.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32, 51-56. Thousand, J. S. & Villa, R. A.(1992). Collaborative teams: A powerful tool in school restructuring. In R. A. Villa, J. S. Thousand, W. C. Stainback & S. B. Stainback (Eds.), Restructuring for caring and effective education: An administrative guide to creation heterogeneous schools. Baltimore, MD: Paul H. Brookes. Wilcox, M. J., Kouri, T. A. & Caswell, S. B.(1991). Early language intervention: A comparison of classroom and individual treatment.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1), 49-62. 139
언어청각장애연구 ABSTRACT Literature Review Regarding Collaborative Practices Related to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Joo Hye Kim (Dept. of Special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Ewha Womans University) Eun Hye Park (Dept. of Special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Collaborative teaming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for the delivery of AAC service. Especially, as more students with severe communication problems are educated in the inclusive classrooms, as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effective delivery of AAC services in the inclusive education context. Collaborative practice includes not only the speech therapist, but also special educators, a general teachers, parents, teachers, aides, and etc. This paper reviewed 8 published articles that we selected regarding collaborative practice in AAC. The results showed who the key personnels are, what some of the components of a desirable AAC team collaboration are, what some of the barriers are in AAC team collaboration, and the need for an AAC related course in personnel preparation and inservice train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Key Words: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team approach, collaboration 게재신청일 : 2005 년 5 월 31 일 게재확정일 : 2005 년 7 월 20 일 김주혜 ( 제 1 저자 ): 이화여자대학교특수교육학과박사과정, e-mail: joohye222@hanmail.net 박은혜 ( 교신저자 ): 이화여자대학교특수교육학과교수, e-mail: epark@ewha.ac.kr 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