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질저하의정도에따른말명료도연구 1) 표화영 * 심현섭 **, (* 나사렛대학교재활학부언어치료학전공, ** 이화여자대학교특수교육과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표화영 심현섭. 음질저하의정도에따른말명료도연구. 언어청각장애연구, 2007, 제 12 권, 제 2 호, 256-278. 배경및목적 : 음성의문제를주소로내원하는음성장애환자들이자신들의발화의불명료성을종종호소해왔으나, 음소및운율산출이정상적인이들의발화의명료성에대한고려는등한시되어왔다. 이에, 음질저하의문제만을가지고있는음성장애환자의발화를대상으로명료도연구를실시함으로써이들의저하된음질이명료도에어떤영향을미치고아울러이들의명료도가정상화자와어떤차이를보이는지알아보고자하였다. 방법 : 3 명의정상화자와음질저하의정도가다른음성장애환자 12 명 (GRBAS 평정에따른 G1, G2, G3 군각 4 명 ) 의문단낭독중에서단어및문장목록을추출하였다. 정상청력을가진청취자 32 명을대상으로단어목록으로는단어인식검사를, 문장목록으로는시각적아날로그 (visual analog scale: VAS) 기법을이용한척도평정을실시하였다. 결과 : 단어인식검사결과, 음질저하정도가약한 G1 군의명료도가가장높고, 그다음으로정상화자, G2 군, 음질저하가가장심한 G3 군의순서를보였다. 척도평정결과, 명료도와전반적인상의점수는정상화자가가장높았으며 G3 군이가장낮았던반면, 청취노력과음성강도일탈성은 G3 군이가장높고정상화자가가장낮았다. 명료도는전반적인상과는정적상관을, 청취노력및음성강도의일탈성과는부적상관을보였다. 논의및결론 : 심각한음성장애환자들은정상적인조음및운율에도불구하고매우낮은말명료도를보였다. 본결과는음성장애환자치료시에말명료도증진을위한치료노력을기울여야하는것이필요함을시사한다. 핵심어 : 음성장애, 명료도, 음질, 단어인식검사, 시각적아날로그 (VAS) 기법 Ⅰ. 서론 음성장애는호흡기관, 성대및성도 ( 聲道, vocal tract) 의구조적혹은기능적이상으로음도, 강도, 음질의변화를초래하는말장애의한유형으로정의될수있다 (Boone, McFarlane & Von Berg, 2000). 과거에는음성장애의범위를성대수준에국한시켜생각해왔으나최근에는그하부에있는호흡기관과, 그상부에있는성도까지그관심범위를확장하고있다. 음성장애에대해연구하고고찰함 1) 본논문은제 1 저자의박사학위논문 (2007) 을요약한것임. 게재신청일 : 2007년 4월 26일 ; 최종수정일 : 2007년 5월 31일 ; 게재확정일 : 2007년 6월 3일 교신저자 : 심현섭,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특수교육과 언어병리학협동과정교수, 서울특별시서대문구대현동 11-1, e-mail: simhs@ewha.ac.kr, tel.: 02-3277-3538 c 2007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http://www.kasa1986.or.kr 256
표화영 심현섭 / 음질저하의정도에따른말명료도연구 에있어서도성대수준뿐아니라, 호흡기관이나성도의영역에까지관심을돌려야하며, 치료의영역도목소리산출뿐아니라, 의사소통의수준으로까지그영역을확대해야할필요가있다. 일반적으로음성장애환자들이보이는증세로는쉰목소리, 성대피로, 기식화된소리, 발성폭의축소, 무성증, 높낮이일탈, 쥐어짜는소리와떨림등이있다 (Colton, Casper & Hirano, 1990, 심현섭 (2001) 에서재인용 ). 이러한문제들외에도환자들은매우다양한음성산출의문제를호소하고있는데, 그중임상현장에서자주접할수있는호소중하나가 다른사람들이내말을잘알아듣지못한다 는내용이다. 그러나, 다수의음성장애환자들이이런문제를호소함에도불구하고, 이들이음성장애이외의다른의사소통문제를동반하지않을경우, 현장에서음성장애를치료하는전문가들은이러한호소에대해크게주의를기울이지않았던것이사실이다. 음성장애를동반한환자들에대한명료도연구는대부분중추신경계의문제를동반한신경학적음성장애환자들을대상으로한것으로서, 대개자음및모음의산출문제나, 억양, 말속도등과관련된측면에연구의초점이맞추어져왔기에 (Ansel & Kent, 1992; Bunton & Weismer, 2001; Weismer et al., 1992), 음성산출문제보다는조음이나초분절적 (suprasegmental) 요소에대한연구가주류를이루어왔다. 비록그대상자가된환자들이음성산출의문제도가지고있기는하나, 그초점은음성외적인측면에맞추어져왔다. 이러한연구경향성은분절적요소의문제를동반하지않고순수하게음성산출의문제만을가지고있는환자들의명료도고찰에대한중요성을감소시켰으며, 신경학적음성장애환자들이보이는명료도의저하가저하된음질에의해서도생길수있다는점을간과하도록하였다. 그러나, 음성장애환자들은자신들의발화의불명료성을꾸준히호소하고있으며, 여러학자들도이들의저하된음질이야기하는문제에초점을맞춘명료도연구가활발히진행되어야함을꾸준히주장해왔다. Kent (1988) 는음성장애분야에서의명료도연구가매우저조하다는것은명료도에있어음성산출 (phonation) 이하는역할에대해많은연구가이루어져야함을의미한다고하였다 (Ramig (1992) 에서재인용 ). Bender et al. (2004) 은전통적으로말명료도의연구는분절적조음이명료도에미치는영향에대해초점을맞추어왔으나, 최근에는음성산출이명료도에미치는영향에대해서도관심이증가하고있으며, 이에대한꾸준한연구가필요함을언급하였다. 그러나, 아직도음성산출자체에초점을둔명료도연구는매우미미한실정이다. 이에본연구자는음성장애환자가보이는음질저하의문제에초점을맞추어그명료도에대해다각도적인측면에서연구를진행해보고자하였다. 다양한중증도를보이는음성장애환자들의단어및문장수준의발화를, 정상청력을가진청취자들에게들려줌으로써명료도검사를실시하였다. 이를통하여음성장애환자들의저하된음질이명료도에어떠한영향을미치는지알아보고, 아울러이들의발화에대한명료도가정상인의명료도와는어떠한차이를보이는지알아보고자하였다. 257
언어청각장애연구 2007;12;256-278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가. 청취자 충남천안소재대학교에서언어병리학을전공하는학부및대학원재학생중, 20대초 중반의연령층에있으며, 청취할문단인 가을 ( 김향희, 2001) 문단의내용에대해서는잘모른다고보고한자발적지원자 32명을청취자로선정하였다. 이들은같은분야를전공하고있어본검사에대해유사한지식을공유하고있으며, 비슷한연령대에분포하고있어어휘친숙도의측면에서유사한수준을공유하고있는것으로판단되었다 (Kalikow, Stevens & Elliott, 1977). 청취자 32명중남자가 3 명, 여자가 29명이었고, 연령분포는 20 24세로평균연령은 21.8세였다. 나. 발화자 2003년 6월부터 2006년 10월까지대학부속병원이비인후과음성클리닉에내원하여음성정밀검사를받았던환자중에서중추신경계의문제를동반하지않고조음의문제를동반하지않은음성장애환자의발화샘플들을선정하였다. 먼저본연구자가 GRBAS 척도평정법을이용하여각샘플의 가을 문단낭독부분을평정하였는데 GRBAS 척도중 GRB만평정하도록하였다. A척도나 S 척도는병리자체적인특성이라기보다는병리에의해파생된특성으로서병증과직접적인연관이있는특성이아니기때문에제외하였다 (Dejonckere et al., 1993). 점수는소수점아래 0.5 수준까지허용하였다. 이결과도출된 G의등급에따라 G1, G2, G3군으로나누고, 여기에정상군을포함시켰다. 이과정을통하여중증도에따라각군마다 3개씩의발화샘플을선정하였다. 이와같은방법으로선정된샘플들이외적기준으로서적절한지의여부를음성치료경력만 8년의숙련된음성치료전문가 1인 ( 검증자 1) 으로부터검증을받았다. 검증자 1의평정후, 본연구자가평정한결과와검증자 1이평정한결과의차이가 G, R, B 세척도에서모두 0.5 이하를보이는샘플만을최종적인외적기준으로확정하였다. 다. 최종발화샘플선정 확정된외적기준에맞추어각군의발화샘플을선정하였다. 먼저본연구자가외적기준에맞추어각군당 3, 4개의샘플을선정하였고, 이를임상경력만 9년의숙련된음성치료전문가 ( 검증자 2) 가검증하도록하였는데, GRB 척도평정을한후그결과가일치된발화샘플을찾는것은외적기준을선정하는과정과같았다. 이러한과정을거쳐정상군 3개, G1, G2, G3군각각 4개씩의음성샘플이선정되었다. 258
표화영 심현섭 / 음질저하의정도에따른말명료도연구 최종발화자의연령, 성별, 동반하고있는음성장애의진단명을분석한결과, 이들은모두여성이었고연령범위는 25 38세로평균 34.7세였다. G1 G3군에포함된음성장애환자들로는, 만성후두염환자 1명, 성대결절환자 2명, 성대용종환자 4명, 후두횡격막 (glottic web) 환자 1명, 성대낭종환자 1명, 성문협착환자 1명, 경련성발성장애 (spasmodic dysphonia) 환자 1명, 후두화상환자 1명이었다. 2. 도구 가. 단어검사자료 검사에사용될단어들은 가을 문단에등장하는단어들중에서어음청취역치검사 (Speech Recognition Threshold: SRT, 이하 SRT) 의개념에맞는단어들을선정하였다. SRT는말소리에대한청능역치 (hearing threshold) 를측정하기위해사용하는도구로, 어떤어음재료도다사용할수있지만일반적으로음절마다강세가동일한 2음절단어를주로사용하는데, 그이유는가청능력 (audibility) 의동질성이가장높기때문이다 (Ramkisson et al., 2002). 먼저 가을 문단에나오는단어중 2음절단어를선별하였다. 이들중어휘에대한친숙성을충족시키기위해국립국어연구원 (2003) 에서발표한 현대국어사용빈도조사결과 를활용하고, 김수진 (2000) 의문헌을참고로하여, 가을 문단을구성하는단어중 현대국어사용빈도조사결과 에서빈도수 9 이상을나타내는단어들을추려내었다. 이과정을거쳐선정된 32개의단어들이청각적으로동일한수준에서청취될수있는지를확인하기위하여최종단어목록을선정하기위한예비검사를실시하였다. 소음정도가큰상황에서편안한크기로낭독한단어목록을정상청취자에게들려주었고, 전체 6명청취자중 2/3에해당하는 4명이상의청취자가정반응을보인단어 28개를단어검사를위한최종단어목록으로선정하였다 (< 부록 -1> 참조 ). 나. 문장검사자료 문장을이용한명료도검사는모든말소리가문맥속에서산출되기때문에단어검사의경우보다더나은외적타당도 (external validity) 를보여줄수있다 (Schiavetti et al., 1984). 따라서단어수준의검사외에문장수준의검사도함께실시하기로하였다. 가을 문단은총 7개의문장으로구성되어있어이를그대로쓰기에는그수가매우부족하므로, Multi-Speech (Model No. 3700, KayPENTAX 사 ) 의편집 (editing) 기능을이용, 서로다른두개문장의앞부분과뒷부분을임의로연결하여새롭게만들어진문장을추가하였다. 이과정을거쳐각중증도마다네개의문장이주어질수있도록총 16개의문장을만들었다. 중증도마다문장의길이가다르면이것도명료도에영향을미칠수있으므로, 이러한가능성을배제하기위하여각군마다문장의음절수가균등하게분배되도록하였다. 이과정을거쳐최종적으로선정된문장목록은 < 부록 -2> 에나타나있다. 259
언어청각장애연구 2007;12;256-278 다. 기자재 단어및문장검사어목록의재생은 MDVP를통해서재생되었는데, 이 MDVP는노트북컴퓨터 (VAIO VGN-SZ34 LP/B, Sony 사 ) 에설치되어있었다. 배경소음이청취를방해하는것을최대한막기위하여단어및문장의검사어는헤드폰 (Model No. K44, AKG Acoustics) 을통해서제공되었으며, 배경소음의정도를지속적으로파악하기위해소음측정기 (sound level meter, Model No. SC-2c, DICESVA Calibration Lab.) 를함께사용하였다. 3. 절차 가. 검사과정 모든검사는본연구자의연구실에서본연구자가직접진행하였으며, 헤드폰을사용해야했으므로모든청취자의실험은개별적으로이루어졌다. 청취자에게검사과정및기록지작성방법에대해설명하였고, 단어검사를먼저실시하였다. 모든검사어는소음측정기를작동시킨상태에서제시하였는데배경소음이 40dB를넘어가는상황일때에는그수치가 40dB 미만으로떨어질때까지검사어를제시하지않았다. 이렇게함으로써배경소음이청취를방해하는상황이생기지않도록하였다. 단어검사를실시한후문장검사를이어서실시하였다. 평정에포함되는속성은발화에대한명료도, 음성강도, 청취노력과전반적인상으로, 이들에대한정의는 Preminger & Van Tasell (1995) 에따랐다. 이들의연구에근거하여각속성마다 0점과 100점이의미하는내용에대해설명해주었는데, 그내용은 < 표 -1> 에제시되어있다. < 표 - 1> 문장검사각평정속성의점수에대한설명 0 점 100 점 명료도 매우불명료함 매우명료함 음성강도 a) 너무소리가작아서안들림 너무소리가커서귀가아플정도임 청취노력 화자의말을이해하는데전혀어려움이없음 화자의말을이해하는데굉장히많이힘듦 전반적인상화자의말을들었을때그질이극히안좋음 화자의말을들었을때그질이더할나위없이훌륭함 a) 보통크기의목소리이면 50 점을주도록함. 문장검사는받아쓰기형식을사용한단어검사와달리척도평정법을사용하므로, 사전에연습과정을거치도록했다. 청취자들에게각속성에대해설명한후, 검사목록에포함되어있지않은문장 260
표화영 심현섭 / 음질저하의정도에따른말명료도연구 을이용하여연습을하도록하였는데, 문장검사의기록은시각적아날로그기법 (Visual Analogue Scale: VAS, 이하 VAS) 을이용하였다. 척도평정의경우, 반복하여듣게되면반응내용이계속달라질수있으므로한번만들려주도록하였다. 청취자내신뢰도를측정하기위해실험에참여한평정자중 3명을선정하여, 초회실험일로부터 2주후에다시본연구실을방문하도록하여재검사를실시하였다. 검사과정은초회검사와동일하였으나문장검사시연습과정은생략하였다. 나. 분석과정 단어검사의명료도는화자의목표단어와청취자의응답내용이서로같은경우의백분율로하였다. 단어검사의명료도는크게대략적분석 (broad analysis) 과세부적분석 (narrow analysis) 의두가지로나누어분석하였다. 대략적분석은각청취자가한개의단어에대해기록한한개의응답만을분석대상으로한경우로, 청취자가한단어에두개이상의응답을보였을때그중목표단어와동일한단어가포함되어있을경우, 그반응은옳은것으로하였다. 세부적분석은청취자가한단어에두개이상의응답을보였을때그각각을모두분석대상으로한경우이다. 이와같은방법으로대략적분석과세부적분석을실시한후, 각각의전체적인평균명료도, 중증도에따른평균명료도를분석하였다. 중증도에따른평균차이의유의성은일요인분산분석 (One-way ANOVA) 에의해검증하였고, 그에대한사후분석은 Scheffé 검정을통해실시하였다. 문장검사중명료도에대한 VAS 평정치는 100mm 선의시작지점부터청취자가표시해놓은지점까지의거리를 mm 단위로측정한결과로하여계산하였다. 각검사문장마다명료도의평균평정치를계산하였고, 중증도에따른평균치의차이를일요인분산분석을통하여그차이가유의한지확인하였으며, 그사후분석은 Scheffé 검정을통해실시하였다. 단어를구성하는자음및모음에대한분석은세부적분석의결과에기초하여실시하였다. 자음은조음방법과조음위치에따라분류하였고, 음절안에서의음소위치에따라다시초성음과종성음으로구분하였다. 모음은혀의높이와전방성에따라분류하였다. 이분류에따라특정음소가다른음소로잘못지각된오류의빈도를조사하였고그오류의양상에대해분석하였다. 단어및문장목록에대한청취실험에참여한대상자 32명의평정에대한신뢰성을검증하기위해청취자간, 청취자내신뢰도를분석하였다. 단어검사의경우에는일치도통계를이용하였고, 문장검사로평정한명료도, 음성강도, 청취노력, 전반적인상의점수는 Pearson 상관계수를통하여구하였다. 다른속성들에서는양극단중한쪽끝이가장좋은것을, 다른한쪽끝이가장나쁜것을의미하지만, 음성강도는양극단중한쪽끝은지나치게소리가작고, 다른한쪽끝은지나치게소리가크다는것을의미하므로, 결국둘다나쁜것을의미하기때문에, 그양상이서로다르다. 이런경우, 통계적으로다른속성과비교하기가어려우므로, 상관분석에서는음성강도의점수를 음성강도일탈정도 (deviation of loudness) 의점수로변환하여사용하기로하였다. 음성강도일탈정도의점수는, 청 261
언어청각장애연구 2007;12;256-278 취자가할당한음성강도의점수와, 일상적인보통크기의점수인 50점과의차이를계산하여제시되었다. 그결과, 단어검사결과에대한청취자간신뢰도의평균수치는 0.79로나타났고, 청취자내신뢰도범위는평균 0.87로나타났다. 문장검사결과, 명료도의청취자간신뢰도는평균 0.81이었고청취자내신뢰도는 0.85로나타났다. 음성강도의청취자간신뢰도는평균 0.75, 청취자내신뢰도 0.77, 청취노력은청취자간신뢰도평균 0.91, 청취자내신뢰도 0.87을보였고, 전반적인상은청취자간신뢰도가평균 0.86, 청취자내신뢰도가 0.89로나타났다. 단어검사및문장검사공히통계적분석을위해서는 SPSS 11.5 Windows용을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단어수준명료도분석결과 단어검사에서말하는전체명료도는전체단어 28개정반응률의평균수치를말한다. 대략적분석의결과나타난전체명료도는 83.26% 로, 범위는 3.12~100% 이고표준편차는 25.22인것으로나타났다. 세부적분석의경우평균명료도는 80.42%, 범위는 2.78~100% 로표준편차는 27.97이었다. 대략적으로분석하는경우보다세부적으로분석하는경우가평균명료도의수치도좀더낮고표준편차도좀더큰것으로나타났으나, 두분석의경우모두전체명료도는비교적양호한수치를보이는것으로관찰되었다 (< 표 -2> 참조 ). < 표 - 2> 중증도별단어수준평균명료도 N G1 G2 G3 대략적분석 (%) 87.50 (11.26) a) 95.54 (6.21) 81.25 (21.17) 68.75 (42.39) 세부적분석 (%) 84.23 (11.13) 94.20 (8.50) 76.85 (24.43) 66.42 (41.95) a) ( ) 의숫자는표준편차를뜻한다. 전체적인명료도의평균수치를정상군과음성장애환자군 (G1, G2, G3군 ) 으로분리하여분석해보면정상군의평균명료도는대략적분석의경우 87.50% 였고세부적분석의경우는 84.23% 였다. 환자군의평균치는대략적분석의경우 81.85%, 세부적분석의경우 79.16% 로나타나, 정상군보다낮은명료도수치를보였다. < 표 -2> 가보여주는바와같이, 명료도의평균수치는 G1군에서가장높았고, G3군에서가장낮은것으로나타났는데, 정상군의명료도가 G1군보다낮은것으로나타났다. 전체명료도평균을 80~ 262
표화영 심현섭 / 음질저하의정도에따른말명료도연구 83% 로볼때이수치는 G2군의평균수치와비슷했고, G3군의수치는이평균수치보다현저히낮은것으로나타났다. 대략적분석결과, 중증도간의평균차이는서로유의하지않은것으로나타났고 (F (3, 24) =1.481, p >.05), 이는세부적분석에서같은결과를보이는것으로나타났다 (F (3, 24) =1.512, p >.05). 2. 문장수준명료도분석결과 문장검사를실시하여측정한명료도의전체평균점수는 81.01점이고, 범위는 0~100점이며표준편차는 28.45로나타났다. 명료도를중증도별로분류하여그평균치를서로비교해본결과가 < 표 -3> 에제시되어있다. < 표 - 3> 중증도별문장검사평균명료도평균 ( 점 ) 표준편차 범위 정상군 96.17 11.10 24.5~100 G1 93.80 9.99 50~100 G2 85.18 16.50 22~100 G3 48.88 36.14 0~100 실시한명료도분석의결과는정상군, G1, G2, G3군의순서로점수가점차낮아지는것을알수있었다. 명료도전체평균인 81점에비추어볼때정상군, G1, G2군의점수는평균보다높은것으로나타났으나 G3군은전체평균명료도보다현저히낮은점수를보여주었다. 명료도에서나타난중증도간의평균차이가유의한지를알아보기위해일요인분산분석을실시한결과, 그차이는유의한것으로나타났다 (F (3, 508) = 136.715, p <.05). 그리고, Scheffé 검정에의한사후분석결과, G2군과 G3군이포함되어있는조합은모두그차이가유의한것으로나타났다. 그러나정상군과 G1군사이의차이는유의하지않은것으로나타났다. 3. 음소의오류지각분석결과 32명의청취자가보인총응답수는 28개단어에서 947개였는데, 이중모든응답에나타난총음소수 ( 자음과모음포함 ) 는 3,489개였다. 이가운데초성음은 1,628개 (46.67%) 였고, 종성음은 376개 (10.78%) 였으며모음은 1,485개 (42.56%) 였다. 3,489개의음소중오류를보인음소는 476개 (13.64%) 였다. 이가운데다른음소로잘못지각하는대치오류가자음과모음을통틀어서 262개 (55.04%) 로가장많았고, 다음으로는 3번을반복하여들었어도목표단어를파악하지못하여 모르겠다 고한응답이 114개 (23.95%) 로나타나두번째로 263
언어청각장애연구 2007;12;256-278 많았다. 목표음소가있는데도불구하고없는것으로잘못지각하는, 생략은 95개로전체오류중 19.96% 를차지하였으며목표음소가없는데도있는것으로지각하는, 첨가의경우는 5개로 1.05% 의가장낮은백분율을보였다 (< 그림 -1> 참조 ). 첨가, 1.05% 생략, 19.96% 대치, 55.04% 모르겠다, 23.95% < 그림 - 1> 단어검사결과나타난음소의오류지각양상 초성음, 종성음및모음에대한분석결과나타난각각의오류빈도와그백분율은 < 표 -4> 에나타나있다. 이표에서제시하고있듯이초성음과모음의경우, 대치변동이나 모르겠다 고응답한비율은서로비슷하나, 생략이나첨가에있어서는초성음의오류가더많은것으로나타났다. 그리고종성음은첨가를제외하면모든경우에서가장낮은오류빈도와백분율을보였다. < 표 - 4> 단어검사결과오류지각빈도와백분율 초성음종성음모음총계 대치생략첨가모르겠다 a) 빈도백분율빈도백분율빈도백분율빈도백분율 130 13 119 262 49.62 4.96 45.42 100 46 27 22 95 48.42 28.42 23.16 100 4 1 0 5 80 20 0 100 53 6 55 114 46.49 5.26 48.25 100 a) 3 번을반복해서들었어도목표단어를파악하지못한경우 자음분석결과에대해좀더세부적으로관찰해보면, 초성음에서관찰된오류는총 233개로, 이중대치가 130개 (55.79%) 로가장많았으며두번째로많았던오류는 모르겠다 는응답이 53개 (22.75%) 였다. 그외에생략이나타난경우가 46개 (19.74%) 였고첨가가 4개 (1.72%) 나타났다. 조음방 264
표화영 심현섭 / 음질저하의정도에따른말명료도연구 법에따라분석한결과일반적으로파열음은파열음으로지각되는경우가가장많았다. 비음이나마찰음의경우에는, 같은비음이나마찰음으로지각되는경우보다는, 파열음으로잘못지각되는경우가더많았다. 조음위치의측면에서는조음위치는유지되면서조음방법이다른음소로지각되는경우가많이관찰되었으나일관적인양상을보이지는않았다. 종성음에서는총 47개의오류양상이관찰되었다. 초성음과는달리종성음에서가장많이일어난오류는생략으로, 27개음소에서관찰되어전체종성음의오류중 57.45% 의비율을보였다. 대치는 13개 (27.66%) 의오류를보였고, 첨가의오류가 1개음소 (2.13%) 에서관찰되었으며 모르겠다 는응답은총 6개음소 (12.77%) 에서나타났다. 종성음에서관찰된대치양상을세부적으로분석해볼때, 조음방법측면에서보면종성음은비음으로지각되는경우가가장많았으며, 파열음은총 376개의종성음중 98개에서나타났지만잘못지각된경우는없는것으로나타났다. 조음위치의측면에서보면같은조음위치의다른음소로지각되는경우보다는다른조음위치의음소로지각되는경우, 즉조음위치가유지되지않는경우가더욱빈번하였다. 전체오류음소 476개중모음에서나타난오류의수는 196개였다. 모음에서도초성음과마찬가지로대치오류가 119개 (60.71%) 로가장많이관찰되었다. 그외에 모르겠다 는응답이 55개 (28.06%) 로나타났고, 생략된경우가 22개 (11.22%) 인것으로나타났다. 자음과달리, 모음에서는첨가오류가관찰되지않았다. 모음의대치양상은그양상이일관적이지않아오류양상의특별한경향성은여기에제시하지않았다. 4. 명료도관련속성분석결과 가. 전체적분석 각속성의중증도별평균치를비교해보면 < 그림 - 2> 와같은양상을보이게된다. 100 평정점수 80 60 40 20 명료도음성강도청취노력전반적인상 0 정상군 G1 G2 G3 중증도 < 그림 - 2> 문장검사결과에대한전체적분석 265
언어청각장애연구 2007;12;256-278 그림에서보듯이중증도에따른명료도의변화양상과청취노력의변화양상은대칭적인모습을보이고있다. 명료도와전반적인상은정도의차이가있기는하나그변화양상이매우비슷한것으로관찰되었다. 음성강도는 G3군을제외한나머지세군의경우에는모두그래프의 50점의주변에위치하여음성강도의범위가보통크기의범위안에있음을보여주었다. 각속성에대한중증도별평균평정치에대한분석결과는 < 표 -5> 에제시되어있다. < 표 - 5> 각속성의중증도별평균평정치 음성강도청취노력전반적인상 정상군 46.02 ( 7.97) a) 5.91 (18.06) 85.76 (20.03) G1 53.81 ( 9.56) 6.96 (14.47) 79.80 (15.96) G2 56.89 (13.65) 12.08 (15.98) 61.73 (20.90) G3 26.74 (22.73) 54.16 (34.94) 22.17 (23.70) a) ( ) 의숫자는표준편차를뜻한다. VAS 방법에의해나타난음성강도의점수를중증도별로분류해보면정상군과 G1군의점수는일반적인보통크기의음성강도를나타내는 50점에서비슷한정도로떨어져있다. 그러나양상은서로반대여서정상군의음성강도는일반적인음성강도보다낮은반면 G1군의음성강도는일반적인경우보다더높은것으로나타났다. 정상군부터 G2군까지는중증도가증가하면서음성강도가조금씩커지지만, G3군에서는음성강도가현저히작아지는것으로나타났다. 중증도간의음성강도차이에대한유의성검증결과, 그차이는유의한것으로나타났다 (F (3, 508) = 109.485, p <.05). 그리고, Scheffé 검정을이용하여사후분석을실시한결과, G1군과 G2군간의차이만유의하지않았고, 다른군들은서로유의한차이를보이는것으로나타났다. 중증도가증가할수록청취노력의수치는점차증가하는것으로나타나는데, 이수치는높을수록상대방이화자의말을이해하기어렵다는뜻이니그만큼의사소통에는더욱안좋은영향을미친다는것을알수있다. 중증도간청취노력의차이를비교해보기위해, 일요인분산분석을실시한결과, 중증도간에나타나는청취노력평균치의차이는유의한것으로나타났다 (F (3, 508) = 135.620, p <.05). Scheffé 검정에의한사후분석결과는 G3군과이루어지는조합에서만그평균차이가유의했을뿐, 다른경우에는모두그차이가유의하지않은것으로나타났다. 화자의발화에대한청취자의전반적인상에대한평정결과를분석해본결과, 중증도가높아질수록그평정치가현저하게저하하는것이관찰되었다. 다른속성에비하면각군의표준편차의차이가현저하지는않은것으로나타났으나, 각각의개별적인표준편차의수치는다른속성보다도매우컸다. 전반적인상의경우도다른속성과마찬가지로중증도별평균평정치의차이가유의한것으로나타났다 (F (3, 508) = 254.534, p <.05). Scheffé 검정으로사후분석을실시한결과는명료도의경우에서처럼, 정상군과 G1군사이의평균차는유의하지않은것으로나타났으나, 다른조합은모두유의한것으로나타났다. 266
표화영 심현섭 / 음질저하의정도에따른말명료도연구 나. 평정속성간상관분석 문장검사결과나타난평균치간의상관성이어느정도인지알아보기위해 Pearson 상관계수를이용하여상관도를계산하였다. 연구방법에서설명한바와같이음성강도는 Pearson 상관분석을위해음성강도의일탈정도의측면으로점수를변환하였고, 그결과를이용하여상관분석을하였다. 그결과는아래의 < 표 -6> 에나타나있다. < 표 - 6> 명료도관련속성간상관도명료도 음성강도일탈정도 청취노력 전반적인상 명료도 1 음성강도일탈정도 -.700** 1 청취노력 -.767**.673** 1 전반적인상.562** -.557** -.534** 1 ** p <.01 명료도는다른세가지속성과모두.55 이상의상관도를보였는데, 특히청취노력과가장높은부적상관을보이는것으로나타났다. 음성강도일탈정도는청취노력과양호한정적상관을보여음성강도일탈정도가커질수록청취노력도증가하는양상을보이는것으로관찰되었다. 그리고음성강도일탈정도와전반적인상간에는양호한부적상관이나타나음성강도일탈정도가 0점에가까울수록전반적인상은더좋아지는것으로나타났다. 또한전반적인상과청취노력사이에서도양호한부적상관이있는것으로나타나, 청취노력이적을수록전반적인상은대체로증가하는것으로관찰되었다. Ⅳ. 논의및결론 1. 명료도분석결과에대한고찰 본연구에서실시한단어검사결과, 음성장애환자군의명료도는음질저하의중증도가증가할수록감소하는것으로나타났는데, 이중정상군과 G1군을비교해볼때, 비록그차이가유의하지는않지만오히려정상군의명료도가더낮은것으로나타났다. G1군이정상군보다더높은명료도를보인요인으로생각할수있는것중하나는, 약간의음질저하를보이는 G1군의환자들이, 보다더나은음성을산출하기위해사용하는 전략 이다. 음질이저하되어있는환자들은일반적으로, 쉰목소리의산출을최대한줄이기위해과도하게후두주변근 267
언어청각장애연구 2007;12;256-278 육을긴장시킨다. 이는성대의과내전 (hyperadduction) 을유도하며이로인한성대폐쇄의증가는좀더나은목소리를산출하도록도와준다. 후두주변근육의긴장과더불어, 이들은말소리를산출할때평상시보다더욱천천히정확하게내고자노력함으로써, 저하된음질이의사소통을방해하지않도록한다. 그에비하면정상인들은발화를함에있어평소의습관대로, 별다른주의를기울이지않고말을하기때문에오히려 G1군보다낮은명료도를보였을수있다. 그리고, 이러한양상이 G2군이나 G3군에서나타나지않은이유는이들이보이는음질저하의정도가환자의노력으로보완될수있는정도를벗어나있기때문인것으로판단된다. 단어검사결과나타난전체명료도의평균수치는 80~83% 였다. 음성문제외의특별한문제가동반되지않은내전형경련성발성장애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환자를대상으로보툴리눔독소 (Botox R ) 주입전후의명료도를단어인식검사를통해분석한 Bender et al. (2004) 의보툴리눔독소주입전의명료도도 79.43% 로본연구와비슷한수치를보였다. 이들의연구에서도보툴리눔독소주입전에나타난표준편차와정상통제군의표준편차가현저히차이가나는것으로나타났는데, G1, G2, G3군으로갈수록표준편차가현저히커진본연구결과와일치하는양상을보였다. 문장검사결과, 정상군의명료도점수가 G1군의점수와그평균치의차이가유의하지않게나타난이유는 24.5점과 55점이라는, 정상인의발화라고하기에는현저히낮은명료도점수가표준오차를증가시켰기때문인것으로판단된다. 그런데이두개의점수는청취자 9, 한명에의해내려진점수이다. 이렇듯 VAS 방법으로척도평정을하였을때, 0점과 100점사이의무수한점수중에서표준화된결과를제시해줄수있다는것이장점이나, 그평균치는양극단의수치에따라민감하게변화할수있는단점이있다 (Yu et al., 2002). 이러한문제는본연구에서도나타나결과적으로정상군과 G1군사이의평균차이가유의하지않은것으로나타났으며정상군의표준편차도 G1군의경우보다크게만들었다. 2. 음소의오류지각분석 초성음중조음방법에따라파열음을먼저고찰해보면파열음중기본음은대체로같은기본음, 같은파열음이되조음위치가다른음소로대치되어지각되는경우가많았다 ( 예 : 가을 -[ 다을 ]). 기본음의경우다른긴장음이나기식음에비하여파열할때의에너지 (plosive burst energy) 가유의하게적은것으로알려져있다 (Kim, 1965). 음성장애환자의발화는불충분한성대폐쇄로인한성문하압 (subglottic pressure) 의감소로그파열에너지가더욱감소할것이기때문에더큰에너지가필요한긴장음이나기식음으로지각되지는않는다. 또한, 음성장애환자들의성대폐쇄부전으로인한낮은성문하압은성도내특정지점의폐쇄부터파열이일어나기까지의시간간격을뜻하는상승기 (rise time) 에도영향을미치며, 구강내압 (intraoral pressure) 에도영향을미친다. 우리말파열음에서의상승기는파열음의연음 (lax consonant) 과경음 (tense consonant) 을구분하는요소이며, 구강내압은기본음, 긴장음과기식음을변별하는요소가된다 ( 표화영외, 1999). 그러므로성대폐쇄의불완전으로 268
표화영 심현섭 / 음질저하의정도에따른말명료도연구 인한상승기및구강내압의변화는이러한음소들의변별을어렵게할수있다. 파찰음은대개같은파찰음으로지각되거나 ( 예 : 절로 [ 철로 ]), 마찰음으로지각되는경우가많았다 ( 예 : 조상 [ 소장 ]). 우리말의마찰음이나파찰음은그변별에있어가장중요한것이소음구간의길이 (frication duration) 인데, 소음구간의길이가길수록마찰음으로지각되고그보다더짧은경우파찰음으로지각된다 (Park et al., 1998). 이에따르면파찰음이마찰음으로지각되었다는것은그만큼소음구간의길이가증가했다는것을의미하는데, 음성장애환자들의쉰목소리에흔하게나타나는잡음이소음구간의길이가증가한것으로지각시켜이러한결과가나오게되었다고판단할수있다. 비음은같은비음으로지각되거나 ( 예 : 마음 -[ 나물 ]) 파열음으로지각되는오류 ( 예 : 명상 - [ 병상 ]) 를보였다. Yorkston, Beukelman & Bell (1988, Ramig(1992) 에서재인용 ) 은운동구어장애환자들의섬세하지못한발성조절능력이유성음과무성음의대립을모호하게한다고하였으며, Ramig (1992) 는성대폐쇄가완전하지못한환자들은유성음을무성음으로인지하게할수있다고하였다. 그러므로, 음성장애환자들의불충분한성대폐쇄가유성비음인 / ㅁ / 을무성파열음 [ ㅂ ] 으로지각하도록하였을가능성은충분히있다. 조음위치에따른분석은조음방법에따른분석과비교해보면그일관성이적다. 김수진 (2000) 에의하면마비말장애환자들을대상으로명료도조사를실시한결과초성음에서는조음방법의대조가명료도예측에중요한역할을한다고하였다. 초성음에대한본연구결과에서도조음방법에비하여조음위치가일관적인규칙을찾기어려운것으로나타났다는것은초성음의명료도에있어조음방법이조음위치보다더높은결정력을가지고있기때문이라고볼수있다. 모음도종성음과마찬가지로오류의일관성을찾아내기어려웠는데종성음의경우보다더욱비일관적이었다. 이는청취자들이, 제시된단어에대한응답을판단하는데있어모음보다는자음이더중요한역할을했기때문인것으로판단되는데, Freyman & Nerbonne (1989) 이말명료도에가장큰기여를하는것은자음에대한정보라고한것과도일맥상통한다. 3. 명료도관련속성분석결과 명료도와관련된속성중음성강도는 G2군까지는중증도가증가할때마다함께증가하는추세를보였다. 앞서언급한바와같이성대폐쇄가불완전한음성장애환자들은보다더나은음성을산출하기위해후두주변근육을과도하게긴장시켜성대의과내전 (hyperadduction) 을유도한다. 이로인하여성대폐쇄가이루어지면서보다더나은음질의소리가산출됨과동시에, 성대과내전으로인한성문하압의증가로더큰소리가산출되는것으로사료된다. 이에비해서 G3군의음성강도는매우낮은것으로나타난이유는그성대폐쇄부전의정도가성대를과내전시키는것으로감소될수있는정도를벗어났기때문인것으로판단된다. 즉, 심각한성대폐쇄부전의문제가성문하압의형성을방해하여음성강도저하의결과로나타난것이다. 269
언어청각장애연구 2007;12;256-278 청취노력의경우는점수가낮을수록화자의발화를이해하는데어려움이적다는것을말하는데, 본연구결과에서는 G3군의경우만다른군과유의한차이를보였을뿐정상군, G1군과 G2군은다른군과유의한차이를나타내지않았다. 이는곧화자의발화를청자가이해하는데필요한노력의정도가, 음질이정상적이거나약간 (mild) 혹은중간정도 (moderate) 로저하되어있는경우에는서로비슷하지만, 심각한음질의저하가동반되어있는경우에는더큰노력을필요로하게된다는것을의미한다. 전반적인상중정상군, G1, G2군의편차는네개속성중가장큰것으로나타났다. 이는청취자들이전반적인상을평가하는기준이서로많이달랐기때문일것으로판단된다. 청취자에따라전반적인상을결정짓는요소로판단한속성들도달랐을것이고, 같은속성을가지고판단했다고하더라도청취자가각속성마다할당한비중의정도도서로달랐을것이다. 그렇기때문에편차가다른속성에비해현저히커진것으로판단된다. 명료도, 음성강도, 청취노력및전반적인상등의네개속성들간의상관성정도를분석한결과, 명료도는다른세속성과모두양호한상관을보이는것으로나타났는데, 이는 Preminger & Van Tasell (1995) 의결과와일치한다. 이들의연구결과에서명료도는청취노력과부적상관을보이고전반적인상과는정적상관을보이며, 청취노력과전반적인상은서로부적상관을보인다고보고하였는데, 이또한본연구결과와일치하고있다. 4. 연구의의의, 제한점및제언 본연구는조음의측면이나초분절적측면의문제를동반하지않은, 오직음질에만문제가있는음성장애환자의발화에초점을두어이루어진명료도연구라는점에서그의의를찾을수있을것이다. 그리하여정상군과환자군을비교할때환자군의명료도가더낮았고, 환자군안에서는중증도가증가할수록명료도는, 이와반비례하여, 점차감소한다는것을제시하였다. 특히음질저하가심각한 G3군의경우에는그명료도가, 전체적인평균명료도보다 14% 이상낮은것으로나타났으며, 명료도뿐만아니라그관련속성들, 즉, 음성강도, 청취노력, 전반적인상모두다다른군과유의한정도로평정치가낮은것으로나타났다. G3군에해당되는환자중에는음성치료현장에서가장많이접하게되는환자군중의하나인성대결절환자도있었으며, 28개단어전체를통틀어가장낮은명료도를보인단어도이환자에의해산출된단어였다. 그러므로, 비록양성성대질환이라고하더라도그음질저하가심각할때에는비록조음이나초분절적요소에문제가없는환자라고하더라도명료도의저하가동반될수있다는것을보여주었다. 음질에대해평정할때외적기준을설정하고이에따라발화샘플을선정하면음질의측면에있어보다더신뢰성있는발화샘플을얻을수있다 (Kreiman & Gerratt, 2000). 이에따라본연구에서도본연구자와검증자 1의공동작업으로각군마다외적기준이되는발화샘플을선정하였고, 그외적기준에맞추어다시본연구자와검증자 2의공동작업을거쳐최종샘플을선정하여, 음질면에 270
표화영 심현섭 / 음질저하의정도에따른말명료도연구 있어최대한일관적이고신뢰로운재료를얻고자노력하였다. 일반적인명료도연구는다수의청취자가스피커주변에모여스피커에서재생되어나오는소리를듣고그내용을기록하도록하는연구가많았다. 그러나, 이러한경우에는청취자마다스피커와의거리및각도가약간씩달라청취조건이똑같지않을수도있고무엇보다도배경소음이청취를방해할수도있다. 게다가본연구처럼음질이중요한변수인경우에는더더욱배경소음의영향이최소화되어야한다. 이에본연구는헤드폰을사용하여청취자극을들려줌으로써배경소음의간섭을최소화하였고, 소음측정기로계속배경소음의정도를측정하여조용하다고판단할수있는수준 40dB를벗어나는경우는자극제시를중단하도록하였다. 본연구가가지는제한점중하나는발화샘플의선정에있어음질의측면에최대한초점을맞추다보니음질외의측면에있어서는각군안의동질성이확보되지못했다는점이다. 그러므로추후연구에서는음질저하가심각한환자들중에서도기식성음성이우세한환자, 조조성음성이우세한환자등을구분하여따로군을나눔으로써좀더그동질성을증가시킬수있는방법이모색되어야할것이다. 이와관련하여, 각각의음질특성이명료도에어떤영향을미치는가도추가적으로연구되어야할과제중하나이다. 두번째제한점은발화샘플을선정함에있어노화의영향을받지않는 20~39세의여성환자의발화에만한정시켜, 결과를전체인구로일반화하기어렵다는점이다. Hazan & Simpson (2000) 과 Laures & Bunton (2003) 은명료도실험결과성별과연령에따라서명료도가유의한차이를보였다고하였다. 따라서발화자의연령과성별을다양하게선정한발화샘플로추후연구가이루어져야할것이다. 세번째제한점은 SRT의개념을도입하여단어목록을선정하는과정에서, 청취자들의어휘친숙도가크게차이나지않도록고려하다보니, 청취자들의배경지식의정도나연령의정도가상당히유사했다는점이다. 이러한경우, 그실험결과를, 배경지식이다르거나연령층이다른사람들에게일반화시키기어려운문제가발생할수있으므로, 추후연구에서는청취자들의연령층을다양하게해야한다. 마지막으로, 최대한배경소음이간섭하지않도록통제한결과, 음성장애환자들이일상생활에서발화하는양상에비하면상당히조용한상황에서명료도실험이이루어졌다는것을지적할수있다. 보다더환자들이겪는문제와비슷한상황을설정하기위해, 청각학분야의연구자들과의공동연구를통해소음수준을다양하게제시했을때그명료도가어떻게달라질수있는지연구해보는것도의미있는일일것이다. 참고문헌 국립국어연구원 (2003). 현대국어사용빈도조사결과 [ 온라인 ]. 웹사이트 : http://nainfo.korean.go.kr:8085/ bbs/archives.html 김수진 (2000). 일음절낱말대조명료도평가방법을이용한마비말장애분절적특성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271
언어청각장애연구 2007;12;256-278 김향희 (2001). 신경말 언어장애. 이승환 배소영 심현섭 김영태 김향희 신문자 한재순 김진숙 이정학 ( 공저 ). 의사소통장애개론. 서울 : 하나의학사. 심현섭 (2001). 음성장애. 이승환 배소영 심현섭 김영태 김향희 신문자 한재순 김진숙 이정학 ( 공저 ). 의사소통장애개론. 서울 : 하나의학사. 표화영 심현섭 박헌이 최재영 최성희 안성복 최홍식 (1999). 한국어파열자음의인두내압, 폐쇄기및 Voice Onset Time(VOT) 에관한실험적연구. 대한음성언어의학회지, 10(1), 50-57. Ansel, B. M., & Kent, R. D. (1992). Acoustic-phonetic contrasts and intelligibility in the dysarthria associated with mixed cerebral pals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5, 296-308. Bender, B. K., Cannito, M. P., Murry, T., & Woodson, G. E. (2004). Speech intelligibility in severe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7, 21-32. Boone, D. R., McFarlane, S. C., & Von Berg, S. L. (2005). The voice and voice therapy. Boston, MA: Pearson Education. Bunton, K., & Weismer, G.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nd acoustics for a high-low vowel contrast produced by speakers with dysarthria.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4, 1215-1228. Dejonckere, P. H., Obbens, C., de Moor, G. M., & Wieneke, G. H. (1993). Perceptual evaluation of dysphonia: Reliability and relevance. Folia Phoniatrica, 45, 76-83. Freyman, R. L., & Nerbonne, G. P. (1989). The importance of consonant-vowel intensity ratio in the intelligibility for voiceless consonan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2, 524-535. Hazan, V., & Simpson, A. (2000). The effect of cue-enhancement on consonant intelligibility in noise: Speaker and listener effects. Language and Speech, 43(3), 273-294. Kalikow, D. N., Stevens, K. N., & Elliott, L. L. (1977). Development of a test of speech intelligibility in noise using sentence materials with controlled word predictability.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61(5), 1337-1351. Kim, C. W. (1965). On the autonomy of the tensity feature in stop classifica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n stops). Word, 21, 339-359. Kreiman, J., & Gerratt, B. (2000). Measuring vocal quality. In R. D. Kent & M. J. Ball (Eds.),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San Diego, CA: Singular Publishing Group. Laures, J. S., & Bunton, K. (2003). Perceptual effects of a flattened fundamental frequency at the sentence level under different listening conditions.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6, 449-464. 272
표화영 심현섭 / 음질저하의정도에따른말명료도연구 Park, S. B., Yi, B. W., Shin, J. Y., & Kim, K. H. (1998). Perceptual cues for Korean affricate vs. fricative distinction. Speech Sciences, 4(1), 47-58. Preminger, J. E., & Van Tasell, D. J. (1995). Quantifying the relation between speech quality and speech intelligibili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8, 714-725. Ramig, L. O. (1992). The role of phonation in speech intelligibility: A review and preliminary data from patients with Parkinson s disease. In R. D. Kent (Ed.), Intelligibility in speech disorders: Theory, measurement and management. Amsterdam: John Benjamin Publishing. Ramkisson, I., Proctor, A., Lansing, C. R., & Bilger, R. C. (2002). Digit speech recognition threshold (SRT) for non-native speakers of English. American Journal of Audiology, 11, 23-28. Schiavetti, N., Sitler, R. W., Metz, D. E., & Houde, R. A. (1984). Prediction of contextual speech intelligibility from isolated word intelligibility measure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7, 623-626. Weismer, G., Martin, R., Kent, R. D., & Kent, J. F. (1992). Formant trajectory characteristics of males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91(2), 1085-1098. Yu, P., Revis, J., Wuyts, F. L., Zanaret, M., & Giovanni, A. (2002). Correlation of instrumental voice evaluation with perceptual voice analysis using modified visual analog scale.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54, 271-281. 273
언어청각장애연구 2007;12;256-278 < 부록 - 1> 실험에사용된단어목록 번호목표단어중증도군번호목표단어중증도군 1 가을 N 15 감동 N 2 풍성 G3 16 우리 G2 3 숲속 G1 17 색깔 G3 4 하늘 G2 18 추석 G1 5 구름 G3 19 뾰족 G2 6 여러 G1 20 결실 N 7 명절 N 21 마음 G3 8 또한 G2 22 이것 G1 9 완만 G1 23 명상 G2 10 조상 G3 24 감탄 N 11 차례 N 25 절로 G3 12 과일 G2 26 독서 G1 13 대표 G3 27 과연 N 14 계절 G1 28 가지 G2 274
표화영 심현섭 / 음질저하의정도에따른말명료도연구 < 부록 - 2> 실험에사용된문장목록 번호 목표문장 중증도음절수 1 우리나라의가을은참으로아름답다. N 15 2 마음을살찌우고아름답게하는힘을주기때문이다. N 21 3 시시때때로명상에잠기기도하는데신비롭기까지하다. N 23 4 먹거리가풍성하기때문에조상님들께차례를지내기도한다. N 25 5 그빼어난아름다움이느껴진다. G1 13 6 우리나라의가을은절로감탄을금할수가없게된다. G1 21 7 천고마비의계절이라일컫는이유를알게될것만같다. G1 22 8 쓰다듬어진듯한완만함과깎아놓은듯한뾰족함이참으로아름답다. G1 28 9 숲속에누워서하늘을바라보라. G2 13 10 타는듯한감동을주며나아가신비롭기까지하다. G2 20 11 먹거리가풍성하기때문에결실의계절이라고도한다. G2 22 12 산등성이를따라오르다보면절로감탄을금할수가없게된다. G2 25 13 또한높고파란하늘을바라보라. G3 13 14 파란하늘을쳐다보고있노라면신비롭기까지하다. G3 21 15 이것들을쌓아놓고조상님들께차례를지내기도한다. G3 22 16 여러가지색깔들이어우러져그빼어난아름다움이느껴진다. G3 25 275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07;12;256-278 ABSTRACT A Study of Speech Intelligibility Affected by Voice Quality Degradation 2) Hwa Young Pyo a, Hyun Sub Sim b, a Department of Communication Disorders, Korea Nazarene University, Cheonan, Korea b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Background & Objectives: Many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have complained of their unintelligible speech, but their speech intelligibility has been beyond the experts interests due to the normal phoneme production and prosody of the patients. This study investigated speech intelligibility affected by voice quality degradation in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Methods: Lists of words and sentences were extracted from the paragraph produced by the 3 normals and 12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The 12 patients were further divided into 3 groups comprising 4 patients in each group according to the GRBAS scale: G1 group with mild, G2 group with moderate, and G3 group with severe severities. Then, 32 people with normal hearing wrote down the words that they heard and rated the sentences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 Results: For the word identification test, the G1 group had the highest intelligibility and the G3 group the lowest. The results of rating scales showed that, in intelligibility and overall impression, the normal group had the highest score and G3 the lowest. In listening effort and deviation of loudness, the G3 had the highest score and the normal group the lowest. Speech intelligibilit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verall impress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listening effort and deviation of loudness. Discussion & Conclusion: Patients with severe voice disorders showed very low intelligibility in spite of their intact articulation and prosody. This result may imply that we should put more treatment efforts in improving the intelligibility of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07;12;256-278) Key Words: voice disorders, speech intelligibility, voice quality, word identification, visual analog scale 2) This paper was summarized from the doctoral dissertation of the first author, Pyo (2007). Received April 26, 2007; final revision received May 31, 2007; accepted June 3, 2007. Correspondence to Prof. Hyun Sub Sim, PhD,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Ewha Womans University, 11-1 Daehyun-dong, Seodaemum-gu, Seoul, Korea, e-mail: simhs@ewha.ac.kr, tel.:+82 2 3277 3538 c 2007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http://www.kasa1986.or.kr 276
Pyo &Sim / A Study of Speech Intelligibility Affected by Voice Quality Degradation References Ansel, B. M., & Kent, R. D. (1992). Acousticphonetic contrasts and intelligibility in the dysarthria associated with mixed cerebral pals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5, 296-308. Bender, B. K., Cannito, M. P., Murry, T., & Woodson, G. E. (2004). Speech intelligibility in severe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7, 21-32. Boone, D. R., McFarlane, S. C., & Von Berg, S. L. (2005). The voice and voice therapy. Boston, MA: Pearson Education. Bunton, K., & Weismer, G.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nd acoustics for a high-low vowel contrast produced by speakers with dysarthria.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4, 1215-1228. Dejonckere, P. H., Obbens, C., de Moor, G. M., & Wieneke, G. H. (1993). Perceptual evaluation of dysphonia: Reliability and relevance. Folia Phoniatrica, 45, 76-83. Freyman, R. L., & Nerbonne, G. P. (1989). The importance of consonant-vowel intensity ratio in the intelligibility for voiceless consonan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2, 524-535. Hazan, V., & Simpson, A. (2000). The effect of cue-enhancement on consonant intelligibility in noise: Speaker and listener effects. Language and Speech, 43(3), 273-294. Kalikow, D. N., Stevens, K. N., & Elliott, L. L. (1977). Development of a test of speech intelligibility in noise using sentence materials with controlled word predictability.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61(5), 1337-1351. Kreiman, J., & Gerratt, B. (2000). Measuring vocal quality. In R. D. Kent & M. J. Ball (Eds.),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San Diego, CA: Singular Publishing Group. Kim, C. W. (1965). On the autonomy of the tensity feature in stop classifica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n stops). Word, 21, 339-359. Kim, H. H. (2001). Neurogenic speech and language disorders. In S. H. Lee, S. Y. Pae, H. S. Sim, Y. T. Kim, H. H. Kim, M. J. Shin, J. S. Han, J. S. Kim & J. H. Lee (Eds.), Introduction to communication disorders. Seoul: Hana Medical Publishers. Kim, S. J. (2000). Phonetic contrasts and intelligibility in dysarthria: Comparison of spastic and flaccid typ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Laures, J. S., & Bunton, K. (2003). Perceptual effects of a flattened fundamental frequency at the sentence level under different listening conditions.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6, 449-464. National Academy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03). Database of the frequency of Modern Korean Words[On-line]. Available from Website: http://nainfo.korean.go.kr:8085/bbs/archives. html Park, S. B., Yi, B. W., Shin, J. Y., & Kim, K. H. (1998). Perceptual cues for Korean affricate vs. fricative distinction. Speech Sciences, 4(1), 47-58. Preminger, J. E., & Van Tasell, D. J. (1995). Quantifying the relation between speech quality and speech intelligibili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8, 714-725. Pyo, H. Y., Sim, H. S., Park, H. Y., Choi, J. Y., Choi, S. H., Ahn, S. V., & Choi, H. S. (1999).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intraoral pressure, closure duration and voice onset time (VOT) of Korean stop consona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ogopedics and Phoniatrics, 10(1), 50-57. Ramig, L. O. (1992). The role of phonation in speech intelligibility: A review and preliminary data from patients with Parkinson s disease. In R. D. Kent (Ed.), Intelligibility in speech disorders: Theory, measurement and management. Amsterdam: John Benjamin Publishing Co. Ramkisson, I., Proctor, A., Lansing, C. R., & Bilger, R. C. (2002). Digit speech recognition threshold (SRT) for non-native speakers of English. American Journal of Audiology, 11, 23-28. Schiavetti, N., Sitler, R. W., Metz, D. E., & Houde, R. A. (1984). Prediction of contextual speech intelligibility from isolated word intelligibility measure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7, 623-626. Sim, H. S. (2001). Voice disorders. In S. H. Lee, S. Y. Pae, H. S. Sim, Y. T. Kim, H. H. Kim, M. J. Shin, J. S. Han, J. S. Kim & J. H. Lee 277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07;12;256-278 (Eds.), Introduction to communication disorders. Seoul: Hana Medical Publishers. Weismer, G., Martin, R., Kent, R. D., & Kent, J. F. (1992). Formant trajectory characteristics of males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91(2), 1085-1098. Yu, P., Revis, J., Wuyts, F. L., Zanaret, M., & Giovanni, A. (2002). Correlation of instrumental voice evaluation with perceptual voice analysis using modified visual analog scale.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54, 271-281. 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