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대대통령후보 TV토론이유권자의태도변화및투표행위에미치는영향에관한연구 1)2) 송종길 * ( 경기대학교다중매체영상학부교수 ) 박상호 ** ( 한국방송협회연구위원 ) 이연구는제17대대통령후보 TV토론효과에관한연구이다. TV토론이유권자들의태도변화에미치는영향에관한선행연구에서는실험연구형태가대부분이었으나본연구에서는연구결과의일반화를높이기위해서전문조사기관을통한패널조사를실시하였다. 그리고 TV토론시청전ㆍ후의유권자태도변화뿐만아니라 TV토론 ( 시청 ) 이유권자의투표행위에미치는영향을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정리하면, 우선 TV 토론시청전 (1차조사 ) 과시청후 (2차조사 ) 의분석결과, 지지후보자가없다 는응답자는감소하였고, 지지하는후보가있다 는응답은많아진것으로나타났다. 또한지지후보자에대한분석결과문국현ㆍ이명박ㆍ정동영후보는지지도가높아졌고, 이회창ㆍ기타후보는지지도가낮아진것으로나타났다. 특히이명박ㆍ정동영후보의지지도는큰변화가없었으나, 다른후보들의지지도에는많은변화가나타났다. 다음으로 TV토론시청후 (2차조사 ) 와투표후 (3차조사 ) 에유권자의정치태도변화에관한분석결과, 지지하는후보가있다, 확실하지않지만어느정도있다, 확실하게결정하지못하였다 라는항목의변화가크지않은것으로나타났다. 또한 TV토론시청후와투표후의지지하는후보에대한태도변화에대한분석결과에서도 새롭게좋아하는후보가생겼다, 좋아하는후보가바뀌었다, 좋아하는후보의변화가없다 의경우태도변화가크지않은것으로나타났다. 결국 TV토론시청후나투표후에 TV토론시청영향은태도변화보다강화효과인것이다. 마지막으로 TV토론이유권자의정치행태에미치는영향에관한분석결과, 3차 TV토론만이투표행위에긍정적인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key 〻 words: 제 17 대대통령선거, TV 토론, 태도변화, 투표행위 * jgsong@kyonggi.ac.kr, 교신저자 ** commun72@kba.or.kr
韓國言論學報, 53 권 6 호 (2009 년 12 월 ) 88 1. 서론 우리나라에서공직후보 TV토론은 1995년서울시장선거에서처음도입된이후, 1997년대통령선거와 2004년국회의원선거에이어 2006년지방자치단체장선거에까지확대되었다. 공직후보 TV토론은이미대통령선거와서울시장 ( 광역자치단체장 ) 선거를통해선거과정과결과에미치는중요성이확인되어왔다. 이제 TV토론은단순한미디어이벤트가아니라유권자의투표결정과정에영향을미치는필수적인선거과정의일부로자리매김하였다. TV토론에서의승리가곧선거에서의승리를가져올수있다고믿고있는공직후보들은국민들에게가장좋은자신의이미지를전달하기위해서 TV토론준비에많은시간을투자한다 ( 송종길, 2004). 특히, TV토론은선거일을얼마남겨두지않은시점에열린다. 즉, 지지후보를결정하지않은시청자 ( 유권자 ) 들이최종적으로후보선택을해야하는시점이다. 따라서 TV토론에참여하는후보자들이자신의말 (speech) 과주장 (argument) 으로상대후보를어떻게제압하느냐, 그리고이를지켜보고있는시청자들에게얼마나설득력있게들리게하느냐는시청자들이지지후보를결정하는데매우중요한영향을미칠수밖에없다 (Benoit, Blaney, & Piet, 1997; Benoit & Harthcock, 1999). 따라서 TV토론을도입한국가들에서는 TV토론이유권자에게어떤영향을미치는지혹은미치지않는지에대한관심과이에대한다양한연구가이루어져왔다. 우리나라도초창기 TV토론의제도화의필요성과이상적인 TV토론제도에대한연구단계를넘어 TV토론의효과와영향력을검증하는다양한연구가이루어져왔다. 우리나라에서이루어진 TV토론효과및영향력에관한연구는크게네가지로구분될수있다. 즉, 후보정책에대한정보습득 ( 이준웅, 1999, 2003; 양승찬, 1999; 이강형ㆍ김춘식ㆍ양승찬ㆍ권혁남, 2004), 후보이미지형성및변화 ( 나은영ㆍ한규석ㆍ고재홍, 2003; 이준웅, 2003), 후보에대한태도및후보선택 ( 나은영ㆍ한규석ㆍ고재홍, 2003; 이강형ㆍ김춘식ㆍ양승찬ㆍ권혁남, 2004; 이준웅, 1999), 정치참여행위 ( 양승찬, 1999, 2003) 등이다. TV토론이선거에도입된시기가길지않다는점을고려할때 TV토론의효과연구가다양하게이루어졌다. 그러나 TV토론이유권자의태도변화에미치는영향에관한연구는미흡한상황이다. 특히후보 TV토론 ( 나은영ㆍ한규석ㆍ고재홍, 2003) 또는토론프로그램 ( 현경보, 2006) 이시청자의태도변화에미치는영향에관한준실험적연구가있기는했지만, 실제선거기간동안 TV토론을시청한유권자를대상으로시청전ㆍ후정치태도변화를측정한실증연구는이루지지않았다. 1) 본연구는제17대대통령선거기간동안 TV토론을시청한유권자를대상으로 TV토론이유권자의태도변화및투표행위에미치는영향을분석하였다. 이를위해본연구는토론전과후를비교하는세차례에걸친패널조사를통한종단조사 (longitudinal research) 를실시하 1) 준또는유사실험 (quasi experimental) 연구는실험실이아닌현장에서실험연구가이루어지며, 실험상황은아니더라도실험실상황과유사한효과를얻을수있는경우에주로실시된다. 순수실험연구에비해서통제가어렵다는단점이있다. 그리고현장에서이루어지는설문조사에비해서는일반화하기어렵다는문제점이제기된다.
17 대대통령후보 TV 토론이유권자의태도변화및투표행위에미치는영향에관한연구 89 였다. 2) 우선 TV토론의시청전ㆍ후에유권자의정치태도변화에관한분석을위해서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에서주최하는 1차 TV토론 (12월 6일 ) 시청전ㆍ후의효과를측정하였으며, 또한순차적차원에서 2ㆍ3차 TV토론시청후유권자의태도가어떻게변화되었는지측정하였다. 3) 다음으로제1ㆍ2ㆍ3차 TV토론시청이유권자의투표행위에미치는영향을분석하였다. TV토론의효과는유권자의태도, 인지, 행동영역의변화로설명할수있는데 (Lanoue & Schrott, 1991), 본연구에서는유권자들의투표의향에얼마나변화를가져왔는지 ( 태도 ) 와투표행위를이끌어내는데얼마나영향을미쳤는지 ( 행동 ) 를통해서제17대대통령선거에서나타난대통령후보 TV토론의정치적영향력을검증하고자하였다. 2. TV 토론효과에관한이론적배경 1) TV 토론과수용자의태도변화효과 TV토론의정치적기능을평가하는기준은유권자의정치적선택과관련해서어떤영향력을행사하느냐가될것이다. 즉, TV토론이유권자의정치적선택과참여를돕는지아니면그렇지않은지에대한다양한관점의논의가진행중이다. TV토론이선거에미치는영향은후보자에대한태도 ( 지지도 ) 의변화, 태도의강화, 선거이슈에대한학습, 그리고보다넓은의미의사회화기능등을포함하는다차원적이다 ( 이준웅, 2003). 이준웅 (1999) 의연구에서는 TV토론의시청동기유형과직접적인영향을발견하지못하였지만, 시청동기와 TV토론에대한관심도의상호작용효과가 후보정책을아는데도움이되었다 는평가와정치학습에영향을미친다는것을밝혔다. 그상호작용패턴은유권자의 TV토론에대한관심이높고시청동기가주로정책적사안을알기위한것일경우, 유권자는정치토론이도움이된다고평가하고실제로많이학습한것으로나타났다 (Benoit & Hansen, 2004; Kraus, 1988; McLeod, Bybee, & Durall, 1979; Sears & Chaffee, 1979; 구교태ㆍ김관규ㆍ이준웅, 2007; 이준웅, 2003). TV토론은유권자가후보에대해많은정보를갖고있지않은선거초반과같은시점에후보의정치적입장과인격에대한정보를제공함으로써후보에대한평가에영향을미칠수있다. 일반적으로 TV토론은후보에대한지식을전달하는데기여한다 (Best & Hubbard, 1999). 대체로 TV토론의효과는상당히크지만간접적이며, 유권자의다양한개인적특성, 2) TV 토론의태도변화에관한선행연구들은 TV 토론의직접적인영향을측정하기위해서대부분실험연구형태이다 (Fishkin, 1991, 1999; Jamieson, Auletta, & Patterson, 1993; McKinney & Chattopadhyay, 2007; 나은영ㆍ한규석ㆍ고재홍, 2003; 현경보, 2006). 본연구에서는유권자들을대상으로일반화된 TV 토론효과검증을위해서전문조사기관에의뢰하여패널조사를하였다. TV 토론전ㆍ후와투표이후에많은가외변인의영향으로 TV 토론의직접적인영향을측정하기힘든문제점이있지만, 선거운동기간중유권자들을대상으로조사했다는데의미가있다. 3) 본연구에서패널조사시점은맥킨니와차토파디아야 (McKinney & Chattopadhyay, 2007) 의연구를근간으로 TV 토론전, TV 토론후, 투표또는선거이후를기점으로 3 회조사가이루어졌다.
韓國言論學報, 53 권 6 호 (2009 년 12 월 ) 90 정당지지도, 기존의정치적지식, 정치관심도, 매체의존도등에따라차별적으로나타났다 (Kraus, 1988; Sears & Chaffee, 1979; 양승찬, 1999, 2003; 이강형, 2004; 이준웅, 1999, 2003). TV 토론은후보자와그들의정책에대한직접적인효과를가지지만, 대체로 TV토론의효과는매스미디어의의해서중재된다. 예를들면특정후보자들의실언이투표결과에치명적인영향을미치는것은매스미디어의지속적보도때문이다 ( 이종수, 2002). TV토론은후보자에대해모르고있던부분을인지적으로알게해주기도하지만, TV토론시청할때전체적으로유권자들이느끼는감성과후보자에대한이미지는그후보자에대한전반적인평가와투표행동에큰영향을미친다 ( 나은영ㆍ한규석ㆍ고재홍, 2003). 선거기간에 TV토론이나연설을시청할때, 자기가좋아하는후보자가나오면채널을고정시키고보지만, 일단자기가싫어하는후보자가나오면아예다른곳으로채널을돌려버리고보지않는 선택적노출 효과가먼저나온다. 그다음싫든좋든해당채널을보게되었을때, 자기가좋아하는후보의연설내용은공감하면서경청하지만, 싫어하는후보의연설내용에는별로주의를기울이지않는 선택적집중 효과가나타난다. 끝으로두사람의연설내용을다들었다하더라도좋아하던후보가말한내용에대해서는지지하고싫어하는후보가말한내용에대해서내용자체를부정해버리거나그가치를평가절하하는 기존신념의강화 효과가나타난다 ( 나은영, 2002). 제미슨, 오레타와패터슨 (Jamieson, Auletta, & Patterson, 1993) 의연구에따르면, TV토론을보고나서자기가지지했던후보가더잘했다고생각하는경향이높고, 따라서원래다수로부터지지를받던후보가토론후의평가에서도유리하다. 그리고두후보의지지도가팽팽할경우더열성적인지지자들이많을수록더열심히자기후보가더잘했다고평가하며, 그러한평가가대인커뮤니케이션경로를통해퍼져나가게되며열성팬이많은후보에대한평가가더높게나오게된다. TV토론의효과에관한연구는아니지만, 사람들이특정주제에대한토론을거치는과정에서어떠한의견형성이나태도변화가나타나는지를분석한피시킨 (Fishkin, 1991, 1999) 의연구에따르면, 토론이상당한의견변화를초래하고있으며, 평균적으로전체의견의약 2/3 정도가토론이후에변화하는것으로밝혀졌다. 물론의견변화의정도는당시의상황이나질문의성격, 그리고조사초기에조사대상자들의사안에대한지식정도에따라다소달라지는것으로확인됐다. 또한토론을통해나타나는의견변화는주로지식의증가에서기인하는것으로조사되었으며, 특정사안에대해더많이알게된사람들에게서의견변화가주로나타났다 ( 현경보, 2006). 그리고나은영ㆍ한규석ㆍ고재홍 (2003) 의연구와현경보 (2006) 의연구에서도 TV토론시청전ㆍ후에태도를완전히바꾸는사람은많지않았지만, 기존의태도를버리거나태도를유보하는경우가상당히많은것으로나타났다. TV토론이유권자에게미치는영향을종합해보면, TV토론은유권자가후보자나정당이제시하는이슈에대해학습할수있도록돕지만, 유권자의정치적태도를바꾸는지명백하지않으며, 흔히유권자의기존의태도를강화시킬뿐이라고한다. 하지만 TV토론은유권자의태도에대해서미치는효과를넘어서민주주의정치체제에대한정당화기능을담당한다는연구결과도있다. 본연구에서는 TV토론시청전ㆍ시청후와 TV토론시청후와투표후
17 대대통령후보 TV 토론이유권자의태도변화및투표행위에미치는영향에관한연구 91 에유권자들의태도가변화하였는지아니면유지또는강화되었는지를알아보기위해서다음과같은연구가설을도출하였다. 연구가설 1 : TV 토론시청전 (1 차조사 ) 과후 (2 차조사 ) 에유권자의정치태도는변화할것이다. 연구가설 2 : TV 토론시청후 (2 차조사 ) 와투표후 (3 차조사 ) 에유권자의정치태도는변화하지않을것이다. 2) TV 토론과투표행위 TV토론의효과를평가하는기준은유권자의정치적선택과관련해서어느정도영향력을행사하느냐가될것이다. 지금까지 TV토론효과와관련한국내연구결과를살펴보면, TV 토론이유권자의정치적선택과참여를돕는지아니면그렇지않은지에대한다양한관점의논의가제시되고있다. TV토론이후보자에대한유권자의태도 (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영역 ) 에미치는직접적인효과에관한연구 ( 양승찬, 1999; 이강형, 2004; 이준웅, 1999, 2003; 정성호, 2003) 와선거당시의정치환경이나유권자개인의정치적성향및인지적역량이 TV 토론시청에미치는영향에관한연구 ( 이강형ㆍ김춘식ㆍ양승찬ㆍ권혁남, 2004) 가대표적이다. 전자의경우 TV토론이후보의자질이나정책에대한정보습득, 정치적관심의유발과후보에대한태도의형성및강화와같은기능및효과에관한연구이다 ( 이강형, 2003; 이준웅, 2003; 정성호, 2003). 많은연구들을통해서후보이미지가유권자들이캠페인기간동안접하는다양한정치적메시지를처리하는데있어서중요한매개적역할을하는것이드러났기때문에 TV토론에관한최근연구들은후보이미지에대한효과를체계적이고독립적으로탐색하려는연구경향이강해지고있다 ( 이강형, 2004; 이준웅, 1999, 2003; 정성호, 2003). 후자의경우 TV토론이유권자정치환경 4) 을구성하는하나의요소이기도하지만, 보다거시적인차원에서유권자의 TV토론시청동기나필요성에대한인식이정치환경에의해영향을받을수도있다는것이다. 사실 TV토론은선거당시유권자접하는정보환경이나선거국면혹은선거의속성에따라그효과가다르게나타난다 ( 송종길, 2006; 이강형ㆍ김춘식ㆍ양승찬ㆍ권혁남, 2004). 채피와그의동료들 (Chaffee, Zhao, & Leshner, 1994) 의연구에서는유권자들이선거과정에서 TV토론과더불어전당대회의생중계, 후보자대담, 토크쇼등을통해각정당이주장하는이슈와그쟁점그리고후보자의신상에대한정보를학습한다는결과를제시했다. 맥로드, 비비, 듀랄 (McLeod, Bybee, & Durall, 1979) 은 TV토론이유권자로하여금선거와캠페인에관심을유발시킴으로써선거기간중정치적인대화를촉진시키고투표율을높일수있음을 4) 정치환경이란선거캠페인기간동안유권자들이접할수있는정치적정보의총체로그정보의내용이나속성은선거때마다달라진다.
韓國言論學報, 53 권 6 호 (2009 년 12 월 ) 92 주장하였다. 선행연구들은 TV토론이유권자들에게후보자에대한정보를제공하고, 나아가이러한정보를통해더적극적인정치참여를하도록공헌한다는주장을하였다. 즉, TV토론은정치ㆍ선거관련지식습득과투표참여에영향을미친다는것이다 (Benoit & Hansen, 2004; Kraus, 1988; Sears & Chaffee, 1979; 양승찬, 1999, 2003). 이철한ㆍ현경보 (2007) 의연구에서는 TV토론이정치효능감에긍정적인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맥킨니와밴와트 (McKinney & Banwart, 2005) 는현재미국에 TV토론에관한연구의주요목적은젊은유권자들에대한 TV토론의효과에관한우리의지식을넓히는것이라고논하였다. 맥킨니와칼린 (McKinney & Carlin, 2004) 은패널연구또는반복된측정조사방식을통한 TV토론의지속적인효과에대한연구가많지않다고지적하고있다. 주요패널연구결과들을정리하면, 밀러와맥퀸 (Miller & MacKuen, 1979) 연구에서는최소한의장기간토론 (minimal long-term debate) 은후보자평가에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유사한연구를진행한시어스와샤피 (Sears & Chaffee, 1979) 는 1976년대통령토론이후보자의평가또는후보자의인식에약간의지속적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또한워드와루퍼 (Wald & Lupfer, 1978) 는 TV토론시청이투표의도를강화하는잠재적인효과가있었으나, 1주일후에이효과는없어지는것으로나타났다. 맥킨니와차토파디야 (McKinney & Chattopadhyay, 2007) 는시청전 (1차조사, predebate), 시청후 (2차조사, postdebate), 투표이후 (3차조사, postelection) 등세차례조사를통해서대통령 TV토론효과를측정하였다. 정치효능감은 3차조사에서는증가하였다. 정치신뢰도는유의미한결과가나타나지않았으며, 정치냉소주의는 2차조사에서감소하였으나 3차조사에서는증가하는것으로나타났다. 맥킨니와차토파디야 (2007) 의연구는세차례조사에 TV토론이유권자의정치효능감, 정치신뢰도와정치냉소주의에미치는인과관계영향을조사하지않고, 각시기별효능감과신뢰도그리고냉소주의의차이를분석하기위해서변량분석이이루어졌다. 본연구는맥킨니와차토파디야 (2007) 의연구시기를모델로하여패널조사를통한 TV토론시청이유권자의투표행위에미치는영향을알아보기위해서다음과같은연구가설을도출하였다. 연구가설 3 : TV 토론 ( 제 1 ㆍ 2 ㆍ 3 차 ) 시청이투표행위에긍정적인영향을미칠것이다. 3. 연구방법 1) 조사설계와표본구성 본연구는서울지역의유권자들을연구대상으로제17대 (2007년 12월 19일 ) 대통령선거에서 TV토론의효과를연구하였다. 여론조사전문기관인 월드리서치 가서울지역 25개구
17 대대통령후보 TV 토론이유권자의태도변화및투표행위에미치는영향에관한연구 93 를대상으로만 19세이상 60세미만유권자가운데성ㆍ연령별비례할당및체계적추출법 (Proportionate Quota & Systematic Quota Sampling) 을통해표본선정을하였다. 설문은구조화된질문지 (structured questionnaire) 를사용하였으며, 가구방문을통한일대일대인면접 (Face-to-Face Interview) 방식으로설문을하였다. 본연구는제17대대통령선거에서 TV토론의영향력 ( 태도변화및투표 ) 을검증하기위해서패널조사방식을채택하였다. 1차조사 (2007 년 11월 28일 2007년 12월 5일 ) 는중앙선거방송토론회가주관하는 1차후보초청 TV토론 (12월 6일 ) 이개최되기이전에전체패널 (806명) 을대상으로조사가이루어졌다. 2차조사 (2007년 12월 7일 2007년 12월 18일 ) 는중앙선거방송토론회가주관했던 1차후보초청 TV 토론을시청한패널 (623명, 1차조사대상자의 77.3%) 을대상으로이루어졌다. 3차조사 (2007년 12월 20일 2007년 12월 26일 ) 는투표일 (12월 19일 ) 이후에 3차 TV토론 (12월 16일 ) 을시청한패널 (443명, 2차조사대상자의 71.1%) 을대상으로이루어졌다. 5) 2) 조작적정의와분석방법 (1) TV 토론시청 TV토론 (1차: 12월 6일, 2차 : 12월 11일, 3차 : 12월 16일 ) 의시청시간을알아보기위해서 귀하는제 차후보자합동TV토론을어느정도시청하셨습니까? 라는설문을하였다.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에서주관한공직후보자 TV토론의제1차, 제2차, 제3차시청시간을조사하였다. 그리고 2차 TV토론과 3차 TV토론의시청시간조사는 3차조사에서이루어졌다. (2) TV 토론시청과정치태도변화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에서주관한 TV토론의효과를측정하기위해서 TV토론시청전ㆍ후에유권자들의태도변화를조사하였다. 선행연구를근간으로 TV토론이유권자들의정치태도변화에미치는영향을측정하기위해서다음과같은문항을통해서조사하였다 ( 나은영ㆍ한규석ㆍ고재홍, 2003; 현경보, 2006). 즉, TV토론시청전ㆍ후지지후보자결정 (1ㆍ2 차조사비교 ), TV토론시청전ㆍ후지지후보자 (1ㆍ2차조사비교 ), TV토론시청후와투표후지지후보자결정 (2ㆍ3차조사비교 ), TV토론시청후와투표후의지지하는후보에대한 5) 선거연구에서패널조사는동일한응답자를대상으로동일한질문을시차를두고반복하여조사함으로써구체적인여론의변화는물론이의주도층과원인에대한구체적인분석을가능케하는유일한조사방법이다. 한국에서제대로된패널조사가실시되지못한것은일반여론조사에비해여러번의조사시점에걸쳐동일한대상으로부터일정한응답률을유지하면서도전체유권자분포를반영하는표본의대표성을동시에지속해야하는어려움이있기때문이다. 패널의대표성과연관되어있는또다른약점은패널이탈의문제인데, 많은연구에서참여유지율을높이는방안이이용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Markus, 1982; 김장수, 2007). 본연구역시참여유지율을높이기위해패널참여자들에게 TV 토론시간을전화로고지하는방법을사용하였다. 또한조사대상자들은 1 차ㆍ 2 차ㆍ 3 차 TV 토론을시청한유권자를대상으로조사가이루어졌다.
韓國言論學報, 53 권 6 호 (2009 년 12 월 ) 94 태도 (2 ㆍ 3 차조사비교 ) 의변화를 1 차, 2 차, 3 차조사를통해서측정하였다. (3) 투표행위및인구통계학적변인 기준변인인투표행위의분석을위해서이번 17대총선에투표권이있는경우투표여부를 그렇다 / 아니다 의문항을통해서정치참여또는투표행위를측정을하였다 (Luskin, 1990; Pinkleton, Austin, & Fortman, 1998). 인구통계학적변인은통제변인으로사용하였으며, 조사항목은성별, 연령, 학력, 소득등으로구성하였다. 성별은남성은 1, 여성을 0으로처리하였으며, 연령은비율척도로측정하였고, 학력은교육년수로측정하였으며, 소득은등간척도 (10등간) 로측정하였다. 3) 분석방법과측정요인의신뢰도검증 우선 TV토론시청이유권자의정치태도변화에미치는영향을측정을하기위해서선행연구를근간 ( 나은영ㆍ한규석ㆍ고재홍, 2003; 현경보, 2006) 으로 χ² 분석 6) 을이용하였다. TV 토론의조사시점은선행연구를근간으로 TV토론시청전ㆍ후 (1ㆍ2차조사비교분석 ) 분석을통해서유권자의 1차태도변화를측정하였으며, 2ㆍ3차조사의비교분석을통해서 2차태도변화를측정하였다 (McKinney & Chattopadhyay, 2007). 특히 2차태도변화의측정은시간의흐름에따른유권자의태도가변화되는지와강화되는지를알아보기위한분석이다. 7) 다음으로 TV토론이유권자의투표행위에미치는영향을검증하기위해서계층적회귀분석 (hierarchical regression) 방법을사용하였으며, 첫번째블록 (block) 또는모델에는통제변인을사용하였다. 그리고독립변인을두번째블록에투입하는방식을채택하였다 (Pinkleton, Austin, & Fortman, 1998; 이효성ㆍ허경호, 2004). 1차ㆍ2차ㆍ 3차 TV토론시간의다중공선성을알아보기위해서상관관계분석을실시하였으며, 8) < 표 1> 과같다. 또한비선형관계를분석하기위하여로지스틱회귀분석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을실시하였고, 이원화되어있는종속변인 ( 투표행위 ) 과연속적성향을갖고있는독립변인과의관계를분석하였다. 또한 6) Chi-square 분석은독립성검증또는동질성검증이라고하며, 명목또는서열데이터로측정된두변수간에실제빈도와기대빈도의비교분석을통하여두변수간의상관관계의존재여부를파악하는데사용하는하나의검정통계값이다. 교차분석은명명변인이나서열변인간의상호독립성이나상호연관성을검증하기위한통계기법으로일반적으로 Pearson 의 Chi-Square(χ²) 값을이용하여가설을검증한다. 교차분석에서의유의수준은두변수사이에상관관계가존재하는지에대해서통계학적으로장담할수있는수준이다. 결과값이통계적으로유의할경우각 cell 의 % 를집단별로비교할수있다 ( 채서일, 2005). 본연구에서는 TV 토론시청전, TV 토론시청후, 투표후의태도변화를측정하기위해서명명변인또는서열변인간의상호독립성을검증하기위해서 Chi-square 분석을사용하였다 ( 나은영ㆍ한규석ㆍ고재홍, 2003). 7) 본연구에서 1 차태도변화는 TV 토론의태도변화효과를측정하기위해서 1 차조사와 2 차조사의비교를통해서나타난태도변화를지칭하며, 2 차태도변화는 TV 토론시청후와투표후의효과를측정하기위해서 2 차조사와 3 차조사의비교를통해서나타난태도변화를지칭한다. 8) 일반적으로독립변인간의상관계수가 0.5 이상이면다중공산성문제가있다고할수있다 ( 서혜선ㆍ양경숙ㆍ김나영ㆍ김희영ㆍ김미경, 1999).
17 대대통령후보 TV 토론이유권자의태도변화및투표행위에미치는영향에관한연구 95 < 표 1> TV토론시청시간의상관관계분석 구분 1차 TV토론시청 2차 TV토론시청 3차 TV토론시청 1차 TV토론시청 1 2차 TV토론시청.28*** 1 3차 TV토론시청.37***.40*** 1 * p <.05, ** p <.01, *** p <.001 회귀모델의신뢰도를높이기위해서이상점 (outliers) 을제거하였다. 회귀모델의신뢰도를높이기위해서본연구에서는표준화잔차의절대값이 2.5 이상을이상점으로간주하였다 ( 서혜선외, 1999). 4. 분석결과 1) TV 토론과태도변화분석 < 연구가설 1> 은 TV토론시청전 (1차조사 ) 과후 (2차조사 ) 에유권자의정치태도변화를검증하는것이다. TV토론의시청전과후의효과를검증하기위해서 지지후보자결정 (1차조사 ) 과 지지후보자변화 (2차조사 ) 에대한분석이이루어졌으며, 표로정리하면 < 표 2> 9) 와같다. 우선, TV토론시청전 (1차조사 ) ㆍ시청후 (2차조사 ) 지지후보의결정에관한분석결과, 통계적으로유의미한결과가나타났다. 분석결과를정리하면, TV토론시청후 지지하는후보자가있다 의경우 42.6% 에서 70.3% 로증가하였으며, 확실하지않지만어느정도있다 의경우 38.1% 에서 46.0% 로증가하였고, 확실하게결정하지못하고있다 의경우 18.7% 에서 34.2% 로증가하였지만, 없다 의경우 54.1% 에서 16.5% 로감소하였다. TV토론시청이후에지지후보자가없다는응답자가적어진것으로나타났으며, 지지하는후보가있는경우는많아진것으로나타났다. 즉, TV토론이지지후보자결정에영향을준것으로나타났다. 특히, 2007년 12월 5일에검찰의 BBK 사건수사결과보도가이루어진이후에 1차 TV토론이이루어졌기때문에많은유권자들이후보자에대한결정이더욱견고해진것으로평가된다. 다음으로 TV토론시청전ㆍ후에유권자의 지지후보자변화 에어떠한변화가있었는가를검증하였다. TV토론시청전ㆍ후지지후보자변경에대한조사결과는 < 표 3> 과같으 9) 1 차조사는 806 명이조사되었고, 2 차조사에서는 1 차조사대상자의 77.3% 인 623 명이조사되었다. 표에서 1 차조사는세로줄 ( 열 ) 이며, 2 차조사는가로줄 ( 행 ) 이다.
韓國言論學報, 53 권 6 호 (2009 년 12 월 ) 96 < 표 2> TV 토론시청전ㆍ후지지후보자결정에관한 χ² 분석 (1 ㆍ 2 차조사비교 ) 1 차조사 2 차조사 지지하는후보가있다 ( 시청후 ) 확실하지않지만어느정도있다 확실하게결정하지못하고있다 없다총계 ( 명 ) 지지하는후보가있다 ( 시청전 ) 109 〻 70.3% 〻 42.6% 〻 37 〻 23.9% 〻 14.4% 〻〻 8 〻〻 5.2% 〻 11.0% 〻〻 1 〻〻 0.6% 〻 2.7% 155 〻 24.9% 확실하지않지만어느정도있다 〻 77 〻 36.2% 〻 30.1% 〻 98 〻 46.0% 〻 38.1% 〻 24 〻 11.3% 〻 32.9% 〻 14 〻〻 6.6% 〻 37.8% 213 〻 34.2% 확실하게결정하지못하고있다 〻 31 〻 23.1% 〻 12.1% 〻 76 〻 56.7% 〻 29.6% 〻 25 〻 18.7% 〻 34.2% 〻 2 〻 1.5% 〻 5.4% 134 〻 21.5% 없다 〻 39 〻 32.2% 〻 15.2% 〻 46 〻 38.0% 〻 17.9% 〻 16 〻 13.2% 〻 21.9% 〻 20 〻 16.5% 〻 54.1% 121 〻 19.4% 총계 256 〻〻 41.1% 〻 257 〻〻 41.3% 〻〻 73 〻〻 11.7% 〻 37 〻〻 5.9% 623 χ²=113.14, df=9, p<.01 며, 통계적으로유의미한결과가나타났다. 10) TV토론시청전ㆍ후지지후보변경에관한조사결과, 문국현 (55.9% 64.7%), 이명박 (82.1% 83.9%), 정동영 (70.4% 73.1%) 후보는지지도가높아진것으로나타났으나, 이회창 (74.7% 63.9%), 기타 (48.6% 42.9%) 후보는지지도가낮아진것으로나타났다. 결국 TV토론시청전과후에지지후보자의변화가어느정도이루어진것으로나타났다. 이회창후보와기타후보의경우만지지도가낮아진것으로나타났으며, 문국현, 이명박, 정동영의경우지지도가높아진것으로나타났다. 문국현후보의경우지지자가가장많이변한것으로나타났지만, 지지하는유권자가 33명으로매우적게나타났다. < 연구가설 2> 는 TV토론시청후 (2차조사 ) 와투표후 (3차조사 ) 에유권자의정치태도가변화하지않음을검증하는것이다. TV토론시청후와투표후의효과를검증하기위해서 지지후보자결정변화 와 지지하는후보에대한태도 에대한분석이이루어졌다. 11) 10) 본연구에서는제17대대통령후보자의경우권영길, 문국현, 이명박, 이인제, 이회창, 정동영, 허경영, 기타후보자들에대해서조사가이루어졌다. 조사결과권영길, 이인제, 허경영후보자에대한지지가적게나타나서기타로분류하여분석하였다. 표에서 1차조사는세로줄 ( 열 ) 이며, 2차조사는가로줄 ( 행 ) 이다. 11) 2차조사에는 623명이조사되었고, 3차조사에서는 2차조사대상자의 71.1% 인 443명이조사되었다. 표에서 2 차조사는세로줄 ( 열 ) 이며, 3차조사는가로줄 ( 행 ) 이다. TV토론시청후와투표후의지지하는후보에대한태도변화에관한조사목적은 1차 TV토론이후에유권자들이 TV토론의시청으로인해서기존신념의강화효과가일어날지아니면, 태도변화가일어날지를알아보기위해서이루어졌다. 17대대선에서는이명박후보대세론과 BBK 사건수사보도가 1차 TV토론바로전날에이루어짐으로인해서기존신념의강화효과가나타난것으로평가된다.
17 대대통령후보 TV 토론이유권자의태도변화및투표행위에미치는영향에관한연구 97 < 표 3> TV 토론시청전ㆍ후지지후보자변경 (1 ㆍ 2 차조사비교 ) 2 차조사 1 차조사 문국현 ( 시청후 ) 이명박이회창정동영기타총계 ( 명 ) 문국현 ( 시청전 ) 〻 33 〻 64.7% 〻 55.9% 〻〻 6 〻 11.8% 〻〻 1.8% 〻〻 4 〻〻 7.8% 〻〻 4.8% 〻〻 5 〻〻 9.8% 〻〻 4.6% 〻〻 3 〻〻 5.9% 〻〻 8.1% 〻 51 〻〻 8.2% 이명박 〻〻 12 〻〻〻 3.6% 〻 20.3% 276 〻 83.9% 〻 82.1% 〻 11 〻〻 3.3% 〻 13.3% 〻 18 〻〻 5.5% 〻 16.7% 〻 12 〻〻 3.6% 〻 32.4% 329 〻 52.8% 이회창 〻〻 4 〻〻 4.1% 〻〻 6.8% 〻 24 〻 24.7% 〻〻 7.1% 〻 62 〻 63.9% 〻 74.7% 〻〻 5 〻〻 5.2% 〻〻 4.6% 〻〻 2 〻〻 2.1% 〻〻 5.4% 〻 97 〻 15.6% 정동영 〻〻〻 7 〻〻〻 6.7% 〻 11.9% 〻 15 〻 14.4% 〻〻 4.5% 〻〻 4 〻〻 3.8% 〻〻 4.8% 〻 76 〻 73.1% 〻 70.4% 〻〻 2 〻〻 1.9% 〻〻 5.4% 104 〻 16.7% 기타 〻〻 3 〻〻 7.1% 〻〻 5.1% 〻 15 〻 35.7% 〻〻 4.5% 〻〻 2 〻〻 4.8% 〻〻 2.4% 〻〻 4 〻〻 9.5% 〻〻 3.7% 〻 18 〻 42.9% 〻 48.6% 〻 42 〻〻 6.7% 총계 〻 59 〻〻 9.5% 336 〻 53.9% 〻 83 〻 13.3% 108 〻 17.3% 〻 37 〻〻 5.9% 623 χ²=850.23, df=16, p<.01 TV토론시청후와투표후지지후보의결정에관한 χ² 분석결과, 통계적으로유의미한결과가나타났다. 지지하는후보가있다, 확실하지않지만어느정도있다, 확실하게결정하지못하고있다 의경우태도변화가그리크지않은것으로나타났으며, 없다 의경우 25.0% 에서 20.0% 로감소된것으로나타났다. 결국 1차 TV토론시청후지지후보자결정이이루어진이후에 2ㆍ3차 TV토론시청과정에서대부분의유권자들은지지후보자결정의변화는거의이루어지지않고유지된것으로나타났다. 다음으로 TV토론시청후와투표후지지하는후보에대한태도변화에관한 χ² 분석결과, 통계적으로유의미한결과가나타났다. 기존지지후보를더욱좋아하게되었다 의경우 40.0% 에서 26.8% 로낮아진것으로나타났으며, 새롭게좋아하는후보가생겼다 의경우 20.0% 에서 19.5% 로거의변화가없는것으로나타났고, 좋아하는후보가바뀌었다 의경우 23.3% 에서 29.2% 로어느정도증가한것으로나타났으며, 좋아하는후보의변화가없다 의경우 69.2% 에서 75.8% 로증가한것으로나타났다. 새로운후보를좋아하거나좋아하는후보가바뀌는경우의수치는거의변화가없었고, 좋아하는후보에대한변화가없었다는증가하는것으로나타났다. 결국대체로 TV토론시청은태도의변화보다는강화및유지효과가큰것으로나타났다.
韓國言論學報, 53 권 6 호 (2009 년 12 월 ) 98 < 표 4> TV 토론시청후와투표후지지후보자결정에관한 χ² 분석 (2 ㆍ 3 차조사비교 ) 2 차조사 3 차조사 지지하는후보가있었다 ( 투표후 ) 확실하지않지만어느정도있었다 확실하게결정하지못하였다 없다총계 ( 명 ) 지지하는후보가있다 (TV 토론시청후 ) 123 〻 65.1% 〻 64.4% 〻 48 〻 25.4% 〻 25.7% 〻 14 〻〻 7.4% 〻 31.1% 〻〻 4 〻〻 2.1% 〻 20.0% 189 〻 42.7% 확실하지않지만어느정도있다 〻 60 〻 33.5% 〻 31.4% 〻 97 〻 54.2% 〻 51.9% 〻 14 〻〻 7.8% 〻 31.1% 〻〻 8 〻〻 4.5% 〻 40.0% 179 〻 40.4% 확실하게결정하지못하고있다 〻〻 7 〻 14.0% 〻〻 3.7% 〻 25 〻 50.0% 〻 13.4% 〻 15 〻 30.0% 〻 33.3% 〻〻 3 〻〻 6.0% 〻 15.0% 〻 50 〻 11.3% 없다 〻〻 1 〻〻 4.0% 〻〻〻.5% 〻 17 〻 68.0% 〻〻 9.1% 〻〻 2 〻〻 8.0% 〻〻 4.4% 〻〻 5 〻 20.0% 〻 25.0% 〻〻 25 〻〻 5.6% 총계 191 〻 43.1% 187 〻 42.2% 〻 45 〻 10.2% 〻 20 〻〻 4.5% 443 χ²=104.86, df=9, p<.001 < 표 5> TV 토론시청후와투표후의지지후보에대한태도변화 χ² 분석 (2 ㆍ 3 차조사비교 ) 2 차조사 3 차조사 기존지지후보를더욱좋아하게되었다 ( 투표후 ) 새롭게좋아하는후보가생겼다 좋아하는후보가바뀌었다 좋아하는후보의변화가없다 총계 기존지지후보를더욱좋아하게되었다 (TV 토론시청후 ) 〻 26 〻 26.8% 〻 40.0% 〻〻 4 〻〻 4.1% 〻 10.0% 〻〻 5 〻〻 5.2% 〻 16.7% 〻 62 〻 63.9% 〻 20.1% 〻 97 〻 21.9% 새롭게좋아하는후보가생겼다 〻〻 7 〻 17.1% 〻 10.8% 〻〻 8 〻 19.5% 〻 20.0% 〻〻 4 〻〻 9.8% 〻 13.3% 〻 22 〻 53.7% 〻〻 7.1% 〻 41 〻〻 9.3% 좋아하는후보가바뀌었다 〻〻 0 〻〻〻.0% 〻〻〻.0% 〻〻 6 〻 25.0% 〻 15.0% 〻〻 7 〻 29.2% 〻 23.3% 〻 11 〻 45.8% 〻〻 3.6% 〻 24 〻〻 5.4% 좋아하는후보의변화가없다 〻 32 〻 11.4% 〻 49.2% 〻 22 〻〻 7.8% 〻 55.0% 〻 14 〻〻 5.0% 〻 46.7% 213 〻 75.8% 〻 69.2% 281 〻 63.4% 총계 〻 65 〻 14.7% 〻 40 〻〻 9.0% 30 〻〻 6.8% 308 〻 69.5% 443 χ²=55.75, df=9, p<.001
17 대대통령후보 TV 토론이유권자의태도변화및투표행위에미치는영향에관한연구 99 2) TV 토론과투표행위분석 < 연구가설 3> 은 TV토론시청이투표행위에미치는긍정적인효과에관한분석이다. 이연구가설을검증하기위해서 TV토론시청과투표행위간의계층적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투표행위관한이항로지스틱회귀분석결과회귀분석의모형적합도 ( 모델 1: Model χ²= 16.13, df=4, p<.01, Nagelkerke R²=.05; 모델 2: Model χ²=558.73, df=7, p<.01, Nagelkerke R²=.71) 는유의미한것으로나타났다. < 표 6> 에서보는바와같이인구통계학적변인중에서연령만이유의미한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즉연령이높을수록투표가능성 (odd ratio) 이약 1배 (1.03) 가높아지는것으로나타났다. 그리고 TV토론시청시간의경우 3차 TV 토론시청만이유의미한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으며, 3차 TV토론시청이많을수록투표가능성은약 10배 (10.71) 정도높아지는것으로나타났다. 결국, 유권자들은연령이높고 3 차 TV토론을많이시청할수록투표율이높아지는것으로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는나타났듯이 (Wald & Lupfer, 1978), 가장최근에시청한 TV토론이투표행위에가장큰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이전에본장면보다최근에본장면에훨씬더많은영향을받는다는최신효과 (recency effect) 처럼본연구에서도 3차 TV토론이투표에가장큰영향을미친것으로나타났다 ( 김봉현, 2004). 대통령선거의경우미디어를통해서각후보자들에관한영상정보가지속적으로제기되는상황에서첫인상 ( 생김새, 표정, 말투등외양 ) 의효과는시간이흘러감에따라상쇄될것이며, 각후보자의태도, 성격, 업적, 정책등의끝인상이유권자들에게주요한영향을미치는상황이야기될것이다. 세차례의 TV토론시청과정에서도이러한효과가나타난것으로사려된다. < 표 6> TV 토론시청과투표행위에관한회귀분석 1 2 독립변인 성별연령학력수입 1 차 TV 토론시청 2 차 TV 토론시청 3 차 TV 토론시청 모델1 모델2 β Exp(B) β Exp(B).32 1.38-1.25.29.03** 1.03 -.06.95.29 1.33-1.17.31.09 1.09 1.02 2.77.05 1.05.053.95 3.03*** 10.71 모델 1: Model χ²=16.13, df=4, p<.01, Nagelkerke R²=.05 모델 2: Model χ²=558.73, df=7, p<.01, Nagelkerke R²=.71 * p <.05, ** p <.01, *** p <.001
韓國言論學報, 53 권 6 호 (2009 년 12 월 ) 100 5. 결론 본연구는 TV토론시청전, 시청후와투표후유권자의정치태도의변화및 TV토론이유권자의투표행위에미치는영향에관해서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정리하면다음과같다. 우선, < 연구가설 1> 인 TV토론시청전 (1차조사 ) 과후 (2차조사 ) 에유권자정치태도의변화에관한분석결과를정리하면, TV토론시청이후에지지후보자가없다는응답자가적어진것으로나타났으며 (54.1% 16.5%), 지지하는후보가있는경우는많아진것으로나타났다 (42.6% 70.3%). 또한문국현 (55.9% 64.7%), 이명박 (82.1% 83.9%), 정동영 (70.4% 73.1%) 후보는지지도가높아진것으로나타났으나, 이회창 (74.7% 63.9%), 기타 (48.6% 42.9%) 후보는지지도가낮아졌다. 즉, TV토론시청전과후에지지후보자의변화가어느정도이루어진것이다. 결국 1차 TV토론 (12월 6일 ) 전ㆍ후조사에서는지지후보에대한태도변화가어느정도나타났다 ( 나은영ㆍ한규석ㆍ고재홍, 2003; Pratkanis & Aronson, 2001). 이는 1차 TV토론이후에대부분의유권자들이지지후보를결정한것임을보여준다. 다음으로 < 연구가설 2> 인 TV토론시청후 (2차조사 ) 와투표후 (3차조사 ) 에유권자정치태도가변화하지않음에관한분석결과를정리하면, 유권자들이지지하는후보가있다 (64.4% 65.1%), 확실하지않지만어느정도있다 (51.9% 54.2%), 확실하게결정하지못하였다 (33.3% 30.0%), 없다 (25.0% 20.0%) 의변화가크지않은것으로나타났다. 또한 TV토론시청후와투표후의지지하는후보에대한태도변화에대한분석결과에서도새롭게좋아하는후보가생겼다 (20.0% 19.5%), 좋아하는후보가바뀌었다 (23.3% 29.2%), 좋아하는후보의변화가없다 (69.2% 75.8%) 의경우변화가크지않은것으로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나타나듯이 2ㆍ3차조사에서는기존의태도를강화또는유지하는경향이나타났다 (Fishkin, 1991, 1999; Jamieson, Auletta, & Patterson, 1993; 이준웅, 1999, 2003; 현경보, 2006). 결국태도의변화보다는강화및유지효과가큰것으로나타났다. < 연구가설 1> 과 < 연구가설 2> 의분석결과를정리하면, TV토론시청전과시청후에는유권자의태도변화가어느정도나타났지만, TV토론시청후와투표후에는태도강화와유지효과가나타났다. 마지막으로 < 연구가설 3> 인 TV토론 ( 제1ㆍ2ㆍ3 차 ) 시청이투표행위에미치는긍정적효과에관한분석결과를정리하면, 선행연구에서도검증되었듯이 TV토론은투표참여를증대시키는것으로검증되었다 (Benoit & Hansen, 2004; Kraus, 1988; McLeod, Bybee, & Durall, 1979; Sears & Chaffee, 1979; 양승찬, 1999, 2003). 또한워드와루퍼 (1978) 의연구결과와마찬가지로본연구역시투표시점과가장가까운 TV토론시청이투표참여율을높이는것으로나타났다. 1차와 2차 TV토론보다는투표직전의 3차 TV토론이유권자의투표행위에더큰영향력을미치는최신효과 (recency effect) 가나타난것으로판단된다. 1차, 2차, 3차 TV토론의시간적간극이각각 5일정도차이가나기때문에 3차 TV토론의효과가더컸을것으로판단되며, 사람들이살아가는데에는첫인상못지않게끝인상도중요하듯이나중에제시된정보가중요한역할을하는최신효과가본연구에서는나타났다. 본연구에서도선행연구와마찬가지로원래다수로부터지지를받던후보가 TV토론후
17 대대통령후보 TV 토론이유권자의태도변화및투표행위에미치는영향에관한연구 101 에도지지도또는평가가유지되는것으로나타났다 (Jamieson, Auletta, & Patterson, 1993). 즉, TV토론후언론이그결과를어떻게전달하느냐에관계없이다수로부터지지받는후보자의평가가지속적으로높은것으로나타났다. 또한몇몇선행연구 (Fishkin, 1991, 1999; 나은영ㆍ한규석ㆍ고재홍, 2003; 현경보, 2006) 처럼 TV토론은태도변화보다는태도의강화효과가큰것으로나타났으며 1ㆍ2차 TV토론보다는투표직전에방송된 3차 TV토론이유권자의투표행위에더크게영향을미치는결과가나타났다. 이처럼본연구는외국의선행연구를통해확인된공직후보 TV토론효과들을국내사례를통해검증하였지만 1997년대통령후보 TV 토론이후처음으로패널조사를통해대통령후보 TV토론의효과를실증적으로검증하였다는점에서연구의의를가진다고할수있다. 그러나본연구는몇가지연구한계를지니고있다. 먼저패널조사를통해서이루어진 3 차례의조사과정에서많은가외변인이통제되지못했다는것이다. 또한유권자의태도변화를측정하는보다정교한척도개발의아쉬움이있다. 많은선행연구를검토해보았을때 TV 토론연구의발전을위해서는 TV토론시청이선거참여에긍정적인영향을미친다는점에서 TV토론시청을확대할수있는방안의필요성이제기된다. 뿐만아니라 TV토론에대한실증연구가더많이이루어져야한다. 실증적연구결과들이축적될때세세한제도개선을위한논의가확대될수있을것이다. 본연구가지닌한계를뛰어넘는후속연구가이어지길기대한다. 참고문헌 구교태ㆍ김관규ㆍ이준웅 (2007). 선거방송토론의효과에대한연구. ꡔ 한국언론학보 ꡕ, 51 권 2 호, 203 225. 김봉현 (2004). 비교광고의운용실태및표현방식에관한내용분석연구 : 비교표시ㆍ광고심사지침 시행전ㆍ후를중심으로. ꡔ 광고연구 ꡕ, 62 호, 187 215. 김장수 (2007). 선거연구와패널여론조사 : 2006 년지방선거를중심으로. ꡔ 조사연구 ꡕ, 8 권 1 호, 81 104. 나은영 (2002). ꡔ 사회심리학적관점에서본인간커뮤니케이션과미디어 ꡕ. 한나래. 나은영ㆍ한규석ㆍ고재홍 (2003). 제 16 대대통령선거에서 TV 토론의효과와제 3 자효과 : 세지역대학생을중심으로. ꡔ 한국심리학회지사회및성격 ꡕ, 17 권 3 호, 145 158. 문영숙 (1990). 광고연구에서관여도에관한제문제. ꡔ 언론문화연구 ꡕ, 8 집, 232 248. 서혜선ㆍ양경숙ㆍ김나영ㆍ김희영ㆍ김미경 (1999). ꡔSPSS 를활용한회귀분석 ꡕ. 자유아카데미. 송종길 (2006). 공직후보 TV 토론이용동기가유권자의투표행위에미치는영향연구 : 서울지역유권자들의정치적지식과효능감을중심으로. ꡔ 한국언론학보 ꡕ, 50 권 6 호, 440 461. 양승찬 (1999). 텔레비전선거토론방송의영향력연구 : 후보자평가변화, 정책관련지식, 정치과정
韓國言論學報, 53 권 6 호 (2009 년 12 월 ) 102 참여를중심으로. ꡔ 방송연구 ꡕ, 48 호, 210 246. 양승찬 (2003). 16 대대통령선거와미디어. ꡔ 대통령선거와미디어 ꡕ(11 76 쪽 ). 한국언론재단. 이강형 (2004). 대통령후보의텔레비전토론이후보이미지변화에미치는효과 : 제 16 대대통령선거후보토론회패널조사연구. ꡔ 한국언론학보 ꡕ, 48 권 2 호, 346 374. 이강형ㆍ김춘식ㆍ양승찬ㆍ권혁남 (2004). 후보결정에대한 TV 토론의영향력에있어서정치환경의역할 : 제 17 대국회의원선거캠페인. ꡔ 한국방송학보 ꡕ, 18 권 3 호, 51 90. 이종수 (2002). ꡔ 공정선거 TV 토론모델연구 ꡕ. 방송위원회. 이준웅 (1999). 텔레비전토론의정치적영향력 : 제15대대통령선거를중심으로. ꡔ한국방송학보ꡕ, 12권, 253 297. 이준웅 (2003). 텔레비전토론이후보이미지, 이슈근접성, 후보에대한태도에미치는영향. ꡔ성곡논총ꡕ, 34권 2호, 285 332. 이철한ㆍ현경보 (2007). 유권자의미디어의이용이정치지식, 정치효능감, 정치불신감에미치는영향. ꡔ 언론과학연구 ꡕ, 7 권 4 호, 112 142. 이효성ㆍ허경호 (2004). 미디어이용이정치지도자평가와정당지지에미치는효과. ꡔ 한국방송학보 ꡕ, 통권 18 권 4 호, 191 226. 정성호 (2003). TV 토론에나타난의제가수용자의의제에미치는영향연구 : 제 16 대대통령선거 TV 합동토론을중심으로. ꡔ 홍보학연구 ꡕ, 7 권 2 호, 5 42. 채서일 (2005). ꡔ 사회과학조사방법론 ( 제 3 판 )ꡕ. 비앤엠북스. 현경보 (2006). TV 시사토론프로그램이수용자의태도변화에미치는효과. ꡔ 미디어경제와문화 ꡕ, 4 권 1 호, 54 84. Benoit, W. L., & Harthcock, A. (1999). Functions of the great debates: Acclaims, attacks, and defenses in the 1960 presidential debates. Communication Monographs, 66, 341 357. Benoit, W. L., Blaney, J. R., & Pier, P. M. (2000). Acclaiming, attacking, and defending: A functional analysis of nominating convention keynote speeches, 1960-1996. Political Communication, 17, 61 84. Best, S. J., & Hubbard, C. (1999). Maximizing minimal effects : The impact of early primary season debates. on voter preferences. American Politics Quarterly, 27, 450 467. Chaffee, S. H., Ziao, X., & Leshner, G. (1994). Media use in the primary election: A secondary medium model. Communication Research, 21, 305 324. Fishkin, J. S. (1991). Democracy and deliberation: New directions for democratic reform.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Fishkin, J. S. (1999). Toward a deliberative democracy: Experimenting with an ideal. In S. Elkin & K. E. Soltan (Eds.), Citizen Competence and Democratic Institutions (pp. 279 290). State College, PA: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Jamieson, K. H., Auletta, K., & Patterson, T. E. (1993). 1-800-President: The report of the twentieth century fund task force on television and the campaign of 1992. New York: The Twentieth Century Fund Press. Kaid, L. L., McKinney, M. S., & Tedesco, J. C. (2000). Civic dialogue in the 1996 presidential campaign:
17 대대통령후보 TV 토론이유권자의태도변화및투표행위에미치는영향에관한연구 103 Candidate, media, and public voices. Cresskill, NJ: Hampton. Kraus, S. (1988). Televised presidential debates and public policy.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Lanoue, D. J., & Schrott, P. R. (1991). The joint press conference: The history, impact, and prospects of American presidential debates. New York: Greenwood. Luskin, R. C. (1990). Explaining political sophistication. Political Behavior, 12, 331 361. Markus, G. B. (1982). Political attitude during an election year: A report on the 1980 NES Panel Study.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76, 538 560. McKinney, M. S., & Banwart, M. C. (2005). Rocking the youth vote through debate: Examining the effects of a citizen versus journalist controlled debate on civic engagement. Journalism Studies, 6, 153 163. McKinney, M. S., & Carlin, D. B. (2004). Political campaign debates. In L. L. Kaid (Ed.), Handbook of political communication research (pp. 203 234). Mahwah, NJ: Lawrence Erlbaum. McKinney, M. S., & Chattopadhyay, S. (2007). Political engagement through debates: Young citizens reactions to the 2004 presidential debates.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50(9), 1169 1182. McLeod, J. M., & McDonald, D. G. (1985). Beyond simple exposure: Media orientations and their impact on political processes. Communication Research, 12, 3 34. McLeod, J. M., Bybee, C. R., & Durall, J. A. (1979). Equivalence of informed political participation: The 1976 presidential debates as a source of influence. Communication Research, 6, 463 487. Miller, A. H., & MacKuen, M. (1979). Informing the electorate: A national study. In S. Kraus (Ed.), The great debates: Carter vs. Ford, 1976 (pp. 269 297).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Newcomb, H. M., & Hirsch, P. M. (1984). Television as a cultural forum: Implications for research. In W. D. Rowland, Jr., & B. Watkins (Eds.), Interpreting television: Current research perspectives (pp. 58-73). Beverly Hills, CA: Sage. Pinkleton, B. E., Austin, E. W., & Fortman, K. K. J.(1998). Relationships of media use and political disaffection to political efficacy and voting behavior.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2, 34 49. Pratkanis, A. R., & Aronson, E. (2001). Age of propaganda: The everyday use and abuse of persuasion. New York: Freeman. Sears, D. O., & Chaffee, S. H. (1979). Uses and effects of the 1976 debates: An overview of empirical studies. In Kraus, S. (Ed.), The great debates: Carter vs. Ford, 1976 (pp. 223 261).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Wald, K., & Lupfer, M. (1978). The presidential debate as a civics lesson. Public Opinion Quarterly, 42, 342 353. 최초투고일 2009년 6월 12일게재확정일 2009년 9월 19일논문수정일 2009년 9월 29일
韓國言論學報, 53 권 6 호 (2009 년 12 월 ) 409 Study of the Effect on Televised Presidential Debate Influence a Voter s Attitude Change and Voting Behavior in 2007 Presidential Election Jong-Gil Song Professor, Dept. of Mass Media & Political Management, Kyonggi University Sang-Ho Park Research Fellow, Korean Broadcasters Association This paper is research about 17th televised presidential debate effect. Previous research about televised debate effect(voter s attitude change) was experimental method but this research way of panel study used. Research result is as following. As analysis result about before viewing(the first order investigation) and after viewing(the second order investigation) of televised debate, it decreased It is no support candidate and it increased It is candidate who support. Also, approval rating of Mun-Gukhyeon, Lee-Myungbak, and Jeong-Dongyoung candidate rose as analysis result about support candidate, and Lee-Hoichang, etc candidate became low approval rating. Lee-Myungbak and Jeong-Dongyoung candidate s approval rating was no change, but change is big in other candidates approval rating. As analysis result about voter s attitude change to after viewing(the second order investigation) and after voting(the third order investigation) of televised debate, It is candidate who support, Is undefined, but is in some degree, Did not decide certainly was seldom change. Also, as analysis result about attitude change about(after viewing and after voting of televised debate) support candidate, Candidate who like newly occurred, Candidate who like turned, There is no candidate s change which like was seldom change. Finally, in case of the second order investigation(after viewing of televised debate) and the third order investigation(after voting) analysis, televised debate caused reinforcement of existing attitude than attitude change. Finally, as analysis result about effect that televised debate gets in voting behavior, only the third televised debate have negative effect on voting behavior. Key 〻 words:17th presidential election, TV debate, attitude change, voting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