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敎員敎育硏究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009, Vol.26, No.2, pp. 277~295. 고등학생의메타인지와학습몰입과의관계 :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의매개효과 *1)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on and Learning flow of High School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이재신 ( 충북대학교교수 )** 2) 요 약 본연구의목적은고등학생들의메타인지, 자기주도적학습능력과학습몰입간에어떠한관계가있는지알아보고, 메타인지와학습몰입간의관계에서자기주도적학습능력이매개효과를갖는지를검증하는것이다. 선행연구및이론에근거하여메타인지는외생변수로, 자기주도적학습능력과학습몰입을구성하는인지적몰입과정의적몰입은내생변수로설정하였고내생변수중자기주도적학습능력은매개변수로구조방정식에포함되었다. 분석대상은일반계고등학교에재학중인 1학년이었으며, 자료는 AMOS 7.0을통해분석되었다. 분석결과, 메타인지는자기주도적학습능력과인지적몰입과정의적몰입에유의한직접영향을미쳤고, 자기주도적학습능력또한인지적몰입과정의적몰입에유의한직접효과를보였다. 뿐만아니라메타인지와학습몰입간의관계에서자기주도적학습능력의유의한간접효과를통해매개효과가있음을알수있었다. 본연구결과는메타인지와자기주도적학습능력이학습몰입에유의한영향을미칠뿐만아니라메타인지와학습몰입간의관계에있어자기주도적학습능력이중요한역할을한다고볼수있다. 주제어 : 메타인지, 자기주도적학습능력, 학습몰입, 구조방정식 * 본연구는 2008 년도충북대학교학술연구지원사업연구비지원에의한것임. ** jslee@chungbuk.ac.kr *** 원고접수 (09.04.30). 심사 (09.06.15). 수정완료 (09.06.22) - 277 -
한국교원교육연구제 26 권제 2 호 Ⅰ. 서론 논어에 아는것 ( 知 ) 이좋아하는것 ( 好 ) 만못하고, 좋아하는것이즐기는것 ( 樂 ) 만못하다 라는구절이있다. 이는아는것이란진리의존재를파악한상태이고, 좋아하는것이란그진리를아직자기것으로삼지못한상태임에비하여즐기는것은그것을완전히터득하고자기것으로삼아서생활화하고있는경지로주체와대상, 전체와부분이혼연한일체를이룬상태를의미한다 ( 신영복, 2004). 여기에서즐기는것은오늘날몰입 (flow) 의개념으로설명될수있다. 몰입은 Csikzentmihalyi(1975) 가 Beyond Boredom and Anxiety: Experience Flow in Work and Play 에서처음소개한것으로삶이고조되는순간에어떤행동이물흐르듯자연스럽게이루어지는느낌으로, 우리의주의가목표만을위해서자유롭게사용될때를말하는것이다. 즉몰입은운동선수가말하는 몰아일체의상태, 신비주의자가말하는 무아지경, 그리고화가와음악가가말하는미적황홀경을의미하는데, 이들은각각다른활동을하면서몰입상태에도달하지만그들이그순간의경험을묘사하는방식은놀라우리만큼비슷하다 (Csikzentmihalyi, 1975). 학습상황에서도예외는아니다. 만약우리의주의가학습상황에만자유롭게사용되어, 학습에푹빠져있는매우즐거운상태라면바로학습몰입을경험하고있는것이다. 학습몰입은인지적몰입과정의적몰입으로구성되어있는데, 몰입의 9가지구성요소중정의적몰입요인으로는자기목적적경험, 과제에대한집중, 시간감각의왜곡, 자의식의상실이포함되고, 인지적몰입으로는도전과능력의조화, 구체적인피드백, 통제감, 명확한목적, 그리고행위와의식의통합요인이포함된다 ( 석임복, 2007), 이와같은학습몰입의구성요소를통하여학습몰입을경험하기위해서는고도의훈련된정신활동이필요하다는것을알수있는데 (Csikszentmihalyi, 1975), Sternberg와 Davidson(1995) 역시몰입의상태가즐거운경험이기는하지만, 몰입을경험하기위해서는전략적인노력이필요하다고주장한바있다. 따라서학습자가학습몰입을위하여주의를기울이거나, 학습에방해되는상황으로부터스스로통제하는것외에도특정교과목의학습기술에숙련되어야하는등의노력이필요하다는것을알수있다. 이러한맥락에서메타인지와학습몰입이상당한관련이있음을알수있다. 메타인지는인지전략의사용과정및자신의사고과정을이해하는학습전략활동으로이를흔히사고에대한사고 (thinking about thinking), 인지에대한인지 (cognition about cognition) 로정의한다 (Jacobs & Paris, 1987). 일반적으로메타인지는인지와구분이되는 - 278 -
고등학생의메타인지와학습몰입과의관계 :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의매개효과 데, 보통인지가개인이지니고있는배경지식과전략들을의미한다면, 메타인지는이러한배경지식과전략들을활용하고통제하는활동이라고할수있다 (Flavell, 1979). 따라서메타인지는학습상황에서학습자스스로개인의인지과정을이해하고사고와문제해결과정을계획, 수행, 평가, 수정하는기능을갖는것으로, 학습몰입의인지적몰입과특히관련이많다는것을알수있다. 뿐만아니라메타인지는자기주도적학습능력과도밀접한관련이있다. Corno(1986) 는메타인지적인요소의역할과관련지어자기주도적학습을강조하고있으며, 학습장면에서메타인지전략이지원된집단의경우자기주도적학습에더효과적이라고밝히고있다. 그리고자기주도적학습의개념을살펴보더라도타인에의해학습활동에참여하기보다는스스로학습활동의목적, 내용, 방법, 평가등을설정하고실행하는것으로메타인지의기능을포함한다고할수있다. 이와관련하여 Long(1992) 은자기주도적학습을일련의메타인지적과정이라고하면서, 자기주도적학습과메타인지의관련성을주장하였다. 결론적으로, 메타인지는학습자료에대한적응적이해과정에서중요한역할을담당하는인지변수이며, 자기조절학습활동의중요한인지적기반이다 ( 신종호, 최효식, 2007). 이상에서살펴본바와같이메타인지는학습몰입뿐만아니라자기주도적학습능력과도유의미한관련이있으며, 자기주도적학습능력또한높은학습몰입의예언변수임을알수있다. 그러나메타인지와학습몰입에관한국내연구로는대학생의학습몰입을위하여초인지전략을강조한이은주 (2001) 의연구외에경험적연구가매우부족한실정이다. 뿐만아니라학습자들이학습에몰입하기위해서는자신의실력보다약간어려운도전적과제를바탕으로명확한목표를설정하고, 학습과정을체크해야하기때문에 (Csikszentmihalyi, 1990)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이학습몰입과관련이있을것으로여겨지나경험적연구를찾기쉽지않았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고등학생들의메타인지, 자기주도적학습능력과학습몰입과의관련성을살펴본후, 학습몰입에이르는과정을심층적으로이해하기위하여메타인지와학습몰입간에자기주도적학습능력이유의한매개변수로작용하는지검증해보고자한다. 본연구를통해고등학생들의메타인지, 자기주도적학습능력과학습몰입 ( 인지적몰입, 정의적몰입 ) 간의상호관련을확인한다면학습몰입을위하여어떠한학습조력을할수있을지에대한교육적시사점을발견할수있을것이다. - 279 -
한국교원교육연구제 26 권제 2 호 Ⅱ. 이론적배경 1. 메타인지 초인지혹은상위인지로번역되기도하는메타인지는 인지에대한인지 (cognition about cognition), 혹은 사고에대한사고 (thinking about thinking) 의개념을나타내기위하여 1970년대중반이후처음으로사용된용어로, Flavell(1976) 에의해서자기자신을대상으로하면서, 수행하는데에관련된인지적측면을겨냥하고있는사고의형태또는인지체계에관한통제와조절과정 ( 집행기능 ) 으로정의되었다. 메타인지의개념은학자에따라다양하게정의되고있으나공통적으로 아는것과그앎에대하여아는가를아는것 (knowing, knowing about knowing and knowing how to know) 을지칭하는개념으로쓰여왔다. 따라서메타인지라고불리는이개념은자신의사고에대한사고또는인지에대한지식, 인지에대한조절이며문제해결과정에서계획, 점검, 조절의주요기능을하는것으로간주되고있다. 계획 (planning) 은어떤전략과정보처리를사용할것인지에대한생각을일컫는다. 예컨대시작전에목차부터살펴보기, 무슨내용에대한것인지를대강훑어보기, 문제를풀기전에무엇을묻고자하는지를추측하기, 문제에대한작업이이루어지기전목표설정하기가여기에해당한다고볼수있는데, 이들은학습에어떤인지전략을사용할것인지를계획한다는점에서공통적이다 ( 양명희, 2000). 점검 (monitoring) 은자신의주의집중을추적하면서이해정도를확인하는것을일컫는다. 메타인지의핵심을이루기때문에결국메타인지적활동은점검없이는설명이불가능해진다 (Weinstein & Mayer, 1986; Zimmerman, 1990). 다시말해점검은자신의상태를체크하는인지활동이다. 따라서학습내용에집중하기, 자신의이해정도를스스로평가해보기, 시험치는동안문제푸는속도체크하기, 자신이얼마나이해했는지를검증해보기등이여기에해당하며, 수행의결과와내재적흥미를높여주는역할을한다 (Morgan, 1985). 조절 (regulation) 은점검과밀접한관계가있다. 자신의인지활동을점검하다가문제가생기게되면앞으로되돌아가고, 이해하기어려운부분이있으면속도를줄이는것이이에해당한다. 조절은과제완성후일어나는것으로선택된활동이효과적이고효율적이었는지를계속적으로체크하고필요할때활동을조정하도록한다. 자신의학습행동을교정하고, 잘못이해된부분을고침으로학습을향상시키게되는것이다 ( 양명희, 2000). - 280 -
고등학생의메타인지와학습몰입과의관계 :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의매개효과 2. 자기주도적학습능력 자기주도적학습은서구사회에서형식교육을전제로하는학교교육에서가아닌성인교육에서먼저보편화되었는데, Houle(1961) 에의해성인교육에서학문적으로주목받기시작했다. 그는사회교육연구에대한관심을교사나교육내용이아닌학습자에게두었으며성인학습자들이학습을계속하는데어떤요인들이영향을주는가를탐구하였다. Houle 이후, 자기주도적학습은 Tough가 < 성인학습과제 (The Adult's Learning Projects)(1979)> 에서학습자는형식적인과정이나워크샾, 그리고계획된훈련에서보다는자기주도하에이루어지는학습에서더많은효과를얻을수있다고주장하면서, 본격적인틀을잡기시작하였다. 이후 Knowles(1975) 에의해서 성인교육학 (andragogy)' 라는용어가사용되었으며, 1975년에출판한 자기주도적학습 (self-directed learning) 은그이후에나온많은연구를이끈기초적인정의와가정을제공하고있다. Knowles 이후, 자기주도적학습은성인교육의핵심적인관심사가되었으며, 많은관련연구들이이루어졌다. 오늘날은전세계적으로평생교육과함께자기학습의개념으로이론적인영역에서자리잡아가고있다. 우리나라의경우도 1980년대중반성인교육분야에처음소개되었으나, 초 중등교육에서도적용가능성이검토되어왔고 ( 김매희, 1993; 현정숙, 1999) 그적용과실시를뒷받침할수있는이론적논의들이이루어지면서 ( 소경희, 1998; 배영주, 2006), 초 중등교육에서도자기주도적학습의적용이가능한것으로보고되고있다. 그리고 1990년대초반에검증되기시작하여후반기에이르러많은연구가진행되었으며, 적용영역도초기에는교육학에서주로학습몰입과의관련성을검증하였으나교육공학, 상담학으로까지확대되고있다 ( 송인섭, 2006). 자기주도적학습에대한정의는독학의개념 (Tough, 1967, 1971, 1979) 에서출발하여학생과교사간의상호작용과학습환경의영향이자기주도학습과정을촉진시킬수있다는다양한방식으로정의되고있다. 본연구에서는자기주도적학습을학습자의능력으로간주하고 교사, 부모등타인의조력이있거나없는모든학습과정에서학습자스스로계획 실행 평가할수있고, 어려운상황에서효율적으로문제해결을할수있는주도적인학습능력 으로정의하고자한다. 3. 학습몰입 몰입이란 Csikzentmihalyi(1975) 가 Beyond Boredom and Anxiety; Experience Flow in - 281 -
한국교원교육연구제 26 권제 2 호 Work and Play 에서처음소개한것으로삶이고조되는순간에어떤행동이물흐르듯자연스럽게이루어지는느낌으로, 우리의주의가목표만을위해서자유롭게사용될때를말하는것이라고하였다. 그리고어떤활동의몰입상태에도달하기위해서는활동을하는행위자내부에서활동을해볼만하다는도전감과기술사이의균형이이루어져야한다. 즉기술과도전감의정도가서로대응한다고인지되면인간에게서는높은각성수준, 내적동기, 자유스러움과긍정적정서의발생이촉진된다. 이런상태가바로몰입상태이다. 몰입은인지적영역과정의적영역이통합된구인으로 9가지하위요인이있다. 정의적몰입요인으로는자기목적적경험, 과제에대한집중, 시간감각의왜곡, 자의식의상실이포함되고, 인지적몰입으로는도전과능력의조화, 구체적인피드백, 통제감, 명확한목적, 그리고행위와의식의통합요인이포함된다 ( 석임복, 2007), 따라서몰입은대부분의내재적동기구인들이인지적관점에중점을둔것에비해인지적관점과정의적관점이통합된구인이라는점에서다른내재적동기와차별화된다 ( 석임복, 2007). 학습몰입에대한학자들의정의를보면다음과같다. 김진호 (2003) 는학습몰입이란성인교육프로그램참여자가자신의학습활동에완전히몰두하는상태라고하였고, 조일현 (2005) 은학습자가학습에집중하면서도자신의정체성을유지하고통제해나가는균형잡힌심리상태라고하였다. 김연경 (2006) 은학습몰입을참여하고있는활동에완전히빠져든최적의심리상태를말하며현재경험에능동적으로참여함으로써스스로즐거움을느끼는상태 (Csikzentmihalyi, 1975) 를뜻한다고하였고, 민상기 (2007) 는학습몰입을학습자가자신의학습에완전히몰두하고있는상태로, 학습자가즐거움을느끼는최상의경험이라고하였다. 석임복 (2007) 은학습몰입이란학습상황에서학습하고있는활동에완전히몰두하여시간감각이나주변상황을전혀의식하지못하고, 심지어자의식도잊어버리며즐거움과재미를수반하는심리적감정상태를의미한다고하였다. 따라서학습몰입은학습상황에서우리의주의가목표만을향하여자유롭게사용되어, 학습에푹빠져있는매우즐거운상태라고할수있다. 4. 메타인지, 자기주도적학습능력과학습몰입의관계 메타인지는학습몰입의인지적몰입과관련이된다. 이미 Sternberg와 Davidson(1995) 은몰입의상태가즐거운경험이기는하지만, 몰입을경험하기위해서는전략적인노력이필요하다고주장한바있다. 따라서학습자가학습몰입을위하여주의를기울이는훈련, 학 - 282 -
고등학생의메타인지와학습몰입과의관계 :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의매개효과 습상황을학습에방해되는상황으로부터스스로통제할수있는노력, 특정교과목의학습기술등에숙련되어야하는노력은당연히필요하다. 학습몰입의구성요인중인지적영역에해당하는요인을보더라도, 도전과능력의조화, 구체적인피드백, 통제감, 명확한목적그리고행위와의식의통합요인들로서과제의요구와인지된기능간에균형을이루어야하고, 학습과제에대한목적이분명해야하며, 과제에대한즉각적인피드백이있어야하며, 자신이하고있는과제에통제감을가지고행동과의식이완전히일치가되어자동적으로과제를해결하는요인이포함되어있으므로 ( 석임복, 2007), 메타인지의역할이학습몰입을위한중요한변수임을알수있다. 이를지지해주는국내연구로는대학생을대상으로한이은주 (2001) 의연구로심층적인지전략및초인지전략을많이사용할수록몰입의정도가높아진다고보고한바있다. 메타인지와자기주도적학습에관한연구들에의하면메타인지전략을활용한자기주도적학습프로그램은학습동기에긍정적인영향을미치며, 학습자의메타인지능력과자기주도적학습능력을신장시키는데유용한도움을주고, 과제성취도향상에도영향을준다고보고하고있다 ( 노희정, 2001). 그리고메타인지는학습자료에대한적응적이해과정에서중요한역할을담당하는인지변수이며, 자기조절학습 (self-regulation learning) 활동의중요한인지적기반이다 ( 신종호, 최효식, 2007). 구체적인연구결과들을살펴보면, Baker 와 Brown(1984) 은메타인지적자기인식은자기조절을위한선행조건이라고하였고, Schneider(1986) 는메타인지를인지에대한체계적인내적통찰과정과자기조절과정이라고정의하고메타인지를자기조절과정으로해석하였다. 이진복 (1999) 은인지전략중심수업과메타인지전략중심수업이영어독해와자기주도적학습태도에미치는효과를검증하였는데, 메타인지전략중심수업이인지전략중심수업보다더효과적이라고보고하였고, 노희정 (2001) 역시초인지전략을활용한자기주도적학습프로그램이학습자의자기주도적학습능력뿐아니라, 학습동기에긍정적영향을미친다고하였다. 이희정 (2007) 의연구에서도메타인지전략을지원한웹기반프로젝트학습이지원하지않은웹기반프로젝트학습보다자기주도적학습에더효과적인것으로나타났다. 결국에메타인지는자기가하는사고가잘되고있는지어떤지또잘못되고있다면어떻게하면잘되게할수있는가등인지과정의구조화를통한자신의인지에대한반성적정신작용이다. 따라서메타인지는자기스스로학습을관리하는자기주도적학습과상관관계가많다 ( 이희정, 2007). 또한자기주도적학습능력과학습몰입과의관계를살펴보면다음과같다. 몰입은 자기목적적인경험 이라고부르는상태로, 행위로인해어쩌다가얻게될외적보상자체를위해서가아니라몰입자체를추구한다는것이다. 이와관련하여 Csikszentmihalyi(1990) 는 - 283 -
한국교원교육연구제 26 권제 2 호 목표와피드백의명료한제시, 통제감, 당면한과제에대한집중, 내적동기화및도전의식을독려하는가정환경에서성장한아이들이일반적으로그렇지않은환경의아이들과비교해볼때, 몰입을경험할수있는더나은기회를갖는다고하였다. 이처럼자기목적적인가정환경에서자란아이들은그렇지않은아이들보다심리적에너지를더효율적으로통제할수있으므로삶에있어서더주도적이라고할수있다. 학습과정에서도마찬가지이다. 심리적에너지를통제하지못할때학습을한다거나진정한즐거움을경험하기란불가능하기때문에 (Csikszentmihalyi, 1990), 학습자들의학습과정을통제할수있는심리적에너지가발휘될때학습몰입을더많이경험할수있을것이다. 그리고학습환경을통제하는심리적에너지를스스로조절할줄안다는것은그만큼자기주도적인학습능력이뛰어나다는것을시사한다. 이상에서와같이메타인지는자기주도적학습능력과학습몰입에영향을미치는것을알수있으며, 자기주도적학습능력또한학습몰입에중요한예언변수의역할을하는것으로추측할수있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메타인지가학습몰입에영향을미치는과정에자기주도적학습능력이매개변수의역할을할것으로가정하고이를검증해보고자한다. 5. 연구가설및모형 가. 연구가설지금까지의선행연구와이론을바탕으로본연구에서설정한가설은다음과같다. 가설 1. 메타인지는자기주도적학습능력과학습몰입 ( 인지적몰입, 정의적몰입 ) 에직접적인영향을미칠것이다. 가설 2.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은학습몰입 ( 인지적몰입, 정의적몰입 ) 에직접적인영향을미칠것이다. 가설 3. 메타인지는자기주도적학습능력을통하여학습몰입에간접적인영향을미칠것이다. - 284 -
고등학생의메타인지와학습몰입과의관계 :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의매개효과 나. 가설적연구모형 [ 그림 Ⅱ-1] 가설적연구모형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연구를수행하기위해충청북도에소재한고등학교에재학중인 1학년학생총 230 명을대상으로표집하였다. 표집은 2008년 12월 18일 ~12월 20일사이에실시되었으며, 표집대상자로부터회수된설문지는불성실한응답자 14명의설문지를제외한 216명의설문지가최종분석에포함되었다. 성별의비율을살펴보면, 216명의일반고학생들중남학생 121명 (56%), 여학생 95명 (44%) 의분포를보였다. 2. 척도 가. 메타인지척도본연구에서는학습자들의메타인지를측정하기위하여양명희 (2000) 의자기조절학습측정도구중 메타인지전략의사용 요인 10문항을강남희 (2003) 가초등학생에게맞도록 30 문항으로수정 보완하여내용타당도를거친척도를고등학생들에게적합하도록수정하여사용하였다. 이척도는계획, 점검, 조절의 3가지하위요인으로구성되어있고, 각하위요인 - 285 -
한국교원교육연구제 26 권제 2 호 별로 10문항씩, 총 30문항으로구성되어있다. 그리고검사지는 5점 Likert 척도이며, 점수가높을수록메타인지사용능력이높은것을의미하며, 본연구에서산출된메타인지척도의신뢰도계수는.88이었다. 나. 자기주도적학습능력척도본연구에서는자기주도적학습능력을측정하기위하여한국교육개발원 (2003) 에서개발한중 고등학생용자기주도적학습능력척도를사용하였다. 이척도는자기주도적학습능력을객관적으로측정하기위하여자기주도적학습능력이발휘되는과정을 3~5단계로세분화하고각단계를구성하는하위요소를겉으로드러날때관찰될수있는행동문항으로구성하였다. 이척도는 5점 Likert식척도이며총 45문항이다. 산출된점수가높을수록자기주도적학습능력이높은것을의미하며, 본연구에서산출된자기주도적학습능력척도의신뢰도계수는.83이었다. 다. 학습몰입척도본연구에서사용한학습몰입척도는석임복 (2007) 이학습상황에서몰입정도를측정하기위해몰입과관련된문헌연구와기존의국내외몰입척도문항들을토대로제작한것이다 (Jackson & Marsh, 1996; 이기택, 2001; 이미현, 2003; 이은경, 2005; 김나현, 2006). 석임복 (2007) 이개발한학습몰입척도는초등학교 6학년을대상으로만들어진것으로고등학생에게적합하도록수정 보완하여사용하였다. 학습몰입척도는 Csikszentmihalyi의 9개몰입요인인도전과능력의조화, 행위와의식의통합, 명확한목표, 구체적인피드백, 과제에대한검증, 통제감, 자의식의상실, 시간감각의왜곡, 자기목적적경험으로구성되어있고, 본검사지의신뢰도계수는.96이었다. 3. 자료분석 본연구에서는우선고등학생들의메타인지,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이인지적몰입, 정의적몰입과상호상관이있는지알아보기위하여 Pearson 상관계수를구하기위하여 SPSS 15.0을사용하였다. 둘째, 고등학생들의메타인지가학습몰입 ( 인지적몰입, 정의적몰입 ) 에영향을주는과정에자기주도적학습능력이매개변수의역할을하는지알아보기위하여 AMOS 7.0을사용하였다. 공분산구조분석에서는계수추정방법으로최대우도법 (Maximum - 286 -
고등학생의메타인지와학습몰입과의관계 :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의매개효과 Likehood Method) 을사용하였다. 그리고경로모형의적합도판정을위하여사용된적합도지수로는 χ 2, RMSEA( 근사치오차평균제곱근 ), GFI( 적합도지수 ), TLI( 터커-루이스지수 ), CFI ( 비교적합지수 ), NFI( 표준적합지수 ) 였다. 가설적모델이자료에적합하지않을경우교정지수 (modification index) 를확인하여그값이 4 이상인교정지수를가진경로를추가하는식으로모형수정을시도하여모델의간명성을크게훼손하지않는범위에서최적합모형을탐색하였다. 그리고적합한모형을확정한후에는적합도를훼손하지않는범위내에서통계적으로유의성이없는고정지수를가진경로를제거하는방식으로모형의간명화를시도하였다. 최종모형이확정되면, 앞서제시한본연구의가설을검증하기위해각변수들간에존재하는경로의의의도와설명력 ( 직접효과와간접효과 ) 를검증하였다. Ⅳ. 연구결과 1. 메타인지, 자기주도적학습능력, 학습몰입간의상관관계 메타인지, 자기주도적학습능력, 학습몰입간의상관관계는다음 < 표 1> 과같다. 메타인지, 자기주도적학습능력그리고학습몰입 ( 인지적몰입과정의적몰입 ) 은하위척도간에 p<.01수준에서정적상관이있는것으로나타났다. 그리고메타인지, 자기주도적학습능력과학습몰입 ( 인지적몰입, 정의적몰입 ) 모두 p<.01수준에서서로유의미한정적상관을보였다. - 287 -
한국교원교육연구제 26 권제 2 호 < 표 Ⅳ-1> 메타인지, 자기주도적학습능력, 학습몰입간의상관관계 x1 x2 x3 x4 x5 x6 x7 x8 x9 x10 x11 x12 x13 x14 x15 x2.637 ** - x3.660 **.742 ** - x4.579 **.651 **.611 ** - x5.322 **.517 **.462 **.646 ** - x6.477 **.544 **.525 **.741 **.658 ** - x7.331 **.500 **.414 **.676 **.525 **.540 ** - x8.350 **.485 **.414 **.649 **.529 **.594 **.664 ** - x9.426 **.539 **.493 **.660 **.553 **.601 **.540 **.640 ** - x10.301 **.419 **.397 **.525 **.481 **.572 **.537 **.625 **.642 ** - x11.283 **.463 **.395 **.562 **.591 **.586 **.553 **.717 **.592 **.537 ** - x12.289 **.409 **.375 **.567 **.532 **.548 **.521 **.592 **.532 **.485 **.575 ** - x13.341 **.429 **.448 **.577 **.530 **.474 **.584 **.522 **.482 **.536 **.546 **.418 ** - x14.274 **.383 **.355 **.518 **.453 **.442 **.561 **.446 **.434 **.466 **.508 **.350 **.782 ** - x15.324 **.443 **.333 **.699 **.477 **.559 **.619 **.772 **.559 **.520 **.707 **.554 **.591 **.576 ** - x1: 계획, x2: 점검, x3: 조절, x4: 학습계획, x5: 학습실행, x6: 학습평가, x7: 도전과능력, x8: 행동과의식, x9: 명확한목표, x10: 구체적피드백, x11: 과제집중, x12: 통제감, x13 : 자의식상실, x14 : 시간감각왜곡, x15: 자기목 적적경험 ** p<.01 2. 연구모형검증결과 고등학생들의메타인지, 자기주도적학습능력과학습몰입 ( 인지적몰입과정의적몰입 ) 과의관계에대한경로모형의검증결과, χ 2 =302.937, df=85, p=.000, RMSEA는.109, GFI는.845, TLI는.878, CFI는.902, NFI는.869로모형이양호하지못한것으로나왔다. 따라서수정지수를사용하여최종모형을채택한결과적합도지수는 χ 2 =195.642, df=83, p=.000, RMSEA는.079, GFI는.896, TLI는.936, CFI는.949, NFI는.916이었다. 최종경로모형은다음 그림 2 와같으며, 경로계수는 p<.05수준에서유의미한것으로나타났다. 구체적으로살펴보면, 메타인지는자기주도적학습능력 (β=.796) 과인지적몰입 (β =.187), 정의적몰입 (β=.298) 의모든변수에 p<.05수준에서유의미한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을뿐만아니라인지적몰입 (β=.884) 과정의적몰입 (β=.892) 에영향을미치는간접효과또한통계적으로유의미하였다. 또한자기주도적학습능력도인지적몰입 (β=1.111) 과정 - 288 -
고등학생의메타인지와학습몰입과의관계 :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의매개효과 의적몰입 (β=1.120) 에 p<.05 수준에서유의미한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 그림 Ⅳ-1] 고등학생의메타인지, 자기주도적학습능력과학습몰입간의최종경로모형 따라서메타인지의활용이높은학습자는그렇지않은학습자에비해더주도적인학습을할수있고, 인지적학습몰입과정의적학습몰입을경험하게된다고할수있다. 또한메타인지가인지적몰입과정의적몰입에미치는간접영향또한유의미한것으로나타났으므로, 메타인지의활용자기주도적학습능력을신장시키고, 신장된높은자기주도적인학습능력은인지적몰입과정의적몰입정도를높여주는데영향을준다는것을의미한다. 경로들의구체적인총효과 ( 직접효과와간접효과 ) 분해는 < 표 2> 와같다. 인지적학습몰입에대한메타인지의직접효과는.187이고자기주도적학습능력을통한간접효과는.884으로총효과는 1.081로나타났다. 그리고정의적몰입에대한메타인지의직접효과는.298이고,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을통한간접효과는.892으로총효과는 1.19이었다. - 289 -
한국교원교육연구제 26 권제 2 호 < 표 Ⅳ-2> 학습몰입의총효과분해결과 경로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 메타인지 자기주도적학습능력.796 *** -.796 ** 메타인지 인지적몰입.187 **.884 ** 1.071 ** 메타인지 정의적몰입.298 *.892 ** 1.19 ** 자기주도적학습능력 인지적몰입 1.111 *** - 1.111 ** 자기주도적학습능력 정의적몰입 1.120 *** - 1.120 ** Ⅴ. 논의및결론 본연구에서는고등학생들의학습몰입에영향을주는메타인지와자기주도적학습능력의관계를규명하고, 메타인지와학습몰입과의관련성에영향을미치는자기주도적학습능력의매개효과를살펴보고자하였다. 연구결과를중심으로몇가지논의점을정리해보면다음과같다. 첫째, 메타인지와학습몰입과의관계에있어서메타인지의활용정도가높을수록학습몰입도 ( 인지적몰입, 정의적몰입 ) 가높은것으로나타났다. 본연구결과는메타인지의정도가높을수록학습몰입도가높다는대학생을대상으로한이은주 (2001) 의연구결과와맥을같이한다. 따라서메타인지는학습상황에서스스로학습에대한계획을세우고, 학습이진행되는동안필요할때마다자신의이해정도를점검하면서조절해나가는능력이뛰어날수록학습몰입도가높다고결론내릴수있다. 이러한맥락에서메타인지는학습자의장기적인학습에도도움이된다. 교과지식을하나더아는것이중요한것이아니라구체적인전략을활용할수있는능력이갖추어져있다면그렇지않은학생들에비해더효율적으로더많은것을학습할수있다. 따라서메타인지를활용할수있는학습전략에대한교육이교과지식을전달하는것이상으로중요하다는것을인식하고그에따른조력이이루어져야할것이다. 그러기위해서는우선교사가메타인지의중요성을인식하고수업시간에메타인지와관련한학습전략을다각적으로활용할뿐만아니라, 직접적으로메타인지학습전략의정도를높일수있는교육프로그램을적용시켜야할것이다. 둘째, 자기주도적학습능력과학습몰입 ( 인지적몰입, 정의적몰입 ) 과의관계에있어서자 - 290 -
고등학생의메타인지와학습몰입과의관계 :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의매개효과 기주도적학습능력이높을수록학습몰입도가높다는것으로나타났다. 본연구결과는학습몰입에서중요한예언변수임을경험적으로확인할수있었다. 따라서자기주도적학습능력을갖춘학습자는학습에있어주도권을가졌다는것뿐만아니라책임감, 그리고과제의성공에따른자신감외여러가지긍정적정서의발달도뒤따르므로교사중심의학습보다더높은학습몰입으로이끌것이라고예측할수있다. 셋째, 메타인지와자기주도적학습능력이학습몰입에유의한영향을미치고메타인지는자기주도적학습능력에긍정적영향을미친다고보고한두변수들간의관계를밝힌선행연구들의결과를바탕으로설정한연구모형을검증한결과메타인지가학습몰입에유의한영향을미치는과정에자기주도적학습능력이매개효과를가지고있다는것을확인할수있었다. 이는메타인지가학습몰입에직접적인영향을미치기도하지만,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을매개변수로하여학습몰입에간접적인영향을미치고있다는사실을알수있다. 이와같은결과는메타인지의활용정도가높을수록자기주도적학습능력을향상시키고결국에는높은학습몰입에도달할수있음을시사한다. 이러한맥락에서고등학생들의메타인지활용능력을길러줄수있는교사들의개입이지속적으로이루어진다면, 처음에는주도적이지않은학생이었더라도점점학습과정을주도적으로이끌수있을것이다. 그리고이러한주도적인학습능력을갖춘학습자들은수동적인학생보다도더많은것을학습하고잘활용하여높은학습몰입을이룰수있고, 평생학습사회에살아가고있는존재로서사회각부문에서일어날수있는학습에도적극적으로대처할수있을것이다. 끝으로본연구의제한점과후속연구의제안을하면다음과같다. 첫째, 본연구는연구자가임의로선정한지역의학교의학생들을연구대상으로하였기때문에일반화하기에어려움이있을것으로생각된다. 둘째, 본연구결과가고등학생들의학습몰입에영향을미치는변수로메타인지와자기주도적학습능력에대한중요성을일깨워주는계기는되었더라도이를직접적으로적용할수있는구체적인방안을제시하지못하였기때문에이에대한추후연구가이루어져야할것이다. 마지막으로고등학생들의학습몰입을좀더심층적으로이해할수있도록자기주도적학습능력외다양한매개변수들에대한탐색이이루어져야할것이다. - 291 -
한국교원교육연구제 26 권제 2 호 참고문헌 김나현 (2005). 학습몰입검사의제작및타당화연구. 숙명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김매희 (1993). 성인과청소년의자기주도학습특성의비교연구. 서울여자대학교대학원논문집, 1, 217-254. 김연경 (2006). 온라인학습에서몰입관련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간의관계분석. 서울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김진호 (2003). 성인교육프로그램참여자의학습몰입영향분석에관한구조분석. 서울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김홍원 (1993). 자기-교시훈련이상위인지, 귀인양식및과제성취에미치는영향. 성균관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노희정 (2001). 사회교육과에서의메타인지전략을활용한자기주도적학습프로그램의효과. 서울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민상기 (2007). 실업계고등학교학생의학습몰입과학급풍토의관계. 서울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배영주 (2006). 아동의자기주도적학교학습의가능성과실현조건의탐색. 교육과정연구, 24(2), 299-319. 석임복 (2007). 학습몰입의구조 ; 척도 성격 조건 관여. 경북대학교박사학위논문. 소경희 (1998). 학교교육에있어서 자기주도학습 의의미. 교육평가연구, 16(2), 329-351. 송인섭 (2006). 현장적용을위한자기주도학습. 서울 : 학지사. 신영복 (2004). 나의동양고전독법. 서울 : 돌베개신종호, 최효식 (2007). 메타인지의영역일반성과영역특수성비교. 교육심리연구, 21(1), 89-104. 신종호, 최효식 (2007). 메타인지의영역일반성과영역특수성비교. 교육심리연구, 21(1), 89-104. 양명희 (2000). 자기조절학습모형탐색과타당화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이기택 (2001). 정상학습프로그램이몰입수준향상에미치는효과. 한국교원대학교박사학위논문. 이미현 (2003). 몰입수준의변화가수학학업성취도및수학적태도에미치는효과.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이석재 (2003). 생애능력측정도구개발연구-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을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연구보고서, 16(35), RR2003-15-03. 이은경 (2005). e-learning 환경에서의몰입경험을위한교수학습전략연구.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이은주 (2001). 몰입에대한학습동기와인지전략의관계. 교육심리연구, 15(3), 199-216. 이진복 (1999). 인지전략과초인지전략중심수업의비교연구. 공주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이희정 (2007). 웹기반프로젝트학습에서메타인지지원전략이아동의학업성취도와자기주도적학습에미치는영향. 관동대학교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임선하 (1990). 상위인지의교육적의미. 한국교육, 17, 5-24. - 292 -
고등학생의메타인지와학습몰입과의관계 :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의매개효과 조일현 (2005). 스토리텔링기반의몰입형학습환경설계. e-learning+, 2월호, 60-72. 현정숙 (1999). 아동의자기주도학습특성에관한연구. 동아대학교학생생활연구소, 학생연구, 27, 231-253. Jackson, S. A., & Marsh, H. W.(199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optimal experience: The flow state scale. Journal of Sport & Exercise Psychology, 18, 17-35. Belmont, J., & Butterfiend, E.(1977). The Instrumental approval to developmental cognitive research. In R. Keil & Hagan(Eds.), Perspective on the development of memory and cognitio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ciates. Baker, L. & Brown, A. L.(1984). Metacognitive skills and reading. In P. D. Pearson(Ed.), Handbook of reading research(pp. 353-393), New York: Longman. Brown, A. L.(1987). Metacognition, executive control, self-regulation and other more mysterious mechanism. In Weinert, F. E., Kluwe, R. H.(Eds.), Metacognition, motivation, and understanding,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za.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Corno, L.(1986). The metacognitive control components of self regulated learning.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11, 333-346. Costa, A. I.(1984). Mediating the metacognitive. Educational Leadership, 42(3), 57-62. Csikszentmihalyi, M.(1975). Beyond boredom and anxiety. San Francisco: Jossey-Bass. Csikszentmihalyi, M.(1988). Motivation and creativity: Towards synthesis of structural and energistic approaches to cognition. New Ideas in Psychology, 6, 159-176. Csikszentmihalyi, M.(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최인수역 (2004). 플로우, 미치도록행복한나를만난다. 서울 : 한울림. Csikszentmihalyi, M.(1993). The evolving self. New York: Harper Collins. Csikszentmihalyi, M.(1996).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New York: Harper Collins. Csikszentmihalyi, M.(1975). Beyond boredom and anxiety. San Francisco: Jossey-Bass. Flavell, J. H.(1976). Metacognitive aspects of problem solving. In L. Resnick(Ed.). The nature of intelligence. NJ: Lawrence Erlbaum. Flavell, J, H.(1979). Metacognition and cognition monitoring a new area of cognitive development inquiry. American Psychologist, 34, 906-911. Flavell, J.H.(1987). Speculations about the nature and development of metacognition. In F. E. Weinert, & R. H. Kluwe(Eds.). Metacognition, molivation, and understanding.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Houle, C. O.(1961). The inquiring mind.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 293 -
한국교원교육연구제 26 권제 2 호 Jacobs, J. E. & Paris, S. G.(1987). Children s metacognition about reading: Issues in definition, measurement, and instruc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22(3-4), 255-278. Long, H. B.(1992). Philosophical, Psychological and practical justification for self-directed in learning. In H. B. Long and Associates(Eds.), Research and application in self-directed learning. Norman: Oklahoma Research Center. Meichenbaum, D.(1985). Teaching thinking; A cognitive-behavioral perspective. In J. W. Segal, S. F. Chipman, & R. Glaser(Eds.), Thinking and learning skills(vol. 2): research and open question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Miller, G., Galanter, E., & Pribram, K.(1960). Plans and structure of behavior.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Morgan, M.(1985). Self monitoring of attained subgoals on private stud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7, 623-630. Pramling. D.(1990). Learning to learn : A study of Swedish preschool children. New York: Spriger-Verlag. Skinner, B. F.(1968). The Technology of teaching. New York: Appleton-Century-Crofts. Sternberg, R. & Davidson, J.(1995). The nature of insight. Cambridge, Mass: MIT Press. Schneider, W.(1986). The role of conceptual knowledge and metamemory in the development of organizational processes in memory.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42, 218-236. Tough, A.(1979). The adult's learning project: A fresh approach to theory and practice in adult learning. Toronto, Ontario: The Ontario Institute for Education. Tough, A. M.(1967). Learning without a teacher. The Ontario Institute for Studies in Education. Tough, A. M.(1971). The adult's learning projects: A fresh approach to theory and practice in adult self-teaching projects. Toronto: Ontario Institute of Studies in Education. Weinstein, C. E. & Mayer, R. E.(1986). The teaching of learning strategies. In Merlin & Wittrock(3rd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A project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New York: Macmillan. - 294 -
고등학생의메타인지와학습몰입과의관계 :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의매개효과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on and Learning flow of High School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e, Jae-Shi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etacognition on learning flow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o accomplish this purpose, a total of 216 fir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buk were sampled. The instruments used for the study were Metacognition Scale, Self-Directed Learning Scale, and Learning Flow Sca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using AMOS 7.0 was em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hypothetical model was fitted to the empirical data(χ 2 =195.642, df=83, p=.000, RMSEA=.079, GFI=.896, TLI=.936, CFI=.949, NFI=.916). Second, metacognition had direct effects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d a direct effect on learning flow. In addition, metacogni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learning flow using a mediating variable(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e importance of metacognition development program to facilitat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earning flow. Key words : Metacogni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flow,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2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