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Similar documents
취학전말더듬아동의말더듬치료시점별진성비유창성유형의종단적분석 이수복외 Johnson과동료들 (199) 에따르면말더듬아동집단은 1단어당평균 11.2 회의비정상적비유창성빈도를보였고 ( 전체비유창성의 63%), 일반아동집단은 1.96회 ( 전체비유창성의 26%) 를보였다. 즉말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 ** *** ****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歯제7권1호(최종편집).PDF

서론 34 2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3234B1C731C8A328C3D6C1BEBABB292E687770>

歯5-2-13(전미희외).PDF



DBPIA-NURIMEDIA

ISSN (Online) Commun Sci Disord 2017;22(4): Original Article Disfluency, Speech Rate, and Communic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Experiences of A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view of Research

<28C6EDC1FD5FC0FCC3BC D33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012임수진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Awareness, Support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A study on Characte

DBPIA-NURIMEDIA

., (, 2000;, 1993;,,, 1994), () 65, 4 51, (,, ). 33, 4 30, 23 3 (, ) () () 25, (),,,, (,,, 2015b). 1 5,

歯6권2호.PDF

특수교육논총 * ,,,,..,..,, 76.7%.,,,.,,.. * 1. **

歯7권2호.PDF


Lumbar spin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 Research Subject



12이문규

DBPIA-NURIMEDIA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다문화 가정의 부모



Microsoft Word doc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 A basic research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27 2, * ** 3, 3,. B ,.,,,. 3,.,,,,..,. :,, : 2009/09/03 : 2009/09/21 : 2009/09/30 * ICAD (Institute for Children Ability

ASR ISSN / Audiol Speech Res 2017;13(4): / RESEARCH PAPER Stuttering Rates and Articulatio

1..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 ( 황수경 ) ꌙ 127 노동정책연구 제 4 권제 2 호 pp.127~148 c 한국노동연구원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황수경 *, (disabi


44-4대지.07이영희532~

untitled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상담학연구,, SPSS 21.0., t,.,,,..,.,.. (Corresponding Author): / / / Tel: /

조사연구 using odds ratio. The result of analysis for 58 election polls registered in National Election Survey Deliberation Commission revealed that progr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The Effect of Boa

* 이논문은제 1 저자의진주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초등특수교육전공석사학위논문임. ** 주저자 : 진주장재초등학교교사 *** 교신저자 : 진주교육대학교교수

Jkcs022(89-113).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The Mediating Eff

hwp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 The Effect of Pare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Pe

이용석 박환용 - 베이비부머의 특성에 따른 주택유형 선택 변화 연구.hwp

09-김선영.hwp

<303720C7CFC1A4BCF86F6B2E687770>

Rheu-suppl hwp

135 Jeong Ji-yeon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머리말 협저불상( 夾 紵 佛 像 )이라는 것은 불상을 제작하는 기법의 하나로써 삼베( 麻 ), 모시( 苧 ), 갈포( 葛 ) 등의 인피섬유( 靭 皮 纖 維 )와 칠( 漆 )을 주된 재료

139~144 ¿À°ø¾àħ

DBPIA-NURIMEDIA

KIM Sook Young : Lee Jungsook,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and a Nurse during the 이며 나름 의식이 깨어있던 지식인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을 받은 간 호부들은 환자를 돌보는 그들의 직업적 소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A 617

DBPIA-NURIMEDIA

16(1)-3(국문)(p.40-45).fm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DBPIA-NURIMEDIA

歯kjmh2004v13n1.PDF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歯1.PDF

230 언어치료연구 ( 제14권제3 호) 어생각해보는것이효과적이라고하였다. 그는조음적측면에서쉼을수의적인발성 (phonatory) 활동이없는일정시간으로, 음향적측면에서는주변의소음크기이상의 말소리가나타나지않는시간간격으로, 지각적측면에서는청자가문법혹은어법상의 경계를나타내는담

DBPIA-NURIMEDIA

(Exposure) Exposure (Exposure Assesment) EMF Unknown to mechanism Health Effect (Effect) Unknown to mechanism Behavior pattern (Micro- Environment) Re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언어치료연구, 제25권제1호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 Vol.25, No.1, 11 ~ 22


(5차 편집).hwp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The Grounds and Cons

278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9.hwp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노동경제논집 38권 3호 (전체).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Meta Analysis : T

Transcription:

3~5 세말더듬아동의비유창성에동반되는수반행동의특성 이혜란 *, **, 박은숙 *** 김향희 **, *** 심현섭 **** (* 우송대학교언어치료학과, ** 연세대학교대학원언어병리학협동과정 *** 연세대학교의과대학재활의학교실, **** 이화여자대학교특수교육과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이혜란 박은숙 김향희 심현섭. 3~5 세말더듬아동의비유창성에동반되는수반행동의특성. 언어청각장애연구, 2008, 제 13 권, 제 4 호, 654-676. 배경및목적 : 이론및임상에서의중요성에도불구하고말더듬에서보이는수반행동에대한체계적인연구는많지않은실정이다. 어린아동을대상으로한연구는더욱그러하였다. 이연구에서는비유창성종류에따른수반행동의빈도특성을알아보고비유창성종류와수반행동부위별출현빈도가관련되는지살펴보았다. 이로써말더듬아동의수반행동특성을체계적으로파악하고자하였다. 방법 : 15 명의만 3~5 세말더듬아동이연구에참여하였다. 아동들이파라다이스유창성검사중필수과제인말하기과제동안보인수반행동을안면 / 고개행동및사지 / 몸통행동으로나누어분류하였다. 결과 : 비유창성유형 ( 말더듬, 정상적인비유창성 ) 별빈도가뚜렷한차이를보이지않았다. 3 말더듬구간중 97%, 정상비유창성의총 95% 에서수반행동이나타났으며, 비유창성평균빈도가말더듬의경우 4.0, 정상적인비유창성 4.4 였다. 비유창성과관련없이안면 / 고개행동이 (50~60%) 사지 / 몸통행동보다 (40~50%) 자주나타났다. 비유창성종류에따른수반행동부위별빈도역유의한차이를보이지않았다 ( 2 = 23.855, p =.068). 논의및결론 : 연구결과어린말더듬아동들도비유창하게말을하는동안다양한종류의수반행동을비교적자주보였던점은조작적조건화의결과로서수반행동이나타난다는기존의설명만으로는어린말더듬아동들의수반행동출현을설명하는데한계가있을수있음을시사한다. 비유창성유형 ( 말더듬, 정상적인비유창성 ) 에따른수반행동의빈도특성및위치와의관련성에서차이를보이지않았던결과를고려할때빈도분석이외의다른분석체계를이용한후속연구가필요할것으로보인다. 핵심어 : 말더듬아동, 수반행동, 부수행동, 안면행동분석체계 (FACS) Ⅰ. 서론 말더듬과관련이되는신체수반행동 (physical concomitant behavior) 을일컫는이름은다양하다. 부속 / 부수행동 (accessory behavior), 이차행동 (secondary behavior), 탈출행동 (escape behavior), 게재신청일 : 2008년 10월 25일 ; 최종수정일 : 2008년 12월 15일 ; 게재확정일 : 2008년 12월 18일 교신저자 : 교신저자 : 이혜란, 우송대학교언어치료학과전임강사, 대전광역시동구자양동 17-2, e-mail: hrlee@wsu.ac.kr, tel.: 042-630-9223 c 2008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http://www.kasa1986.or.kr

이혜란 박은숙 김향희 심현섭 / 3~5 세말더듬아동의비유창성에동반되는수반행동의특성 투쟁행동 (struggle), 비구어연합행동 (non-speech associated behavior) 등이그예이다. Wingate 가 1964년에발표한 A Standard Definition of Stuttering 에서 부수적 이라는용어를처음사용하였다고언급하였다. Wingate (2002) 에따르면이용어는원래 무언가덧붙여진것 (something extra) 을뜻하는데, 여기에는 이차적 (secondary) 즉, 시간적으로뒤따른다는의미와 비롯되는것 (stemming from, 혹은 built upon) 이라는의미가더해져서사용된다고도한다. Wingate (2002) 의설명에기초할때 부수적 이라는말은기본적으로이행동이말더듬의필수요소가아니라는점을내포하며, 동시에말더듬과시간적혹은인과적으로관련되어있는행동임을뜻하는것으로생각해볼수있다. 탈출행동 이라는용어는수반행동들이말더듬으로부터벗어나기위해노력하는과정중에나타난다는점을반영한다. 한편, 투쟁행동 은보다신체적인현상을묘사하는용어로보인다. 본연구에서는다음의두가지이유에서여러용어중 수반행동 을사용하고자한다. 첫째, 기존선행연구들에서사용된 부속 / 부수행동, 이차행동, 투쟁행동 등은수반행동을바라보는연구자들의주관적인해석이반영되었기때문에중립적인용어인 비구어연합행동 이나 신체수반행동 이객관적인용어로서적절할것으로보인다. 둘째, 더듬는말과관련이되는행동들에는신체적인행동및말소리가모두포함될수있기때문에, 비구어 나 신체 라는용어는제한적일수있을것으로보인다. 수반행동은말더듬의이차적인진행경로에있어또다른중요한축이다. Van Riper (1982) 가제시한네가지말더듬의진행경로를살펴보았을때, 수반행동은말더듬의질적인변화가나타나는시점, 그리고말더듬에대한인식이나타나는시점에서출현하고있었다. 경로Ⅰ 은막힘이나타나고말더듬에대한인식이출현하는시점부터나타나기시작하였고 경로Ⅱ 는막힘증세가잘나타나지않자투쟁행동도거의나타나지않았다. 회피행동은말더듬에대한인식이나타난이후, 그리고투쟁행동이처음출현한이후에보였다. 경로Ⅲ 에서말더듬의질적변화의순서는 경로Ⅰ 이나 경로Ⅱ 와차이를보였으나, 수반행동과결합되는더듬는말의특성, 그리고그것이말더듬의인식시점과함께한다는점은나머지두경로와맥을같이하였다. 수반행동은다음의세가지측면에서연구및임상적으로중요한주제라고할수있다. 첫째, 수반행동은통상적으로말더듬의중증도를나타내는지표가되어왔다. 국내의유창성평가도구인 파라다이스-유창성검사 (Paradise Fluency Assessment: P-FA, 이하 P-FA; 심현섭 신문자 이은주, 2004) 와 P-FA 개발이전국내에서번안하여사용하였던 말더듬정도측정 (Stuttering Severity Instrument: SSI; Riley, 1972) 은수반행동을부수행동항목으로고려하여중증도를파악하였다. 둘째, 수반행동은더듬는말의정도및빈도와밀접한관계가있을수있다. 일부연구에따르면모든아동들이전형적인말더듬의통시적인진전경로를순차적으로서서히밟는것은아니며, 어떤아동들은말더듬출현직후부터심한형태의말더듬과더불어수반행동을보인다고주장하고있다 (Conture & Kelly, 1991; Schwartz, Zebrowski & Conture, 1990; Yairi, Ambrose & Paden, 1996; Yairi & Hall, 1993). 또한, 말더듬출현후기간이길다고수반행동의빈도가유의하게증가하는양상을보이지는않았으며, 말더듬의빈도와수반행동의빈도가함께변화하는양상을보였다 (Yairi & Hall, 1993). 셋째, 수반행동은정서적인반응의시작점인말더듬의인식 (awareness) 을간접적으로측정할수

언어청각장애연구 2008;13;654-676 있는중요한수단이다 (Schwartz & Conture, 1988; Zebrowski, 1994). 말더듬에대한부정적인반응은신체적 기능적장애로서의말더듬을악화시키고사회적장애로만드는바탕이되며신체적인긴장의정도를증가시켜더듬는말을질적으로변화시킨다 (Bluemel, 1932; Guitar, 2005). 말더듬에대한인식은이러한악순환고리의출발점이된다. 아동이그시작점에있는지파악하는것은임상적으로매우중요하다. 말더듬의자각은초언어적인능력 (metalinguistic ability) 과관련되며대체적으로 3~4세경부터발달하기시작하는데 (Schwartz, Zebrowski & Conture, 1990), 일반적으로말더듬이출현하는시기가만 2~5세사이라는점을고려할때말더듬이막나타난아동들은초언어적인능력이발달하기이전이거나발달하는도중에있다고볼수있다. 그런데진단과정중직접아동의말더듬자각여부에대하여인터뷰하는경우, 자칫말더듬에대한인식이없는아동들에게자각을촉진시키는결과만을초래할수있다. 따라서임상에서는아동의수반행동을관찰하거나보호자와면담을하는간접적인방법으로말더듬인식여부를판단한다. 말더듬에서보이는수반행동에대한연구는이론및임상에서차지하는중요성에도불구하고그리많지않은실정이며특히, 최근까지도아동의수반행동은특별히관심을받지못하였다. 국내의경우말을더듬는아동뿐만아니라성인의수반행동에대해서도체계적으로연구한예가흔치않다. 말을더듬는아동의수반행동에관한연구가부족하였던것은수반행동이말더듬출현후오래경과한성인들에게서주로특징적으로보이는행동이라고여겼기때문일수있다 (Ambrose & Yairi, 1994). 그러나앞서언급하였듯이어떤아동들은초기부터심한형태의말더듬과수반행동을보이며 (Conture & Kelly, 1991; Schwartz, Zebrowski & Conture, 1990; Yairi, Ambrose & Paden, 1996; Yairi & Hall, 1993), 말더듬출현후기간이아닌말더듬의빈도와수반행동의빈도가서로관련된다는연구결과를 (Yairi & Hall, 1993) 고려할때아동의비유창성과수반행동사이의관계를살펴볼필요가있을것으로보인다. 일부연구에서안면, 고개및상체의행동을살펴보았으나, 아직까지안면, 고개, 몸통, 사지모두를대상으로그빈도의특성을살핀국내외연구들이거의없는실정이다. 따라서안면, 고개, 몸통, 사지모두를살핀본연구는포괄적으로수반행동의특성을이해하는데도움이될수있을것으로보인다. 본연구에서는만 3~5세말더듬아동을대상으로비유창하게말하는동안이들이보이는수반행동을살펴보고그특성을파악하는데일차적인연구의목표가있다. 이를위하여먼저비유창성종류 ( 말더듬의비유창성, 정상적인비유창성 ) 에따른수반행동의빈도특성을살피고, 비유창성의종류와수반행동부위별출현빈도가관련되는지알아보았다.

이혜란 박은숙 김향희 심현섭 / 3~5 세말더듬아동의비유창성에동반되는수반행동의특성 Ⅱ. 연구방법 1. 참여자 참여자는서울신촌소재의종합병원과, 경기도부천소재의사설언어치료실에서모집되었다. 병원에서모집된아동들은말더듬을주문제로언어치료실에의뢰되어아동의보호자가연구에참여하는데동의한경우이다. 사설언어치료실에서모집된아동들은본연구를목적으로공개적으로모집되었다. 말을더듬는만 3~5세아동연구참여자에대한구체적인선정기준은다음과같았다. 첫째, P-FA의필수과제에서 100음절당말더듬빈도가 3% 이상에해당하는경우, 둘째, 주양육자가아동이보이는말더듬으로인하여걱정을나타내는경우, 셋째, 주양육자의보고에근거하여과거에말-언어문제를주문제로하여지속적인언어치료를받은경험이없는경우, 넷째, P-FA의필수과제에서수반행동이결합된말더듬이최소 5회이상나타난경우, 다섯째, 주양육자의보고에근거하여아동에게말더듬이외에신체, 인지, 사회, 정서, 신경학적인문제등의특별한동반장애가없는경우. 여섯째, 표현언어발달척도 (Preschool Receptive 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이하, PRES) 및그림자음검사에서표준편차 -2 이상에해당하는경우. 이러한선정기준에근거하여총 15명의아동이연구에참여하였다 ( 남아 11명, 여아 4명 ; 3세 5명, 4세 5명, 5세 5명 ). 연령범위는 3년 0개월에서 5년 9개월이었다. P-FA 필수과제에서평균말더듬비율은 7.4% 였다 ( 범위 : 3.0%~20.9%). 아동의조음능력및이해 표현언어능력은해당연령기준표준편차 -2 이상의범위에해당하였다. 말더듬출현후기간은 6개월이내가 4명, 6개월~1년이내가 5명, 1년~2년이내가 5명, 2년이상이 1명이었다. 전체 15명의아동중 4명의아동에게서말더듬의가족력이보고되었는데, 3명은아동의모가, 1명은숙부가더듬었다. 연구참여자개인에대한정보는 < 표 -1> 에제시하였다. 2. 과제 과제는연구자와의간단한대화, 유창성검사, 언어능력평가, 그리고조음능력평가의순서로동일하게진행되었다. 유창성검사를위하여 P-FA 취학전아동용검사의모든과제를실시하였다. 전반적인언어능력평가를위해서는 PRES로검사하였고, 조음능력평가를위해서는그림자음검사를이용하였다. 조음검사는검사현장에서실시간으로음소전사하여기록하였다. 언어능력평가결과및조음능력평가결과는 < 표 -1> 에제시하였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08;13;654-676 < 표 - 1> 연구참여자정보 참여자연령성별말더듬비율 a) 자음이해언어 c) 정확도 b) 연령 표현언어 c) 연령 가족력 모의학력 말더듬출현후기간 PJ 3;0 여 10.9 91 44 45 모 고졸 10개월 PW 3;1 여 3.0 81 40 40 숙부 대졸 10개월 PH 3;7 남 6.1 91 42 39 대졸 2~3개월 SJ 3;10 여 5.6 74 46 48 대졸 2~3개월 CS 3;11 남 20.9 93 48 48 대졸 7~8개월 -1SD = 81.23-2SD = 73.52-1SD = 37.55-2SD = 28.61-1SD =38.38-2SD =29.34 KY 4;0 여 3.1 79 47 51 대졸 8개월 LK4 4;0 남 9.8 98 57 47 고졸 11개월 CH 4;1 남 6.9 86 41 41 고졸 3개월 KM 4;2 남 6.1 77 47 51 대졸 18개월 YH 4;4 여 5.6 89 58 56 대졸 16개월 -1SD = 85.79-2SD = 78.86-1SD = 50.40-2SD = 40.67-1SD = 49.35-2SD = 40.31 LW 5;0 남 3.0 88 49 51 대졸 5~6개월 CW 5;7 남 13.3 88 51 51 대중퇴 14개월 MW 5;8 남 4.6 98 60 62 고졸 18~24개월 LK5 5;8 남 3.0 87 70 71 모 고졸 12~18개월 KJ 5;9 남 9.7 91 77 74 모 초대졸 2년 -1SD = 91.65-2SD = 86.89-1SD = 57.76-2SD = 48.89-1SD = 58.57-2SD = 50.38 a) 단위 : %, b) 김영태 (1996) 의자료기준, 단위 : %, c) 김영태 성태제 이윤경 (2003) 의자료기준, 단위 : 개월 3. 절차 가. 촬영 유창성평가및조음평가과정은초당 30프레임을기록하는두대의디지털캠코더 ( 모델명 : DCR-PC 330 및 DCR-PC 350, 제조사 : Sony Electronics Inc., Japan) 로기록하였다. 캠코더1은지향성

이혜란 박은숙 김향희 심현섭 / 3~5 세말더듬아동의비유창성에동반되는수반행동의특성 마이크를장착하여연구참여자의정면으로부터 60cm~100cm 거리에위치시킨후안면을중심으로기록하였다. 캠코더2는지향성마이크를장착하여사지 / 몸통의전반적임움직임을살피기위한것으로캠코더1의상부에위치하였다. 참여자는제1연구자인검사자와마주앉되그사이에책상을배치하지않아충분히전신의움직임이기록되도록하였다. 그림자극물은모두검사자가보여주었고, 검사자는캠코더1의우측에앉아자극물이캠코더1의중앙, 렌즈바로아래에위치하도록제시하였다. 모든말더듬의여부파악은캠코더1의기록에근거하였다. 나. 자료처리 (1) 전사 P-FA의전과제동안에아동이보인발화를음소단위로전사하였다. 필요한경우검사자가환자의발화를촉진하는말이나몸짓을사용하였으나, 검사자의촉진도중에보이는아동의발화는말더듬분석에서제외하였다. 관습적으로축약해서자주쓰는말들은축약된것을목표로하였다. 상황상아동이검사자의주의환기를위하여반복하여말하는경우에는각각을목표음절로취급하였다. 아동이대화상대자의질문이나모방및명료화요구에의하여반복하여말하는경우는서로다른발화로취급하였다. 아동이말하는도중에검사자가말하여대화가중단되고이후아동이이전의말과연결하여다시말하는경우뒷부분은개별적인발화로취급하였다. 간투어만나오고발화가없는경우는발화분석에서제외하였다. 목표음절이예측되나말더듬으로인하여음절의일부만실현하는경우해당음절만복원하여기록하였다. (2) 비유창성구분기본적인비유창성분류방식은 P-FA의분류방식을따랐으나일부항목은연구의목적에따라수정하였다. 비유창성은크게정상비유창성과말더듬으로구분하였다. 분석에포함된정상비유창성구간은 349개, 말더듬구간은 802개로모두 1,151개의비유창한구간이었다. 구체적인기준은 < 부록 -1> 에제시하였다. 반복되는단위에막힘이있는경우와연장앞에서막힘이있다가연장으로이어지는경우개별적으로두개의말더듬순간으로구분하지않고각각 단음절-단어내반복-긴장 및 연장-긴장 하나의말더듬순간으로취급하였다. 단어이내로반복하였으나반복단위가바뀐경우도하나의말더듬순간으로분류하고단위반복수가증가하는것으로처리하였다. 다음절단어와조사가동반될때조사앞의다음절단어전체를모두더듬으면정상적인말더듬으로취급하였으나, 다음절단어와조사의일부를더듬는경우단어이내반복으로처리하였다. 미완성수정구내에서말더듬은개별적으로분리하여취급하였다. 목표음절과의관련성이뚜렷이나타나지않는조음기관의제스처들은간투어로처리하였다. 간투어가연이어나타나는경우그단

언어청각장애연구 2008;13;654-676 위에상관없이하나의간투어로취급하였으나긴장이동반되는경우는 긴장이동반된간투어 로취급하였고, 개별적인말더듬이간투어내부에서뚜렷하게나타나는경우는개별적인말더듬으로코딩하였다. (3) 비유창한구간구분비유창성종류를구분한후 Windows Movie Maker 의편집화면을이용하여발화전사자료와비교하며개별비유창성이시작되는 비유창성시작시간 과비유창성이종료되고목표음절이시작되는 비유창성종료시간 을측정하였다. 편집프로그램의최소시간단위가 6~7msec이기때문에기기상의오차에의해시작시점이누락될가능성이있었다. 따라서시각적인측면에기초하는경우움직임의최고점바로직전프레임에서구분하였고, 소리에기초하는경우음성이나타나는구간의바로직전의프레임에서구분하여, 시작시점이누락되지않도록하였다. < 그림 - 1> 비유창성시작시간및비유창성종료시간구분의예 비유창성시작시간은긴장이동반되지않은반복과연장의경우음성시작시간을기준으로측정하였다. 막힘과긴장이동반된유형에서는목표음의조음제스처를기준으로시각적으로구분하였다. 캠코더1로촬영한안면 / 고개기록과캠코더2로촬영한사지 / 몸통기록에대하여비유창한구간을개별적으로측정하였다. 연장의경우모음을연장할때에는해당음절의시작부터연장되지않는다음음절의시작전까지를측정하였다. / ㅎ / 으로시작하는소리도동일하게측정하였다. 그외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의자음을연장하는경우에는자음의시작부터해당음절의모음시작전까지를측정하였다. 막힘은목표음의조음이고착되는시점부터발성 / 기류가시작하기전까지를측정하였다. 총 1,151개의비유창한구간중조사나어미의반복, 단어끝부분의반복은분석에서제외하였고, 비유창성-시작과비유창성-종료의확인이분명하지않은경우는분석에서제외하였다. 그결과 233개의비유창한구간이분석에서제외되었고, 918개의비유창한순간이분석에포함되었다.

이혜란 박은숙 김향희 심현섭 / 3~5 세말더듬아동의비유창성에동반되는수반행동의특성 (4) 수반행동확인 918개의비유창한구간가운데다음의네가지사항중하나라도안면과사지및몸통의자료에서나타나는경우분석에서제외하였다. 첫째, 아동이몸을이동하여걷는경우, 둘째, 화면에서사라진경우, 셋째, 빠른속도로몸을움직여안면움직임의확인이어려운경우, 넷째, 손이나팔로안면을가려서안면움직임이확인되기어려운경우. 그결과 294개비유창성구간이분석에서제외되었고, 나머지비유창성구간중움직임의변화가나타난안면 / 고개와사지 / 몸통의수반행동부위를확인하였다. 안면 / 고개행동은기본적으로 FACS (Eckman, Frasen & Haber, 2002) 분류체계에근거하여분류하였고, 사지 / 몸통행동은본연구자가조작적으로정의하였다. 구체적인기준은 < 부록 -2> 에제시하였다. 그림에서눈깜빡임의비유창성시작시간은 30 msec 이고, 고개기울임의시작시간은 55 msec 임. < 그림 - 2> 수반행동시작시점구분의예 안면자료는안면상부, 코, 안면하부, 고개의순서로살피고기록하였다. 사지및몸통자료는왼쪽손, 왼쪽팔, 오른쪽손, 오른쪽팔, 왼쪽발, 왼쪽다리, 오른쪽발, 오른쪽다리, 몸통의순서로살피고기록하였다. 안면행동의경우말을더듬는과정의행동변화를살피는것이기때문에특히입술, 뺨, 턱의움직임 (AU10, AU14, AU16, AU17, AU18, AU20, AU23, AU24, AU25, AU26, AU28) 이더듬는말과관련이되었을가능성이있어분석시주의를요하였다. Eckman, Fresen & Haber (2002) 는소리를내는데필요한정도이상으로움직임의강도가강해지는경우, 말소리시작이전에움직임이출현하거나말소리가끝나고도움직임이지속되는경우, 말사이쉼구간동안에나타나는경우는안면움직임을구별할수있다고하였다. 그러나말더듬의경우말소리를만들기위한조음기관의움직임이유창한말에비하여과도하게긴장되어있거나움직임이과장되어있을수있고, 또한그움직임이말소리가지속되기전과후까지도지속이될수있으며, 쉼구간에도더듬는말의움직임이보일수있다. 따라서분명하게안면의움직임이과장되거나산출하는말소리와관련되지않는다고판단되는경우에한하여입술, 뺨, 턱의움직임으로구분을하였다. 호흡으로인하여몸통과고개가흔들리는경우는분석에서제외하였다. 몸통의움직임으로인하여고개가움직여진경우는몸통의움직임만분석하고고개의움직임은별도로분석하지않았다. 안면

언어청각장애연구 2008;13;654-676 중고개의움직임은특히어깨및몸통움직임과의상대적인위치를고려하였다. 사지와몸통의움직임에서연속적인행동이하나의목적을갖는경우는하나의행동으로분석하였다. 예를들어무릎위에손을대고있다가의자를잡는경우라면무릎위에서손과팔을움직여위로들고바깥쪽상향으로움직이고다시손으로의자를잡는개별적인움직임을따로구분하지않고 손과팔을움직여의자를잡는행동 하나로분석하였다. 안면및사지와몸통의움직임에서반복적인움직임은반복의시작점을찾아기록하였다. 그러나동일한행동을반복하고있다고하더라도최소분석단위인 6msec를초과하여쉼 (pause) 이있었다면개별적인행동으로분석하였다. 여러단어를비유창하게말하는동안에하나의수반행동이계속지속될경우첫번째비유창성의순간에만행동유형을분석하여자료에포함시켰다. 그러나하나의목표단어안에서도여러유형의비유창성이보이는복합비유창성의경우는그수반행동이어떤종류의비유창성과관련되는지판단하는데어려움이있으므로행동유형을비유창성마다반복적으로코딩하였다. 안면 / 고개의움직임자료와사지 / 몸통의움직임자료를두대의캠코더로각각촬영하였기때문에구간분절과정에서검사자내오차가발생할가능성이있었다. 따라서두비유창한구간의지속시간의차이가각비유창한구간지속시간의 1/3을초과하는경우그비유창한구간은안면 / 고개와사지 / 몸통자료모두분석에서제외하였다. 이과정중총 42개의구간이제외되고최종분석에는 582개의비유창한구간이포함되었다. 다. 통계검정 말더듬및정상비유창성유형별수반행동의출현빈도특성을살펴보기위하여수반행동을동반한말더듬의비율, 수반행동을동반한정상비유창성의비율을살펴보았다. 또한말더듬당평균수반행동빈도및정상비유창성당평균수반행동빈도를구하였다. 비유창성종류및수반행동부위에따라수반행동의출현빈도가다른지살펴보기위하여 SPSS version 13.0로카이검정을실시하였다. 라. 신뢰도 언어병리학을전공하고있는석사과정생 1명이비유창성종류및수반행동부위분류및시작시간측정에대한기준을숙지한후평가자간신뢰도를측정하는데참여하였다. 최종분석대상이된 582 개의약 10% 인 61개의비유창한구간을대상으로하였다. (1) 안면 / 고개와사지 / 몸통자료의비유창성구간측정간평가자내신뢰도 61개의비유창한구간에대하여캠코더1과캠코더2로측정한비유창성지속시간의평균은각각 107.12 (SD = ± 88.70) msec 와 105.81 (SD = ± 87.67) msec이었고, 두비유창성지속시간의절대값의평균은

이혜란 박은숙 김향희 심현섭 / 3~5 세말더듬아동의비유창성에동반되는수반행동의특성 7.64msec이었다. 두비유창성지속시간에대한피어슨상관계수는.989에해당하였고 (p <.001), 오차율은캠코더1( 안면 / 고개 ) 기준.07, 캠코더2( 사지 / 몸통 ) 기준.07이었다. (2) 비유창성빈도및종류에대한평가자내신뢰도 61개의비유창한구간에대한비유창한순간확인에대한일치도는 97% 였고, 비유창한순간의유형에대한일치도는 90% 였다 ( 캠코더1 기준 ). (3) 수반행동빈도및부위에대한평가자내신뢰도 61개의비유창한구간에서보인수반행동의빈도에대한평가자내일치도는안면 / 고개의경우 92% 였고, 부위에대한평가자내일치도는 89% 였다. 사지 / 몸통의경우각각 90%, 88% 였다. (4) 비유창성빈도및종류에대한평가자간신뢰도 61개의비유창한구간에대한비유창한순간확인에대한일치도는 89% 였고, 비유창성종류에대한일치도는 83% 였다. (5) 비유창한구간측정의평가자간신뢰도 61개의비유창한구간에대한비유창한순간에대해일치한 54개의순간에대하여비유창성의시작시간에대한피어슨상관계수는.881에해당하였고 (p <.01), 끝시간에대한피어슨상관계수는.942에해당하였다 (p <.01). (6) 수반행동빈도및부위에대한평가자간신뢰도 61개의비유창한구간에대한비유창한순간에대해일치한 54개의순간에대하여수반행동의빈도에대한평가자간일치도는안면의경우 85% 였고, 부위에대한평가자내일치도는 81% 였다. 사지의경우각각 84%, 83% 였다. Ⅲ. 연구결과 1. 수반행동의출현빈도 비유창성종류가분류된 582개의구간중말더듬은 395개, 정상비유창성은 187개였다. 이정상비유창성중복합비유창성군내의정상비유창성 67개는분석에서제외하였다 1). 최종적으로분석에포함

언어청각장애연구 2008;13;654-676 된비유창한구간은 515개였다. 이 515개의비유창한구간중 499개 (97%) 구간에서수반행동이나타났다. 말더듬과정상비유창성에서수반행동의비율은큰차이를보이지않았다. < 그림 -3> 에서보면, 말더듬은총 395개의 97% 인 385개에서, 정상비유창성은총 120개의 95% 인 114개구간에서수반행동이나타났다. 그림안의숫자는수반행동이동반되는비유창성의출현횟수와전체비유창성중차지하는비율백분율및수반행동이없는비유창성의출현횟수와전체비유창성중차지하는비율백분율임. < 그림 - 3> 비유창성종류별수반행동이동반되는비율백분율비교 말더듬과정상비유창성종류별로연합되는평균수반행동의수에서도큰차이를보이지않았다. 515개의비유창한구간에서총 2,092회의수반행동이나타나전체비유창성당수반행동의평균빈도는 4.1회였다. 말더듬의경우 395개구간동안 1,564개의수반행동이동반되어말더듬당수반행동의평균빈도는 4.0회였다. 정상비유창성의경우 120개구간동안 528개의수반행동이동반되어정상비유창성당수반행동의평균빈도는 4.4회였다. 1) 동일한정상비유창성이라고하더라도여러개의비유창성이연이어나타나는복합비유창성군내에있는것과단독으로나타나는것은그성질이다를수있다. 말더듬과정상비유창성이함께나타나는경우는특히그러하다. Zimmermann 은말근육이특정역치를넘어서게되면감각피드백이뇌간을통해들어가결과적으로말근육의움직임이경련이나 (oscillation) 이나긴장성행동 (tonic behavior) 으로변할수있다고가정하고, 이과정중에도말시스템이즉시들신경 - 날신경 (afferent-efferent) 상의균형을되찾지못하면경련이나긴장성행동으로인한자극이부적응적이고 (maladaptive) 과도긴장하는 (hypertonic) 회피행동을유발하게된다고주장하였다. 따라서비유창성의연쇄 (clusters of disfluencies), 특히부분단어반복이나비운율적인발성이포함된비유창성군들은이러한과잉긴장의영향 (overflowing) 으로부터비롯된것일수있다 (Hubbard & Yairi, 1988).

이혜란 박은숙 김향희 심현섭 / 3~5 세말더듬아동의비유창성에동반되는수반행동의특성 2. 비유창성종류와수반행동부위별출현빈도와의관계 전체수반행동 2,092개중안면 / 고개행동은 61.6% 인 1,289회, 사지 / 몸통행동은 38.4% 인 803회였다. 안면 / 고개행동중단일안면 / 고개행동은 1,228회, 복합안면 / 고개행동은 61회가나타났다. 이후분석에서는위치가불분명한기타행동및복합안면행동유형 75회를제외하고최종적으로안면 / 고개행동 1,215회 (60.2%) 와사지 / 몸통행동 802회 (39.8%), 총 2,017회를대상으로분석하였다 (< 표 -2> 참조 ). < 표 - 2> 수반행동부위및비유창성종류별수반행동출현빈도와비율 긴장성비유창성 경련성비유창성 정상비유창성 - 긴장 정상비유창성 비유창성종류 계 안면상부 안면 / 고개 눈동자안면하부 ( 단위 : 회 ) 사지 / 몸통 턱 / 입고개사지몸통 막힘 175 12 14 2 82 54 11 단어쪼개짐 32 6 12 12 2 연장 151 13 2 2 56 58 20 연장-긴장 111 11 7 50 32 11 계 469 42 (9.0%) 23 (4.9%) 4 (0.9%) 0 (0%) 200 (42.6%) 156 (33.2%) 44 (9.4%) 269(57.4%) 200(42.6%) 단음절- 단어내반복 657 80 30 8 281 205 53 단음절-단어내반복- 긴장 290 39 12 6 133 74 26 계 947 정상비유창성 - 긴장 87 119 (12.6%) 12 (13.8%) 42 (4.4%) 10 (11.5%) 14 (1.5%) 0 (0%) 414 (43.7%) 405 (29.5%) 79 (8.3%) 589(62.2%) 358(37.8%) 2 (2.3%) 0 (0%) 28 (32.2%) 25 (28.7%) 52(59.8%) 35(40.2%) 10 (11.5%) 다음절이상단어반복 59 7 5 20 21 6 간투어 325 42 18 3 1 132 101 27 미완성수정구 130 14 12 51 43 10 계 514 총계 2,017 63 (12.3%) 236 (11.7%) 괄호안의숫자는수반행동부위별비율백분율임. 35 (6.8%) 110 (5.5%) 3 (0.6%) 1 (0.2%) 203 (39.5%) 165 (32.1%) 43 (8.4%) 305(59.4%) 209(40.5%) 23 (1.1%) 1 (0.0%) 845 (41.9%) 625 (31.1%) 175 (8.7%) 1,215(60.2%) 802(39.8%)

언어청각장애연구 2008;13;654-676 수반행동부위별로살펴보면비유창성하위종류와상관없이안면 / 고개행동이 50~60% 에해당하였고, 사지 / 몸통은 40~50% 를차지하고있었다. < 표 -2> 와 < 그림 -4> 를참고하였을때, 안면 / 고개의경우고개움직임 (845회, 41.9%) 의빈도가가장높았으며, 그다음이안면상부 (236회, 11.7%), 눈동자 (110회, 5.5%), 안면하부 (23회, 1.1%), 턱 / 입 (1회, 0.0%) 순이었다. 이러한경향성은비유창성의하위종류별로나누어살펴보아도마찬가지였다. 정상비유창성-긴장에서만고개움직임의비율이상대적으로낮은양상을보였다. 사지 / 몸통움직임의경우평균적으로사지의움직임 (625회, 31.1%) 이몸통움직임 (175회, 8.7%) 보다많이나타났다. 이러한경향성은비유창성의하위종류별로나누어살펴보아도마찬가지였다. 그림안의숫자는출현빈도 ( 회 ) 임. < 그림 - 4> 비유창성종류에따른수반행동하위종류별출현빈도및비율비교 비유창성종류별로수반행동부위별빈도가다른지살펴보기위하여카이검정을실시하였다. 카이검정의경우기대빈도가 5보다작은셀이 20% 를넘는경우적용하기어렵기때문에비유창성종류를긴장성 (tonic) 비유창성 ( 막힘, 단어쪼개짐, 연장, 연장-긴장 ), 경련성 (clonic) 비유창성 ( 단음절-단어내반복, 단음절-단어내반복-긴장 ), 정상비유창성-긴장, 정상비유창성으로재분류하였고, 수반행동부위중턱 / 입의경우 1회만나타나분석에서는제외하였다 (< 표 -2> 참조 ). 이렇게재분류한결과 8.3% 인 2개의셀에서기대빈도가 5보다작았다. 검정결과비유창성종류별로수반행동부위별빈도가유의하게다르지않았다 ( 2 = 23.855, p =.068).

이혜란 박은숙 김향희 심현섭 / 3~5 세말더듬아동의비유창성에동반되는수반행동의특성 Ⅳ. 논의및결론 본연구에서는말을더듬는아동들이유창성방해정도에따라수반행동의특성이달라지는지알아보기위하여말더듬과정상비유창성간에수반행동의빈도를비교하여살펴보았다. 연구결과수반행동의빈도가비유창성의종류에따라차이를보이지는않았으며, 연구결과비유창성당수반행동의빈도는말더듬기준 4.0회, 정상비유창성기준 4.4회로오히려정상비유창성에서다소높은양상을보였다. 또한비유창성종류별로수반행동의위치에따른빈도에서도유의한차이를보이지않아, 수반행동의빈도차원은유창성의방해정도를민감하게반영하고있지않았다. 본연구결과학령전의어린말더듬아동들도비유창한동안에수반행동을자주보이고있었다. 또한, 말더듬출현후기간이얼마경과되지않은아동들도비유창한동안에수반행동을빈번하게보였다. 본연구의실험에참여하였던아동들중특히말더듬출현후기간이 3개월미만이었던만 3세의 PH와 SJ는비유창한동안수반행동을자주보였다. 이러한연구결과는학령전어린아동들을대상으로수반행동의출현빈도를살펴보았던선행연구와도맥을같이한다 (Conture & Kelly, 1991; Schwartz, Zebrowski & Conture, 1990; Yairi, Ambrose & Paden, 1996; Yairi & Hall, 1993). Schwartz, Zebrowski & Conture (1990) 에따르면말더듬출현후기간과수반행동의빈도사이에는직접적인상관관계를보이지않았으며오히려부적인관계를보였다. 또한 Yairi, Ambrose & Paden (1996) 은말더듬출현후 6~12개월및 13~18개월시점에서말더듬지속집단, 초기회복집단, 후기회복집단의수반행동빈도변화를살펴보았는데, 말더듬지속집단은다소증가하는양상을, 후기회복집단은비슷한양상을, 초기회복집단은다소감소하는양상을보였으나집단간유의한차이를나타내지는않아, 수반행동이말더듬출현후기간의경과에따라일정하게증가하고있지는않았다. 본연구의결과에서비유창한구간대비수반행동의출현빈도는평균 4.1회였다. 이러한결과는선행연구결과들보다높은수치이다. 평균 49개월된아동을대상으로살펴보았던 Schwartz, Zebrowski & Conture (1990) 의연구결과에서는수반행동이말더듬당 1.1개였고, 71개월된아동을연구하였던 Schwartz & Conture (1988) 의연구에서는비유창성당 1.73개였으며, 54개월된아동을대상으로하였던 Conture & Kelly (1991) 의연구에서는 300개의말더듬단어당 445개의수반행동이출현하였다. 본연구의결과가선행연구결과와차이를보였던이유로서다음의두가지를생각해볼수있다. 첫째, 수반행동의관찰범위가달랐던점이다. 선행연구에서는대부분상반신을촬영하여안면만을대상으로하거나혹은안면, 몸통, 상지만을대상으로하였다. 이에비하여본연구에서는안면, 몸통, 상지와더불어하지의움직임을모두살펴보았기때문에더많은수의수반행동이확인되었을수있다. 참고로, 본연구에서안면 / 고개움직임만을포함한경우비유창성당수반행동의빈도는 2.36회이다. 둘째, 수반행동부위분류방법상의차이가영향을미쳤을수있다. 본연구에서는단음절-단어내반복에서더듬는단위가다소변화하더라도단위반복수가증가하는것으로취급하였고 ( 예 : ㅆㅆ씨

언어청각장애연구 2008;13;654-676 씨씽씽카 라고말한경우단음절-단어내반복 1회, 단위반복수 4회로취급함 ), 긴장이동반된단음절- 단어내반복의경우더듬는단위에서보이는막힘을따로분류하지않고 단음절-단어내반복-긴장 의한유형으로취급하였다. 긴장이동반된연장역시하나의목표소리에대하여막힘과연장이연이어서나타나는경우 연장-긴장 의한형태로분류하였다. 따라서선행연구들보다비유창성의빈도수자체가상대적으로낮게계산되었을가능성이있다. 셋째, 과제의종류및관찰조건의차이가영향을미쳤을수있다. 고개와눈동자의변화는특히자극물에따라크게영향을받을수있기때문에본연구에서는가급적자극물인그림을촬영하는캠코더의렌즈바로아래부분에위치시켜자료를수집하였다. 반면선행연구들은주로장난감을이용하여상호작용하는상황에서자료를수집하였다. 장난감을이용한상호작용은자연스럽고도다양한자료를얻을수있다는점에서큰장점이될수는있을것이다. 그러나세밀한움직임을관찰해야하는안면의경우장난감때문에고개를숙이거나, 장난감으로얼굴을가려분석에서제외되는장면이증가하였을가능성이있어서충분히안면움직임의특성이반영되지못하였을가능성이있다. 본연구에참여하였던만 3~5세아동들은비유창한순간에다양한수반행동을보였다. 전반적으로안면 / 고개의움직임이사지 / 몸통의행동보다빈번하게나타났으나, 그비율이대략 3:2 정도로사지 / 몸통행동도수반행동의상당수를차지하고있었다. 이러한연구결과를고려할때말더듬아동의수반행동특성을이해하기위해서는반드시사지 / 몸통행동특성에대한고려도포함하여야할것으로사료된다. 아동의수반행동을살펴보았던선행연구들이주로안면및고개행동을대상으로하였으며간혹몸통및상지의움직임을포함하였던것에비하여, 본연구에서는안면, 고개, 사지, 몸통을모두포함하여수반행동의특성을살폈다는점에서의의가있을것이다. 안면 / 고개행동중에서는고개, 안면상부, 눈동자, 안면하부의순서로그빈도가높았다. Zebrowski & Kelly (2002) 는말더듬아동의수반행동중가장일반적인행동이눈과관련되며눈깜빡임, 눈찡그리기, 눈동자를바깥쪽으로움직이기, 눈동자를위아래로움직이기, 눈맞춤을소실하는것들이라고주장하였다. Yairi & Hall (1993) 은고개와목움직임이아주어린말더듬아동에게서자주나타난다고보고하였다. Conture & Kelly (1991) 는말더듬는아동들이정상아동들보다고개움직임, 눈깜빡임, 윗입술들어올리기등의행동을더자주보인다고주장하였다. 선행연구와마찬가지로본연구에서역시고개움직임의빈도가가장높았다. 또한, 본연구에서안면상부의움직임에는눈깜빡임, 눈감기등이포함되어있었던점을고려할때실제눈과관련된움직임의빈도가비교적높았던것으로보인다. 반면, 본연구에서는전반적으로안면하부및턱 / 입행동의빈도가낮았다. 연구에참여하였던 15명중 9명에게서안면하부행동이나타났으며, 수반행동중 1.2% 를차지하였다. 동일한안면분류체계를사용하였던 Conture & Kelly (1991) 의연구에서는 10.6% 이상을보고하였다. 본연구에서안면하부움직임의빈도가낮았던것은분류상의난점과도관련될수있다. 분석시수반행동코딩에있어서가장엄격한기준이적용되었던것이안면하부의움직임이었는데, 이는안면하부의움직임이말을위한움직임과도관련되기때문이다. 분석기준에서도언급하였듯이 FACS 분류기준에서말을할때안면

이혜란 박은숙 김향희 심현섭 / 3~5 세말더듬아동의비유창성에동반되는수반행동의특성 하부의움직임이구별하기어렵지만말소리를내는데필요한정도이상으로강도가강해지는경우, 말소리이전에나타나거나혹은이후까지도지속이되는경우, 쉼 (pause) 이있는경우에는그래도비교적입술, 뺨, 턱의움직임을구분할수있다 (Eckman & Frese, 2002). 그러나유창한말과비유창한말은다를수있다. 특히비유창성중에서도긴장이동반되는행동들은실제말소리가나기전부터조음의움직임이시작될수있고, 목표소리가끝난다음까지도그긴장의여파가남아있을수있으며, 움직임의동안에도그정도가과장될수있기때문이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확실하게말행동과구별이된다고보이는안면하부의행동만을극도로보수적으로분류하였기때문에그빈도가낮았을수있다. 만 3-5세의어린말더듬아동들이다양한수의수반행동을다양한방식으로보이고있었다는지금까지의결과를고려할때, 조작적조건화의결과로서수반행동이나타난다는기존의설명만으로는어린말더듬아동들의수반행동출현을설명하는데한계가있을수있을것으로보인다. 조작적조건화로설명하기위해서는말더듬에대한인식및잦은경험이전제가되어야하는데, 말더듬에대한인식이발달중에있으며말더듬을경험한지오래되지않은어린아동들도비유창한동안수반행동들을보이고있었기때문이다. 그렇다면어린말더듬아동들은왜수반행동을보이는가? Yairi & Ambrose (2005) 는 25~49개월사이아동들의수반행동의출현을살폈던 Thronberg, Ambrose & Yairi의미발표연구 (2003년당시 ) 를예로들면서아동들이보이는수반행동들이어떤경우에는불수의적인움직임처럼보였던반면에, 어떤행동들은 막혔다는것 에대한중립적인반응처럼즉, 말더듬에대한대처반응이나적응기제라는의식없이반응하는것같다고말하였다. 예컨대, 말을더듬으며눈을깜빡이는경우특별히말의전진적인흐름을돕지않는것일수있다. 그러나음도상승이나고개를아래로떨구거나혹은턱과입술에긴장을하는것은말더듬에서벗어나기위해시도되는 자연스러운부산물 (accompaniments) 로보일수있는데이는무의식적인대처기제로볼수있을것이라고말하면서아동들에게서보이는수반행동들이지금까지생각해왔던것보다는훨씬더복잡할수있다고주장하였다. Conture & Kelly (1991) 는말을더듬는아동과더듬지않는아동을대상으로하여수반행동을비교하여살피면서이들의다양한기능의가능성에대하여다음과같이고찰하였다. 첫째, 수반행동은유창한흐름이막혀서말을나오게하려고과도하게애쓰는과정중에나타나는것일수있다. 즉, 무거운물체를들때이마에주름지게하고, 눈썹의안쪽을치켜올리면서힘을주는것처럼, 방해를받고있는말이나오게끔정신적으로, 정서적으로, 신체적으로집중하여애쓰는것이표현되는것 (overflow) 이다. 둘째, 수반행동은말의어려움에대한반응으로서말더듬에대한대처전략이거나혹은방어기제일수있다. 셋째, 수반행동은청자의부정적인피드백을감소시키려는수단일수있다. 넷째, 수반행동은화용적으로의도적인것이든혹은비의도적인것이든자신의대화차례유지의, 혹은대화차례포기의신호가될수있다. 예를들어, 말을하면서눈을옆으로돌리는경우듣는사람은화자가말을지속하기를기다리게되며, 말을하면서손짓을사용하다가더듬으면서멈추면청자는화자의대화차례가끝났다고판단하고청자가말을이어가게된다는것이다. 다섯째, 수반행동은기저에서일어나고있는처리과정에대한표현형일수있다. 특히특정기간동안의눈깜빡임은인지적인활동혹

언어청각장애연구 2008;13;654-676 은불안수준의변화와관련이되는데, 이는눈의보호를위한반사적인움직임, 수의적인계획된눈의움직임, 혹은피로로인한움직임과는다르다고설명하였다. 실제임상현장에서말을더듬은지얼마되지않은만 2세가량의어린아동들이특별히비유창성에대하여부정적인반응을보이지않는것처럼보이면서도몸을들썩이거나얼굴을찡그리는등다양한형태의수반행동을비교적빈번하게하는것을마주할때가있다. 어떤아동들은말을더듬기전부터특정한수반행동을보이기시작하다가말이유창해지면서그행동을멈추기도한다. 또, 어떤아동들은더듬는말에대한뚜렷한인식및그에대한탈출로서수반행동을하는듯한인상을주기도한다. 앞서논의한 Yairi & Ambrose (2005) 와 Conture & Kelly (1991) 의견해나실제임상현장에서관찰되는것처럼수반행동의기전이다양할수있음에도불구하고, 지금까지수반행동의 말더듬에대한인식및잦은노출로인한조작적조건화에의하여습관화된탈출행동 으로서의면만강조되었던이유는무엇일까? 무엇보다도말더듬의진행이점진적인것이라고여겼던이전의견해가강력하게영향을미쳤기때문일수있다. 말더듬의진행과정은일반적으로처음에는수월한형태로반복을하다가점차더듬는말에긴장이증가하면서이후막힘과같은형태의비유창성이나타나고, 말더듬이어느정도진행되고나면탈출행동이나회피행동과같은이차적인증상들이나타나게되는것으로여겨져왔다. 그러나 Yairi 의일련의연구에따르면초기부터심한형태로말을더듬는아동들이있었다 (Yairi & Ambrose, 2005). 본연구의결과및임상적소견또한마찬가지이다. 그런데많은선행연구들이점진적인말더듬진행에대한견해를전제로삼고주로말더듬을오래경험한성인들을대상으로연구하였다 (Janssen & Kraaimaat, 1986; Kraaimaat & Janssen, 1985; Prin & Lohr, 1972). 따라서이들연구에서보여준수반행동의특성은주로성인들의수반행동특성아주로반영되었을수있다. 실제말을더듬는성인들의경우수반행동중 말더듬에대한인식및잦은노출로인한조작적조건화에의하여습관화된탈출행동 의기능을가진것들이빈번할수있고, 또그것이과장되어두드러지게보일수있다. 유창한아동들이유창하게말할때에도다양한종류의수반행동을보인다는 Conture & Kelly (1991) 의연구결과를주목할필요가있다. 아동들은말을하는도중다양한수반행동을보인다. 어떤것들은말의흐름을유창하게진행시키는것과관련되며, 어떤것들은유창한말의흐름과관련되지않기도한다. 말을더듬는아동들이보이는수반행동이정말더듬는말과관련이된다면 말의흐름이방해받는정도 에따라수반행동의특성이달라져야한다. Conture & Kelly (1991) 는그근거로서정상아동들이유창하게말할때에도다양한종류의수반행동을보이지만더듬는아동들은말을더듬으면서그행동을더자주사용하고있다고주장하였다. 본연구에서는말을더듬는아동들이유창성방해정도에따라수반행동의특성이달라지는지알아보기위하여말더듬과정상비유창성간에수반행동의빈도를비교하여살펴보았다. 연구결과수반행동의빈도가비유창성의종류에따라차이를보이지는않았으며, 연구결과비유창성당수반행동의빈도는말더듬기준 4.0회, 정상비유창성기준 4.4회로오히려정상비유창성에서다소높은양상을보였다. 또한비유창성종류별로수반행동의위치에따른빈도에서도유의한차이를보이지않아, 수반

이혜란 박은숙 김향희 심현섭 / 3~5 세말더듬아동의비유창성에동반되는수반행동의특성 행동의빈도차원은유창성의방해정도를민감하게반영하고있지않았다. 대부분의선행연구들과더불어본연구역시거시적으로말더듬 / 비유창성당수반행동의빈도를살펴보는데주로초점을맞추었다. 보다정밀하게유창성방해정도에따라수반행동의특성이달라지는지알아보기위하여추후연구에서는비유창성이출현하는순간 어떻게 수반행동과관련이되는가와같은미시적인특성도함께살펴볼필요가있을것으로보인다. 연구의제한점및제언은다음과같다. 첫째, 수반행동의분류체계의정립이필요할것으로보인다. 본연구에서는 FACS라는정밀한안면 / 고개움직임의분석체계를사용하였던반면에, 사지 / 몸통의움직임은구체화되지못했던단점이있다. 또한분류체계정립시기존의움직임의부위별특성에따른기준보다는움직임의기전과관련된기준을중심으로한체계가절실히필요하다. 이러한분류체계의정립은분석의신뢰도증진과도관련될수있을것이다. 둘째, 더듬는아동의다양한말특성 ( 더듬는말, 유창한말, 정상비유창성 ) 과정상아동의말특성 ( 유창한말, 정상비유창성 ) 을직접비교할필요가있을것이다. 본연구는더듬는아동들의정상비유창성과말더듬만을비교하였고, 일부선행연구에서는정상아동의유창한말과말더듬아동의더듬는말만을비교하였었다. 다양한말조건에서신체행동들이수반될수있으므로말더듬의특성을설명하는데기여를하고임상적으로도가치있는정보를얻기위해서는이세조건의비교가필요하다고보인다. 셋째, 더듬는아동을대상으로하는경우종단적인자료를통하여치료전후및자발적인회복전후의특성을비교하는연구도의의가있을것으로보인다. 참고문헌 김영태 (1994). 구어-언어진단검사. 서울 : 한국언어치료학회. 김영태 (1996). 그림자음검사를이용한취학전아동의자음정확도연구. 말-언어장애연구, 1, 7-33. 김영태 성태제 이윤경 (2003). 취학전아동의수용언어및표현언어발달척도. 서울 :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심현섭 신문자 이은주 (2004). 파라다이스-유창성검사. 서울 : 파라다이스복지재단. Bluemel, C. (1932). Primary and secondary stuttering. Quarterly Journal of Speech, 18, 178-200. Conture, E. G., & Kelly, E. M. (1991). Young stutterer s non-speech behaviors during stuttering.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4, 1041-1056. Eckman, D., Fresen, W. V., & Haber, J. C. (2002). Facial action coding system [CD-Rom]. Guitar, B. (2005). Stuttering: An integrated approach to its nature and treatment (3rd ed.). Baltimore, M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Helm-Estabrooks, N. (1999). Stuttering associated with acquired neurogenic disorders. In R. F. Curlee (Ed.), Stuttering and related disorders of fluency (2nd ed.). New York: Thieme.

언어청각장애연구 2008;13;654-676 Hubbard, C. P., & Yairi, E. (1988). Clustering of disfluencies in the speech of stuttering and nonstuttering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1, 228-233. Janssen, P., & Kraaimaat, F. (1986). Onset and termination of accessory facial movements during stuttering. Perceptual Motor Skills, 63, 11-17. Kraaimaat, F., & Janssen, P. (1985). Are the accessory facial movements of the stutterer learned behaviors? Perceptual Motor Skills, 60, 11-17. McAllister, J., & Kinkston, M. (2005). Final part-word repetitions in school-age children: Two case studies.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30, 255-267. Perkins, W. H., Kent, R. D., & Curlee, R. F. (1991). A theory of neuropsycholinguistic function in stuttering.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4, 734-752. Riley, G. (1972). A stuttering severity instrument for children and adul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7, 314-322. Schwartz, H. D., Zebrowski, P. M., & Conture, E. G. (1990). Behaviors at the onset of stuttering.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15, 77-86. Van Brosel, J. (1997). Neurogenic stuttering: A review. Journal of Clinical Speech and Language Studies, 7, 16-33. Van Riper, C. (1982). The nature of stuttering (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Wingate, M. E. (2002). Foundations of stuttering. San Diego, CA: Academic Press. Yairi, E., Ambrose, N. G., Paden, E. P., & Throneburg R. N. (1996). Predictive factors of persistence and recovery: Pathways of childhood stuttering.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9, 51-57. Yairi, E., & Hall, K. (1993). Temporal relations within repetitions of preschool children near the onset of stuttering: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6, 231-244. Yairi, E., & Ambrose, N. G. (2005). Early childhoood stuttering for clinicians by clinician. Austin, TX: Pro Ed. Zebrowski, P. A., & Kelly, E. M. (2002). Manual of stuttering intervention. Albany, NY: Delmar. 2) - 이논문은제 1 저자의박사학위논문 (2008) 을요약한것임.

이혜란 박은숙 김향희 심현섭 / 3~5 세말더듬아동의비유창성에동반되는수반행동의특성 < 부록 - 1> 비유창성종류분류기준 정상비유창성 정상비유창성 - 긴장 경련성비유창성 긴장성비유창성 기타 용어주저함간투어미완성- 수정구다음절단어이상반복어순도치기타정상비유창성주저함- 긴장간투어-긴장미완성-수정구-긴장다음절단어이상반복-긴장단음절-단어내반복-긴장단음절-단어내반복연장-긴장연장단어쪼개짐막힘기타말더듬 정의 긴장이동반되지않은주저함 긴장이동반되지않은간투어 긴장이동반되지않음수정및미완성구 긴장이동반되지않은다음절이상단어반복 어순이도치되어반복하는경우 기타정상범주의비유창한말 긴장이동반된주저함 긴장이동반된간투어 긴장이동반된수정및미완성구 긴장이동반된다음절단어이상의반복 단음절단어전체반복혹은단어의부분반복으로긴장이동반되거나반복의속도가불규칙하거나말소리의세기및높낮이가변이하는경우 단음절단어전체반복혹은단어의부분을수월하게반복하는경우 말소리를연장하되긴장이동반되거나말소리의세기및높낮이가변이하는경우 수월한말소리연장 단어내부의쪼개짐 말소리의막힘

언어청각장애연구 2008;13;654-676 < 부록 - 2> 수반행동분류기준 위치 AU 내용위치 AU 내용 안면상부 1 Inner Brow Raise 2 Outer Brow Raise 4 Brow Lowerer 5 Upper Lid Raise 6 Cheek Raise 턱 / 입 25 Lips Part 26 Jaw Drop 27 Mouth Stretch 28 Lips Suck 51 Turn Left 7 Lids Tight 52 Turn Right 43 Eye Closure 53 Head Up 45 Blink 54 Head Down 46 Wink 고개 55 Tilt Left 61 Eyes Left 56 Tilt Right 62 Eyes Right 57 Forward 눈동자 안면하부 63 Eyes Up 58 Backward 64 Eyes Down 65 Walleye 66 Crosseye 9 Nose Wrinkle 10 Upper Lip Raiser 11 Nasolabial Furrow Deepener 12 Lip Corner Puller 13 Sharp Lip Puller 14 Dimpler 15 Lip Corner Depressor 16 Lower Lip Depress 17 Chin Raiser 18 Lip Pucker 20 Lip Stretch 기타행동 22 Lip Funneler 23 Lip Tightener 사지 24 Lip Presser 몸통 8 Lips Toward Each Other 19 Tongue Show 21 Neck Tightener 29 Jaw Thrust 30 Jaw Sideways 31 Jaw Clencher 32 Bite 33 Blow 34 Puff 35 Cheek Suck 36 Tongue Bulge 37 Lip Wipe 38 Nostril Dilate 39 Nostril Compress

Lee et al. / Characteristics of Nonspeech Behavior Associated With Disfluencies on 3-5 Year Old Children Who Stutter ABSTRACT Characteristics of Nonspeech Behavior Associated With Disfluencies on 3-5 Year Old Children Who Stutter 1) Hyeran Lee a,b,, Eun Sook Park c, HayngHee Kim b,c, Hyun-Sub Sim d a Department of Speech-Language Therapy, Woosong University b Graduate Program in Speech and Language Pathology, Yonsei University c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Ewha Womans University Background & Objectives: Investigators has rarely studied on nonspeech behaviors- especially children s nonspeech behaviors associated with stuttering comparing with core stuttering speech eve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nonspeech behaviors associated with disfluencies of children who stutter, by examination of the frequency of nonspeech behavio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disfluencies and associated nonspeech behaviors. Methods: 15 three-to-five year old children who stut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nonspeech behaviors during speech tasks were classified into face/head movement and limb/torso movements using facial action coding system and category instrumentally defined for this study.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nonspeech behaviors by the type of disfluencies(stuttering: 97%, normal disfluencies: 95%) and in the mean number of the frequency of nonspeech behaviors per disfluency by the type of disfluencies(stuttering: 4.0, nonspeech behaviors: 4.4). There were more face/head movements than limb/torso movements during total disfluencies. The type of associated nonspeech behaviors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type of disfluencies( 2 = 23.855, p =.068).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propose the possibility of various functions of associated behaviors. Young children who stutter frequently showed various type of nonspeech behaviors during disfluencies. Other methods than frequency analysis will be need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disfluencies and associated nonspeech behaviors in future studie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08;13;654-676) Key Words: children who stutter, nonspeech behaviors, accessory behaviors, accompanied behaviors, facial action coding system (FACS) 1) This paper was summarized from the doctoral dissertation of the first author, Lee (2008). Received October 25, 2008; final revision received December 15, 2008; accepted December 18, 2008. Correspondence to Prof. Hyeran Lee, PhD, Department of Speech-Language Therapy, Woosong University, 17-2, Jayang-Dong Dongu, Daejeon, 300-718, Korea, e-mail: hrlee@wsu.ac.kr, tel.: + 82 42 630 9223 c 2008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http://www.kasa1986.or.kr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08;13;654-676 References Bluemel, C. (1932). Primary and secondary stuttering. Quarterly Journal of Speech, 18, 178-200. Conture, E. G., & Kelly, E. M. (1991). Young stutterer s non-speech behaviors during stuttering.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4, 1041-1056. Eckman, D., Fresen, W. V., & Haber, J. C. (2002). Facial action coding system [CD-Rom]. Guitar, B. (2005). Stuttering: An integrated approach to its nature and treatment (3rd ed). Baltimore, M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Helm-Estabrooks, N. (1999). Stuttering associated with acquired neurogenic disorders. In R. F. Curlee (Ed.), Stuttering and related disorders of fluency (2nd ed.). New York: Thieme. Hubbard, C. P., & Yairi, E. (1988). Clustering of disfluencies in the speech of stuttering and nonstuttering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1, 228-233. Janssen, P., & Kraaimaat, F. (1986). Onset and termination of accessory facial movements during stuttering. Perceptual Motor Skills, 63, 11-17. Kim, Y. T. (1994). Diagnostic Test for Oral Language. Daegu: Korea Speech-Language & Hearing Association. Kim, Y. T. (1996). A study of percent of correct consonant of preschool children in picture consonant articulation test.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 7-33. Kim, Y. T., Seong, T. J., & Lee, Y. K. (2003). Preschool Receptive Expressive Language Scale.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Kraaimaat, F., & Janssen, P. (1985). Are the accessory facial movements of the stutterer learned behaviors? Perceptual Motor Skills, 60, 11-17. McAllister, J., & Kinkston, M. (2005). Final part- word repetitions in school-age children: Two case studies.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30, 255-267. Perkins, W. H., Kent, R. D., & Curlee, R. F. (1991). A theory of neuropsycholinguistic function in stuttering.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4, 734-752. Riley, G. (1972). A stuttering severity instrument for children and adul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7, 314-322. Schwartz, H. D., Zebrowski, P. M., & Conture, E. G. (1990). Behaviors at the onset of stuttering.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15, 77-86. Sim, H. S., Shin, M. J., & Lee, E. J. (2004). Paradise-Fluency Assessment. Seoul: Paradise Welfare Foundation. Van Brosel, J. (1997). Neurogenic stuttering: A review. Journal of Clinical Speech and Language Studies, 7, 16-33. Van Riper, C. (1982). The nature of stuttering (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Wingate, M. E. (2002). Foundations of stuttering. San Diego, CA: Academic Press. Yairi, E., & Ambrose, N. G. (2005). Early childhoood stuttering for clinicians by clinician. Austin, TX: Pro Ed. Yairi, E., & Hall, K. (1993). Temporal relations within repetitions of preschool children near the onset of stuttering: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6, 231-244. Yairi, E., Ambrose, N. G., Paden, E. P., & Throneburg R. N. (1996). Predictive factors of persistence and recovery: Pathways of childhood stuttering.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9, 51-57. Zebrowski, P. A., & Kelly, E. M. (2002). Manual of stuttering intervention. Albany, NY: Delm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