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전문가용간접트라우마관리도구 (STCI) 의개발 Development of the Secondary Trauma Care Inventory(STCI)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저자 (Authors) 주혜선, 조윤화, 안현의 Hyesun Joo, Yoonwha Cho, Hyunnie Ahn 출처 (Source) 28(3), 2016.8, 579-613 (35 page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8(3), 2016.8, 579-613 (35 pages) 발행처 (Publisher) 한국심리학회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URL http://www.dbpia.co.kr/article/node07003366 APA Style 주혜선, 조윤화, 안현의 (2016). 정신건강전문가용간접트라우마관리도구 (STCI) 의개발., 28(3), 579-613. 이용정보 (Accessed) 이화여자대학교 203.255.172.*** 2016/10/21 11:38 (KST) 저작권안내 DBpia 에서제공되는모든저작물의저작권은원저작자에게있으며, 누리미디어는각저작물의내용을보증하거나책임을지지않습니다. 이자료를원저작자와의협의없이무단게재할경우, 저작권법및관련법령에따라민, 형사상의책임을질수있습니다. Copyright Information The copyright of all works provided by DBpia belongs to the original author(s). Nurimedia is not responsible for contents of each work. Nor does it guarantee the contents. You might take civil and criminal liabilities according to copyright and other relevant laws if you publish the contents without consultation with the original author(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16, Vol. 28, No. 3, 579-613 정신건강전문가용간접트라우마관리도구 (STCI) 의개발 * 주혜선조윤화안현의 이화여자대학교 본연구에서는정신건강전문가들의간접트라우마관리에유용한전략들을다각적으로평가할수있는도구 (Secondary Trauma Care Inventory, STCI) 를개발하였다. 이를위해본연구의전문가집단이문헌연구를통해예비도구의영역 ( 신체적조절, 주도적관계자원활용, 심리적경계설정, 의미추구, 그외심리적균형조절, 기관간접트라우마관리 ) 과예비문항들을개발하였다. 이후본연구의주요도구들을포함한설문을 489명의정신건강전문가들에게실시하고직무수행과정에서간접트라우마경험이있는정신건강전문가 435명의자료를분석에사용하였다. 문항분석, 탐색적요인분석, 확인적요인분석결과, 그외심리적균형조절요인이제외되면서최종 STCI는 5요인구조이면서신뢰도와타당도를지님을확인하였다. 또한개인차원과기관차원각각의총점에근거하여절단점수를산출하고절단점수의타당도를함께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본연구의주요결과를토대로연구의의의와 STCI의활용제안, 본연구의제한점에대해서도함께논의하였다. 주요어 : 정신건강전문가, 간접트라우마스트레스, 소진, 공감피로, 간접트라우마관리 * 이논문은 2014년정부 ( 교육부 ) 의재원으로한국연구재단의지원을받아수행된연구임 (NRF-2014S1A3A2038236). 교신저자 : 안현의, 이화여자대학교심리학과, 서울시서대문구대현동 11-1 Tel : 02-3277-2643, E-mail : ahn12@ewha.ac.kr - 579 -
생존에위협을주었거나누군가사망하는것또는신체적이거나성적인폭력과같은트라우마가될수있는사건들은직접적으로현장에서사건을경험하거나목격하지않았더라도, 가까운주요타인이이러한사건을경험했다는것을알게되거나직무수행과정에서트라우마생존자들을돕는것과같은간접적인노출만으로도부정적인심리적영향을줄수있다 (American Psychiatry Association, 2013). 심리학자, 사회복지사, 정신보건간호사및의사등과같은정신건강전문가들은트라우마로인한부정적인심리적영향을예방하거나완화시키는데필요한서비스를제공하는주체인동시에간접트라우마노출에따른부정적인영향에대한관리가필요한대상이라는특수성을지닌다. 따라서정신건강전문가들은직무수행과정에서경험하는간접트라우마가미치는영향을규명하고이를효과적으로관리하기위한방법들에대해서관심을가져왔다 (Bercier & Maynard, 2015; Hensel, Ruiz, Finney, & Dewa, 2015). 정신건강전문가들이간접트라우마에노출될때경험할수있는심리적사회적영향을설명하는개념으로는간접트라우마스트레스, 대리외상, 소진, 공감피로가대표적이다. 간접트라우마스트레스 (secondary traumatic stress, 이하 STS) 는트라우마생존자를돌보는직무활동에따른정서적충격과인지적 행동적증상들에관한것으로 (Bride, Radey, & Figley, 2007), 직접트라우마에노출되지않았음에도불구하고직접트라우마에노출된사람들이보이는외상후스트레스증상과유사하게트라우마사건과관련된침습, 회피, 신체과각성등의정서적고통을경험하게되는것을의미한다 (Bride, Robinson, Yegidis, & Figley, 2004; Figley, 1999). STS는트라우마생존자가경험했던트라우마에대한정보들에노출되면서사건에대한공포기억망이만들어지면서보이는반응으로이해될수있다. 따라서간접트라우마스트레스는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마찬가지로트라우마와관련된공포기억이핵심적인기제이다 (Stamm, 2010). 대리외상 (vicarious traumatization) 은트라우마로인해고통스러워하는사람들에게정서적으로관여하며공감하는과정에서정신건강전문가의내적신념체계즉, 자신, 세상, 타인에대한관점들이변화하는현상을말한다 (Boscarino, Adams, & Figley, 2004; Pearlman & Mac Ian, 1995). STS가하나의트라우마사건에대한간접노출을통해서도발생할수있는것임에반해대리외상은반복적이고장기적으로내담자의트라우마에노출되면서서서히세계관의변화가야기된다는점에서차이가있다 (Jenkins & Baird, 2002). 이렇게외상화된신념체계는트라우마와관련된공포기억을만들고유지시키는과정모두에관여하는인지적기제이다 ( 안현의, 한민희, 주혜선, 2013). 소진 (burnout) 은정서적탈진 (emotional exhaustion), 비인격화 (depersonalization), 성취감저하 (decreased feeling of personal accomplishment) 라는 3개하위개념을포함하는데, 정서적탈진은직무에관해정서적 인지적으로거리를두는방식의저조한수행을보이는것이며, 비인격화는내담자를돕는활동에대해냉소적인마음을느끼게되는현상이고, 성취감저하는직무와관련해낮은생산성과효능감을느끼는것을의미한다 (Maslach, Schaufeli, & Leiter, 2001). 소진은주로직무환경이지니는특성때문에일어나는현상으로, 과도한업무 - 580 -
주혜선 조윤화 안현의 / 정신건강전문가용간접트라우마관리도구 (STCI) 의개발 나조직의목표와개인의가치사이의불일치가있을때어느정도시간이지나면서발생하게된다 (Maslach et al., 2001). 공감피로 (compassion fatigue, CF) 는앞서기술된간접트라우마스트레스에소진이라는개념이추가된상위의개념으로트라우마생존자를돕는전문가가경험할수있는부정적인영향으로정의된다 (Stamm, 2010). Stamm에따르면소진과간접트라우마스트레스는높은상관관계를지니고있지만간접트라우마스트레스와는달리소진은공포기억과의연관성이낮다는기제의차이를고려하여두개념은구분되어야하는것으로간주된다. 이외에도간접트라우마는전반적인심리사회적적응에부정적인영향을미치는것으로알려져있다. 간접트라우마스트레스, 대리외상, 또는소진의수준이높아질수록우울과불안 (Devilly, Wright, & Vaker, 2009; Samios, Rodzik, & Abel, 2012) 이나대인관계곤란 (Clark & Gioro, 1998; White, 1998) 과같은어려움을동반할수있다 (Cornille & Meyers, 1999; Ghahramanlou & Brodbeck, 2000; Jenkins & Baird, 2002). 정신건강전문가를위한간접트라우마관리평가도구개발의필요성이처럼정신건강전문가들이직무수행상경험할수있는간접트라우마노출에따른해로운영향들을인식하고관리하는것은유능감과안녕감을유지하며만족스러운직무수행을지속하기위해필수적이다. Figley(2002) 의공감스트레스및피로모델 (compassion stress and fatigue model) 에따르면, 정서적고통을경험하는사람들을돕는과정에서전문가 들이지니는공감은상대의요구를깊이이해하고효과적으로도울수있도록하는원동력이지만동시에공감피로를유발한다. 하지만내담자를돕는노력에대해성취감을느낄수있고내담자에대한생각, 감정, 감각들과같은내적경험들을조절할수있다면공감피로를예방하거나낮출수있다. 이처럼 Figley 의공감스트레스및피로모델은전문가의의식적이고적극적인정서적관여와공감에따른영향을설명하고있어, 개인적수준에서공감피로를예방하고관리하는것의구체적인전략들을모색하는데중요한지침을제공하고있다. 개인차원에서의간접트라우마관리전략들로는스트레스관리, 신체적취약성을줄이는활동 ( 예, 수면, 섭식, 휴식, 적절한신체활동등 ), 심리적 신체적경계설정, 수퍼비전받기 ( 예, 사례회의, 동료자문, 정기적인수퍼비전등 ), 여가시간확보 ( 예, 취미활동, 가족과시간을함께보내는것등 ), 심리치료를받기, 직무활동에대한의미만들기, 가치와일치하는활동하기, 지지적인사회적관계를유지하기등이권장되고있다 (Maltzman, 2011; Newell & MacNeil, 2010; Stebnicki, 2007; Harrison & Westwood, 2009; Hunter & Schofield, 2006). 개인적수준에서의간접트라우마의영향을관리하는것과더불어기관또는조직차원에서의대처도필수적이다. Maltzman(2011) 의조직적자기돌봄모형 (organizational self-care model) 에따르면, 기관수준에서의간접트라우마관리가개인수준으로의자기돌봄전략까지이어질수있도록조직의체계를갖추는것은중요하다. 간접트라우마가정신건강전문가의심리적응수준이나직무수행능력에 - 581 -
미치는영향의정도는트라우마생존자들을돕는일이지니는특수성기반하기때문에조직적인수준에서개입할수있는체계를갖추는것이필요하다. 기관수준에서간접트라우마에대처하는것은직원들에대한지지를넘어서서효과적인서비스제공하기위한조직의목적을이루는데에도도움이된다. 기관차원에서의간접트라우마관리는거시적-기관수준 (macro-organizational level; 기관체계내 ), 중간- 팀수준 (mezzo-team level; 동료간 ), 미시-개인적수준 (micro-individual level; 개인내적 ) 에따라세분화된다차원적인개입이가능하다 (Dombo & Gray, 2013). 구체적인전략들로는높은간접트라우마스트레스를경험하는직원에대한심리치료지원, 수퍼비전과자문제공, 업무량조절 ( 예, 트라우마내담자사례수조절, 어려운사례수관리등 ), 간접트라우마관리를위한정책이나프로그램마련, 팀미팅, 멘토링운영등이있다 ( 이인숙, 하정미, 2008; Bober, Regehr, & Zhou, 2006; Maltzman, 2011; Harrison & Westwood, 2009; Hunter & Schofield, 2006). 이처럼전문적으로트라우마생존자와일하는정신건강전문가들의간접트라우마관리는체계적이고다차원적인개입을통해이루어져야하기때문에간접트라우마관리수준을효과적으로관찰하고평가하여해당기관과구성원개인에게최적화된관리전략을모색하는것은임상적으로중요한가치를지닌다. 하지만개인적영역과기관의영역에서다각적으로간접트라우마관리수준을신뢰롭고타당하게평가할수있는틀이나도구의사용은현재까지는미미하다 (Bober et al., 2006; Salloum, Kondrat, Johnco, & Olson, 2015). 간접트라우마관리에대한지금까지의연구는이 론적이고실무적인수준에서간접트라우마영향및소진예방을위한전략들을소개하거나, 간접트라우마의영향력을반영하지못하는일반적인자기돌봄전략들을제언하거나, 또는일부개별문항들로보호요인들을측정하는방식으로진행되어오고있어객관적이고체계적으로간접트라우마관리수준을평가하기에는미흡한실정이다. 간접트라우마관리를평가하는도구들은많지않은데, 이중에서신뢰도와타당도가경험적으로검토되지않은것들을제외하고측정학적속성이확인된도구에대한연구결과들을검토한내용은다음과같다. CSI(Coping Strategies Inventory; Bober et al., 2006) 는트라우마상담을하는상담자들의간접트라우마의영향에대한자기돌봄을측정하는도구로간접트라우마의수준을낮출수있는대처전략들에대한 신념 과 시간할애 에관한총 27개의문항으로구성되어있다. Bober 등 (2006) 은 CSI를개발하고자트라우마심리치료자 ( 예, 사회복지사, 간호사, 심리학자, 의사 ) 와병원에서신체부상을당한사람들의신체부상을돌보는활동을하는인력들을대상으로한연구에서탐색적요인분석을실시한결과대처전략과관련된신념척도에서는 3개의하위요인 ( 예, 여가, 자기돌봄, 수퍼비전 ) 이, 시간척도에서는 4개의하위요인 ( 여가, 자기돌봄, 수퍼비전, 연구와개발 ) 을확인하였고이들도구의준거타당도검토를위해기존의다른대처도구들과의관련성을검토하였다. 하지만간접트라우마로인한심리적영향과관련된변인들과는관련성을확인하지않았기때문에 CSI가간접트라우마관리에유용한도구라고간주하기에는제한적이다. 무엇보다도 CSI의문항내용들은정신건강전 - 582 -
주혜선 조윤화 안현의 / 정신건강전문가용간접트라우마관리도구 (STCI) 의개발 문가들이일반적으로할수있는자기돌봄과관련된내용들을기술하고있기때문에간접트라우마관리에초점화된도구라기보다정신건강전문가의일반적인자기돌봄측정도구에가깝다고볼수있다. 이런일반적인자기돌봄이간접트라우마관리에당연히필수적인요소이나, 이에더하여간접트라우마의특수성과관련된문항들이포함될필요가있다. 또한 CSI는개인적수준에서의자기돌봄전략만을측정하고있기때문에기관차원에서의돌봄전략과관련된정보가포함되지않는다는점에서도제한적이다. TISC(Trauma-Informed Self-Care; Child Welfare Committee National Child Traumatic Stress Network, 2008) 는아동복지전문가용으로소개된도구로총 14문항에 4점척도 (0= 전혀아님-4= 매우상당한수준 ) 로응답하도록되어있으며 3개의하위척도 ( 예, 아동복지활동에대한일반적인권고-7문항, 전문가를위한자원과지지-4문항, 개인적인자기돌봄활동들 -3문항) 를포함하고있다. Salloum, Kondrat, Johnco와 Olson(2015) 가아동복지전문가집단으로부터얻은자료에서 TISC에대한탐색적요인분석을실시하였는데이과정에서 2개의문항 ( 문항 10, 11-전문가를위한자원과지지척도에포함된문항 ) 이제외되었고 12문항에대한요인구조는 3요인으로동일했으나일부문항들이원척도와달리다른요인에부하되는양상을보였다. 또한확인된 TISC의 3요인의타당도와관련하여 ProQOL 5(Professional Quality of Life Version 5; Stamm, 2010) 로측정된공감만족, 소진, 간접트라우마스트레스에대한설명력을확인한결과공감만족과소진은이를유의하게예측해주었지만, 간접트라우마스트레스에대해서는유효하게예측 해주지못하는것으로확인되었다. 따라서본연구는트라우마생존자를돕는정신건강전문가들이사용할수있는신뢰롭고타당한간접트라우마관리도구 (Secondary Trauma Care Inventory, 이하 STCI) 를개발하고자하였다. STCI는직무수행상간접트라우마노출에따른부정적인심리사회적영향들을예방하고직무만족에긍정적으로기여하는데유용한개인적 기관적수준의전략들을평가하는것을목표로한다. 본연구의제과정은본연구진이속한대학의생명연구윤리위원회 (IRB) 의심의를거쳐승인받았다. 방법예비도구개발예비 STCI는트라우마생존자를돕는직무를수행하는정신건강전문가들이경험할수있는부정적인심리사회적영향들을예방하거나완화시키는데도움이될수있는전략들을다각적으로평가하고자하였다. 이를위해개인적수준의관리는 Figley(2002) 의공감스트레스및피로모델을, 기관적수준의관리는 Maltzman(2011) 의조직적자기돌봄모델을기반으로하여본연구진은정신건강전문가의간접트라우마관리모델을구성하였다. 간접트라우마관리모델은정신건강전문가가직무수행과정에서간접트라우마에노출될때, 간접트라우마관리수준을매개로하여간접트라우마스트레스, 소진, 공감만족수준에영향을주는것을가정한다. 간접트라우마관리는관리주체에따라개인차원의관리수준과기관차원의관리수준이구분되며이 - 583 -
둘간의상호작용을통해간접트라우마관리수준을결정하게되는것으로이해할수있다. 본연구에서개발하고자하는 STCI는간접트라우마관리모델에서간접트라우마관리에해당하는전략들을측정하는도구이다. 다만이론적근거가되는모델인 Figley(2002) 의공감스트레스및피로모델과 Maltzman(2011) 의조직적자기돌봄모델은서구문화권을배경으로하고있는이론적모델이기때문에이러한모델을경험적으로지지할수있는국내외간접트라우마관리에대한연구결과들을함께검토하고관련된주요결과들을 STCI 개발에반영하고자하고자하였다. 이를위해본연구의전문가집단 ( 저자 3인 ; 다년간트라우마관련심리치료, 연구, 수퍼비전, 자문제공경험이있는심리학전공박사학위자 ) 에서국내외정신건강전문가들의 STS. 소진, 공감만족과관련된심리적기제를규명하는연구들로부터간접트라우마관리전략들을추출하고이들전략들을상위의개념으로범주화함으로써 STCI의하위영역을구성하고자하였다. 먼저, 저자 2인이 PsycINFO와 RISS에서최근 20년내발표된간접트라우마관리전략과관련된연구들중에서 secondary trauma, indirect trauma, vicarious trauma, compassion fatigue, vicarious traumatization, secondary traumatic stress 와 self-care 의핵심단어들의조합으로검색된논문들중에서질적연구방법론을사용한논문들과개관논문들을제외한경험적연구들을 1차적으로선별하였고연구대상이정신건강전문가를대상으로하는논문들을 2차적으로선별하였다. 이후선별된논문들의주요연구결과를검토하여간접트라우마스트레스를관리하는데도움이되는요소들을추출하였다. 그결과, 개인차 원에서는총 16개의요소 ( 예, 정서적취약성을줄이는일상생활의관리, 물질사용의조절, 적절한신체활동, 이완기술의활용, 주의전환활동전략, 긍정정서고양전략, 대인관계자원추구전략, 대인관계효율성기술, 심리적경계세우기, 의사소통기술, 문제해결기술, 의미추구, 기여활동, 직무관련재평가, 가치추구활동, 영성관리 ) 가추출되었고기관차원에서는 6개요소 ( 예, 한계설정, 간접트라우마의영향이나관리에관한정보제공, 사례관리를위한지원, 직무만족도평가, 심리적지원, 관리자의간접트라우마관리에대한관여 ) 를추출하였다. 추출된요소들은전문가집단의토의를거쳐상위의의미있는개념으로범주화하기위해관리의주체 ( 예, 개인 vs 기관 ) 와조절의기제 ( 예, 개인내적조절전략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vs 관계적조절전략 - 지지추구, 경계설정 ) 를고려하였다. 그결과개인차원에서는신체적조절, 주도적관계자원활용, 심리적경계설정, 의미추구, 그외심리적균형조절로 5개의하위영역을구성하였으며기관차원은기관간접트라우마관리라는단일영역으로구성하였다. 이때기관차원의관리는개인의지각된관리수준을반영하게된다. 각영역들을측정하는대표적인문항들을제작하기위해본연구의연구자 2인이이들요인을측정하는예비문항들을 1차로구성하였으며이때본연구에서개발하고자하는도구가 20문항정도의최종문항수를고려했기때문에 2배수에가까운 41개의예비문항을제작하였다. 문항에대한반응은각문항에 5 점 Likert 척도 (1 = 전혀아니다 - 5 = 매우그렇다 ) 로응답하는방식으로구성하였으며역채점문항은포함시키지않았다. 이후문항 - 584 -
주혜선 조윤화 안현의 / 정신건강전문가용간접트라우마관리도구 (STCI) 의개발 생성에참여하지않은본연구의연구자 1인이이들문항내용의안면타당도와내용타당도를검토하여수정이필요한문항이없는것으로확인되어 41개의예비문항이확정되었다. 영역별예비문항은부록 1에제시하였으며각영역이측정하는내용은다음과같다. 신체적조절영역 (6 문항 ) 은정서적취약성을줄이기위해필요로하는신체균형상태의유지및관리가일상에서어느정도수준인지를점검한다. 주도적관계자원활용영역 (5 문항 ) 은개인의사적대인관계에서사회적지지를추구하는활동이나직무와관련한도움추구활동수준을검토한다. 심리적경계설정 (3 문항 ) 영역은직장동료및내담자와의관계에서전문가로서의한계를수용하는것과이에대해의사소통을하는수준을측정한다. 의미추구 (7 문항 ) 영역은내담자의경험을자신과분리해서바라볼수있으며이를통해실존적의미를발견하고직업에대한의미를찾으며개인의가치와일치하는활동들을지속하는것과같은특성들을측정한다. 그외심리적균형조절 (10 문항 ) 영역은앞서기술된개인차원의다른차원에포함되지않지만개인적인수준에서심리적균형상태를조절하기위해시도하는활동들을포함한것으로, 트라우마생존자들을돕는활동을통해받을수있는심리적영향을자각하고조절할수있는전략들이다. 마지막으로기관간접트라우마관리 (10 문항 ) 영역은조직차원에서실행할수있는간접트라우마예방과대처에도움을주는다양한전략을포함하고있다. 연구대상및자료수집절차국내정신건강전문가 489명을대상으로본 연구에서개발하고자하는예비도구와주요변인들을측정하는도구들을포함한자기보고식으로구성된설문지로자료수집을진행하였다. 트라우마에대한전문적교육에참여한경험이있고연구참여의사를밝힌정신건강전문가를비롯하여국내주요정신건강관련학회의회원이면서정신건강서비스를제공하는기관 ( 예, 정신건강센터, 병원, 성폭력및범죄피해상담기관, 자살예방상담기관, 건강가정지원센터, 위기전화상담기관, 사설상담센터, 학교등 ) 에종사하는전문가 ( 예, 심리학자, 사회복지사, 간호사등 ) 들에게본연구에대해안내메일발송하거나또는직접소개하고눈덩이표집방법을통해자료수집을진행하였다. 2015년 3월 13일-2015년 5월 8일기간에지필식설문조사를진행하고 2015년 4월 20일-2015년 5월 25일기간에온라인설문조사를병행하여자료수집을진행하였다. 지필식설문조사에는총 200명의정신건강전문가가참여하였고온라인설문조사는 289명이참여하며총 489명이본연구의과정에참여를희망하였다. 지필식설문조사와온라인설문조사에중복참여는없었다. 이후검사-재검사신뢰도를검토하기위한추가자료수집에는온라인설문에참여한참여자중에추가설문참여희망의사를밝힌 156명을대상으로 4주의시간간격을두고 2015년 5월 11-26일의기간동안온라인설문조사를실시하였으며이때최종적으로 79명이응답을완료하였다. 매설문조사에서참여자에게는 1 만원상당의문화상품권을사례로지급하였다. 수집된자료는다음과같은제외기준에따라선별과정을거쳤다. PTSD(DSM-IV-TR; APA, 2000) 의진단준거 A 1 준거 ( 자신이나타인의실제죽음또는죽음의위협을주거나, 또는 - 585 -
심각한상해나신체적안녕에위협을주는사건들을직접경험하였거나목격한것 ) 에해당하는트라우마가될수있는사건을경험한생존자와최소한번이상직무수행과정에서작업한경험이없는경우와일부주요도구에불성실하게응답한것으로추정되는자료는제외하였다. 그결과 54명의참가자가제외되어설문지총 435부가본연구를위한자료분석에사용되었다. 본연구참가자 435명의인구사회학적정보와직무관련특성에관한정보는일부미응답문항을제외하고다음과같다. 성별의구성에서는여성 384명 (88.3%), 남성 35명 (12.4%) 으로여성정신건강전문가의비율이높았으며평균연령은 38.15세 (SD=8.60; 범위 =22세-67세 ), 전공관련교육정도는학사학위 (80명, 18.4%) 부터박사학위 (21명, 4.8%) 까지포함되었고이중석사학위자 (319명, 73.1%) 가가장높은비율을보였다. 참가자들의전공은심리학 (182 명, 41.8%), 사회복지학 (73명, 16.78%), 의학또는간호학 (7명, 1.6%) 및그외전공 ( 예, 표현예술치료, 교육학등 ; 25명, 5.7%) 이었으며, 전공을확인할수없는 148부의자료는국내주요정신건강학회또는국가기관에서발급하는정신건강관련자격증 ( 예, 상담심리사, 청소년상담사, 정신보건상담심리사, 임상심리전문가, 정신보건임상심리사, 임상심리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중독전문사회복지사, 정신보건간호사등 ) 을하나이상표기하였기에분석에포함시켰다. 전문가로활동한기간은평균 6.06 년 (SD=4.59; 범위 =1년미만-25년 ) 으로, 현재주당트라우마생존자를돕는직무활동시간은평균 6.65시간 (SD=8.40; 범위 =1시간이하 -48시간) 이었다. STCI를교차타당화하기위해 435부의자료 는문항분석과탐색적요인분석실시를위한자료 1과확인적요인분석실시및최종문항양호도검증을위한자료 2로 5:5로분할하였으며이를위해 SPSS 통계프로그램을통한무작위추출방법을사용하였다. 자료 1(218 명 ) 과자료 2(217명 ) 에서인구사회학적정보와직무관련특성에관한주요변인들에서차이가있는지를자료분석에앞서검토한결과평균연령에서만자료 1(M = 39.40세, SD = 8.89) 이자료 2(M = 36.88세, SD = 8.11) 보다유의하게높고 (t = 3.02, p <.01) 총업무기간을비롯한그밖의주요변인에서는차이를보이지않았기때문에교차타당화에무리가없는것으로판단하였다. 연구도구예비전문가용간접트라우마관리도구본연구에서개발하고자하는전문가용간접트라우마관리도구 (Secondary Trauma Care Inventory, STCI) 의예비문항들로구성된자기보고식질문지이다. 예비 STCI는개인차원과기관차원간접트라우마관리의 2개의차원으로분리되어있으며총 41개의예비문항 ( 개인차원 =31개, 기관차원 =10개 ) 을포함하고있다. 모든문항은각문항에 5점 Likert 척도 (1 = 전혀아니다 - 5= 매우그렇다 ) 로응답하도록구성되어있으며개인차원의문항들은극단적인사건이나트라우마를경험한사람들과의직무수행에따른영향들을개인적으로어떻게관리하고있는지를떠올리고문항에응답하도록지시하였다. 기관차원의문항들은극단적인사건이나트라우마를경험한사람들과의직무수행에따른영향을자신이근무하는기관에서어떻게관리하고있는지를 - 586 -
주혜선 조윤화 안현의 / 정신건강전문가용간접트라우마관리도구 (STCI) 의개발 떠올리고문항에응답하는방식으로진행되었다. 전문가삶의질척도전문가삶의질척도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ale 5, ProQOL 5; Stamm, 2010) 은트라우마나극단적인스트레스에노출되는사람들을돕는직업의전문가의삶의질을측정하기위해개발된자기보고식도구이다. 본연구에서는정신건강전문가의공감피로와공감만족을측정하기위해사용하였다. ProQOL 5의문항들은본연구의저자들에의해서선번안 (forward-adaptation) 기법으로번안되었고구체적인방법은다음과같다. 본연구의연구자 2인은한국어와영어이중언어구사자이면서양국의문화적배경에대한지식이있고다년간트라우마심리치료와연구활동경험을지닌심리학박사학위소지자들로, 1인이먼저 ProQOL 5의문항들을번안한이후에다른 1인이번안한문항의내용에대한이해도와수용가능성을검토하는과정을통해 ProQOL 5의문항을번안하였다. ProQOL 5는공감만족, 소진, 간접트라우마스트레스의하위척도로구성되어있고, 각하위척도는 10개의문항들을포함하고있어총 30문항으로구성되어있다. 지난한달을기준으로개별문항에 5점 Likert 척도 (1= 전혀 ~5= 매우자주 ) 로응답한다. 본연구에서는소척도별합산원점수를자료분석에사용하였으며, 소척도별 Cronbach s 는공감만족.89, 소진.76, 간접트라우마스트레스.82였다. 는트라우마생존자나이들과가까운사람들을돕는전문가들이간접트라우마에노출되는것으로인해경험할수있는침습, 회피, 과각성증상들을평가하기위한자기보고식도구이다. 본연구에서는 ProQOL 5의 STS 척도와더불어 STSS 척도를함께사용하여정신건강전문가들의간접트라우마스트레스를측정하고자하였다. STSS의번안과정도 ProQOL 5의번안과정과동일하게진행되었다. STSS는침습 (intrusion, 5문항 ), 회피 (avoidance, 7문항 ), 과각성 (arousal, 5문항 ) 의 3 개의소척도를포함하고있으며지난일주일동안의경험을떠올리며총 17개의문항에대해서 5점 Likert 척도 (1= 전혀 ~5= 매우자주 ) 로응답하도록되어있다. 본연구에서는 STSS 문항총점을자료분석에사용하였으며전체문항의 Cronbach s 는.94였다. 말라크소진척도말라크소진척도 (Maslach Burnout Inventory, MBI; Maslach & Jackson, 1981) 는서비스업직무와관련된소진을자기보고식으로측정하는대표적인도구로본연구에서는유성경, 박성호 (2002) 가번안한 MBI 척도를사용하였다. MBI는정서적고갈 (9문항), 비인격화 (5문항), 개인성취감 (8문항) 의 3개의하위척도로구성되어있으며, 총 22문항으로 7점 Likert 척도 (0 = 전혀없음 ~6= 매일 ) 로응답한다. 본연구에서는 MBI의하위척도별 Cronbach s 는정서적고갈.88, 비인격화.84, 개인성취감.78 를보였다. 간접트라우마스트레스척도 간접트라우마스트레스척도 (Secondary Traumatic Stress Scale, STSS; Bride et al., 2004) 외상후진단척도 외상후진단척도 (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 이하 PDS) 는 Foa, Cashman, Jaycox와 - 587 -
Perry(1997) 가외상후스트레스장애의진단과증상의심각성을자기보고식으로평가하기위해개발한척도이다. 본연구에서는안현의 (2005) 가번안한 PDS에서 DSM-IV의외상후스트레스장애핵심증상진단준거에해당하는 17개의문항을사용하여정신건강전문가의간접트라우마스트레스증상들을평가하고자하였다. 각문항은지난한달동안증상의빈도를 4점척도 (0= 전혀없음 / 단 1번, 1= 가끔 / 1주일 1번, 2= 1주일 2-4번, 3= 1주일 5번이상 ) 에응답한다. 본연구에서 Cronbach s 는.90이었다. 통합적한국판 CES-D CES-D(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Radloff, 1977) 는일반인이경험할수있는우울을측정하기위해개발된자기보고식도구로본연구에서는통합적한국판 CES-D(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 를사용하였다. CES-D는지난일주일동안을기준으로 20개의문항에 4점 Likert 척도 (0= 극히드물게 /1일이하, 1= 가끔 /1일-2일, 2= 자주 /3일-4일, 3= 거의대부분 /5-7일 ) 로응답하도록되어있다. 전체문항의 Cronbach s 는.92를보였다. 간이정신진단검사-개정판간이정신진단검사-개정판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Derogatis & Cleary, 1977) 는임상증상을 9개의하위척도에서검토하는데유용한도구이다. 본연구에서는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1984) 이타당화한한국판 SCL-90-R의하위척도들중에서간접트라우마스트레스또는소진으로인한대인관계곤란이나신체화증상을측정하기위해 서대인예민성척도 (9문항) 와신체화척도 (12 문항 ) 를사용하였다. SCL-90-R은지난일주일을기준으로개별문항에 5점 Likert 척도 (0= 전혀없다, 1= 약간있다, 2= 웬만큼있다, 3= 꽤심하다, 4= 아주심하다 ) 로응답하도록되어있다. 본연구에서는소척도합산원점수를그대로사용하였으며척도별 Cronbach s 는대인예민성.90, 신체화.89를보였다. 외상사건체크리스트외상사건체크리스트 (Trauma History Checklist, THC; 주혜선, 심기선, 안현의, 2015) 는개인이살아오면서경험했을수있는외상적사건들에대한정보를얻는데유용한도구로 DSM-5(APA, 2013) 의트라우마에대한진단준거A에해당될수있는사건들을측정하는 12개의문항, 외상성상실에해당하는경험을측정하는 3개의문항, 그외최근경험한부정적인생활스트레스사건을측정하는 1개의문항을포함하고있다. 본연구에서는정신건강전문가의개인트라우마경험을검토하기위해 THC를사용하였다. THC는직접트라우마노출 ( 자신이현장에서경험또는목격 ) 과간접트라우마노출 ( 가까운주요타인이경험 ) 을구분하고, 현재괴로운정도, 사건경과기간, 가장충격적인외상적사건을표시할수있도록구성되어있다. 분석방법본연구의자료는 5:5로분할하여자료 1에서는예비문항분석및탐색적요인분석을실시하고, 자료 2에서는최종문항으로확인적요인분석을실시하여최종문항의양호도와신뢰도를함께검토하였다. 예비 STCI의 - 588 -
주혜선 조윤화 안현의 / 정신건강전문가용간접트라우마관리도구 (STCI) 의개발 문항분석과신뢰도산출, 하위척도간의관계를살펴보고자위해예비문항별평균과표준편차, 문항간상관, 문항-총점간상관, 문항제거시내적일치도, 하위척도간상관, 하위척도의신뢰도및평균표준편차를산출하였다. 직군에따라개별예비문항들에서차이가있는지를함께검증하고자일원분산분석을추가로실시하였다. 그다음개발된문항의교차타당화를비롯하여예비 STCI의타당한요인수를결정하고요인구조를확인하기위한탐색적요인분석을실시하고, 탐색적요인분석에서확인된요인구조를확인적요인분석을통해타당도를검토하였다. 확인적요인분석의모형에대한적합도평가에는 χ² 검증값, RMSEA(root-mean-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CFI(comparative fit index), TLI (Turker-Lewis Index) 를지표로함께검토하였는데 χ² 검증은영가설이엄격함으로쉽게기각되는경향이있으며표본크기에민감한영향을받기때문에 ( 홍세희, 2000) 절대적적합도지수인 RMSEA 와상대적적합도지수인 CFI, TLI 를모형평가에서함께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RMSEA는 0.5이하는좋은적합도, 0.8 이하는보통적합도, 1.0 이상은나쁜적합도로고려할수있으며 ( 홍세희, 2000), 상대적적합도지수인 CFI, TLI 는.95 이상이면좋은적합도 (Hu & Bentle, 1999) 로간주할수있다. 최종 STCI의검사-재검사신뢰도는 4주간격으로실시된 STCI의하위척도별점수간상관계수로산출하였다. 이후전체연구자료에서최종 STCI의타당도를검토하기위해최종 STCI의하위척도점수와 PDS 총점, CES-D 총점, SCL-90-R의신체화점수및대인예민성점수, ProQOL 5의각하위척도점수, MBI 하위척도점수, STSS 총점의상관계수 를산출하여이들간의관계를검토하였다. 최종 STCI의개인차원과기관차원의절단점수의임상적타당성을검토하기위해개인차원과기관차원각각에서절단점수에따라수준을구분하고종속변인으로 PDS 총점, CES-D 총점, SCL-90-R의신체와점수및대인예민성점수, ProQOL 5의각하위척도점수, MBI 하위척도점수, STSS 총점에대해일원분산분석을실시하였다. 본연구의탐색적요인분석에는 SAS 9.3을, 확인적요인분석에는 AMOS 18.0을사용하였으며그외의자료분석에는 SPSS 18.0을사용하였다. 결과문항분석 STCI 개발을위한예비척도는 6개영역에총 41개의예비문항으로구성되었다 ( 신체적조절 6문항, 주도적관계자원활용 5문항, 심리적경계설정 3문항, 의미추구 7문항, 그외심리적균형조절 10문항, 기관간접트라우마관리 10문항 ). 예비문항의적절성과양호도를검토하기위한문항분석은 2 단계에걸쳐서진행되었는데, 1단계는문항의기술통계치와왜도및첨도, 문항간상관, 문항-총점상관, 문항제거시내적합치도를검토하였고이후 2단계에서예비문항들중에간접트라우마에대한심리적영향과연관성을지니는문항들만을선별하고자 ProQOL의하위척도와 STSS 총점과의개별예비문항의상관관계도살펴보았다 ( 표 1). 1단계문항분석에서예비문항별평균과표준편차를산출하고왜도와첨도를함께검 - 589 -
표 1. STCI 예비문항의기술통계치, 내적일관성, 관련변수간상관 (N=218) 영역문항번호 M SD 왜도첨도문항 - 총점상관 문항 ProQOL 제거시 CS BO STS STSS PR 1 3.55 1.17-0.42-0.76.56.67.74.19 ** -.25 ** -.16 * -.16 * PR 2 3.65 1.07-0.58-0.39.55.68.29 ** -.31 ** -.22 ** -.12 신체적조절 PR 3 3.32 1.48-0.42-1.24.23.79.09 -.04 -.02 -.04 PR 4 3.30 1.06-0.20-0.56.54.68.18 ** -.18 ** -.14 ** -.13 PR 5 3.77 0.99-0.62-0.03.60.67.25 *** -.21 *** -.21 ** -.20 ** PR 6 3.32 1.03-0.24-0.44.47.70.31 *** -.28 *** -.25 *** -.14 * PSR 1 3.92 0.88-0.83 0.81.64.77.81.25 *** -.38 *** -.15 * -.19 ** 주도적관계자원활용 PSR 2 3.95 0.85-0.65 0.00.73.74.38 *** -.37 *** -.08 -.19 ** PSR 3 3.61 0.87-0.54 0.35.56.79.37 *** -.38 *** -.15 * -.15 * PSR 4 3.67 0.93 0.62 0.27.57.79.37 *** -.24 *** -.05 -.10 PSR 5 3.93 0.81-0.72 0.64.51.80.30 *** -.22 ** -.05 -.07 심리적경계설정 PBS 1 3.50 0.88-0.65 0.45.61.74.79.22 ** -.27 *** -.25 *** -.15 * PBS 2 3.42 1.02-0.50-0.23.63.73.24 *** -.20 ** -.22 ** -.14 * PBS 3 3.48 0.89-0.45 0.15.67.68.37 * -.39 * -.28 ** -.16 * MM 1 3.72 0.80-0.68 1.03.56.82.83.38 *** -.39 *** -.29 *** -.21 ** MM 2 3.65 0.88-0.15-0.48.61.81.39 *** -.40 *** -.18 ** -.16 * MM 3 4.05 0.72-0.75 1.43.61.81.46 *** -.39 *** -.19 -.11 의미추구 MM 4 3.93 0.97-0.62-0.32.49.83.33 *** -.40 *** -.15 * -.11 MM 5 3.77 0.77-0.14-0.41.66.80.44 *** -.39 *** -.24 ** -.13 MM 6 3.92 0.77-0.28-0.37.59.81.43 *** -.36 *** -.23 *** -.18 * MM 7 4.00 0.85-0.68 0.45.60.81.49 *** -.32 *** -.13 -.09 OR 1 3.54 0.91-0.51 0.12.59.77.80.38 *** -.35 *** -.14 * -.14 * OR 2 3.30 0.86-0.35-0.06.55.78.32 *** -.28 *** -.19 ** -.07 OR 3 3.26 0.88-0.41-0.04.67.76.50 *** -.48 *** -.37 *** -.21 ** OR 4 3.59 0.84-0.48 0.08.63.77.43 *** -.37 *** -.21 ** -.08 그외심리적균형조절 OR 5 3.44 0.88-0.47-0.06.52.78.34 *** -.35 *** -.18 ** -.06 OR 6 3.76 0.94-0.78 0.49.42.79.21 ** -.28 *** -.10 -.06 OR 7 3.65 0.97-0.59-0.06.59.77.46 *** -.37 *** -.26 *** -.05 OR 8 2.89 1.15-0.02-0.77.34.80.23 ** -.14 * -.04 -.03 OR 9 3.50 1.26-0.38-1.00.25.82.11 -.24 *** -.32 *** -.12 OR 10 4.11 0.79-0.60-0.13.37.79.42 *** -.32 *** -.16 * -.07-590 -
주혜선 조윤화 안현의 / 정신건강전문가용간접트라우마관리도구 (STCI) 의개발 표 1. STCI 예비문항의기술통계치, 내적일관성, 관련변수간상관 (N=218) ( 계속 ) 영역문항번호 M SD 왜도첨도문항 - 총점상관 문항 ProQOL 제거시 CS BO STS STSS OM 1 2.60 1.40 0.28-1.25.37.89.88.10 -.10 -.03 -.10 OM 2 2.25 1.23 0.57-0.71.55.87.10 -.13 -.02 -.01 OM 3 2.62 1.27 0.25-1.01.63.87.26 *** -.41 *** -.29 *** -.13 OM 4 2.84 1.24-0.09-1.11.69.86.08 -.24 ** -.16 * -.02 기관간접트라우마관리 OM 5 2.89 1.23-0.09-0.98.73.86.05 -.17 * -.02 -.02 OM 6 2.89 1.17-0.16-0.90.72.86.11 -.28 *** -.18 * -.03 OM 7 2.42 1.29 0.51-0.89.54.87.11 -.19 ** -.06 -.03 OM 8 2.80 1.22 0.00-1.04.69.86.09 -.16 * 0.12.02 OM 9 2.89 1.25-0.06-1.01.69.86.19 *** -.25 *** -.12 -.05 OM 10 2.27 1.17 0.56-0.64.50.88.23 ** -.28 *** -.18 *.01 주. ProQOL =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ale 5; CS = Compassion Satisfaction; BO = Burnout; STS = Secondary Traumatic Stress; STSS = Secondary Traumatic Stress Scale. * p<.05., ** p<.01., *** p<.001. 토하여변별력이낮은문항들이있는지를검토한결과문항평균의범위는 2.25에서 4.11 을보였고이중 3개문항 ( 예, MM 3, MM 7, OR 10) 은문항평균이 4 이상을보여 1-5점점수범위를지니는척도에서다소높은양상을보였으나모든예비문항의왜도절대값이 4보다작고첨도절대값또한 2보다작았기때문에이들문항들이극단적인평균값을지니는것으로판단하기어려워삭제하지않았다. 그리고각영역별문항 -총점간상관이.30 이하또는문항제거시내적합치도가상승하는 3개문항 ( 예, PR 3, OR 9, OM 1) 은제외시켰다. 2단계문항분석에서예비문항과 ProQOL 5의하위척도합산점수와공감만족 (CS), 소진 (BO), 간접트라우마스트레스 (STS) 와 STSS 척도총점과예비문항과의상관관계를검토하여통계적으로유의미한상관관계를지니지 않은것으로확인되거나통계적으로유의미한상관관계를보이더라도.20 이하라의미를지니기어려운것으로확인된문항은 7개 ( 예, PR 3, PR4, OM 1, OM 2, OM 5, OM 7, OM 8) 였다. 따라서 1단계에서이미제외기준에포함된 2 문항 ( 예, PR 3, OM 1) 을포함한이들 7개문항은제외시켰다. 직군에따라자료를구분하여분석할필요가있는지를검토하기위해직군에따른 STCI 의예비문항에서의차이를추가로검증하였다. 이를위해심리학, 정신보건사회복지, 그외정신건강전문가의세집단으로구분하여개별예비문항에대해서일원분산분석을실시한결과 PBS1[ 내담자및직장에서일하는사람들사이에서나의한계를분명하게한다 ; F(2,140)=3.48, p <.05] 와 OM10[ 직무만족도를주기적으로평가한다 ; F(2,140)= 5.31, p <.01] 의문항에서심리학과정신보건사회복지 - 591 -
간에유의한차이가있었으나그외모든예비문항에서는직무에따른차이가없는것으로확인하였다. 따라서 STCI의예비문항들이직군에따른체계적인차이를지닐가능성은없는것으로보여자료 1과 2는직군에따른구분없이자료분석을진행하였다. 탐색적요인분석문항분석을통해확정된 32개문항에대한탐색적요인분석을실시하기에앞서먼저본연구자료1이요인분석을위한적합성을지니고있는지를확인한결과 KMO(Kaiser- Meyer-Olkin) 적합도지수는.88로좋았고, Bartlett의구형성검증결과도 (N=218)= 3181.328(p <. 001) 로유의한수준이어서요인분석을위한양호한자료임을확인하였다. 탐색적요인분석은 SAS가제공하는공통요인분석을사용하였으며, 공통분의초기값은 SMC (Squared Multiple Correlation, 다중상관제곱치 ) 로지정하여주축요인추출법을사용하였다. 적합한요인수를확인하고자 5요인, 6요인으로요인수를설정하여각각의고유변량 1.0 이상인요인수, 스크리검사결과, 누적분산비율, 해석가능성을검토하여적합한요인수를판단하고자하였다. 기초요인구조회전방법은예비검사의구인간상관을고려한사각회전 (Oblique rotation) 을적용하고 Harris-Kaiser 방법을이용하였으며요인회전시 HKP는.5로지정하였다. 그결과지정한요인수별로확인된요인구조행렬은부록 1에제시하였으며 5 요인이가장적절한요인수라고판단하였고, 이때 5 요인구조는전체설명분산의 89.65% 를설명하였다. 지정한요인수별로확인된요인구조행렬은부록 1에제시하였다. 각요 인을설명하는타당한문항선정기준은문항요인부하값이최소 0.40 이상이면서한문항이두개이상의요인에중복부하될때부하량의차이가.10이상인것으로하였다 (Floyd & Widaman, 1995). 그결과문항요인부하값이.40이하인문항 4개 ( 예, MM2- 나를성찰하는시간을주기적으로가진다 ; OR1- 주당상담하는시간이나사례수를제한하고있다 ; OR5- 내담자가경험한일이나또는가까운사람들에게일어날지도모른다는생각이들면그생각에몰두하기보다그저그생각이흘러가도록바라본다 ; OR7- 전문가로써성취감을느꼈던사례를기억한다 ) 를삭제하였다. 탐색적요인분석의결과를토대로 5요인 28 문항이선별된이후에요인구조의명료함과해석가능성을고려한최종문항확정을위해 28개의문항들에대해서본연구연구자 3인이내용타당도검토하고요인별내적합치도 (Cronbach ) 와문항제거시내적합치도를검토하는과정을거쳤다. 이러한과정에서문항선정기준을만족하였지만요인의해석가능성을고려하여 6개의문항 (MM1- 내담자의경험을통해삶의중요한의미나가치를찾을수있다 ; OR2- 내담자가경험한일과관련된생각, 감정, 몸느낌, 심상등의내적경험을자각하고조절한다 ; OR3- 내담자를돕는과정에서느껴지는무력감을조절할수있다 ; OR4- 내담자와의작업을회피하고싶은마음이들때에는그럴수있다고스스로를다독여준다 ; OR6- 업무와관련없는즐거움을주는활동을한다 ; OR10- 직무수행에필요한전문적인교육을받으려고노력한다 ) 이제외되었다. 전반적으로그외심리적조절영역에포함된문항들의경우하나의요인으로수렴되지못하고일부문항들은.30이상으로요 - 592 -
주혜선 조윤화 안현의 / 정신건강전문가용간접트라우마관리도구 (STCI) 의개발 인 2, 3, 4, 5에걸쳐중복부하되는양상 ( 예, OR 1, OR2, OR5, OR7) 을보였는데, 이는그외심리적조절영역에해당하는문항들이신체적조절, 주도적관계자원활용, 심리적경계설정, 의미추구, 기관간접트라우마관리의영역에포함되지는않지만문헌연구에서확인된간접트라우마관련변인들을그외심리적조절영역에포함시키면서구성하였기에하나의잠재적요인으로수렴되지않은것으로판단되었다. 이와더불어문항제거시내적합치도가상승하는 1개문항 (PR6- 몸이긴장될때이완기술을사용한다 ) 을추가로삭제하면서 21개의문항을 STCI의최종문항으로확정하였다. 확인적요인분석탐색적요인분석결과를통해확인된 SCTI 의하위요인들간의관계구조가다른자료에서도경험적자료에잘부합되는지검토하였다. 이를위해본연구의자료 2에서 SCTI 의개별문항들을측정변수로하여잠재변수와의구조를검증하기위한확인적요인분석을실시하고자예비연구의탐색적요인분석결과를토대로설정한상호상관된 5요인의모형에대해서경쟁모형으로개인차원과기관차원이라는 2개의위계적상위요인이 측정변수들을설명하는인과관계를고려한모형을설정하여어떠한모형이 SCTI 구조를보다잘설명하고있는지를비교하고자하였다. 경쟁모형을개인과기관차원의 2개의구조로고려한근거는간접트라우마관리에대한주체가개인차원과기관차원이구분되는것과관련해서개인적수준에서의간접트라우마관리와기관및조직적수준이라는체계내에서간접트라우마를관리하는것을구분하는이론적견해들을고려한것이다. 그결과상호상관된 5요인모형이 2요인위계모형보다주요적합도지수에서더양호하고수용가능한모형임을확인하였다 ( 표 2). 5요인모형의 χ² 값은 308.09(df = 179) 로기각되었지만표본크기에덜민감하고모형과자료의일치정도를반영해주는 CFI 는.92를, TLI 는.90을보이고있어.95에는못미치지만양호한수준을보였다. 또한절대적적합도지수인 RMSEA 가.058로양호한적합도수준을지니고있음이확인되었다. 반면에경쟁모형인위계적 2요인모형의 χ² 값은 570.58(df = 188) 로연구모형과마찬가지로역시기각되었다. 경쟁모형에서 CFI 가.76, TLI 는.70, RMSEA 가.097를보이고있어 2개요인에상대적으로많은측정변수가할당되었기때문에적합도지수가떨어질가능성을함께고려하더라도하위요인이지니는해석적의미에서 표 2. STCI 의연구모형과경쟁모형의적합도 (N=217) 모형 df CFI TLI RMSEA (90% CI) 연구모형 (5요인상호상관모형 ) 308.09 *** 179.92.90.058 (.047-.069) 경쟁모형 ( 위계적 2요인모형 ) 570.58 *** 188.76.70.097 (.088-.106) 주. RMSEA = root-mean-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CFI = comparative fit index; TLI = Turker-Lewis Index. *** p<.001. - 593 -
표 3. SCTI 의확인적요인분석결과에서모수추정치 추정치 비표준화계수표준화계수표준오차 C.R. SCTI 1 신체적조절 1.00.71 SCTI 2 신체적조절 0.99.60 ***.15 6.60 SCTI 3 신체적조절 0.87.70 ***.12 7.01 SCTI 4 주도적관계자원활용 1.00.74 SCTI 5 주도적관계자원활용 1.15.82 ***.11 10.85 SCTI 6 주도적관계자원활용 0.91.63 ***.11 8.56 SCTI 7 주도적관계자원활용 0.90.54 ***.12 7.33 SCTI 8 주도적관계자원활용 0.85.64 ***.10 8.66 SCTI 9 심리적경계설정 1.00.69 SCTI 10 심리적경계설정 1.15.79 ***.12 9.39 SCTI 11 심리적경계설정 1.08.78 ***.12 9.28 SCTI 12 의미추구 1.00.66 SCTI 13 의미추구 1.38.59 ***.19 7.25 SCTI 14 의미추구 1.32.71 ***.16 8.40 SCTI 15 의미추구 1.05.67 ***.13 8.06 SCTI 16 의미추구 1.14.68 ***.14 8.15 SCTI 17 기관간접트라우마관리 1.00.68 SCTI 18 기관간접트라우마관리 1.09.68 ***.13 8.50 SCTI 19 기관간접트라우마관리 1.27.81 ***.13 9.81 SCTI 20 기관간접트라우마관리 1.29.78 ***.14 9.53 SCTI 21 기관간접트라우마관리 0.87.62 ***.11 7.92 주. *** p<.001. 표 4. STCI 하위요인간공분산추정치 요인 1 2 3 4 5 1. 신체적조절 - 2. 주도적관계자원활용.43 *** - 3. 심리적경계설정.50 ***.55 *** - 4. 의미추구.38 ***.65 ***.61 *** - 5. 기관간접트라우마관리.21 *.22 *.25 **.24 ** - 주. * p<.05., ** p<.01., *** p<.001. - 594 -
주혜선 조윤화 안현의 / 정신건강전문가용간접트라우마관리도구 (STCI) 의개발 의정보가 2요인위계모형보다는 5요인상호상관모형이더타당한구조로고려될수있기때문에연구모형을수용하였다. 연구모형에서측정변수들이각요인을설명하는정도를검토하기위해 21개의문항들이 5개의요인에대한요인부하량을살펴본결과, 5개의모수추정치는.66~.74를보였으며각문항의요인부하량은.54~.82의범위에서모두유의미하였다 ( 표 3). 요인간공분산추정치는표 4에제시한바와같이.21에서.65 사이의 값을보였다. STCI 최종문항의양호도및신뢰도확인적요인분석에사용된자료 2에서 STCI 의최종문항으로확정된문항들의양호도와신뢰도를재검토하기위해최종문항평균및표준편차, 문항-하위요인총점상관, 문항제거시내적합치도, 검사-재검사신뢰도를검토하였고, 그결과는표 5에제시하였다. 최종문 표 5. STCI 최종문항의양호도및신뢰도 하위척도명 ( 문항수 ) 문항번호 M SD 문항 - 총점상관 문항제거시 내적합치도 검사-재검사신뢰도 신체적조절 (3문항) 주도적관계자원활용 (5문항) 심리적경계설정 (3문항) 의미추구 (5문항) 기관간접트라우마관리 (5문항) STCI 1 3.92 0.85.58.52 STCI 2 3.75 1.00.50.64 STCI 3 4.14 0.76.48.65 STCI 4 3.96 0.87.60.76 STCI 5 4.00 0.90.70.73 STCI 6 3.59 0.94.54.78 STCI 7 3.75 1.08.52.79 STCI 8 4.07 0.86.60.76 STCI 9 3.54 0.96.59.77 STCI 10 3.42 0.95.68.68 STCI 11 3.52 0.92.64.72 STCI 12 4.12 0.69.55.74 STCI 13 3.90 1.07.50.77 STCI 14 3.76 0.85.62.72 STCI 15 4.02 0.71.58.74 STCI 16 4.01 0.77.59.73 STCI 17 2.57 1.17.62.81 STCI 18 2.83 1.27.61.81 STCI 19 2.84 1.24.72.78 STCI 20 2.85 1.31.70.79 STCI 21 2.24 1.11.55.83.70.75.80.69.79.44.78.71.84.69-595 -
항평균은 2.24~4.12점의범위에표준편차는 0.69~1.31의범위를보였으며문항 -총점상관의범위는.72~.48로.30이하의문항이나문항제거시내적합치도가상승하는문항은없는것으로확인되어 STCI의최종문항들중에는양호도에문제가있는문항은없는것으로확인되었다. 또한각하위척도별내적합치도 Cronbach s 는신체적조절.70, 주도적관계자원활용.80, 심리적경계설정.79, 의미추구.78, 기관간접트라우마관리.84로중간- 높은수준의신뢰도를보였는데, 내적합치도는문항수의영향을받기때문에하위척도별문항수가 3~5개라는점을고려했을때 STCI의최종문항들은신뢰도를지님을확인할수있다. STCI의검사-재검사신뢰도검증에서는총 79명의자료가분석되었고 2명의사회복지전공자를제외하고는모두심리학전공자였다. 재검사측정에참여하지않은 356명과 1차시때측정한주요변인에서의차이를먼저검토한결과, ProQOL 5의공감만족 (t=0.69, p >.05), 소진 (t=-0.88, p >.05), 간접트라우마스트레스 (t=-0.53, p >.05), STSS(t=0.55, p >.05), STCI의개인차원에해당하는하위척도에서는신체적조절 (t=-0.15, p >.05), 주도적관계자원활용 (t=-0.60, p >.05), 심리적경계설정 (t=-0.80, p >.05), 의미추구 (t=-0.93, p >.05) 모두유의미한차이를보이지않았고, 주당트라우마생존자를돕는직무활동시간 (t=1.35, p >.05) 도유의한차이가없었다. 다만, STCI의기간간접트라우마관리점수에서는재검사에참여한집단에서유의하게더낮은양상을보였다 (t=2.21, p <.05). 산출된검사-재검사신뢰도는하위척도별로신체적조절.75(p <.001), 주도적관계자원활용.69 (p <.001), 심리적경계설정.44(p <.001), 의미 추구.71(p <.001), 기관간접트라우마관리.69(p <.001) 였다. 심리적경계설정을제외한하위척도들은모두중간이상수준의검사- 재검사신뢰도수준이었지만심리적경계설정이다소낮은수준의검사재검사신뢰도수준을보여시간안정성이다른하위척도에비해낮은양상을보였다. SCTI 의공준타당도본연구의전체자료에서 STCI의공준타당도를확인하기위해 STCI의하위척도들과간접트라우마스트레스로인한심리적증상들과보호요인들과의관련성을검토하였으며주요결과는표 6에제시하였다. 주요결과를살펴보면, STCI의신체적조절은간접트라우마관련심리적증상들 (r=-.20~-.36) 과소진 (r =-.19~-.33) 에서는모두유의미한부적상관관계를, 보호요인 (r=.28~.29) 에서는모두유의미한정적상관관계를보였다. STCI의주도적관계자원활용은간접트라우마관련심리적증상들 (r=-.20~-.43) 과소진 (r=-.25~-.45) 에서는모두유의미한부적상관관계를, 보호요인 (r =.36~.41) 에서는모두유의미한정적상관관계를지님을확인하였다. STCI의심리적경계설정은간접트라우마관련심리적증상들 (r =-.16~-.35) 과소진 (r=-.21~-.35) 에서는모두유의미한부적상관관계를, 보호요인 (r=.32) 과는모두유의미한정적상관관계를보였다. STCI의의미추구는 PDS(r=-.09, p >.05) 와는유의한상관관계를보이지않았지만그외간접트라우마관련심리적증상들 (r=-.13~-.34) 과소진 (r=-.30~-.46) 에서는모두유의미한부적상관관계를보였으며, 보호요인 (r=.46~.54) 에서는모두유의미한정적상관관계를보 - 596 -
주혜선 조윤화 안현의 / 정신건강전문가용간접트라우마관리도구 (STCI) 의개발 - 597 -
였다. 마지막으로 STCI의기관적관계자원활용은간접트라우마관련심리적증상들 (r= -.11~-.31) 과소진 (r=-.25~-.34) 과는모두유의미한부적상관관계를, 보호요인 (r=.18~.25) 과는모두유의미한정적상관관계를지님을확인하였다. STCI 의채점, 차원별절단점수산출및타당도검증 STCI의채점은먼저각차원별로총점을계산한이후에이를 T점수로변환하고본연구의절단점수기준에따라높은수준, 중간수준, 낮은수준으로평정하게된다. 원점수를사용하지않고변환점수를사용하는이유는개인이획득한점수를본연구집단의점수들을준거로비교하면상대적인수준을확인하는게가능하며, 더나아가개인의차원내상대적비교도가능하다는장점이있기때문이다. 이를위해전체연구집단자료에서개인차원과기관차원각각의총점을산출하고이를 T점수로변환한이후에 1 표준편차를기준으로높은수준, 중간수준, 낮은수준을구분하였다. 그결과차원별수준을변별해주는절단점수는 T점수를기준으로개인차원은 39점 ( 원점수 =52점 ) 이하는 낮은수준, 40 점 ~60점 ( 원점수 =53~69점 ) 은 중간수준, 61 점 ( 원점수 =70점 ) 이상은 높은수준 으로해석할수있으며, 기간차원은 39점 ( 원점수 =8점 ) 이하는 낮은수준, 40~61( 원점수 =9~18점 ) 은 중간수준, 62점 ( 원점수 =19점 ) 이상은 높은수준 으로해석할수있다. STCI의채점, T점수변환, 수준구분을위한일련의과정은부록 3을활용할수있다. STCI의차원별절단점수가지니는임상적 의미와타당도를함께검토하고자개인차원과기관차원의절단점수에따라세수준을구분하고간접트라우마스트레스반응 (PDS, ProQOL 5의 STS, STSS), 심리적증상 (CES-D, SCL-90의신체화와대인예민성 ), 소진 (ProQOL 5의 BO, MBI의정서적고갈과비인격화 ), 직업적만족감 (ProQOL 5의 CS, MBI의개인적성취감 ) 에대한일원분산분석을실시하였다 ( 표 7). 그결과개인차원의절단점수는간접트라우마스트레스반응에서는측정도구에따라세수준구분이다른양상을보였는데, PDS에서는낮은수준과중간수준은유의한차이가없었고높은수준은다른두수준에비해유의하게낮은양상을보였다. ProQOL 5의 STS에서는중간수준과높은수준간에는유의미한차이를보이지않고낮은수준만이유의하게두집단에비해높았지만 STSS로측정한간접트라우마스트레스에서는세집단이유의미한차이를보이며낮은수준이가장높은수준의간접트라우마스트레스를경험하는것을확인하였다. 심리적증상들, 소진, 그리고직무만족감에서는세수준간유의미한차이를보이고있어 STCI의개인차원절단점수는임상적, 해석적의미에서타당하게활용될수있음을확인하였다. 한편, 기관차원의절단점수는 CES-D, SCL-90의신체화, MBI의정서적고갈과비인격화에서는세수준이명확히구분되었다. SCL-90의대인예민성에서는낮은수준집단만중간및높은수준집단과구분이되었고, 그외변인들에서는낮은수준집단과중간수준은차이가없고높은수준집단만이다른두집단과구분되는양상을보였다. 기관차원의간접트라우마관리가주로우울이나소진과연관성이높다는점을고려했을때, 이러한결과는 - 598 -
주혜선 조윤화 안현의 / 정신건강전문가용간접트라우마관리도구 (STCI) 의개발 표 7. STCI 절단점수에따른집단간간접트라우마관련심리적변인에서의차이 영역 심리적변인 낮은수준중간수준높은수준 M (SD) M (SD) M (SD) F 사후검증 n=58(13.3%) n=306(70.3%) n=62(14.3%) PDS 11.15 (10.44) 7.66 (7.67) 4.87 (5.86) F(2,407)=9.24 *** 저, 중 > 고 a CES-D 22.11 (10.20) 14.15 (8.53) 8.3 (7.61) F(2,410)=37.64 *** 저 > 중 > 고 b SCL-90 신체화 13.14 (9.22) 8.65 (6.87) 5.34 (5.77) F(2,414)=18.13 *** 저 > 중 > 고 a 개인수준간접트라우마관리 SCL-90 대인예민성 11.50 (7.58) 7.74 (6.00) 4.37 (4.22) F(2,418)=21.01 *** 저 > 중 > 고 a MBI 정서적고갈 28.95 (9.97) 23.48 (9.51) 18.23 (8.94) F(2,416)=18.90 *** 저 > 중 > 고 b MBI 비인격화 10.16 (5.20) 6.84 (4.96) 4.77 (4.20) F(2,420)=18.63 *** 저 > 중 > 고 b MBI 개인적성취감 26.95 (5.99) 32.61 (6.66) 37.23 (6.62) F(2,416)=36.81 *** 저 < 중 < 고 b ProQOL CS 30.02 (5.38) 34.81 (5.46) 40.98 (6.09) F(2,418)=55.75 *** 저 < 중 < 고 b ProQOL BO 27.67 (4.73) 23.43 (4.66) 18.89 (4.68) F(2,415)=52.58 *** 저 > 중 > 고 b ProQOL STS 25.34 (6.12) 22.67 (5.76) 20.74 (5.69) F(2,416)=9.54 *** 저 > 중, 고 b STSS 42.91 (13.27) 37.01 (11.28) 32.42 (10.25) F(2,406)=12.28 *** 저 > 중 > 고 b n=102(23.4%) n=264(60.7%) n=63(14.5%) PDS 8.40 (9.26) 8.02 (7.89) 5.17 (5.10) F(2,412)=3.67 * 저, 중 > 고 a CES-D 18.84 (11.41) 13.69 (8.01) 9.95 (8.70) F(2,412)=20.18 *** 저 > 중 > 고 a SCL-90 신체화 10.90 (8.96) 8.65 (6.86) 5.34 (4.85) F(2,417)=11.57 *** 저, 중 > 고 a 기관수준간접트라우마관리 SCL-90 대인예민성 10.12 (8.25) 7.32 (5.26) 5.60 (5.79) F(2,420)=11.87 *** 저 > 중, 고 a MBI 정서적고갈 27.70 (10.46) 23.10 (9.06) 18.73 (9.23) F(2,419)=18.07 *** 저 > 중 > 고 b MBI 비인격화 8.66 (5.66) 7.07 (4.81) 4.33 (4.19) F(2,423)=14.93 *** 저 > 중 > 고 a MBI 개인적성취감 31.58 (7.44) 32.03 (6.94) 36.28 (6.53) F(2,420)=10.33 *** 저, 중 < 고 b ProQOL CS 34.12 (6.67) 34.38 (5.58) 39.02 (6.01) F(2,421)=17.06 *** 저, 중 < 고 b ProQOL BO 25.03 (5.42) 23.66 (4.73) 19.21 (4.89) F(2,418)=28.62 *** 저, 중 > 고 b ProQOL STS 23.95 (6.25) 22.86 (5.70) 20.51 (5.74) F(2,419)=6.73 *** 저, 중 > 고 b STSS 37.66 (13.21) 37.97 (11.38) 32.90 (9.78) F(2,409)=4.72 ** 저, 중 > 고 b 주. a = Dunnet T3 사후검증, b = Scheffe 사후검증 * p<.05., ** p<.01., *** p<.001. STCI의기관차원의 2개의절단점수가우울이나소진과관련해서좀더민감하게집단을구분하는데유용할수있음을시사한다. 논의본연구에서는트라우마로고통을호소하는사람들을전문적으로돕는정신건강전문가들의간접트라우마영향을관리하는데유용한 - 599 -
전략들을점검할수있는도구인전문가용간접트라우마관리도구 (STCI) 를개발하고그신뢰도와타당도를함께검토하였다. STCI는양호한신뢰도와타당도를보였고, 절단점수들도간접트라우마관리시임상적으로유용할수있다는것을확인하였다. 정신건강전문가의직무특성상간접트라우마노출이반복적이고장기화될때경험할수있는부정적인영향들을최소화하고전문가의삶의만족을유지하기위해필요한노력이개인적인차원에서만논의되는것이아니라기관과조직수준에서도체계적으로관리하는것이중요하다는것을인식하고이를경험적으로측정할수있는도구를개발하여소개한것은본연구의의의이다. 많은경험적연구들을통해정신건강전문가들의간접트라우마로인한부정적인영향에대한이해가깊어진만큼이나간접트라우마의영향을잘다룰수있는방법들을규명하고실무현장에적용하는데노력을기울여야하는시점에서 STCI는유용하게활용될수있을것으로기대된다. 본연구의주요결과들에대한논의는다음과같다. 첫째, 본연구에서는국내정신건강전문가들의간접트라우마노출에따른 STS, 소진, 공감만족을위한관리에개인적수준에서의신체적조절, 주도적관계자원활용, 심리적경계설정, 의미추구전략과기관차원의관리전략이유의하게관여하고있음을경험적으로확인하였다. 이러한연구결과는서구문화권에서보고된결과와도일관된다 (Cohen & Collens, 2013; Harrison & Westwood, 2009), 특히, 간접트라우마관리전략들간에는모두유의한정적상관관계를보였지만, 기관차원의관리전략이개인적인관리전략들과보인상관계수는개인적인관리전략들간지닌상 관계수들비해뚜렷하게낮은양상을보이고있어간접트라우마관리전략들은개인차원과기관차원으로구분하여이해하는것이경험적으로도타당해보인다. Cohen과 Collens (2013) 의메타연구에서도직무수행상경험한간접트라우마스트레스에대한반응들을대처하는전략들중에서기관수준의지지는개인적수준의전략과구분되고있다. 이러한적응적이면서도긍정적인대처전략들은간접트라우마노출이후의부정적영향에대한관리를넘어간접외상후성장으로도이어지는주요한기제임을이들은기술하고있다. 간접트라우마관리에대한역기능적인대처전략을평가하는것은부적응이나일부심리적증상들은잘예측해줄수있을지몰라도긍정적기능이나적응과관련해서는그기제가다를수있기때문에충분한설명이어렵다. 본연구에서개발한 STCI가포함하고있는간접트라우마에대한관리전략들은적응적이고긍정적인대처전략들을포함하고있기때문에간접트라우마이후의긍정적인변화와성장과관련해서도본연구의결과는검토될필요가있을것이다. 또한기관차원의간접트라우마관리를측정하는문항들의평균점수가 2점대에분포하면서개인차원의문항점수들에비해서현저히낮은양상을보이고있어국내간접트라우마관리가주로개인적인수준에서더많이이루어지고있음을확인하였다. 이러한결과들을함께고려했을때국내정신건강서비스를제공하는기관들이좀더기관차원에서간접트라우마관리를위한지원체계를갖추는노력이필요할것으로보인다. 지금껏간접트라우마관리에대한국내외주요연구들을개인적수준에서의관리전략들만이경험 - 600 -
주혜선 조윤화 안현의 / 정신건강전문가용간접트라우마관리도구 (STCI) 의개발 적으로검증되어왔고, 기관차원에서의간접트라우마관리에대해서는이론적수준에서만그중요성이언급되어왔기에기관차원의간접트라우마관리수준에대한본연구의결과를다른경험적연구들과비교할수있는근거는미미하다. 다만, 정신건강서비스를제공하는기관들이지니고있는간접트라우마관리자원들이사회환경적맥락에따라구성요소나중요도가다를가능성은본연구의결과와함께고려되어야할것이다. 둘째, 탐색적요인분석의결과 5요인구조를채택하게되면서그외심리적균형조절영역이제외되었다. 그외심리적균형조절은직무수행에따른간접트라우마의영향을자각하고조절하는전략들을포함하고있는데이들문항들이주도적관계자원활용, 심리적경계설정, 의미추구요인에중복부하되는양상을보였다. 이러한현상은심리적균형을조절하는기제들중에는역기능적인전략들의경우통계적으로명료하게구분되는경향이있지만, 기능적전략들의경우이들간구분이불분명한특성을보이는경향이있어 ( 안현의, 이나빈, 주혜선, 2013), 긍정적인심리적조절전략을측정하는그외심리적균형조절요인이통계적으로명확히다른요인들과명료하게구분되어하나의요인으로설명되기어려웠을가능성을함께고려해볼수있을것이다. 또다른가능성으로는그외심리적균형조절요인이다른요인들과동일한수준에서하나의구인으로수렴될수있는개념이라기보다다른요인들의기저에서영향을미치는심리적기제와관련될가능성도고려해볼수있다. 스트레스와관련된내적경험들에대한자각이선행될때긍정적재평가와긍정적정서적경험들을촉진시킬수 있고더나아가삶의목적이나의미를만들고적응적이거나사회지향적인행동들이가능하도록하기때문이다 (Garland, Farb, Goldin, & Fredrickson, 2015). 셋째, STCI의검사-재검사의신뢰도에서, 심리적경계설정은다소낮은수준의검사재검사신뢰도수준을보였고 (r=.44, p <.001) 그외하위척도들은모두양호한수준의검사-재검사신뢰도를보였다. 재검사측정에참여한인원이참여하지않은인원들과비교했을때 ProQOL 5의세하위척도와 STSS, 그리고 STCI의개인차원에해당하는하위척도들에서는유의미한차이를보이지않았고, 주당트라우마생존자를돕는직무활동시간도유의한차이가없었다. 다만, STCI의기간간접트라우마관리점수에서는재검사에참여한집단에서유의하게더낮은양상을보이고있어, 간접트라우마관리수준을상대적으로더낮게지각하는전문가집단에서는심리적경계설정이시간안정성이낮다는결과는심리적경계설정이좀더상황적으로민감하게반응하는속성을지니고있을가능성도고려해볼수있을것이다. 본연구결과에서기관차원간접트라우마관리와심리적경계설정이.25(p<.01) 의공분산추정치를보이며상호관련성을지니는것을고려했을때, 기관차원에서이러한한계를설정하고존중하는체계를충분히갖추지못한경우에는전문가들이내담자나직장에서자신의한계설정과정에서상황적맥락의영향을더쉽게받을수있을것으로추정된다. 기관차원간접트라우마관리가개인의주관적지각에근거하여평가되고있다는측정방식을고려했을때, 직무환경의자원들을지각하여평정하는것은좀더상황적영향을받았을가능성도함 - 601 -
께고려될수있을것이다. 본연구의결과에기반한 STCI의활용에대한제안은다음과같다. 첫째, 임상실무현장에서일하는정신건강전문가들이트라우마생존자나이들의가족이나연인, 친구및동료와같은주요타인을돕는직무수행을하게될때 STCI를사용하여자신의간접트라우마관리수준을관찰하는용도로활용할수있다. 간접트라우마에자주노출되는정신건강전문가들 ( 예, 트라우마내담자의비율이높은상담자들, 아동학대나성폭력생존자지원기관에종사하는전문가들, 응급상황이나죽음에위협을주는질병에대한의료적개입이잦은전문가들등 ) 은간접트라우마노출에따른부정적영향에취약할수있어 ( 박윤미, 윤혜미, 2011; Bride et al., 2007; Conrad & Kellar-Guenther, 2006; Cunningham, 2003; Follett, Polusny, & Milbeck, 1994; Ghahramanlou & Brodbeck, 2000; Johnson & Hunter, 1997; Kadambi & Truscott, 2004; Nelson-Gardell & Harris, 2003) 주기적인점검이필요한데, 이러한점검에 STCI를사용한다면개인의간접트라우마관리에필요한전략을살펴보고더힘써야할대처전략에대한정보를얻는데유용할것이다. 특히트라우마사건직후의위기개입에투입된전문가들의경우간접트라우마의부정적인영향에취약할수있어개입도중과직후에자기돌봄이더욱중요할수있는데, 심리적위기상담이잦은정신보건관련기관의전문가들은예방적이고지속적인관리차원에서주기적으로간접트라우마관리에대한구체적인정보들을 STCI의개별하위척도별로검토하여개인에게최적화된간접트라우마관리전략을모색하는데활용할수있을것이 다. STCI의개별문항들은문항분석단계에서간접트라우마스트레스, 소진, 직무관련성취감및만족과관련된변인들과유의미한상관관계를지닌것으로확인된문항들로, 개별문항하나가간접트라우마관리전략에대한정보를긍정적기술의형태로포함하고있다. 따라서절단점수를통해보완이필요하다고확인된차원이있다면해당차원안에서개별문항에해당하는간접트라우마관리전략을개인의일상또는직무환경에서적용할수있는구체적인전략모색이도움이될수있으며, 만일개인차원에서관리가더욱필요하다고검토되었다면하위요인간점수차이를먼저검토하여좀더개입이필요한요인이무엇인지를살펴보고, 해당요인의간접트라우마관리전략을늘릴수있는방법들을고려해볼수있을것이다. 그리고수련감독자의역할을지니는정신건강전문가들은트라우마생존자를주로다루는직무수행을하는전문가들을수련하는과정에서 STCI를사용할수있을것으로기대된다. 사례에대한토의뿐아니라상담자가간접트라우마에대처하는자원을키우는것의중요성을강조하고지도하는것이필요한데 (Trippany, Kress, & Wilcoxon, 2004), 이때수련생의간접트라우마관리정도를살펴보고어떤도움이필요한가에대한정보를얻는데 STCI를활용할수있을것이다. 다만, STCI는일부심리적어려움이나기능저하를보일수있는사람들을선별하기위한진단용도구가아니기때문에절단점수에대한해석이나도구활용이취약한사람들을선별하기위한목적으로왜곡되어활용되지않도록주의해야할것이다. 둘째, 정신건강관련기관에서는간접트라 - 602 -
주혜선 조윤화 안현의 / 정신건강전문가용간접트라우마관리도구 (STCI) 의개발 우마로인한부정적인영향들을예방하고지속적으로관리하기위해조직내에보유하고있어야할간접트라우마관련자원들을점검하고갖추는데이도구를활용할수있을것이다. 기관에서는간접트라우마관리에도움이되는자원을지원받을수있는방법을주기적으로공지하여구성원들에게알리는것과같은하향적관리와해당기관의정신건강전문가들이그들에게필요한지원을요청할때지원을제공하는것과같은상향적관리가가능할수있는체계를갖추는것이무엇보다중요하다. 본연구결과에서는간접트라우마관리가전반적으로개인차원이높고기관차원이상대적으로낮은양상을보였는데, 이와같은결과는국내정신건강전문가들의간접트라우마관리는아직까지는개인적수준에서의주제로다루어지는양상을반영하는것으로보인다. 이것은정신건강서비스를제공하는기관들이간접트라우마관리를위한조직적체계를갖추는것이나기관소속의전문가들에게필요한자원에대한이해및제공에대한노력이더필요할수있다는것을시사하는것으로볼수있다. 이를위해정신건강관련기관의관리자들은소속전문가들이자신의간접트라우마관리에대한정보에대해대화할수있는환경을만드는것이필요하다. 특히주도적관계자원활용과기관간접외상관리의점수는조직차원에서기울일수있는노력에대한방향을제시해줄수있을것으로기대된다. 즉, 기관에서근무하는정신건강전문가들에게간접트라우마의영향에대한정보를제공하고간접트라우마의영향을관리할수있는자기돌봄에대한교육또는워크샵지원, 내담자의트라우마경험으로 인해간접트라우마스트레스증상이심한경우에는개인상담회기지원, 힘든사례의관리에필요한수퍼비전과자문제공, 그리고직장안에서지지적인관계를맺을수있는분위기를만드는시도등의노력이해당기관에서어느정도필요한지를간편하게살피는데 SCTI로부터얻은정보들을활용할수있을것이다. 셋째, 정신건강전문가들이속한주요학회에서는학회원들이직무수행상경험할수있는간접트라우마노출에따른취약성을줄일수있도록간접트라우마의영향에대한정보와더불어간접트라우마의부정적영향을효과적으로관리하는데도움이될수있는개인및기관차원의간접트라우마관리전략에대한정보를학회원들에게공지하는것이유용할것이다. 이를테면학회의홈페이지를통해간접트라우마의심리사회적영향과관련된정보들을탑재하고학회원들이이러한정보를숙지할수있도록안내하거나 STCI와같은간접트라우마관리를점검할수있는도구를비롯하여간접트라우마의영향을점검할수있는도구들에대한정보도이들에게함께제공하여학회원들이간접트라우마의영향을점검하고필요한관리전략을수립하여적용할수있도록하는체계를갖추는것도필요할것이다. 미국상담심리학자의상위조직중하나로이해될수있는미국상담학회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2003) 는상담자들의직무와관련된취약성으로인한잠재적위험성을예방하고안녕과탄력성을증진시키기위한 TF를통해공감피로나소진과같은증후군을관리하는데유용한지침 ( 예, 공감피로나소진의증상을스스로알아차리는것, 몸과마음이균형잡힌삶을유지하는것, - 603 -
개인의삶과직장에서지지적인사회적관계를유지하는것 ) 을제공하고있다. 이러한제언은조직수준에서정신건강전문가의간접트라우마영향관리의중요성을인식하고직무활동에따른잠재적해로움들로부터학회원들을보호하기위한노력으로이해할수있을것이다. 더불어재난과같은트라우마사건이발생하게되면대규모로정신건강전문가들이동시에현장에투입되어심리사회적지지활동을제공하게되는데재난의속성상일정기간이상이러한활동에반복적, 지속적으로관여하거나, 본업에해당하는직무수행과병행하여재난심리지원활동에참여하게되는경우가많기때문에재난성트라우마에대한개입이후간접트라우마의부정적인영향으로부터취약성이증가할수있어 (Boscarino, Figley, & Adams, 2004; Racanelli, 2005) 이러한경우에는개인적수준및기관차원에서의관리를넘어선수준에서체계적인관리가필요할것이다. 재난에대한심리사회적지지활동에대한개입은주로학회차원에서정신건강전문가들의개입과정과활동을계획하고관리하게되는경우가많다. 따라서주요정신건강관련학회에서는재난의심리사회적지지활동계획수립단계에서부터심리사회적지지활동에투입되는전문가들의간접트라우마영향을점검하고관리하는데유용한정보나교육등을제공하는것과같은관리계획을고려하는것이필요할것이며 STCI와같은도구는이러한과정에서활용될수있을것이다. 넷째, 정신건강전문가들의간접트라우마영향을관리하는데필요한요인들에대한경험적연구수행에있어 STCI는유용한도구가될수있을것으로기대한다. 앞서도입부에 서언급한바와같이간접트라우마관리에대한제언은주로이론적이고실무적인수준에서많이논의되어왔으며개인적수준에서할수있는간접트라우마관리전략과기관차원에서관리가필요한전략을다각적으로측정할수있는신뢰롭고타당한평가도구가미미했기때문에 STCI를정신건강전문가들의간접트라우마관리에대한경험적연구수행시사용한다면정신건강전문가들에게필요한자원과지원을위한경험적근거들을마련하는데도움이될것이라고기대된다. 특히, 임상실무현장에서간접트라우마경험에대한이해와관리에대한실질적수요와관심에비해서아직까지국내에서정신건강전문가들의간접트라우마관리에관한경험적연구들이많지않은것은아마도이러한주제가주로실무자들이더욱많은관심을가지는주제이기도하지만, 간접트라우마의영향을타당하고신뢰롭게측정할수있는도구가부족할뿐더러 ( 이미혜, 성승연, 2014), 간접트라우마관리전략들을측정할수있는신뢰롭고타당한도구의보급이아직까지는미흡하기때문이라고사료된다. 이러한맥락에서 STCI는정신건강전문가들의간접트라우마관리와관련된주제의연구수행에있어서도유용하게활용될수있을것이다. 본연구의제한점과후속연구에대한제언은다음과같다. 본연구대상은여성전문가의참여비율이무엇보다높았고, 직업군에서는심리학자와사회복지사가대다수였기때문에남성전문가의자료를포함한다른정신건강전문가들, 이를테면의료보건계열의정신건강전문가에해당하는직업군에서도 STCI의유용성과관련된본연구의결과가검토될필요가있을것이 - 604 -
주혜선 조윤화 안현의 / 정신건강전문가용간접트라우마관리도구 (STCI) 의개발 다. 특히, STCI 문항들이정신건강전문가들을대상으로한주요경험적연구결과들을기반으로기술된것이긴하나직군별해당전문가들로부터타당도를검토하지못했다는본연구의제한점을보완하기위해서는후속연구에서직군별 STCI에대한안면타당도가추가로검토될필요도있을것이다. 이를테면, 정신건강서비스를제공하는주체를지칭하는용어 ( 예, 상담자 ) 나이러한서비스의수여자를지칭하는용어 ( 내담자 ) 는직군에따라더적절하게기술될수있는용어로바꾸어사용될수있을것이다. 그리고 STCI의타당도를검토하는과정에서사용한 ProQOL 5나 STSS는본연구를위해번안하여사용하였으나이들도구가지니는측정학적속성을원고에자세하게제시하지는못하였다. 다만, 이들도구가지니는신뢰도와타당도는연구진에의해서 1차적으로검토되었고, 국내에서이미신뢰도와타당도가확인된도구들과의관계도함께제시하여이러한제한점을보완하고자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본연구에서검토한심리적증상이나직무만족과같은종속변인이외에도개인의긍정적인삶의지표를비롯하여직무수행과관련된주요기능들에대해서 STCI의영향력을살펴보는것이필요할것이라고보인다. 이때 STCI가간접트라우마와관련된심리사회적영향을조절하는데있어서일반적인자기돌봄과구분되는고유한영향력에대해서도함께검토될필요가있을것이다. 또한직무수행상경험하는직접트라우마와간접트라우마노출이중첩되는정신건강전문가의경우에는 STCI가측정하는간접트라우마관리전략이외에추가되어야하는전략이있는지에대한검토도필요할것이다. 참고문헌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1984). 간이정신진단검사실시요강. 서울 : 중앙적성출판사. 박윤미, 윤혜미 (2011). 외상생존자와일하는사회복지사의소진에대한역할갈등, 업무부담과이차적외상스트레스및자기효능감의영향. 한국아동복지학, 36, 289-322. 안현의 (2005). 청소년의심리적외상에관한탐색적연구 : 외상후스트레스증상과성격특성을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7, 217-231. 안현의, 이나빈, 주혜선 (2013). 한국판인지적정서조절전략척도 (K-CERQ) 의타당화. 상담학연구, 14. 1773-1794. 안현의, 한민희, 주혜선 (2013). 외상후스트레스장애의인지-기억체계., 25, 111-133. 유성경, 박성호 (2002). 상담환경의위험요소, 지각된사회적지지가상담자의심리적소진에미치는영향., 14, 389-400. 이미혜, 성승연 (2014). 상담자들의대리외상 : 개관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일반, 33, 109-137. 이인숙, 하정미 (2008).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상담경험에관한연구. 정신보건과사회사업, 28, 96-125.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 통합적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6, 59-76. 주혜선, 심기선, 안현의 (2015). 침습적외상기억과외상관련정서의종단관계연구 : 외상후 6개월이상경과된대학생을중 - 605 -
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 일반, 34, 159-183.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모형의적합도지수선정기준과그근거.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19(1), 161-177.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2003). ACA taskforce on counselor wellness and impairment. http://www.counseling.org/knowledge -center/counselor-wellness에서 2015, 2, 15, 인출.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rev.).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Bercier, M. L., & Maynard, B. R. (2015). Interventions for secondary traumatic stress with mental health workers: A systematic review. Research on Social Work Practice, 25, 81-89. Bober, T., Regehr, C., & Zhou, Y. R. (2006). Development of the coping strategies inventory for trauma counselors. Journal of Loss and Trauma, 11, 71-83. Boscarino, J. A., Figley, C. R., & Adams, R. E. (2004). Compassion fatigue following the September 11 terrorist attacks: A study of secondary trauma among New York City social workers. International Journal of Emergency Mental Health, 6, 57. Bride, B. E., Robinson, M. M., Yegidis, B., & Figley, C. R. (2004).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econdary Traumatic Stress Scale. Research on Social Work Practice, 14, 27-35. Bride, B. E., Jones, J. L., & Macmaster, S. A. (2007). Correlates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in child protective services workers. Journal of Evidence-Based Social Work, 4, 69-80. Child Welfare Committee National Child Traumatic Stress network (2008). Child welfare trauma training toolkit: Comprehensive guide (2nd ed.). New York, CA & Durham, NC: National Center for Child Traumatic Stress. Cohen, K., & Collens, P. (2013). The impact of trauma work on trauma workers: A meta-synthesis on vicarious trauma and vicarious posttraumatic growth. Psychological Trauma: Theory, Research, practive, and Policy, 5, 570-580. Conrad, D., & Kellar-Guenther, Y. (2006). Compassion fatigue, burnout, and compassion satisfaction among Colorado child protection workers. Child Abuse & Neglect, 30, 1071 1080. Cornille, T. A., & Meyers, T. W. (1999). Secondary traumatic stress among child protective service workers: Prevalence, severity and predictive factors. Traumatology, 5, 15-31. Clark, M. L., & Gioro, S. (1998). Nurses, indirect trauma and prevention. Imag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0, 85-87. Cunningham, M. (2003). Impact of trauma work on social work clinicians: Empirical findings. Social Work, 48, 451 459. Derogatis, L. R., & Cleary, P. A. (1977). Confirmation of the dimensional structure of - 606 -
주혜선 조윤화 안현의 / 정신건강전문가용간접트라우마관리도구 (STCI) 의개발 the SCL-90: A study in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3, 981-989. Devilly, G. J., Wrighr, R., & Vaker, T. (2009). Vicarious trauma, secondary traumatic stress or simply burnout? Effect of trauma therapy on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43, 373-385. Dombo, E. A., & Gray, C. (2013). Engaging spirituality in addressing vicarious trauma in clinical social workers: A self-care model. Social Work & Christianity, 40, 89-104. Figley, C. R. (1999). Compassion fatigue: Toward a new understanding of the costs of caring. In B. H. Stamm(ed.). Secondary traumatic stress: Self-care issues for clinicians, researchers, and educators (2nd ed., pp. 3-28). Lutherville, MD: Sidran. Figley, C. R. (2002). Compassion fatigue: Psychotherapists' chronic lack of self car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8, 1433-1441. Floyd, F. J., & Widaman, K. F. (1995). Factor analysis in the development and refinment of clinical assessment instruments. Psychological Assessment, 7, 286-299. Foa, E. B., Cashman, L., Jaycox, L., & Perry, K. (1997). The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 Psychological Assessment, 9(4), 445-451. Garland, E. L., Farb, N. A., Goldin, P. R., & Fredrickson, B. L. (2015). Mindfulness broadens awareness and builds eudaimonic meaning: A process model of mindful positive emotion regulation. Psychological Inquiry, 26, 293-314. Harrison, R. L., & Westwood, M. J. (2009). preventing vicarious traumatization of mental health therapists: Identifying protective practices.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Practice, Training, 46, 203-219. Hensel, J. M., Ruiz, C., Finney, C., & Dewa, C. S. (2015). Meta-analysis of risk factors for secondary traumatic stress in therapeutic work with trauma victims. Journal of Traumatic Stress, 28, 83-91. Hu, L.,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6, 1-55. Hunter, S. V., & Schofield, M. (2006). How counsellors cope with traumatized clients: Personal, Professional and organizational strategies. International Journal for the Advancement of Counselling, 28, 121-138. Jenkins, S. R., & Baird, S. (2002).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vicarious trauma: A validational study.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5, 423-432. Johnson, C. N. E., & Hunter, M. (1997). Vicarious traumatization in counselors working in the New South Wales Sexual Assault Service: An exploratory study. Work & Stress, 11, 319 328. Kadambi, M. A., & Truscott, D. (2004). Vicarious trauma among therapists working with sexual violence, cancer, and general practice. Canadian Journal of Counselling, 38, 260 276. Maslach, C., Schaufeli, W. B., & Leiter, M. P.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 607 -
Psychology, 52, 397-422. Maslach, C., & Jackson, S. (1981). Maslach burnout inventory menual.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Maltzman, S. (2011). An organizational self-care model: Practical suggestions for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The Counselling Psychologist, 39, 303-319. Nelson-Gardell, D., & Harris, D. (2003). Childhood abuse history,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child welfare workers. Child Welfare: Journal of Policy, Practice, and Program, 82, 5-26. Newell, J. M., & MacNeil, G. A. (2010). Professional burnout, vicarious trauma,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compassion fatigue: A review of theoretical term, risk factors, and preventive methods for clinicians an researchers. Best Practices in Mental Health: An International Journal, 6, 57-68. Pearlman, L. A., & Mac Ian, P. S. (1995). Vicarious traumatization: An empirical study of the effects of trauma work on trauma therapist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26, 558-565. Racanelli, C. (2005). Attachment and compassion fatigue among American and Israeli mental health clinicians working with traumatized victims of terrorism. International Journal of Emergency Mental Health, 7, 115 124.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Salloum, A., Kondrat, D. C., Johnco, C., & Olson, K. R. (2015). The role of self-care on compassion satisfaction, bournout and secondary trauma among child welfare worker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49, 54-61. Samios, C., Rodzik, A. K., & Abel, L. M. (2012).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adjustment in therapists who work with sexual violence survivors: The moderating role of posttraumatic growth. British Journal of Guidamce & Counselling, 40, 341-356. Stamm, B. H. (2010.). The concise ProQOL manual (2nd ed.). Pocatello, ID: ProQOL.org. Stebnicki, M. A. (2007). Empathy fatigue: Healing the mind, body, and spirit of professional counselor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ic Rehabilitation, 10, 317-338. Trippany, R. L., Kress, V. R., & Wilcoxon, S. A. (2004). Preventing vicarious trauma: What counselors should know when working with trauma survivor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2, 31-37. White, G. D. (1998). Trauma treatment training for Bosnian and Croatian mental health worker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68, 58-62. 원고접수일 : 2015. 11. 18 수정원고접수일 : 2016. 03. 05 게재결정일 : 2016. 06. 22-608 -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16, Vol. 28, No. 3, 579-613 Development of the Secondary Trauma Care Inventory(STCI)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Hyesun Joo Yoonwha Cho Hyunnie Ahn Ewha Womans University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velop the Secondary Trauma Care Inventory(STCI), an instrument for assessing multidimensional secondary trauma care strategies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Following the literature review, 489 mental health professionals were recruited, and 435 professionals with work-related secondary trauma were selected to generate items and dimensions (physical regulation, proactive social resourcing, psychological boundary setting, meaning making, other psychological regulation, and organizational secondary trauma management). Item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five-factor structure, good reliabilities, and validities. Cut-off scores were calculated and based on the total scores of both the personal and organizational dimensions and validities were obtained. Results and restric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Key words : mental health professionals, secondary traumatic stress, burnout, compassion fatigue, secondary trauma care. - 609 -
- 610 -
주혜선 조윤화 안현의 / 정신건강전문가용간접트라우마관리도구 (STCI) 의개발 - 611 -
2. 정신건강전문가용간접트라우마관리척도 (STCI) [ 개인차원 ] 극단적인사건이나트라우마를경험한사람들과의직무수행에따른영향들을개인적으로어떻게관리하고있는지를떠올려보시고아래의문항에답변해주시기바랍니다. 전혀아니다 = 1 2 3 4 5 = 매우그렇다 1. 충분한수면을취한다. 2. 규칙적인식사를한다. 3. 몸이아프거나피곤할때휴식을취한다. 4. 가까운사람들과즐거운활동을종종같이한다. 5. 가까운사람들에게마음을터놓고지지와도움을받는다. 6. 주요타인과갈등을잘해결하는편이다. 7. 수퍼바이저나상사로부터사례와관련된자문과지지를구한다. 8. 힘든사례에대해서동료들과이야기하고지지를받는다. 9. 내담자및직장에서일하는사람들사이에서나의한계를분명하게한다. 10. 직장이나내담자로부터무리한요구가있을때이를거절한다. 11. 내담자와경계에대해명확하게대화를나누고합의한다. 12. 변화에대한믿음과희망을가지고있다. 13. 내가중요하다고생각하는가치와관련된활동을한다 ( 예 : 종교생활, 자원봉사등 ). 14. 내담자의경험을다양한관점에서바라보고재해석한다. 15. 내담자의경험과나의삶을분리해서보려고노력한다. 16. 내가이직업을선택한이유를떠올리고의미를찾는다. [ 기관차원 ] 극단적인사건이나트라우마를경험한사람들과의직무수행에따른영향들을당신이근무하는기관에서어떻게관리하고있는지를떠올려보시고아래의문항에답변해주시기바랍니다. 전혀아니다 = 1 2 3 4 5 = 매우그렇다 17. 심각한트라우마사례를본후에충격완화가필요할때는업무시간내휴식을고려해준다. 18. 내담자의트라우마경험으로인해상담자가심각한영향을받았을때상담자를위한심리적지원 ( 예 : 외부트라우마전문가연계, 수퍼비전, 자문등 ) 을한다. 19. 상담자의자기돌봄에대한교육이나정보를제공한다. 20. 주요직책을맡고있는사람들이실무자들의자기돌봄의중요성에대해서언급한다. 21. 직무만족도를주기적으로평가한다. - 612 -
주혜선 조윤화 안현의 / 정신건강전문가용간접트라우마관리도구 (STCI) 의개발 전문가용간접트라우마관리척도 (STCI) 채점지 개인차원간접트라우마관리 신체적조절 주도적관계자원활용 심리적경계설정 의미추구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단계 : 총점 = 점 (1-16번문항총점 ) 총점변환원점수총점 52점이하 T점수 39점이하의미 낮은수준의미원점수총점 53점 ~69점 T점수 40점 ~60점의미 중간수준의미원점수총점 70점이상 T점수 61점이상의미 높은수준의미 기관차원간접트라우마관리 17. 18. 19. 20. 21. 총점 = 점 (17-21번문항총점 ) 총점변환원점수총점 8점이하 T점수 39점이하의미 낮은수준의미원점수총점 9점 ~18점 T점수 40점 ~61점의미 중간수준의미원점수총점 19점이상 T점수 62점이상의미 높은수준의미 [STCI 요약표 ] 간접트라우마관리수준 개인차원수준 기관차원수준 낮은수준 낮은수준 중간수준 중간수준 높은수준 높은수준 - 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