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0E6C8F1B4EBBBE7C8B8B0FAC7D05F33365F3128C3EBC7D5292E687770>



Similar documents
게 미치는 다른 부정적인 측면은 없는지에 대해서도 논의해 보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텔레비전의 직접적인 영향 하에 있는 학부모 집단이나 청소년들은 지상파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그다지 유해하지 않다는 입장을 보였다. 오히려 지상파 텔레비전 프로그램 을 통해 보이는 부정적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

歯14.양돈규.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The Effects of Pare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시도서목록(CIP) 일본만화의 폭력성과 우리 청소년 / 청소년위원회 청소년 보호단 매체환경팀 편집. -- 서울:청소년위원회, 2005 p. ; cm. -- (청소년 ; ) ISNB :기타 KDC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 456, 253 ( 89, 164 ), 203 ( 44, 159 ). Cronbach α= ,.,,..,,,.,.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The Mediating Eff


지난 2009년 11월 애플의 아이폰 출시로 대중화에 접어든 국내 스마트폰의 역사는 4년 만에 ‘1인 1스마트폰 시대’를 눈앞에 두면서 모바일 최강국의 꿈을 실현해 가고 있다

230 한국교육학연구 제20권 제3호 I. 서 론 청소년의 언어가 거칠어지고 있다. 개ㅅㄲ, ㅆㅂ놈(년), 미친ㅆㄲ, 닥쳐, 엠창, 뒤져 등과 같은 말은 주위에서 쉽게 들을 수 있다. 말과 글이 점차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바뀌고, 외 국어 남용과 사이버 문화의 익명성 등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The Structural Rel

DBPIA-NURIMEDIA


歯프로그램.PDF

<30392EB9DAB0A1B6F72CC1A4B3B2BFEE2E687770>

도비라

,......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상담학연구 * Shelton(1990) Eden(2001).. D 480,, 425..,... * (Corresponding Author): / / ( ) 1370 Tel: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K * The Analysis

. 45 1,258 ( 601, 657; 1,111, 147). Cronbach α=.67.95, 95.1%, Kappa.95.,,,,,,.,...,.,,,,.,,,,,.. :,, ( )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The Grounds and Cons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A Study on Organizi

특수교육논총 * ,,,,..,..,, 76.7%.,,,.,,.. * 1. **

118 김정민 송신철 심규철 을 미치기 때문이다(강석진 등, 2000; 심규철 등, 2001; 윤치원 등, 2005; 하태경 등, 2004; Schibeci, 1983). 모둠 내에서 구성원들이 공동으 로 추구하는 학습 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각자 맡은 역할에 따라 함께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BFA9BCBABFACB1B820C5EBB1C738382D312028BABBB9AEC1F8C2A 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IPA * Analysis of Perc

< FC3BBBCD2B3E2C1A4C3A5C0C720C8AEC0E5B0FA20B9DFC0FC28C3D6C1BE31292E687770>

교육치료연구 SNS : SNS SNS SNS SNS, SNS, SNS. SPSS MACRO SNS., SNS SNS. SNS, SNS,. SNS SNS,. (2016) (Corresponding Author) : / / 608 / Tel:



DBPIA-NURIMEDIA

<C7D1B1B9B1A4B0EDC8ABBAB8C7D0BAB85F31302D31C8A35F32C2F75F E687770>


. (2013) % % 2. 1% (,, 2014).. (,,, 2007). 41.3% (, 2013). (,,,,,, 2010)... (2010),,, 4.,.. (2012), (2010),., (,, 2009).... (, 2012).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 Early Childhood T

歯유성경97.PDF

(5차 편집).hwp

380 Hyun Seok Choi Yunji Kwon Jeongcheol Ha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이론연구 (Ki, 2010; Lee, 2012), 단순통계분석 (Lee, 2008), 회귀분석 (Kim, 2012)과 요인분석 (Chung, 2012), 경로분석 (Ku,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The Effect of Boa

석사학위 논문

노동경제논집 38권 3호 (전체).hwp

歯5-2-13(전미희외).PDF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202 김 수 현 원 영 신 있으므로, 이러한 선수들의 긍정적인 태도를 높여 구 단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조직적 차원의 연구가 요구된다 하겠다. 따라서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 구단의 조직성과 제고에 관한 학문적 작업은 중요한 연구과제인 것이다. 최근 조직 커뮤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Effects of a Classwi

2014 자격연수 제1기_수정.hwp

,......


<31372DB9CCB7A1C1F6C7E22E687770>

상담학연구,, SPSS 21.0., t,.,,,..,.,.. (Corresponding Author): / / / Tel: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The Effect of Caree

ʻ ʼ

<30382E20B1C7BCF8C0E720C6EDC1FD5FC3D6C1BEBABB2E687770>

<353420B1C7B9CCB6F52DC1F5B0ADC7F6BDC7C0BB20C0CCBFEBC7D120BEC6B5BFB1B3C0B0C7C1B7CEB1D7B7A5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제19권 제3호 Ⅰ. 문제제기 온라인을 활용한 뉴스 서비스 이용은 이제 더 이 상 새로운 일이 아니다. 뉴스 서비스는 이미 기존의 언론사들이 개설한 웹사이트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 며 기존의 종이신문과 방송을 제작하는 언론사들 외 에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신생 언론사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A study on Characte

<31342EBCBAC7FDBFB52E687770>

<3136C1FD31C8A35FC3D6BCBAC8A3BFDC5F706466BAAFC8AFBFE4C3BB2E687770>

차 례... 박영목 **.,... * **.,., ,,,.,,

., (, 2000;, 1993;,,, 1994), () 65, 4 51, (,, ). 33, 4 30, 23 3 (, ) () () 25, (),,,, (,,, 2015b). 1 5,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ethics of coaching sport Sungjoo Park* Kookmin University [Purpose] [Methods] [Results] [Conclusions] Key words: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untitled

ÀÌÁÖÈñ.hwp

상담학연구 : *. 375, -,,. AMOS..,.,.,.,.,... * (Corresponding Author): / / ( ) 1095 Tel: /

<35BFCFBCBA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 The Effect of Paren

歯이희경13-1.PD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A Study on the Opti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30315FC0CCB5BFC1D65FC7D1B1B9BCBAB8C5B8C5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Pe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31342DB1A4B0EDC7D0BFACB1B82DB0ADBCF6BDC42DB9DAB9FCBCF82E687770>

monitor01-01.PDF

<313120B9DABFB5B1B82E687770>

<31335FB1C7B0E6C7CABFDC2E687770>

27 2, * ** 3, 3,. B ,.,,,. 3,.,,,,..,. :,, : 2009/09/03 : 2009/09/21 : 2009/09/30 * ICAD (Institute for Children Ability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Experiences of Af

정치컴 23호-최종.hwp

44-6대지.08김정희-5

<B1B3B9DFBFF83330B1C7C1A631C8A35FC6EDC1FDBABB5FC7D5BABB362E687770>

Issue 두 가지 상대적 관점에서 검토되고 있다. 특히, 게임 중독에 대한 논의는 그 동안 이를 개인의 심리적 차원에서 접근해왔던 것에서 벗어나 청소년에 대한 사회문화 및 정보 리터러시(literacy) 교육의 방향이라든 지 나아가 게임중독과 관련한 사회구조적인 또는


Transcription:

9 사회과학연구 2010; 36(1) Journal of Social Science Vol.36, No.1, 2010; 191-212 사 회 과 학 연 구 이종격투기 프로그램 시청과 공격성향, 스트레스 해소 및 상태분노의 관계에 관한 연구 :수도권 여대생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이 병 혜(Byung-Hye Lee) 명지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과 부교수 leebh@mju.ac.kr 국문요약 본 연구는 여성 이종격투기 시청자를 대상으로 이종격투기 프로그램 시청량과 신체적/언 어적 공격성, 스트레스 해소 및 상태분노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간략하 게 요약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의 이종격투기 시청량은 언어적 공격성에 통계적 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 이종격투기 시청자의 신체적 공격성은 언어적 공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 이종격투기 시청자의 언어적 공격성은 스트레스 해소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 이종격투기 시청자의 신체적 공격성은 상태분노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여성 이종격투기 시청 자의 스트레스 해소는 상태분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용어:공격성향, 스트레스 해소, 상태분노, 신체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이종격투기, 둔감화

192ㆍ사회과학연구 제36권 제1호 Ⅰ.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지상파 중심의 방송환경은 케이블방송과 위성방송, 휴대폰, 인터넷, 지상파/위성 DMB, IP-TV 등 다매체 다채널시대로 이행되고 있는 가운데 케이블방송과 위성방송 간 수용자 선점을 위한 치열한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다. 케이블방송과 위성방송은 상호 유사한 서비 스와 콘텐츠를 제공한다는 특성 때문에 그 어떤 매체보다도 상대적으로 뜨거운 시청률 경 쟁을 벌이고 있는데, 이와 같이 상호경쟁구도에 있는 방송사 간의 서비스 및 콘텐츠 경쟁 은 직접적으로 인간의 원초적인 욕망을 자극하는 프로그램 등장을 촉진시키는 촉매제로 작용하고 있다. 그 가운데 UFC나 K-1, 프라이드 FC 등과 같은 이종격투기 프로그램은 김 인형(2007)이 지적하듯이, 21세기 스포츠의 강력한 아이콘으로 카타르시스(catharsis)라는 코 드를 가지고 현대인의 숨어 있던 욕망과 본능을 자극하면서 인기 있는 스포츠 프로그램으 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2005년 11월에 MBC ESPN에서 생중계된 최홍만과 본야스키의 K-1 월드프리미어 8강 전은 케이블방송과 위성방송 채널 사상 최고의 시청률인 22.7%를 기록할 정도로 커다란 인기를 얻기도 하였다(헤럴드경제, 2005.11.22). 특히, 이종격투기 시청은 남성보다는 오히 려 여성들이 더욱 열광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기도 하였다. TNS 미디어코리아의 이종격 투기 시청률 조사에 따르면, 남성과 여성의 시청비율이 10대가 34.3%대 62.7%, 20대 35.1%대 41.4%, 30대 30.8%대 37.0% 등으로 나타나 거의 모든 연령대에서 여성이 남성보 다 더 많이 이종격투기나 프로레슬링과 같은 격투기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세계일보, 2004.06.03). 몇몇 실증연구들(Oliever, 2002; 유홍식, 2005)은 여성이 남성보다 는 감정이입(empathy)을 통해 미디어에 의해 묘사되는 남의 불행과 고통을 자신의 고통과 동일시하면서 강한 감성적 반응을 보이는 것과 관련되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처럼 이종격투기는 인간의 원초적인 본능을 가장 직접적으로 시청자들에게 전달함으로써 대리 만족을 통해 쌓여 있는 스트레스를 해소시키는데 기여한다는 측면에서 케이블방송이나 위 성방송의 킬러콘텐츠가 될 수 있다는 호평을 받고 있다. 그러나 치고 때리거나 관절을 꺾 는 등 여러 기술을 통해 상대방이 쓰러지거나 항복할 때까지 상호 간 격투가 벌어지기 때 문에 그 장면 하나 하나가 모두 지나치게 자극적이고 폭력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이런 비판은 미디어폭력과 깊은 연관성을 갖고 있는데, 미디어폭력물에 대한 우려는 미디어폭력물이 수용자에게 내재되어 있는 공격성을 강화시키며, 실제적인 폭력행위로 표 출될 수도 있다는 사실에 기반을 둔다(Potter & Warren, 1998; Bandura, Ross & Ross, 1963; Huesmann & Eron, 1986; Paik & Comstock, 1994). 특히, 이종격투기의 경우에는 기존의 전

이종격투기 프로그램 시청과 공격성향, 스트레스 해소 및 상태분노의 관계에 관한 연구ㆍ193 통적인 스포츠들과는 달리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폭력성을 자극함은 물론 기존의 드라마 나 영화에서 보이는 구성된 폭력과는 전혀 다른 실제적 폭력이 행사되고(유홍식, 임성원, 김수정, 박원준, 김인경, 2004), 그런 실제적 폭력은 다양한 이종격투기 기술이라는 수식어 로 대별되어 오히려 남성다움이나 능력을 표출할 수 있는 수단으로 정당화된다는 점에서 보다 큰 문제를 지닌다. 그 동안의 많은 미디어폭력 관련 연구들은 공격적 성향이 공격적 행위를 유발한다거나 미디어폭력이 시청자의 공격적 성향을 강화시킴으로써 공격적 행위를 유발시키는 매개적 역할을 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일정 정도 인정되고 있으나, 미디어폭력물 자체가 공격적 행 위를 직접적으로 유발하는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주요 원인은 인간의 공 격성은 사회문화적, 심리적, 환경적 특성에 의해 변화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파악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Deater-Deckard, Dodge, Bates & Pettit, 1998) 인간의 공격성을 인 지, 정서, 행동이라는 특질적 공격성 측면에서 파악해야 한다는 주장에 근거한다(Buss & Perry, 1992). 그러므로 본 연구는 여성 이종격투기 시청자를 대상으로 특질적 공격성에 중 심을 두고 이종격투기 시청량과 언어적/신체적 공격성, 스트레스 해소 및 상태분노의 관계 성을 규명해보자 한다. Ⅱ. 문헌검토 1. 미디어스포츠와 이종격투기의 노출 효과 상업적 미디어자본과 결탁된 신종스포츠 가운데 근래 국내에 도입된 이종격투기는 마 니아층을 중심으로 급속히 확장되고 있으며 그와 동시에 사회적, 윤리적 차원의 논쟁을 지 속적으로 양산하고 있다(서희진, 2009). 이종격투기는 기존의 허구적인 폭력과는 다른 실제 적이면서도 경기방식과 규칙이라는 틀 안에서 용인된 폭력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인간의 원초적인 공격성과 폭력성을 자극한다는 논란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포츠 프로그램은 시청자들에게 스포츠맨십이나 근면성, 노력, 성취의욕 등 긍정적인 사회적 가치가 확산되는데 기여하며, 스트레스 해소 및 오락, 기분전환과 같 은 순기능적 측면을 지니고 있지만 공격성이나 폭력, 성차별주의, 권위주의 등 반사회적인 가치를 조장하는 등 부정적 요소를 제공하기도 한다(Coakley, 1978; 조영제, 2007). 예컨대, 스포츠 프로그램의 순기능적 측면에서 스포츠 프로그램은 시청자에게 스트레스해소와 즐

194ㆍ사회과학연구 제36권 제1호 거움의 제공을 통해 시청자의 기분을 긍정적으로 전환하거나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 려져 있다(유홍식, 임성원, 김수정, 박원준, 김인경, 2004), 실증연구들(Bryant, Comisky & Zillmann, 1981; Bryant & Zillmann, 1983)은 선수들의 거친 경기장면은 경기 자체의 드라마 적 성격을 높이기도 하고 거칠거나 폭력적인 행동/공격적 플레이의 증가가 시청자의 즐김 정도를 높일 수 있다는 증거를 제시하여 왔으며(유홍식, 2005), 시청자들은 스포츠 프로그 램의 박진감과 스릴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며, 기분전환, 즐거움, 재미 등을 위해 스포 츠 프로그램을 선호하고 소비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Bryant & Miron, 2002; 김인형, 2006; 이종일, 2005). 그 근거로서 국내에서 이루어진 스포츠 시청동기 관련 연구들(송재진, 김범식, 2008; 조영제, 2007; 김인형, 2006; 김양례, 2000)은 스포츠 프로그램 시청자들이 스 포츠 프로그램 시청을 통해 재미와 즐거움, 흥미 등과 같은 오락이나 대리만족을 위해 스 포츠 프로그램을 시청한다고 보고하고 있고,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이미 많은 연구들에 의 해 지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정춘(2000)은 스포츠 시청은 사회적으로 기분을 전환시키 고 공격성을 순화시켜주는 효과를 가지기도 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다양한 계층에서 대중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이종격투기는 서로 약속하는 프로레슬링과는 다르게 실 전적 격투기인 만큼 공격성이나 폭력성에 내재된 위험요소에 대한 우려가 끊이질 않고 있 으며, 청소년들에게 공격성이나 폭력성을 조장하고 모방적 행위를 충동적으로 조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예컨대, 이종격투기는 다른 투기 스포츠 종목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경기규칙은 있으나 대부분의 공격기술을 허용하기 때문에 경기 내에서 이루어지는 과격한 폭력행동을 부정적 일탈행위로 비판하기 보다는 경기에서 승리하기 위한 정당한 수단으로 전달된다. 즉, 신장 은 적지만 상대방의 급소를 관절 꺽기와 같은 기술을 통해 압박하고 경기에 승리하는 모 습이나 과격한 신체 타격과 출혈에도 불구하고 경기 승자에 대한 성원이나 일상생활에서 이용 가능한 공격적인 동작들은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에 있어 신체적 우월감을 과시하려 는 욕구가 강한 청소년들에게 부정적인 학습매체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이근모, 서희진, 2007; 김석일, 2008). 특히, 대리만족을 목적으로 이종격투기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경우에 이종격투기 선수와 자신을 동일시함으로써 폭력에 대한 둔감화와 이로 인해 이종격투기 시청에 대한 감수성이 약화되어 폭력에 대한 무감각화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 한편, 이종격투기에 대한 비판의 중심은 미디어의 상업성과 결합된 미디어폭력(media violence)과 그에 따른 부정적 효과와 깊은 관련성을 가진다. 그 동안 이루어진 미디어폭력 관련 실증연구들은 시청자들이 미디어폭력물에 지속적으로 노출이 되었을 경우에 폭력에 대한 둔감화 효과가 나타나 실제 폭력에 대한 죄책감이 줄어들게 된다거나(Drabman &

이종격투기 프로그램 시청과 공격성향, 스트레스 해소 및 상태분노의 관계에 관한 연구ㆍ195 Thomas, 1974), 어린 아이들이나 청소년들의 경우에는 특정 모델의 공격적 행위가 특정 문 제를 해결하는 수단이나 특정한 보상과 결부될 때 모방이나 학습으로 이러져 실제 행위로 나타날 수 있음(Bandura, 1978, 1979; Bandura, Ross, & Ross, 1963)을 제시하였고, 미디어폭 력물에 대한 노출정도와 공격적 성향 간에 밀접한 상호관계가 있다(Sparks & Sparks, 2002; Maurine, 1983)고 보고하여 왔다. 결국, 폭력적인 내용을 오랫동안 자주 보게 되면 폭력에 대해 둔감해지게 되고 궁극적으로 폭력적인 행동으로 나아가지는 않더라도 폭력에 관대해 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귀결된다. 또한 이종격투기의 실제폭력을 보면서 느끼는 현실감 은 시청자들에게 잠재적으로 폭력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기보다는 덜 부정적으로 인식하도 록 할 수 있는 둔감화 효과를 유발할 수 있는 개연성이 높다. 특히, 미디어에서 스포츠는 무의식 속에서 그것을 이용하는 수용자에게 지배적인 가치를 보강시킨다. 따라서 이종격투 기 시청자들 중 시청빈도가 높을수록 공격성이나 폭력성 자체에 대한 호감이나 성향이 상 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2. 미디어폭력물과 공격성 그 동안 미디어폭력물 관련 연구들은 미디어폭력물과 수용자의 공격성 간의 상관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미디어가 다양한 상징 기제와 표준화된 메시지 를 통해 인간의 현실세계에 대한 관념을 생산하는 문화적 무기로서 작용한다는 특성을 고 려할 때, 미디어폭력물에 대한 과다 노출은 수용자의 공격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런 공 격성 증가는 공격적 행위를 전이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사실 이러한 주제는 오랫동안 미디어 관련 연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여 왔고, 여전히 그 중요성이 높음에 도 불구하고 미디어폭력물과 공격성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는 쉽지 않다. 이와 같은 이유는 인간의 행동이 사실상 매우 복잡한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고, 다양한 환경과 상호작용을 통 해 형성되기 때문에 미디어폭력물과 공격성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규명하기 위해서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특성들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초기 미디어폭력물의 수용자에 대한 영향과 관련하여 미디어폭력물의 직접적인 노출은 시청자의 분노감이나 좌절감, 그리고 인간의 공격적인 에너지를 정화(catharsis)시켜 공격성 향이나 행동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인간의 심리적, 행동적 특성을 지나치게 단순화시켰다는 비판을 받았다(Feshbach, 1961). 미디어폭력물과 관련된 여러 연 구들은 오히려 미디어, 특히 텔레비전에서 묘사되는 폭력적인 장면들이 수용자의 잠재되어 있는 공격성을 강화시켜 공격적 행위로 나아갈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 중에서 반두라

196ㆍ사회과학연구 제36권 제1호 (Bandura, 1973, 1978)는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을 통해 어린 아이들이나 청소 년들의 경우에 텔레비전에서 묘사되는 특정 모델의 행위가 관찰을 통해 학습이 된다는 점 을 강조하고, 특정 모델의 공격적 행위가 모방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특히, 텔레비전에 서 문제해결 방식이 주인공의 폭력적인 방법으로 해결되고 긍정적인 결말을 맞게 될 때 어린이나 청소년들의 모방행동은 보다 강화될 수 있는 개연성이 있는데, 실제로 일부 연구 들(Liebert & Schwartzberg, 1977; Hearold, 1986; Sparks & Sparks, 2002)은 미디어폭력물에 대한 시청과 공격적 행위의 표출 간에 인과관계가 있고, 가장 일반적인 효과가 모방효과였 음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한편, 일부 연구자들은 미디어폭력물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행동적 특 성에 입각한 심리적 영향에 초점을 맞춰 접근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하였다. 즉, 질만 (Zillmann, 2000)은 일정한 자극에 의해 흥분상태에 있는 사람이 텔레비전의 폭력적인 장면 에 노출되면 공격적으로 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질 경우에 보다 더 공격적인 반응을 보일 수 있다고 보고하였으며, 베르코비치(Berkowitz, 1974)는 시청자들이 텔레비전에서 묘사되 는 폭력이 특정 상황에 의해 정당화되거나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폭력을 시청하는데 좀 더 익숙해짐에 따라 폭력적인 행동에 대한 사회적 제재 조치에 의해 덜 억제된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시청을 시작할 때 시청자가 화가 나 있는 상태라면 용인되는 폭력을 보여주는 미디어폭력물을 시청한 후 더 공격적으로 행동한다고 보고하였다. 이외에도 드라브만과 토 마스(Drabman & Thomas, 1974)는 미디어폭력물에 반복적으로 노출된 수용자들은 미디어에 서 묘사되는 폭력행위에 대한 둔감화가 발생하여 실제 폭력에 대한 죄책감이 줄어들어 실 질적인 폭력으로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다(배현석 옮김, 2005; 김석일, 2008). 이와 같은 둔감화는 미디어폭력물에 대한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노출과 깊은 연관성을 지 니는데, 거브너와 동료들(Gerbner, Gross, Signorielli, & Morgan, 1980)은 텔레비전 메시지에 반복적으로 과다 노출된 시청자는 그렇지 않은 시청자에 비해 텔레비전에서 묘사되는 현실 을 실제 현실로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으며, 텔레비전을 많이 시청하는 사람들은 적게 시청 하는 사람보다 세상을 더 위험한 장소로 지각하는 성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런 접근은 텔레비전의 상징세계가 실제 세계에 대한 수용자들의 태도나 가치, 신념 등의 형성에 영향 을 준다는 문화계발효과에 입각하여 미디어의 매개를 통한 폭력에 대한 규칙적인 노출이 수 용자가 지각하는 실제 사회의 폭력이나 위험에 대해 과장된 견해를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이는 그 동안 미디어폭력물의 시청량과 수용자의 공격성이 그렇게 단순한 관계를 형성 하는 것이 아니며, 그 관계를 사실적으로 규명하기 위해서는 수용자의 인지적 과정에 주목 하여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는 점이 제기되면서 부각되기 시작하였다(Potter, 1994). 이에 따

이종격투기 프로그램 시청과 공격성향, 스트레스 해소 및 상태분노의 관계에 관한 연구ㆍ197 라 수용자들이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특정한 패턴에 장기적으로 노출되면 시청자 대부분이 특정한 주류 정향(mainstream orientation)을 구축하게 될 가능성이 높고, 이는 특정한 대상 에 대해 일정한 태도와 신념을 형성하게 되며, 텔레비전의 왜곡된 이미지가 수용자가 경험 한 현실세계의 이미지와 유사하거나 같을 때 텔레비전의 메시지는 강화(공명)되거나 증폭 된다는 사실이 일부 드러나기도 하였다(Morgan, 1983). 그러나 문화계발효과를 설명하는 심리적 과정에 대한 경험적 증거의 부족과 더불어 여러 실증적 연구들이 다소 불규칙하고 일관성이 없기 때문에 모델의 불완전성은 여전히 남아 있으며, 다양한 차원에서 검증이 제 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Potter, 1993; Rubin, Perse & Taylor, 1988; 우형진, 2006). 그러므로 미디어폭력물과 인간의 공격성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어서, 미디어폭력 물의 매개적 특성을 고려하여 인간의 공격성에 대한 세분화된 접근을 통해 그 관계를 규 명하려는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다. 예컨대, 디터-데커드와 동료들(Deater-Deckard, Dodge, Bates & Pettit, 1998)은 인간의 공격성이라는 개념은 사회문화적, 심리적, 환경적 특성 등을 모두 고려하여 파악해야 하는 매우 복잡한 개념이기 때문에 인간의 인지, 정서, 행동을 고 려하여 인간의 공격성을 중심 특질로 개념화하여 접근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에 따라 버스와 페리(Buss & Perry, 1992)는 인간의 공격성을 행동적 차원과 정서적 차원, 인지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행동적 차원으로는 신체적/언어적 공격성, 정서적 차원으 로는 분노감, 인지적 차원으로는 적대감을 제안하였다(서수균, 2009). 신체적 공격성과 언 어적 공격성은 타인에게 상처나 상해를 입히려는 경향성으로 행동의 도구적 혹은 운동 요 소를 말한다. 분노감은 공격을 위한 생리적 각성과 준비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행동의 정서 적 요소를 나타낸다. 적대감은 타인이 악의를 가지고 있고 자신을 부당하게 대하고 있다고 생각하며, 세상에 대해 갖는 부정적 태도를 나타낸다(최명일, 이병관, 2006). 이와 같은 특 질적 관점에서 공격성, 엄밀히 말해서, 공격적인 성향은 청소년기뿐 아니라 성인기까지 유 지되는 경향이 있으며(Husemann, Eron, Leftkowitz & Walder, 1984; 최문형, 유진, 2009), 행 동적, 정서적, 인지적 차원으로 구분되는 공격성, 다시 말해서, 신체적/언어적 공격성은 분 노감이나 적대감과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서수균, 2004). 이와 같은 결 과는 개인의 심리적 특성에 의한 영향으로 인해 지각된 폭력수준이 높은 사람은 미디어폭 력물에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노출되었을 경우에 그 성향이 더욱 더 폭력적으로 변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Iwasaki & Havitz, 1998). 기존의 드라마나 영화에서 보이는 구성된 폭 력과는 전혀 다른 실제적 폭력이 행사되고 특히, 미디어폭력물을 현실로 지각하거나 받아들일 때 지각된 폭력수준은 보다 높아질 수 있다(유홍식, 임성원, 김수정, 박원준, 김인경, 2004). 그러므로 이종격투기는 드라마나

198ㆍ사회과학연구 제36권 제1호 영화처럼 구성된 폭력이 아니라 실제 폭력이라는 점에서 이종격투기 시청자의 지각된 폭 력수준이 높아질 개연성이 높다. 여러 실증연구들(하종원, 1993; Gunter & McAleer, 1990) 은 드라마나 컴퓨터게임 등 가상폭력보다 현실적으로 지각하는 프로그램이 더 폭력적인 것으로 지각되고 정서적으로도 더 관여된다고 하여 현실감이 높은 폭력물이 수용자들의 지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고, 이워트와 홀렌호스트(Ewert & Hollenhorst, 1989)는 스포츠 경기와 관련된 개인의 심리적 성향 중 정복욕구나 도전욕구, 혹은 호전성 등이 폭 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지각하게 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런 결과들은 휴즈맨 (Huessmann, 1986)이나 엘리자베스(Elizabeth, 2000)가 주장하듯이 개인의 공격적 성향은 외 부로부터의 자극, 즉 공격적인 장면에 노출되었을 때 개인의 공격적 성향은 보다 증가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분노감과 적대감, 언어적/신체적 공격성은 다양한 심리적 문 제와 깊은 관련성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Greer & Morris, 1975; Novaco, 1979; 김교헌, 전 겸구, 1997). 이와 같은 맥락에서 관찰학습에 따른 결과로 인간은 사회적 존재로서 타인의 행동을 보고 배우며,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며 학습하여 모방의 동기가 증대된다. 즉, 폭력 적 자극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현재 관찰하는 폭력행동이 후속되는 폭력행동에 대한 금 지해제 효과를 일으키게 됨으로써 지금까지 유지해오던 폭력행동의 충동에 대한 억제가 해제되어 극한상황에 직면할 때 문제를 평화적이고 우호적인 방법이 아니라 폭력적인 수 단을 통하여 해결하려는 성향이 강화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TV를 통한 폭력적인 장면은 시청자에게 감정적 정서를 유도하게 하여 시청자에게 폭력을 가르치는 기능과 함께 폭력 과 적대감에 친숙하게 한다(Bandura, 1973; Gunter, 1985; 김인형, 2006). Ⅲ. 연구방법 1. 연구문제 앞서의 문헌검토를 바탕으로 이종격투기 프로그램의 시청정도와 특질적 관점에서 신체 적/언어적 공격성, 스트레스 해소 및 상태분노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과 모델을 설정하였다. H1. 이종격투기 시청량은 신체적 공격성과 언어적 공격성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이종격투기 시청자의 신체적 공격성은 언어적 공격성과 스트레스 해소에 정적 영

이종격투기 프로그램 시청과 공격성향, 스트레스 해소 및 상태분노의 관계에 관한 연구ㆍ199 향을 미칠 것이다. H3. 이종격투기 시청자의 언어적 공격성은 스트레스 해소와 상태분노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4. 이종격투기 시청자의 신체적 공격성은 상태분노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5. 이종격투기 시청자의 스트레스 해소는 상태분노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림 1] 연구모델 신체공격성 H 2 스트레스해소 H 1 H 3 시청량 H 2 H 4 H 5 H 1 언어공격성 H 3 상태분노 2. 표본선정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이종격투기를 시청한 경험이 있는 여대생을 조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서울 및 경기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을 편의표본추출법을 적용하여 추출하 였다. 이 과정에서 보조연구원 2인의 협조를 얻어 본 연구자와 보조연구원 2인이 직접 해 당 대학교를 방문하여 교정에서 협조를 요청한 후에 설문을 배포하고 끝나면 즉각 수거하 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설문을 배포하는 과정에서 사전에 이종격투기 시청경험이 있는지 를 확인한 후에 이종격투기 시청경험이 있는 조사대상자만을 적용하였다. 설문배포는 서울 소재 C대(50부), M대(50부), D대(50부), N대(50부)에 총 200부를 배포하였고 전체적으로 175부를 수거하였고, 불성실하게 응답하였다고 판단되는 설문지 7부를 제외한 168부를 최 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22.3세(SD 1.87)로 나타났다. 3. 측정도구 본 연구에서 신체적/언어적 공격성은 이현수(1997)의 한국판 아이젱크 성격검사지를 참 조로 유홍식(2005)이 활용한 신체적/언어적 공격성 측정도구를 참조하였다. 신체적/언어적

200ㆍ사회과학연구 제36권 제1호 공격성은 총 14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신체적 공격성은 9문항, 언어적 공격성은 5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 에서 매우 그렇다(5 점) 의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하였다. 신뢰도는 신체적 공격성이 Cronbach s a.66, 언어 적 공격성은 Cronbach s a.79로 조사되었다. 스트레스 해소는 유홍식, 임성원, 김수정, 박 원준, 김인경(2004)이 사용한 문항을 수용하여 이종격투기 시청 후 스트레스가 어느 정도 해소되는 것 같음 이라는 단일항목으로 구성하였고, 마찬가지로 전혀 그렇지 않다(1점) 에 서 매우 그렇다(5점) 의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하였다. 상태분노는 스필버그와 동료들 (Spielberger, Jacobs, Russell & Crane, 1983)이 개발한 상태분노 척도(State Anger Scale)를 참 조하여 유홍식(2005)이 사용한 문항을 참조로 구성하였다. 상태분노 척도는 총 10개 문항 으로 전혀 그렇지 않다(1점) 에서 매우 그렇다(5점) 의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하였다. 신 뢰도는 Cronbach s a.66으로 조사되었다. Ⅳ. 분석결과 1. 상관분석 조사대상자의 이종격투기 시청정도와 공격성, 스트레스 해소, 상태분노에 대한 상관관 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의 <표 1>에서 보는 것처럼, 신체적 공격성은 언어적 공격성(r.689, p<.001), 스트레스 해소(r.300, p<.001), 상태분노(r.399, p<.01) 등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언어적 공격성도 마찬가지로 스트레스 해소(r.360, p<.01) 및 상태분노(r.262, p<.01)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스트레스 해소 는 상태분노(r -.164, p<.05)와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 시청정도와 공격성, 스트레스 해소, 상태분노 상관관계 분석 시청정도 신체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스트레스 해소 상태분노 시청정도 신체적 공격성 -.015 - 언어적 공격성.103.689** - 스트레스 해소 -.065.300**.360** - 상태분노 -.131.399**.262** -.164* - ** p<.01 *** p<.001

이종격투기 프로그램 시청과 공격성향, 스트레스 해소 및 상태분노의 관계에 관한 연구ㆍ201 2. 구조모형분석 가. 모형의 적합도 검증 여성 이종격투기 시청자를 대상으로 이종격투기 시청량과 신체적/언어적 공격성, 스트 레스 해소 및 상태분노의 관계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모형분석(structure model analysis) 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에 앞서 본 연구에서 설정된 모형의 적합도를 살펴보았다. 모형의 적합도는 절대 적합지수(absolute fit indices)인 Normed X 2 와 GFI, AGFi, RMSEA 등 을 이용하였으며, 증분 적합도지수(incremental fit indices)인 NFI, RFI, IFI, TLI, CFI 등을 활용하였다. 적합도의 기준은 Normed X 2 의 경우에 작을수록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는데, 일반 적으로 적합기준은 3.0 이하이면 수용할만한 것으로 볼 수 있다. GFI와 AGFI는.90보다 크 면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으며, RMSEA의 경우에는.08보다 작으면 적합도 가 좋으며, 최소.10이하일 때 적합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NFI, RFI, IFI, TLI, CFI 등은.90 이상이면 적합한 것으로 수용한다(이학식, 임진훈, 2007). 이와 같은 기준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의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Normed X 2 3.61, GFI.983, AGFI.875, RMSEA.125, NFI.962, RFI.811, IFI.972, TLI.856, CFI.971로 나타나 GFI, NFI, IFI, CFI를 제외하고 나머지 적합도에서 적합기준을 충족시키기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모형의 적합도를 개선시키기 위해서 수정지수(modification indices)를 활용하여 가장 높은 수정지수를 갖는 변수들 간에 공분산을 설정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이 를 토대로 구조모형분석을 재 실시한 결과, 적합도는 Normed X 2 1.743, GFI.996, AGFI.938, RMSEA.067, NFI.991, RFI.909, IFI.996, TLI.959, CFI.996 등으로 나타 나 모든 적합도기 적합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 가설검증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모형을 토대로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의 <표 2>와 <그림 2> 에서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이종격투기 시청량은 신체적 공격성에는 통 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Estimate -.015, t -.190, p>.05), 언어적 공격성 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Estimate.113, t 2.045, p<.05). 그러므로 여성 시청자들의 경우에 이종격투기 시청량이 증가할수록 언어적 공격성 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이종격투기 시청자의 신체적 공격성은 언어적 공격

202ㆍ사회과학연구 제36권 제1호 성과 스트레스 해소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은 부분 채택되었다. 다음으로 신 체적 공격성이 언어적 공격성과 스트레스 해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신체적 공격 성은 스트레스 해소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Estimate.099, t 1.001, p>.05), 언어적 공격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Estimate.690, t 12.455, p<.001). 그러므로 여성 이종격투기 시청자들 의 신체적 공격성이 증가할수록 언어적 공격성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따 라서 이종격투기 시청자의 신체적 공격성이 언어적 공격성과 스트레스 해소에 정적 영향 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도 부분 채택되었다. 또한 언어적 공격성이 스트레스 해소와 상태분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언어적 공격성은 상태분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Estimate.110, t 1.169, p>.05) 스트레스 해소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Estimate.292, t 2.943, p<.01). 이에 따라 여성 이종격투기 시청자의 언어적 공격성이 높 을수록 스트레스 해소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종격투기 시청자의 언어적 공격성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해와 상태분노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3 도 부분 채택되었다. 다음으로 신체적 공격성이 상태분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신체적 공격성은 상태분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Estimate.421, t 4.612, p<.001) 여성 이종격투기 시청자의 신체적 공격성이 증가할수록 상태분노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종격투기 시청자의 신체적 공격성이 상태분노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4는 채택되었다. 마지막으로 스트레스 해소가 상태분노에 미치 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스트레스 해소는 상태분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조사되어(Estimate -.340, t 4.793, p<.001) 여성 이종격투기 시청자의 경우에 스 트레스가 해소된다고 지각할수록 상태분노는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종격투기 시청자의 스트레스 해소는 상태분노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5도 채 택되었다.

이종격투기 프로그램 시청과 공격성향, 스트레스 해소 및 상태분노의 관계에 관한 연구ㆍ203 H1 H2 H3 가설 시청량 신체적 공격성 시청량 언어적 공격성 신체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신체적 공격성 스트레스 해소 언어적 공격성 스트레스 해소 언어적 공격성 상태분노 <표 2> 가설검증 standardized estimate -.015.113.690.099.292.110 C.R(t) -.190 2.045* 12.455*** 1.001 2.943** 1.169 여부 기각 채택 채택 기각 채택 기각 H4 신체적 공격성 상태분노.421 4.612*** 채택 H5 스트레스 해소 상태분노 -.340 4.793*** 채택 * p<.05 ** p<.01 *** p<.001 [그림 2] 가설검증 모형 신체공격성.09 스트레스해소 -.01 시청량.11 *.69 *** 언어공격성.29 **.11.42 *** -.34 *** 상태분노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여성시청자의 공격성에 대한 특질적 관점을 적용하여 이종격투기 시청량과 신체적/언어적 공격성, 스트레스 해소 및 상태분노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결과 및 함축적 의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의 이종격투기 시청량은 언어적 공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어 여성의 이종격투기 시청량이 증가할수록 언어적 공격성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미 여러 연구들(Sparks & Sparks, 2002; Maurine, 1983; 유홍식, 2005)은 미디어폭력물 노출과 공격적 성향 간에 밀접한 상호관계가 있음을 보고하 여 왔으며, 휴즈맨(Huessmann, 1986)이나 엘리자베스(Elizabeth, 2000)는 공격적인 장면에 반

204ㆍ사회과학연구 제36권 제1호 복적이고 지속적으로 노출되었을 때 개인의 공격적 성향이 증가할 수 있다고 보고한 바 있어 이종격투기 시청량과 언어적 공격성의 인과관계를 뒷받침하고 있다. 또한 김석일 (2008)의 연구에서도 이종격투기 시청집단과 미시청집단 간의 언어적 공격성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이종격투기 시청 집단이 미시청 집단에 비해 언어적 공격성이 높게 나타났다는 결과는 미디어폭력물에 대한 노출 정도와 언어적 공격성 간의 관계성을 일정 부분 증명하 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미디어폭력물은 의도적으로 수용자들에게 폭력을 가르치지는 않지 만 공격적인 성향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들(Gunter, 1985; Potter & Warren, 1998) 은 그 만큼 미디어폭력물에 대한 지속적인 노출이 공격적 성향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 여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그러나 앞서 논의하였듯이, 미디어폭력물의 지속적인 노출과 둔 감화 효과는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이에 더하여 이종격투기의 경우에는 드라마나 영화와 같이 구성된 폭력물이 아니라 실제적인 폭력이라는 점에서 그 현실감은 보다 크게 작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폭력이면서도 동시에 합법적인 폭력이라는 이종격투기의 특성은 여성 이종격투기 시청자들로 하여금 이종격투기의 폭력성에 대해 보다 관대하게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폭력성에 대한 둔감화 효과를 보다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 다고 판단된다. 둘째, 여성 이종격투기 시청자의 신체적 공격성은 언어적 공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 이종격투기 시청자들의 신체적 공격성이 증가할 수록 언어적 공격성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흥분전이이론에 의하면, 선행 자극에 대한 감성적 반응이 이루어진 후 사라지지 않고 남아 있는 여분의 흥분이 감성을 발생시키는 후속자극에 의해 발생한 흥분과 결합되고, 이러한 흥분의 결합은 개인의 후속 자극에 대해 더욱 강력한 감성적 반응을 하도록 만든다(Zillmann & Bryant, 1974; 유홍식 외, 2004). 예컨대, 이종격투기 시청을 통한 신체적 공격성은 일종의 선행자극으로, 자존해 있는 선행자극의 여분이 후속 자극으로 전이되어 공격성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유홍식 외(2004)가 지적하듯이, 여분의 흥분은 몇 분 이내에 사라지기 때문에 흥분 의 전이와 누적 현상은 상대적으로 단기적이라는 측면에서, 신체적 공격성이 언어적 공격 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본 연구의 결과 또한 단기적인 측면에서 나타난 결과라고 판 단되지만, 이와 관련되어 향후에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살펴보아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 로 보인다. 셋째, 여성 이종격투기 시청자의 언어적 공격성은 스트레스 해소에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 이종격투기 시청자의 언어적 공격성이 높을수 록 스트레스 해소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일부 연구들은 스포츠 경기가 진지하고

이종격투기 프로그램 시청과 공격성향, 스트레스 해소 및 상태분노의 관계에 관한 연구ㆍ205 거칠수록, 그리고 폭력적일수록 시청자들은 보다 큰 재미와 즐거움, 흥분, 몰입을 통해 스 트레스를 해소하게 된다고 보고하였다(Bryant, Comisky & Zillmann, 1981; Bryant & Raney, 2000; Bryant & Miron, 2002; 송재진, 김범식, 2008; 김인형, 2006). 더욱이 이종격투기의 경 우에는 실제적인 폭력이면서도 합법적인 폭력이기 때문에 시청자들이 받는 윤리적, 도덕적 관점에서 발생하는 죄책감에서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기 때문에 그 어떤 프로그램보다도 흥분이나 기대감, 통쾌함 등과 같은 기분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대리만족에 의한 스트레스 해소를 높게 지각한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여성 이종격투기 시청자의 신체적 공격성은 상태분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 이종격투기 시청자의 신체적 공격성이 증가할수록 상 태분노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공격성에 대한 특질적 관점에 서 신체적/언어적 공격성이 분노감이나 적대감과 정적 상관을 보인다고 보고한 연구결과 (서수균, 2004)와 신체적 공격성이 상태분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한 연 구결과(유홍식 외, 2004)를 뒷받침하며, 개인의 공격적 성향은 외부로부터 자극인 공격적 장면에 노출되었을 때 개인의 공격적 성향이 증가한다고 보고한 연구결과(Huesmann, 1986; Elizabeth, 2000)와도 같은 맥락을 형성한다. 특히, 상태분노가 긴장이나 짜증, 화남, 격노와 같은 주관적 느낌을 구성하는 감정적 상황이나 상태라는 점을 고려할 때, 신체적 공격성이 상태분노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결과는 외부적 자극에 의해 형성된 공격성과 감 정적인 분노상태의 관계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분노상태는 공격적 행위로 전이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미디어폭력물의 공격적 성향과 공격행동의 매개적 역할을 보여주 는 결과라고 판단된다. 다섯째, 여성 이종격투기 시청자의 스트레스 해소는 상태분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 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스트레스가 해소된다고 지각할수록 상태분노는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스포츠 프로그램의 순기능적 측면에서 판단할 수 있 는데, 스포츠 프로그램은 시청자에게 스트레스 해소와 즐거움을 제공함으로써 시청자의 기 분을 긍정적으로 전환하거나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한 유홍식 외(2004)의 주장과 유사한 맥 락에서 풀이된다. 특히, 상태불안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주관적으로 느끼는 감성적 상황이 나 상태이므로 이종격투기 시청을 통한 스트레스 해소가 긍정적인 측면에서 작용할 가능 성도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하겠다. 그 동안 이종격투기 프로그램은 남성다움이나 권위, 힘 등을 상징하는 남성만의 프로 그램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근래에 이르러 여성 시청자층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고, 오히려 남성보다도 여성층의 시청이 많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여성층만을 대상으로 이종격

206ㆍ사회과학연구 제36권 제1호 투기 프로그램의 폭력성에 대한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거의 없다. 특히, 본 연구에서 여성 층의 경우에도 이종격투기 프로그램 시청을 통해 스트레스 해소가 나타나기는 하지만 언 어적 공격성이나 신체적 공격성에 의한 상태불안 또한 나타난다는 점에서 미디어폭력물에 대한 지속적인 노출은 특정한 공격성이나 부정적인 감성적 상태에 이르게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다만, 여성의 경우에 폭력적 이종격투기를 시청하기 부담스러운 것으 로, 방영을 금지해야 한다는 견해도 높게 나타났다는 사실을 고려하여(유홍식, 2005) 여성 이종격투기 시청자에 대한 지속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의 경 우에 조사대상자가 수도권 거주의 20대 초반의 여대생에 국한하였고, 그 표본 수 또한 일 반화시키기에는 부족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표본의 수를 확대하고 여성 이종격투기 시청 자의 연령층을 다양화하여 살펴볼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이종격투기 프로그램 시청과 공격성향, 스트레스 해소 및 상태분노의 관계에 관한 연구ㆍ207 참고문헌 김교헌 전겸구(1997), 분노, 적개심 및 스트레스가 신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2권, 한국심리학회. 김석일(2008), 이종격투기 프로그램 시청이 인식도, 공격성, 스트레스 해소, 사회위험도 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47권 3호, 한국체육학회. 김양례(2000), TV 스포츠 수용자의 프로그램 시청동기가 시청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 회지, 제39권 1호, 한국체육학회. 김인형(2006), 매스미디어를 통한 이종격투기 프로그램 시청심취도가 청소년의 공격성과 폭력태 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45권 5호, 한국체육학회. 김인형(2007), 이종격투기 경기인식과 시청자들의 프로그램 관여도 및 심취도, 폭력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모형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29권, 한국사회체육학회. 배현석 옮김(2005), 미디어 효과의 기초, 서울: 한울아카데미. 서수균(2004), 분노와 관련된 인지적 요인과 그 치료적 함의,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수균(2009), 비합리적 신념과 공격성 사이에서 일차적/이차적 분노사고의 매개역할, 한국심리 학회지: 임상, 제28권 3호, 한국심리학회. 서희진(2009), 온오프라인 이종격투기 수용자 특성에 관한 연구: Q방법론적 접근, 한국스포츠 사회학회지, 제22권 1호, 한국스포츠사회학회. 송재진 김범식(2008), 이종격투기 경기의 시청동기와 스트레스 및 공격성의 관계, 한국사회체 육학회지, 제32권, 한국사회체육학회. 양병화(2006), 다변량데이터 분석법의 이해,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이근모 서희진(2007), 이종격투기의 경기 특성이 청소년의 폭력행동 학습에 미치는 영향분석을 위한 통합 방법론적 접근,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20권 1호, 한국스포츠사회학회. 이재면(2005), 이종격투기 프로그램의 폭력성에 대한 인식과 규제 태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이정춘(2000), 커뮤니케이션 효과론, 서울: 도서출판 이삭. 이종일(2005), 스포츠 참여와 TV스포츠 중계프로그램 시청의 관계,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학식 임지훈(2007),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6.0, 서울: 학지사. 이현수(1997), 한국판 아이젱크 성격검사: 실시 및 해석을 위한 지침서, 서울: 학지사. 우형진(2006), 문화계발이론의 공명효과에 대한 재고찰: 위험인식에 대한 텔레비전 뉴스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0권 6호, 한국언론학회. 유홍식(2005), 개인의 폭력적 성향이 폭력적 이종격투기의 선호도 및 내용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49권 6호, 한국언론학회.

208ㆍ사회과학연구 제36권 제1호 유홍식 임성원 김수정 박원준 김인경(2004), 폭력적 이종격투기 프로그램 시청이 수용자의 지각각성, 상태분노, 상태적대감 및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48권 4호, 한국언론학회. 조영제(2007), 격투스포츠 프로그램 시청동기가 대학생의 시청태도 및 폭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46권 4호, 한국체육학회. 조용래(1998), 역기능적 신념과 부적응적인 자동적 사고가 사회공포증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최명일 이병관(2006), 누가 이종격투기를 시청하는가?: 수용자의 성격 특질이 미디어 폭력물 이 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제20권 2호, 한국방송학회. 최문형 유진(2009), 유아의 운동변인과 공격성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20권 2호, 한국스포츠심리학회. 하종원(1993), 텔레비전 드라마가 시청자의 사회적 현실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문 화계발효과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Bandura, A.(1973), Aggression: A social learning analysis. NJ: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Bandura, A.(1978), A social learning theory of aggression, Journal of Communication, Vol. 28, No. 3. Berkowitz, L.(1974), Some determinants of impulsive aggression: The role of mediated associations with reinforcements for aggression, Psychological Review, Vol. 82, No. 2. Bryant, J., Comisky, P. W., & Zillmann, D.(1981), The appeal of rough-and-tumble play in televised professional football, Communication Quarterly, Vol. 29. Bryant, J., & Miron, D.(2002), Entertainment as media effect, In J. Bryant, & D. Zillmann(Eds.), Media effects: Advance in theory and research(pp. 549 582). Mahwah, NJ: Lawrence Erlbaum. Bryant, J., & Raney, R.(2000), Sports on the screen, In D. Zillmann & P. Vorderer (Eds.), Media entertainment: The psychology of its appeal(pp. 153 174). Mahwah, NJ: Lawrence Erlbaum. Bryant, J., & Zillmann, D.(1983), Sports violence and the media, In J. H. Goldstein(Ed.), Sports violence(pp. 195 211). New York: Springer-Verlag. Bushman, B. J.(1995), Moderating role of trait aggressiveness in the effects of violent media on agg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69, No. 5. Bushman, B. J.(1996),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extent and development of aggressive cognitive-associative networks,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 22, No. 8. Buss, A. H.(1966), Instrumental of aggression, feedback and frustration determinants of physical agg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3.

이종격투기 프로그램 시청과 공격성향, 스트레스 해소 및 상태분노의 관계에 관한 연구ㆍ209 Buss, A., & Perry, M.(1992), The aggression questionnai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63. Coakley, J.(1978), Sport in society. Saint Louis: C. V. Mosby College. Deater-Deckard, K., Dodge, K. A., Bates, J. E., & Pettit, G. S.(1998), Multiple risk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group and individual difference,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Vol. 10. Douglas, F. B.(1991), Anger and irrational beliefs in violent inmat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Vol. 12. Drabman, R., & Thomas, M.(1974), Does media violence increase children s toleration of real life aggression?, Developmental Psychology, Vol. 10. Elizabeth, M. P.(2000), Media effects and society. Mahwah, NJ: Erlbaum Associate. Ellis, A. E., & MacLaren, C.(2005),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A therapist s guide (2nd), Impact Publishers. Ewert, A., & Hollenhorst, S.(1989), Testing the adventure model: Empirical support of a model of risk recrea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 21, No. 2. Feshbach, S.(1961), The stimulating versus cathartic effects of vicarious aggressive activity,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Vol. 63. Freedman, J. L.(1988), Television violence and aggression, American Psychologist, Vol 35. Gerbener, G., Gross, L., Morgan, M., & Signorielli, N.(1980), The main-streaming of America: Violence profile no. 11, Journal of Communication, Vol. 30, No. 3. Greenberg, B. S.(1975), British children and televised violence, Public Opinion Quarterly, Vol. 38. Greer, S., & Morris, T.(1975), Psychological attributes of women who develop breast cancer: A controlled study,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Vol. 2. Gunter, B.(1985), Dimensions of television violence,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 1. Gunter, B., & McAleer, J. L.(1990), Children and television: The one eyed monster?. NY: Routledge. Hearold, S. (1986), A synthesis of 1043 effects of television on social behavior, In G. Comstock(Ed.), Public Communication and Behavior (Vol. 1, pp. 65-133). Orlando, FL: Academic Press. Huesmann, L. R.(1986), Psychological process promoting the relation between exposure to media violence and aggressive behavior by the viewer, Journal of Social Issue, Vol. 42. Huesmann, L. R., & Eron, E. D.(1986), Television and the aggressive child: A cross-national compariso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Huesmann, L. R., Eron, L. D., Leftkowitz, M. M., & Walder, L. O.(1984), Stability of

210ㆍ사회과학연구 제36권 제1호 aggression over time and generations, Developmental Psychology, Vol. 20. Ingram, R. E., & Kendall, P. C.(1987), The cognitive side of anxiety,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 11. Iwasaki, Y., & Havitz, M. E.(1998), A path-analytic model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involvement, psychological commitment, and loyalty,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 30. Kiewitz, C., & Weaver, J. B.(2001), Traits aggressiveness, media violence, and perceptions of interpersonal conflic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 31. Kremar, M., & Greene, K.(1999), Predicting exposure to and uses of television viol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Vol. 49, NO. 3. Liebert, R. M., & Schwartzberg, N. S.(1977), Effects of mass media,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 28. Linz, D. G., Donnerstein, E., & Penrod, S.(1988), The effects of long-term exposure to violent and sexually degrading depictions of wome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5, No. 5. Maurine, D.(1983), Classroom combat: Teaching and television. NJ: Englewood Cliff: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Morgan, M.(1983), Symbolic victimization and real world fear,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 9. Novaco, R. W.(1979), The cognitive regulation of anger and stress, In P. Kendall & S. Hollan(Eds.), Cognitive Behavioral Interventions: Theory, research and procedures. New York: Academic Press. Paik, H., & Comstock, G.(1994), The effects of television violence on anti-social behavior: A meta-analysis, Communication Research, Vol. 21. Paik, H., & Pulkkinen, L.(1994), The effects of television violence on antisocial behavior: A meta-analysis, Communication Research, Vol. 21. Park, K. Y. (2007), Rational emotive behavioral therapy. Seoul: Hakgisa. Potter, W.(1994), Cultivation theory and research: A methodological critique, Journalism Monographs, Vol. 147., Columbia, SC: Association for Education in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Potter, W., & Warren, R.(1998), Humor as camouflage of televised viol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Vol. 48. Slater, M. D.(2003), Alienation, aggression and sensation seeking as predictors of adolescent use of violent film, computer, and web-site content, Journal of Communication, Vol. 53, No. 1. Sparks, G., & Sparks, C.(2002), Effects of media violence, In J. Bryant & D. Zillmann (eds.),

이종격투기 프로그램 시청과 공격성향, 스트레스 해소 및 상태분노의 관계에 관한 연구ㆍ211 Media effects: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pp. 269 285). Mahwah, NJ: Erlbaum. Zillmann, D.(2000), Excitement, In A. E. Kazdin(Ed.), Encyclopedia of Psychology. New York: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nd Oxford University Press. Zillmann, D., & Bryant, J.(1974), Effect of residual excitation on the emotional response to provocation and delayed aggressive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30.

212ㆍ사회과학연구 제36권 제1호 Byung-Hye Lee Myong-Ji University, Dept. of Digital Media, Associate Professo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television viewing time, trait aggressiveness, stress settlement and anger of no-holds-barred fighting program. For this study, femal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y who have seen no-holds-barred fighting program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total, 168 female students were finally survey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study, following results were deducted. first, television viewing time influenced positively on verbal aggression. second, physical aggression influenced positively on verbal aggression. third, verbal aggression influenced positively on stress settlement. fourth, physical aggression influenced positively on anger. fifth, stress settlement influenced positively on anger. Key words:trait aggressiveness, Stress settlement, Anger, Physical aggression, Verbal aggression, No-holds-barred fighting, Desensitization. Received February 28, 2010 Revised April 16, 2010 Accepted April 21,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