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48, No. 3, pp. 31~48, 2009. 활동중심의통합적중재가발달장애아동의문제행동개선에미치는효과 The Effect of Integrated Intervention in the Activity Based reaches in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문혜숙 * Moon, Hye Sook < 요약 > 본연구의목적은활동중심의통합적중재프로그램이발달장애아동의울기행동과교사때리기행동에어떠한영향을미치는지를살펴보는것이다. 중재프로그램은아동이좋아하는음악및미술활동의요소로구성된프로그램으로연구목적에맞도록구성적용하였다. 이것은다양한통합활동을통하여신체적, 정서적, 인지적발달을도모하고, 자기표현, 창의력및행복감과자신감을증진시키게될것으로기대되는활동이다. 연구목적에따라본연구에서는아동이좋아하는활동인미술및음악의통합적중재활동을독립변인으로하고, 아동의문제행동인울기, 교사때리기를종속변인으로하였다. 연구설계는단일대상연구의 AB 설계로서기초선, 중재, 유지단계로실시하였다. 본연구에서는활동중심의통합적중재를통하여발달장애아동의문제행동개선에미치는효과를살펴보았다. 연구결과활동중심중재프로그램은발달장애아동의울기행동감소와교사때리기행동감소에긍정적인영향을미쳤다. 핵심어 : 활동중심의통합적중재, 발달장애아동, 문제행동 * 대구대학교유아특수교육과시간강사( 교신저자 : moonhs1004@hanmail.net)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Daegu University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 第 48倦第 3 號 ) Ⅰ. 서론 1. 연구의필요성 장애아동의교육에있어서이들을위한치료적측면에서나장애아동을포함하 여모든아동의창의적잠재력을신장하기위하여다양한교과의학문적, 치료 적접근의통합을위하여노력하여왔다. 그러나이들의교육에있어서어느한 가지영역의독립적인교과활동보다는다른교과의내용과연계하는프로젝트식 수업또는통합교과적수업을통해인지적ᆞ정서적ᆞ신체적교육효과를최대화 할수있다는연구결과들이보고되고있다( 김창복, 황정숙, 김경철, 2006; 김 영실, 김나림, 권이정역, 2000; 중앙대학교사범대학부속유치원, 1998). 음악영역과미술영역의일반적인교육의의미와더불어장애아동을위한교육 에서주로언급되고있는것은바로이들영역의치료적역할이다. 즉, 장애로 인해생길수있는정서적갈등이나어려움을이러한활동을통해해결할수있 다는점이다. 따라서다양한통합활동을통하여신체적, 정서적, 인지적발달을 도모하고, 자기표현, 창의력및행복감과자신감을증진시키게된다. 아울러언 어의발달이늦는경우가많은장애아동들은언어이외의다양한활동매체를 통하여자기의감정을표현할수있으며, 이러한자기표현이장애아동의교육 전반에중요한요소가된다(Henley, 1992; 백중렬, 2008). Rubin(1999) 은아동의미술치료에는미술교육의요소가들어있으며, 아동들 에게가르치는것이이차적목적이되고치료는일차적목적을가져야한다는 견해를가지고있다. Rubin에의하면가장훌륭한교사는조형활동을통하여아 동이자신감을가지고사회적, 정서적성장을증진하도록지도하는것이다( 정여 주, 2003). 장애아동에게미술활동이갖는의의를살펴보면다음과같다. 첫째, 신체발달을촉진한다. 미술활동은장애아동에게부족한조작능력과소근 육운동능력과눈- 손협응력을증진시키는역할을한다( 김동연, 2002). 둘째, 정서적안정감과행복감, 자신감, 성취감을고양시킬수있다. 장애아동 의능력에맞는다양한미술활동에참여하고완성하도록함으로써정서적안정 과행복감을느끼도록할수있으며, 자신감을가지도록하여자아개념에도움 을준다( 문혜숙, 1998).
활동중심의통합적중재가발달장애아동의문제행동개선에미치는효과 셋째, 의사소통능력과언어발달이다. 미술활동은언어능력이부족한장애아동 에게자신의느낌을표현할수있는통로를제공하며, 자신의작품에대해이야 기해봄으로써언어표현능력을신장하는기회를제공한다 (Hurwitz & Day, 2001). 넷째, 장애아동을위한미술활동은다른교과의내용과연계하는프로젝트식 수업또는통합교과적수업으로많이이루어진다. 즉, 다른교과에서학습한내 용들을미술활동과접목하여교수하면인지발달적측면을보완할수있다( 박은 혜등, 2006). 다섯째, 사회성발달을증진시킨다. 미술활동을통하여사회성기술교수기회를 주어갈등상황의해결및사회성기술의습득등사회적경험을자연스럽게유 도할수있다 (Gaistskell, Hurwitz, & Day, 1982). 여섯째, 미술활동은다양한재료와도구를사용하여자신의생각, 욕구, 상상 력을자유롭게표현해봄으로써창의성계발하는데유용하다. 따라서미술활동 자체가창의적상상력을즐겁고자유롭게표현되는활동으로실행되어야한다 (Wadeson, 1980). 따라서본연구에서는정신지체아동의특성상새재료에익숙해지는데시간이 많이걸리고, 자세한설명과시범을보이는등의단계적수업을필요로하여교 사의세심한노력을요구한다는점과아동의집단활동의적응과문제행동이빨 리중재되어야한다는점을고려하여평소에아동이즐겨하는활동을중심으로 프로그램을구성하였다 (Bella & Zigler, 1979; Dunn, 1973; Hagen & Huntsman, 1971). 장애아동에게음악적요소와음악적활동이주는시사점을살펴보면다음과 같다( 한국음악치료학회홈페이지, 2009; 김동주, 2005; 오선화, 2004; 최병철, 1999). 첫째, 음악적요소와음악적활동은인간의의사소통능력, 신체운동능력, 대인 관계능력, 감정의조절및표현능력, 사고능력, 학습능력등의기능을유지ᆞ복 원및향상시켜궁극적으로개인의삶의질을추구하고보다나은행동의변화 를가져오게한다. 둘째, 리듬의반복은행동을구조화시켜준비, 통합, 기억에도움을준다. 또 한리듬은움직임에타이밍과공간적조화, 예견, 속도조절또는유지하도록하 는데효과적으로사용된다. 이는청각중추신경의촉진을통해이루어진다. 리듬 을통한움직임유도는근육의활성화를가져오며효율적인활동을하는데기여 한다. 또한노래의친숙한선율은기억력을증진시킨다. 반복적으로우리의머리 속에선율과함께저장된내용도기억된선율을통해끌어낼수있다. 또한선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 第 48倦第 3 號 ) 율을통한노래부르기는언어의유연성을가지게하는데, 이는노래를따라부 르게함으로발달장애아동들의언어사용에유연성을높일수있다. 즉, 짧은선 율을회상하는것은긴문장과단어들의회상을촉진시킬수있다. 이외에유 입된언어정보의순서화, 덩어리화에영향을미쳐교육내용및활동에있어중 요한정보를기억하는데효과적인도움을준다. 셋째, 배경음악이갖는음악의치료적기능은다양하다. 음악의리듬, 선율, 화성, 역동성은집중력을높이고불안을감소시킬수있다. 또한친숙한음악은 긴장이완에도움이되고현실감을높여준다. 아울러음악적요소와음악적활 동은감정표현과자아인식증진을위한도구로도사용되며, 비언어적인느낌이 나사고를전달하는기능을가지고있다. 활동중심의통합적접근이유아의발달에적합한방법이라는것은미국유아 교육학회(NAEYC) 에서도구체적으로언급하고있다. NAYEC에서규정하고있 는내용가운데 발달에적합한실제 는연령의적합성과개인의적합성의정도 를고려한유아주도적이며놀이중심적인교육과정을말하고, 발달에적합하지 않은실제 는고도로구조적이며기계적인암기, 학습지, 직접적교수를통해 분리된학문적기술을중시하는교사중심의방법이라고설명하고있다 (Bredekamp & Copple, 1997). 활동중심의통합적교수-학습방법은유아가스스로자연스럽게학습할때는 자신의현재흥미에기초하여무의식적으로모든교과영역을통합하게된다는 신념에근거를두고있다. 따라서여러교과및생활영역을주제를중심으로 통합하여교육과정을구성하고운영함으로써유아들이연결된지식을갖게되고 통합적사고를할수있는능력이키워지는것이다( 김창복, 황정숙, 김경철, 2006). 따라서본연구에서는음악활동과미술활동을중심으로하여아동의발달과 흥미를토대로한다양한활동들을구성하여중재프로그램으로적용하였다. 이 러한중재접근법을통하여아동의여러영역의활동이성취ᆞ확장될것이고, 아동이보여주는문제행동발생의감소를유도하였다. 2. 연구목적 본연구는활동중심의통합적중재를통하여발달장애아동의문제행동에미치는변화를살펴보고자하는것으로구체적인목적은다음과같다. 첫째, 발달장애아동의울기행동이활동중심통합적중재에의하여어떻게변화하는지알아본다.
활동중심의통합적중재가발달장애아동의문제행동개선에미치는효과 둘째, 발달장애아동의교사때리기행동이활동중심통합적중재에의하여어떻게변화하는지알아본다. 3. 용어의정의 1) 울기 목에힘을주어내는큰소리로 5 초이상길게우는행동이다. 2) 교사때리기 교사가아동의행동을예측할수없는순간에손이나발로교사의신체를통 증이나혐오감을느낄정도로때리는행동이다. 3) 선호활동중심중재프로그램 아동이선호하는활동으로미술활동과음악활동으로구성된프로그램이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1) 연구대상 본연구는경상북도 G시 B장애전담어린이집에입급되어있으며소아정신과 의사로부터지적장애 2급으로진단받은 9.0세의여아 1 명이다. 아동의모는임 신전스테로이드계통의약물을복용한적이있으며, 아동은태어난후 26개월 전까지하루 18 시간정도의비디오를시청하였다고한다. 부모와의면담결과 아동은일상적인생활패턴에서벗어나면자신의감정을조절하지못하고소리 를지르거나물건을던지고주변사람들을때리는극단적인공격적행동을보여 친구관계형성과사회적적응에어려움을보인다고한다. 아동은초등학교에입 학할예정이기때문에인지기능향상과더불어신변처리및행동문제의수정을 위해의뢰되었다. 대상아동의행동특성은 < 표 2-1> 과같다.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 第 48倦第 3 號 ) 2) 연구대상의행동특성 < 표 2-1> 대상아동의행동특성 구분내용 가족환경언어적특성행동특성놀이특성대인관계 - 아버지, 어머니, 아동 - 주말마다가족나들이를가며, 모는아동이좋아하는동화책을읽거나아동용교재를함께학습하는등수용적이고교육적인가정분위기 - ~ 주세요 라고자발적으로물건을요구할수있으며, 하지마 라고말하면서거부할수있음 - 글자를읽을수있으나의미를이해하지못함 - 좋아하는노래의가사를따라쓸수있음 - 촉구가있어야만언어표현을함 - 소리에민감하게반응하여에어컨켜는소리나풍선터뜨리는소리, 친구들이우는소리, 싫어하는노래소리에귀를막거나화를냄 - 자유선택활동시간에활동을하려하지않고엎드리거나누워있으려고함 - 낯선곳에가거나환경이변화하였을때울며소리를지름 - 자신이원하는것을할수없을때타인을때림 - 자유선택활동시간이나중그룹활동시간에교사의도움없이자발적으로또래와상호작용하지않음 - 자신이알고있는동요따라부르기를좋아함 - 손유희및율동에관심을가지고한가지동작을모방할수있음 - 색연필로색칠하고모양을꾸미는활동을좋아함 - 모와의관계는원만함 - 교사가원하는것을들어주지않을때교사를때림 - 친구들과자발적으로상호작용을하지않음 2. 연구설계 본연구는미술및음악의통합적중재활동이연구대상아동의문제행동감 소에어떠한영향을미치는지를알아보기위한것이다. 이목적에따라본연구 에서는아동이좋아하는활동인미술및음악의통합적중재활동을독립변인으 로하고, 아동의문제행동인울기, 교사때리기를종속변인으로하였다. 연구설 계는단일대상연구의 AB 설계로서기초선, 중재, 유지단계로실시하였다.
활동중심의통합적중재가발달장애아동의문제행동개선에미치는효과 3. 연구도구 1) 선호활동중심통합적프로그램 본연구에서는의뢰된아동에게활동중심의통합적중재프로그램을실시하여 문제행동의변화를살펴보았다. 여기서적용되는활동중심의통합적중재프로 그램은장애특성을고려하여대상아동이평소에관심을가지거나보다적극적 으로참여하였던미술및음악의통합적중재활동을프로그램화한것이다. 또한, 활동에사용되는도구들은아동이일상생활속에서직접적인경험, 놀 이, 구체물조작들을통하여학습할수있는것들이다. 아울러이도구들은실제 중재환경에서아동의능동적으로참여를유도하여문제행동의감소및신체, 사회ᆞ정서, 인지능력의통합적발달이일어나도록구성하였다. 활동중심의통합 적중재프로그램및사용도구는 < 표 2-2> 과같다. < 표 2-2> 선호활동중심통합적프로그램및사용도구 중재활동활동방법준비물 동요듣고따라부르기 가사함께쓰기 1 좋아하는동요를선곡하도록한다. ( 곰세마리 작은동물원 펭귄가족 숲속작은집 : 신체적촉구로율동할수있다.) 2 선곡된동요를들려준다. 3 가사판을보고동요를부른다. 4 교사의언어적촉구에따라부분적으로신체율동을모방한다. 1 가사판에서교사가손가락으로지적하는문장을읽는다. 2 가사판을보고동요의가사전체를읽는다. 3 교사가지적하는가사를보고따라쓴다. 가사판, 동요테이프, 카세트 전지, 보드마카, 화이트, 스티커북꾸미기 1 2 3 스티커북과스티커를제시한다. 정해진위치에스티커를붙이게한다. 색연필로색칠을하게한다. 스티커북, 색연필, 스티커 고무찰흙놀이 1 2 3 다양한색깔의고무찰흙을제시한다. 자유롭게활동하게한다. 만든모양을사진으로찍는다. 고무찰흙, 찍기틀, 사진기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 第 48倦第 3 號 ) 4. 연구절차 1) 실험기간과장소 장애아동이다니고있는장애전담어린이집의학급에는특수교사 1인을포함하 여유아교육전공교사 1 인, 보육교사 2 인이있으며, 정신지체, 반응성애착장애, 자폐, 발달지체등다양한장애를가진아동 11 명으로구성되어있다. 본연구는 2009년 5월 12일부터 7월 17일까지주 2 회씩실시하였으며, 기 초선기간은종속변인의측정치가안정된수준을나타낼때까지실시하고, 중재 기간은총 14 회에걸쳐실시하였다. 그리고유지단계는실험종료 1주뒤에 3 회에걸쳐실시했다. 각회기당시간은오후 2시 10분에서 2시 50분까지 40 분동안실시한다. 실험장소는대상아동이속해있는장애전담어린이집교육실이며, 환경과다양한도구가갖추어져있다. 쾌적한 2) 실험절차 (1) 사전단계 사전단계에서는연구대상아동의어머니와담임교사의면담과직접관찰을 통해연구대상아동이보이는문제행동에대한사전조사를실시하였다. 아동의 문제행동의빈도와강도가가장심한시간은하원 30 분전으로, 하원을준비하기 위해가방을챙기거나정리하는활동시간인 2시 30분부터 2시 50분사이에가 장심한것으로나타났다. 가방을들고오면서큰소리로울고소리지르며교 사를때리는행동을하였다. 이러한행동의결과로아동은교사들의관심을받 게되거나타임아웃의형태로교실밖을나가거나산책하게되었다. 부모와담임교사의면담을통해수집한정보를바탕으로하여문제행동의감 소를위한집중적인교육이필요함을설명하고, 담임교사에게프로그램실행에 관련한전반적인사항을논의하고협조를부탁하였다. 이러한문제행동을보이 는시간에아동이선호하는활동을중심으로중재프로그램을적용하여문제행 동의변화양상을측정하기로하였다. 관찰및기록방법에관한훈련을하였다. 이를위해담임교사에게측정에필요한 (2) 기초선단계 기초선은중재시작전인 2009년 5월 12일부터 5월 19 일까지이며, 각회 기마다하원전 40 분동안문제행동발생빈도를관찰, 기록하였다. 이때교육실
활동중심의통합적중재가발달장애아동의문제행동개선에미치는효과 에서일과의순서에따라아동이보이는행동을자연스런상황에서측정기록하 였다. (3) 중재단계 중재단계에서는 14회기에걸쳐선호활동중심중재프로그램을실시하였으 며, 동시에관찰을통하여문제행동발생빈도를측정기록하였다. (4) 유지단계 유지단계에서는중재프로그램이끝난후 7월 14일부터 7월 17일까지하 원전 40 분동안문제행동발생빈도를측정하였다. 5. 자료수집 1) 문제행동측정 대상아동이보이는문제행동의측정은담임교사가 야! 우리 할까? 라고언어적요구를한뒤, 놀이영역으로가서활동도구들을제시한다. 이때제 시하는도구들은 < 표 2-2> 에서밝힌것과같이아동이선호하는활동으로아 동의흥미를유발하는재료들로구성하였다. 활동중심의통합적중재프로그램은어린이집의교육내용과겹치지않도록화 요일과목요일하원시간에맞추어 40 분동안실시하였다. 화요일은음악활동 프로그램을적용하였고, 목요일에는미술활동프로그램을적용하였다. 아동의울기행동, 교사때리기행동은활동중심의통합적중재를하는 40분 동안빈도를측정ᆞ기록하였다. 2) 관찰자신뢰도 본연구에서는객관적이고신뢰성을가지기위하여본연구자와특수교육을 전공한관찰자와함께관찰자간신뢰도를산출하였다. 이때대상아동의문제행 동발생횟수기록을연구자와관찰자가동시에독립적으로수행을측정하였다. 관찰자간신뢰도는표적행동발생일치횟수 ( 표적행동발생일치횟수 + 표적행동발생불일치횟수) 100 의공식을이용하여구하였다. 그결과관찰자간일치도는울기행동은 96%, 교사때리기행동은 98% 로평균 96% 였다.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 第 48倦第 3 號 ) 6. 자료처리 본연구에서는활동중심중재프로그램을적용하고, 그과정에서발달장애아 동의교사때리기행동, 울기행동의발생빈도를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기초 선, 중재, 유지기간동안의변화를비교하여시각적으로제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울기행동의변화 활동중심의통합적중재로인한대상아동의울기행동의변화를살펴보면, 기 초선 3회기동안대상아동은하원을준비하기위한정리활동에관심을가지지 않았으며참여도하지않았다. 가방을들고오면서소리를지르며이를제지하 려는교사에게신체적공격을가하였다. 연구기간중울기행동의빈도는 < 표 3-1> 와같으며, 그래프로나타내면 < 그림 3-1> 과같다. 중재에따른문제행동의변화를정리하면다음과같다. 아동이하원전문제 행동을일으키기전에교사는 야! 우리 할까? 라고말을건넨후재료 를꺼내어제시하고, 아동이주의집중하도록유도하였다. 대상아동의울기행동 은중재가시작되면서서서히감소하기시작하였다. 이는기초선에서의평균점 수가 10에서활동중심의통합적중재프로그램이실시되는중재기에서는평균 5.9을보였으며유지기에서는평균 2를보여기초선에비하면문제행동이전반 적으로크게감소한것을알수있다. 그러나전반적인양상을살펴볼때급진 적인문제행동의감소가아니라비교적완만하고안정적인추세로감소하는경 향을보이고있다. < 표 3-1> 을살펴보면아동은기초선과중재중반부인 9회기까지높은문제 행동을보이고있다. 이는아동이중재초기와중기까지는교사와 1:1로행해지 는활동에익숙하지않았으나중재후반기에접어들면서교사에게다가가 선 생님, ~ 주세요, 와맛있겠다, 와신난다 등의친사회적행동을보이면서, 스스로놀이영역의재료를꺼내는등활발한활동욕구를보여주었다. 중재의효과가본격적으로나타나기시작하는회기는 10 회기이후부터였다. 아동은 꽃그려보세요 라는지시에 꽃 이라는글씨를썼다. 10회기에울기행
활동중심의통합적중재가발달장애아동의문제행동개선에미치는효과 동의빈도는 3 이었고, 13회기에는 1 이었으며, 중재마지막회기인 14회기에서 는울기행동이전혀발생하지않았다. < 표 3-1> 울기행동의변화 단계기초선중재 회기 1 2 3 평균 1 2 3 4 5 6 7 빈도 10 9 11 10 9 9 10 8 9 7 7 단계중재유지 회기 8 9 10 11 12 13 14 평균 1 2 3 평균 빈도 6 8 3 3 2 1 0 5.9 3 1 2 2 울기행동의울기행동의변화변화 빈도 12 11 10 9 8 7 6 5 4 3 2 1 0 1 2 3 4 5 6 7 8 9 1011121314151617181920 빈도변화 회기 < 그림 3-1> 울기행동의변화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 第 48倦第 3 號 ) 따라서음악및미술활동중심의통합적중재프로그램으로인해대상아동의 울기문제행동이 10회기부터급속도로감소하여음악및미술활동중심의통합 적중재프로그램이대상아동의문제행동감소에긍정적인영향을미치고있음 을알수있다. 또한중재가발달장애아동의울기행동감소에미치는효과의일반화정도를 알아보기위해중재가끝난후 1주일후인 7월 14 일 ~ 7월 17일까지총 3회 에걸친유지기동안횟수를살펴보았다. 1회기에서는 3 회, 2회기에서는 1 회, 3 회기에서는 2 회를기록하였다. 이것은중재후반부인 10회기에서 14회기에보 여주었던결과와비교해볼때대상아동의울기행동과비슷한수준을보이고있 다. 그러나유지기의문제행동발생횟수가중재기의평균횟수보다낮은수준 을유지하고있어서음악및미술활동중심의통합적중재가발달장애아동의 문제행동감소에미치는효과가비교적크다고할수있다. 2. 교사때리기행동의변화 활동중심의통합적중재로인한대상아동의교사때리기행동의변화를살펴 보면, 기초선 3회기동안대상아동은하원을준비하기위한정리활동에관심을 가지지않았으며참여도하지않았다. 가방을들고오면서소리를지르며이를 제지하려는교사에게신체적공격을가하였다. 연구기간중교사때리기행동의빈도는 < 표 3-2> 와같으며, 시각적으로나 타내면 < 그림 3-2> 와같다. 중재에따른교사때리기행동의변화를살펴보면다음과같다. 교사는아동 이하원전문제행동을일으키기전에아동의이름을부르면서 야! 우리 할까? 라고말을건넨후아동이좋아하는음악을들려주면서중재활동을 시작하였다. 대상아동의교사때리기행동은중재가시작되면서서서히감소하 기시작하였다. 이는기초선에서의평균점수가 5.3에서활동중심의통합적중재 프로그램이실시되는중재기에서는평균 1.4를보였으며유지기에서는 3회기중 문제행동이 1회발생하여평균발생빈도 0.3 을보여주었다. 이러한결과는기 초선에비하면문제행동이전반적으로크게감소한것을보여주는것이다. < 표 3-2> 를살펴보면아동은기초선과중재초반부인 4회기까지비교적높 은문제행동을보여주고있다. 중재의효과가본격적으로나타나기시작하는회기는중재 5회기이후부터였 다. 7 회기에는문제행동이전혀발생하지않았으며, 이후중재후반부에서아동 의교사때리기행동의빈도는거의나타나지않았다. 구체적인발생빈도는
활동중심의통합적중재가발달장애아동의문제행동개선에미치는효과 8,9회기에각각 1 회, 중재의마지막회기인 14회기에 1 회발생하였고, 7회기 이후의다른회기에서는발생하지않았다. < 표 3-2> 교사때리기행동의변화 단계기초선중재 회기 1 2 3 평균 1 2 3 4 5 6 7 빈도 5 5 6 5.3 4 4 3 3 2 1 0 단계중재유지 회기 8 9 10 11 12 13 14 평균 1 2 3 평균 빈도 1 1 0 0 0 0 1 1.4 1 0 0 0.3 7 교사때리기행동의변화 빈도 6 5 4 3 2 1 0 1 2 3 4 5 6 7 8 9 1011121314151617181920 회기 빈도변화 < 그림 3-2> 교사때리기행동의변화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 第 48倦第 3 號 ) 따라서음악및미술활동중심의통합적중재프로그램으로인해대상아동의 교사때리기행동이 6회기부터현저하게감소하여음악및미술활동중심의통 합적중재프로그램이대상아동의교사때리기행동감소에긍정적인영향을미 치고있음을알수있다. 또한중재가발달장애아동의교사때리기행동감소에미치는효과의일반화 정도를알아보기위해중재가끝난 1주일후총 3회에걸쳐유지상태를알아 보기위해문제행동의발생빈도를살펴보았다. 유지 1회기에서는 1회발생하였 으나, 2회기와 3 회기에서는문제행동이발생하지않았다. 이것은중재 6회기에 서보여주었던결과와비교해볼때대상아동의교사때리기행동의발생빈도 가유지기에서도비슷한수준을보이고있음을알수있다. 따라서아동의문제 행동은중재 6 회기이후부터감소하여계속적으로유지되고있음을알수있다. Ⅳ. 논의및결론 본연구에서는활동중심의통합적중재를통하여발달장애아동의문제행동 개선에미치는효과를살펴보았다. 연구결과활동중심중재프로그램은발달장 애아동의울기행동감소와교사때리기행동감소에긍정적인영향을미쳤다. 연구문제별연구결과분석과아울러연구의결론을제시하면다음과같다. 활동중심의통합적중재는아동의울기행동감소에영향을미쳤다. 연구대상 아동의울기행동은기초선동안높은발생빈도를보였으나, 중재가진행되면서 뚜렷한변화는나타나지않았다. 아동은중재초반부에교구나교구장, 책상등 에올라가는행동을보였다. 그러나중재후반부인 9회기이후부터중재의효과 가나타나서아동의울기행동빈도가감소하기시작했다. 이러한결과는아동이 흥미있는활동에관심을보이기시작하면서나타난효과라고할수있다. 이러 한효과는중재후반부로갈수록교사가지시하는사항에반응적인수행을보여 주었다. 유지기에서아동의울기행동은중재후반부와유사한수준을보여주었다. 중재이후아동은하원시교사가 가방가지고오세요 라고언어적지시를 하면가방을가지고올수있게되었다. 따라서중재이후아동의문제행동은 효과적으로개선되었다. 또한과제수행시자리에서이탈하지않고활동이마 칠때까지집중하여과제를수행하였다. 중재효과는연구대상아동의교사때리기행동감소에긍정적인영향을미 쳤다. 아동의교사때리기행동은일상생활패턴에서벗어나거나자신이요구가 수용되지않을때교사를때리거나주변의물건을던지는공격행동을보였다.
활동중심의통합적중재가발달장애아동의문제행동개선에미치는효과 이러한행동은기초선에서도지속적으로나타났다. 중재에서아동의교사때리 기행동은중재초기에서는뚜렷한행동감소가나타나지않았으나중재 6회기 이후교사때리기행동이급격히감소하였다. 이는울기행동에비해중재효과 가빨리나타난것이다. 이러한현상은아동이선호하는활동을중심으로중재 프로그램이실시되었으며, 교사의사회적강화가아동에게적용된결과라고볼 수있다. 유지에서아동의교사때리기행동은중재후반과마찬가지로거의나 타나지않았다. 이후아동은기분이좋을때양팔을올려팔을휘저으며즐거워 하는모습을보여주었다. 따라서활동중심중재프로그램은발달장애아동의울기행동감소와교사때 리기행동의감소에긍정적인영향을미쳤다고할수있다. 아울러본연구는연구대상의특성상음악및미술활동중심의통합적중재 를통한아동의문제행동개선을우선시했기때문에문제행동소거에연구의초 점이있었다. 그러나추후연구에서는기능평가를통하여문제행동의기능을파 악하고바람직한대체행동을교수하는등의지속적인연구가요구된다( 안병환 등, 2009). 또한실제임상현장에서적용할수있는다른독립변인을적용한연 구결과와의비교분석하는연구도필요하다.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 第 48倦第 3 號 ) 참고문헌 김동연 (2002). 아동미술치료. 대구: 동아출판사. 김동주 (2005). 음악치료길라잡이. 서울: 작은우리. 김영실, 김나림, 권이정역 (2000). 프로젝트접근법과수행평가. 서울: 다음세대. 김창복, 황정숙, 김경철 (2006). 유아수학교육. 경기도: 양서원. 문혜숙 (1998). 집단미술치료가청소년의 EQ 함양에미치는효과. 미간행석사 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박은혜, 김미선, 김수진, 강혜경, 김은숙, 김정연, 이명희 (2006). 장애아동을위한 미술교육. 서울: 학지사. 백중렬 (2008). 아동미술치료. 경기도: 공동체. 안병환, 윤치연, 이영순, 이효신, 천성문역 (2009). 최신행동수정. 서울: 시그마 프레스. 오선화 (2004). 음악치료의이해. 서울: 홍익재. 정여주 (2003). 미술치료의이해. 서울: 학지사. 중앙대학교사범대학부속유치원 (1998). 활동중심통합교육과정. 경기도: 양서원. 최병철 (1999). 음악치료학. 서울: 학지사. 한국음악치료학회 http://www.musictherapy.or.kr. Bella, D., & Zigler, E. (1979). Personality development in retarded person. In. N. R. Ellis(Ed.). Handbook of mental deficiency : Psychological theory and research(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Bredekamp, S., & Copple, C. (1997).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childhood programs(rev. ed.).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Dunn, L. M. (1973). Children with mild general learning disabilities. In L. M. Dunn(Ed.). Exceptional children in the schools(2nd ed.). New York: Holy, Rinehart and Winston. Gaistskell, C. D., & Hurwitz, A., & Day, M. (1982). Children and their art: Methods for the elementary School(4th ed). NJ: Harcourt Brace Jovanovich. Hagen, J. W., & Huntsman, N. J. (1971). Selective attention in mental retardates. Developmental Psychology, 5, 151-160.
활동중심의통합적중재가발달장애아동의문제행동개선에미치는효과 Henley, D. D. (1992). Exceptional children: Exceptional art. Worcester, MA: Davis Publications. Hurwitz, A., & Day, M. (2001). Children and their art: Methods for the elementary school(7th ed.). Orlando, FL: Harcourt College Publisher. Rubin, J. A. (1999). Art Therapy: An introduction. Philadelphia, Brunner/ Mazel. Wadeson, D. (1980). Kunstpadagogik und Kunsttherapie: Einige Uberlegungen zu Unterschieden und Gemeinsamkeiten. In: Dalley, T(1986): Kunst als Therapie: Eine Einfubrung, Daedalus, Rheda Wiedenbrck, 29-43.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 第 48倦第 3 號 ) <Abstract> The Effect of Integrated Intervention in the Activity Based reaches in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oon, Hye Soo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grated intervention in the activity based reaches in crying behavior and teacher hitting behavio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composed with music and the artistic play activity. This program body of the child and emotional will improve an intelligent advancement. And self to express and to increase an originality and an euphoria and a confidence will become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research is the music which the child likes and the artistic play activity. The dependant variable of this study is crying behavior and teacher hitting behavio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research is AB plans as single subject study. executed only at the baseline and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hase. The phase of research executed at the baseline and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h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grated intervention in the activity based reaches in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through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 activity based intervention program decreased crying behavio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activity based intervention program decreased teacher hitting behavio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Key Words : integrated intervention in the activity base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roblem behavior 논문접수 : 2009. 7. 29 / 수정본접수 : 2009. 9. 17 / 게재승인 : 2009. 9.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