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 요약문 1AccessionNumber 09 - GIBAN - 16 2Title 3 Project A study on the proliferation of public services based on broadcasting-telecommunication conve



Similar documents
< B8A65FC5EBC7D15FBBE7B1B3C0B0BAF15FC0FDB0A85FC8BFB0FABAD0BCAE2E687770>


untitled

<B9E6BCDBBFB5BBF3C4DCC5D9C3F7BBEABEF7BDC7C5C2C1B6BBE728352E37C1F8C2A5C3D6C1BE292E687770>

<3036C7E2BCF6C3D6C1BEBABB2E687770>

Trend 및 HD 텔레비전 시장에 시사하는 점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1. 영국의 HDTV 현황 2004년 여름, 영국과 아일랜드의 최대 유료 텔레비전 서비스 회사인 BSkyB(British Sky Broadcasting, 이하 Sky)와 BBC가 HD 방송을 계획

Microsoft Word - Media_outlook_2013_K_FinalFinal-A.doc

미디어/통신서비스 Summary 유료방송은 미디어와 통신서비스의 하이브리드 산업 유료방송은 미디어 산업의 밸류체인에서 방송 서비스 제공과 콘텐츠 유통을 책임지는 역할을 한다. 통신서비스와 유사한 월간 구독료(월정액) 과금 모델을 갖고 있어 꾸준한 현금흐름을 기록한다.

스마트 TV 등장에따른유료방송사업자의대응 스마트 TV 등장에따른유료방송사업자의대응 * 1), Google TV TV, Hulu, Netflix, TV N-Screen TV,, TV, TV IPTV TV N-Screen TV, Needs TV *, (TEL)

. SBC Verizon Competition Overview SBC Verizon AT&T MCI < 1> SBC Verizon SBC Verizon AT&T SBC AT&T SBC 13 MCI 356, 13, Cingular Wireless 60%

IPTV INFIDES Research & Consulting 1

Sector report focus 리포트 작성 목적 유료방송 경쟁 현황 분석 및 투자 매력 높은 업체 선정 유료방송 시장은 성장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많은데 부가서비스, 플 랫폼 매출 증가로 시장 규모의 성장 추세가 이어진다는 근거 제시 핵심 가정 및 valuation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03정충식.hwp

1월16일자.hwp

untitled

untitled

Microsoft Word _4

<28BCF6BDC D B0E6B1E2B5B520C1F6BFAABAB020BFA9BCBAC0CFC0DAB8AE20C1A4C3A520C3DFC1F8C0FCB7AB5FC3D6C1BE E E687770>

강의지침서 작성 양식

1. PVR Overview PVR (Personal Video Recorder), CPU, OS, ( 320 GB) 100 TV,,, Source: MindBranch , /, (Ad skip) Setop BoxDVD Combo

Microsoft Word _4

정보화정책 제12권 제4호 인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소요되는 제반 투자비 용도 급격히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시장의 여건에 따라 상당히 경제적인 가격으로 서비스를 공급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위성선진국에서는 광대역 위성 멀티미디어 시장의

<C1A4C3A5BFACB1B D3420C1A4BDC5C1FAC8AFC0DAC0C720C6EDB0DFC7D8BCD220B9D720C0CEBDC4B0B3BCB1C0BB20C0A7C7D120B4EBBBF3BAB020C0CEB1C720B1B3C0B020C7C1B7CEB1D7B7A520B0B3B9DF20BAB8B0EDBCAD28C7A5C1F6C0AF292E687770>

CLICK, FOCUS <표 1> 스마트TV와 기존TV의 구분 및 비교 구분 전통TV 케이블TV/IPTV 인터넷TV/웹TV 스마트TV 전달방식 방송전파 케이블/인터넷망 인터넷망 인터넷망 양방향 서비스 없음 부분적으로 있음 있음 있음 콘텐츠 지상파 방송사가 확보한 콘텐츠


제3회 정보통신표준화 우수논문집 CONTENTS 회장 발간사 4 심사위원장 심사후기 5 최우수상 논문 ( 정보통신부 장관상 ) 촉각 정보 메타데이터 표준 개발 및 국제 표준화 전략 7 I 경기욱, 이준영, 이용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우수상 논문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BAD2B9FDBAB9C1A620BAB8B0EDBCAD5FC5EBC7D55F FB9DFB0A3BBE7C6F7C7D45F33C2F720B1B3C1A428B1D7B8B22020C3DFC3E2292E687770>


45호_N스크린 추진과정과 주체별 서비스 전략 분석.hwp

<C6EDC1FD2E687770>

3.스마트TV분야

Microsoft Word _4

< BACFC7D1B1B3C0B0C1A4C3A5B5BFC7E228B1E2BCFABAB8B0ED D D20C6EDC1FD2035B1B32E687770>


iOS ÇÁ·Î±×·¡¹Ö 1205.PDF

°æÁ¦Àü¸Á-µ¼º¸.PDF

제 출 문 환경부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습마트기기 활용 환경지킴이 및 교육 통합 서비스 개 발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주관연구기관 : 주관연구기관장 : 2015년 10월 주식회사 덕키즈 김 형 준 (주관)연구책임자 : 문종욱 (주관)참여연구원 : 김형준, 문병

<BBEABEF7B5BFC7E22DA5B12E687770>

정치컴 23호-최종.hwp

<BFDCB1B9C0CE20C5F5C0DAB1E2BEF7C0C720B3EBBBE7B0FCB0E82E687770>

<4D F736F F D20C1A4BAB8C5EBBDC5C1F8C8EFC7F9C8B8BFF8B0ED5FBDBAB8B6C6AEBDC3B4EBBAF22E727466>

Microsoft Word _0.doc

9월1일자.hwp

연구요약 1. 서론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 교육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하고, 미래지향적인 정책과제와 전략, 그리고 비전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지 난 15년간의 청소년 교육 환경 및 정책의 변화를 분석하고, 향후 15년간 의 청소년 교육 환경

e-tech 발행인 칼럼 세기말 Y2K... 21세기를 앞두고 막연한 두려움과 흥분에 떨었던 게 엊그제 같은데 벌써 10년이 훌쩍 지났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때왜우리가 그렇게 21세기를 두려워했을까 싶습니다. 아마도 21세기는 어렸을 때부터

2005 중소기업 컨설팅 산업 백서

차세대IPTV(76)수정

Microsoft Word _W_Telecom_KJW

Special Theme _ 스마트폰 정보보호 스마트폰은 기존 PC에서 가지고 있던 위협과 모바일 기기의 위협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다양 한 기능이 추가된 만큼 기존 PC에서 나타났던 많은 위 협들이 그대로 상속되며, 신규 서비스 부가로 인해 신 규 위

사물인터넷비즈니스빅뱅_내지_11차_ indd

<BCF6BDC D31385FB0EDBCD3B5B5B7CEC8DEB0D4C5B8BFEEB5B5C0D4B1B8BBF3BFACB1B85FB1C7BFB5C0CE2E687770>

src.hwp

06_ÀÌÀçÈÆ¿Ü0926

IP IP ICT

<BFACB1B85F D30335FB0E6C1A6C0DAC0AFB1B8BFAA2E687770>

<5B33B9F8B0FAC1A65D20B9E6BCDBBDC9C0C7BDC3BDBAC5DB20B0B3BCB1B9E6BEC8BFACB1B82DC3D6C3D6C1BE2E687770>

歯이시홍).PDF

분 기 보 고 서 (제 22 기) 사업연도 2014년 01월 01일 2014년 03월 31일 부터 까지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귀중 2014년 5월 15일 제출대상법인 유형 : 면제사유발생 : 주권상장법인 해당사항 없음 회 사 명 : 주식회사 와이티엔 대 표 이 사 :


3. 클라우드 컴퓨팅 상호 운용성 기반의 서비스 평가 방법론 개발.hwp

< B3E22032BAD0B1E220C4DCC5D9C3F7BBEABEF7B5BFC7E2BAD0BCAEBAB8B0EDBCAD28C3D6C1BE292E687770>

Á¶Áø¼º Ãâ·Â-1

통신서비스품질평가보고서 2017 Evaluation Report for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Services

<C6EDC1FD2D20C1F6C1A D30372E687770>

< B3E220B9E6BCDBC5EBBDC5BDC3C0E5C0FCB8C12E687770>

슬라이드 제목 없음

09 강제근로의 금지 폭행의 금지 공민권 행사의 보장 중간착취의 금지 41 - 대판 , 2006도7660 [근로기준법위반] (쌍용자동차 취업알선 사례) 11 균등대우의 원칙 43 - 대판 , 2002도3883 [남녀고용평등법위

< C3E2C6C7BEF7B5EEC3D6C1BEBAB8B0EDBCADC0CEBCE2BFEB312E687770>

00내지1번2번

삼국통일시나리오.indd

NCA ISSUE REPORT 제12호( ) Ⅰ. 서론 Ⅱ. 컨버전스 : 디지털 콘텐츠 시장 변화의 동인 Ⅲ. 디지털 콘텐츠 시장의 패러다임 변화 Ⅳ. 결론 및 시사점 작성 : 한국전산원 정책분석홍보팀 홍효진 선임연구원 문의 : , h

그림 2. 5G 연구 단체 현황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는 고품질 멀 티미디어 서비스의 본격화, IoT 서 비스 확산 등의 변화로 인해 기하 급수적인 무선 데이터 트래픽 발생 및 스마트 기기가 폭발적으로 증대 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는 고품질 멀티미디어 서

국내 디지털콘텐츠산업의 Global화 전략

표현의 자유

<4D F736F F D205B4354BDC9C3FEB8AEC6F7C6AE5D3131C8A35FC5ACB6F3BFECB5E520C4C4C7BBC6C320B1E2BCFA20B5BFC7E2>

<BEC6BFF4BCD2BDCCBAB8B0EDBCAD28C3D6C1BE E687770>

04서종철fig.6(121~131)ok

歯3이화진

hwp

H-2 한영수

untitled

UPMLOPEKAUWE.hwp

hwp

00인터넷지07+08-웹용.indd

직업편-1(16일)

10월 1일자 정책지.hwp

제 출 문 중소기업청장 귀하 본 보고서를 중소기업 원부자재 구매패턴 조사를 통한 구매방식 개선 방안 연구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단 장 최 정 훈 연구책임자 : 이재광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부교수) 공동연구자 : 노성호

그림 2. 최근 출시된 스마트폰의 최대 확장 가능한 내장 및 외장 메모리 용량 원한다. 예전의 피쳐폰에 비해 대용량 메모리를 채택하고 있지 만, 아직 데스크톱 컴퓨터 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용량이다. 또한, 대용량 외장 메모리는 그 비용이 비싼 편이다. 그러므로 기존

<BBE7B8B3B4EBC7D0B0A8BBE7B9E9BCAD28C1F8C2A5C3D6C1BE E687770>

<31302E204D43545F47535FC3D6C1BEBAB8B0EDBCAD2E687770>

the it service leader SICC 생각의 틀을 넘어 ICT 기술의 힘 으로 생각의 틀을 넘어 IT서비스 영역을 개척한 쌍용정보통신. ICT 기술력을 바탕으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며 세계로 뻗어나가는 IT Korea Leader 로 도약할 것입니다. Co

±èÇö¿í Ãâ·Â

<3035C0CEB9AEC1A4C3A5BFACB1B8C3D1BCAD E687770>

2008 쌍용국문5차

湖北移动宽带接入市场研究前期评述报告

세계표준과 동떨어진 낡은 족쇄가 마침내 풀렸습니다. 안녕하십니까? 대통령실 국정기획수석비서관 박재완입니다. 방송법, 신문법,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사업법(IPTV법) 등 이른바 미디어산업발전법 개정안이 7월 22일 국회를 통과했습니다. 이로써 1980년대 군사정권의 언론통

2009방송통신산업동향.hwp

Microsoft Word - IT기획시리즈.doc

슬라이드 제목 없음

Transcription:

국문 요약문 1 관 리 번 호 2 보 고 서 명 3 사 업 명 09 - 기반 - 16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활성화 환경구축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연구기반조성사업 부문 4 총 괄 책 임 자 성 명 강상욱 직 위 수석연구원 5 주 관 기 관 한국정보화진흥원 6 연구내용 및 결과 ㅇ 방송통신 융합 공공서비스 제공 표준 플랫폼 개발 -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표준 인프라 및 연동, 연계 규격을 개발 하고, 양방향 데이터 처리 규격( 통신, 보안, 인증) 등에 대한 표준플랫폼 고도화 개발 ㅇ 방송통신 융합 공공서비스 공통기반환경 구축 - 정부부처 공공기관 통신사업자간 연동시스템, IPTV 기반 양방향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양방향처리 시스템, G4C 연동환경 구축 등을 통해 최적의 방송 통신융합 공공서비스 환경을 제공 ㅇ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모델 발굴 및 선도 적용 - 정부공공기관이 제공하는 서비스 중 대국민 IPTV 공공서비스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서비스( 국방, 보건의료, 농수산, 관광 등)를 발굴하여 시범서비스 제공 ㅇ 방송통신융합 가이드 고도화 및 정부/ 공공기관 대상 방통융합 교육실시 - 정부 공공기관을 위한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가이드 확대개발과 관련기관 대상의 방통융합에 대한 이해도를 고취하기 위한 방통융합 전문 교육 실시 7 키워드 IPTV,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영문 요약문 1AccessionNumber 09 - GIBAN - 16 2Title 3 Project A study on the proliferation of public services based on broadcasting-telecommunication converged environment IT R&D Infrastructure Program 4Author Name Sang-ug Kang Section 5Institut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Executive Principal Researcher 6 Abstract o Development of standard platform for convergence based public services - Develops standard specifications for convergence based public services 세 provide subscribers for same public services through multiple IPTV service providers o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ublic service models - Develops public service models to be able to maximize benefits of the convergence based services and implements the service models - Researches public policies for proliferation of convergence based public services o Implementation of common infrastructure - Implements and operates common infrastructure for convergence based public services to provide interface and common services for government, public institutions, and IPTV service providers o Development of public services guidelines and building circumstances - Develops public services guidelines for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and executes training programs - Researches how to build optimum circumstances of public services 7 Key Words IPTV, media convergence, public services

( 옆면) ( 표지) 09 기반 16 방 통 융 합 공 공 서 비 스 활 성 화 환 경 구 축 에 09-기반-16 5cm 정보통신연구기반조성사업 부문 (IT R&D Infrastructure Program)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활성화 환경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liferation of public services based on broadcasting-telecommunication converged environment) 2009. 12. 관 한 연 구 방 송 통 신 위 원 회 한국정보화진흥원 9cm 방 송 통 신 위 원 회 4cm 4c m

제 출 문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귀하 이 보고서를 "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활성화 환경구축에 관한 연구" 과제의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9. 12. 주관연구기관 : 한국정보화진흥원 총괄 책임자 : 강상욱 수석 참여 연구원 : 하상용 부장 이승택 부장 임재남 수석 서운석 수석 장연상 책임 이경렬 책임 유정원 선임 김기택 선임 김혜경 선임 참여연구기관 : 한국홈네트워크산업협회 참여 책임자 : 이경미 팀장 참여 연구원 : 오택수 연구원 외 3명 참여연구기관 :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 참여 책임자 : 조원진 전문위원 참여 연구원 : 장기영 부장 외 2명

보고서 요약서 과 제 번 호 연구사업명 연구과제명 총괄책임자 주관기관명 및 수행부서명 09-기반-16 당해연구기간 2009.1.1. ~ 12.31. 중사업명 정보통신연구개발사업 세부사업명 정보통신연구기반조성사업 부문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활성화 환경구축 강상욱 참여 연구원 수 (M/Y) 한국정보화진흥원, 융합서비스부 내부 5.0 정부 2,750,000 당해연도 외부 1.9 민간 - 연구비( 천원) 계 6.9 계 2,750,000 참여기업명 국제공동연구 상대국명 : 상대국연구기관명 : 과제명 위탁기관명 위탁책임자 위탁연구 ㅇ 연구결과 요약 방송통신 융합 공공서비스 제공 표준 플랫폼 개발 보고서면수 -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표준 인프라 및 연동, 연계 규격을 개발하고, 양방향 데이터 처리 규격( 통신, 보안, 인증) 등에 대한 표준플랫폼 고도화 개발 ㅇ ㅇ 방송통신 융합 공공서비스 공통기반환경 구축 - 정부부처 공공기관 통신사업자간 연동시스템, IPTV기반 양방향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양방향처리 시스템, G4C 연동환경 구축 등을 통해 최적의 방송통신 융합 공공서비스 환경을 제공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모델 발굴 및 선도 적용 - 정부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서비스 중 대국민 IPTV 공공서비스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서비스( 국방, 보건의료, 농수산, 관광 등)를 발굴하여 시범서비스 제공 ㅇ 방송통신융합 가이드 고도화 및 정부/ 공공기관 대상 방통융합 교육실시 - 정부 공공기관을 위한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가이드 확대개발과 관련기관 대상의 방통융합에 대한 이해도를 고취하기 위한 방통융합 전문 교육 실시 색인어 ( 각 5 개 이상) 한글 IPTV,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영어 IPTV, broadcasting-telecommunication convergence, public service

요 약 문 Ⅰ. 제 목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활성화 환경구축 사업 결과보고서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통신과 방송의 경계가 불분명해지는 방송 통신이 융합하는 현 시대에서 국민의 멀티 미디어 서비스 욕구는 더욱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융합화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TV 기반의 서비스 환경은 일반 국민이 사용할 수 있도록 쉽고 친밀한 사용자 인터 페이스의 제공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콘텐츠나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켜 정보 격차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다양화되어가는 국민의 정보화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에는 광대역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방통융합서비스 환경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정부에서도 IT 융합산업이 미래성장동력, 국가균형발전, 저탄소녹색 성장 등 국가 아 젠다를 해결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활성화 환경구축 과제는 TV기반의 공공분야 서비스를 제공하여 융합시장의 초기수요를 창출하고, 관련 서비스를 선도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과제에서는 TV기반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필요한 규격을 도출하고, 선도적 시범제공을 통 한 검증과 효율적 구축을 위한 기반환경 구축, 그리고 가이드 개발 보급을 통한 활성화 유도를 통해 방통융합 서비스가 활성화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함으로써 향후 국민에게 다가가는 정부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표준플랫폼 개발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를 다수의 IPTV 사업자를 통해 국민에게 공할 수 있도록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표준규격 개발 동일하게 제 - i -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표준플랫폼 개발을 위한 전담반 의 구성 운영을 통한 표준플랫폼 개발 및 사업자 적용을 추진 방송통신융합 환경에 적합한 공공서비스 개발 및 선도 적용 기존 제공되는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 등의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TV 기반으로 변환 제공하여, 방송통신융합 환경의 장점을 활용한 신규 공공서비스 모델을 발굴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 연구 등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공통기반 구축 정부부처 공공기관 통신사업자간 연동 및 공통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송통신 융합 공공서비스 공통기반 구축 운영을 통해 최적의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환경을 제공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가이드 개발 및 여건조성 정부 공공기관에서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가이드 개발/ 고도화 및 공공기관 대상 교육 실시 등을 통해 공공기관의 방송통신융합(IPTV) 활성화 유도 방통융합 공공서비스의 원활한 제공을 위한 여건 Ⅳ. 연구개발결과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표준플랫폼 개발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표준플랫폼의 고도화를 추진하고, IPTV 3사를 통한 OSMU 기반의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표준규격 도출 - 양방향서비스 구현을 위한 인증, 결제, 보안 중심의 21개 표준규격 항목 도출 방송통신융합 환경에 적합한 공공서비스 개발 및 선도 적용 중앙부처, 공공기관 등의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TV 기반으로 변환 제공하였는데, 09 년에는 국방부, 행정안전부 등 8 개 기관이 참여하고, 서비스를 발굴 및 제공 - ii -

- 국방, 보건의료, 민원, 농수산, 관광 서비스를 시범제공 하였으며, 재난경보서비 스, 엠버서비스, 교통서비스는 사업자의 참여 유도 등 정책지원을 통해 상용서비스로 제공 대국민 홍보를 위해 IPTV 1 주년 기념식( 09.12.10) 에 시범서비스를 시연함으로써 TV기반 공공서비스 활성화에 기여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공통기반 구축 08년 기구축된 공통기반환경을 양방향 공공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고도화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민원서비스를 구축하여 적용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가이드 개발 및 여건조성 공공기관을 위한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가이드 개발(Ver. 2.0) 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관계기관 간 R&R, 법제도 등 여건조성 연구 및 원활한 공 Ⅴ.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활용에 대한 건의포함) 방송통신 서비스의 융합이 가속화됨에 따라 정부 부처 및 공공기관들의 IPTV기반의 공공서비스 구축 요구가 증대되고 있어, 공공기관의 대민 서비스 접근을 용이하게 하며 편리하고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토록 하는 기반으로 활용할 수 있다. 09년에 연구한 양방향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술규격 연구결과 및 서비스 결과 등을 가이드에 포함하여 정부부처, 공공기관등에 배포하고, 이를 통해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특히, 올해 발굴한 서비스 중 국방서비스는 2010 년부터 본격 확산할 예정이며, 원격 의료 상담 서비스는 관련 여건( 법, 제도) 만 허락한다면 상용화가 가능한 기술이며, 다른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과제의 결과를 참조, 보완한다면 향후 전 국민 대상의 방통융합 공공서 비스를 제공하고자 할 때 방안과 고려사항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충분히 원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초결과가 나왔다고 할 수 있다. - iii -

Ⅵ. 기대효과 먼저, 본 사업을 통해 개발된 기술은 IPTV기반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본 사업 추진에 필요한 기술로 활용되고, 신속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향후 필요한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공공서비스의 진화에 따른 단계별 소요기술 및 요구사항을 IPTV기반 공공서비스 진화방향 및 신규서비스 개발에 그리고, 사회적으로는 T-Government 를 통해 기존 대민 서비스를 개선하고, 전자정 부서비스 활성화에 기여하며, 반 및 향후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차별화된 대민 제공기 TV 매체를 활용함으로써 공공서비스 정보접근 채널 다양화가 기대된다. 더 나아가 방송통신융합을 통한 공공서비스뿐만 아니라, 민간 서비스의 신규 비즈 니스 모델 창출 등을 통해 방송통신융합 산업 활성화에 기여되길 기대한다. - iv -

S U M M A R Y Ⅰ. Subject Final report of the project for building environment of public services based on broadcasting-telecommunication convergence Ⅱ. Objectives and needs of the research Under the situation that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are converged and boundaries among media are indistinct, public needs for multimedia services are increased and media convergence is more accelerated. TV-based public services can be a good solution for digital divides because it improves accessibility to a variety of contents and services through easy-to-use user interfaces. Also, broadcasting-telecommunication converged services based on broadband network can be the nice fit for meeting public needs diversified more and more. Korean government recognizes media convergence as a good solution for national agenda such as future growth engine, national balanced growth, low carbon green growth, and so on. The project for building environment of public services based on broadcastingtelecommunication convergence is proposed to create initial demands in media convergence market and play a leading role in relevant service market by providing TV-based public services. In this project, we set a goal to create the government for people to be more accessible and it is pursued by providing the foundation of broadcasting-telecommunication convergence based public services such as development of standard specifications, verification of the specifications through pilot projects, implementation of common infrastructure, development and deployment of public services guidelines. - v -

Ⅲ. Contents and Scope of the research Development of standard platform for convergence based public services Develops standard specifications for convergence based public services to provide subscribers for same public services through multiple IPTV service providers Makes service providers develop and apply standard platform through working group activities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ublic service models Develops public service models to be able to maximize benefits of the convergence services and implements the service models Researches public policies for proliferation of convergence public services Implementation of common infrastructure Implements and operates common infrastructure for convergence public services to provide interfaces and common services among central government, public institutions and IPTV service providers Development of public services guidelines and building circumstances Develops public services guidelines for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and training programs Researches how to build optimum circumstances for public services Ⅳ. Results of the research Development of standard platform for convergence based public services Enhances current standard platform, and develops new standard specifications - 21 specifications, selected from the areas of authentication, payment, & security, newly developed - vi -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ublic service models 8 ministries of central government participate to develop and provide TV-based public services in 2009. - Develops and provides pilot services such as healthcare service, civil services, tourism service, and so on, and publicly launches some public services such as emergency alert, AMBER alert, & road traffic information service. Implementation of common infrastructure Enhances common infrastructure implemented in 2008 to be able to provide interactive services, and implements civil service system to verify enhanced common infrastructure. Development of public services guidelines and building circumstances Develops public services guidelines V. 2.0, and researches laws & regulations Ⅴ. Plans for utilizing the research results As the demands for TV-based public services from govern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increases, we can utiliz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s the foundation to ensure easy-to-use accessibility to the public services and make possible provide them in more efficient way. We will distribute public services guidelines to govern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and it will contribute to the proliferation of TV-based public services. Especially, military services, one of the public services we developed in 2009, will be deployed as a commercialized service in 2010, and remote medical consultation service can be commercialized as soon as related regulations is altered. Consequently, it is possible to find out methods and requirements to expand TV-based public services nation-wide if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supplemented appropriately. - vii -

Ⅵ. Expected effects First of all, enabling technologies developed by this project can be utilized to develop commercialized TV-based public services, and provide strong fundamentals for upgrading current TV-based public services and developing new services. Also we expect this project will improve current public services through the new type of public services, so-called T-Government services, contribute to the proliferation of public services, and diversify the channels that people access to the public services. Furthermore, we expect this project will contribute to invigoration of media convergence related industries as well as proliferation of the TV-based public services. - viii -

C O N T E N T S Chapter 1. Introduction of the project 1 Chapter 2. Domestic and international issues related 5 Chapter 3. Contents & results of the project 15 Chapter 4. Degree of the achievements & the contributions 343 Chapter 5. Related information gathered through the project 349 Chapter 6. References 387 - ix -

목 차 제1 장 과제의 개요 1 제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3 제2 장 국내외 현황 5 제1 절 국외 서비스 현황 7 제2 절 국내 서비스 현황 9 제3 절 국내 공공서비스 현황 11 제4 절 국내외 기술 및 표준화 현황 12 제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15 제1절 2009 년도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표준플랫폼규격 연구 17 제2 절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발굴 및 시범 제공 59 제3 절 방통융합 공통기반환경 시범구축 사업 213 제4 절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가이드 개발 266 제5 절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여건 조성 315 제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343 제1 절 연구 목표 및 달성도 345 제2 절 관련분야 기여도 347 제5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349 제1절 Web 2.0 기반 IPTV 351 제2 절 무선망 멀티캐스트 기술 354 제3절 모바일 IPTV 서비스 기술 356 제4절 QoS 동향 358 제5절 SIP 기반 응용서비스의 종합적 품질 평가 모델 366 제6절 서비스 QoS 보장을 위한 침입대응 동향 375 제7절 서비스별 QoS 보장을 위한 SLA 지표 동향 380 제6 장 참고문헌 387 - x -

표 목 차 < 표 2-1-1> 지역별 IPTV 가입자 수 현황 7 < 표 2-1-2> 해외 국가별 서비스 주요내용 8 < 표 2-2-1> IPTV 가입자 및 매출액 규모 9 < 표 2-2-2> IPTV 가입자 및 매출액 규모 10 < 표 2-2-3> 매체별 100 만 가입자 유치 기간 10 < 표 2-3-1> 2008 년 공공서비스 발굴 내용 11 < 표 2-3-2> 2009 년 공공서비스 발굴 내용 11 < 표 2-4-1> IPTV 기술 분야별 표준화 단체 13 < 표 3-1-1> 방통융합 기능요소 설명 18 < 표 3-1-2> IPTV 발전 방향 21 < 표 3-1-3> 주요 기술별 표준화 기구 23 < 표 3-1-4> IPTV 사업자 별 표준화 대응 현황 23 < 표 3-1-5> 케이블 사업자 별 표준화 대응 현황 24 < 표 3-1-6> 국내 사업자 현황 요약 25 < 표 3-1-7> 해외 IPTV 사업자 현황 26 < 표 3-1-8> 해외 주요 방송 사업자 26 < 표 3-1-9> 시스템 별 주요 업체 27 < 표 3-1-10> 주요 장비 업체 목록 28 < 표 3-1-11> IPTV 서비스 사업자 별 적용사례 30 < 표 3-1-12> CATV 서비스 사업자 별 적용사례 30 < 표 3-1-13> IPTV 기반 공공서비스 표준 플랫폼 구성 요소별 기능 35 < 표 3-2-1> 국방 CUG 플랫폼 구축 구성 66 < 표 3-2-2> 가입자 망 설치 68 < 표 3-2-3> 품질관리 지표 71 < 표 3-2-4> 농수산 서비스 메뉴 구조 및 콘텐츠 유형 83 < 표 3-2-5> 농수산 어플리케이션 Service Interface 기능 87 < 표 3-2-6> 농수산 어플리케이션 App Manager 기능 87 < 표 3-2-7> 농수산 어플리케이션 Core Module 기능 88 < 표 3-2-8> 농수산 어플리케이션 UI Container 기능 89 < 표 3-2-9> 콘텐츠 관리 시스템 UI Container 기능 90 < 표 3-2-10> 콘텐츠 관리 시스템 서비스 관리 모듈 기능 91 < 표 3-2-11> 콘텐츠 관리 시스템 공통기반환경 연동 모듈 기능 91 < 표 3-2-12> 콘텐츠 관리 시스템 시스템 관리 기능 92 < 표 3-2-13> 서비스 서버 Service Interface 기능 93 < 표 3-2-14> 서비스 서버 Core Module 기능 94 - xi -

< 표 3-2-15> 서비스 서버 T- 커머스 모듈 기능 95 < 표 3-2-16> 서비스 제공 서버 System Manager 기능 95 < 표 3-2-17> 농수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 개발 시 표준 규격 사항 96 < 표 3-2-18> 양방향 데이터 처리 97 < 표 3-2-19> 사업자별 상이한 키( 리모콘) 코드 122 < 표 3-2-20> 각 플랫폼 사업자별 IFrame 정책 122 < 표 3-2-21> 각 플랫폼 사업자별 Automata 보조 UI 제공 여부 122 < 표 3-2-22> H.264 비디오 KT 표준 인코딩 파라메터 124 < 표 3-2-23> H.264 Profiles 124 < 표 3-2-24> H.264 Level 124 < 표 3-2-25> 공공서비스 표준 규격 125 < 표 3-2-26> 표준규격에 따른 연동연계 시험 및 검증 126 < 표 3-2-27> 이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에 대한 시험 및 검증 126 < 표 3-2-28> 서비스 품질 기준 항목 내역 127 < 표 3-2-29> 시범사업 수행 내역 요약표 128 < 표 3-2-30> 보건의료 부문 공공서비스 모델 발굴 수행항목 131 < 표 3-2-31> 공공서비스 콘텐츠 수급 수행항목 131 < 표 3-2-32> 상담 병원 및 의료진 선정 현황 140 < 표 3-2-33> 병원 검색 메뉴의 동작단계 141 < 표 3-2-34> 건강동영상 카테고리별 콘텐츠 수 146 < 표 3-2-35> 공공서비스 원격상담시스템 구축 수행항목 150 < 표 3-2-36> 공공서비스관리서버 구축 수행항목 150 < 표 3-2-37> 기술시험 검증 및 테스트베드 활용 수행항목 160 < 표 3-2-38> SIP Proxy 서버 기능 검증 항목 161 < 표 3-2-39> H.264 카메라 기능 검증 항목 161 < 표 3-2-40> WAS 서버 기능 검증 항목 162 < 표 3-2-41> 타사 어플리케이션 검증 결과 163 < 표 3-2-42> 시범망 구축 및 시범서비스 제공 수행항목 164 < 표 3-2-43> 기능적 요구사항 정의 168 < 표 3-2-44> 전체 서비스 콘텐츠 목록 180 < 표 3-2-45> 콘텐츠 파라미터 187 < 표 3-2-46>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개요 189 < 표 3-2-47> 양방향 데이터 연계 모듈 개발 내용 189 < 표 3-2-48> 단말/ 미들웨어 개발 개요 190 < 표 3-2-49> 헤드엔드 시스템 개발 개요 190 < 표 3-2-50> 콘텐츠 등록 시스템 개발 개요 190 < 표 3-2-51> 어플리케이션 정합내역 191 < 표 3-2-52> 관광정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구현 방법 192 < 표 3-2-53> TV여행정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업무기능 분해 및 프로세스 목록 193 - xii -

< 표 3-2-54> TV 여행정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모듈별 기능 193 < 표 3-2-55> 어플리케이션 소스 디렉토리 구조 설명 194 < 표 3-2-56> 양방향 콘텐츠 연계의 추가 구현항목 및 구현사항 194 < 표 3-2-57> 단말/ 미들웨어 추가 구현 항목 및 내용 195 < 표 3-2-58> 어플리케이션 및 M/W 간 인터페이스 구현 내용 196 < 표 3-2-59> VOD 콘텐츠 시청 시 헤드엔드 -STB 간 업무 처리 내역 197 < 표 3-2-60> 콘텐츠 관리 시스템 모듈별 기능 198 < 표 3-2-61> 어플리케이션 정합 작업 수행 내역 199 < 표 3-2-62> 과제 수행 결과 평가표 199 < 표 3-2-63> 2009년도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시범사업 서비스 시험 및 검증 항목 200 < 표 3-2-64> 자체적 규격 구현 시험/ 검증 환경 구성 요소 및 역할 202 < 표 3-2-65> 각 노드별 장비구성 209 < 표 3-2-66> 교통영상서비스 제공 내역 210 < 표 3-2-67> 사회안전망 서비스 경보방법 211 < 표 3-2-68> 유괴실종경보 송출기준 212 < 표 3-2-69> 재난경보 송출기준 212 < 표 3-4-1> Web 환경과 TV 환경의 비교, 분석 271 < 표 3-4-2> IPTV 법안 주요 내용 278 < 표 3-4-3> 국내 IPTV 서비스 사업자별 서비스 현황 280 < 표 3-4-4> 선진국 대비 국내 기술개발 수준 281 < 표 3-4-5> SWOT 분석 281 < 표 3-4-6> 세부 기술의 국제경쟁력 분석 282 < 표 3-4-7> IPTV 기반기술의 범위 및 내용 282 < 표 3-4-8> IPTV 기술 표준화 현황 283 < 표 3-4-9>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 관련 주요 선진국 추진 현황 284 < 표 3-4-10> 해외 IPTV 사업자 톱 10 서비스 동향 285 < 표 3-4-11> IPTV 양방향 서비스 현황(2009 년 8 월 말) 287 < 표 3-4-12> 공통기반환경의 주요 기능 301 < 표 3-4-13> 저작권 관련 신탁관리단체 문의처 302 < 표 3-4-14> 성과측정 지표 305 < 표 3-5-1> 프로그램 공급자의 유형 318 < 표 3-5-2> 주요 PP 의 서비스 현황 320 < 표 3-5-3> 주요 CP, PP와 IPTV 사업자 간의 제휴현황 321 < 표 3-5-4> 모바일 IPTV 현황 IPTV 사업자와 CP, PP와 IPTV 사업자 간의 제휴현황 321 < 표 3-5-5> 방통융합 사업자와 CP, PP 간의 역할 구분 329 < 표 3-5-6> 방통융합 사업자와 CP-PP 간의 역할 330 < 표 3-5-7> 방통융합사업자의 서비스 핵심 필요 요소 333 < 표 3-5-8> IPTV 공공서비스 활성화 실행모델 335 < 표 3-5-9> 저작권 보호 대상 339 - xiii -

< 표 3-5-10> 저작물 권리의 종류 340 < 표 3-5-11> 콘텐츠 Escrow 341 < 표 5-4-1> 전송 프로토콜 별 QoS 파라미터 361 < 표 5-5-1> G.711에서의 Ie 값 368 < 표 5-5-2> ITU-T P.800의 MOS 평가 기준 369 < 표 5-5-3> R 값과 사용자 만족도와의 관계 370 < 표 5-5-4> R 값과 서비스 클래스와의 관계 371 < 표 5-5-5> Audio, Video 응용에서의 성능 목표치 372 < 표 5-5-6> 데이터 응용에서의 성능 목표치 372 < 표 5-5-7> 지연과 QoS 의 상관관계 374 < 표 5-6-1> 기존의 보안 장비 비교 378 < 표 5-7-1> 초고속 인터넷 SLA 품질보장 권고 수준 및 보상범위 380 < 표 5-7-2> 국내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업체 SLA 기준 381 < 표 5-7-3> Verizon VoIP SLA 제공 내역 383 < 표 5-7-4> AT&T VoIP 서비스의 SLA 제공 내역 383 < 표 5-7-5> TTA IPTV PG(PG 219) 표준화과제 현황 384 < 표 5-7-6> KT VPN 서비스의 SLA 항목 385 < 표 5-7-7> LG 데이콤 VPN SLA 지표 385 < 표 5-7-8> KIDC의 SLA 항목 지표 386 < 표 5-7-9> EPN IDC의 SLA 항목 지표 386 - xiv -

그 림 목 차 [ 그림 2-2-1] IPTV 가입자 및 매출액 규모 9 [ 그림 2-4-1] IPTV 표준화를 위한 국내외 협력체제 13 [ 그림 3-1-1] 방통융합 기능 요소 17 [ 그림 3-1-2] IPTV 기술 발전 단계 21 [ 그림 3-1-3] IPTV 기반 공공서비스 도메인 34 [ 그림 3-1-4] IPTV 기반 공공서비스 표준 플랫폼 시스템 구성도 34 [ 그림 3-1-5] 디지털유선방송 기반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도메인 37 [ 그림 3-1-6] 공공서비스 표준 플랫폼 시스템 구성도 38 [ 그림 3-2-1] 국방서비스 구성 및 개념도 60 [ 그림 3-2-2] 국방서비스 시스템 구성도 61 [ 그림 3-2-3] 콘텐츠 구성 62 [ 그림 3-2-4] 플랫폼 구성도 및 구성요소 63 [ 그림 3-2-5] 단말기 구성요소 64 [ 그림 3-2-6] 양방향서비스 예시 64 [ 그림 3-2-7] 서비스제공현황 및 확대계획 65 [ 그림 3-2-8] 콘텐츠 수급계획 65 [ 그림 3-2-9] 국방CUG 플랫폼 구성도 67 [ 그림 3-2-10] 국방CUG 서비스 구축 실장도 67 [ 그림 3-2-11] 국방서비스 망 구성도( 예시) 68 [ 그림 3-2-12] 시범부대 네트워크 공사 예시 69 [ 그림 3-2-13] 품질진담 및 개선 프로세스 70 [ 그림 3-2-14] 서비스 메뉴 단계 73 [ 그림 3-2-15] CUG 콘텐츠 웹 운영 화면 73 [ 그림 3-2-16] CUG 콘텐츠별 운영 주체 74 [ 그림 3-2-17] 부대별 스킨 화면 75 [ 그림 3-2-18] 관리자별 서비스 권한 76 [ 그림 3-2-19] 부대 선택 화면 76 [ 그림 3-2-20] 이미지+ 텍스트 목록 및 상세 화면 77 [ 그림 3-2-21] 이미지 목록 및 상세 화면 77 [ 그림 3-2-22] VOD 목록 및 상세 화면 77 [ 그림 3-2-23] VOD+ 텍스트 목록 및 상세 화면 78 [ 그림 3-2-24] 텍스트 목록 및 상세 화면 78 [ 그림 3-2-25] 화상면회 신청 화면 78 [ 그림 3-2-26] 연동형 서비스 메인 화면 79 [ 그림 3-2-27] 연동형 서비스 텍스트형 게시판과 상세화면 79 - xv -

[ 그림 3-2-28] 연동형 서비스 이미지+ 텍스트 게시판과 상세화면 79 [ 그림 3-2-29] 이미지 크게 보기 화면 79 [ 그림 3-2-30] 설문조사 / 결과보기 화면 80 [ 그림 3-2-31] 화상면회 서비스 구성도 80 [ 그림 3-2-32] 단계별 기본 추진 전략 81 [ 그림 3-2-33] 서비스 모델 개발 절차 82 [ 그림 3-2-34] 한국농림수산정보센터 공공서비스 전체 시스템 구성도 84 [ 그림 3-2-35] 농수산 서비스 하드웨어 구성도 85 [ 그림 3-2-36] 농수산서비스 소프트웨어 구성도 85 [ 그림 3-2-37] 농수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구성도 86 [ 그림 3-2-38] 농수산 어플리케이션 Service Interface 구성도 86 [ 그림 3-2-39] 농수산 어플리케이션 App Manager 구성도 87 [ 그림 3-2-40] 농수산 어플리케이션 Core Module 구성도 88 [ 그림 3-2-41] 농수산 어플리케이션 UI Container 구성도 88 [ 그림 3-2-42] 콘텐츠 관리 시스템 구성도 89 [ 그림 3-2-43] 콘텐츠 관리 시스템 UI Container 구성도 90 [ 그림 3-2-44] 콘텐츠 관리 시스템 서비스 관리 모듈 구성도 90 [ 그림 3-2-45] 콘텐츠 관리 시스템 공통기반환경 연동 모듈 구성도 91 [ 그림 3-2-46] 콘텐츠 관리 시스템 시스템 관리 모듈 구성도 92 [ 그림 3-2-47] 서비스 제공(RP) 서버 구성도 92 [ 그림 3-2-48] 서비스 제공(RP) 서버 Service Interface 구성도 93 [ 그림 3-2-49] 서비스 제공(RP) 서버 Core Module 구성도 94 [ 그림 3-2-50] 서비스 제공(RP) 서버 T-Commerce Module 구성도 94 [ 그림 3-2-51] 서비스 제공(RP) 서버 System Manager 구성도 95 [ 그림 3-2-52] AFFiS 연동 구조 96 [ 그림 3-2-53] 양방향 데이터 처리 97 [ 그림 3-2-54] T- 커머스 상품 결제 처리 97 [ 그림 3-2-55] T- 커머스 계정관리 구조 98 [ 그림 3-2-56] 메시지 보안 처리 98 [ 그림 3-2-57] 공공서비스 포탈 - 농수산 어플리케이션 진입 화면 99 [ 그림 3-2-58] 농수산 어플리케이션 품목별 보기 화면 100 [ 그림 3-2-59] 농수산 어플리케이션 농가별 상품 보기 화면 100 [ 그림 3-2-60] 농수산 어플리케이션 상품 구매 화면 101 [ 그림 3-2-61] 농수산 어플리케이션 주문조회 내역 화면 101 [ 그림 3-2-62] 농수산 어플리케이션 농산물 이력추적 서비스 화면 102 [ 그림 3-2-63] 농수산 어플리케이션 농산물 가격정보 조회 서비스 화면 103 [ 그림 3-2-64] 농수산 어플리케이션 설문조사 서비스 화면 103 [ 그림 3-2-65] 농수산 어플리케이션 e- 귀농 교육 서비스 화면 104 [ 그림 3-2-66] 농수산 어플리케이션 내 강의실 서비스 화면 104 - xvi -

[ 그림 3-2-67] 농수산 어플리케이션 오늘의 요리 서비스 화면 105 [ 그림 3-2-68] 농수산 어플리케이션 건강체조 서비스 화면 105 [ 그림 3-2-69] 농수산 어플리케이션 건강한 식생활 서비스 화면 106 [ 그림 3-2-70] 농수산 어플리케이션 농업 포커스 서비스 화면 106 [ 그림 3-2-71] 농수산 어플리케이션 헬로우 농어촌 서비스 화면 106 [ 그림 3-2-72] 농수산 어플리케이션 농식품 희망 매거진 서비스 화면 107 [ 그림 3-2-73] CMS 회원가입 화면 107 [ 그림 3-2-74] CMS 로그인 화면 108 [ 그림 3-2-75] CMS 계정 관리 화면 108 [ 그림 3-2-76] CMS 회원탈퇴 화면 108 [ 그림 3-2-77] CMS 메인 어플 정보 등록 화면 109 [ 그림 3-2-78] CMS VOD 정보 등록 화면 109 [ 그림 3-2-79] CMS VOD 정보 목록 화면 110 [ 그림 3-2-80] CMS 시범서비스 가입자 등록 화면 110 [ 그림 3-2-81] CMS 시범서비스 가입자 목록 화면 110 [ 그림 3-2-82] CMS 서비스 배경 관리 화면 111 [ 그림 3-2-83] CMS 메인 콘텐츠 관리 111 [ 그림 3-2-84] CMS 서비스 콘텐츠 관리 112 [ 그림 3-2-85] CMS 설문조사 등록 화면 112 [ 그림 3-2-86] CMS 농수산물 분류 카테고리 관리 화면 113 [ 그림 3-2-87] CMS 농수산물 지역 카테고리 관리 화면 113 [ 그림 3-2-88 CMS] 그린마켓 상품구분 카테고리 관리 화면 114 [ 그림 3-2-89] CMS 카드 관리 화면 114 [ 그림 3-2-90] CMS Affis 농가리스트 화면 115 [ 그림 3-2-91] CMS 농가리스트 관리 화면 115 [ 그림 3-2-92] CMS Affis 상품 리스트 116 [ 그림 3-2-93] CMS 상품 리스트 관리 화면 116 [ 그림 3-2-94] CMS VOD 통계 화면 117 [ 그림 3-2-95] CMS 설문 통계 화면 117 [ 그림 3-2-96] CMS 교육 통계 화면 118 [ 그림 3-2-97] CMS T- 커머스 통계 화면 118 [ 그림 3-2-98] CMS 서비스별 이용 순위( 전체) 화면 118 [ 그림 3-2-99] CMS 서비스별 이용 순위(KT) 화면 119 [ 그림 3-2-100] CMS 구매내역 정보 화면 119 [ 그림 3-2-101] VOD 위치정보 관리 화면 120 [ 그림 3-2-102] VOD 재생을 위한 절차 120 [ 그림 3-2-103] 사용자 정보 제공 절차 121 [ 그림 3-2-104] VOD 콘텐츠 인코딩 프로세스 123 [ 그림 3-2-105] 공공서비스 품질 검증 절차 127 - xvii -

[ 그림 3-2-106] TV 닥터 서비스 메뉴 구조도 132 [ 그림 3-2-107] 원격 의료 상담 서비스 모델 132 [ 그림 3-2-108] 원격 의료상담 Block Diagram 133 [ 그림 3-2-109] 상담 요청 시나리오 133 [ 그림 3-2-110] 상담 요청 후 환자 미수락시 시나리오 134 [ 그림 3-2-111] 상담 요청 후 정상 종료 시나리오 134 [ 그림 3-2-112] TV 닥터 초기 화면 135 [ 그림 3-2-113] TV 닥터 사용자 선택 화면 135 [ 그림 3-2-114] 환자의 예약날짜 선택 화면 136 [ 그림 3-2-115] 환자의 예약시간 선택 화면 136 [ 그림 3-2-116] 환자의 예약과목 선택 화면 136 [ 그림 3-2-117] 환자의 예약현황 화면 137 [ 그림 3-2-118] 카메라 연결상태 확인 화면 137 [ 그림 3-2-119] 카메라 연결중 화면 138 [ 그림 3-2-120] 상담실 입장 화면 138 [ 그림 3-2-121] 의사의 오늘의 상담예약 목록 화면 139 [ 그림 3-2-122] 의사의 전체 상담 예약 내역 화면 139 [ 그림 3-2-123] 병원 검색 메뉴 선택 140 [ 그림 3-2-124] 병원 검색 메뉴 화면 141 [ 그림 3-2-125] 병원 검색 메뉴 구조 142 [ 그림 3-2-126] 진료과목별 병원 검색 메뉴 구조 142 [ 그림 3-2-127] 진료과목별 병원 검색 메뉴 구조( 계속) 142 [ 그림 3-2-128] 병원 검색 결과 화면 143 [ 그림 3-2-129] 병원 상세정보 보기 화면 143 [ 그림 3-2-130] 질병백과 선택 화면 144 [ 그림 3-2-131] 질병백과 -> 질병 상세 화면 ( 질병상식 ) 144 [ 그림 3-2-132] 질병백과 -> 질병 상세 화면 ( 치료/ 관리) 145 [ 그림 3-2-133] 질병백과 -> 질병 상세 화면 ( 질병통계 ) 145 [ 그림 3-2-134] 질병백과 -> 질병 상세 화면 ( 질병퀴즈 ) 145 [ 그림 3-2-135] 건강동영상 선택 화면 146 [ 그림 3-2-136] 건강동영상 카테고리 선택 화면 146 [ 그림 3-2-137] 프로비저닝 시스템 구성도 147 [ 그림 3-2-138] VOD 콘텐츠 등록 및 배포 시스템 147 [ 그림 3-2-139] 질병정보 DB 스키마 148 [ 그림 3-2-140] 병원정보 DB 스키마 149 [ 그림 3-2-141] 건강동영상 정보 DB 스키마 149 [ 그림 3-2-142] SIP Proxy 서버 구성도 151 [ 그림 3-2-143] 카메라 구조도 152 [ 그림 3-2-144] 셋탑내 프로세스간 인터페이스 구조 153 - xviii -

[ 그림 3-2-145] WAS 서버 연결 구성도 153 [ 그림 3-2-146] WAS 서버 관리자 로그인 화면 154 [ 그림 3-2-147] WAS 서버 공지사항 관리기능 154 [ 그림 3-2-148] WAS 서버 병원관리 -> 병원정보관리 화면 154 [ 그림 3-2-149] WAS 서버 병원관리 -> 진료과목 정보관리 화면 155 [ 그림 3-2-150] WAS 서버 병원관리 -> 병원진료과목매핑관리 화면 155 [ 그림 3-2-151] WAS 서버 질병관리 > 질환정보관리 화면 155 [ 그림 3-2-152] WAS 서버 질병관리 > 자가진단정보관리 화면 156 [ 그림 3-2-153] WAS 서버 가입자예약관리 > 병원별 예약시간관리 화면 156 [ 그림 3-2-154] WAS 서버 가입자예약관리 > 예약정보조회 화면 156 [ 그림 3-2-155] WAS 서버 가입자예약관리 > 예약정보관리 화면 157 [ 그림 3-2-156] WAS 서버 평가정보관리 > 병원별 화면 157 [ 그림 3-2-157] WAS 서버 평가정보관리 > 수술진료량 화면 157 [ 그림 3-2-158] WAS 서버 평가정보관리 > 병원종별 화면 158 [ 그림 3-2-159] 공통기반환경 연동 구성도 158 [ 그림 3-2-160] 공통기반환경 연동을 위한 포탈 어플리케이션 화면 159 [ 그림 3-2-161] 시범망 구성도 165 [ 그림 3-2-162] 관리서버, 공통기반서버간 트래픽 경로 165 [ 그림 3-2-163] 서비스 진입 시나리오 168 [ 그림 3-2-164] 최종 데이터 맵 169 [ 그림 3-2-165] 메인페이지 169 [ 그림 3-2-166] 서브 페이지 171 [ 그림 3-2-167] 메인화면 키 정의 171 [ 그림 3-2-168] 콘텐츠 목록 공통 키 정의 172 [ 그림 3-2-169] 이럴땐 여기 메뉴 키 정의 172 [ 그림 3-2-170] 콘텐츠 상세화면 공통 키 정의 172 [ 그림 3-2-171] 동영상 보기 화면 공통 키 정의 172 [ 그림 3-2-172] 사진 보기 화면 공통 키 정의 172 [ 그림 3-2-173] 여행바구니 키 정의 173 [ 그림 3-2-174] 검색 키 정의 173 [ 그림 3-2-175] 내게 맞는 여행지 - 선택 진행 키 정의 173 [ 그림 3-2-176] 내게 맞는 여행지 - 결과화면 키 정의 173 [ 그림 3-2-177] 메인 시안 1, 2, 3 안 174 [ 그림 3-2-178] 서비스별 최종 디자인 175 [ 그림 3-2-179] 신규 구축 아키텍처 192 [ 그림 3-2-180] 양방향 콘텐츠 연계구성도 및 흐름도 195 [ 그림 3-2-181] 어플리케이션 및 M/W 간 인터페이스구현 196 [ 그림 3-2-182] 콘텐츠 시청 시 헤드엔드 -STB 간 데이터 플로우 197 [ 그림 3-2-183] 콘텐츠 등록 시스템 모듈 구성 198 - xix -

[ 그림 3-2-184]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험/ 검증 프로세스 201 [ 그림 3-2-185] 자체적 규격 구현 시험/ 검증 환경 201 [ 그림 3-2-186] 공통기반환경 연동/ 연계 구현 시험/ 검증 환경 205 [ 그림 3-2-187] 방통융합공공서비스 망구성도 209 [ 그림 3-4-1]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시범사업 메인 화면 266 [ 그림 3-4-2] 공공기관의 서비스 제공화면 267 [ 그림 3-4-3] 방통융합의 특징 270 [ 그림 3-4-4]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제공의 필요성 270 [ 그림 3-4-5] 공공서비스의 국가 전략산업과의 연관성 271 [ 그림 3-4-6] 공공서비스의 파급효과 272 [ 그림 3-4-7] 방송 산업 구도 273 [ 그림 3-4-8] 시대 문화적 변화 277 [ 그림 3-4-9] 방송/ 통신 패러다임의 변화 277 [ 그림 3-4-10] 일반적인 IPTV 계통도 281 [ 그림 3-4-11] 독립형 양방향 서비스 286 [ 그림 3-4-12] 연동형 양방향 서비스 286 [ 그림 3-4-13] 서비스 UI 에 따른 분류 287 [ 그림 3-4-14] 날씨 정보 서비스 289 [ 그림 3-4-15] 행정안전부 전자민원 G4C 289 [ 그림 3-4-16] 지역 홍보 서비스 - 제주시 290 [ 그림 3-4-17] 서울 서초구청 포털 291 [ 그림 3-4-18] 거래서비스 - 농수산쇼핑몰 291 [ 그림 3-4-19] 국가기록원 서비스 메인화면 292 [ 그림 3-4-20] 국가기록원 소개 메뉴 292 [ 그림 3-4-21] 대한 늬우스 메뉴 293 [ 그림 3-4-22] 시련과 영광 메뉴 293 [ 그림 3-4-23] 그 시절 내 고향 메뉴 294 [ 그림 3-4-24] 문화 타임머신 메뉴 294 [ 그림 3-4-25] 강원도청 메인 화면 295 [ 그림 3-4-26] 강원도 소개 메뉴 295 [ 그림 3-4-27] 관광정보 메뉴 296 [ 그림 3-4-28] 강원그린마켓 메뉴 296 [ 그림 3-4-29] 강원도청 농촌체험 서비스 페이지 296 [ 그림 3-4-30] 동계 올림픽 메뉴 297 [ 그림 3-4-31] 공통기반환경 구성도 예시 298 [ 그림 3-4-32] IPTV 사업자 직접 구성도 예시 298 [ 그림 3-4-33] Bypass( 지상파 형태) 모델( 예시) 299 [ 그림 3-4-34] 공공기관 자체 망을 가지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델( 예시) 300 [ 그림 3-4-35] 공통기반환경 구축 및 운영의 목표 300 - xx -

[ 그림 3-4-36] 시스템 개념도 301 [ 그림 3-4-37] 서비스 개발의 4 대 품질 기준 요소 304 [ 그림 3-4-38] 서비스 분석의 3 대 요소 304 [ 그림 3-4-39] 일 평균 방통융합 공공 서비스 시청시간 306 [ 그림 3-4-40] 방통융합 공공 서비스 시청 비중 307 [ 그림 3-4-41] 방통융합 공공 서비스 화면구성 만족도(N=185) 307 [ 그림 3-4-42] 방통융합 공공 서비스 화면구성 중요도 대비 만족도 308 [ 그림 3-4-43] 방통융합 공공 서비스 화면구성 선호사항 (N=185) 308 [ 그림 3-5-1] 방통융합 가치사슬 315 [ 그림 3-5-2] 방통융합 유형분류 316 [ 그림 3-5-3] 유료방송시장 구조 316 [ 그림 3-5-4] 사업자와 프로그램 공급자와의 서비스 시나리오 317 [ 그림 3-5-5] 기존 콘텐츠 유통과정 319 [ 그림 3-5-6] 콘텐츠 유통과정 변화 319 [ 그림 3-5-7] 콘텐츠 유통과정 향후 전망 319 [ 그림 3-5-8] 사업자 PP, CP 등과의 이해관계 325 [ 그림 3-5-9] 방통융합 서비스 사업자별 확보 채널 수 326 [ 그림 3-5-10] 종합유선방송사의 방송채널 운영현황 327 [ 그림 3-5-11] 콘텐츠 공급 시나리오 330 [ 그림 3-5-12] 시장의 확대를 위한 공생 구조 332 [ 그림 3-5-13] 방통융합 서비스의 핵심필요 요소( 보안) 333 [ 그림 3-5-14]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로드맵 334 [ 그림 5-1-1] 웹 2.0 기반의 IPTV 서비스 특징 352 [ 그림 5-1-2] IPTV 서비스를 위한 웹 2.0 요소 기술 352 [ 그림 5-1-3] 웹 2.0 기반 IPTV 서비스 방식에 따른 특징 353 [ 그림 5-4-1] QoS 두가지 관점 358 [ 그림 5-4-2] QoS 계층 359 [ 그림 5-4-3] 지연변이 계산 363 [ 그림 5-4-4] 전송 패킷 구조 364 [ 그림 5-5-1] G.711에서의 Ie 값 비례 관계 368 [ 그림 5-5-2] MOS Voice Quality Classes 370 [ 그림 5-5-3] E-model 에 의한 영향 371 [ 그림 5-5-4] 사용자 중심의 QoS 요구사항 맵핑 373 [ 그림 5-5-5] 사용자 중심의 성능 요구사항에 관한 모델 373 [ 그림 5-6-1] ISO/IEC 침입 탐지 기본 모델 375 [ 그림 5-6-2] 침입 탐지의 일반적 특성 377 - xxi -

제1장 과제의 개요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1. 연구 목적 가. 최종 목적 방송통신융합 환경 하에서의 보건복지, 교육, 공공정보, 민원처리 등 공공분야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기반환경 구축 및 선도 적용을 통해 공공분야 서비스 혁신 제고 IPTV기반으로 국민편의성 증대 및 -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표준 연동 방안, 데이터 처리 규격( 통신, 보안, 인증), 다매체 확장 등에 대한 표준플랫폼 개발 -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공통기반환경 구축을 통한 효율적 IPTV기반 공공서비스 제공 - 공공분야 서비스 모델개발 및 선도적용을 통하여 전체 공공분야에 IPTV 활성화 기여 - 방송통신융합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IPTV 서비스 개발방법론 및 가이드 개발 나. 당해연도 추진 방향 및 범위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제공 표준 플랫폼 구축 방안 마련 - IPTV 기반 양방향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표준플랫폼 규격을 수립하고, 표준플랫폼 규격을 시범적용하여 검증 기 개발된 - 공공기관의 방송통신융합 서비스 제공방향, 국내외 표준화 방향, 방송통신융합 사업자 시스템 구축방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립 방송통신융합 환경에 적합한 공공서비스 개발 및 선도 적용 - 정부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서비스 중 IPTV 기반 대국민 서비스의 수 있는 공공서비스 모델을 발굴하여 시범서비스 제공 활성화를 유도할 -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표준플랫폼의 개발방향에 부합하는 서비스 발굴 및 시스템 구축 - 시범서비스 이용기관을 대상으로 한 이용행태 분석을 통해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에 대한 수용도, 만족도, 개선방향 등을 도출하고, 향후 정책 지원방향을 마련

방송통신 융합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공통 기반환경 구축 - 정부부처 공공기관 통신사업자간 연동 및 공통 서비스 제공을 위한 공통기반구축 -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의 양방향 서비스 시범 제공을 위한 환경을 구축 운영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구축 적용을 위한 가이드 개발 및 방통융합 교육 - 정부 공공기관 등에서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할 때 필요한 시스템 구축 절차, 시스템 규격, 콘텐츠 방식, 사업자 연동방식 등에 대한 가이드를 개발 및 업무에 활용적용 할 수 있는 교육실시 2. 연구의 필요성 가. 공공분야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발굴 및 활성화 요구 공공서비스에 대한 양적질적 요구수준이 증대되고 있으며, TV 기반 보건의료, 양방향 교육, 민원 등 집에서도 쉽게 참여할 수 있는 양방향 공공서비스 제공 필요성 대두 국민에게 익숙한 TV 매체를 활용하여 노약자 등 디지털 소외계층보호, 이용편리성 증대, 정보 전달력향상, 집단 접근성 향상 등 대민서비스의 획기적인 개선 필요 나. 대국민 방송통신융합서비스를 위한 표준플랫폼 구축방안 개발로 중복투자 방지 방송통신융합 서비스 환경이 본격화됨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사업자의 출현과 투자가 이 루어지고 있으나 공공기관의 대국민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업자 및 부처의 표준화된 기술규격 정립 필요 다.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를 통한 관련 산업의 활성화 견인 정부, 민간 공동의 유기적 협력을 통해 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모색할 필요 - 세계 최고의 방송통신융합 서비스 구현을 위한 정부부처, 사업자, 시스템 구축업체 등 간 긴밀한 협력체계 마련을 통해 범정부 차원의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전략을 도출할 필요 - 공공분야의 방송 통신 융합서비스 도입 확산을 통해 IP 산업의 가치사슬( 콘텐츠/ 서비 스/ 네트워크/ 단말 기기산업) 전반의 선순환을 촉진할 필요 방송통신융합서비스의 핵심 원천기술 개발을 촉진하여 세계 방송 통신 융합시장 선점 과 국제적 기술경쟁력 확보에 기여

제2장 국내외 현황

제1절 국외 서비스 현황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국을 포함하여 전 세계 30여개국 200여개의 사업자가 실시간 IPTV를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서유럽의 통신사업자들은 잘 구축된 인터넷 망을 통하여 새로운 수입 모델을 제공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가입자 수를 보유 지역 < 표 2-1-1> 지역별 IPTV 가입자 수 현황 2008 1분기 2009 1분기 연평균 성장률 중남미 11,183 23,467 109.85% 동유럽 553,394 1,158,673 109.38% 북미 2,283,601 4,435,102 94.22% 동남아시아 2,086,000 3,990,000 91.28% 서유럽 7,799,449 11,375,200 45.85% 아시아태평양 2,619,035 3,005,015 14.74% 중동 및 아프리카 10,000 10,000 0% 자료 : Broadband Forum, 2009 전 세계 IPTV 가입자는 2,399만 가구이고 서유럽 지역은 전년대비 45% 증가한 1,137만 가구로 총 가입자의 약 50% 를 차지, 이는 서유럽의 경우 EU 체제하에서 단일 시장내에 국가별 콘텐츠가 자유롭게 수급될 수 있도록 한 조치에 기인 성장률은 중남미와 동유렵이 약 109% 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 유료TV 고객들의 IPTV 로의 전환 가입의 증가는 전화, 인터넷 등과의 결합상품을 통한 저 렴한 요금이 주된 원인으로 작용 서유럽 및 북미 가입자들은 VOD등 기본적인 기능 외에 TV 화면에 발신자표시, 멀티룸 DVR, 프로스 플랫폼 등 진화된 부가 서비스를 선호 해외 글로벌 IPTV 사업자 서비스 내용

< 표 2-1-2> 해외 국가별 서비스 주요내용 국 가 업체 주요 내용 프랑스 France Telecom Orange TV 는 양방향 채널을 통해 고객은 특별 이벤트( 예 : French Open, Tour de France) 를 시청할 수 있고 PC 또는 모바일 장치 상에 서도 감상할 수 있다. 이 채널은 양방향 채널로 시청자는 TV버튼을 사용해서 투표에 참여하고 다른 광경을 볼 수 있다. 또한 생중계 TV 로 2007년 9월 Orange Sports 서비스가 출시되었는데 기타 지상파 채널에서는 이를 볼 수 없는 것이 특징이다. Orange 는 프랑스, 스페 인, 영국에서도 IPTV 서비스를 제공한다. 미국 Verizon Verizon은 IPTV 의 기본기능 이외에 멀티룸 DVR, 위젯, 크로스플랫 폼 등의 고객 선호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09년 7 월, IPTV용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Widget Bazaar`를 오픈하면서 기존의 위젯 서비 스를 확대하면서 현재 SNS 서비스 Facebook과 마이크로 블로그 Twitter, 스포츠 전문 정보 ESPN, UCC Veoh, blip.tv, Dailymotion 의 위젯을 이용할 수 있다. 전문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 스폐인 Telefonica Imagenio 서비스는 CNN, BBC 등과 같은 영어 채널을 포함해서 1천 시간이 넘는 TV 시리즈물, 다큐멘터리, 콘서트, 비디오 클립, 뉴스 등 을 70 여개 채널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일부 채널의 경우 시청자는 스 페인어 더빙 버전 또는 원어 버전을 선택할 수 있다. 이탈리아 Telecom Italia Alice Home TV는 Sky, MTV, VH1 등을 포함해서 53개 채널을 제공 하고 있으며 VOD 와 같은 표준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독일 Deutsche Telekom T-Home Service는 민간 방송국은 물론 주요 방송네트워크를 포함한 60여개 채널을 통해 서비스 및 HD, VOD 및 TV 자료실 서비스도 제 공된다. T-Home Service 는 전화, 인터넷 등을 포함한 패키지 상품의 일부로 제공되고 있다. 영국 British Telecom BT 는 혼합형 IPTV 서비스 를 제공하는데, 정규 TV채널들은 공중파를 통해 무료로 제공하고 고객주문에 따라BT Vision Service는 40개의 표 준 채널과 더불어 주문형 영화대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일본 BBTV BBTV는 이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따라 베이직 채널 서비스 혹은 VOD 서비스 중에 하나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통 케이블 TV 서비스 나 IPTV 서비스의 경우 월 고정 수입을 올리기 위해 베이직 채널과 같은 다채널 서비스를 의무적으로 가입하게 되는 데 소프트뱅크는 이 러한 의무적 가입 이 없는 것이다.

제2절 국내 서비스 현황 국내에는 메가TV(KT), 브로드앤TV(SK 브로드밴드), mylgtv(lg 데이콤) 등 3개 플랫폼 사업 자가 존재하고 적극적인 마케팅을 통해 점차 국내 디지털 방송시장에서 비중 확대 IPTV는 시장규모 및 가입자 규모면에서 타 매체와 비교하여 가장 높은 성장 [ 그림 2-2-1] IPTV 가입자 및 매출액 규모 각 사업자별 IPTV 서비스의 내용은 아래와 같음 < 표 2-2-1> IPTV 가입자 및 매출액 규모 플랫폼 메가TV 브로드앤 TV mylgtv 서비스 특징 KT의 인터넷 서비스인 메가패스를 통한 서비스만 가능 현재 스트리밍 방식인 I-cod 서비스와 다운로드 방식인 DnP 병행 차별화된 부가 서비스와 메가스터디 등 강력한 교육콘텐츠가 강점 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한 서비스 이용 가능 T-브로드앤 -브로드앤 TVTPS 결합상품을 출시하면서 공동 마케팅 진행 파워콤 Xpeed 라인을 통한 서비스만 가능 HD 급 콘텐츠 강화, 홈 에듀테인먼트 학습 가능 대용량 방송에 가장 적합한 광대역 가입자망 기반 서비스 자료: 각 플랫폼 사업자 별 보도자료 비교 분석, 2008

o IPTV 시장은 09년 전체 유료방송 시장의 30.4% 를 차지하고 아날로그 방송의 송출이 중단 되는 12년에는 41.7% 의 시장을 확보하여 주요 방송 매체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 < 표 2-2-2> IPTV 가입자 및 매출액 규모 자료: Ovum, 2008 o IPTV 는 서비스를 개시한지 약10개월만에 100만을 달성하였으며 이는 타 매체와 비교하여 가장 빠른 가입자 유치 기록 < 표 2-2-3> 매체별 100만 가입자 유치 기간 IPTV 케이블TV 위성방송 위성DMB 10개월 4년 5개월 1년 9개월 1년 8개월

제3절 국내 공공서비스 현황 08년부터 IPTV 공공서비스를 개발하여 보급 - 08년에는 국가기록원, 강원도청 등 9개 기관의 공공서비스를 발굴하여 600여 가구를 대상으로 시범서비스 제공(단순 정보제공형 서비스) < 표 2-3-1> 2008년 공공서비스 발굴 내용 KT 컨소시엄 컨소시엄 SK브로드밴드컨소 시엄 LG데이콤 컨소시엄 참여사/ 기관 주요서비스 국가기록원, 대전시립합창단, 강원도청, KTH, 큐빅스 서울/ 경기/ 충북/ 충남 교육청, 하나로 미디어, 현대디지탈테크, 티비스톰 대구광역시청, 충북지식산업진흥원 다시보는 대한뉴스, 열린문화공 연, Green 강원마켓 초중고 학습서비스 대구, 충북 지역정보 ( 관광, 특산물) 계 9 개 공공기관, 8개 업체 - 09년도에는 방통융합 기반 양방향 공공서비스(국방, 농림수산정보, 보건의료, 관광정보) 서비스 등 4 개 모델 발굴 및 교통, 민원 등 추가 모델 발굴 추진 서비스 병영 보건의료 농림수산 관광 < 표 2-3-2> 2009년 공공서비스 발굴 내용 기관/ 업체 주요서비스 KT( 주관), 국방부, 보라존, 큐빅스 LG 데이콤( 주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KT( 주관), 농림수산정보센 터, 팜즈, 큐빅스 SKB( 주관), 한국관광공사, 브로드밴드미디어, 유라클 계 4 개 공공기관, 9개 업체 o 영상면회서비스 o 국방 CUG 서비스 o 영상 건강상담( 고객- 상담사) o 질병/ 병원 정보 o 농수산물 유통(T- 커머스) o 농산물 정보 제공, 농업교육 o 여행지 정보제공 및 선호도 평가 o IPTV를 활용하여 저소득층을 위한 공부방을 설치 운영 - 저소득 소외계층의 아동과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IPTV를 통한 양질의 교육서비스 제공을 통해 교육격차 해소

관악구 봉천동 희망오름 지역아동센터(2.18, 3 사), 강남구 수서동 명화사회복지관(4.14, SKBB), 광진구 중곡동 경희지역아동센터(4.15, KT), 성북구 장위지역아동센터(8.6, LGD) 등 4 개 개소, 경기도 부천심곡지역아동센터 등 15 개 개소(8.24, KT), 충남 금산군 지역아동센터 5 개(10.14, KT), 부산시 사상구 백양지역아동센터 등 11개 개소(11.16, KT) 총 35개 개소 - IPTV 설치 및 HDTV 셋톱박스 제공, 서비스 이용료 지원 지역아동센터 : 아동의 건전한 육성을 위해 종합적인 복지서비스 제공( 복지부, 지자체에 신고하여 설립, 전국 3,013 개소) 상근자 2~3 명, 자원봉사자 3 명, 복지교사 1~2명 상주 IPTV 교육프로그램 : 초등 중등 영어 및 수학,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영화 IPTV 학습교사 : 대학생 및 졸업생 1~2 명(50 만원/ 시간당 2 만원, 월 25 시간, 6 개월) IPTV 기업후원 : 삼성전자 100 대, LG전자100대 TV 후원( 09.8.19) o 당진군, 제주시, 강남구청, 강서구청 등 지자체에서도 방통융합 매체(IPTV, DCATV) 를 활 용하여 지역밀착형 공공서비스 및 민원 행정서비스를 제공 제4절 국내외 기술 및 표준화 현황 o 국외의 경우, IPTV Focus Group은 2006년 7월 NGN -GSI(Global Standard Initiative) 회의 부터 활동을 시작하여, 기본적인 서비스 시나리오, 정책 및 표준화 방향, IP 네트워크 기능구 조, 시스템 운용 및 과금/ 인증, 응용서비스 및 코덱, 구현 방법과 QoS에 대한 실질적 표준화 작업 중 - IPTV 표준화 주요 현안 이슈로는 기존 NGN 표준화 활동의 연장선에서 논의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 IPTV 정의와 범위 및 확장성을 고려한 NGN 에서의 IPTV 서비스에 관한 요구사항 [Q.2/13] IPTV 를 위한 단말, 에지 노드 및 서버 등의 표준 인터페이스 정의를 포함한 네트워크와 서비스 구조[Q3./13] ITU-T NGN 및 3GPP 기반의 IMS[Q8/13] OC, AP7), CabelLabs 기반의 Cable, IETF 기반의 인터넷 등 각 프로토콜 절차와 관련한 서비스 시나리오 셀룰러, 케이블 및 인터넷 기반 사업자 전개 전략에 따른 NGN 기반 IPTV 구축/ 운영 NGN에서의 IPTV의 기능 및 구조적인 표준과 실질적인 구현과의 관계 NGN에서 IPTV에 관한 보안 및 과금 방법

< 표 2-4-1> IPTV 기술 분야별 표준화 단체 분야 기술 표준화 단체 엑세스 xdsl, FTTH IEEE, ITU-T, DSL FORUM 코덱 MPEG-2, MPEG-4, H.264, VC1. MPEG, ITU-T SVC 전송 MPEG-2 TS, ISMA, Multicast(IGMP, MPEG, ISMA, IETF, ITU-T PIM, QoS) 미들웨어 ACAP, OCAP, MHP ATSC, CABLE LABS, DVB 콘텐츠 보호 CAS, DRM Open Cable, ATSC, MPEG, TV-Anytime, ISMA, OMA 국내의 경우, 위성(SkyLife), 케이블방송(CJ CableNet, C&M, KDMC 등) 과 지상파 모두 데이 터 방송을 상용화 하였으며, IPTV 사업자들도 ACAP을 기반으로 하여 시범서비스를 2006 년 11 월에 수행하였으며, 다양한 플랫폼간의 경쟁으로 다양한 플랫폼의 킬러 콘텐츠를 추 진하려는 경향 - 전반적 IPTV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국내 IPTV 표준 제정 관련, 2006년 TTA를 중심으로 IPTV프로젝트 그룹을 결성하여 국내 및 국제표준화를 진행 중 - 국내 IPTV 단체 표준은 TTA 의 프로젝트그룹(PG219) 과 동 그룹산하 5 개 실무반(WG) 에서 표준화를 추진중임 [ 그림 2-4-1] IPTV 표준화를 위한 국내외 협력체제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1절 2009 년도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표준플랫폼규격 연구 1. 방통융합 서비스 기술/ 표준화 및 업체 동향 조사/ 분석 가. 방송 통신 융합서비스 관련 국내 외 기술개발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 (1) 개요 방통융합 기술의 효과적인 조사 분석을 위하여, 방통융합의 콘텐츠-플랫폼-네트워크-단말 의 전 가치사슬에 걸쳐서 여러 방통융합 서비스 간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능요소를 정리 하고, 이 기능요소별로 기술내용을 조사 정리하였다. 필요에 따라 동일한 기능요소에 해당하 는 서비스 간의 차이를 정리하여 기술의 분석으로 갈음하였다. [ 그림 3-1-1] 방통융합 기능 요소 출처: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활성화 환경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8.12) 기능요소는 크게 콘텐츠(Contents) 분야, 플랫폼(Platform) 분야, 네트워크(Network) 분야, 단말(Terminal) 분야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으며, 각각의 항목은 방통융합 서비스인 IPTV, 디지털 CATV, 위성방송에 모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항목이다. (2) 방통융합 공공서비스를 위한 주요 기술 < 표 3-1-1> 의 기능요소 중에서 공공서비스 측면에서의 검토해 볼 수 있는 기술로는 사용자 인증기술, DRM과 CAS 를 통한 보안기술, A/V 압축, 미들웨어, EPG, QoS 기술 등이 있다.

< 표 3-1-1> 방통융합 기능요소 설명 구분 기능요소 기능 설명 콘텐츠 플랫폼 네트워크 단말 콘텐츠 제작 콘텐츠 관리 데이터 처리 운영 시스템 송출 시스템 베이스밴드 시스템 데이터방송 시스템 압축/ 다중화 시스템 VoD EPG 리턴패스 시스템 가입 관리 수신제한/ 콘텐츠 보호 시스템 네트워크 단말(STB) 미들웨어 방송을 위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기능으로 영상 콘텐츠와 데이터 콘텐츠가 있다. 방송 콘텐츠의 저장/ 관리 및 플랫폼으로의 전송을 위한 기능이다. 양방향 서비스에서 요청을 처리하는 기능이다. 아래 리턴패스 시스템에서 해당 요청사항을 처리하지 않고 중계만 하는 경우에 데이터 처리를 담당하게 한다. 기능은 아래 리턴패스와 유사하다. 방송 콘텐츠의 관리와 방송 스케줄을 작성하는 등 방송의 전반적인 운영 기능을 담당한다. 방송 스케줄에 따라 송출하는 기능으로 대부분 자동화되어 있다. 기본적인 영상신호를 수집 / 생성 / 가공하는 기능이다. 여기에서 영상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데이터 콘텐츠의 관리와 스케줄 작성, 데이터 및 프로그램 정보의 부호화를 담당한다. 영상신호를 부호화하고, 이를 데이터 부호와 결합하여 송출하는 기능이다. 서비스 방식에 따라 송출방식에 차이가 있다. 실시간 방송이 아닌 사용자 요청기반으로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이다.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안내정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기능이다. 양방향 서비스에서 단말에서의 요청을 처리하는 기능이다. 때로는 단순히 요청을 중계하는 기능만 하기도 한다. 서비스에 따라 리턴을 받는 네트워크가 달라지기도 한다. 가입자의 가입/ 해지와 과금을 하는 기능이다. 방송 콘텐츠의 수신을 제한하고, 콘텐츠를 불법복제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이다. 방송을 전송하는 기능으로써 위성/ 지상/ 케이블/IP 망 등이 해당된다. 기본적으로 방송을 수신하고 TV에 보여주는 기능을 하며, 녹화 등의 부가기능이 있을 수 있다. 단말 상에서 채널/ 서비스 선택, 방송표시 제어 등의 기능을 담당하며, 위성/ 지상/ 케이블/IPTV 등의 표준에서 정의한 내용을 구현하고 있다.

( 가) 사용자 인증기술 방통융합 공공서비스가 활성화 되면 서비스 유형에 따라 사용자의 신분 확인이 필요하다. 즉 민원서류 발급과 같은 사용자 인증기술이 필요하며, 공개 네트워크상에서 필요한 정보보호 요구 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술이 공개키 기반인증(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기술이다. 1 ( 나) 보안기술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가치 사슬에서 콘텐츠를 안전하게 유통하고 보호하는 정보보호 기술 이다. 디지털 워터마킹(watermarking), 디지털 핑거프린트(fingerprinting), 콘텐츠 인식, 암호 기반 DRM 등이 있다. 2 CAS(Conditional Access System) CAS의 경우는 유료TV 시스템에서 자격을 가진 가입자만이 해당 채널을 시청할 수 있도 록 하는 콘텐츠 보안기술이다. 일반적으로 CAS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 접근제어 기능( 서비스 자격부여, 서비스 만료 및 갱신, 서비스 패키징, 프로파일 구축) 및 PPV(Pay Per View) 기능, 암호화 레벨 설정 기능 등을 제공한다. ( 다) A/V 압축 기술 현재 디지털 방송에서 사용되고 있는 표준 압축 기술은 H.261, MPEG-1, MPEG-2, H.263, MPEG-4, WMT(Windows Media Technology), H.264 등이 있으며, 압축 효율은 H.264 가장 좋다. ( 라) 미들웨어 기술 데이터방송 미들웨어는 방송망을 통해 전달되는 여러 소프트웨어에 일관된 API를 제공함으 로써 각종 응용 소프트웨어들이 동작할 수 있는 공통된 운용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두 개 이상의 시스템 혹은 프로그램 사이에서 둘 사이를 중재하는 미들웨어는 잘 정의된 API 를 이용해 통신 및 상호작동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로써, 플랫폼과 운영체제, 프 로토콜 간, 제품 간의 차이점을 숨겨준다. ( 마) EPG 기술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시스템은 방통융합 서비스 상에서 이용자에게 프로그램 선 택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해 준다. 해당 시스템은 모자이크 시스템, PSI/SI 시스템, EPG 데이 터로 구성 되어있다. 현재 PSI/SI 시스템 대신 DVB-IPTV 규격에서 적용되고 있는 SD&S (Service Discovery & Selection) 에 대한 적용이 IPTV 있다. 방송 사업자들의 내부 채택 움직임이 IPTV ( 바) 네트워크 기술(QoS) 서비스는 고품질의 콘텐츠가 IP망을 통하여 전달되는 실시간 방송의 스트리밍형 트래 픽의 성질을 갖는다. 또한 서비스 특성상 사용자가 대형 화면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서비스 를 시청하므로 패킷 손실 및 지연을 가입자가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QoS와 QoE 기술을 기반으로 서비스의 품질 수준을 사용자에게 보장해 줄 필요가 있다.

( 사) 기타 항목 1 네트워크 보안 방통융합 공공서비스를 위한 보안 기술 중 네트워크 측면에서 보안 요소를 생각해보면 네 트워크 망 자체의 보안과 관련된 기술을 살펴 볼 수 있다. 현재 방통융합 사업자별로 VPN, 방화벽 등 네트워크 망 자체의 보안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네트워크 보안이란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 체제, 서버, 응용 프로그램 등 의 취약점을 이용한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보안을 위해서 방화벽을 사용한다. 방화벽은 네트워크 간의 보안을 담당하기 위해 특정 네트워크를 격리시키는데 사용되는 시 스템이다. 외부로부터 불법적인 침입이나 내부로부터의 불법적인 정보 유출을 방지하고, 네 트워크 출입로를 단일화하여 보안 범위를 좁히고 내부 네트워크로 들어오는 데이터는 정확 히 체크하여 인증된 데이터만 통과시킨다. 방화벽은 외부로부터의 공격을 막는 역할만 하기 때문에 내부에서 행해지는 해킹 행위에는 방화벽 기능이 사용되지 못한다. 또한 방화벽에는 역추적 기능이 있어서 어떠한 외부 네트워크 접근이라도 그 흔적을 찾아 역추적이 가능하다. 2 리모컨 기술 방통융합 서비스를 실시할 경우, 사용자는 서비스를 선택하거나 양방향 서비스의 조작을 위 해 리모컨을 사용하게 된다. 기존 단순 채널 선택과 TV 제어( 예를 들어 음향 조절) 에 최적 화 되어 있는 리모컨을 단순하게 리모컨 키만을 추가하여 양방향 콘텐츠를 사용하는 것은 부족함과 불편함이 존재 한다. 이미 닌텐도에서 판매 중인 TV 용 게임기인 Wii 에 적용된 Wiimote 리모컨이 양방향 콘텐츠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 에 최근 리모컨 기술은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사용자의 실제 활용도가 높은 서비스를 중심으로 버튼의 개수와 크기를 줄이고 기능을 간 결하게 한 리모컨은 물론, 추가적으로 기존의 단순 버튼 나열식 리모컨 형태에서 벗어나 마 우스에 적용되는 볼(ball) 을 채용한 볼 리모컨, 동작을 인식하는 매직 모션 리모컨 등 사용 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리모컨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2009년 국내 양산형 TV에서도 LG 전자가 최초로 모션 인식 리모컨을 번들 상품으로 제공하고 있다. (3) 방통융합 서비스의 발전 방향 IPTV 서비스 기술 발전은 IP 기반 유무선 통합 망에서 사용 환경에 구애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어떤 단말에서도 끊김 없이 최적의 품질로 생성, 소비할 수 있는 차세대 IPTV 핵 심 기술 및 융합 기술이 향후 기수로 개발되고 있다. 통신과 결합된 IPTV 1.0 에서 개방화오픈 플랫폼 이동성 측면이 부가된 IPTV 2.0으로 진화 가 예상된다.

출처: IPTV 국내외 동향과 전망, ATLAS 리서치앤컨설팅 (2009.6) [ 그림 3-1-2] IPTV 기술 발전 단계 현재 통신 사업자들은 QoS가 보장되는 폐쇄네트워크에서 IPTV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개방형 비즈니스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IPTV 2.0 형태가 등장할 것이다. IPTV가 인터넷의 개방 환경과 결합 수준이 높아질수록 IPTV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나 비즈 니스 모델이 현재 PC 기반의 인터넷에 등장하는 웹2.0과 유사한 IPTV2.0으로 진화할 것이 다. 결국 개인 미디어 네트워킹과 이동성을 강조한 모바일 IPTV 로 진화할 것이다. < 표 3-1-2> IPTV 발전 방향 구분 IPTV 1.0 IPTV 2.0 서비스 예 사용자 관점 유선기반의 고품질 인터넷 TV IP 환경에서 보는 기존 TV, VOD 거실에서 보는 고품질 인터넷 TV 사업자와의 계약 기반 사업자 관점 Telco 중심의 TV 인터넷 모바일 IPTV 개인미디어 네트워킹 언제, 어디서나 임의의 IP 단말을 이용해 이동 중에 임의의 IP 콘텐츠를 최적의 품질로 끊임없이 이용. 개방형 접속 다양한 사업자 존재(Telco, ISP, CP 등) 단일 소스를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 단말 고해상도 TV + 셋톱박스, PC 고정형 및 휴대 단말 콘텐츠 네트워킹 인프라 양질의 다양한 콘텐츠 개인용 비디오 녹화 맞춤형 콘텐츠 프로슈머 콘텐츠 상황인식 기반 서비스/ 콘텐츠 개인화 유선기반 광대역/ 고품질 네트워크 유무선 통합 u-인프라 서비스 플랫폼 사업자의 폐쇄형 플랫폼 개방형 플랫폼 < 출처: KBS 기술연구소>

이와 더불어 정부 연구 기관, 방송사업자와 관련 업체에서 개방형 서비스에 대한 자발적인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에서는 개방형 플랫폼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방송 사업자들은 새로운 수익성 있는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위해 여러 사례를 벤치 마킹하는 과정 중에 개방형 서비스에 대해 인지하고 분석 및 적용을 진행 중에 있다. 이는 폐쇄네트워크 환경에서 새로운 반개방형 비즈니스모델을 선보인 Apple 社 의 itunes와 AppStore의 영향과 미국 영향으로 받아들여진다. TV 시장에서 활성화된 단말 장치의 소매시장 판매 현황에 대한 이에 따라서 방송 사업자에 독립적인 단말 장치인 개방형 플랫폼 제공과 OSMU가 가능한 다양한 콘텐츠의 제공함으로써 소매시장의 활성화와 협력 개발 업체(third party) 에서는 다 매체에서 활용 가능한 콘텐츠로 인해 수익이 증대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방송 사업자 에 독립적인 단말 장치를 통해 보다 많은 방송 사업자를 선택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질 좋 은 콘텐츠를 이용하여 다채로운 방통융합 서비스를 통해 보다 윤택한 생활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내 시장에서 불법 복제로 인해 활성화 되지 않았던 S/W 시장의 변화도 예 측된다. 나. 국내 외 방통융합 서비스 표준화 동향 심층 조사 분석 및 사업자, 제조업체별 대응 방향 조사 (1) 표준화 기구 최근 국내외적으로 방통융합 서비스 기술 및 표준화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미 IPTV 서비스가 다양한 부가 서비스와 함께 제공되고 있고, 국제적으로 관 련 표준기술 선점을 위한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무선이동 통신망에서 IPTV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모바일 IPTV 서비스 기술에 대한 논의가 한창 진행 중이다. 이에 방통융합의 대표적인 서비스인 IPTV, 디지털 CATV(DCATV), 모바일 화 현황을 조사하였다. IPTV 서비스를 위해 요구되는 표준기술들과 각 주요 기술의 표준 방통융합 서비스는 다양한 방송 및 서비스의 기술이 접목되어 있으며, < 표 3-1-3> 에서 보 는 것과 같이 국내외 다수의 공인사설 표준화 기구를 통해서 기술별 표준화 연구 및 표준 화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 표 3-1-3> 주요 기술별 표준화 기구 구분 해당기술 관련 표준화 기구 콘텐츠 제작 및 관리 플랫폼 기술 (Head-End) 네트워크 기술 단말 기술 Service/Apps Metadata Authentication Content Protection EPG/ESG Middleware A/V Coding QoS QoE Multicast Access Network Protocol Device Mgmt Home Network DVB, IPDR.org, ITU-T, OMA, TV-Anytime ATSC, CableLabs, TV-Anytime, OMA DVB, IPDR.org, OMA ATIS IIF, ATSC, DVB, ISMA, ISO/IEC MPEG, ITU-T, OMA, TV-Anytime ATSC, DVB, OMA ATSC, CableLabs, DVB, ISO/IEC MPEG ISO/IEC MPEG, ITU-T ATIS IIF, DSL Forum, IETF, TV-Anytime ATIS IIF, DSL Forum, ISMA, OMA ATSC, CableLabs, DSL Forum, DVB, IETF, ITU-T CableLabs, DSL Forum, DVB, ITU-T, IEEE CableLabs, DSL Forum, DVB, IETF CableLabs, DLNA, DSL Forum, ITU-T, OMA CableLabs, DLNA, DSL Forum, DVB, ITU-T (2) 사업자 및 제조업체 별 표준화 대응 현황 방통융합 서비스 산업에 참여 중인 주요 사업자 및 제조업체와의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통 하여 조사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 표 3-1-4> IPTV 사업자 별 표준화 대응 현황 구분 KT SK브로드밴드 LG데이콤 전담반 전담부서 운영 전담자 운영 전담자 운영 표준화기 구 참여 직접참여: TTA, ITU-T 직접참여: ITU-T 직접참여: TTA 표준화에 대한 대응방향 표준화 마련을 위한 담당자 운영 및 자사의 시스템 환경이 반영된 표준이 제정되도록 지원. 국내 표준에 적극적인 당사 기술의 반영을 통한 글로벌화 전략을 추구함. TTA를 통한 표준화 참석 및 기고문 제출 표준화를 통한 애플리케이션 개발환경을 통일하여 공공서비스 지원 표준화에 대한 콘텐츠 호환성 및 단말 사업자 특성이 존중되지 않는 상황, 표준화가 선행이 되지 사업자의 특성을 무시한 무리한 통일 규격을 만들고자 함. 시간을 두고 표준규격 마련이 쟁점/ 이슈 이동성 확보 않고 기술( 사업) 이 먼저 필요하며, 표준 적용을 위해서는 사항 선도되는 현상 일부 비용을 정부가 보조해 주어야 함.

< 표 3-1-5> 케이블 사업자 별 표준화 대응 현황 구분 CJ헬로비전 씨앤앰 티브로드 전담반 전담자 운영 전담자 운영 전담자 운영 표준화기 구 참여 직접참여: KLabs 간접참여: TTA, ITU-T SG-9, CableLabs 직접참여: KLabs 간접참여: TTA, ITU-T SG-9 직접참여: KLabs 간접참여: TTA, CableLabs, ITU-T SG-9 한국분과 표준화를 하나의 사업자가 주도하기보다는 가급적이면 많은 사업자가 참여하여 공통분모를 찾아내어 KLabs를 통하여 사업자 표준화에 대한 대응방향 TTA에서 진행 중인 표준화 내용에 대해서 인지하고 있지 못하고 있음. KLabs를 통한 사업자 표준단체에 주력으로 참여하고 있다. TTA나 해외 표준은 기술정보를 참조하는 수준이다. 표준을 제정하고, 필요 시 제정된 사업자 표준을 TTA 혹은 방송통신위원회와 협의하여 정보통신 단체 표준 혹은 국가 표준으로 상정하는 과정으로 진행한다. 물론 사업자 표준 제정 시에는 관련 학계, 제조사, 솔루션 개발사 등이 함께 참여한다. 정부 표준이 강제적 요구로 받아들 수 있음. 부가서비스를 OCAP이 아니어도 다른 방법으로 할 수 있는데 표준 표준화에 대한 쟁점/ 이슈 사항 표준이 사업자의 사업범위나 서비스를 제한하는 방향보다는 사업의 경쟁력을 위해서 서비스 사업자의 자율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되어야 한다. 준수에 대한 강제성으로 다양한 사업자의 서비스 요구사항을 반영하기 힘듦. 매체 별 특성을 고려해야 하는데 원칙만으로는 사업자가 감내하기는 힘들다. 개별 사업자에 대한 현재 표준화 진행 중인 XCAS 1 와 통합 플랫폼( 모든 케이블 SO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있다. STB) 에 관심이 지원보다는 KLabs에 대한 지원을 함으로써 개별 사업자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면 한다. (3) 시사점 사업자 및 제조업체들에 대한 설문조사 및 인터뷰 결과는 사업자와 제조업체 별로 각각의 입장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TTA 표준화 과정에서 국내 주요 사업자 및 방송사의 적 극적인 참여 없이 이루어지고 있어서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과 진행속도 또한 느리 다는 입장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표준화위원회의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1 XCAS - exchangeable CAS, 교체형 수신제한 시스템. 국내 기술로 개발된 다운로드형 수신제한 시스템이다.

표준이 사업자의 사업범위나 서비스를 제한하는 방향보다는 사업의 경쟁력을 위해서 서비 스 사업자의 자율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되어야 한다. 하지만, 방송통신사업은 플랫폼, 네트워크 사업에서 서비스 사업으로 전환을 해야 하는데 사업자별로 콘텐츠, 플랫폼, STB, 미들웨어 등을 공통사용하기 위한 표준을 한다는 것은 방 송통신사업자 입장에서 보면 무의미할 수 있다. 모든 방송통신사업자가 서비스 차별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를 하려고 하는데 모두 같이 사 용할 수 있게 표준화 하자고 한다면 어쩔 수 없이 따라오는 것이지 적극적이지 않을 것으 로 예상된다. 다. 국내 외 방통융합 서비스 사업자별 추진현황, 기술 수준, 향후 서비스 전략 등 심층 조사 분석 (1) 방통융합 서비스 사업자 현황 ( 가) 국내 방통융합 사업자 현황 국내 방통융합 서비스에 참여하고 있는 업체는 크게 IPTV 사업자, 케이블 사업자, 위성방 송 사업자, 지상파 방송 사업자 등 매우 다양한 사업군이 참여하여 경쟁관계를 형성하고 있 다. < 표 3-1-6> 은 국내 방통융합 사업자 현황을 요약하였다. < 표 3-1-6> 국내 사업자 현황 요약 구분 주요 업체 서비스명 가입자 수( 명) 소계( 명) KT 쿡TV(QOOK TV) 84만1천 IPTV 사업자2 SK브로드밴드 브로드앤TV (broad&tv) 34만2천 LG데이콤 mylgtv 31만 149만4천 (VOD 포함 전체: 226 만) CJ헬로비전 Hello TV 76만4천 디지털 케이블 사업자 3 위성방송 사업자 4 씨앤앰 씨앤앰 DV 68만8천 티브로드 아이디지털 24만9천 HCN 하이로드 디지털 24만6천 기타 SO 한국디지털위성방송 ( 스카이라이프) 지상파방송 사업자 지상파 3사 iskytouch MMS 5 - 다채널 서비스 시험 중 48만6천 243만3천 246만 246만 2 한국디지털미디어산업협회 보도자료, 실시간 IPTV 가입자 수 통계임. 2009년 12월 8일 3 한국케이블 TV 방송협회, 디지털 가입 가구수 통계임. 2009년 8월 4 매일경제 기사(2009.12.15)

( 나) 해외 방통융합 사업자 현황 방통융합의 핵심 서비스인 며, 현재 유럽이 가장 많은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다. IPTV의 경우 해외 각국에서 점진적으로 보급이 늘어나고 있으 < 표 3-1-7> 해외 IPTV 사업자 현황 순위 사업자 국가 IPTV 가입자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자사 IPTV 보급률 1 프리텔레콤 프랑스 217 277 78.4% 2 프랑스텔레콤 프랑스 98 690 14.1% 3 PCCW 홍콩 82 118 69.3% 4 네프세게텔 프랑스 60 312 19.2% 5 텔레포니카 스페인 47 434 10.8% 6 청화텔레콤 대만 36 407 8.8% 7 차이나텔레콤 중국 31 3510 0.9% 8 벨가콤 벨기에 25 120 20.8% 9 텔리아소네라 스웨덴 22 103 21.5% 10 패스트웹 이탈리아 17 125 13.6% 출처: Light Reading, 2008.01. 재편집 ( 단위: 만 명) IPTV 사업자 이외에도 DCATV, 모바일 TV, 위성방송 사업자들을 중심으로 방통융합 서비 스를 하고 있거나 준비되고 있다. < 표 3-1-8> 해외 주요 방송 사업자 구분 DCATV 모바일 TV 위성방송 주요 업체명 미국 - Time Warner, Comcast, Cablevision, Cox, Charter 영국 - NTL, Telewest 프랑스 - France Telecom Cable, Lyonnaise Cable, Nummericable 스페인 - ONO 일본 - J:COM 미국 - Sprint, AT&T Mobility, Alltel, Verizon, XM Radio, Sirius, Worldspace 캐나다 - Bell Canada, Rogers Wireless, TELUS Mobility 영국 - Orange 프랑스 - SFR, Orange 독일 - Vodafone 일본 - NTT DoCoMo, KDDI, Softbank 필리핀 - Smart Communications, 360media Corp. 미국 - DirecTV, Echostar, Primestar, USSB 영국 - BSkyB 프랑스 - Canal Satellite Numerique(CSN), Television Par Satellite(TPS) 일본 - SkyPerfectTV 출처: KBI, 디지털케이블방송과 IPTV 서비스의 동향과 분석(2007.9), 세계 지역별 Mobile TV 기술표준화 동향( 삼성경제연구소) 재구성 5 MMS - Multi Mode Service

라. 방통융합 서비스 관련 국내외 주요 장비 및 솔루션 업체 동향 조사 (1) 시스템 별 주요 업체 방통융합 장비 및 솔루션을 기능 요소 별 시스템으로 구분해, 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각 시스템 별 국내외 주요 업 < 표 3-1-9> 시스템 별 주요 업체 시스템 국내업체 해외업체 콘텐츠 제작 알티캐스트 Osmosys 콘텐츠 관리 베이스밴드 시스템 씨아이에스테크놀로지(CIS Technology Co., Ltd.) SeaChange Sony 압축다중화 시스템 온타임텍 Harmonic 운영 시스템 씨아이에스테크놀로지 Lysis 데이터방송 시스템 알티캐스트, TVStorm Osmosys 수신제한/ 콘텐츠보호 시스템 코어트러스트 NDS VOD Castis SeaChange 가입관리(Provisioning) 유라클 Conexon 자동송출 시스템(APC) Castis SeaChange EPG 알티캐스트 ( 주) 이피지 단말 STB 삼성전자, LG 전자, 휴맥스, 셀런, 가온미디어 Motorola 미들웨어 알티캐스트, TVStorm, LG전자 미네르바

< 표 3-1-10> 주요 장비 업체 목록 업체명 관련 장비 및 솔루션 회사 소개 알티캐스트 콘텐츠 제작 데이터방송 시스템 EPG 미들웨어 데이터방송 서비스에서부터 송출 시스템, 수신기 미들웨어, 양방향 리턴패스 시스템까지 itv 플랫폼의 토털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사업자의 상용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시간적/ 경제적 투자를 최소화하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SeaChange 콘텐츠 관리 전 세계 7000여 곳 이상에 MPEG-2 기술을 기반으로 VOD 자동송출 시스템(APC) 하는 디지털 비디오 서버 플랫폼을 설치하였으며, 현재 4000 채널 이상이 방송 중에 있는 세계 최대 VOD서버 공급 업체이다. 씨아이에스테크 놀로지 Sony Harmonic 온타임텍 와이더맥스 Lysis 콘텐츠 관리 운영 시스템 베이스밴드 시스템 압축다중화 시스템 압축다중화 시스템 압축다중화 시스템 운영 시스템 방송 통신 IT 융합의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에 있어서 베이스밴드와 브로드밴드, 위성과 모바일, 인터랙티브 미디어 서비스 등 다양한 플랫폼과 뉴 미디어 산업을 지원하는 차세대 토털 디지털 미디어 솔루션을 세계 시장에 개발 공급하고 있다. AV(Audio-Vidio) 분야에서 그리고 최근에는 진출하여 IT분야에까지 AV/IT분야 모두에서 공히 최고의 브랜드가치를 갖는 최고의 전자회사로서 각종 최첨단의 전자제품과 컴퓨터를 생산하고 있다. 국내 방송사에서 쓰는 방송제작용 고급 카메라의 베이스밴드 시스템 또한 미국 99% 가 소니 제품이다. Sony 가 독점하고 있다. Silicon Valley 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전 세계 압축/ 다중화 시스템의 선두업체로서, 지난 1999년 압축/ 다중화 시스템 분야의 확고한 기술력을 갖춘 Divicom 사와의 합병을 통해 MPEG-2 인코딩에서 광전송 네트워크까지의 전반적인 디지털 방송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온타임텍은 2001년 6월 SK텔레콤의 CDMA 1X 무선망과 Samsung X-200 동영상 단말기를 이용하여 초당 최고 30프레임까지 지원되는 MPEG-4 동영상 서비스 와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외 IMT-2000 (EV-DO 및 WCDMA) 사업자의 무선 멀티미디어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영상 인코딩 장비 부문에서는 및 H.264 코덱을 이용한 SD HD 급 리얼타임 인코딩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IPTV, 사내방송, E-learning에 관련된 시스템 지원 사업을 제공하고 있다. Lysis는 Digital Contents Service를 관리하기 위한 Traffic Control 및 Scheduling 부문의 선도적인 Software Platform Solution 을 공급하고 있다. 또 한 Lysis사가

NDS 코어트러스트 캐스트이즈(Cas tis) 유라클 셀런 모토로라 수신제한/ 콘텐츠보호 수신제한/ 콘텐츠보호 VOD 자동송출 시스템(APC) 가입관리(Provisioning) STB STB 취급하고 있는 HDP DTV 비디오서버 시스템은 압축된 MPEG 기반의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 핸들링, 하드웨어의 성능과 안정성 면에서 가격 경쟁력이 뛰어난 솔루션으로 성장하고 있다. NDS는 유료 방송 사업자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TV 및 셋톱박스, DVR, PC, 핸드폰, PMP, 외장형 미디어 단말 등 다양한 미디어 기기로 전송되는 디지털 콘텐츠를 보호하고, 방송 환경을 구현하며, 양방향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방송 솔루션 기업이다. CA(Conditional Access) System Management) 및 DRM( Digital Rights 기술 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콘텐츠 및 방송 관련 솔루션 공급 업체이다. 캐스트이즈는 디지털 컨버전스의 주요축인 디지털 방송과 통ㆍ방 융합분야의 핵심인 VOD, IPTV 등의 서비스에서 비디오 서버, 통합 서비스 운영 관리 프로그램, 관련 어플리케이션 공급을 주축으로 한 디지털 비디오 서비스 통합 솔루션을 공급한다. 방송통신 융합 환경에서 다양한 단말에 제공되는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우수한 기술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15종의 표준 IPTV 라인업 보유를 통한 다양한 선택기회 제공. 국내 하나TV( 현 브로드앤TV) 의 성공적인 서비스 제공을 통한 Play Reference 확보. Progressive Download & 방식의 기술 서비스 적용 경험 대표적인 디지털방송 기기 제작 업체로써 STB 뿐만 아니라 케이블 모뎀 등 다양한 분야의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음에 따라 장비에 대한 파급효과가 큼. (2) IPTV 서비스 사업자 별 적용사례 방통융합 장비 및 솔루션을 기능 요소 별 시스템으로 구분해, 각 시스템 별 국내외 주요 업 체의 IPTV 로의 적용사례를 살펴보면 < 표 3-1-11> 와 같다. 시스템 별로 특정업체에 편중되 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표 3-1-11> IPTV 서비스 사업자 별 적용사례 사업자 시스템 베이스밴드 시스템 압축다중화 시스템 KT SK브로드밴드 LG데이콤 국내 해외 국내 해외 국내 해외 Sony Sony Sony Tandberg Harmonic Harmonic 운영 시스템 CIS Technology CIS Technology CIS Technology 데이터방송 시스템 알티캐스트 알티캐스트 알티캐스트 수신제한/ 콘 텐츠보호 시스템 NDS 코어트러스 트 NDS VOD 캐스트이즈 캐스트이즈 캐스트이즈 가입관리 자동송출 시스템 EPG 유라클 캐스트이즈 캐스트이즈 캐스트이즈 ( 주) 이피지 ( 주) 이피지 ( 주) 이피지 단말(STB) 휴맥스, 삼성전자 셀런 LG 전자/ 가온 미디어/ 셀런 미들웨어 알티캐스트 TVStorm 알티캐스트, LG전자 (3) CATV 서비스 사업자 별 적용사례 구분 < 표 3-1-12> CATV 서비스 사업자 별 적용사례 CJ헬로비전 씨앤앰 티브로드 큐릭스 GS강남방송 KCTV 제주방송 송출시스템 알티캐스트 에어코드 알티캐스트 알티캐스트 알티캐스트 에어코드 itv 플랫폼 솔루션 리턴패스 시스템 알티캐스트 에어코드 알티캐스트 알티캐스트 알티캐스트 에어코드 미들웨어 알티캐스트 알티캐스트 알티캐스트 알티캐스트 알티캐스트 알티캐스트 모니터 어플리케이션 알티캐스트 알티캐스트 알티캐스트 알티캐스트 알티캐스트 알티캐스트 EPG NDS Nagravision 알티캐스트 알티캐스트 알티캐스트 Nagravision CAS NDS Nagravision NDS Nagravision NDS Nagravision CA Adaptor NDS 알티캐스트 알티캐스트 알티캐스트 NDS 알티캐스트 STB 삼성/ 휴맥스/LG 휴맥스/ 삼성/LG 휴맥스/ 삼성 휴맥스/ 삼성 삼성/LG 휴맥스 / 삼성/LG

(4) 시사점 방통융합 서비스 관련 장비 및 솔루션의 시장현황을 살펴보면 일부 시스템( 장비 및 솔루션) 의 경우 특정업체의 제품이 주도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제품의 신뢰성과 안정성 이 보장된 제품을 채택하게 되는 방통융합 시장의 속성을 다시 한 번 잘 반영하여 준다. 운영시스템, 데이터방송 시스템, 미들웨어, STB, VOD 시스템, 자동송출 시스템 등은 국내 제품의 의존도가 높으며 특히 알티캐스트의 미들웨어 기술 및 휴맥스의 적으로 기술을 인정받고 있다. 보안 솔루션의 경우 다국적 기업인 STB 기술은 세계 NDS의 영향을 국내에서도 받아 국내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 환경에 점차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국가적으로 해외업체에 의해 국내 시장이 잠식 당하는 것을 막기 위한 코어트러스트 등의 업체에서 국내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 고 있다. 2.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표준규격 고도화 개발 가. 복수의 IPTV 서비스 사업자를 통해 대국민 서비스를 동일하게 제공하는 데 필요한 표준규격을 정립 (1) 개요 최근 몇 년간 방송통신 융합서비스 환경이 본격화됨에 따라 IPTV 기반 민원, 교육, 의료, 교통, 지역정보 등 공공서비스 활성화 지원 요구와 국민의 정책참여, 공공정보 이용, 민원 등을 편리 하게 이용할 수 있는 양방향 공공서비스 제공 필요성 대두 되었다. 또, IPTV 환경은 사교육비 절감, 활기찬 시장경제, 국가균형발전, 고령화 대책 등 국가 아젠다 를 해결하는 필수 수단으로서 공공분야 방송통신융합서비스 활성화를 통한 국가적 현안사항 해결책으로서도 적합 하다는 견해를 바탕으로 공공서비스 제공 환경으로서 되었다. IPTV를 고려하게 하지만 IPTV 사업자 별로 서비스 구축/ 제공방식이 상이하여 공공서비스를 구축/ 운영하는데 참조할 수 있는 규격이 부재한 실정이다. 따라서 방통융합 서비스 환경이 본격화 될 경우를 대 비하여 방통융합 기반 대국민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 장비/ 콘텐츠/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공통의 표준규격을 마련할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더 나아가 국내외 IPTV 표준화와 연계한 공공분야 방통융합 서비스 제공 환경을 선도적으로 정비함으로써 민간분야 서비스 활성화에 기여하고,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다. 방통융합 서비스 활성화를 통한 정보통신 상기 취지에 맞추어, 본 규격 문서는 기존 IPTV 환경 ('ACAP-J 기반 IPTV 미들웨어 표준 준 수) 에서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해 추가로 필요한 사항을 조사하고, 그 해결책을 제시하여 컨텐 츠 및 단말 개발에 참조 할 수 있는 규격서 이다. ( 가) 목적 본 규격의 목적은 실시간 방송, VoD, 양방향 서비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 방통융합 공공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