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1B6BBE7BFF9BAB85F31322E687770>



Similar documents
<B0E6C1A6BFACB1B D B3E220B1B9B3BBBFDC20B0E6C1A620B9D720B1DDC0B6BDC3C0E520C0FCB8C12E687770>

201501_경제전망보고서_f.hwp

Microsoft Word _LIGMarketTalk.doc

오세경-제15-29호.hwp

<4D F736F F F696E74202D20312E20B0C5BDC3B0E6C1A6C0FCB8C128C0CEBCE2BABB292E >

<4D F736F F D20C0AFB0A120BBF3BDC2BFE4C0CE20C1A1B0CB20B9D720BDC3BBE7C1A12E646F63>

LG Business Insight 1248

다음주 경제지표 발표 일정 6월 15일(월) (한) 가격제한폭 확대 시행 (사우디) 사우디아라비아 주식시장 외국인 직접투자 개방 (러시아) 기준금리 Period Previous Consensus (미) 산업생산(% m-m) 5월 (미) 설비가동률(%)

Microsoft Word - FinancialWeekly_140211_editing_f.doc

Microsoft PowerPoint - F_ 경제전망_편.pptx [읽기 전용]

Microsoft Word Hanwha Daily_New.doc

LG Business Insight 1361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환경 변화와 한국 경제 세계경제의 장기정체 위험 국내 장기 저성장 위험 지속 고부채 下 잠재위기 지속 국내 경제 및 금융시장의 상대적 안정성 시험 교역흐름의 위축과 재편 국내 수출 위축과 경쟁위협 심화 자금흐름의 변동성 심화 국내 자본유출입 변동

Microsoft Word Outlook_증권업_editing_final_f.docx

최근 증시 일지 및 KOSPI 동향 1

신흥국 소비확대로 글로벌 무역 불균형이 구조적으로 완화된다. 글로벌 경기 회복되는 가운데 아시아 신흥국 견조한 성장 예상 글로벌 경제는 금융위기 이전에 비해서는 경제성장률이 하락한 저성장 과정이 예상되지만 년을 저점을 통과해 올해부터는 회복세가 점차 안정화될 전망이다.

Issue Br ief ing Vol E01 ( ) 해외경제연구소산업투자조사실 하반기경제및산업전망 I II IT : (

213 6 SUMMARY 2 국.내.주.식. 시장 전망 뱅가드 펀드 지수 변경이 마무리 국면에 접어들면서 외국인 수급 개선이 예상되고 엔화 약세 속도도 조절될 것으로 판단 됨에 따라 주식시장은 점진적 상승 예상 6월 코스피 밴드는 1,93~2,8pt로 예상. 연간으로는

<C0CEBCE2BABB5F D315FB9CCB1B920BEE7C0FBBFCFC8AD20C3E0BCD220BFB5C7E22D312E687770>

: ㅇ [1.1(2) 0.4%(3)] [1.0(2) -0.4%(3)], 3 9 來 ㅇ [54.2(2) 51.3(3)] [68.0(2) 59.7(3)] : ㅇ 1 [7.9%(4/4) 7.7%(1/4)], 3 [9.9%(2) 8.9%(3 )] [21.8%(2) 10.0%(

<C1D6B0A3B1DDC0B6B0E6C1A6B5BFC7E22DC1A634B1C7C1A63334C8A328C0CEBCE2BCDBBACEBFEB292E687770>

< 목 차 > <요 약> i I. 거시경제 전망 1 1. 국내 경기상황 판단 1 2. 대외여건 전망 년 국내경제 전망 10 II. 주요 산업 전망 년 동향 년 전망 24

% % % 0.3% % % 1.6% % 0.6%. 9.5%, 7.8% % % 0.5% 6.1% %. 1.9% % 0.7%. 2.7% 1.8%, 1.

Microsoft Word K_01_02.docx

Microsoft Word - MacroVision_121105_.doc

<28C3D6C1BE292D31312E313828BFF9292DB1DDC0B6B5BFC7E B0A1C0BB2E687770>

Microsoft Word K_01_01.docx

Microsoft Word - Macro doc

Microsoft Word - 09년 2월 경제동향.doc

Microsoft Word - 펀드투자Insight_200910_수정.doc

13물가보고서01-도비라및목차1~7

2016 산업위험 평가 - 은행

Market View 경제지표를 통해 확인된 시각차 박성훈_02) , 홍콩을 중심으로 금융시장 불안 심화 국내 기업들의 실적전망 하향조정 소식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홍콩 민주화 시위라는 정치변수까지

Ⅰ. 금융위기 벗어나나 28년 1월과 29년 2월 두 차례에 걸쳐 중대한 위기 국면을 맞았던 글로벌 금융 시장이 3월 이후 빠르게 안정을 되찾아가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각국 정부와 중앙 은행이 유동성 공급을 크게 늘리고 금융기관의 자본확충을 지원하면서 금융회사들 의

Microsoft Word - 월간전체합본(201404)

순 서 Ⅰ. 2015년 경제운용 평가 1 Ⅱ. 향후 경제여건 3 Ⅲ. 2016년 경제정책 기본방향 9 Ⅳ. 2016년 경제정책 과제 정상 성장궤도 복귀를 위한 경제활력 강화 10 (1) 적극적 신축적 거시정책 (2) 내수 수출 회복 (3) 선제적 리스크 관리

2006 경제백서

붙임

시장 개방과 자율경쟁 원칙의 규제개혁 (Big Bang)을 했던 사례, 일본이 1998년에 증권업 등록제 등 경쟁 공정 글로벌화를 목 표로 삼아 금융개혁을 했던 사례를 든다. 이는 정부가 금융 빅뱅식 규제개혁을 염두 에 두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편 주요 선진국들은

Microsoft Word 연간전망_전략.doc

새 경제팀이 지난 24일 올해 경제 전망을 당초 예상보다 하향 조정하면서 경제정 책방향을 구체적으로 확정 발표했다. 강력한 한 방 등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예고 했던 새 경제팀의 주요 경제정책이 우리나라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이 에 따른 시사점은 무엇인지 살

Microsoft Word - HMC_economy_note_ _하반기

Microsoft Word K_01_02.docx

Microsoft Word doc

Microsoft Word Hanwha Morning Brief.doc

Microsoft Word Stragegy Monthly 9월호.doc

GKSLBLWTWJCR.hwp

Microsoft Word - Headline_120308

*1601인플레이션01-목차1~10

2 주식부자 서경배, 이건희 회장도 제쳤다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 <삼성전자> SK하이닉스 6연속 1조클럽 박성욱의 체질개선 통했다 12조로 국내 주식 보유 1위 등극 올들어 6조 증가 하루 276억꼴 2Q 영업익 1조4000억 작년보다 36% 이 회장은 지분가치 4

Microsoft Word _1

<443A5CB1E8BFF8BAD05C B3E2B0E6C1A6C6F7C4BFBDBA5C C E2E2E>

2 권오규 전 부총리, 美 스타우드캐피털 자회사 발벡코리아 대표에 인생 3막 온고지신 리더십 통할까 2008년 관료생활 마무리 후 카이스트 초빙교수로 IB 사모펀드 정통 정부 정책 시장 적용에 주목 권오규 전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 (66 사진)이 외국계 금융회사

글로벌 경제 : 유동성 장세 여건 충족 년 글로벌 경제, 유동성 장세 충족 2013년 글로벌 경제의 차세대 성장동력 유로존 위기 : 은행연합으로의 진전 27 유로존 위기, 은행연합으로의 해법 전환 미국경제 : 본격 회복으로의 대장정 국면 39 미국경제, 본격

歯세계경제전망_국제금융센터_.PDF

<BBE7B7E C3D6C1BE292E687770>

Microsoft Word doc

Microsoft Word K_01_01.docx

Contents 02 the way we create 10 Letter from the CEO 14 Management Team 16 Our Businesses 18 Corporate Sustainability 20 Management s Discussion & Ana

Microsoft Word _LIGMarketTalk.docx

2011 복지국가정책 아카데미

¤·¤©.PDF

U.S. Global Market 종가 1일 5일 1달 Equity 6/9 6/8 6/7 6/4 美 증시 하락 마감. 버냉키의 경기회복 지속 발언에 투 DOW KOSPI

KiRi_Weekly_제164호( ).hwp

Microsoft Word 데일리 표지.doc

서비스 수출에 있어서도 일본의 해외진출이 뒤처지고 있다고 지적 (IMF 연례 일본경제 보고서 주요내용) IMF 연례 일본경제 보고서에서 日 銀 의 대 규모 금융완화를 통해 물가가 (전년대비) 상승했다고 분석하였으며, 일본의 소비세 인상 재연기(2017.4월

<4D F736F F D B8C5C5A9B7CE20BFACB0A3C0FCB8C15FC7D5BABB>

652

Microsoft Word - 생명보험_ doc_XvN5FGdtYRHLjBfH3PG3

Microsoft Word - 01eugene daily최종커버.doc

Microsoft Word _f

CONTENTS I. 금융상품 투자전략... II. 펀드시장 트렌드... III. 국내 주식 투자전략... 7 IV. Large Cap 추천종목... V. Mid Small Cap 추천종목... VI. WM 주식 포트폴리오... VII. Market Window...

세계적인 불황에도 불구하고 국내 석유화학 경기는 1/4분기에 호황을 누렸다. 일부 기업은 사상 최고치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경기 침체로 세계 석유화학 수요 가 급감하고 많은 해외 경쟁 기업들이 적자를 기록한 상황에서 거둔 성과이기에 놀 라움이 컸다. 이를 가능케 한

원이며 경제 정책의 중심이었다. 토지가 재산의 시작이라 할 수 있기에 제한된 땅의 크기를 가지고 백성들에게 어느 정도 나누어 줄지, 국가는 얼마를 가져서 재정을 충당할지, 또 관료들은 얼마를 줄 것인지에 대해 왕조마다 중요한 사항이었다. 정도전의 토지개혁은 그런 의미에

<C1D6B0A320B1DDC0B6B0E6C1A6B5BFC7E22DC1A635B1C720C1A63232C8A32E687770>

Microsoft Word - 4_USD

LG Business Insight 1377

권두논단(2월).hwp

Microsoft Word be5c80390f90.docx

Ⅰ. 글로벌 경제환경 변화 29년은 세계 및 국내경제의 역사 속에서 의미 있는 한 해로 기록될 것이다. 리먼 쇼크 이후의 금융시장 혼란과 경제주체들의 심리 위축은 상당한 기간의 경기불황을 예고하는 듯 했지만 글로벌 경제위기를 수습하기 위한 각국의 금융안정화 대책과 재정

<C1D6B0A3B0E6C1A62D31362E687770>

목 차 [ 산업별 전망 요약 ] [ 주요 산업별 전망 ] 1. 음식료 석유화학 철 강 기 계 휴

제24조

Microsoft Word - 핫이슈 0201 최종_결합_.doc

WM Weekly Contents I. 금융상품 투자전략... 3 II. 금융상품 트렌드... 7 III. 국내 주식 투자전략... 9 IV. Large Cap 추천종목 V. Mid Small Cap 추천종목 VI. Market Window...

순 서 Ⅰ. 2016년 상반기 경제운용 평가 1 Ⅱ. 향후 경제여건 3 Ⅲ. 2016년 하반기 경제정책 기본방향 8 Ⅳ. 2016년 하반기 경제정책 과제 9 1. 경제활력 제고와 민생안정 9 2. 구조개혁 가속화 리스크 관리 강화 37 Ⅴ. 경제전망 40 <

일자리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도 매우 다르다. 야당에서는 청년실업과 비정규직 일자리만 늘린다고 문제를 제기하며 기업에 청년채용할당제, 청년에게 청년수당을 지급하자고 하자고 주장한다. 여당은 기업구조조정, 노동개혁을 통해 기업의 체질을 개선하여 청년 일자리 창출을 이야기

<B0E6C1A6C0A7B1E25FB9DFC1A65FB0ADBCAEC8C62E687770>

시장 동향 [ 주가 ] 미, 유럽 증시 하락 ㅇ 미국, 유럽 증시는 미국 소비자신뢰지수 상승에도 불구, JPMorgan 등 기업실적 우려, 기술주 및 바이오주 약세 지속 등으로 하락 - 미국 DJIA -0.89%, 영국 FTSE %, 독일 DAX -1.4

E-Ground 2013년 11월 8일 경제이슈 3분기 미 GDP 2.8% 성장과 테이퍼링 시점 3분기 미 경제성장률, 외형상 12월 테이퍼링 가능성 증대-> 고용이 핵심 Economist 이상재 리서치센터

2 한국 온 프란치스코 교황 朴대통령 직접 영접 세월호 가족 위로 꽃동네 찾아 축복 방한 100시간 동안 만나는 사람들 그분 머무는 동안 한국산 쓴다 靑 환영식 최경환 부총리 류길재 장관 참석 강우일 주교 염수정 추기경 등 일정 함께해 쏘울 타고 이동 석수 마시고 갈비

<C1D6B0A320B1DDC0B6B0E6C1A6B5BFC7E22DC1A635B1C720C1A63138C8A32E687770>

재원은 크게 지역, 직장 가입자의 총 보험료와 국고지원을 합한 것이라고 보면 된다. 여기까지는 타당해 보인다. 그러나 1만1천원의 기적 이라는 상자를 열어 보면 이는 기적 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건강보험 보장성은 강화되어야 마땅하다. 그러나 노동자 민중

Microsoft Word Hanwha Daily_New.doc

하나금융그룹 행복디자인 대표전화 하나은행 행복디자인센터 퇴직연금부 (02) (02) 외환은행 퇴직연금실 (02) 하나대투증권 연금사업부 (02) 하나생명 행복금융프라자 (02)

Market Review 해외시장 마감지수 전일대비 등락률 마감지수 전일대비 등락률 국내 KOSPI 금리 국고채(년) KOSPI 미 국채(10년)

The SK View 조정국면 완료. KOSPI 3 개월 2,3Pt 전망 경기 : 하반기 미국 경제성장률 3.5~4., 하반기 국내 경제성장률 4.8~5.% 예상 기업이익 : 2 분기 저점으로 하반기 기업이익 증가 지속 밸류에이션 : 12 개월 P/E 기준 현재 9 배

<C5A9B6F3BFEEC6C72DB9CCB3D7B8A3B9D920B1DB20B8F0C0BD203220C7A5C1F62E687770>

Microsoft Word 전망_보험Full_합본.doc

Ⅰ. 개인저축률 변화의 주요 특징 2년대 우리 경제에 있어 급격한 변화를 보인 지표 중 하나가 개인저축률일 것이 다. 9년대 평균 2.6% 수준을 유지하던 개인저축률은 2년대 들어 평균 5.3% 로 낮아졌다(<그림 1> 참조). 1988년 이후 완만한 하락세를 보이던

Transcription:

2015년 세계경제 전망 <목 차> 2015년 세계경제 전망 Ⅰ. 세계경제 Ⅱ. 미국 Ⅲ. 중국 Ⅳ. 유로지역 Ⅴ. 일본 Ⅰ 세계경제 14년 세계경제 성장률 정체 14년 세계경제는 3.3%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 - 선진국은 경기가 다소 개선된 반면, 신흥국은 전반적으로 성장 둔화 - 세계경제 전체적으로는 성장률이 전년 수준에 머물 것으로 추정 선진국 경제는 전반적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보인 가운데, 국가별 회복 속도는 차별화 - 미국은 1/4분기 일시적인 경기 후퇴에도 불구하고, 민간부문 호조로 회복세 시현 - 유로지역 경제는 재정위기 여파가 해소된데 힘입어 플러스 성장으로 전환 - 일본은 양적완화 지속 등 경기부양책 시행에도 불구하고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는 등 경기 부진 * 본고는 조사분석부 국제경제팀이 공동집필하였으며, 본고의 내용은 집필자의 견해로 당행의 공식입장이 아님 37

2015년 전망 주요국 경제성장률 및 물가상승률 추이 및 전망 (단위: %) 경제성장률 물가상승률 ʼ12년 ʼ13년 ʼ14년 ʼ15년 ʼ12년 ʼ13년 ʼ14년 ʼ15년 전 세 계 3.4 3.3 3.3 3.8 4.2 3.9 3.8 3.9 선 진 국 1.2 1.4 1.8 2.3 2.0 1.4 1.6 1.8 미 국 2.3 2.2 2.2 3.1 2.1 1.5 2.0 2.1 유 로 -0.7-0.4 0.8 1.3 2.5 1.3 0.5 0.9 일 본 1.5 1.5 0.9 0.8 0.0 0.4 2.7 2.0 신 흥 국 5.1 4.7 4.4 5.0 6.1 5.9 5.5 5.6 중 국 7.7 7.7 7.4 7.1 2.6 2.6 2.3 2.5 주 : 14, 15년은 전망치 자료 : IMF, World Economic Outlook ( 14.10) 신흥국은 인도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국가의 성장률 둔화 - 선진국의 경기회복 지연으로 수출 의존도가 높은 아시아 국가들의 성장 제한 - 원자재 가격 하락은 브라질 및 러시아 등 자원 수출국의 경제성장 제약 요인으로 작용 ʼ15년 세계경제 성장률은 다소 개선될 전망 세계경제는 ʼ15년 선진국과 신흥국 모두 회복세를 보여 성장률이 다소 개선될 전망 선진국 경제는 미국이 ʼ14년에 이어 회복세를 주도할 전망 - 미국 경제는 주택 및 제조업 경기회복에 힘입어 호조가 지속될 전망 - 유로지역은 경기침체 우려에도 불구하고 플러스 성장을 이어갈 전망 - 일본 경제는 소비세 인상 여파에도 불구하고 양적완화 확대 등으로 ʼ14년 수준의 성장을 지속할 전망 신흥국은 선진국 경기회복에 따른 수출 증가 등으로 경제성장이 개선되는 효과가 기대됨 - 중국 성장세 둔화 및 미국의 출구전략 본격화에 따른 자금조달 여건 악화 등으로 금융위기 이전과 같은 높은 수준의 성장률은 회복하기 어려울 전망 38

2015년 세계경제 전망 물가상승률은 ʼ14년에 이어 ʼ15년에도 제한적인 수준에서 움직일 전망 - 선진국은 장기간 지속된 저금리 기조의 영향 등으로 물가상승률이 중앙은행 목표치 하회 지속 - 신흥국 또한 경제성장률 둔화 및 원자재 가격 약세 등으로 물가상승 압력이 크지 않을 전망 Ⅱ 미 국 ʼ14년 경기회복세 시현 미국 경제는 ʼ14년 경기회복세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전년 수준인 2.2%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 - ʼ13년 하반기 이후 경기 회복세를 보였으나, ʼ14년 1/4분기에 이상기후에 따른 한파 영향으로 일시적으로 경기가 후퇴 - 2/4분기 전기대비 연율 4.6%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성장세를 빠르게 회복 미국의 분기별 경제성장률 및 항목별 증가율 (단위 : 전기대비 연율, %) ʼ13년 ʼ14년 연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실질GDP 2.2 2.7 1.8 4.5 3.5-2.1 4.6 3.9 개인소비지출 2.4 3.6 1.8 2.0 3.7 1.2 2.5 2.2 내구재소비 6.7 8.5 4.5 4.9 5.7 3.2 14.1 8.7 민간투자 4.9 7.6 6.9 16.8 3.8-6.9 19.1 5.1 설비투자 1) 3.0 1.5 1.6 5.5 10.4 1.6 9.7 7.1 주택투자 11.9 7.8 19.0 11.2-8.5-5.3 8.8 2.7 수 출 3.0-0.8 6.3 5.1 10.0-9.2 11.1 4.9 수 입 1.1-0.3 8.5 0.6 1.3 2.2 11.3-0.7 정부지출 -2.0-3.9 0.2 0.2-3.8-0.8 1.7 4.2 주 : 1) 비주거건설투자 및 지적재산권 포함 자료 : 미 상무부 39

2015년 전망 부문별로는 개인소비지출과 민간투자 부문의 회복세가 경기회복을 견인 - 개인소비지출은 자동차 등 내구재소비 증가를 중심으로 회복세 시현 실업률 개선 등 고용시장 회복에 따른 소비기반 강화와 주가상승 등에 따른 자산효과에 기인 - 민간투자 부문은 2/4분기 이후 호조로 경기회복을 이끌었으며, 향후 회복세를 이어갈 전망 기계장치, 소프트웨어 등 설비투자는 ʼ13년 하반기 이후 호조지속 - 주택투자는 ʼ13년 4/4분기 및 ʼ14년 1/4분기 한파 여파로 부진하였으나, 2/4분기 반등하여 경기회복 지지 고용지표 추이 주가 및 주택가격지수 추이 자료 : 미 노동부 자료 : Infomax ʼ15년 경제성장률은 3%로 호조 전망 ʼ15년 회복세가 본격화되어 3%의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 - 기업부문 호조가 설비투자 확대 및 고용부문 파급 효과 등으로 경기회복을 지지하여, 개인소비 지출 및 민간투자 등 내수 호조가 이어질 전망 - Fed의 출구전략 시행에 따른 달러화 강세로 수출부문이 위축되거나, 세계경제 부진에 따른 여파가 예상 외로 클 경우 경제성장이 다소 제약될 가능성 40

2015년 세계경제 전망 주요 기관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 (단위 : %) IMF OECD World Bank IB ʼ14년 2.2 2.1 2.1 2.2 ʼ15년 3.1 3.1 3.0 3.0 전망일 ʼ14.10 ʼ14.9 ʼ14.6 ʼ14.11 주 : IB 전망치는 블룸버그 중간값 Ⅲ 중 국 ʼ14년 경제성장률은 전년보다 둔화 ʼ14년 경제성장률은 연초 중국 정부가 제시한 목표치 7.5%를 하회하는 7.4%로 추정 - 선진국의 회복세 지연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던 수출 부문은 하반기 들어 개선 - 그러나 투자와 제조업은 각종 미니 부양책 시행에도 뚜렷한 반등세를 나타내지 못함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은 ʼ13년 12월 19.6% ʼ14년 10월 15.9% 제조업 PMI는 ʼ14년 7월 이래 4개월 연속 둔화세 지속 저물가 국면이 장기화됨에 따라 디플레이션 우려 제기 - 생산자물가지수(PPI) 증가율은 ʼ12년 3월 이래 마이너스 지속 - 소비자물가지수(CPI)는 ʼ14년 9월 들어 1%대로 하락 CPI는 ʼ14년 9, 10월 연속 1.6% 기록 41

2015년 전망 중국의 경제성장률 및 항목별 증가율 (단위: 전년동기대비, %) ʼ10년 ʼ11년 ʼ12년 ʼ13년 ʼ14년 1분기 2분기 3분기 실질 GDP 10.4 9.3 7.7 7.7 7.4 7.5 7.3 산업생산 15.7 13.9 10.0 9.7 8.7 8.8 8.5 소매판매 18.4 17.1 14.3 13.1 12.0 12.1 12.0 고정자산투자 24.5 23.8 20.6 19.6 17.6 17.3 16.1 수출 31.3 20.3 7.9 7.9-3.4 0.9 5.1 CPI 3.3 5.4 2.6 2.6 2.3 2.2 2.0 주 : GDP, CPI를 제외한 모든 분기별 지표는 누적 기준 자료 : 중국 국가통계국, 인민은행 高 부채와 과잉투자 문제로 통화완화 정책 여지는 제한적 ʼ14년 11월 중국 인민은행은 예상 밖 기준금리 인하 단행 - 인민은행은 중소기업, 농업에 국한된 타깃형 지준율 인하와 각종 유동성 공급 수단 1) 으로 경기둔화에 대응해 왔음 인민은행의 유동성 공급 확대 조치에도 불구하고, 통화량(M2) 증가율은 둔화세 지속 - 부동산 시장 침체로 경기 하방압력이 증대하자, 9월 말 주택담보대출 규제를 완화한 데 이어 11월 말 기준금리 인하 1년 만기 대출금리는 0.4%p, 예금금리는 0.25%p로 비대칭 인하 막대한 국가부채 및 과잉생산, 부실대출 증가 우려로, 전면적 통화완화 기조 전환 가능성은 높지 않음 - 은행권 부실대출 비율은 통화긴축 기조가 나타난 ʼ10년 수준으로 상승 - 인민은행은 금번 기준금리 인하로 중국의 통화정책이 전면적 완화기조로 전환된 것은 아님을 강조 1) 최근 인민은행은 유동성지원창구(SLF), 담보보완대출(PSL) 등의 단기 유동성 공급도구 이외에도 만기가 길고 금리 인하 효과가 있는 중기유동성지원창구(Medium-term Lending Facility)로 시중에 자금 공급 42

2015년 세계경제 전망 신규대출, M2 증가율 상업은행 부실대출 규모 (%) (%) (십억위안) (%) 자료 : 중국 인민은행 자료 : 중국 은행감독관리위원회 ʼ15년 성장률은 7.1%로 전망 ʼ15년 경제성장 둔화세는 지속되나 심리적 마지노선인 7%대 성장률은 유지될 것으로 전망 - 중국 사회과학원과 IMF는 ʼ15년 중국 경제성장률을 각각 7%, 7.1%로 예상 - 중국의 핵심 정책과제는 소비 진작이 될 것으로 예상 각종 대외 불확실성과 중국 지방부채 개혁 및 산업 구조조정을 고려하면, 안정적 성장의 관건은 소비부문 반등 여부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자산가격 회복세는 소비심리 개선에 긍정적인 요인 달러 대비 위안화 가치는 강세 전환할 것으로 예상 - ʼ14년 위안화 가치는 글로벌 달러 강세, 중국의 통화완화 정책 및 환율 개입 등으로 약세를 나타냄 ʼ15년에는 금리 자유화, 위안화 국제화 추진 가속화를 위해 위안화 강세 환경을 조성할 가능성 최근 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 위안화 기준환율은 횡보세 지속 43

2015년 전망 상하이종합주가지수 (위안)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 자료 : 중국 국가통계국 자료 : 중국 외환거래센터 Ⅳ 유로지역 ʼ14년 플러스 성장에도 불구, 본격회복 지연 ʼ13년 2/4분기 이후 재정위기 여파에서 벗어나 플러스 성장으로 전환하였으나 본격적인 회복은 지연 - 유로지역 경기는 회복세가 지역별로 불균등한 모습을 보이는 등 취약한 상황 - 러시아 우크라이나의 지정학적 긴장감 고조 등의 여파로 경기회복 기조가 위축되는 분위기 형성 부문별로는 저인플레이션 기조 지속 등으로 소비 및 투자가 위축되어 내수 회복이 미약 - 상반기 유로화 강세 및 지정학적 불안 등으로 수출 또한 부진 44

2015년 세계경제 전망 유로지역 분기별 경제성장률 및 항목별 증가율 (단위 : 전기대비, %) ʼ13년 ʼ14년 연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GDP성장률 -0.4-0.3 0.3 0.1 0.3 0.3 0.1 0.2 (전년대비) (-0.4) (-1.1) (-0.6) (-0.3) (0.4) (1.0) (0.8) (0.8) 민간소비 -0.7-0.3 0.1 0.3-0.1 0.2 0.3 - 고정투자 -2.9-2.0 0.5 0.5 0.6 0.3-0.9 - 수 출 1.4-0.1 1.9 0.6 1.1 0.3 1.3 - 수 입 0.4-0.1 1.5 1.4 0.4 0.6 1.3 - 정부지출 0.1 0.3 0.0 0.2-0.2 0.7 0.2 - 자료 : Eurostat 유로지역 국가별 경제성장률 속도차 존재 유로지역 내 국가간 경기 양극화는 재정위기 이후 지속 - 독일과 스페인 경제는 ʼ14년 1분기에 회복세를 보이며 유로지역 플러스 성장 전환 견인 2분기 이후 러시아-우크라이나 긴장에 따른 독일의 마이너스 성장 등으로 유로지역 경기회복 기조 위축 - 프랑스와 이탈리아 경제는 ʼ12년 이후 부진한 모습 지속 - 그리스 및 아일랜드는 전년도 부진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호조 시현 45

2015년 전망 유로지역 주요국 경제성장률 추이 및 전망 (단위 : 전기대비, %) ʼ11년 ʼ12년 ʼ13년 ʼ14년 1분기 ʼ14년 2분기 ʼ14년 3분기 유로지역 1.6-0.7-0.4 0.3 0.1 0.2 독일 3.4 0.9 0.5 0.8-0.1 0.1 프랑스 2.1 0.3 0.3 0.0-0.1 0.3 이탈리아 0.5-2.4-1.9 0.0-0.2-0.1 스페인 0.1-1.6-1.2 0.3 0.5 0.5 그리스 -7.1-7.0-3.9 0.8 0.4 0.7 아일랜드 2.8-0.3 0.2 2.8 1.5 - 포르투갈 -1.3-3.2-1.4-0.4 0.3 0.3 자료 : Eurostat ʼ15년 성장 부진 지속될 전망 경기회복 모멘텀이 약화된 영향으로 플러스 성장에도 불구하고 저성장을 벗어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 - 글로벌 교역량 증가에 따른 유로지역 수출 회복세와 ECB의 양적완화 등 경기부양적 통화정책 지속이 플러스 성장 뒷받침 - 반면 유로지역 저인플레이션 지속에 따른 디플레이션 가능성 등은 경기회복 하방리스크로 작용할 전망 주요 기관별 유로지역 경제성장률 전망 (단위 : %) IMF OECD World Bank IB ʼ14년 0.8 0.8 1.1 0.8 ʼ15년 1.3 1.1 1.8 1.2 전망일 ʼ14.10 ʼ14.9 ʼ14.6 ʼ14.11 주 : IB 전망치는 블룸버그 중간값 46

2015년 세계경제 전망 Ⅴ 일본 ʼ14년 일본 경제성장률은 전년보다 둔화 ʼ14년 연간 GDP 성장률은 0.9% 추정 - 4월 소비세 인상에 따른 내수 위축으로 일본 2~3분기 GDP 성장률은 연속 마이너스 기록 2분기 GDP 성장률은 연율 기준 -7.1%로 급락 - 엔화 약세 기조가 유지되었으나, 수출은 당초 기대와 달리 부진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함 무역수지는 ʼ14년 9월까지 27개월 연속 적자 기록 이에 일본 정부는 양적완화 규모를 확대하는 한편, ʼ15년에 예정된 소비세 인상은 연기하기로 결정 - BOJ는 ʼ14년 10월 31일 본원통화 연간 증가목표를 종전 60~70조 엔 80조 엔으로 증액 ʼ15년 10월 소비세 인상(8% 10%) 계획을 ʼ17년 4월까지 연기 분기별 일본 GDP 성장률 무역수지와 환율 (%) (백억엔) (엔) 주 : 전분기 대비 연율 기준 자료 : Bloomberg 자료: Infomax 47

2015년 전망 ʼ15년에도 低 물가- 低 성장 국면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 ʼ15년 GDP 성장률은 1%에 그칠 것으로 예상 - 법인세 인하와 소득 및 고용지표 개선으로 플러스 성장세는 이어질 전망 단, 소비세 인상 연기로 재정 부담이 확대될 우려 - 아베노믹스에 대한 신뢰가 약화되고 있어 추가 양적완화로 내수가 회복될 가능성은 높지 않음 1차 양적완화가 개시된 ʼ13년 4월부터 9월까지 본원통화 규모는 64% 증가한 데 반해, 시중은행 대출 증가율은 2.6%에 그침 - IMF, OECD는 ʼ15년 일본 경제 성장률을 각각 0.8%, 1.1%로 전망 내수 부진 및 원유가격 하락에 따른 디플레이션 우려는 지속 - BOJ가 추정한 ʼ14년 2%p의 소비세 인상효과를 제거하면 실제 물가 상승률은 1% 수준에 불과 - BOJ 통화정책 위원들은 물가 상승 목표치 2% 달성 시기를 ʼ16년으로 예상 BOJ 통화정책위원 물가전망 본원통화와 은행대출 증가율 회계연도 근원CPI (중간값) 소비세율 효과 제외 (%) ʼ14년 3.2 1.2 ʼ15년 2.4 1.7 ʼ16년 2.8 2.1 주 : 근원 CPI는 신선식품 제외 수치 자료 : BOJ 자료 : BOJ 48

2015년 국내경제 전망 2015년 국내경제 전망 <목 차> Ⅰ. 최근 국내경제 동향 Ⅱ. 대내외 경제여건 Ⅲ. 2015년 국내경제 전망 Ⅳ. 시사점 Ⅰ 최근 국내경제 동향 최근 국내 경기는 혼조세 지속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3년 이후 상승국면을 보이다가 소비부진 등으로 14년 들어 상승세 둔화 -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2년 10월 저점(99.6) 이후 상승세를 보였으나 14년 들어 1 3월 고점(100.7) 후 10월 100.0로 하락 향후 경기국면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4년 6월부터 다시 반등 -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3년 3월부터 상승세를 보이다가 14년 2월 하락 전환하였으나 6월부터 반등 * 본고는 조사분석부 박주영 선임연구원이 집필하였으며, 본고의 내용은 집필자의 견해로 당행의 공식입장이 아님 49

2015년 전망 경기종합지수 추이 106 104 102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100 98 96 94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자료: 통계청 내수와 수출 모두 본격적인 회복 지연 (경제성장) 13년 4분기 이후 전기대비 1% 미만의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내수 및 수출의 회복속도는 제한적 - 건설투자 및 설비투자가 견조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으나 민간소비가 여전히 부진 - 수출은 미국, EU 등 선진국 경기개선에도 불구하고 중국 등 신흥국 수요 위축으로 더딘 회복세 시현 GDP 증가율 추이 (%) (%) 8 2.5 전기비(우축) 7 전년동기비(좌축) 2 6 (전년동기비, %) 수출 및 내수증가율 추이 5 1.5 4 3 2 1 0 '10.1Q '11.1Q '12.1Q '13.1Q '14.1Q 1 0.5 0 자료: 한국은행 주 : 수출 및 내수증가율은 국민계정 기준 자료 : 한국은행 50

2015년 국내경제 전망 (내수) 설비투자와 건설투자가 양호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민간소비는 경제성장률을 하회하는 수준의 더딘 회복세 지속 - 민간소비는 세월호 침몰사고 여파 등으로 2분기부터 악화되었으며, 소비심리도 5월 급락 후 회복세 지연 민간소비(전년동기비,%): ( 12)1.9 ( 13)2.0 ( 14.1H)2.0 (3Q)1.6 소비지출전망: ( 14.1)112 (3)111 (5)108 (8)109 (10)109 - 설비투자는 기저효과, 자동차 등 운송부문의 투자확대로 개선 - 건설투자는 아파트 분양 확대 등으로 7분기 연속 증가 (대외거래) 수출은 對 선진국 수출확대에 증가세로 전환되었으나 신흥국가의 수요부진으로 회복속도는 완만한 편 - 최근에 무선통신기기 반도체 등 IT업종과 철강 선박 등이 호조를 보인 반면, 석유화학, 자동차 등의 수출은 둔화 수출(%): ( 13)2.1 ( 14.1Q)1.7 (2Q)3.2 (3Q)3.9 (10)2.3 유럽 경기침체 완화 및 미국경제 호조로 특히 對 EU 및 對 美 수출이 개선된 반면 對 中 수출은 큰 폭으로 둔화 - 수출증가 및 유가안정 등으로 경상수지는 32개월 연속 흑자 건설투자 및 설비투자 증가율 지역별 수출증가율 추이( 12.1~ 14.10) (전년동기비, %) 35 30 25 20 15 10 5 설비투자 건설투자 (전년동월비, %) 0 '10.1Q '11.1Q '12.1Q '13.1Q '14.1Q -5-10 -15 자료: 통계청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51

2015년 전망 물가는 안정세를 지속하는 반면, 고용지표는 다소 악화 (소비자물가) 국제유가의 안정세 등으로 1%대 유지 - 농산물가격 안정 및 수입물가 하락 등도 저물가 추세에 기여 농산물가격(전년동기비, %) : ( 12)8.8 ( 13) 1.0 ( 14.1Q) 12.6 (3Q) 10.5 수입물가(전년동기비, %): ( 12) 0.7 ( 13) 7.3 ( 14.1Q) 4.1 (3Q) 9.1 - 높은 수준을 유지했던 기대 인플레이션율도 저물가기조가 반영되어 13년 9월부터 3% 미만 지속 소비자물가 및 기대인플레이션율 추이 국제유가(Dubai) 추이 (전년동월비, %) 8 7 6 5 4 3 2 1 소비자물가 생활물가 기대인플레이션율 (U$/배럴) 130 120 110 100 90 80 70 60 50 0 '08.1 '09.1 '10.1 '11.1 '12.1 '13.1 '14.1 40 '10.1 '11.1 '12.1 '13.1 '14.1 자료: 한국은행 자료: Datastream (고용) 정부의 일자리 정책 효과 등으로 취업자 수 증가세가 확대되고 있으나 구직 기대감 상승에 따른 노동시장 참여 확대로 실업률도 전년대비 상승 -보건 사회복지서비스 부문의 일자리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가운데 제조업 부문의 취업자 수도 확대 - 청년실업률(15 29세)은 전체 실업률의 2배인 8%를 상회하는 등 청년층 고용난은 여전히 심각 52

2015년 국내경제 전망 주요 고용지표 추이 (단위: 만명, %) 12년 13년 14.1Q 2Q 3Q 고용률 59.4 59.5 58.8 60.8 63.0 취업자 수 증감 43.7 38.6 72.9 46.4 51.7 제조업 1.4 7.9 12.3 13.6 19.4 보건 사회복지서비스 8.8 15.5 11.7 14.0 14.5 실업률 3.2 3.1 4.0 3.7 3.3 청년실업률(15~29세) 7.5 8.0 9.8 9.4 8.6 주 : 취업자 수 증감은 전년동기비 자료 : 통계청 Ⅱ 대내외 경제여건 세계경제는 지역별로 차별화된 회복세 예상 15년 세계경제는 14년 3.3%에 비해 개선된 3.8% 성장 전망 - 세계경제는 미국경제의 뚜렷한 성장세, 유로존 지역의 완만한 회복세 등으로 개선이 예상되나, 신흥국의 성장정체 등 하방리스크 상존 미국경제는 가계소비 및 기업투자 등 민간부문을 중심으로 성장세 가시화 기대 유로존 지역의 경우 재정긴축 완화, ECB의 저금리 정책 유지 등으로 완만하게 회복될 전망이나 디플레이션, 높은 실업률 등 하방리스크 상존 일본경제는 엔화약세에도 불구하고 수출회복 지연 및 내수침체로 14년과 유사한 성장속도를 보일 것으로 전망 중국경제는 중국정부가 경기부양보다는 구조조정에 중점을 둠에 따라 성장세 둔화 전망 53

2015년 전망 IMF의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 (단위: %) 세계 선진국 신흥국 미국 유로 일본 중국 14 3.3 1.8 4.4 2.2 0.8 0.9 7.4 15 3.8 2.3 5.0 3.1 1.3 0.8 7.1 자료: IMF Economic Outlook(ʼ14.10) 원/달러 환율 및 원/엔 환율은 변동성 확대 전망 15년 원/달러 환율은 경상수지 흑자기조 지속 등으로 연평균 1,060원 예상 - 하락요인: 경상수지 흑자 지속, 상대적으로 양호한 한국의 펀더멘탈 - 상승요인: 미연준의 금리인상 우려에 따른 불확실성, 달러수요 증가, 원/엔 동조화 15년 원/엔 환율은 일본은행의 양적완화 지속 및 일본 기관투자자의 해외투자 확대 등으로 연평균 100엔당 900원 - 글로벌 달러화 강세 지속으로 원화 및 엔화 모두 달러화 대비 약세를 보일 전망이나, 원/달러와 엔/달러 상승속도 차이로 원/엔은 하락 예상 원/달러 및 원/100엔 환율 추이 (원) 1,600 1,500 1,400 1,300 1,200 1,100 1,000 900 원/달러 원/100엔 800 '08.1 '09.1 '10.1 '11.1 '12.1 '13.1 '14.1 자료: 한국은행 54

2015년 국내경제 전망 국제유가는 비전통적 원유생산 급증 등으로 하향 안정 유가는 셰일오일(Shale Oil) 및 타이트오일(Tight Oil) 등 비전통적 원유생산 급증 등으로 하향 안정 - IS사태 및 러시아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에 따른 수급 개선, 미 달러화 강세지속 등도 하락요인으로 작용 -단, 산유국의 생산감축으로 유가하락 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 두바이유 기준 연평균 83~95달러 수준 전망 세계 주요기관의 국제유가 전망 기관 전망일 유종 13년 14년 15년 (단위: U$/배럴) 1Q 2Q 3Q 4Q PIRA 1) ʼ14.10.24 WTI 97.9 94.4 67.2 72.1 77.1 77.1 Dubai 105.6 102.6 84.9 83.8 89.9 86.2 CERA 2) ʼ14.11.5 WTI 97.9 94.8 77.2 76.1 83.4 73.0 Brent 108.7 101.0 87.0 85.7 91.7 87.7 EIA 3) ʼ14.11.12 WTI 97.9 95.0 77.0 76.3 78.3 79.3 주 : 1) PIRA Energy Group 2) Cambridge Energy Research Associates 3)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자료 : 한국석유공사 가계부채는 15년에도 내수회복을 제약할 것으로 우려 규제완화 및 저금리 기조 등으로 가계부채 확대 전망 - 국내 가계부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부채규모가 13년에 이미 1,000조원을 초과 가계부채 규모(조원) : ( 08)724 ( 10)843 ( 12)964 ( 13)1,021 ( 14.1Q)1,025 (2Q)1,038 (3Q)1,060 - LTV, DTI 등 규제완화로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증가 예상 최근 수년간 가계대출은 은행권 LTV, DTI 제약으로 제2금융권 주택담보대출 및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확대 55

2015년 전망 - 취약계층의 상환능력 등을 감안할 때 가계부채는 금융불안 및 성장둔화 요인으로 작용 우려 14년 저소득층인 1분위의 처분가능소득대비 금융부채비율은 120.7%인 반면 고소득층인 5분위는 106.9% 가계의 신용대출 증가율 추이 14년 소득분위별 금융부채/처분가능소득 (전년동월비, %) 20 15 예금은행 비은행 예금취급기관 (%) 125 120 120.7 10 5 115 110 105 112.8 104 103.9 106.9 0 '09.1 '10.1 '11.1 '12.1 '13.1 '14.1 100-5 95 1분위 2분위 3분위 4분위 5분위 주 : 신용대출은 가계대출에서 주택대출 제외부분 자료 : 한국은행 자료: 통계청 재정정책은 확장기조 예상 15년 재정지출 1) 증가율은 5.7%로 09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 - 정부는 민간부문의 경제활력 제고와 서민생활 안정을 위해 최대한 확장적으로 재정을 운용할 계획 재정지출 규모(조원): ( 13)342.0 ( 14)355.8 ( 15 e )376.0 관리재정수지(GDP대비,%): ( 13) 0.3 ( 14) 1.7 ( 15 e ) 2.1 - 경기부양 효과에 유리한 재량지출 규모가 전년대비 7.1% 증가 의무지출은 법에 따라 지출규모 등이 결정되는 반면, 재량지출은 주로 투자사업비 및 경상적 경비 등으로 구성 - 일자리, 창조경제, 안전투자 부문을 대폭 확대하고, SOC, 환경분야 등에도 적정수준 투자 예상 1) 중앙정부 총지출 규모 기준 56

2015년 국내경제 전망 Ⅲ 2015년 국내경제 전망 15년 경제성장률은 전년대비 0.3%p 확대된 3.8% 전망 국내경제는 정부의 적극적인 경기부양책, 글로벌 경기의 점진적인 개선 등으로 전년에 비해 다소 활기를 보일 전망 - 국내총생산의 약 50%를 차지하는 민간소비가 극심한 부진에서 벗어나고 대외여건 개선 등으로 수출도 다소 회복될 것으로 예상 정부의 규제완화 등으로 부동산 경기도 회복흐름 지속 -단, 고령화, 가계부채 상환부담, 투자심리 회복지연 등은 국내경제 성장 제약요인으로 작용 국내경제는 경제정책 효과 가시화로 하반기에 회복속도가 더 빠를 것으로 기대되며, 연간으로는 잠재성장률 2) 수준의 성장세 예상 13 2015년 국내경제 전망 14 상반기 하반기 연간 (단위: 전년동기비, %) 15 국내총생산 민간소비 설비투자 건설투자 경상수지(억달러) 수출 수입 소비자물가 실업률 3.0 2.0 1.5 6.7 811 2.1 0.8 1.3 3.1 3.7 2.0 7.5 1.9 392 2.5 2.6 1.4 3.8 3.4 1.8 2.8 3.4 442 4.1 4.2 1.4 3.2 3.5 1.9 5.1 2.7 834 3.3 3.4 1.4 3.5 3.8 2.9 4.7 3.7 730 5.0 5.8 2.4 3.2 주 : 1) 수출과 수입은 통관기준임 2) 경상수지는 금액, 나머지는 % 3) 2014년 하반기부터는 한국산업은행 전망치 자료 : 한국은행, 통계청 2) 14년 10월 국회예산정책처가 추정한 15년 잠재성장률은 3.8% 57

2015년 전망 민간소비는 완만한 회복세 민간소비는 연간 2.9% 증가 전망 - 소비심리 회복, 소득여건 개선, 복지예산 증액 등으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 세월호 침몰사고 여파 등으로 14년에는 소비자심리지수가 다소 하락세를 보였으나 정부의 경제정책 등으로 상승 전환 가능성 15년 복지분야 예산은 전년대비 9.1조원(8.5%) 증액된 115.5조원으로 저소득층의 소비진작에 기여 예상 -다만, 가계부채 누증, 낮은 소비성향 등은 민간소비 둔화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우려 가계신용 및 민간소비 추이 소비자심리지수 추이 (전년동기비, %) 14 12 10 8 6 4 2 민간소비 가계신용 130 120 110 100 90 0 '06.1Q '08.1Q '10.1Q '12.1Q '14.1Q -2-4 -6 80 70 '09.1 '10.1 '11.1 '12.1 '13.1 '14.1 자료: 한국은행 자료: 한국은행 민간소비는 회복세를 이어가나, 여전히 경제성장률을 하회하는 수준의 증가세에 그칠 전망 - 민간소비의 본격적인 회복 지연은 경제성장을 제약함과 동시에 경제의 안정성을 저해 - 민간소비가 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0%를 상회하며 설비투자 등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변동성 3) 이 낮은 편 3) 01년 이후 분기별 자료를 대상으로 민간소비와 설비투자 증가율의 변동성(표준편차로 측정)을 계산한 58

2015년 국내경제 전망 국내총생산 부문별 비중 추이 (단위: %) 민간 소비 설비 투자 건설 투자 순수출 10 50.3 9.6 15.8 3.2 49.4 46.2 21.1 11 51.0 9.6 15.4 1.5 55.7 54.2 22.5 12 51.4 9.3 14.6 2.8 56.3 53.5 21.9 13 51.0 8.6 15.1 5.1 53.9 48.9 20.2 14.1H 51.3 8.8 14.2 4.9 51.8 46.9 20.7 자료: 한국은행 수출 수입 기타 설비투자 증가세 다소 둔화 설비투자는 연간 4.7% 증가 전망 - 설비투자는 수출의 완만한 회복, 정부의 투자활성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미진한 투자심리 개선 및 제조업의 유휴설비 상존 등으로 소폭 둔화될 전망 특히 철강, 조선 등 공급과잉 우려가 있는 자본집약적 산업의 투자회복이 지연될 가능성 - 설비투자조정압력도 여전히 낮은 수준이며, 제조업평균가동률도 80% 이하 설비투자 및 수출증가율 추이 설비투자조정압력 4) 추이 (전년동기비,%) 40 설비투자 30 수출 20 10 0 '05.1Q '06.3Q '08.1Q '09.3Q -10-20 -30 자료 : 한국은행 '11.1Q '12.3Q '14.1Q (%p) (%) 40 85 30 80 20 10 75 0 '06.1 '07.1 '08.1 '09.1 '10.1 '11.1 '12.1 '13.1 '14.1 70-10 -20 65-30 설비투자조정압력(좌축) -40 제조업평균가동률(우축) 60 자료 : 통계청 결과, 각각 3.0% 및 9.7%로 나타남 4) 설비투자조정압력(%p) = 생산증가율(%) - 생산능력증가율(%) 59

2015년 전망 건설투자는 소폭 개선 건설투자는 연간 3.7% 증가 전망 - 주택시장 여건 개선 및 건설수주 회복 등으로 완만한 증가세 유지 전망 14년 7월 LTV, DTI 규제 완화 5) 등 정부의 부동산시장 정책 효과로 상승 기조로 돌아선 주택시장은 15년에도 회복흐름 지속 기대 - 시설안전 및 유지보수 등을 통한 안전투자 강화, 민자사업 활성화 등을 목적으로 한 정부의 SOC투자 확대도 건설투자 증가에 긍정적으로 작용 정부의 SOC 예산(조원) : ( 11)24.4 ( 12)23.1 ( 13)25.0 ( 14)23.7 ( 15)24.4 -단, 대부분 공공기관의 지방이전 완료에 따른 비주거용 건물 착공면적 증가세 둔화 등은 건설투자 제약요인으로 작용 건설수주 증가율 추이 주택거래량 및 주택가격 추이 (전년동기비, %) 50 40 30 20 10 0 '10.1Q '11.1Q '12.1Q '13.1Q '14.1Q -10-20 -30-40 -50 자료: 통계청 (전년동월비, %) 150 100 50-50 -100 0 '10.1 '11.1 '12.1 '13.1 '14.1 주택거래량(좌축) 주택가격(우축) 자료: 국토교통부, 국민은행 8.0 7.0 6.0 5.0 4.0 3.0 2.0 1.0 0.0-1.0-2.0 수출은 완만한 회복세 예상 수출은 연간 5.0% 증가 전망 - 세계교역량 확대, 휴대폰 등 주력 수출품목의 호조 등으로 완만한 회복 예상 세계교역량(%): ( 11)6.7 ( 12)2.9 ( 13)3.0 ( 14)3.8 ( 15)5.0 선진국 내구재 수요 회복으로 휴대폰 및 반도체 등 IT 수출호조 기대 5) LTV는 기존 기관별, 지역별 50~85%에서 전국 70%로 일원화되었으며, DTI는 기관별, 수도권 지역별 50~65%에서 수도권 60%로 통합 60

2015년 국내경제 전망 -반면, 엔화약세에 따른 가격경쟁력 저하, 주요 수출국인 중국의 성장세 둔화는 수출에 부정적으로 작용 14년 1~9월 지역별 수출비중(%) : 중국 24.9, 미국 12.0, EU 9.4 원/엔 환율과 수출증가율 추이 선진국 경기선행지수 (전년동기비, %) 50 수출증가율(좌축) 원/100엔(우축) (원) 1600 (장기평균=100) 104 40 1400 102 30 20 1200 1000 100 10 0 '04 '06 '08 '10 '12 '14-10 800 600 400 98 96 미국 일본 유럽 -20-30 자료: 무역협회, 한국은행 200 0 94 '08.1 '09.1 '10.1 '11.1 '12.1 '13.1 '14.1 자료: OECD 수입은 하반기 연간 5.8% 증가 전망 - 내수의 완만한 회복 등으로 수입은 점진적으로 증가 소비심리 개선에 따른 소비재를 중심으로 수입수요 확대 예상 기업투자가 다소 회복되면서 자본재 수입 소폭 증가 - 수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원자재 수입은 국제 원자재 가격 안정세 등으로 5% 미만의 증가에 그칠 전망 용도별 수입증가율 추이 수입금액 및 수입물량 증가율 추이 (전년동월비, %) 80 60 40 20 0 '08.1 '09.1 '10.1 '11.1 '12.1 '13.1 '14.1-20 원자재 -40 자본재 소비재 -60 자료: 무역협회 (전년동월비, %) 40 수입금액 35 수입물량 30 25 20 15 10 5 0 '11.1 '11.7 '12.1 '12.7 '13.1 '13.7 '14.1 '14.7-5 -10-15 자료: 한국은행 61

2015년 전망 경상수지는 흑자 지속 경상수지 흑자규모는 전년에 비해 소폭 축소된 730억 달러 예상 - 수출에 비해 수입이 더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상품수지 흑자규모 소폭 축소 - 서비스수지는 해외여행 증가 및 사업서비스 6) 이용 확대 등으로 서비스수지 적자 지속 우려 경상수지 추이 (억달러) 1000 800 경상수지 서비스수지 811.5 706.6 600 400 200 0-200 508.4 335.9 288.5 186.6 117.9 31.9 '07 '08 '09 '10 '11 '12 '13 '14.1~10-132.5-65.4-95.9-142.4-122.8-52.1-65.0-68.4 자료: 한국은행 소비자물가 상승세 확대 소비자물가는 연간 2.4% 상승 전망 - 유가 등 국제원자재 가격 하향 안정세 등은 물가안정에 기여 국제유가는 비전통 원유생산 급증 등으로 두바이유 기준 연평균 83~95 달러 수준으로 하락 전망 - GDP 갭 상승전환으로 인한 수요측면의 물가상승 압력, 기상이변에 따른 곡물가격 변동성 확대 등은 물가불안 요인 부동산시장 침체 완화에 따른 주택가격 상승도 공급측면 물가상승 압력 유발 6) 제조업을 포함한 다른 업종의 경영활동을 지원하며, 전체 산업의 경쟁력 강화의 핵심요소가 되는 서비스 산업을 의미. 예컨대 디자인, 엔지니어링, 컨설팅, 인력개발, 마케팅, 리서치 등이 있음 62

2015년 국내경제 전망 저물가 지속에도 불구하고 생활과 밀접한 집세 및 공공서비스 가격 상승으로 체감물가는 여전히 높은 수준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기대인플레이션율의 괴리 지속 15년 1월 1일부터 담뱃값이 세법개정 원안대로 2,000원 인상되면서 추가적으로 약 0.6%p의 물가상승효과 유발 GDP갭률 추이 집세 및 전기 수도 가스 상승률 추이 (%) 1.5 1.0 0.5 0.0-0.5-1.0 (전년동월비, %) 8.0 7.0 6.0 5.0 4.0 3.0 2.0 1.0 소비자물가 전기 수도 가스 집세 -1.5 '10.1H '11.1H '12.1H '13.1H '14.1H '15.1H 0.0 '11.1 '11.7 '12.1 '12.7 '13.1 '13.7 '14.1 '14.7 자료: 산업은행 자료: 통계청 고용은 전년에 비해 다소 개선 실업률은 연간 3.2% 전망 - 정부의 일자리 창출 노력, 내수의 완만한 회복 등으로 고용개선 지속 정부는 고용률 70% 달성을 위해 고용유인형 제도 개편, 장시간 근로관행 개선 등 다양한 일자리 창출 노력 강화 취업자 수는 50대 이상 연령층을 중심으로 증가세 지속 전망 - 내수 부진으로 감소했던 자영업자 수는 경기가 완만하게 개선되면서 증가 전환 예상 - 업종별로는 제조업과 보건 사회서비스 부문의 고용창출 지속 기대 63

2015년 전망 제조업취업자 및 자영업자 수 증감 추이 50대 이상 취업자 수 증감 추이 (전년동월비, 만명) 40 30 20 10 (전년동기비, 만명) 80 70 60 50 전체취업자 수 50대이상 0 '09.1 '10.1 '11.1 '12.1 '13.1 '14.1-10 -20 제조업취업자 수 -30 자영업자 수 -40 자료: 통계청 40 30 20 10 0 '10.1Q '11.1Q '12.1Q '13.1Q '14.1Q 자료: 통계청 Ⅳ 시사점 저성장 극복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 필요 (재정정책) 재정건전성을 크게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확대 운용 및 상반기 조기집행 도모 - 단기적으로 경기회복을 지원하는 한편, 중장기적인 성장동력 확보에 중점을 둘 필요 (단기) 고용 및 민간소비 유발 효과가 큰 보건 복지 고용 분야에 지출을 확대하여 내수 진작에 기여 (중장기) 창업 벤처 선순환 생태계 조성, R&D 확대, 안전투자 증가 등을 통해 성장잠재력 확충 - 관리재정수지 7) 가 적자를 지속하고 국가채무가 증가하고 있어 재정건전성 관리에 유의 관리재정수지(조원): ( 12) 17.4 ( 13) 21.1 ( 14) 25.5 ( 15 e ) 17.0 국가채무(조원): ( 12)443 ( 13)483 ( 14)515 ( 15 e )550 7) 재정건전성 여부를 명확히 판단하기 위해 통합재정수지에서 사회보장성기금 흑자와 공적자금상환소요를 제외한 수지 64

2015년 국내경제 전망 (통화정책) 대내외 경제여건을 감안하여 완화적 기조를 유지 - 금년에도 저물가 지속이 예상되는 가운데 재정정책과의 공조를 통해 경기 부양 효과 증대 도모 민간소비 등 내수부진 지속, 글로벌 경기회복 지연 등으로 경기가 급격히 위축되는 경우 기준금리 인하도 고려 완화적 통화정책 지속에 따른 가계부채 증가 등 부작용의 최소화 노력 필요 대외충격 완화 방안 마련 필요 환율변동, 금융시장 불안 등에 따른 국내경제의 하방리스크 증가에 대비 - 미국 출구전략 본격화 등에 따른 자본유출입 및 외환시장 변동성 확대에 유의 특히 환위험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들의 환율변동에 대한 대비 필요 - 엔화약세 지속 가능성에 대비하여 품질 강화, 브랜드 인지도 제고, 무역 의존도 개선 등이 필요 가계부채 연착륙 및 취약계층의 상환능력 강화 필요 경기회복 지연 및 취약계층의 상환능력 악화 등으로 가계부채 리스크 지속 - DTI, LTV 규제완화 및 저금리 지속 등으로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부채 확대가 지속될 가능성 - 대출구조 개선 등으로 시스템 리스크로 이어질 가능성은 완화되었으나 저소득층 및 자영업자 등의 상환능력 약화로 가계부채 부실 가능성 고정금리대출 비중(%) : ( 11)3.1 ( 13)15.9 ( 14.1H)17.9 비거치식분할상환대출 비중(%) : ( 11)7.7 ( 13)15.9 ( 14.1H)21.6 - 가계부채 조정을 지속 8) 하는 한편, 장기적으로 고용 및 소득 개선 등을 통해 채무자의 상환능력 강화 필요 8) 정부는 11년 가계부채 연착륙 종합대책, 12년 제2금융권 가계대출 보완대책, 14년 가계부채 구조개선 촉진방안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대출구조 개선, 부채증가 속도 둔화 등을 도모 65

2015년 전망 2015년 금융시장 및 금융산업 전망 <목 차> Ⅰ. ʼ15년 금융시장 전망 Ⅱ. ʼ15년 금융산업 전망 Ⅰ ʼ15년 금융시장 전망 1. 주식시장 Valuation상 저평가 지속 14.10월 현재 Fed모형 1) 으로 평가한 Fed값은 0.26으로 13.5월(0.23, 00년 이후 최저치) 대비 소폭 상승하였으나, - 국내증시는 금리하락의 영향으로 역사적 최저치에 근접하여 여전히 적정 대비 저평가된 상황 * 본고는 조사분석부 금융시장팀이 공동집필하였으며, 본고의 내용은 집필자의 견해로 당행의 공식입장이 아님 1) Fed모형은 FRB에서 S&P500 forward earning yield(1/per)의 값이 10년 국채수익률과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하고 다음과 같은 산식을 유추한데서 유래 Fed값 = r / (1/per), r : 10년 국채수익률, 1/per(주식 기대수익률) 통상 Fed값이 1보다 크면 증시가 고평가, 1보다 작으면 저평가로 판단하나, 여기서는 국내 증시 적정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1대신 장기평균(2000년 이후) Fed값인 0.46을 사용하였음 66

2015년 금융시장 및 금융산업 전망 KOSPI와 Fed값 추이 (pt) (pt) 자료 : Thomson Reuters, KOSCOM 기업이익 둔화 우려 14년 들어 국내기업 이익전망은 지속적으로 감소 - 이익전망 증가율은 14.10월 반등하며 감소추세가 다소 완화되었으나, 엔저로 인한 수출주 실적부진 우려 지속 MSCI 한국 12개월 예상 EPS 및 증가율 주) (pt) (%) 주 : 조사시점 기준, 향후 1년 EPS/이전 EPS 자료 : Thomson Reuters 67

2015년 전망 국내 및 글로벌 경기의 부진은 증시에 부정적 (글로벌 경기) 글로벌 산업경기를 반영하는 Goldman Sachs의 글로벌 선행지수 2) 는 13년 11월 이후 하락 추세 - JP Morgan Global PMI 3) 도 기준점인 50pt 이상을 기록하고 있으나 하락 조짐 GLI Headline JP Morgan Global PMI (pt) (pt) 자료 : Goldman Sachs 자료 : Bloomberg (국내 경기) 14년들어 분기별 GDP 성장률이 0%대를 기록하며 저성장 국면 지속 - 민간소비와 기업 생산활동 부진은 구조적인 측면에 기인하고 있어 15년에도 크게 개선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 시장 전망 : 박스권 움직임 예상 (대외요인) 글로벌 경기 둔화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일본 유럽의 유동성 공급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의 안정성은 높아질 전망 -다만, 일본 양적완화 정책 지속은 국내 경쟁 산업의 가격경쟁력 약화로 연결되어 국내 증시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 2) Goldman Sachs Global Leading Indicator (GLI) Headline, GLI Underlying 지수의 전년동기 대비 증감률 3) Purchasing Manager's Index, 23개국(전 세계 제조업 생산량의 80%를 차지)의 제조업 동향을 반영한 지수 68

2015년 금융시장 및 금융산업 전망 (대내요인) 기준금리 인하에 따라 주식시장 매력도 증가 예상 -반면, 민간소비의 제한적 회복세, 일본의 엔저정책으로 인한 기업의 실적 부진 우려 등은 불안 요소로 작용할 전망 15년 중 KOSPI는 추세적 흐름보다는 박스권(1,850~2,150pt) 사이에서 변동할 전망 KOSPI 월간 변동성 분석 (조주) (pt) 자료 : KOSCOM 2. 채권시장 15년 중 기준금리 동결 전망 기준금리 인하여력은 충분함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 선진국 대비 긴축적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Taylor Rule 기준으로도 약 50bp 내외의 추가인하 여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됨 69

2015년 전망 Taylor Rule에 의한 적정 기준금리 국가별 통화상황지수 (%) (2000.1월=0) 자료 : 한국은행, 산업은행 주 : 통화상황지수는 실질시장금리와 실질실효환율의 가중평균으로, 기준시점 대비 통화정책 완화 정도를 나타냄 자료 : 한국은행, 본드웹, 산업은행 그러나, 경기회복 흐름을 기다리며 추가인하 없이 현 수준의 기준금리 유지 전망 - 역대 최저 수준의 기준금리에 대한 부담감과 짧은 기간 동안 두 차례 인하( 14.8월 및 10월, 각각 25bp 인하) 후 통화정책의 효과 확인 필요 - 가계부채 증가로 인한 부실화 우려 - 미국의 긴축기조 전환에 따른 자본유출 가능성 등 다만, 물가하락 및 민간소비 부진 가속화, 유럽 일본 중국 등의 저금리 기조 지속시 통화정책 완화압력(기준금리 인하 등) 발생 예상 - 1% 내외의 물가상승률 지속으로 구조적 디플레이션에 대한 우려 점증 - 06년 이후 민간소비증가율이 경제성장률을 지속적으로 하회하면서 민간소비 부진 및 GDP 대비 수출비중( 13년 100% 초과) 확대로 구조적으로 대외리스크에 취약 70

2015년 금융시장 및 금융산업 전망 경제성장률과 민간소비증가율 기준금리와 소비자물가상승률 (%, 전년동기대비) (%, 전년동기대비) 주 : 14~ 15년은 한은 전망치 자료 : 한국은행 주 : 음영은 물가안정목표 자료 : 한국은행 시장금리(국고채3년)는 상반기 보합, 하반기 소폭 상승 전망 상반기에는 기준금리 동결로 보합세가 예상되나 하반기에는 점진적인 경기 개선과 기준금리 인상 기대감으로 상승 전망 그러나, 하반기 상승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 - 15년 국고채 예상발행규모가 100조원을 상회하나, 증가율은 5.5%에 불과( 13년 및 14년, 10% 이상 증가)하며 저금리로 풍부해진 대기성자금이 금리에 민감하게 반응 - 물가상승률이 2% 미만으로 예상되어 디플레이션 우려 점증 연간 국고채 발행규모 유동성(M1, M2, Lf) 증가율 (조원) (%, 전년동기대비) 자료 : 기획재정부 자료 : 한국은행 71

2015년 전망 이에 따라, 시장금리는 평균적으로 상반기 2.1~2.3%, 하반기 2.3~2.5%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기대 -다만, 경기부진 및 디플레이션 장기화에 따른 강력한 부양책, 미국의 출구전략 등으로 변동성 확대 가능 신용스프레드, 소폭 축소 전망 저금리에 따른 풍부한 유동성과 투자수요 증가로 스프레드 축소 전망 - 우량물의 경우 역사적 최저수준( 06.11월 19bp)에 근접함에 따라 축소폭이 다소 제한 - 비우량채의 경우 투자수요 증가로 발행여건 개선이 기대되나 13~ 14년의 순상환 기조에서 순발행기조로 전환되며 소폭 축소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며, 회사채시장의 양극화 지속으로 우량물과의 스프레드 격차도 해소되기 어려울 전망 회사채 신용스프레드 회사채 등급별 순발행규모 (bp) (조원) 자료 : 본드웹 자료 : 인포맥스 72

2015년 금융시장 및 금융산업 전망 Ⅱ ʼ15년 금융산업 전망 1. 은행업 개관 : 15년 국내 은행산업은 산업구조 개편, 수익방어노력 등으로 은행간 경쟁 강화 전망 14.1~9월 기준 국내은행의 영업실적은 소폭 개선 - 14.1~9월중 국내은행의 총이익(이자이익+비이자이익)*은 29.4조원으로 전년동기(29.3조원) 대비 0.1조원 증가 -이는, NIM 횡보로 이자이익이 소폭(0.1조원) 증가한 가운데 3분기중 환율 상승에 따른 외환이익 감소로 비이자이익이 전년동기 수준을 유지한 데 기인 * 한편 동 기간중 충당금적립전영업이익(이자이익+비이자이익-판매비와관리비)은 14.1조원으로 전년동기(14.4조원) 대비 축소 14.1~9월중 K-IFRS 기준 국내은행의 당기순이익은 6.4조원으로 전년동기 (4.7조원)대비 36.2% 확대 - 동 기간중 대손준비금* 적립후 당기순이익도 전년동기의 4.2조원 대비 28.6% 확대된 5.4조원 기록 - 14.1 9월중 ROA(0.39%)는 13년(0.21%) 대비 개선되었으나 최근 10년 ( 04~ 13년) 평균(0.65%) 대비 크게 낮은 수준 ROA/ROE(%) : 0.47/6.19( 12년) 0.21/2.69( 13년) 0.39/5.20( 14.1~9월) * 11년부터 K-IFRS 시행에 따른 대손충당금이 감독기준에 의한 충당금적립액에 미달할 경우 그 차액을 대손준비금으로 적립 15년 은행산업은 국내경제의 완만한 회복세에 힘입어 14년 대비 상승흐름을 보일 전망 -다만, 대외 불확실성, 투자 및 내수부진 장기화 가능성 등 경기하방리스크 확대로 경영실적 개선은 소폭에 그칠 전망 73

2015년 전망 - 수익성 확대가 제약되는 가운데 통합산은 출범, 하나은행과 외환은행 합병, 지방은행 대형화 등으로 은행간 경쟁은 더욱 심화 전망 대출 증가율 : 경기 회복세, 완화적 대출태도 등에도 불구, 경기하방리스크 확대로 대출 증가율은 소폭 확대에 그칠 전망 대출의 후행적 경기순응성(Pro-cyclicality)으로 대출 증가율 확대 전망 - 은행 대출 증가율과 실질 GDP 증가율간 Granger 인과관계 검정 결과, 은행 대출 증가율이 길게는 1년 후까지 후행 - 국내경제가 세월호 사고 영향 등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이다가 15년 상반기부터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어, 15년 대출 증가율은 소폭 확대될 전망이지만 하방리스크가 확대되고 있어 소폭에 그칠 가능성 대출 공급측면에서 은행의 대출태도가 중소기업대출 및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15년에도 완화기조를 지속할 전망 - 특히 정부의 확장적 거시정책, 기술금융 확대, 예대율 완화 등으로 중소기업대출이 대출확대를 주도할 전망 - 대출수요도 중소기업과 가계주택자금 중심으로 높은 수준 유지 반면, 경기하방리스크가 확대되는 가운데 중소기업과 가계의 신용위험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점은 대출확대 제약요인 - 15.1월부터 시행되는 유동성규제도 대출확대 제약 가능성 대출태도지수 추이 신용위험지수 추이 25 종합 대기업 중소기업 가계(일반) 가계(주택) 40 종합 대기업 중소기업 가계 20 35 15 30 10 25 5 20 0 15-5 10-10 5-15 0 '12.Q1 '12.Q3 '13.Q1 '13.Q3 '14.Q1 '14.Q3 '12.Q1 '12.Q3 '13.Q1 '13.Q3 '14.Q1 '14.Q3 주 : 0보다 클수록 대출태도 완화 자료 : 한국은행 주 : 0보다 클수록 신용위험 상승 자료 : 한국은행 74

2015년 금융시장 및 금융산업 전망 자산건전성 : 신용위험 상존 등으로 소폭 개선에 그칠 전망 14.1~9월중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부실채권 정리 확대, 총여신 증가 등으로 소폭 하락 - 부실채권비율 : 1.79%( 13.12월) 1.73%( 14.6월) 1.72%( 14.9월) * 14.9월말 현재 기업여신 부실채권이 23.0조원으로 전체 부실채권규모(26.1조원)의 88.4% 차지 15년 자산건전성은 경기 회복세로 개선되겠지만 경기하방리스크 확대, 차주의 높은 신용위험 등으로 소폭 개선에 그칠 전망 - (기업) 일부 경기민감업종의 연체율이 아직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기업의 수익성도 14년 2분기 들어 악화 대기업의 요주의여신비율이 취약업종 이외 전기, 기계 등 타업종에서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등 부실위험 상존 - (가계) 저금리로 이자상환부담률은 낮아졌으나 가계부채 누증에 따른 잠재위험 상존 및 자영업자의 채무상환능력 악화 대기업 주요 업종별 요주의여신비율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추이 20 18 16 14 12 10 8 (%) '12년말 '13년말 140 130 120 110 (%) 가계신용 가계대출 6 4 2 0 100 90 조선 건설 해운 전기 기계 도소매 부동산 대기업 전체 80 '05 '06 '07 '08 '09 '10 '11 '12 '13 자료 : 한국은행, 금융안정보고서 자료 : 한국은행 다만, 은행의 신용위험 관리능력이 향상된 가운데 손실흡수능력은 비교적 양호한 수준 유지 - 대손충당금적립액/고정이하여신 : 120.5%( 13.12월) 115.2%( 14.6월) 75

2015년 전망 수익성 : 저금리에 따른 이자이익 증가 제한, 수수료이익 기반 위축 등으로 소폭 회복 전망 은행 수익성은 14년 대비 개선될 것으로 보이지만 어려운 수익창출여건으로 소폭 회복에 그칠 전망 - 잔액기준 예대금리차가 14.3월 2.53%p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9월 현재 2.44%p까지 축소 14.8월에 이어 10월중 이루어진 추가 기준금리 인하 효과를 반영할 경우 잔액기준 예대금리차는 더 축소될 가능성이 높음 - 15년중에는 저물가 지속, 마이너스 GDP갭 해소 지연 등에 따른 금리상승 제한으로 NIM은 횡보 내지 소폭 개선 전망 - 중소기업대출을 중심으로 기업대출 증가율이 소폭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점도 이자이익 증가에 일부 긍정적 요인 은행의 예대금리차 및 시장금리 추이 (%P) 신규예대금리차(좌축) 잔액예대금리차(좌축) (%) 잔액COFIX(우축) 국고채3년(우축) 3.1 4.5 2.9 2.7 2.5 2.3 2.1 1.9 1.7 1.5 '10.02 '10.10 '11.06 '12.02 '12.10 '13.06 '14.02 4.0 3.5 3.0 2.5 2.0 1.5 1.0 자료 : 한국은행, 본드웹 15년에는 수수료 인하압력 강화 등으로 비이자이익은 14년 대비 보합 수준을 유지할 전망 - 유동성규제 도입으로 100% 이상 저수익 고유동성자산을 보유해야 하는 부담은 수익성에 부정적일 가능성 76

2015년 금융시장 및 금융산업 전망 자본적정성 : 대출 확대, 수익증가 둔화, 자본요건강화 등으로 자본적정성은 보합수준 유지 전망 14.9월말 현재 국내은행의 총자본비율은 14.23%, 기본자본비율은 11.71%, 보통주자본비율은 11.34%로 양호한 수준 - 총자본비율과 기본자본비율은 13년말 대비 각각 0.30%p, 0.08%p 하락 이는 14년 1분기중 신종자본증권 조기상환, 부적격 후순위채의 상환 및 단계적 자본미인정에 따른 자기자본 감소에 기인 - 모든 은행의 총자본비율이 경영실태평가 1등급 기준(10% 이상) 상회 - 국내은행의 자본적정성은 해외은행들과 비교하더라도 비교적 양호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 13년말 해외은행(227개)의 자본비율*(바젤 III 기준) : 보통주자본비율 10.5~12.0%, 기본자본비율 11.0~12.1%, 총자본비율 12.7~13.2% * BCBS(Basel Committee on Banking Supervision), "Basel III Monitoring Report," 2014.9 참조 국내은행의 자본비율 추이 (단위 : %) 10.12 11.12 12.12 13.12 14.9 총자본비율 14.55 13.96 14.30 14.53 14.23 기본자본비율 11.59 11.09 11.12 11.79 11.71 보통주자본비율 - - - 11.19 11.34 주 : 10.12월말은 K-GAAP 회계기준, 11년부터는 K-IFRS 회계기준, 13.12월부터 바젤 III 적용 자료 : 금융감독원 15년 국내은행의 자본적정성은 14년 대비 보합 수준을 유지할 전망 - 대출 증가율 확대로 위험가중자산이 소폭 늘어나는 가운데, 수익규모 증가 둔화, 바젤 III 자본요건강화에 따른 자본미인정 등의 영향으로 자기자본 증가효과도 제한적일 전망 -또한, 경기하방리스크 확대에 따른 잠재부실 현실화 가능성도 자본적정성을 악화시킬 수 있음 77

2015년 전망 2. 증권 개황 : 15년 실적 개선 기대감 증가 15년에는 증권사 구조조정에 따른 비용 효율성 제고, 자본시장으로의 자금이동 등으로 실적이 소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 - 지난 3년간 구조조정*에도 불구하고 명예퇴직금 발생으로 판매관리비 감소가 미미했으나 향후 업황 개선시 실적 증가에 긍정적 * 14.6월말 기준 증권사의 국내 지점수(1,343개)와 임직원수(37,723명)은 11.6월말 대비 각각 25.3%, 13.2% 감소 - 15년에는 저금리 지속, 우호적인 금융정책 등으로 투자자의 안전자산 선호가 완화되며 자본시장으로의 자금 유입 기대감 증가 14년 상반기( 14.1~6월) 중 국내 영업중인 61개 증권사의 순이익은 5,727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3% 증가 - 위탁매매, 금융상품판매, IB 등 전반적인 영업은 부진 -반면, 금리 하락으로 채권평가이익 증가, 채권보유 확대로 이자수지 증가, 구조조정에 따른 판관비 감소로 순이익 소폭 증가 증권사 실적 추이 (단위 : 십억원, %) FY12 FY13 상반기(1~6월) 13년 14년 증감률 순영업수익 9,590 6,038 4,766 4,602 3.4 수수료이익 5,278 3,843 2,731 2,463 9.8 브로커리지수수료 2,883 2,047 1,492 1,241 16.8 금융상품판매수수료 824 630 453 395 12.7 인수 자문수수료(IB) 851 633 426 409 3.9 운용이익 155 1,228 416 309 적자지속 이자수지 3,249 2,569 1,613 1,837 +13.9 판매관리비 7,845 5,652 3,844 3,752 2.4 순이익 1,234 187 565 573 +1.3 주 : 1) 순영업수익은 판매관리비 차감전 영업이익 2) FY12는 12.4~ 13.3월, FY13는 13.4~12월( 13년에 대부분 증권사가 결산월을 3월말에서 12월말로 변경) 자료 : 금융감독원 78

2015년 금융시장 및 금융산업 전망 브로커리지 : 거래대금의 점진적 증가로 수수료 확대 전망 (거래대금) 최근 주식 거래대금과 신용거래 잔고가 증가하는 모습은 투자자의 리스크 회피 성향이 완화되고 있음을 방증 - 일평균 주식 거래대금은 14.4월 3.6조원에서 10월에는 4.5조원으로 증가하는 등 당분간 거래대금 증가세가 지속될 전망 - 투자자들이 증권사에서 차입하여 투자하는 신용거래 잔고도 14.10월말 기준 5.2조원으로 지난 3년중 최고 수준 기록 유가증권 시장 일평균 거래대금 및 주가 추이 10 (조원) 일평균 거래대금(좌축) KOSPI 종가(우축) (pt) 2,200 8 2,000 6 1,800 4 1,600 2 '10.1 '10.7 '11.1 '11.7 '12.1 '12.7 '13.1 '13.7 '14.1 '14.7 1,400 자료 : FnGuide (수수료율) 주식 수탁수수료율이 2012회계연도를 저점으로 안정화되고 있어 수익성이 추가적으로 악화되지는 않을 전망 - 수익성이 높은 개인투자자의 주식거래 비중*이 추세적으로 감소하는 것은 수익성에는 부정적 요인이나, * 64.5%( 11년) 63.3%( 12년) 59.8%( 13년) 58.5%( 14.1~10월) - 그동안 온라인 거래 증가, 증권사간 수수료 경쟁 심화 양상이 안정되고 있어 수탁수수료율의 추가 하락은 제한적 79

2015년 전망 주식 수탁수수료율 추이 (단위 : bp) FY08 FY09 FY10 FY11 FY12 FY13 14.상 수수료율 12.06 11.74 11.72 9.93 9.37 9.54 9.72 주 : 수탁수수료율 = 수탁수수료이익/거래대금 자료 : 금융감독원 금융상품 : ELS, DLS, 랩어카운트 관련 수수료 증가 (펀드) 자금유입은 지속되나 판매수수료와 보수가 높은 주식형(혼합주식형 포함) 펀드 비중은 하락세 지속 전망 - 12년 이후 파생상품, 부동산, PEF 등 대체투자 수요 증가로 기타펀드* 설정액이 증가하면서 펀드로 자금유입 지속 -반면, 금융위기 이후 주식형 펀드에 대한 투자자 신뢰가 전반적으로 저하되면서 주식형 펀드 비중은 하락세 지속 * 기타펀드는 파생상품, 부동산, 재간접펀드, 특별자산, PEF 등 펀드 설정액 추이 펀드 유형별 비중 추이 450 400 (조원) 기타 채권+혼합채권 MMF 주식+혼합주식 45 40 (%) 기타 채권+혼합채권 MMF 주식+혼합주식 350 300 35 250 30 200 25 150 100 20 50 15 0 '10.1 '11.1 '12.1 '13.1 '14.1 10 '10.1 '11.1 '12.1 '13.1 '14.1 주 : 기타에는 파생상품, 부동산, 재간접펀드, 특별자산, PEF 등 자료 : 금융투자협회 (파생결합증권) ELS, DLS의 미상환 발행잔고는 14.8월말 기준 각각 45.0조원, 25.7조원으로 11년말 대비 각각 1.5배, 3배로 급성장 - 금융소득종합과세 기준 강화 4) 로 13년 상반기에는 이자 및 배당수익이 4) 금융소득종합과세 기준이 기존 4천만원에서 2013년부터 2천만원으로 인하됨. 개인의 금융소득 80

2015년 금융시장 및 금융산업 전망 발생하는 ELS, DLS의 투자수요가 일시적으로 감소 - 하지만, 14.8월중 발행규모는 총 7.1조원으로 역대 최고 수준에 근접하는 등 저금리 환경에서 대체상품으로 메리트 부각 (랩어카운트) 14.8월말 기준 평가잔고가 72.1조원으로 향후에도 증가세가 지속될 전망 - 13년에는 금융자산종합과세를 회피하려는 고액자산가 중심으로 수요 급증 - 최근에는 최소 가입금액이 낮아지고 상품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어 고객기반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 랩어카운트 가입 고객수는 12년말 78만명에서 최근 110만명으로 크게 증가 ELS DLS 발행액 추이 랩어카운트 잔고(평가액) 추이 8 (조원) 80 (조원) 자문형 7 DLS ELS 70 일임형 6 5 60 4 50 3 40 2 1 30 0 20 '10.1 '10.7 '11.1 '11.7 '12.1 '12.7 '13.1 '13.7 '14.1 '14.7 '10.7 '11.1 '11.7 '12.1 '12.7 '13.1 '13.7 '14.1 '14.7 주 : DLS 발행액은 공시 시작 시점인 11.3월부터 반영 자료 : 금융투자협회 IB : ECM, DCM, M&A 시장의 점진적 개선 (ECM) 주식 발행액 증가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기대되지만 11년 이전 수준의 큰 폭 개선은 어려울 전망 - 13년 4분기 이후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과 외국인 투자 증가에 따른 증시 호조로 주식 발행액 증가세 (이자소득, 배당소득)이 2천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분에 대해 다른 종합소득(사업소득, 근로소득 등)과 합산하여 과세, 2천만원 이하의 금융소득은 원천징수(15.4%) 81

2015년 전망 - 14.1~8월중 주식 발행은 4.4조원(유상증자 4.1조원, IPO 2,653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13% 증가 (DCM) 회사채 발행시장 여건 개선으로 15년에는 인수 주선수수료가 증가할 전망 - 14년 상반기 회사채 발행액은 전년동기대비 5.2% 감소한 55.2조원으로 반기 기준으로는 최근 4년중 최저치 기록 13.9월 동양그룹 사태 이후 회사채 시장이 전반적으로 위축 14년에도 경기회복 지연으로 건설, 조선, 해운 등 경기순응업종 기업, 중소기업 등의 회사채 발행이 어려운 상황 - 하지만, 최근 금리하락으로 회사채 발행 환경이 점차 개선되고 있어 15년 에는 DCM 부문 실적이 개선될 전망 주식 발행 추이 회사채 발행 추이 6 5 (조원) 유상증자 IPO 40 35 (조원) 은행채 금융채 ABS 일반회사채 4 30 25 3 20 2 15 1 10 5 0 '10.1Q '11.1Q '12.1Q '13.1Q '14.1Q 0 '10.1Q '11.1Q '12.1Q '13.1Q '14.1Q 자료 : 금융감독원 (M&A) 기업들의 자금조달 여건이 우호적인 가운데 보유 현금 규모도 증가하고 있어 경기회복을 기대한 M&A 지속 전망 금융정책 : 우호적인 금융정책 효과로 업황 개선 기대 기업배당을 촉진하는 배당소득 증대세제와 비과세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5) 도입은 투자자의 자본시장 유입을 유도 5)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Individual Savings Account)는 하나의 계좌에 다양한 금융상품을 넣고 일정기간동안 보유하여 발생한 소득에 대해 이자 배당소득 비과세 혜택을 부여하는 상품 82

2015년 금융시장 및 금융산업 전망 퇴직연금자산 운용 규제 완화로 다양한 상품 설계와 운용이 가능한 증권사의 고객기반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 증권사의 NCR 산출식 전면 개편으로 대형증권사를 중심으로 투자여력이 확대 될 전망 -반면, 중소형사는 NCR이 하락하여 비주력 및 수익성이 낮은 사업의 인가 단위를 반납함으로써 전문화 또는 특화될 전망 -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업계 구조개편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 3. 자산운용업 운용자산규모 : 증가세 지속 전망 14.6월말 국내 자산운용사 운용자산규모(펀드수탁고 및 투자일임계약고)는 전년동월말(629조원)대비 2.9% 증가한 647조원 기록 -이는, 주식형펀드 감소에도 불구, 여타 유형 펀드 수탁액 증가, 기관투자자 (보험사, 연기금 등)의 투자일임계약 증가 등에 기인 15년 국내 자산운용사 운용자산규모, 증가세 지속 전망 - 대체투자 확대기조 유지, 시중 부동자금 유입세 지속 등에 따른 펀드수탁고 증가, 기관투자자 일임계약 확대* 등이 주요 요인 * 투자일임계약고의 대부분 6) 을 차지하는 보험사 및 연기금의 운용자산 확대가 예상됨에 따라 투자일임계약고도 증가할 전망 자산운용사 운용자산 추이 (단위 : 조원, %) 구분 12.6월 12.12월 13.6월 13.12월 14.6월 증감률 운용자산 550 584 629 628 647 2.9 펀드수탁고 312 317 340 335 346 1.8 투자일임계약고 238 267 289 293 301 4.2 주 : 증감률은 13.6월말 대비 14.6월말 기준 자료 : 금융감독원 6) 투자주체별로 보험회사 75.8%(일반계정 48.2%, 특별계정 27.6%), 연기금 19.3%, 개인 및 기타 4.8%로 구성( 13.3월말 기준) 83

2015년 전망 주식형펀드를 제외한 펀드수탁고, 완만한 증가세 전망 14.9월말 자산운용사 펀드수탁고(설정액 기준)는 전년말(334.9조원)대비 9.3% 증가한 365.9조원* 기록 - 연초 이후 주식형펀드가 감소세를 지속하였으나, 주식형을 제외한 여타 펀드는 법인 유동자금의 유입 등에 따른 MMF 변동성 확대로 증감을 반복 하다가 7월 이후 증가세로 전환 * 기타펀드 28.4%, MMF 23.2%, 주식형 21.0%, 채권형 17.7%, 혼합형 9.7% 차지 펀드 수탁고 추이 400 350 300 250 200 150 100 50 0 주식형 혼합형 채권형 MMF 기타 '12.09 '12.11 '13.01 '13.03 '13.05 '13.07 '13.09 '13.11 '14.01 '14.03 '14.05 '14.07 '14.09 자료 : 금융투자협회 ʼ15년 펀드 수탁고는 완만한 증가세가 전망되며, 유형별로는 주식형의 소폭 감소, 채권형 및 기타펀드의 완만한 증가 예상 - 국내주식형펀드는 위험자산 기피 현상 지속, 부채 증가에 따른 가계 투자 여력 저하, 차익실현 환매 압력 등으로 감소 예상 다만, 사모 주식형펀드 자금유입 확대, 테마펀드(배당주 등) 인기 지속, 연기금의 주식투자 확대 등으로 감소속도는 제한적일 전망 - 해외주식형펀드의 경우, 시장참여자들의 투자성향에 변화를 줄 요인 7) 이 전제되기 전에는 감소세 반전이 어려울 전망 7) 미국, 일본 등 주요국 주식시장의 회복세 지속, 선진국 통화정책 변화에 따른 글로벌 금융시장 불확실성 해소 등 84

2015년 금융시장 및 금융산업 전망 - 채권형펀드는 미 금리 인상에 따른 유동성 유출이 주요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나, 안전자산 선호현상 지속, 기관투자자의 견조한 투자수요, 해외투자여건 호전(달러화 강세 기인) 등으로 완만한 증가세 유지 전망 - 기타펀드는 전통적 투자상품 수익률 부진, 기관투자자의 대체투자자산 수요 확대 8) 등으로 증가세 지속 전망 15년 영업수익 전년도 수준 소폭 상회 전망 14년 상반기 영업수익은 전년동기대비 3.2% 증가한 8,062억원,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24.8% 증가한 2,788억원 기록 - 주식형펀드 수탁고 감소에 불구, 여타 펀드 증가*, 일부 자산운용사 성과 보수 수취 9) 로 펀드관련수수료수익이 증가한데다, 기관투자자 투자일임액이 전년동기대비 약 12조원 늘어나 일임자문수수료도 증가한 반면 영업비용은 감소한데에 기인 * 수탁고 증감( 13.6월말대비 14.6월말 기준, 조원) : 주식형펀드 11.9, 혼합형펀드 1.1, 채권형펀드 4.0, MMF 4.5, 기타펀드 8.6 자산운용업계 손익 1) 추이 (단위 : 십억원, %) 구분 12년 13년 14년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증감률 2) 영업수익 1,473 1,593 781 812 806 3.2( 0.8) 수수료수익 1,360 1,477 730 747 752 3.1(0.7) 영업비용 1,032 1,099 558 541 527 5.4( 2.6) 영업이익 441 495 224 271 279 24.8(2.8) 당기순이익 377 366 140 226 212 51.4( 6.3) 주 : 1) Calendar Year적용 2) 13년 상반기(하반기) 대비 증감률 자료 : 금융감독원 8) 실례로, 국민연금의 경우 금융자산 중 대체투자 비중을 09년말 4.5%에서 13년말 9.5%로 확대 하였으며, 국내 기관투자자가 주요 참여자인 부동산펀드 설정규모는 09년말 8.4조원에서 13년말 24.3조원 수준으로 늘어나는 등 증가 추세 지속 9) 미래에셋자산운용, 부동산펀드 자산매각으로 258억원 수취 85

2015년 전망 15년 영업수익은 전년도 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나 증가규모는 소폭에 그칠 것으로 전망 -펀드(주식형 제외) 수탁고 증가에 불구, 보수율이 높은 10) 주식형펀드 감소와 경쟁심화에 따른 수수료 하락 추세에 기인 - NCR제도 개편에 따른 투자 확대 11), 기관투자자의 위험자산 확대에 기인한 일임수수료 증가 등은 수익성 개선에 일조할 전망 업계 양극화 지속에 불구, 일부 중소형 운용사는 약진할 전망 15년에도 업계내 양극화 현상은 지속되나, 일부 중소형 자산운용사들은 기존 대비 다소 양호한 실적을 시현할 것으로 예상 - 대형사로의 자금 집중경향이 다소 완화 12) 되고, 수익률과 운용능력 위주로 운용사 선택기준이 변화되고 있기 때문 이는, 14년 중 간판펀드(중소형주 배당주 등) 수익률 향상으로 일부 중소 형사에 주식형펀드 자금이 유입 13) 된 점에서 확인 가능 - 14년 4월 출범 이래 지속적으로 판매잔고가 증가한 펀드슈퍼마켓에서 중소형사가 선전하고 있는 상황도 이를 뒷받침 출범 이후 약 6개월 동안(4월 26일에서 10월 24일까지) 판매된 상위 10개 펀드 중 7개(6위, 7위, 9위 제외)를 중소형사가 차지 10) 펀드별 총보수율 : 주식형 1.38%, 혼합형 1.12%, 기타 0.82%(부동산 1.22%, 재간접 1.15%, 특별자산 0.58% 등)( 14.6월말 기준) 11) 금융위원회는 NCR제도를 폐지하고 최소영업자본액 (=법정최저자기자본+고객자산운용필요자본+고유 자산운용필요자본) 제도를 도입하기로 발표( 14.9월)하였으며, 필수 적립 자기자본 수준이 하향되는 효과로 인해 대형사 위주로 여유 자기자본을 통한 펀드 시딩 투자, 해외투자(해외부동산, 인프라 등) 등의 투자 확대가 예상 12) 영업규모 상위 10개사 비중(운용자산 기준) : 62.8%( 13.6월말) 62.4%( 13년말) 60.6%( 14.6월말) 13) 2014년 중 주식형펀드 운용사별 자금유출입(2013년말대비 2014.11.7자 기준)의 경우 순유입 상위 5위까지는 중소형사(신영, 한국투자밸류, 에셋플러스, NH-CA, 대신)가 차지한 반면, 영업규모 상위 5개사는 모두 순유출 기록 86

2015년 산업 전망 2015년 산업 전망 <목 차> Ⅰ. 15년 국내 주요 산업 전망 Ⅱ. 주요 현안과 대응과제 Ⅰ 15년 국내 주요 산업 전망 1. 최근 동향 및 산업환경 14년 동향 : 제조업 산업활동 소폭 개선 국내 실물경제는 수출출하의 둔화에도 불구하고 내수출하의 회복에 힘입어 생산 증가 - 재고증가율은 생산증가율을 지속적으로 상회하였으나 최근 증가세가 둔화 되었고,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하락 지속 제조업의 산업활동지수 증감률 및 가동률 추이 구 분 08 09 10 11 12 13 (단위 : %) * 본고는 조사분석부 최지황 과장, 이세종 대리가 공동집필하였으며, 본고의 내용은 집필자의 견해로 당행의 공식 입장이 아님 14 1분기 2분기 3분기 내수출하 0.8 1.9 11.6 4.1 0.7 1.4 1.4 1.6 0.5 수출출하 7.1 0.9 18.1 7.8 4.2 2.3 1.2 2.0 0.3 생 산 3.3 0.2 16.7 6.0 1.4 0.3 0.6 0.3 1.2 재 고 7.0 7.8 17.7 15.0 4.3 5.0 5.7 7.7 3.3 가 동 률 77.6 74.4 80.3 80.5 78.5 76.2 77.2 76.3 75.8 주 : 출하, 생산, 재고 증가율은 전년동기대비 증가율임 자료 : 통계청 87

2015년 전망 산업별로는 철강, 일반기계, 섬유의 생산이 전년도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 - 자동차, 화학, 반도체는 생산이 증가하였으나 증가율은 하락 -조선, 통신장비, 의류는 생산은 전년도에 이어 감소 - 반도체, 통신장비 등의 재고가 감소한 데 비해 철강, 자동차 등의 재고는 14년 중 지속적으로 증가 주요 산업의 생산 및 재고 지수 증감률 추이 (단위 : 전년동기대비 %) 철 강 자동차 조 선 일 반 기 계 화 학 반도체 통 신 장 비 섬 유 의 류 구 분 08 09 10 11 12 13 14 1분기 2분기 3분기 생산 2.1 10.4 22.3 7.7 1.0 0.6 5.9 4.2 7.5 재고 17.7 28.5 22.6 16.3 6.0 5.6 8.7 11.6 15.2 생산 3.2 6.5 23.2 14.7 0.2 1.2 7.6 3.6 2.1 재고 2.9 10.0 25.2 16.9 10.4 25.3 29.1 34.1 37.2 생산 22.1 13.0 7.8 2.9 4.9 7.3 24.2 16.2 9.6 출하 21.8 9.7 9.5 3.4 2.5 7.5 23.7 15.8 9.5 생산 0.7 10.5 38.6 9.3 2.1 4.5 2.3 1.8 2.2 재고 3.8 10.4 16.0 28.4 14.3 8.7 9.7 9.3 1.6 생산 1.1 5.2 8.1 2.7 3.8 3.7 1.3 1.3 0.6 재고 15.3 14.1 11.0 6.6 7.2 1.8 0.5 0.3 1.4 생산 15.7 7.5 38.2 27.1 8.1 10.1 1.8 11.0 5.6 재고 20.4 15.2 48.5 107.7 31.5 16.4 8.0 1.3 31.1 생산 5.5 8.9 0.6 8.0 3.7 6.1 9.4 11.5 8.3 재고 17.8 7.9 47.4 42.9 60.4 33.5 39.1 10.3 12.1 생산 8.0 5.6 12.2 1.5 2.4 1.7 0.0 0.8 1.5 재고 7.2 11.6 1.5 18.1 6.5 5.1 6.5 3.2 0.7 생산 5.0 2.9 5.0 0.6 2.7 4.8 4.2 0.3 8.1 재고 10.3 27.3 1.0 3.5 4.7 11.0 12.1 3.6 4.8 주 : 철강은 1차철강 제조업, 자동차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조선은 선박 및 보트 건조업, 일반기계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화학은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의약품 제외), 통신장비는 통신 및 방송 장비 제조업, 섬유는 섬유제품 제조업(의복 제외), 의류는 의복, 의복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임 자료 : 통계청 88

2015년 산업 전망 경기의 본격적인 회복 지연에 따라 국내 기업의 성장성 및 수익성 부진이 심화 - 14.상반기 중 기업 1) 의 매출액 증감률 및 영업이익률은 금융위기 당시보다 낮은 수준 - 성장성 및 수익성 부진에 대응한 부채 감축 등의 추진으로 부채비율 200% 이상 및 이자보상배율 1 미만 기업의 비중은 하락 - 산업별로는 조선, 정유, 화학 등의 수익성이 악화되었으며, 해운, 건설의 수익성은 낮은 수준 지속 국내 기업 매출액 증감률 및 매출액영업이익률 추이 산업별 매출액영업이익률 추이 (%) 25 21.9 매출액 증감률 매출액영업이익률 (%) 10 2013 2014 13 14 9.9 9.3 20 15 10 5 0-5 18.1 15.1 7.6 7.5 7.8 5.2 5.9 4.7 5.1 4.7 0.4-0.7-2.3 '08 '09 '10 '11 '12 '13 '14 8 6 4 2 0-2 -4 7.4 7.2 5.8 5.8 5.5 4.5 3.7 4.0 3.0 2.3 2.3 1.0 0.8 0.1-2.3-3.6 조선 정유 해운 건설 화학 기계 철강 자동차 전자 자료 : 한국은행( 14.10), 금융안정보고서 15년 산업환경 : 소폭 개선되나 불확실성 증가 세계 및 국내 경제성장률 소폭 상승 전망 - IMF는 세계 경제성장률이 14년 3.3%에서 15년 3.8%로 상승 전망 - 우리나라 국내총생산 증가율은 14년 3.5%에서 15년 3.8%로 상승 전망 - 최근 경기 선행지수상승률이 동행지수상승률보다 높은 수준 대외적 불확실성 증가 -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지속적으로 하향조정되고 최근 유럽 및 신흥국 경제의 불확실성이 증가 1)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및 동 시행령 등에 따라 재무제표를 작성 공시하는 상장기업과 각 업종을 대표하는 일부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함 89

2015년 전망 - 중국의 내수주도 성장 정책 및 생산능력 확대 등으로 대중수출이 둔화되고 원화 강세, 보호무역조치 증가 2) 등으로 수출환경 악화 가능 대내적 구조적 문제 지속 - 가계부채, 투자부진 등 구조적인 문제가 지속되고 있어 큰 폭의 내수 증가는 어려울 것으로 보임 -철강, 석유화학 등 주요 산업의 설비과잉, 기업구조조정, 수익성 하락과 같은 산업이슈가 조기 해소되기 어려울 전망 국내 경기선행 동행종합지수 증감률 추이 IMF의 세계경제성장률 전망 조정 (전년동월대비 %) 16 14 12 10 선행종합지수 증감률('10.01~'14.9) 동행종합지수 증감률('10.01~'14.9) (%) 4.2 4.0 3.8 '14.1월전망 '14.4월전망 '14.7월전망 '14.10월전망 4.0 3.9 3.9 3.8 3.7 8 3.6 3.6 6 4 3.4 3.4 3.3 2 3.2 0 '10.01 '10.07 '11.01 '11.07 '12.01 '12.07 '13.01 '13.07 '14.01 '14.07 3.0 '14년성장률 '15년 성장률 자료 : 통계청 자료 : IMF 2. 주요 산업별 전망 산업활동의 본격 회복 지연, 산업별 차별화 국내 산업은 전반적 회복 대신 산업별로 호전 산업, 성장 둔화 산업, 부진 지속 산업 등으로 차별화되는 양상 - 반도체, 휴대폰은 해외수요 지속에 따라 호조 기대 -해운, 조선은 해운업황 회복 지연으로, 석유화학은 신증설 확대에 따른 공급과잉 영향으로 부진 지속 전망 2) 철강산업의 경우, 국내 철강사들은 16개국에서 59건의 규제 및 관련 조사를 받고 있으며, 14년 중 추가된 규제는 8개국 12건임 (산업통상자원부, 14.10월 기준) 90

2015년 산업 전망 15년 주요 산업 업황 전망 구 분 호 조 보 합 둔 화 부 진 산업 반도체 휴대폰 자동차 일반기계 디스플레이 철강 건설 조선 석유화학 해운 주 : 산업별 성장과 특성에 따라 호조, 보합, 둔화, 부진의 4단계로 구분 전통 주력산업은 전반적으로 회복 지연 15년 자동차, 일반기계는 완만한 성장이 기대되고 철강은 성장세 둔화, 석유화학, 조선은 수급부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 철강 - 수요산업의 본격적인 회복이 지연되고 전년의 기저효과가 소멸됨에 따라 내수 및 생산 증가율이 약 2%로 둔화될 전망 - 국내외 설비과잉이 지속되는 가운데 국내업계의 수출확대 노력이 지속될 것이나 중국의 과잉생산물량 수출로 인해 수출을 통한 성장 또한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임 자동차 - 세계 자동차수요의 소폭 증가가 예상되는 가운데 국내생산 및 수출이 각각 1.3%, 2.3% 증가할 전망 - 소비심리 약화 등으로 내수 둔화가 예상되고 기아 현대차 해외공장 확충 등에 따라 해외생산은 증가세를 지속하여 해외생산비중이 약 50%에 달할 것으로 보임 조선 - 국내 조선사가 강점을 가지고 있는 대형 컨테이너선, LNG선, 해양플랜트 등을 중심으로 수주가 6.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나 전년의 30%대 감소를 감안하면 회복세 미흡 - 건조량은 13년 수주물량의 본격적인 건조로 소폭 증가하고 이에 따라 수주잔량은 전년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됨 91

2015년 전망 일반기계 -미국 유로지역 등 선진국 경제 회복에 힘입은 수출 증가로 생산이 2% 늘어날 것으로 전망 - 설비투자 증가에 따라 내수가 증가할 것으로 보이나 최근의 제조업가동률 하락, 수익성 하락 등은 기계수요 증가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 석유화학 - 중국을 중심으로 한 파라자일렌, 테레프탈산 등 신증설 확대로 공급과잉이 지속되어 생산이 1.5% 감소할 것으로 보임 - 주요 수출국인 중국의 자급률 상승에 따른 수출 둔화, 우리나라의 저가 화학섬유 수입증가에 따른 합섬원료 내수 감소 등이 수출 및 내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구 분 철 강 자 동 차 조 선 일반기계 석유화학 전통 주력산업 생산 및 수출 증감률 전망 주요 특징 수요산업 성장 둔화, 기저효과 소멸 등으로 생산 증가세 둔화 국내시장 포화로 내수부진이나 해외수요 회복으로 생산 수출 소폭 증가 국내업계가 강점을 지닌 선종 중심으로 수주량 건조량 증가하나 회복세 미흡 선진국 경기회복 및 국내 설비투자 증가로 생산 수출 증가 신증설 확대에 따른 공급과잉 영향으로 수급 악화 지속 (단위 : %) 14(E) 15(F) 생산 수출 생산 수출 5.7 10.1 2.2 3.2 0.9 0.7 1.3 2.3 건조량 5.6 수주량 30.7 건조량 1.7 수주량 6.1 1.4 2.6 2.0 3.0 0.1 2.2 1.5 2.2 IT산업은 견조한 성장세 지속 국내외 경기의 소폭 회복과 함께 스마트기기 등을 중심으로 성장이 지속되나 수요 안정화 및 업계 경쟁심화에 따른 가격조정 등으로 성장세가 다소 둔화될 것으로 전망 92

2015년 산업 전망 반도체 - 세계 반도체수요 증가율이 소폭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DRAM 및 NAND 가격 안정화로 수출증가율이 다소 둔화될 것으로 보임 - 삼성전자의 반도체 중국 현지생산 본격화, 스마트폰 등 전방시장 성장 둔화 및 해외생산 확대에 따른 내수 감소로 생산증가율은 전년대비 하락한 5.5%로 예상됨 디스플레이 -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규모의 성장에 힘입어 수출 및 생산이 전년도 마이너스 성장에서 각각 6.5%, 5.4% 증가할 것으로 보임 - 수요처별로는 스마트기기용 패널의 높은 성장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UHD TV 3), UMPC 4) 등의 수요증가에 따라 TV와 모니터용 패널 시장의 회복세가 두드러질 전망 휴대폰 - 스마트폰 중심의 성장세는 지속되나 업계 경쟁심화에 따른 스마트폰 가격하락과 완제품의 해외생산 확대 예상으로 수출 및 생산 증가율은 각각 6.8%, 4.7%로 다소 둔화될 전망 - 수입 및 내수는 완제품 재고 증가 등으로 소폭 감소할 것으로 보임 구 분 반도체 디스플레이 휴대폰 IT산업 생산 및 수출 증감률 전망 주요 특징 세계시장 성장세 약화 및 기저효과 소멸로 생산 수출 증가율 둔화 고성능제품 수요증가에 따른 세계시장 성장 으로 생산 수출 증가세 전환 업계 경쟁심화, 고가폰 확산세 정체로 생산 수출 증가율 둔화 (단위 : %) 14(E) 15(F) 생산 수출 생산 수출 12.4 10.0 5.5 5.6 3.8 1.7 5.4 6.6 13.3 10.7 4.7 6.8 3) UHD(Ultra High Definition) TV : 해상도가 FHD(Full HD) TV 대비 4배 이상, HD TV 대비 8배 이상 향상된 TV 4) UMPC(Ultra Mobile PC) : 초소형 노트PC의 일종으로 노트PC 대비 이동성이 뛰어나고 태블릿PC 대비 고성능인 제품 93

2015년 전망 비제조산업은 해운 부진 지속, 건설 회복세 둔화 해운 - 세계경기의 완만한 회복으로 물동량이 다소 증가하나 선복량증가율이 물동량 증가율을 상회하여 선복량 공급과잉 지속 전망 - 선종별로는 컨테이너선은 수급이 다소 개선되는 반면, 벌크선 및 탱커선은 부진이 이어질 것으로 보임 건설 - 국내수주의 경우 주택수주 증가, 정부의 한시적 SOC 예산 증액 등에 힘입어 증가세가 지속되나 증가율은 1.2% 수준으로 높지 않을 것으로 전망 - 해외수주의 경우 내수 부진 극복을 위한 국내기업들의 해외수주 확대기조가 이어지나 중동지역 성장세 둔화, 글로벌 경쟁 심화로 수주증가율은 소폭 하락할 것으로 보임 비제조산업 성장률 전망 (단위 : %) 구 분 주요 특징 14(E) 15(F) 해 운 (전세계) 누적된 선복량 공급과잉으로 해운시황 부진 지속 물동량 4.5 선복량 6.3 물동량 4.7 선복량 6.0 건 설 (국내) 주택수급 불균형, 공기업 발주 둔화로 수주증가율 둔화 (해외) 중동지역 성장세 둔화 및 경쟁심화로 수주증가율 둔화 국내수주 20.0 해외수주 7.8 국내수주 1.2 해외수주 4.2 94

95 2015년 산업 전망 주요 산업의 15년 수급 전망 구 분 단 위 14(E) 15(F) 증가율(%) 증가율(%) 철 강 생 산 수 입 내 수 수 출 백만M/T 백만M/T 백만M/T 백만M/T 73.1 13.8 54.7 32.1 5.7 16.5 5.7 10.1 74.7 14.1 55.6 33.2 2.2 2.3 1.6 3.2 자 동 차 생 산 내 수 수 출 해외생산 천대 천대 천대 천대 4,560 1,420 3,110 4,320 0.9 2.7 0.7 5.2 4,620 1,430 3,180 4,500 1.3 0.7 2.3 4.2 조 선 수 주 량 건 조 량 수주잔량 수 출 백만CGT 백만CGT 백만CGT 십억달러 11.5 11.8 33.3 39.4 30.7 5.6 4.9 5.9 12.2 12.0 33.5 42.2 6.1 1.7 0.6 7.2 일반기계 생 산 수 입 내 수 수 출 조원 십억달러 조원 십억달러 103.6 35.7 94.5 44.4 1.4 1.7 1.4 2.6 105.7 36.4 95.8 45.7 2.0 2.1 1.3 3.0 석유화학 생 산 수 입 내 수 수 출 천M/T 천M/T 천M/T 천M/T 21,688 998 10,708 11,775 0.1 0.7 0.9 2.2 21,362 1,002 10,647 11,519 1.5 0.4 0.6 2.2 반 도 체 생 산 수 입 내 수 수 출 조원 십억달러 조원 십억달러 80.0 36.0 51.8 62.9 12.4 4.0 11.4 10.0 84.4 37.6 53.9 66.4 5.5 4.4 4.1 5.6 디 스 플 레 이 생 산 수 입 내 수 수 출 조원 십억달러 조원 십억달러 81.4 5.5 56.7 28.8 3.8 0.0 3.1 1.7 85.8 5.6 59.3 30.7 5.4 1.8 4.6 6.6 휴 대 폰 생 산 수 입 내 수 수 출 조원 십억달러 조원 십억달러 49.1 6.2 26.8 27.5 13.3 57.7 31.5 10.7 51.4 5.0 25.5 29.4 4.7 19.1 4.8 6.8 해 운 (전세계) 물 동 량 선 복 량 백만M/T 백만DWT 10,126 1,741 4.5 6.3 10,640 1,846 4.7 6.0 건 설 국내수주 해외수주 조원 십억달러 90.8 70.3 20.0 7.8 91.9 73.3 1.2 4.2

2015년 전망 Ⅱ 주요 현안과 대응과제 1. 중국 추격에 따른 제조업 구축효과 발생에 대응 필요 중국의 제조업은 세계 수출시장에서 급성장 중국의 제조업은 13년 기준 세계 수출의 18.6%를 차지 - 중국은 경공업 뿐 아니라 중화학공업에서도 점유율을 크게 높여가고 있으며 조선, 기계, 반도체, 통신장비 등 제조업 분야의 국제경쟁력 또한 향상됨 - 이에 따라 세계 수출시장이 과거 미국 독일 일본 3강 체제에서 중국의 1강 체제로 재편되는 추세 제조업 수출 중 중국 점유율 추이 중화학공업 수출 중 중국 점유율 추이 (%) 20 한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 18.6 (%) 20 한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 15.8 15 15 10 5 0 8.4 5.3 5.7 3.0 4.3 '01 '03 '05 '07 '09 '11 '13 10 5 0 10.1 6.7 3.6 5.1 3.3 '01 '03 '05 '07 '09 '11 '13 주 : SITC 5, 6, 7, 8 합산 기준 자료 : UN Comtrade 주 : SITC 5, 7 합산 기준 자료 : UN Comtrade 우리나라와 중국 간 제조업 수출경합도 5) 가 상승 중국의 제조업 세계점유율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00년 이후 자본집약적 장치산업을 중심으로 중국과의 수출경합도가 상승하는 추세 5) 수출경합도는 비교대상국가의 수출상품구조에 있어서 유사성을 측정하여 경쟁정도를 파악하는 지표로서, 0~100의 값을 가지며 양국의 수출상품구성이 완전히 같으면 100이 되고 수출상품구성이 완전히 다르면 0이 됨 96

2015년 산업 전망 - 조선의 수출경합도는 90 전후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철강, 석유 화학의 수출경합도가 최근 빠르게 상승 - 이에 따라 우리나라 주요 산업의 구축효과 발생 우려 주력 제조업 한 중 수출경합도 추이 자동차 석유화학 철강 조선 통신기기 반도체 일반기계 100 100 80 80 60 60 40 40 20 20 0 '01 '03 '05 '07 '09 '11 '13 0 '01 '03 '05 '07 '09 '11 '13 자료 : 위 두 그래프 모두 UN Comtrade 고부가가치 분야를 중심으로 한 국내 산업의 재편 필요성 대규모 설비투자에 의한 양적 확대보다 R&D의 획기적 확대 등을 통해 질적 발전을 추구하는 산업계의 전략 변화가 필요 - 화학산업 세계수출시장에서 독일 점유율은 큰 변화가 없으나 일본이 크게 감소한 것은, 일본의 경우 독일에 비해 범용석유화학 비중이 큰 때문으로 볼 수 있음 6) - 바이오, 부품 소재 등 기술 Cycle이 긴 산업은 후발국의 추격이 쉽지 않아 이들 산업 강화 필요 7) 6) 일본의 화학제품(SITC코드 5기준) 세계수출시장점유율은 10년 4.7%에서 13년 3.9%로 하락, 독일은 동기간 중 11.3%에서 11.1%로 하락하였음. 화학산업 중 Basic Chemicals 비중은 일본 52.8%( 09년), 독일 37.2%( 11년)임. (자료 : U.N. Comtrade, KPMG(ʼ11.6), The Japanese Chemical Industry: Finding the Right Path 및 German Chemical Industry Association(ʼ12.12), The German Chemical Industry in 2030) 7) Keun Lee(ʼ13.9), Schumpeterian Analysis of Economic Catch-up에서 중국 등 아시아 국가가 남미와 달리 중진국 함정(middle income trap)에 빠지지 않고 지속 성장한 비결은 short-cycle 기술에 대한 투자를 촉진하는 혁신시스템에 있다고 설명함. 한편, 저자는 short-cycle 기술은 추격하기도 쉽지만 추격 당하기도 쉬우며, 중국이 short-cycle 산업을 키우고 있으므로, 우리 기업들이 long-cycle 산업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 97

2015년 전망 - 향후 고부가가치 분야 중심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개선하기 위해 R&D 강화 필요 2. 수출가격 경쟁력 약화에 대한 대응 필요 최근 원화 강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엔화는 약세가 이어짐 12.6월 이후 원화의 실질실효환율지수 8) 상승률은 15.6%로 베네수엘라(59.7%)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준 - 같은 기간 중 엔화의 실질실효환율지수 하락률은 27.1%로 아르헨티나(27.8%)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남 최근의 엔 低 -원 高 현상으로 원-엔 환율은 급격히 하락하여, 14.9월 현재 12.6월 대비 33% 하락한 100엔당 962.5원을 기록 주요국 실질실효환율 변동률 (%) 일본-27.1 미국 0.9 대만 1.7 EU 2.2 중국 10.2 한국 15.6-30 -20-10 0 10 20 원화 및 엔화 환율 추이 (원/100엔) (원/달러) 원/100엔(좌) 원/달러(우) 1,600 1,200 1,400 1,100 1,200 1,000 1,000 800 900 '12.1 '12.7 '13.1 '13.7 '14.1 '14.7 자료 : 위 두 그래프 모두 UN Comtrade 주요 기술 산업의 근원적인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노력 필요 원화 강세로 인해 수출비중이 큰 국내 산업의 생산 둔화 및 수익성 하락이 일어날 수 있으며 특히 일본과 수출경합도가 높은 우리나라 제조업의 수출 둔화가 우려됨 8) 실질실효환율지수는 교역상대국 대비 자국의 통화가치 변동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명목환율과 물가에 의해 결정되고, 이 지수가 상승하면 가격경쟁력이 약화됨을 의미함 98

2015년 산업 전망 - 엔화 약세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수출액이 감소 9) 하고 있으나 일본과의 수출경합도가 높은 산업은 엔저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됨 - 자동차의 경우 일본과 수출경합도가 90 이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일반기계도 대일 수출경합도가 상승추세여서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음 일본기업이 엔저로 제고된 수익성을 바탕으로 경쟁력 개선 투자에 나서면 중장기적으로 국내 산업 전반의 대일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음 이에 대응하여 국내 산업은 세계시장에서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한 첨단기술 개발, 품질경쟁력 제고 등을 통해 주요 기술 산업의 근원적인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긴요한 것으로 보임 3. 산업별 현안 및 과제 산업별로 다양한 현안과제에 대한 대응이 필요 최근 국내 산업은 본격적인 경기회복 지연에 따른 성장성 및 수익성 하락을 겪고 있음 - 철강은 철강제품 가격 하락, 조선은 해양플랜트 분야 인도지연, 건설은 국내 수주 위축에 따라 수익성 악화 우려 - 또한 철강, 조선, 석유화학, 반도체, 디스플레이, 휴대폰 등은 중국의 추격에 대응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 중국의 추격, 수익성 하락 등을 극복하기 위해서 시장의 변화로 인해 부상하는 기회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조기에 수립 추진하여야 함 - 자동차산업은 연비개선을 위한 차량경량화 관련 기술개발을 강화해야 하며, 일반기계는 ICT융합 등을 통한 경쟁력 제고가 필요 - 반도체, 디스플레이, 휴대폰 등 제품의 변화가 빠른 IT산업은 퀀텀닷 10) TV, 9) 일본 수출액(달러기준)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 ( 12) 3.0 ( 13) 10.5 ( 14.1~9) 3.0 10) 퀀텀닷TV : 퀀텀닷(Quantum Dot, 양자점 : 전류를 흘리면 스스로 빛을 내는 양자를 주입한 반도체 결정) 필름을 채용해 화질을 개선한 LCD TV 99

2015년 전망 Post-스마트폰 시대 등에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할 것으로 보임 시장 환경 변화 뿐 아니라 산업 내 기업간 경쟁구도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 석유화학은 북미 셰일가스 증가에 따른 환경 변화 관련 대책 수립이 필요하며, 해운은 Alliance를 중심으로 한 정기선 시장의 경쟁 구도 변화에 따른 대비가 필요한 것으로 보임 15년 주요 산업 현안과 과제 구 분 철 강 자 동 차 조 선 일 반 기 계 석 유 화 학 반 도 체 디 스 플 레이 휴 대 폰 해 운 건 설 주요 내용 철강제품 가격하락에 대응 중국의 과잉생산물량 수출증대에 대응 연비개선을 위한 차량경량화 관련 기술개발 강화 글로벌 전기동력차 판매 증가 추세에 대응 과점체제 속 중국 일본 경쟁력 강화에 대한 대응 해양플랜트 분야 인도지연에 따른 수익성 악화에 대비 수출 감소 및 환율변동에 따른 수출채산성 하락에 대응 ICT융합 등을 통해 기계산업 경쟁력 제고 북미 셰일가스 생산 증가의 중장기적 파급효과에 대비 중국의 자급률 상승 및 원가경쟁력 향상에 대응 고부가가치 반도체 시장 선점을 통한 수익성 차별화 중국 반도체 업계의 팹리스 파운드리 경쟁력 강화에 대비 프리미엄 TV시장에서 UHD 및 퀀텀닷 TV의 부상에 대응 중국 디스플레이 업계의 경쟁력 강화에 대비 국내 스마트폰 제조업계의 차별적 대응역량 마련 Post-스마트폰 시대 대비를 위한 플랫폼 자립성 및 서비스 사업기반 확보 선박의 초대형화 추세에 대응 Alliance를 중심으로 한 정기선 시장의 경쟁구도 변화에 대비 국내 주택수주 회복 지연 및 공공수주 위축에 대응 해외 건설수주 수익성 둔화에 대응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