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상담연구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016, Vol. 24, No. 1, 173-196 여고생의내현적자기애가부정적정서에미치는영향 : 정서적고통감내력, 자기위로능력의매개효과 * 김혜원이지연 인천대학교 본연구는여고생의내현적자기애가부정적정서에영향을미치는과정에서정서적고통감내력과자기위로능력의매개효과를검증하고자하였다. 여고생 356명으로부터자료를수집하였고, 수집된자료는구조방정식모형을이용하여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다음과같다. 첫째, 여고생의내현적자기애가높을수록정서적고통감내력이떨어지고, 자기위로능력이낮으며, 부정적정서를많이보였다. 그리고정서적고통감내력이클수록자기위로능력이높았으며, 자기위로능력이높을수록부정적정서가적게나타났다. 둘째, 여고생의내현적자기애는부정적정서에직접영향도미치지만, 자기위로능력을매개로도영향을미쳤으며, 정서적고통감내력과자기위로능력의이중매개로도영향을미쳤다. 마지막으로본연구의의의및제한점과앞으로의연구방향이논의되었다. * 주요어 : 내현적자기애, 정서적고통감내력, 자기위로능력, 부정적정서, 매개효과 * 이논문은인천대학교 2016년도자체연구비지원에의하여연구되었음 교신저자 : 이지연 / 인천대학교창의인재개발학과 / 인천광역시연수구아카데미로 119( 송도동 )/ Tel: (032)835-8160/ E-mail: becoming@inu.ac.kr - 173 -
김혜원 이지연 Lasch(1978) 와 Rinsley(1982) 는우리모두가아이의응석을지나치게받아주면서도동시에소홀히하는양육방식때문에자기애의시대에살고있다고시사했다 ( 김진숙, 김창대, 이지연, 2007에서재인용 ). 공주병, 왕자병, 도끼병과같은신조어도나르시시즘, 즉자기애적성격과관련이있을것이다 ( 서경현, 양승혜, 2010). 더욱이겸손을미덕으로여기던과거와는달리현대사회에서는자기자신을스스로광고하고능력을과시하여타인으로부터인정받는것을중요하게여기는경향이늘어나고있는추세이다. 사실상어느정도의자기애는자신을긍정적으로돌아보게만들고더나은자기계발의자극제가된다. 그러나지나친자기애는해롭다 (Hotchkiss, 2003). 일반적으로자기애를설명하는특성으로거대한자기표상, 칭찬과인정에대한끊임없는욕구, 자기중심성, 오만한태도, 타인의평가에대한지나친과민성등이있고, 이는 DSM-Ⅴ 에서자기애성성격장애를진단하는기준들이다 ( 권석만, 2014). 그런데현대의여러이론가들은 병리적인웅대성 과 취약한자존감 이라는두가지특성을공유하지만, 현상적으로드러나는양식에따라 외현적자기애 와 내현적자기애 가구분된다는것을제안하였다 (Hendin & Cheek, 1997; Rathvon & Holmstrom, 1996; Wink, 1991). 특히내현적자기애가외현적자기애보다더부적응적이고역기능적임을언급하는여러연구들이있다 ( 권은미, 신민섭, 김은정, 2009; 김진희, 2011; 박세란, 신민섭, 이훈진, 2005; 백승혜, 현명호, 2008; 서수균, 권석만, 2002; 이준득, 2005; 윤성민, 신희천, 2007; 한혜림, 2004; Rose, 2002). 즉, 외현적자기애는방어적자기고양을통해이득을얻으나내현적자기애는자기고양을통해이득을얻지못함으로써주관적인불편감을더많이경험한다는것이다 (Rose, 2002). 내현적자기애의특징을보다구체적으로살펴보면, 내현적자기애를지닌사람들의경우, 겉으로볼때는자기애적인잘난척과거만함등이드러나지않지만내면에는깊은자기애적역동과기제를지니고, 타인으로부터부정적인평가를예상하여타인의말과행동에지나치게신경을쓴다. 또한타인의평가와반응에대하여민감하여과도하게신경을쓰고, 위축되고, 수줍어하며, 수치심과굴욕감을쉽게느끼면서관심의초점이되는것을불편해한다 ( 권석만, 한수정, 2000; 정남운, 2001). 따라서본연구에서는청소년기가자기애의발달에중요한시기이고 (Kohut, 1977), 자기애의발달이정상에서병리적으로치우치기쉽기때문에자기애적취약성을극복해야하는시기 (Bleiberg, 1994) 라는주장에기반하여, 성인기성격으로더욱굳어지기전단계인청소년시기의내현적자기애를살펴보고자하였다. 특히, 본연구에서는내현적자기애와밀접한관련성을보이는사회불안의발병시기가 10대후반에가장많고 ( 오강섭, 여인중, 이시형, 1994; 이국화, 하은혜, 2009), 건강하지못한가족의영향이남성보다여성의정서적건강에지속적으로영향을미친다는 Gilligan(1982) 의주장에기반하여청소년시기가운데우선적으로여고생에초점을맞춰살펴보고자하였다. 선행연구들을살펴보면, 내현적자기애성향을보이는사람들은공격성 ( 윤언정, 2009; 이세연, 2007), 불안 ( 강예모, 김정규, 2012), 수치심 ( 조민혜, 이은진, 이지연, 2014; 최두환, 2013), 분 - 174 -
여고생의내현적자기애가부정적정서에미치는영향 : 정서적고통감내력, 자기위로능력의매개효과노 ( 김혜경, 2010; 최지영, 2013), 우울 ( 원주식, 2006; 이상미, 2009) 등부정적정서를많이경험한다고보고하였다. 이에대하여선행연구들은외현적자기애자들에비해내현적자기애자들이내면깊은곳에자기애적인역동과기제를지니고있어, 소심하고두려움이많고억제적이고무력하기때문에우울, 불안, 분노, 공격성등부정적정서를더역기능적으로경험한다고하였다 ( 강선희, 정남운, 2002; 이준득, 2005; Hart & Joubert, 1996). 또한자기개념명료성이낮기때문에쉽게분노를경험하고, 더우울하고공격적이라고하였다 ( 이준득, 서수균, 이훈진, 2007). 그런데이러한부정적정서들은위험상황에서사고와행동의범위를좁힌다는문제를지닌다. 즉, 분노나두려움등의부정적정서를느끼는상황에서보통자기초점적이되기때문에자신이경험하는정서에서더헤어나기어렵게된다 ( 권석만, 2008). 뿐만아니라부적응적자기애는적대감과분노감을많이느껴신체적 심리적질환에더욱취약하고, 일상생활에서불편감을경험할가능성도높다 ( 백승혜, 현명호, 2008). 따라서본연구에서는여고생들의내현적자기애가부정적정서에미치는영향에초점을맞추어살펴보고자하였다. 그런데본연구에서는단순히내현적자기애와부정적정서간의관계성을살펴보는것에서더나아가내현적자기애가부정적정서에영향을미치는과정에여러매개변인들이관여할수있음을가정하고, 그영향을확인하고자하였다. 사실상내현적자기애는일시적인증상이기보다는일종의성격구조이기에상담및치료에많은시간을필요로하며, 단기적개입으로변화되기가어려울수있다 ( 권은미외, 2009). 따라서적절한치료적개입을위해서병리적이고부정적인현상을유발하는매개변인을찾는것이중요하다 ( 김선미, 서경현, 2015; 정승아, 오경자, 2005). 상담에서도매개효과가나타났을때치료적중재를위한중요한시사점을제시해주는데 (Culp & Beach, 1993: 최미례, 이인혜, 2003에서재인용 ), 그것은매개효과가나타난영역에서적절한중재가이루어져매개효과를줄일수있다면독립변인이종속변인에미치는영향을줄일수있기때문이다. 먼저본연구에서는매개변인으로정서적고통감내력 (emotional distress tolerance: EDT) 에주목하였다. 정서적고통감내력은정서적및신체적고통에직면하였을때, 이고통을기꺼이경험하고견딜수있는개인의능력 (Brown, Lejuez, Kahler, & Strong, 2002) 및슬픔, 공포, 분노, 혐오등과같은부정적정서경험을감내해내는정도를나타내는데 (Clen, Mennin, & Fresco, 2011), 최근정서적고통감내력은다양한정신병리를설명하는중요한변인으로상담현장과연구에서주목받고있다 (McHugh et al., 2011; Zvolensky, Berstein, & Vujanovic, 2011). 사실상고통은인생의일부이기에이러한불변의사실을받아들이지못하면고통이더욱커지고, 고통을감내하지않고충동적인행동을하면후유증이더욱심각해질수있으므로정서적고통감내력은정신건강의핵심목표이기도하고 (Linehan, 1993), 치료예후에도영향을미치는중요한요인이다 ( 정지현, 2015). 이와관련된선행연구들을살펴보면, Goodman 과 Leff(2011) 는자기애적성격장애를지닌경우, 정서적고통에대한감내력이떨어 - 175 -
김혜원 이지연 지기때문에이들이고통스러운감정을보다잘견뎌내고대처하도록하는것이중요한치료적초점중의하나라고하였다. 장하연과조용래 (2012) 도자기애적성격장애의특성가운데하나인타인의인정에대한과도한요구신념이클수록정서적고통감내력이떨어진다는것을보고하였다. 이를통해, 내현적자기애가정서적고통감내력과밀접한관련을보이리라는것을추론해볼수있다. 임혜령 (2015) 은이러한정서적고통감내력이낮으면분노를경험할때에이를감내할수있는내적자원이부족하여분노감정에더욱주의를기울이게되고, 역기능적분노반응을강화하거나지속시킨다고하였다. 이외의다른경험적연구들을통해서도정서적고통감내력과부정적정서가일관되게부적상관을보이는것을확인할수있다 ( 임혜령, 2015; Anestis, Selby, Fink, & Joiner, 2007; Gaher, Hofman, Simons, & Hunsaker, 2013; Kraemer, Luberto, & McLeish, 2013; Simons & Gaher, 2005; Vujanovic et al., 2013; Vujanovic, Marshall-Berenz, & Zvolensky, 2011). 이상의선행연구들을통해, 비록내현적자기애, 정서적고통감내력, 부정적정서를한꺼번에살펴본선행연구는없지만, 내현적자기애성향이높을수록정서적고통감내력이낮고, 정서적고통감내력이낮을수록부정적정서를더욱크게느낄수있음을예상해볼수있겠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내현적자기애, 정서적고통감내력, 부정적정서변인을하나의모형안에서살펴보고자하였고, 내현적자기애와부정적정서의관계속에서정서적고통감내력의역할을규명하는데초점을두고자하였다. 다음으로본연구에서는매개변인으로자기위로능력에초점을맞추었다. 자기위로능력은부정적정서를일으키는상황에처했을때, 적극적으로자신의내적자원을이용하여불안을줄일수있는능력을의미한다 (Moser, 1991). 즉, 자기위로능력이높은사람은스트레스를받거나심리적불안을경험하는상황에서도자기스스로다양한대처방법들을찾을수있다 (Glassman, 1989: 권영, 2014에서재인용 ). 이러한자기위로능력은부모의공감적양육태도의내면화를통해이루어지기때문에 (Kohut, 1971), 양육자의지속적인이해와공감실패로인해내현적자기애를보이는경우 (Kernberg, 1975; Ryckman, 2012), 자기위로능력이빈약할수있다. 또한자기애적성격장애등치료적예후가좋지않은비교적심각한성격장애전반에자기위로능력이효과가있다는연구 ( 권영, 2014), 내현적자기애성향이자기위로능력과부적상관을보인다는연구 ( 공세영, 2014) 및자기위로능력이높을수록긍정적정서를많이느끼고, 낮을수록부정적정서를많이경험한다는연구 ( 박효서, 1999) 를통해서도내현적자기애가높을경우, 자기위로능력이떨어지고, 이로인해부정적정서를더욱크게경험할수있다는것을추론해볼수있겠다. 종합하면, 본연구는여고생의내현적자기애, 정서적고통감내력및자기위로능력이부정적정서에직 간접적인영향을미치는지알아보고변인들간의구조적인관계를살펴보고자하였다. 즉, 여고생의부정적정서에미치는내현적자기애의직접적인영향을살펴보고, - 176 -
여고생의내현적자기애가부정적정서에미치는영향 : 정서적고통감내력, 자기위로능력의매개효과이와함께내현적자기애가부정적정서로이어지는과정에서정서적고통감내력과자기위로능력을매개로부정적정서를유발하거나유지시키는가를확인하고자하였다. 이를통해본연구는궁극적으로내현적자기애와관련된상담및프로그램개발에서치료적초점이될수있는개입방법을마련하는데도움이되고자하였다. 본연구에서는 4개의모형을비교하여모형의적합도를평가하였다. 먼저내현적자기애가부정적정서에직접영향을미치기도하지만정서적고통감내력과자기위로능력각각을통해그리고이두변인들의이중매개를통해간접적인영향을미친다고가정한부분매개모형을 [ 그림 1] 의연구모형으로설정하였다. 사실상정서적고통감내력과자기위로능력의관계를살펴본선행연구를찾아보기는어렵다. 다만자기위로능력이스트레스상황에서적극적으로내적자원을활용하여자신의정서를조절함으로써어려운상황을해결하고자하는적응적능력 (Moser, 1991) 인데, 선행연구들은정서적고통감내력이낮을수록자신의고통을감당하지못하여회피적대처방식이나형편없는정서조절을보인다고하였다 ( 안계훈, 2014; Brandt, Zvolensky, & Bonn-Miller, 2013; Iverson, Follette, Pistorello, & Fruzzetti, 2012; Mullance, 2011; O Cleirigh, Ironson, Smits, 2007; Simons & Gaher, 2005). 이외의다른연구자들도정서적고통감내력이정서조절양식에영향을미치고 (Hayes, Wilson, Gifford, Follette, & Stosahl, 1996), 정서적고통감내력이높을수록고통을유발하는상황에서적응적으로반응하고대처하는것이가능하다고하였다 ( 박우리, 2016). 공세영 (2014) 도내현적자기애와자기위로능력을경험회피가매개한다는것을밝히며, 자신이느끼는감정을피하지않고그것이무엇인지알아야스스로를위로하는것도가능하다고하였다. 이상의선행연구들을통해정서적고통감내력이높을수록자기위로능력을사용하여자신의정서를조절하는것이가능하리라는것을예측해볼수있다. [ 그림 2] 의경쟁모형 1에서는두매개변인간경로에대한직접적인선행연구가없다는것에근거하여이중매개의경로를삭제한모형으로제시하였다. [ 그림 3의 ] 경쟁모형 2와 [ 그림 4] 의경쟁모형 3은각각연구모형과경쟁모형 1과다른경로는일치하고, 내현적자기애가부정적정서에이르는직접경로만을삭제한완전매개모형이다. 본연구의구체적인연구문제는다음과같다. 첫째, 내현적자기애, 정서적고통감내력, 자기위로능력, 부정적정서의구조적관계는어떠한가? 둘째, 내현적자기애와부정적정서의관계를정서적고통감내력이매개하는가? 셋째, 내현적자기애와부정적정서의관계를자기위로능력이매개하는가? 넷째, 내현적자기애와부정적정서의관계를정서적고통감내력과자기위로능력이이중매개하는가? - 177 -
김혜원 이지연 자기위로능력 자기위로능력 자기위로능력 자기위로능력 내현적자기애 부정정서 내현적자기애 부정정서 내현적자기애 부정정서 내현적자기애 부정정서 정서적고통감내력 정서적고통감내력 정서적고통감내력 정서적고통감내력 [ 그림 1] 연구모형 [ 그림 2] 경쟁모형 1 [ 그림 3] 경쟁모형 2 [ 그림 4] 경쟁모형 3 방법 연구대상 본연구는인천, 수원, 일산등수도권소재에위치한 4개의고등학교, 여고생 400명을대상으로설문을실시하였고, 불성실한응답을제외한총 356명의응답자료를분석하였다. 그가운데 1학년은 113명 (31.7%), 2학년은 243명 (68.3%) 을차지하였다. 측정도구 내현적자기애본연구에서는내현적자기애를측정하기위해 Akhtar 와 Thomson(1982) 의자기애적성격장애의임상적특성을참고하여강선희와정남운 (2002) 이개발한척도를이용하였다. 내현적자기애척도는목표불안정 (9문항, 예 : 나에게미래는막연하고불확실하게보인다 ) 과인정욕구 / 거대자기환상 (9문항, 예 : 나는나를내가아닌다른어떤유명한사람처럼그려보고싶다 ), 착취 / 자기중심성 (9문항, 예 : 다른사람들과똑같은대접을받아자존심이상했던경우가있다 ), 과민 / 취약성 (10문항, 예 : 나는가끔남의비평을너무심각하게받아들인다 ), 소심 / 자신감부족 (8문항, 예 : 나는다른사람의눈치를많이살피는편이다 ) 의 5개하위척도로구성되어있다. 총 45문항을 5점리커트척도 (1= 전혀그렇지않다, 5= 대체로그렇다 ) 로평정하도록하였으며, 역채점하여점수가높을수록내현적자기애성향이강하다는것을의미한다. 내현적자기애척도의 Cronbach s α는강선희와정남운 (2002) 의연구에서.90으로나타났고, 본연구에서는.93으로나타났다. - 178 -
여고생의내현적자기애가부정적정서에미치는영향 : 정서적고통감내력, 자기위로능력의매개효과정서적고통감내력정서적고통감내력을측정하기위해 Simons 와 Gaher(2005) 가개발한정서적고통감내력 (emotional distress tolerance: EDT) 척도를박성아 (2010) 가번안 타당화한척도를이용하였다. 박성아가타당화한정서적고통감내력척도는조절 (3문항, 예 : 고통스러운감정을피하기위해무엇이든할것이다 ), 감내력과몰두 (5문항, 예 : 고통스러운감정을다루기어렵다 ), 평가 (7 문항, 예 : 다른사람들은고통스러운감정을나보다잘견뎌내는것같다 ) 의 3개하위척도로구성되어있다. 총 15문항을 5점리커트척도 (1= 전혀그렇지않다, 5= 대체로그렇다 ) 로평정하도록하였으며, 역채점하여점수가높을수록부정적정서에대한고통감내력이높음을의미한다. 정서적고통감내력척도의 Cronbach s α는박성아 (2010) 의연구에서.91로나타났고, 본연구에서는.90으로나타났다. 자기위로능력자기위로능력을측정하기위해 Glassman(1988) 에의해개발된자기위로능력척도 (self-report of soothing receptivity) 를전희정 (1999) 이번안하고, 고소희 (2000) 가수정 보완한척도가운데스스로위로하기 ( 예 : 기분이나쁠때, 때때로너무화가나서어떻게해야할지모르겠다 ) 하위척도만을사용하였다. 총 11문항을 5점리커트척도 (1= 전혀그렇지않다, 5= 대체로그렇다 ) 로평정하도록하였으며, 역채점하여점수가높을수록자기위로능력이높음을의미한다. 자기위로능력척도의 Cronbach s α는김미진, 민선희, 이지연 (2010) 의연구에서.75로나타났고, 본연구에서는.78로나타났다. 부정적정서부정적정서를측정하기위해 Watson, Clark 과 Tellegen(1988) 의부정적정서척도와안신호, 이승혜및권오식 (1993) 의한국어정서단어연구를이용하여이선미 (2011) 가수정 보완하여만든한국판부정적정서척도를사용하였다. 부정적정서척도는분노, 권태, 놀라움, 수치, 고독, 애태움, 연민, 공포, 허무, 상심등 10가지요인으로이루어져있고, 각요인당 3개씩 30개의단어로구성되어있다. 총 30문항을 5점리커트척도 (1= 전혀그렇지않다, 5= 대체로그렇다 ) 로평정하도록하였으며, 점수가높을수록부정적정서가높음을의미한다. 부정적정서척도의 Cronbach s α는이선미 (2011) 의연구에서.95로나타났고, 본연구에서도.95로나타났다. 자료분석 본연구에서수집된자료는 SPSS 19.0 과 AMOS 21.0 을이용하여다음과같은과정으로분 - 179 -
김혜원 이지연 석했다. 첫째, 내현적자기애, 정서적고통감내력, 자기위로능력, 부정적정서각척도의신뢰도를확인하기위해 Cronbach's α 계수를산출했다. 둘째, 연구변인의경향성과정상성을살펴보기위해기술통계분석을실시하여주요변인의평균, 표준편차, 왜도및첨도를확인했다. 셋째, 연구변인간상관관계를알아보기위해상관분석을실시하여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산출했다. 넷째, 내현적자기애가부정적정서에영향을미치는과정에서정서적고통감내력과자기위로능력의매개모형을설정하고, 구조모형검증을실시하여매개모형의적합도및잠재변인간경로계수를산출하였다. 본격적인모형검증에앞서, Russell, Kahn, Spoth 와 Altmaier(1998) 의제안에따라문항꾸러미 (item parcels) 를제작하여자료를분석하였다. 이를위해, 우선잠재변수별로최대우도법을이용하여단일요인을가정한탐색적요인분석을하였고, 요인부하량이.30미만인문항은분석에서제외시켰다 ( 내현적자기애 2문항, 정서적고통감내력 1문항, 자기위로능력 5문항, 부정적정서 1문항 ). 이는표준요인부하량의기준이.30이상이어야한다는기준에근거하였다 (Hair, Anderson, Tatham, & Black, 1992). 그런후, 자기위로능력과부정적정서는각꾸러미가잠재변수에동일한부하량을갖도록하여각각 3개, 4개의꾸러미로구성하였고, 내현적자기애와정서적고통감내력은각각의하위척도를측정변인으로이용하여잠재변인을구성하였다. 구조모형검증은구조방정식의 2단계접근법 (Anderson & Gerbing, 1988) 에따라진행했다. 우선, 측정변인들이잠재변인을적절히구인하는지확인하기위해확인적요인분석을통한측정모형검증을실시했다. 다음으로, 구조모형의전체적합도및각경로의유의도를확인했다. 모형의적합도는표본의크기에민감하여영가설을쉽게기각할수있는 χ2값이외에상대적적합도지수인 CFI(Comparative Fit Index) 와 TLI(Tucker-Lewis Index), 절대적접합도지수인 RMSEA(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를함께확인했다. 이때, CFI와 TLI가.90 이상이고 (Bentler, 1990), RMSEA가.10 이하이면적합한모형인것으로판단했다 (MacCallum, Browne, & Sugawara, 1996). 그뒤, 내현적자기애와부정적정서사이에서정서적고통감내력과자기위로능력의간접효과에관한통계적유의성을검증하기위해부트스트랩 (Shrout & Bolger, 2002) 을실시했다. 구조방정식모형분석에서는다중매개효과검증시개별간접효과에관한추정치를제공하지않기때문에필요한경우팬텀변인 (phantom variable) 을설정한후부트스트랩절차를통해변인들의개별간접효과를확인했다 ( 배병렬, 2011). 부트스트랩절차는 Shrout와 Bolger(2002) 가제안한방법에따라, 본연구의원자료 (N=356) 로부터무선할당으로만들어진 10000개의표본에서간접효과를추정했고, 간접효과의 95% 신뢰구간이 0을포함하지않을때, α=.05 수준에서통계적으로유의한것으로판단했다. - 180 -
여고생의내현적자기애가부정적정서에미치는영향 : 정서적고통감내력, 자기위로능력의매개효과 결과 각변인별기술통계및상관 모형검증에앞서, 측정변수들의평균및표준편차, 왜도와첨도, 그리고변수간상관계수를 < 표 1> 에제시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에서는각변인들이정상분포조건을충족시키지못할경우, 연구결과가왜곡될수있다. 그런데구조방정식모형에서의정상분포곡선 ( 왜도 <2, 첨도 <4) 을고려했을때 (Hong, Malik, & Lee, 2003), 본연구에서사용한변인들의왜도와첨도는구조방정식모형을적용하는데필요한정상분포조건을충족시키고있다. 다음으로, 다중공선성문제를확인하기위해 VIF 지수를살펴보았다. 예측변인간상관이클수록다중공선성의문제가우려되는데 (Marsh, Martin, James, & Richard, 2004), 본연구에서는부정적정서를종속변수로설정하고, 나머지변인들의 VIF지수를확인해본결과, 1.79 1.97까지분포하여다중공선성의문제가우려될수준 VIF >10( 송병호, 최규정, 2000) 이아님을알수있고, 결과적으로다중공선성의문제가없다고판단하였다. 대체적으로변수간에는유의한상관이존재하는것으로나타났다. 주요변인들간의관계를살펴보면, 특히, 정서적고통감내력과자기위로능력 ( =.63) 및내현적자기애와정서적고통감내력 ( =-.62) 이밀접한관련성을나타내었고, 내현적자기애와부정적정서 ( =.58) 및내현적자기애와자기위로능력 ( =-.58), 자기위로능력과부정적정서 ( =-.53) 및정서적고통감내력과부정적정서 ( =-.52) 도밀접한관련성을보였다. 측정모형의검증 구조모형검증에앞서, 15개의측정변수들이여고생들의내현적자기애, 정서적고통감내력, 자기위로능력, 부정적정서총 4개의잠재변수를적절히구인하고있는지확인하기위해 AMOS를사용하여확인적요인분석을실시하였다. 그결과, 측정모형의적합도는좋은것으로나타났다 : (df=84, N=356)=255.69, <.001, CFI=.95, TLI=.94, RMSEA=.076(90% 신뢰구간.065.087). 측정모형에서측정변수들은잠재변수에.52.97까지적재된것으로나타났고, 모두 <.001 수준에서통계적으로유의하였다. 보다구체적으로, 측정변수에대한잠재변수의요인부하량은내현적자기애는.52.97, 자기위로능력은.77.85, 정서적고통감내력은.60.91, 부정적정서는.87.92로나타났다. - 181 -
< 표 1> 주요변수들의평균과표준편차, 왜도및첨도, 변수간상관계수 (N=35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 목표불안정 1 2. 인정욕구.20** 1 3. 착취.21**.53** 1 4. 과민.51**.61**.55** 1 5. 소심.48**.37**.36**.68** 1 6. 조절 -.17** -.32** -.27** -.36** -.27** 1 7. 감내력 -.28** -.40** -.37** -.62** -.43**.48** 1 8. 평가 -.35** -.44** -.38** -.63** -.50*.57**.76** 1 9. 자기위로 1 -.19** -.37** -.34** -.54** -.34**.36**.55**.57** 1 10. 자기위로 2 -.34** -.33** -.36** -.61** -.42**.28**.51**.50**.64** 1 11. 자기위로 3 -.34** -.26** -.30** -.53** -.37**.29**.50**.52**.62**.71** 1 12. 부정정서 1.35**.38**.39**.62**.46** -.32** -.46** -.48** -.43** -.46** -.43** 1 13. 부정정서 2.31**.34**.38**.57**.42** -.35** -.46** -.44** -.37** -.50** -.43**.86** 1 14. 부정정서 3.27**.38**.39**.49**.28** -.31** -.45** -.40** -.35** -.45** -.41**.79**.80** 1 15. 부정정서 4.33**.38**.36**.59**.40** -.27** -.45** -.46** -.40** -.49** -.45**.83**.83**.82** 1 평균 2.95 3.06 2.24 2.79 2.85 3.48 3.39 3.45 3.22 3.08 2.98 2.49 2.42 2.60 2.54 표준편차 0.83 0.71 0.65 0.76 0.72 0.77 0.93 0.76 1.10 1.02 0.96 0.80 0.81 0.89 0.83 왜도 -.01.07.41.12.07 -.02 -.34 -.27 -.24 -.00 -.00.21.18.20.36 첨도 -.32 -.20.32 -.41 -.28 -.21 -.47 -.18 -.71 -.51 -.42 -.49 -.66 -.49 -.14 * p<.05, ** p<.01 가능한점수범위 : 내현적자기애 (1 5), 정서적고통감내력 (1 5), 자기위로능력 (1 5), 부정정서 (1 5)
여고생의내현적자기애가부정적정서에미치는영향 : 정서적고통감내력, 자기위로능력의매개효과 구조모형의검증 여고생의내현적자기애를예언변수로, 정서적고통감내력과자기위로능력을매개변수로, 부정적정서를종속변수로하는모형이경험적자료와잘맞는지를알아보기위하여연구모형과경쟁모형을설정하여적합도를검증하였고, 결과는 < 표 2> 에제시하였다. 먼저본연구의연구모형을검증한결과, 좋은적합도를보였다 : (df=84, N=356)=255.69, <.001, CFI=.95, TLI=.94, RMSEA=.076(90% 신뢰구간.065.087). 경쟁모형들도대체로좋은적합도를보였다. 그런데본연구에서는경쟁모형이연구모형에내재되어있으므로 차이검증을실시하여직접비교하는것이가능하다. 연구모형과경쟁모형중에서가장적합도가좋은경쟁모형2 의 차이검증을실시한결과, 의차이값은 30.75로그차이가유의하였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모형간비교를통해더복잡한모형인연구모형을 [ 그림 5] 의최종모형으로채택하였다. < 표 2> 연구모형과경쟁모형의적합도지수 적합도 df TLI CFI RMSEA(90% 신뢰구간 ) 연구모형 255.69 84.94.95.076(.065 0.087) 경쟁모형1 287.46 85.93.95.082(.071 0.092) 경쟁모형2 286.44 85.93.95.082(.072 0.092) 경쟁모형3 313.47 86.93.94.086(.076 0.097) 최종모형검증 최종모형을검증한결과, 5개의직접경로가모두유의하였다. 최종모형의표준화된경로계수와모수추정결과는 < 표 3> 과 [ 그림 3] 에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살펴보면, 내현적자기애가정서적고통감내력에미치는영향이가장큰것으로나타났다 ( =-.73). 다음으로정서적고통감내력이자기위로능력에미치는영향 ( =.43), 내현적자기애가부정적정서에미치는영향 ( =.42), 내현적자기애가자기위로능력에미치는영향 ( =-.39) 및자기위로능력이부정적정서에미치는영향 ( =-.23) 이모두유의하였다. - 183 -
김혜원 이지연 < 표 3> 최종모형의모수추정결과 (N=356) 경로 비표준화회귀계수 표준화회귀계수 표준오차 내현적자기애 정서적고통감내력 -0.26-0.73 0.03-7.69*** 내현적자기애 부정적정서 0.56 0.42 0.11 5.04*** 내현적자기애 자기위로능력 -0.17-0.39 0.04-4.97*** 정서적고통감내력 자기위로능력 0.52 0.43 0.10 5.32*** 자기위로능력 부정적정서 -0.70-0.23 0.24-2.89** 정서적고통감내력 부정적정서 -0.34-0.09 0.30-1.14 * p<.05, ** p<.01, *** p<.001 t 자기위로 1.77 자기위로 2 자기위로 3.85.81 목표불안정인정욕구착취과민소심.52.62.58.97.70 자기위로 -.39 *** 능력 -.23 ** 내현적자기애 -.73 ***.43 ***.42 *** 정서적고통감내력 -.09 부정적정서.92.92.91.87 부정정서 1 부정정서 2 부정정서 3 부정정서 4.60.84.91 조절감내력평가 [ 그림 5] 최종모형 매개효과검증 최종다중매개모형의개별매개효과에대한통계적유의성을검증을실시하기위해팬텀변수를사용한접근법 (Chan, 2007) 을사용하였고, 95% 신뢰구간이 0을포함하지않을때, α =.05 수준에서간접효과가유의하다고판단하는 Bootstrap 검증을실시하였으며, 그결과를 < 표 4> 에제시하였다. < 표 4> 에서볼수있듯이, 최종모형에서내현적자기애와부정적정서의관계에서자기위로능력의매개효과비표준화계수는.12, 95% Bias-corrected CI=[.041,.245] 로유의하였고, 내 - 184 -
여고생의내현적자기애가부정적정서에미치는영향 : 정서적고통감내력, 자기위로능력의매개효과현적자기애와자기위로능력의관계에서정서적고통감내력의매개효과비표준화계수는 -.136, 95% Bias-corrected CI=[-.211, -.08] 로유의하였고, 내현적자기애와부정적정서의관계에서정서적고통감내력과자기위로능력의이중매개효과의비표준화계수는.094, 95% Bias-corrected CI=[.035,.196] 으로유의하였으며, 정서적고통감내력과부정적정서의관계에서자기위로능력의매개효과비표준화계수는 -.364, 95% Bias-corrected CI=[-.722, -.137] 로유의하였다. < 표 4> 부스트래핑을통한간접효과분석결과 (N=356) 경로 내현적자기애 자기위로능력 부정적정서 내현적자기애 정서적고통감내력 자기위로능력 내현적자기애 정서적고통감내력 자기위로능력 부정적정서 정서적고통감내력 자기위로능력 부정적정서 * p<.05, ** p<.01, *** p<.001 간접효과 (95% 신뢰구간 ) 0.12* (.041.245) -0.136* (-.211 -.08) 0.094* (.035~.196) -0.364* (-.722 -.137) 논의 본연구는여고생의내현적자기애가부정적정서에영향을미치는과정에서정서적고통감내력과자기위로능력의역할을규명하고, 본연구를통해여고생의부정적정서를감소시키고, 무엇보다내현적자기애와부정적정서를매개하는변인에대한확인을통해궁극적으로내현적자기애가높은여고생들의상담및프로그램개발에서치료적초점이될수있는개입을모색하는데기여하고자하였다. 본연구의결과를중심으로한논의는다음과같다. 첫째, 내현적자기애가높을수록정서적고통감내력이떨어지고, 자기위로능력이낮으며, 부정적정서는높게나타났다. 이상의결과는자기애적성격장애를지닌경우에정서적고통감내력이떨어진다는 Goodman 과 Leff(2011) 의연구와자기애적성격장애의대표적특성가운데하나인타인의인정에대한요구신념이과도하게클수록정서적고통감내력이떨어진다는것을보고한장하연과조용래 (2012) 의연구결과와도일치한다. 또한내현적자기애성향이자기위로능력과부적상관을보이고 ( 공세영, 2014), 자기위로능력증진이자기애성성격장애를치료하는데효과가있으며 ( 권영, 2014), 자기위로능력이부모의공감적 - 185 -
김혜원 이지연 양육태도를내면화하여이루어지기때문에부모의공감실패와밀접한관련이있는내현적자기애의경우, 자기위로능력이떨어질것이라는 Kohut(1971) 의주장과일치한다. 그리고내현적자기애가높을수록공격성, 불안, 분노, 수치심, 우울등부정적정서를더경험한다고보고한선행연구들과일치한다 ( 강선희, 정남운, 2002; 강예모, 김정규, 2012; 이준득, 2005; 조민혜외, 2014; Hart & Joubert, 1996). 다음으로정서적고통감내력이높을수록자기위로능력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결과는정서적고통감내력이낮을수록회피적대처방식등의부적절한정서조절방식을사용하고 ( 박우리, 2016; 안계훈, 2014; Brandt et al., 2013; Hayes et al., 1996; Iverson et al., 2012; Linehan, 1993; McHugh, Reynolds, Leyro, & Otto, 2013; McHugh et al., 2014; Mullance, 2011; O Cleirigh et al., 2007; Otto, Safren, & Pollack, 2004; Simons & Gaher, 2005), 경험회피를많이할수록자기위로능력이떨어진다는연구 ( 안계훈, 2014) 및자신이느끼는감정을피하지않고그것이무엇인지알아야스스로를위로하는것도가능하다는연구 ( 공세영, 2014) 와흐름을같이한다. 비록정서적고통감내력과자기위로능력의직접적인관계를살펴본경험적연구가없어서본연구결과와직접비교는곤란하지만, 이는선행연구들을통한종합적추론과일치하는결과라고할수있겠고, 정서적고통감내력이자기위로능력에선행하여영향을미칠수있는변인이라는것을알수있다. 마지막으로자기위로능력이높을수록부정적정서를덜경험하는것으로나타났는데, 이는자기위로능력이떨어질수록부정적정서를더많이경험한다고보고한박효서 (1999) 및적응적인정서조절방식을보일수록긍정적인정서를높게경험한다는 Gross 와 John(2003) 의연구결과와일치한다. 둘째, 여고생의내현적자기애와부정적정서의관계를자기위로능력이부분매개하는것으로나타났다. 즉, 내현적자기애단일변인으로도부정적정서를유의하게예측하지만, 동시에내현적자기애가부정적정서에영향을미치는과정에서자기위로능력이매개한다는의미는내현적자기애가자기위로능력을통하여부정적정서에영향을주는발생적기제를의미하는것으로, 자기위로능력이내현적자기애와부정적정서를연결하는하나의통로라는것이다. 본연구결과를통해, 자기위로능력을상담현장에서잘활용하여내현적자기애가높은여고생들이스스로자신을위로할수있는능력을증진혹은강화하는데초점을맞춘상담프로그램을제공하여부정적정서를경감시키는데초점을맞출필요가있겠다. 이는내현적자기애가높을경우, 부적응적인지적정서조절전략을사용하고, 이로인해부정적정서를더크게느낄가능성이있다고보고한최정인 (2009) 의연구결과와맥을같이한다고할수있겠다. 그러나본연구결과는내현적자기애, 자기위로능력, 부정적정서를하나의모형안에서살펴보며자기위로능력의매개효과를살펴본선행연구가없기에본연구결과와직접비교는불가능하다. 따라서추후연구를통해자기위로능력의매개효과를재검증해보는것이필요하겠다. - 186 -
여고생의내현적자기애가부정적정서에미치는영향 : 정서적고통감내력, 자기위로능력의매개효과셋째, 여고생의내현적자기애가높을수록정서적고통감내력이낮았고, 정서적고통감내력이낮을수록자기위로능력도떨어졌으며, 결과적으로부정적정서를더많이느끼는것으로나타났다. 본연구결과를통해내현적자기애가부정적정서에영향을미치는과정에서정서적고통감내력과자기위로능력이이중매개한다는것을알수있다. 즉, 내현적자기애와부정적정서의관계에서낮은정서적고통감내력과자기위로능력이부정적정서의정도를높이는데중요한역할을하고있다는것을경험적으로입증한것이다. 이는결국불안경험그자체보다불안경험을감내해내는능력의부족이임상적으로문제가된다는것을밝힌유성진 (2010) 의연구와낮은고통감내력이회피적대처를유발할수있기때문에고통감내력을증진시킴으로써회피적대처를줄이는것이중요한치료적요소임을시사한선행연구 (Leyro, Zvolensky, & Bernstein, 2010) 와부분적으로흐름을같이한다. 또한정서적고통감내력과걱정을경험회피가완전매개한다는것을확인한안계훈 (2014) 의연구결과및내현적자기애와자기위로능력을경험회피가부분매개한다는것을확인한공세영 (2014) 의연구결과와도맥을같이한다. 사실상내현적자기애는일종의성격구조이기에상담및치료에많은시간을필요로하며, 단기적개입으로변화되기가어려울수있다 ( 권은미외, 2009). 따라서본연구를통해확인된자기위로능력의매개효과, 정서적고통감내력과자기위로능력의이중매개효과를통해이변인들이중요한치료적중재의통로가될수있다는것을알수있다. 결국여러이론가들이언급한것처럼양육자의지속적인이해와공감실패는내현적자기애성향을심화시킬수있고 (Kernberg, 1975; Ryckman, 2012), 내현적자기애성향을보일수록무가치함, 실망, 좌절과같은고통스럽고원치않는감정에직면하여이를버텨내는능력이떨어지며, 주로이들은부인, 억압, 회피등의부적절한정서조절방식을선택하는경향이있다 ( 최승미, 2012; 최혜정, 장문선, 2010). 이러한회피적인정서조절방식은자기위로능력에부정적인영향을미치고 ( 공세영, 2014), 결과적으로자신이원치않는감정이나생각을해결해볼기회를갖지못하게됨으로써오히려부정적정서를더떠안게되는순환고리를만들수있는것이다. 이상의연구결과는여고생의내현적자기애및부정적정서와관련된상담에서치료적개입의초점으로삼아야할부분에대한실질적인정보를제공하였다는점에서실용적의의가있다. 이를활용하여, 상담장면에서내현적자기애성향을지닌여고생을상담할경우, 상담자는이들이자신의감정을직면하기를두려워하고고통스러운감정을피하기위해다른회피적조절방식을사용할가능성이있음을예상할필요가있다. 또한상담자는무엇보다공감적태도를지니고 (Kohut, 1971), 이들이경험적상황속에서느낄것이라고예상되는생각이나감정을알아차리고, 읽어주며, 때로부드러운직면 (Kernberg, 1975) 을하는것이필요하겠다. 고통스러운감정을피하지않고직면할수있어야그러한감정을더적응적으로다룰 - 187 -
김혜원 이지연 수있고 ( 김은영, 2009), 자신의감정을알고그것을자신의것으로받아들일수있어야그경험에대해스스로를위로할수있는능력을키우는것도가능하기때문에 ( 공세영, 2014), 무엇보다정서적고통감내력을키우는것이우선되어야하는것이다. 궁극적으로이러한상담과정을통해내담자의정서적고통감내력과자기위로능력이향상되면내현적자기애성향을지녔더라도이들의부정적정서를경감시키고, 궁극적으로치료예후를높일수있을것이다. 이러한실용적의의외에도본연구는이론적으로만기술되고실증적연구가거의이루어지지않은자기애, 자기위로능력, 정서적고통감내력, 부정적정서의관계를실제연구를통하여확인하였다는점에서도의의가있다. 본연구의제한점및후속연구를위한제언은다음과같다. 첫째, 본연구는수도권소재여고생에편중하여자료수집이임의적으로이루어졌고, 특히연구대상에서 3학년은배제되었기때문에본연구결과를여고생전체혹은청소년집단으로일반화하기에는한계가있다. 둘째, 본연구는내현적자기애, 정서적고통감내력, 자기위로능력, 부정적정서를자기보고식설문지를이용하여측정하였다. 그런데여고생의주관적인자기보고는실제의모습과차이가있을수있고, 자기방어나사회적바람직성의영향을받을수있으며, 고의적으로왜곡된응답을하였을가능성도배제할수없다. 특히내현적자기애가높은경우, 분노를억압하는경향이있기때문에부정적정서에대한보고도실제보다축소되어보고되었을가능성이있다. 또한고통스러운정도와고통에대한감내력은별개의개념이지만자기보고식질문지를통해고통감내력을측정할경우, 이둘을정확하게변별해서평가하기어렵다는한계가있다 (Oser, Trafton, Lejuez, & Bonn-Miller, 2013). 따라서추후연구에서는연구방법을다양화하여연구변인들을살펴볼필요가있겠다. 셋째, 본연구는예측변인매개변인, 준거변인을동일한시기에자기보고식으로측정한횡단연구이다. 따라서이들의인과관계에대해분명한결론을내리기에어려움이있다. 게다가본연구에서사용한변인들간에는개념적순환이있을수있다. 즉, 정서적고통감내력이떨어지기때문에부정적정서를더많이경험할수도있고, 부정적정서를더많이경험하기때문에이를감내하고, 자기를위로하는것이어렵다고보고했을가능성이있다. 따라서보다정확한연구가되려면변인들간의시간적순서를고려한단기종단연구를통해이들의인과관계를보다분명히할필요가있다. 넷째, 선행연구들을살펴보면, 정서적고통감내력이낮을경우, 부정적정서를피하기위해다른부정적수단 ( 예 : 약물사용, 폭식 ) 을사용할수있다고하였다. 따라서본연구에서사용한연구모형을확장하여특정한정신병리 ( 예 : 여자청소년의폭식 ) 변인까지하나의모형안에포함시켜연구모형을검증해볼필요가있겠다. - 188 -
여고생의내현적자기애가부정적정서에미치는영향 : 정서적고통감내력, 자기위로능력의매개효과다섯째, 본연구에서유의미한매개혹은이중매개변인으로밝혀진자기위로능력과정서적고통감내력을증진시키기위한치료적개입에대해서는아직연구가활발하게진행되지않은실정이다. 또한정서적고통감내력을증진시키기위한방법으로노출, 수용, 마음챙김, 주의분산등이제안되고는있으나효과검증이되지않은상황이다. 따라서자기위로능력과정서적고통감내력을실질적으로증진시키기위한다양한치료적중재기법을개발할필요가있겠다. 이상언급한제한점에도불구하고본연구는내현적자기애의영향으로인해높은부정적정서를경험하는여고생을상담할때, 실질적인치료적효과를이끌가능성이큰심리내적영역에대한정보를제공하였다는점에서의의가있고, 본연구의결과가내현적자기애및부정적정서를호소하는여고생을상담하는데있어치료적접근의근거자료로활용될수있기를기대한다. 참고문헌 강선희, 정남운 (2002). 내현적자기애척도의개발및타당화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및심리치료, 14(4), 969-990. 강예모, 김정규 (2012). 청소년의내현적자기애가사회불안에미치는영향자의식의매개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지, 12(3), 331-348. 고소희 (2000). 성인애착유형이자기위로능력과자의식에미치는영향. 한양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공세영 (2014). 남자청소년의내현적자기애성향이자기위로능력에미치는영향 : 경험회피의매개효과. 서강대학교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행복의과학적탐구-. 서울 : 학지사. 권석만 (2014). 현대이상심리학. 서울 : 학지사. 권석만, 한수정 (2000). 자기애성성격장애 : 지나친자기사랑의함정. 서울 : 학지사. 권영 (2014). 청소년의집단따돌림피해경험과분노행동관계에서자기위로능력의조절효과. 아주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권은미, 신민섭, 김은정 (2009). 내현적자기애가사회공포증에미치는영향 : 사회적자기효능감의매개효과를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 일반, 28(3), 627-642. 김미진, 민선희, 이지연 (2010). 청소년의대상관계수준과낙관성간의관계에서자기위로능력의매개효과. 청소년시설환경, 8(2), 13-22. 김선미, 서경현 (2015). 내현적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간의관계-경험회피의매개효과를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20(3), 587-603. - 189 -
김혜원 이지연 김은영 (2009). 정서인식의명확성과대인관계문제의관계 : 인지적정서조절의매개효과. 카톨릭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김진숙, 김창대, 이지연 (2007). 대상관계이론과실제. 서울 : 학지사. 김진희 (2011). 청소년의자기애성향과분노표현의관계에서인지적정서조절의중재효과.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김혜경 (2010). 청소년의자기애성향및자기개념명확성이분노에미치는영향.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박성아 (2010). 경계선성격장애성향자의정서에대한두려움과고통감내력. 서울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박세란, 신민섭, 이훈진 (2005). 외현적 내현적자기애의자기평가와정서특성.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24(2), 255-266. 박우리 (2016). 부정정서조급성과고통감내력이섭식통제상실에미치는영향 : 정서인식명확성의조절효과. 서울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박효서 (1999). 자기위로능력이스트레스대처방식과심리적안녕감에미치는영향. 한양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배병렬 (2011). AMOS 19.0 구조방정식모델링 : 원리와실제. 서울 : 청람. 백승혜, 현명호 (2008). 내현적, 외현적자기애성향자의적대감, 분노경험수준및분노표현양식.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27(4), 1001-1017. 서경현, 양승혜 (2010). 심리적스트레스반응과주관적웰빙에대한자기애와자존감의역할.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15, 653-671. 서수균, 권석만 (2002). 자존감및자기애성향과공격성의관계.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21(4), 809-826. 송병호, 최규정 (2000). 다중공선성에관한연구. 통계연구소논문지, 2(1), 61-93. 안계훈 (2014). 정서적고통감내력과불확실성에대한인내력부족이걱정증상에미치는영향 : 경험회피의매개효과. 아주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안신호, 이승혜, 권오식 (1993). 정서의구조 : 한국어정서단어분석.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 7(1), 107-123. 원주식 (2006). 내현적자기애성향이우울에미치는영향 : 부정적평가에대한두려움과주관적좌절경험, 사회적으로부과된완벽주의를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오강섭, 여인중, 이시형 (1994). 발병연령에따른사회공포증의임상고찰. 신경정신의학회, 33(5), 953-959. 유성진 (2010). 불안증상의발현에서위험회피기질과체험회피시도의역할 : 불안감내력장 - 190 -
여고생의내현적자기애가부정적정서에미치는영향 : 정서적고통감내력, 자기위로능력의매개효과애의개념화. 서울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윤성민, 신희천 (2007). 내현적자기애가사회적상호작용불안에미치는영향 : 경험회피의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및심리치료, 19(4), 967-982. 윤언정 (2009). 부 모의심리적통제, 과잉기대및청소년의자기애와공격성간의인과적관련성. 부산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이국화, 하은혜 (2009). 청소년의외상경험과사회불안의관계에서자기효능감의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학교, 6(1), 1-18. 이상미 (2009). 내현적자기애와청소년의우울및자기효능감간의관계. 대구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이선미 (2011). 청소년의부정적정서와신체화증상의관계-신체감각증폭지각및신체적귀인의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이세연 (2007). 청소년의자기애및자아존중감과공격성의관계.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이준득 (2005). 내현적 외현적자기애성향자의분노특성. 서울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이준득, 서수균, 이훈진 (2007). 내현적 외현적자기애성향자의자기개념명료성과부정적정서특성.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26(2), 463-477. 임혜령 (2015). 내면화된수치심과분노표현양식의관계에서고통감내력의매개효과. 전북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장하연, 조용래 (2012). 타인의인정에대한과도한요구신념과정서적고통감내력이사회적수행불안에미치는영향. 인지행동치료, 12(3), 299-313. 전희정 (1999). 청소년의자기위로능력과우울및불안과의관계.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정남운 (2001). 과민성자기애척도 (the Hypersensitive Narcissism Scale) 타당화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및심리치료, 13(1), 193-216. 정승아, 오경자 (2005). 자기불일치가사회불안에영향을미치는기제 : 자의식의매개효과와자기제시동기의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24(4), 887-901. 정지현 (2015). 고통감내력과정신건강의관계 : 주관적 행동적고통감내력이우울및불안에미치는영향. 서울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조민혜, 이은진, 이지연 (2014). 초등교사의내현적자기애와소진의관계에서수치심의매개효과. 아시아교육연구, 15(3), 203-221. 최두환 (2013). 청소년의내현적자기애와관계적공격성간의관계 : 내면화된수치심과분노반추의매개효과. 충북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최미례, 이인혜 (2003). 스트레스와우울의관계에대한자아존중감의중재효과와매개효과. - 191 -
김혜원 이지연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2(2), 363-383. 최승미 (2012). 대학생의자기애성향과분노표현양식, 방어기제유형의관계. 건국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최정인 (2009). 평가적피드백에따른자기애성향자의자존감변화및정서조절방략. 서울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최지영 (2013). 중학생의내현적자기애, 분노표현양식및공감능력이대인관계문제에미치는영향. 전북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최혜정, 장문선 (2010). 외현적 내현적자기애성향집단의 mmpi-2 프로파일유형과자아방어기제특징. 상담학연구, 11(2), 539-554. 한혜림 (2004). 자기애가사회불안에미치는영향 : 수치심경향성을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Akhtar, S., & Thomson, J. A. (1982). Overview: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9, 12-20.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 411-423. Anestis, M. D., Selby, E. A., Fink, E., & Joiner, T. E. (2007). The multifaceted role of distress tolerance in dysregulated eating behaviors.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40, 718-726.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2), 238-246. Bleiberg, M. D. (1994). Normal and Pathological Narcissism in Adolescence. American Journal of Psychotherapy, 48(1), 30-51. Brandt, C. P., Zvolensky, M. J., & Bonn-Miller, M. O. (2013). Distress tolerance, emotion dysregulation, and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HIV+ individual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7(3), 446-455. Brown, R. A., Lejuez, C. W., Kahler, C. W., & Strong, D. R. (2002). Distress tolerance and duration of past smoking cessation attempt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2, 448-456. Chan, W. (2007). Comparing indirect effects in SEM: A sequential model fitting method using covariance-equivalent specifica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4(2), 326-346. Clen, S. L., Mennin, D. S., & Fresco, D. M. (2011).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M. J. Zvolensky, A. Bernstein, & A. A. Vujanovic (Eds). Distress tolerance: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New York: The Guilford Press. Gaher, R., Hofman, N., Simons, J., & Hunsaker, R. (2013). Emotion regulation deficits as - 192 -
여고생의내현적자기애가부정적정서에미치는영향 : 정서적고통감내력, 자기위로능력의매개효과 mediators between trauma exposure and borderline symptom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7(3), 466-475. Glassman, E. J. (1988). Development of a self-report measure of soothing receptivity.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50(9-B), 4218. Gilligan, C. (1982). In a different voice. Cambridge, MA: Havard Univesity Press. Goodman, C. L., & Leff, B. (2011). The everything guide to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Professional, reassuring advice for coping with the disorder - at work, at home, and in your family. www. adamsmedia. com: Adams Media. Gross, J. J., & John, O. P. (2003). Individual differences in two emotion regulation processes: Implications for affect, relationships, and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 348-362. Hair, J. F., Anderson, R. E., Tatham, R. L., & Black, W. C. (1992).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s.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Hart, P. H., & Joubert. C. E. (1996). Narcissism and hostility. Psychological Reports, 79, 161-162. Hayes, S. C., Wilson, K. G., Gifford, E. V., Follette, V. M., & Strosahl, K. (1996). Experiential avoidance and behavioral disorders: A functional dimensional approach to diagnosis and treatmen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4(6), 1152-1168. Hendin, H. M., & Cheek, J. M. (1997). Assessing hypersensitive narcissism: A reexamination of Murray s Narcism Scal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1, 588-599. Hong, S., Malik, M. L., & Lee, M. K. (2003).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non-western s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y Measurement, 63(4), 636-654. Hotchkiss, S. (2003). Why is it always about you?: The seven deadly sins of narcissism. FreePress. ( 이세진역. 나르시시즘의심리학 ). 서울 : 교양인. Iverson, K. M., Follette, V. M., Pistorello, J., & Fruzzetti, A. E. (2012). An investigation of experiential avoidance, emotion dysregulation, and distress tolerance in young adult outpati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ymptoms. Personality Disorders: 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3(4), 415-422. Kernberg, O. F. (1975). Borderline conditions and pathological narcissism. New York: Jason Aronson. Kohut, H. (1971). The Analysis of the Self.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Kohut, H. (1977). The Restoration of the Self.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Kraemer, K. M., Luberto, C. M., & McLeish, A. C. (2013). The moderating role of distress - 193 -
김혜원 이지연 tolerance in the association between anxiety sensitivity physical concerns and panic and PTSD-related re-experiencing symptoms. Anxiety, stress, and coping, 26, 330-342. Leyro, T. M., Zvolensky, M. J., & Bernstein, A. (2010). Distress tolerance and psychopathological symptoms and disorders: A re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among adults. Psychological Bulletin, 136, 576 600. Linehan, M. M. (1993).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New York: Guilford Press. MacCallum, R. C., Browne, M. W., & Sugawara, H. M. (1996). Power analysis and determination of sample size for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Psychological Methods, 1(2), 130-149. Marsh, H. W., Martin, D., James, P., & Richard, W. (2004). Why multicollinearity matters: A reexamination of relations between self-efficacy, self-concept, and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6(3), 518-522. McHugh, R. K., Daughters, S. B., Lejuez, C. W., Murray, H. W., Hearon, B. A., Gorka, S. M., & Otto, M. W. (2011). Shared variance among self-report and behavioral measures of distress intoleranc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5(3), 266-275. McHugh, R. K., Kertz, S. J., Weiss, R. B., Baskin-Sommers, A. R., Hearon, B. A., & Bjorgvinsson, T. (2014). Changes in distress intolerance and treatment outcome in a Partial Hospital Setting. Behavior Therapy, 45(2), 232-240. McHugh, R. K., Reynolds, E. K., Leyro, T. M., & Otto, M. W. (2013). An examination of the association of distress intolerance and emotion regulation with avoidanc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7(2), 363-367. Moser, M. L. (1991). Transitional object and their relationship to self-soothing mechanism in latency aged children. California school of professional psychology. Mullane, C. N. (2011). Distress tolerance, experiential avoidance, and negative affect: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eating behavior and BMI. Ph. D. dissertation submitted to the University of Tennessee. O Cleirigh, C., Ironson, G., & Smits, J. A. (2007). Does distress tolerance moderate the impact of major life events on psychosocial variables and behaviors important in the management of HIV?. Behavior therapy, 38(3), 314-323. Oser, M. L., Trafton, J. A., Lejuez, C. W., & Bonn-Miller, M. O. (2013). Differential associations between perceived and objective measurement of distress tolerance in relation to antiretroviral treatment adherence and response among HIV-positive individuals. Behavior Therapy, 44, 432-442. - 194 -
여고생의내현적자기애가부정적정서에미치는영향 : 정서적고통감내력, 자기위로능력의매개효과 Otto, M. W., Safren, S. A., and Pollack, M. H. (2004). Internal cue exposure and the treatment of substance use disorders: Lessons from the treatment of panic disorder.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18(1), 69-87. Rathvon, N., & Holmstrom, R. W. (1996). An MMPI-2 Portrait of Narcissism.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66, 1-19. Rose, P. (2002). The happy and unhappy faces of narcissis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3(3), 379-391. Russell, D. W., Kahn, J. H., Spoth, R., & Altmaier, E. M. (1998).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 18-29. Ryckman, R. M. (2012). Theories of Personality (10th ed). ( 장문선, 곽호완, 고재홍역. 성격심리학 ). 서울 : 박학사.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in counseling psycholog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7(1), 1-10. Simons, J. S., & Gaher, R. M. (2005). The distress tolerance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Motivation and Emotion, 29(2), 83-102. Vujanovic, A. A., Hart, A. S., Potter, C. M., Berenz, E. C., Niles, B. L., & Bernstein, A. (2013). Main and interactive effects of distress tolerance and negative affect intensity in relation to PTSD symptoms among trauma-exposed adults.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35, 235-243. Vujanovic, A. A., Marshall-Berenz, E. C., & Zvolensky, M. J. (2011). Posttraumatic stress and alcohol use motives: The incremental and mediating role of distress tolerance. Journal of Cognitive Psychotherapy, 25, 130-141.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1063-1070. Wink, P. (1991). Two Faces of Narciss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4), 590-597. Zvolensky, M. J., Berstein, A., & Vujanovic, A. A. (2011). Distress tolerance: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New York: The Guilford Press. [ 원고접수일 : 2016. 04. 11. / 수정원고접수일 : 2016. 06. 01. / 게재결정일 : 2016. 06. 07.] - 195 -
청소년상담연구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016, Vol. 24, No. 1, 173-196 Covert Narcissism and Negative Emotions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Distress Tolerance and Self-report of Soothing Receptivity Kim, Hye Weon Lee, Jee-Y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The present study aim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istress tolerance and self-report of soothing receptivity on the association betwee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convert narcissism and negative emo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56 high school female students, and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when higher scores on covert narcissism were associated with lower scores on emotional distress tolerance, decreased self-report of soothing receptivity scores and higher levels of negative emotions were found. Study has shown that higher scores on emotional distress tolerance were associated with higher scores on self-report of soothing receptivity. Moreover, higher scores on self-report of soothing receptivity were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negative emotions. Second, (increased) self-report of soothing receptivity score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negative emotion. Covert narcissism had an effect on negative emotion through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on of emotional distress tolerance and self-report of soothing receptivity. Discussion of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presented. Key words : covert narcissism, emotional distress tolerance, self-report of soothing receptivity, negative emotion, mediational effect - 19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