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52 야생동물의 침입 예방법 옛 기술 및 지혜 1) ꡔ제민요술ꡕ 에는 들깨[荏]를 서술하면서 참새가 들깨를 쪼슬러 먹기 때문에 반드 시 인가가 가까운 근처에 심어야 한다 라 하여 참새가 들깨를 선별적으로 선호하며 가 해하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하여 항상 관리할 수 있는 인근에 심도록 말하고 있다. 또 일반적으로 오곡을 심는 밭이 길가에서 가깝게 있으면 온갖 가축들이 뜯어 먹게 됨으로 밭 가까운 곁에다 참깨와 암삼을 심어서 이들 피해를 막아야 한다. 참깨는 가 축들이 먹지 않고, 암삼은 끝 부분을 뜯어 먹어서 오히려 곁가지를 크게 자라 나오게 한다 라 하였다. 과원울타리로 멧대추를 심어두면 또한 이듬해 봄이 되어 다시 끝가 지(末枝)를 잘라내고 또한 높이를 요량하되 7자 정도면 충분하다. 높이는 다음 번에 달성할 높이를 요량하여 정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해 놓으면 이 높이에 이르지 못하 는 자도 부끄러워 웃으며 돌아가고, 외로운 이리[狼]도 역시 체념하며 저 스스로 쉴 자리를 찾아 돌아간다. 길가는 행인은 이런 모습을 보고서 감탄하여 마지 못한다 라 하였다. 잡설(雜說)로서 회남만필술(淮南萬畢術)ꡕ에는 여우의 눈과 이리의 머리[뇌]를 흙발라 막으면 쥐도 제 구멍을 피해 나간다 고 하였다. 풀이 하건데, 여우의 두 눈처 럼 큰 이리의 머리(뇌) 3개를 얻어 3천 개의 절구로 찧어서 쥐구멍을 바르고 쥐를 쫓 는다 라 하였다. 2) ꡔ농상집요ꡕ 에는 일반적으로 오곡을 심는 밭이 길가에서 가깝게 있으면 온갖 가축 들이 뜯어 먹게 됨으로 밭 가까운 곁에다 참깨와 암삼을 심어서 이런 피해를 막아야 한다. 참깨는 가축[六畜]들이 먹지 않고 암삼은 그 끝 부분을 잘라 먹어서 오히려 곁 가지를 듬뿍 자라 나오게 한다. 이를 두 작물의 열매를 거두어 들이면 좋은 등불의 원 료[기름]로 이용할 수가 있다 라 하였고 ꡔ무본신서ꡕ를 인용하여서 뺷무본신서뺸(務本新 書) : 오곡(五穀)을 심을 경우, 도로 가까운 곳의 땅에 두둑을 두게 되면 역시 틈을 나누어 차조기[蘇子]를 심는다. 온갖 가축이 뛰어드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씨를 받아 기름을 짜면 등불을 밝히는 데 아주 밝고, 담금질하는 기름으로 온갖 제품을 만들 수 있기도 한다 고 하였다. 제 6 권 작 물 보 호 관 리 편 2 427
428 온 고 이 지 신 溫 故 而 知 新 3) ꡔ사시찬요초ꡕ 에는 재미있게도 병아리가 처음 집에 왔을 때 미지근한 물에 발을 깨끗이 씻겨주면 자연히 멀리 달아나지 않는다 라는 표현도 있어서 이는 탈출을 막는 방법이었다. 4) ꡔ색경ꡕ 에도 앞의 참깨와 암삼을 설명하면서 일반적으로 오곡을 심는 경우에 사람 이 다니는 길 옆 밭에 따로 차조기를 심어 가축들이 짓밟아 작물을 못 쓰게 만드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결명자는 채마밭의 사방 가장자리에 많이 심어두면 뱀이 들어오 지 못한다 라 하였다. ꡔ증보산림경제ꡕ5)에는 서향은 뿌리가 달아서 지렁이[蚯蚓]가 먹기 좋아한다. 옷 때 를 빤 잿물이나 소변을 주어 지렁이를 없애주고 옻칠 찌꺼기로 북돋아 준다. 채소밭 사방 주위에 결명초(決明草)를 심으면 뱀이 감히 들어오지 못한다. 채소밭에는 죽은 뱀이나 죽으려는 것은 두지 말아야 한다. 또 사향 향기에 닿는 것을 꺼린다. 오이 종 6) 7) 류는 반드시 씨를 맺지 못 한다 라 하였다. 이에 대하여 ꡔ고사신서ꡕ 와 ꡔ해동농서ꡕ ) 에는 단지 서향의 뿌리는 달착지근해서 지렁이 등이 즐겨 파먹는다. 의복을 빤 잿물 이나 소변을 부어주면 지렁이들을 물리칠 수 있다 라 하였다. 울타리에 차조기를 심어 8) 짐승 침입을 막는 요령은 ꡔ농정회요ꡕ 에도 소개되었다. 9) ꡔ임원경제지ꡕ 에는 참새 개 멧돼지의 난입 횡포를 막는 방법들이 소개되어 있어 인용한다. 대개 곡식을 재배할 때 싹이 막 난 뒤에는 참새가 모여들어 먹는 것을 막아야 한 다. 매허수아비[鷹俑]를 세워 바람에 날리도록 하면 참새를 쫒을 수 있다 ꡔ천공개물ꡕ. 농가에서 참새를 쫓는 작업은 씨 뿌리고 모 심는 초기에만 끝나지 않는다. 모종이 한 창 자라서 아직 결실을 맺지 않았을 때 떼지어 날아와 앉아 기름진 액을 빨아 먹는다. 수확할 때가 되면 빈 껍질만 남을 뿐이어서 그 피해가 메뚜기나 메뚜기 새끼의 그것 과 다름이 없다. 농가 근처 밭의 올곡식은 참새의 횡포에 더욱 시달린다. 옛부터 명자 허수아비[案山子] 매허수아비 등으로 참새를 막았다. 하지만 처음에 는 조금 의심하여 날아다니다가 며칠이 지나 그것이 가짜라는 것을 알면 다투어 명자 나 매허수아비 위에 모여든다. 어떤 이는 참새 두 세 마리를 잡아 장대 끝에 걸어 놓 으면 참새가 전혀 오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나 이를 시험해 보았더니 역시 효과가 없 었다. 오직 밭 사방과 가운데 여러 곳에 1장 남짓한 장대를 많이 세우고 사람이나 가 축의 머리카락이나 털로 꼬아서 끈을 만든다. 이것들은 비를 맞아도 썩지 않기 때문에
한번 준비로 10년을 쓸 수 있다. 게다가 사람의 머리카락은 새나 참새가 싫어하는 것 이다. 가로세로로 이 끈을 장대 끝에 이어서 방울을 많이 걸어놓고 한 사람이 지키면 서 가끔씩 줄을 당겨 여러 방울이 서로 소리 나도록 하면 새들의 접근을 거의 그치게 할 수 있다. 노쇠하고 병약한 사람이나 어린 아이 가운데 다른 힘든 일을 맡을 수 없 는 사람들에게 이 일을 전담시킬 수 있을 것이다 ꡔ행포지ꡕ. ꡔ국어ꡕ ꡔ월어ꡕ에서 월왕 구천(句踐)이 범려(范蠡)를 불러 다음과 같이 물었다. 나는 그대와 오나라를 도모하 고 싶다. 지금 오나라의 벼는 게가 씨조차 남기지 않았으니, 그럴 수가 있는가? 대개 바닷가 포구에 접해 있는 논에는 게의 횡포가 흔히 있는데 그 피해가 참새의 횡포보 다 심하다. 이것을 물리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이 없다. 오로지 포구나 강어귀에 게 살[蟹斷]을 폭넓게 설치하고 노약자 가운데 일을 맡지 않은 사람들에게 밤새도록 그 곳을 지키게 하여 논으로 거슬러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것뿐이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게[郭索仄行]가 하룻밤 사이에 논을 비워버릴 것이다 ꡔ행포지ꡕ. 멧돼지는 벼에 해를 잘 끼친다. 베틀을 논에 두면 다시는 접근하지 않는다 ꡔ본초강목ꡕ 라 하였다. 10) 일제강점기에 앞서서 편찬된 농업근현대화의 선구교재 ꡔ농정신편ꡕ 에는 대개 참 마를 심을 때 가장 걱정되는 것은 지렁이이다. 종자를 심을 때는 반드시 자세히 살펴 보고 지렁이를 제거한다. 또 밭 가장자리에 깊이 1~자 되는 좁은 도랑을 파고 해삼 (海蔘)을 가늘게 썰어 묻으면 해삼의 기운이 지렁이를 죽일 수 있다. 피마자는 일명 당호마라고도 하는데 일반적으로 새와 짐승들이 절대로 먹지 않으므로 길옆의 밭에다 심어서 소와 말이 밭에 들어오는 것을 막는다. 토의 및 평가 농경지로 뛰어들어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각종 동물의 피해는 실로 방대하며 최근과 같이 자연생태계를 보호하는 조건하에서의 이들 방제대책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11) ꡔ재배학범론ꡕ 에 따라 실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동물해(動物害)와 그 방제 (防除) : 참새 까마귀 까치 비둘기 등의 조류(鳥類)와 쥐 두더지 토끼 두렁허 리 산돼지 등 소동물(小動物)의 피해도 크다. 이들의 피해 정도는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그 중 쥐의 피해는 광범위하고 크다. 제 6 권 작 물 보 호 관 리 편 2 429
430 온 고 이 지 신 溫 故 而 知 新 조해(鳥害)의 실상(實相) : 들새[野鳥]의 식이(食餌)에는 동물성의 것과 식물성의 것이 있는데 동물성식이(動物性食餌)는 곤충류가 주된 것이며 그 중에는 작물의 해충 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해조(害鳥)라고 생각되는 것 중에도 작물보호의 구실 을 하는 것이 많이 있다. 참새는 벼 보리를 비롯하여 그 밖의 작물의 종자를 식해하 는데 파종기와 출수기부터 성숙 및 수확 후의 건조시기에 이르기까지 해를 주며 조생 종 또는 조기재배의 경우에는 특히 피해가 크다. 까마귀는 주로 옥수수 땅콩 수박 토마토 등의 파종기와 성숙기에 피해를 주며 비둘기는 콩을 식해한다. 수해(獸害)의 실상(實相) : 쥐는 곡물과 고구마 땅콩 등 여러 가지 작물을 식해한다. 대체로 저장 (貯藏) 중에 피해가 크지만 포장(圃場)에서도 파종 직후 및 성숙기에는 상당한 피해 가 있다. 땅콩과 같은 것은 발아 후 20일이나 경과한 것도 피해를 입는 수가 있다. 두더지는 지렁이나 곤충의 유충을 잡아먹으며 작물은 거의 식해하지 않지만 땅 속을 뒤지고 다니므로 작물의 뿌리를 자르고 흙이 솟아오르게 하여 어린 작물을 고사(枯 死)하게 하며 이랑을 까뭉개는 등 그 피해가 크다. 특히 퇴비나 구비 등의 유기물을 많이 시용한 밭의 땅을 잘 뒤진다. 산돼지는 잡식성(雜食性)이어서 산간지의 전답(田 畓)에서 벼 보리 감자 등에 큰 피해를 준다. 옛날의 방법이란 매우 소극적이어서 동물들의 선별적 혹은 종합적 혐오성이나 기피 성이 있는 식생을 조성하여 근접하지 않도록 하는 일종의 생태적 예방법을 구사한 것 이었다. 소극적으로 피해를 줄이거나 회피하는 방법으로서 합리성 타당성을 갖춘 것 이겠지만 오늘날에는 보다 적극적인 대체법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결론 및 시사점 ꡔ재배학범론ꡕ에 제시된 방책을 인용한다. 조해(鳥害)의 방지법(防止法) : 현재 실시되고 있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점이 있다. ① 파종 직후의 종자를 식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파종 전에 종자에다 연단 (鉛丹)이나 콜타르 같은 것을 칠한다. ② 허수아비를 세우든가 작물 위에 가로세로 실이나 새끼줄을 치고 거기에 종이 은종이 등을 달아서 동요 반사(動搖反射)되게 하여 위협한다. ③ 공포(空砲) 또는 카바이트에 의한 아세틸렌가스를 이용한 폭음기(爆音器)를 사 용하여 위협한다.
④ 각종 새그물[鳥網]을 사용하여 집단적으로 포살(捕殺)하거나 방조망(防鳥網)을 사용하여 근접(近接)을 방지한다. ⑤ 까마귀 등은 사살(射殺)하여 밭 주위에 매달아 놓는다. 수해(獸害)의 방지법 (防止法) : 쥐의 피해를 막으려면 환경을 청결하게 하고 고양이 족제비 등 천적을 보호하며 덫을 놓아서 잡거나 쥐약을 사용한다. 독제(毒劑)의 사용이 가장 효과적이지 만 인축(人畜)에 유해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두더지는 덫을 사용하여 기계적 구제를 하거나 그 통로에 클로로피크린을 주입(注入)하거나 한다. 묘대(苗垈)에서 개구리의 피해를 막으려면 0.03a(1평)당 10g 정도의 BHC 분제를 살포하는 것이 좋다. 12) 참고로 ꡔ유기농업ꡕ 이 제시하고 있는 미래농업의 친환경적 지속성을 위하여 유지 되어야 할 종 다양성은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 유기농업 실천농가의 농경지는 생물의 종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는 현장이다. ① 유기농가는 농약사용을 금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소동물 야생동물 미생물 잡초들 을 위한 서식처를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유기농업에서 실천하는 윤작, 혼작, 간작, 피복자물, 녹비작물, 생태계의 섬 및 경운횟수 저감 등의 실천기술들은 새 곤충 미 생물을 위한 서식지를 제공하므로 생물종 다양성을 증가시킨다. 농경지 토양에서뿐만 아니라 논 밭둑 울타리 등에까지 유기농장 주변은 생명체로 가득하게 된다. 모든 균 류에서부터 지렁이 두더지같은 소동물에 이르기까지 유기농장은 풍부한 종 다양성과 함께 건강한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게 된다. 유기농업에서는 GMO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왜냐하면 GMO가 혹 인류가 받아들일 수 없는 위험을 야기할 수도 있다는 잠 재적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라 하여 새로운 생각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유해동물의 방어 대책을 어떻게 수립할 것인지는 많은 연구와 경험이 축적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인용문헌 및 시사점 1) ꡔ제민요술ꡕ 서기 530~550에 중국 후위의 가사협이 편찬한 동양최고의 종합농서 이며 생활서이다. : 雀甚嗜之, 必須近人家種矣. 凡五穀地畔近道者, 多為六畜所犯, 宜種胡麻 麻子以遮之. 胡麻, 六畜不食; 麻子齧頭, 則科大. 收此二實, 足供美燭之 費也. 又至明年春, 更剶其末, 又復編之, 高七尺便足. 欲高作者, 亦任人意. 非直姦 제 6 권 작 물 보 호 관 리 편 2 431
432 온 고 이 지 신 溫 故 而 知 新 人慚笑而返, 狐狼亦自息望而廻. 行人見者, 莫不嗟嘆, 不覺白日西移, 遂忘前途尚遠, 盤桓瞻矚, 久而不能去. 淮南萬畢術 曰 : 狐目狸臘, 鼠去其穴. 注曰 : 取狐兩 目, 狸腦大如狐目三枚, 擣之三千杵, 塗鼠穴, 則鼠去矣. 2) ꡔ농상집요ꡕ : 1273년에 중국 원나라의 대사농사들이 편찬한 대표적 관농서(官農 書). 이 책은 1349년에 우리나라(고려)에서 복간된 사실이 있어 이용성이 있었 다. : 凡五穀地畔近道者, 多爲六畜所犯, 宜種胡麻, 麻子以遮之 胡麻, 六畜不食, 麻子, 齧頭則科大 3) ꡔ사시찬요초ꡕ : 강희맹(1490년 전후)이 중국 당나라 말기의 한약에 의하여 편찬 되었던 월령식 농서 ꡔ사시찬요ꡕ를 초록하여 편찬한 농서 4) ꡔ색경ꡕ : 박세당이 1676년에 완성한 종합농업기술서 5) ꡔ증보산림경제ꡕ (1766) 유중임이 홍만선의 ꡔ산림경제ꡕ를 증보하여 편찬한 종합농서 6) ꡔ고사신서ꡕ 1771년 서명응이 관찬사업으로 편찬한 업무지침서로서의 농수산관계 농서(농포문과 목양문) 7) ꡔ해동농서ꡕ 1798~1799(?)연간에 서호수가 저술한 종합농서 기술서 8) ꡔ농정회요ꡕ 1830년대에 최한기가 중국 ꡔ농정전서ꡕ와 우리의 산림경제를 저본으로 하여 편찬한 종합농서 9) ꡔ임원경제지ꡕ 1842~1845년간에 서유구가 저술을 하였던 종합농업기술서이다. 10) ꡔ농정신편ꡕ 1885년에 안종수가 일본과 중국의 근대화 농업기술을 저본으로 쓴 농서 11) ꡔ개정재배학범론ꡕ 조재영 이은웅(2005) p234, 향문사 12) 손상목(2007) ꡔ유기농업ꡕ-참먹거리 생산의 이론과 기술-, 향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