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dx.doi.org/10.14368/jdras.2016.32.1.80 ISSN 2384-4353 eissn 2384-4272 Case Report clinical case of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using friction pin with an isolated few remaining teeth Sang-Hyuk Sohn, Jin-Hyun Cho, Sung-m Cho*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Kyo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Republic of Korea few authors have reported good clinical results using double crown removable partial denture (RPD) with a few remaining teeth.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is a good indication for a patient with poor periodontal condition and/or few remaining teeth after extraction, especially located in cross-arch position. In this case, there was a poor periodontal condition with teeth mobility. Several teeth with poor prognosis were extracted. Remaining anterior teeth was restored with fixed prostheses and edentulism was restored with Kennedy class I removable partial denture in maxilla. In mandible, it was hard to restore with clasp removable partial prostheses because of bilaterally isolated remaining teeth so that hybrid double crown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friction pin was suitable for this case. The objective of this report is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utility of hybrid double crown prostheses using a few remaining teeth in mandible. (J Dent Rehabil ppl Sci 2016;32(1):80-6) Key words: bilaterally isolated few remaining teeth; double crown removable partial denture; friction pin 서론 부분무치악을회복하는가철성국소의치는주위지지조직에의해유지및지지를얻으며주변조직의보호도필요하다. 1 하지만잔존치아의수가적고잔존치조제의양이충분하지않다면가철성국소의치의예후가불분명해지며환자도국소의치착용시에불편감을느끼게된다. 잔존지대치의수가적고, 특히고립지대치일경우이중관가철성국소의치 (double crown removable partial denture) 를사용한증례를살펴보면우수한결과가나타남을확인할수있다. 2,3 먼저이중관의특성을보면이중관은내관 (inner crown) 과외관 (outer crown) 으로구성되며내관은지대치나임플란트에영구적으로고정하고외관은가철성보철물에부착되어있다. 4 이중관은유지장치 (retention mechanism) 에따라마찰력을이용하는 telescopic crown과쐐기효과 (wedging effect) 를이용하는 conical crown으로구분할수있다. Telescopic crown은외관이내관에완전히안착되었을때힘을가해수직적움직임이없으면 rigid telescopic crown, 수직적움직임을허용하면 nonrigid 또는 resilient telescopic crown으로분류할수있다. 또한이중관사이에공간 (clearance fit) 을주어서삽입철거시마찰력이나쐐기효과가없으며부가적인부착물을이용해유지를얻을수있는방법이있다. 이것은주고비귀금속을내관과외관제작에사용할경우에적용이된다. 5 이것을 hybrid telescopic crown 이라고하며여기에는 Marburg double crown과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s with friction pin이있다. 특히프린션핀을이용한방법은전기방전법 (spark erosion) 을이용하여내 외관사이에공간 (channel) 을형성하고여 *Correspondence to: Sung-m Cho Professor,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175 Dalgubeoldae-ro, Jung-gu, 41904, Daegu, Republic of Korea Tel: +82-53-600-7672, Fax: +82-53-427-0778, E-mail: sungamcho@gamil.com; sacho@knu.ac.kr Received: October 8, 2015/Last Revision: March 17, 2016/ccepted: March 17, 2016 Copyright 2016 The Korean cademy of Stomatognathic Function and Occlusion. cc It is identical to Creative Commons Non-Commercial License. 80
clinical case of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using friction pin with an isolated few remaining teeth 기에 pin을삽입하여내관과 pin의활성화에의하여유지를조절할수있는특징을가지고있다. 6 Friction pin 을이용한비귀금속 double crown은두가지장점이있다. 7 첫번째로 friction pin은면적이작은부위에평행하게적용가능하여내관의부피를최소한으로줄일수있다. 이는외관의면적을최대한이용할수있게하여심미적인제작이가능하게한다. 두번째로 friction pin을사용했을때유지력의조정이가능하고파절이일어나도수리가용이하다.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은지대치와가철성의치가견고하게연결되기때문에지대치의움직임이최소화되고지대치에가해지는무리한측방력을줄이고수직적하중을증가시키므로안정적이고우수한유지력을얻을수있는장점이있다. 8 치주상태가양호하지않고고립된소수잔존치를지대치로이용하여국소의치로수복해야하는경우에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은적절한적응증이될수있다. 이중관가철성국소의치의장점은불리한위치의소수치대치들의간접적고정효과를얻어양호하지않은치주조직에대해유리한결과가나타나며지대치를피개하기때문에클래스프의치보다심미적으로우수한결과가나타난다. 9 본증례는심한치주염으로다수치아발치후상악 은 6 본고정성보철수복후 Class I 가철성국소의치로수복하고하악은양측성고립지대치를이용한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RPD with friction pin을사용하였다. 이중관가철성국소의치의특성과효용성을고찰하기위해본증례를보고하고자한다. 증례보고 47세남자환자가상악양측구치부상실과전반적인치아동요로인하여저작의어려움을주소로전반적인보철상담을위해내원하였다 (Fig. 1). 치과병력으로 2 년전 #13, 24를지대치로하는국소의치를제작하였고내원하기 2달전부터하악치아의동요도가심해지고저작시쑤시는듯한통증이나타난다고하였다. 의과병력으로당뇨가있으며약복용으로조절되고있었다. 구강내임상검사및방사선학적검사에서전반적으로심한치주염이보였고치관-치근의비율 (C/R ratio) 이불량하였다 (Fig. 2). 상악양측구치부상실로가철성국소의치를사용하고있으나적합도가양호하지않았다. #12, 13, 23, 34, 44를제외하고나머지잔존치는동요도가중등도이상으로나타나지대치로서부적합하다고판단을내렸다. C Fig. 1. Initial intraoral Photo images. () Right buccal view, () Frontal view, (C) Left buccal view. Fig. 2. Initial panoramic & periapical radiograpich images. () Panoramic view, () Peri-apical views. J Dent Rehabil ppl Sci 2016;32(1):80-6 81
Sohn SH, Cho JH, Cho S 치료계획으로 상악에서는 양측 구치부 치조골의 수직 최종 보철물 제작을 시작하였다. 적 높이가 부족함과 환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임플란 상악에서는 6 본 고정성 보철물 제작을 위해 지대치 트 식립은 하지 않고 #11, 24를 발치하고 전치부 고정성 를 형성한 후 고무인상재로(quasil Ultra, Dentsply 보철물을 이용한 Kennedy class I 가철성 국소의치로 결 Caulk, Milford, US) 인상을 채득하여 최종 모형을 만 정하였다. 하악에서는 환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34, 들었다. 하악에서는 우선 내관제작을 위해 고무인상재 44를 지대치로 이용한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로(quasil Ultra, Dentsply) 인상을 채득하였다(Fig. 3). 을 계획하였다. 상악에는 전치부를 고정성 보철로 심미 최종모형에서 내관 제작을 위해 왁스업을 시행하였고 적으로 유리하게 하였고 하악에는 소수 잔존치를 이용 #34, 44 원심면에 friction pin을 위한 공간을 부여하였 하여 보존적인 치료를 하였다. Hybrid telescopic double 다. 내관의 축벽 경사는 2 로 설정하였고 외관의 수직 crown은 치주적으로 양호하지 않은 지대치의 이차 고정 적인 움직임을 허용하지 않는 chamfer margin으로 형 (secondary splinting)을 가능하게 하여 의치의 안정성을 성하였다. 상악 고정성 보철의 coping과 하악 내관을 높이고, 소수 잔존치에서 측방력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fit checker (GC, Tokyo, Japan)를 이용해 적합도를 확 므로 본 증례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인하였다 (Fig. 4). 개인트레이에 모델링 컴파운드(Peri 진단모형에서 현재의 수직고경의 수정은 필요하지 않 Compound, GC)를 이용해 변연 형성후 pick-up 인상 은 것으로 판단되어 발치 후 임시 치아와 임시 국소의치 을 채득하여 최종 모형을 제작하였다(Fig. 5). 임시 의치 를 장착하였다. 임시 보철물을 장착한 후 잔존치에 대한 의 교합고경을 기준으로 중심위를 채득하여 교합기에 치주 치료와 하악 지대치의 근관치료가 진행되었다. 3 최종 모형을 부착하였다. 하악의 외관 제작은 내관 위에 개월 후 치주 치료와 근관 치료가 완료되었으며 이 기간 왁스업을 하여 시행하였다. 하악 이중관 의치의 double 동안 정기적인 관찰에서 임시보철물의 상태가 양호하여 crown 국소의치는 주연결장치 (major connector)가 없 Fig. 3. Final impression for abutments and mounting on semi-adjustable articulator. () Final imprssion with rubber materials, () Mounting on semi-adjustable articulator. Fig. 5. Master casts of maxilla and mandible. () Maxilla, () Mandible. 82 Fig. 4. Coping and inner crown check. J Dent Rehabil ppl Sci 2016;32(1):80-6
clinical case of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using friction pin with an isolated few remaining teeth 는 형태로 제작하였다. 이는 외관이 부연결장치(minor 후 교합평면에 맞게 납의치를 제작하였다. connector) 역할을 할 수 있고 Cr-Co 합금으로 주연결장 구강내에서 시적을 하고 중심위를 재확인하였다(Fig. 6). 환자가 치아 위치와 색조를 확인하고 만족하여 제작 치가 없어도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기에 가능하다. 내관과 외관 사이에 유지력을 위해서 spark erosion 을 진행하였다. 상악과 하악 의치를 온성 경화하고 경 을 이용한 friction pin을 부착하였다 내관과 외관 사이 질레진(Sinfony, 3M ESPE, Seefeld, Germany)으로 에 friction pin이 위치할 약 0.8 mm의 공간을 형성하 하악 외관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고정성 보철믈과 상 고, 이 공간에 friction pin을 위치시켜 laser welding과 악 국소의치, 하악 피개의치를 진료실 재부착(clinical sandblasting을 시행하였다. remounting) 하여 교합조정을 시행하고 연마 후 환자 구 하악은 교합평면에 맞게 납의치를 제작하였고 상악의 강에 최종 장착을 하였다(Fig. 7). 최종 장착 후 방사선 전치부 고정성 보철물을 완성 후 구개판 연결장치를 주 검사를 하여 치주와 고정성 보철물의 상태를 확인하였 연결장치로 하는 금속구조물을 제작하였다. 상악 양측 다(Fig. 8). 정기적을 방문을 하고 있으며 최종 장착 후 6 견치에 유지 장치로 I-bar를 사용하여 심미성의 증진과 개월까지는 문제가 없는 상태이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 완압(stress-breaking)을 기대하였다. 금속구조물 제작 요한 상태이다. Fig. 6. Wax denture try-in. () Mounting on semi-adjustable articulator, () Try-in on oral cavity. C Fig. 7. Definitive restoration. () Frontal view, () Maxillary occlusal view, (C) Mandibular occlusal view. Fig. 8. Final panoramic radiograph. J Dent Rehabil ppl Sci 2016;32(1):80-6 83
Sohn SH, Cho JH, Cho S 고찰 본환자는상악및하악에전반적인치주염으로다수치아의발치가필요한경우로서소수잔존치롤이용해야하는어려움이있다. 환자는임플란트식립보다는의치사용을선호하기때문에치료계획을의치에국한해야하는제한점이있었다. 상악은전치부지대치를이용하여고정성수복을하여심미성을증진시킨결과환자의만족도는증가하였다. 하악은 2개의소수잔존치로직접적인고정이어려우므로이중관의치를이용한간접적인고정을고려하게되었다. 하악이중관의치는근관치료및치주치료를통해치주적으로지대치를안정시키고치관부위를삭제를충분히하여치관 / 치근비율을줄여지렛대효과 (lever arm effect) 를감소시켜무리한측방력을줄이며소수잔존치에서양호한유지와지지를얻을수있는장점이있다. 10-12 지대치가추후발거될경우에도의치를수리하여계속사용할수있다. 이중관의치제작에서충분한악간공간이확보되어야내관및외관의적용이가능하고의치상의두께가충분하게되어파절도방지할수있다. 악간공간을확보하기위해지대치의의도적근관치료를시행하여지대치치관의높이를낮추어치관 / 치근비율을개선하였다. 하악의양측성으로지대치가존재하여응력분산이용이하였고의치의유지와안정성을높일수있었다. 완전무치악인환자보다자연치를가지고있는환자의경우저작능력이더우수하다. 이는잔존치에존재하는치주인대의 neuromuscular feedback mechanism 으로인해정교한턱운동이가능하기때문이다. 클래스프의치에서고립된소수지대치는예후가불분명하여의치의안정성에문제가될가능성이있지만이중관의치에서는간접적인고정을하게되어유지와지지를얻게되어지대치의수명연장을기대할수있으며의치의기능에서도유리한결과를얻을수있다. 지대치의수가많고치주상태가양호한경우클래스프를이용한의치는성공적인결과와양호한예후가나타날가능성이높다. 하지만나이가많고치주상태가불량한환자의경우지대치의수는급격히줄어들고클래스프의치의예후는불분명해진다. 이런경우에이중관의치는좋은적응증이되며예측가능한치료가될수있다. 본증례는다수의치아를발치하고상악국소의치, 하 악이중관의치로수복하였다. 하악에는양측성으로지 대치가존재하고대합치는국소의치로하악지대치로 가해지는교합력이다소낮을것으로예상하였다. 치관 길이를줄여지렛대효과를상쇄시켜지대치에가해지 는불리한힘이상대적으로감소하였다. 이러한점을근 거로예후가양호할것으로예상하며정기적인치주치 료를시행함으로써지속적인유지및관리가필요하다. 결론 본증례는전반적으로중등도의치주염으로다수치 아를발치하고상악은전치부고정성보철을지대치 로하는국소의치, 하악은이중관의치로수복한증례 이다. 고립된소수잔존치아가지대치인경우에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은적절한치료계획이될수있 으며클래스프의치를수복한경우보다양호한예후를 기대할수있다. References 1. Wenz HJ, Lehmann KM. telescopic crown concept for the restoration of the partially edentulous arch: the Marburg double crown system. Int J Prosthodont 1998;11:541-50. 2. Koller, tt W, Strub JR. Survival rates of teeth, implants, and double crown-retained removable dental prosthese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Int J Prosthodont 2011;24:109-17. 3. erman, Ericson, Molin M. Long-term clinical results after treatment with conical crown-retained dentures. Int J Prosthodont 1996;9:533-38. 4. Isaacson GO. Telescope crown retainers for removable partial dentures. J Prosthet Dent 1969;22:436-48. 5. Wenz HJ, Hertrampf K, Lehmann KM. Clinical longevity of removable partial dentures retained by telescopic crowns: outcome of the double crown with clearance fit. Int J Prosthodont 2001;14:207-13. 6. Jo LJ. Spark erosion process: n overview. J Dent Implant 2011;1:2-6. 7. Ha SJ, Lee CH, Cho JH. Periodontal prosthesis on medically compromised patient with few remain- 84 J Dent Rehabil ppl Sci 2016;32(1):80-6
clinical case of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using friction pin with an isolated few remaining teeth ing teeth: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with friction pin method. J Korean cad Prosthodont 2014;52:359-65. 8. Widbon T, Lofquist L, Widbom C, Soberfeldt, Kronstrom M. Tooth-supported telescopic crownretained dentures: an up to 9-year restrospective clinical follow-up study. Int J Prosthodont 2004;17:29-34. 9. Verma R, Joda T, ragger U, Wittneben JG. systemic review of clinical performance of toothretained and implant-retained double crown prostheses with a follow-up of 3 years. J Prosthodont 2013;22:2-12. 10. Sigh K, Gupta N. Telescopic denture - treatment modality for minimizing the conventional removable complete denture problems: case report. J Clin Diagn Res 2012;6:1112-6. 11. Saito M, Miura Y, Notani K, Kawasaki T. Stress distribution of abutments and base displacement with precision attachment- and telescopic crownretained removable partial dentures. J Oral Rehabil 2003;30:482-7. 12. Sahin V, kaltan F, Parnas L. Effects of the type and rigidity of the retainer and the number of abutting teeth on stress distribution of telescopicretained removable partial dentures. J Dent Sci 2012;7:7-13. J Dent Rehabil ppl Sci 2016;32(1):80-6 85
Case Report 고립된소수잔존치환자에서프릭션핀을이용한하이브리드텔레스코픽이중관국소의치의임상증례 손상혁, 조진현, 조성암 * 경북대학교치의학전문대학원치과보철학교실 잔존지대치의수가적은경우이중관가철성국소의치를사용한여러보고에서우수한결과가나타남을확인할수있다. 특히치주상태가양호하지않고고립된소수잔존치를지대치로이용하여국소의치로수복해야하는경우에프릭션핀을이용한하이브리드텔레스코픽이중관은적절한적응증이될수있다. 본증례는심한치주염으로다수치아발치후상악은전치부고정성보철수복과 Kennedy class I 가철성국소의치로수복하고하악은양측성고립지대치만남아있어클래스프국소의치로수복하기에예후가불분명하여프릭션핀을이용한하이브리드텔레스코픽이중관국소의치를이용하였다. 이중관가철성국소의치의특성과효용성을고찰해보고자본증례를보고한다.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2016;32(1):80-6) 주요어 : 양측성고립소수잔존치 ; 이중관가철성국소의치 ; 프릭션핀 * 교신저자 : 조성암 (41904) 대구광역시중구달구벌대로 2175 경북대학교치과병원치과보철과 Tel: 053-600-7672 Fax: 053-427-0778 E-mail: sungamcho@gmail.com; sacho@knu.ac.kr 접수일 : 2015 년 10 월 8 일 수정일 : 2016 년 3 월 17 일 채택일 : 2016 년 3 월 17 일 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