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 REPORT https://doi.org/10.4047/jkap.2018.56.4.384 장기간사용한이중관의치의실패원인및 자연치와임플란트를이용한이중관의치수복증례 서정교 조진현 * 경북대학교치과대학치과보철학교실 auses of failures of long-term used double crown denture and new rehabilitation with dental implant and tooth combined denture using remaining teeth and implants Jeong-Gyo Seo, Jin-Hyun ho*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Republic of Korea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have ever been good treatment option for patient with periodontally unfavorable few remaining teeth for successful prognosis. Tooth and implant combined telescopic double crown can be used for improving retention and support for denture with strategically placed implants on edentulous ridge. In this case, an 55-year-old female patient had chronic periodontitis with few remaining teeth on maxilla and fixed partial prosthodontics on mandible. Treatment of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with friction pin lasted 9.5 years only with natural teeth. fter 9.5 years, additional implants was installed due to fracture of cast-posted abutment teeth. fter implantation, tooth and implant combined double crown had fabricated. Through re-treatment, no complications of new denture has been found during 2 years follow up. This case presents fair prognosis of tooth and implant combined double crown denture in periodontally unfavorable condition. (J Korean cad Prosthodont 2018;56:384-90) Keywords: Telescopic double crown; Implant and tooth combined denture 서론 소수잔존치가남은환자에게있어 telescopic double crown 은잔존치의치주적인상태가좋지않고악궁내고립지대치의형태로분포되어있어고리형가철성국소의치를제작할시부적절한적응증인경우치료의대안이될수있으며, 이에대한성공적인결과에대해서도보고되고있다. 1-3 소수의고립잔존치와임플란트가혼재된상태에서이중관의치를이용해간접적인고정을하여지대치의수명연장을기대할수있으며의치의기능시지대치장축방향으로교합압을전달하여역학적인측 면에서도유리한결과를기대할수있다. 4-6 본증례의환자는 55 세여자환자로심한치주염으로인해상악우측제 2 대구치발치후소수잔존치를이용한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RPD with friction pin 으로수복하였으며, 하악은잔존지대치를이용하여고정성보철치료를시행하였다. 9.5 년후주조포스트가되어있던지대치의파절로인해추가적인임플란트식립으로자연치와임플란트가혼재된형태로재수복하였다.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의장기적인예후와효용성을고찰하기위해본증례를보고하고자한다. *orresponding uthor: Jin-Hyun ho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177, Dalgubeol-daero, Jung-gu, Daegu 41940, Republic of Korea +82 (0)53 600 7651: e-mail, prosth95@knu.ac.kr rticle history: Received July 24, 2018 / Last Revision September 11, 2018 / ccepted September 12, 2018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Fund, 2016. c 2018 The Korean cademy of Prosthodontics cc This is an Open 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reative ommons ttribution Non-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 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384 pissn 0301-2875, eissn 2005-3789
서정교 조진현 장기간 사용한 이중관 의치의 실패원인 및 자연치와 임플란트를 이용한 이중관 의치 수복증례 증례 본 증례의 환자는 55세 여환으로 상악 구치의 동요도와 치아 상실로 인해 저작의 어려움이 있다는 주소로 내원하였다. 의과 병력으로 조절되는 당뇨가 있는 상태였다. 구강내 검사 상 상악 잔존치의 중등도 만성 치주염이 관찰되었고 치아 동요도가 관찰 되었다. 하악에서 다수 지대치의 치관-치근 비율은 양호하였으 나 구치부 고정성 보철물은 심한 스피만곡을 보였으며 중심위에 서 전치부는 개교합(open bite) 경향이 관찰되어 구치부 교합관 계 재설정과 교합평면의 수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Fig. 1 - ).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상악 잔존치는 중등도의 만성 치 주염이 있었으며, 치조골 소실로 치관-치근 비율(/R ratio)이 양 호하지 않은 상태였다 (Fig. 1D). 치료계획으로 상악은 전반적인 치주상태가 불량하며 우측 치 조제에는 골 흡수가 심하여 임플란트 식립을 하지 않고 가철성 의치로 치료 하기로 하였다. 상악 #17, #16 잔존 치근 발치 후 #15, 14, 13, 24, 25를 지대치로 하여 friction pin을 부가적인 유 지장치로 하는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RPD로 수립 하 였으며,7 하악은 환자가 임플란트 식립을 원하지 않아 잔존 자연 치를 이용한 고정성 금속도재관 및 주조금관으로 재 수복하여 교합 평면을 수정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상악에서 이전의 고정 성 보철물을 제거 하였으나 #13, 24, 25의 주조 포스트는 제거되 지 않아 우식제거 후 레진수복을 시행하였다 (Fig. 2). 상하악 지대치 인상을 실리콘 인상재(quasil LV, Dentsply, Milford, T, US)로 채득하였다. 상악 최종 모형 상에서 내 관 제작을 위한 왁스업 후 #13, 24 근심면과 #15, 25의 원심면에 friction pin을 위한 공간을 부여하였다. 내관의 축벽 경사는 2 로 설정하였으며 외관의 수직적 움직임을 허용하지 않는 chamfer margin으로 설정하였다. 내관 제작 후 Fit checker (G, Tokyo, Japan)를 이용해 적합도를 확인하고 개인트레이에 modeling compound (Peri ompound, G, Tokyo, Japan)를 이용해 경계 를 형성하여 기능인상(functional impression)으로 pick-up 인상 D Fig. 1. Initial intraoral photograph and panoramic radiograph. () Right buccal view, () Frontal view, () Left buccal view, (D) Panorama. Fig. 2. Maxillary abutments. () rown remove, () aries remove, () Resin filling.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6권 4호, 2018년 10월 385
서정교 조진현 장기간 사용한 이중관 의치의 실패원인 및 자연치와 임플란트를 이용한 이중관 의치 수복증례 을 채득하여 최종모형을 제작하였다 (Fig. 3). 상악 주모형 상에서 recording base 및 wax rim을 제작하였으 며, 내관과 함께 구강 내 시적하였다. 수직 고경 및 중심위 채득 을 위해 lu wax (luwax, luwax Dental Products, llendale, MI, US)로 하악 지대치와 wax rim간 1차적 stop을 형성한 후 실리콘 교합 인기재를 이용해 최종적인 중심위 채득 및 안궁 이 전을 시행하여 교합기상에 거상 하였다 (Fig. 4). 상악 이중관 의치는 mesostructure를 U shape palatal connector 형태로 제작하여 외관과 laser welding을 하였다. 내관과 외 관 사이 유지력을 위해 friction pin은 약 0.8 mm의 공간을 spark erosion을 통하여 위치시켰고, laser welding과 sandblasting을 시 행하였다.8 이중관 의치 외관 및 금속구조물(Metal framework) 가 포함된 납의치와 하악 고정성 보철물을 제작하여 구강 내 시 적 후 수직고경 및 중심위를 재 확인 하였다 (Fig. 5). 상악 의치를 온성 경화하고 경질레진(sinfony, 3M ESPE, Seefeld, Germany)으로 외관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상악 이중관 의치와 하악 고정성 보철물의 교합조정을 시행하고 연마 후 최 종 장착하였다 (Fig. 6). 상악 의치 및 하악 고정성 보철물 장착 후 환자 협조도 부족으 로 주기적인 검사를 시행하지 못하였다. 환자는 보철물 장착 9.5 년 후 상악 우측 지대치의 동요도와 좌측 지대치의 파절을 주소 로 재내원 하였다. 구강 내 임상 검사 및 방사선학적 검사상 동요 도 및 파절을 보이는 #14, 24, 25를 발거하였다 (Fig. 7). #14는 초진 당시 치주염으로 인한 원심측 치조골 소실이 존재 하는 상태였으며, 오랜 기간 의치의 지대치로 사용되어 TFO 발생 으로 과동요도로 인해 그 기능을 상실하였다 볼 수 있었고, #24, Fig. 3. Maxillary impression procedure. () Inner crowns, () Pick up impression, () Master cast. Fig. 4. VD/R recording. () tie registration with lu wax, () ite registration with silicon material, () ast Mounting after facebow transfer. Fig. 5. Wax denture & fixed restorations. () Maxillary wax denture, () Fixed prosthodontics on Mandible, () Wax denture try-in. 38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6권 4호, 2018년 10월
서정교 조진현 장기간 사용한 이중관 의치의 실패원인 및 자연치와 임플란트를 이용한 이중관 의치 수복증례 Fig. 6. Definitive restoration. () Frontal view, () Maxillary occlusal view, () Mandibular occlusal view. Fig. 7. 9.5 years later after delivery () Extracted abutments (#14, 24, 25), () Panoramic radiograph. Fig. 8. Implantation () Intraoral view, () Panoramic radiograph. Fig. 9. Definitive restoration. ()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RPD, () Inner crowns on Maxilla, () fter delivery. 25는 초진 당시 기존 포스트 제거가 불가능해 우식 제거 후 레진 수복으로 지대치로 사용 하였으나 수복물 하방의 이차우식이 관 찰되었다. 이중관 의치의 지대치는 생활치보다 실활치에서 생존 률이 떨어져 장기적 예후가 불량할 수 있으며, 더욱이 치관부 치 질의 소실로 인해 주조 포스트로 수복된 치아에서는 의치 탈착 시 유지력을 견디는 힘과 의치 기능 시 측방력을 견디는 힘에 대해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6권 4호, 2018년 10월 상대적으로 취약 하여 발거 된 것이 원인으로 평가되었다.1,2,5 재 치료로 #14, 24, 25 발치 및 #17, 25, 26, 27 위치에 임플 란트를 식립하여 자연치와 임플란트가 혼존된 형태의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RPD with friction pin으로 계획하였다.9 발치 및 임플란트 식립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panorama 방사선 촬영을 통해 임플란트가 식립된 위치를 확인하였다 (Fig. 8). 387
서정교 조진현 장기간사용한이중관의치의실패원인및자연치와임플란트를이용한이중관의치수복증례 로성공적인예후를보이는것또한보고된바있다. Krennmair 등 9 은상악치아 - 임플란트이중관의치의장착후최대 108 개월 f/u 에서지대치및임플란트의실패는없었으며, screw loosening 과같은 minor 한 complication 만보였다고보고하였다. 본증례에서는치아 - 임플란트가혼재된이중관의치장착후 2 년동안특이할만한사항은발생하지않았으며, 환자또한장기간이중관의치사용에적응되어기능적, 심미적으로만족하였다. 선행연구및환자가의치에대한적응도가높아장기간의안정적인예후를기대할수있다. Fig. 10. Panoramic radiograph 1 year later after new denture delivery. 결론 Fig. 11. () Worn artificial teeth, () Metal bite exchange. 본증례는하악대합치가고정성보철물로수복된경우에서상악의치주적으로불리한소수지대치를가지는경우에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으로수복하였다. 이중관의치수복시치아의동요도, 악궁내분포및치주조직의지지등을평가하여지대치로포함할것인지를주의깊게고려해야한다. 또한지대치파절등합병증이발생하였을시대합치의상태에따라전략적인임플란트식립위치와수를결정하여보완한다면, 장기간의안정성과양호한예후를기대할수있을것이다. ORID 임플란트식립후임시의치를장착하고골유착을위해 3 개월째최종보철수복을진행하였다. 이전이중관의치의보철수복진행과정과동일하게인상채득, 주모형제작및수직고경과중심위채득하였으며납의치시적하여적합도를재확인하였다. 완성된의치, 자연치내관및임플란트지대주를구강내장착하였다 (Fig. 9). 새의치장착 1 년후내원하여구강검사및방사선검사상양호함을확인하였다 (Fig. 10). 의치장착 2 년후재내원시인공치의마모관찰되어교합면 metal bite 로교체하여사용하고있으며향후에도주기적인검진을의치의조정시행예정이다 (Fig. 11). 고찰 치주적으로지지가불량한소수잔존치가남은환자에게있어전통적인고리형가철성국소의치는잔존지대치에과도한 stress 를줄우려가있으며이를극복하기위한치료대안으로 telescopic double crown RPD 가사용될수있다. Wenz 등 1 에따르면 telescopic double crown RPD 의 10 년경과관찰에서근관치료되지않은자연치지대치소실률을약 15% 로보고하였다. 본증례는초진당시이미주조포스트가되어있었으며, 치주적으로지지가약한지대치임을감안하면 9.5 년이라는긴시간동안안정적으로유지되었음을평가할수있다. 또한재치료한증례와같이치아와임플란트가혼재된이중관의치에서도장기적으 Jeong-Gyo Seo https://orcid.org/0000-0003-2322-5715 Jin-Hyun ho https://orcid.org/0000-0002-2453-9372 References 1. Wenz HJ, Hertrampf K, Lehmann KM. linical longevity of removable partial dentures retained by telescopic crowns: outcome of the double crown with clearance fit. Int J Prosthodont 2001;14:207-13. 2. Widbom T, Löfquist L, Widbom, Söderfeldt, Kronström M. Tooth-supported telescopic crown-retained dentures: an up to 9-year retrospective clinical follow-up study. Int J Prosthodont 2004;17:29-34. 3. shida K, Nogawa T, Takayama Y, Saito M, Yokoyama. Prognosis of double crown-retained removable dental prostheses compared with clasp-retained removable dental prostheses: retrospective study. J Prosthodont Res 2017;61:268-275. 4. ernhart G, Koob, Schmitter M, Gabbert O, Stober T, Rammelsberg P. linical success of implant-supported and tooth-implant-supported double crown-retained dentures. lin Oral Investig 2012;16:1031-7. 5. Verma R, Joda T, rägger U, Wittneben JG. systematic review of the clinical performance of tooth-retained and implant-retained double crown prostheses with a follow-up of 3 years. J Prosthodont 2013;22:2-12. 38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6 권 4 호, 2018 년 10 월
서정교 조진현 6. Koller, tt W, Strub JR. Survival rates of teeth, implants, and double crown-retained removable dental prosthese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Int J Prosthodont 2011;24:109-17. 7. Wenz HJ, Lehmann KM. telescopic crown concept for the restoration of the partially edentulous arch: the Marburg double crown system. Int J Prosthodont 1998;11:541-50. 8. Weber H, Frank G. Spark erosion procedure: a method for 장기간사용한이중관의치의실패원인및자연치와임플란트를이용한이중관의치수복증례 extensive combined fixed and removable prosthodontic care. J Prosthet Dent 1993;69:222-7. 9. Krennmair G, Krainhöfner M, Waldenberger O, Piehslinger E. Dental implants as strategic supplementary abutments for implant-tooth-supported telescopic crown-retained maxillary dentures: a retrospective follow-up study for up to 9 years. Int J Prosthodont 2007;20:617-2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6 권 4 호, 2018 년 10 월 389
SE REPORT 장기간사용한이중관의치의실패원인및 자연치와임플란트를이용한이중관의치수복증례 서정교 조진현 * 경북대학교치과대학치과보철학교실 치주적으로지지가불리한소수의잔존치가남은환자에게있어하이브리드텔레스코픽형이중관의치는장기적으로안정적인예후를보이는치료가된다. 편측악궁에소수잔존치가남고반대측악궁에다수의자연치가존재하는경우임플란트를식립하여자연치와혼재된형태의이중관의치를제작할시의치의지지및안정요소의향상과더불어저작력의균형을맞추어줄수있게된다. 본증례는 55세여자환자로만성치주염으로인해치주지지가감소한소수잔존치상태에서자연치만으로하이브리드텔레스코픽형이중관의치치료를통해 9.5년간의치를사용하였다. 9.5년후지대치파절로내원하여임플란트의식립을통해자연치와임플란트가혼재된하이브리드텔레스코픽형이중관의치로재수복하였으며, 이를통해재치료에서도장기적예후의안정성을기대할수있다.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18;56:384-90) 주요단어 : 텔레스코픽형이중관의치 ; 치아임플란트결합의치 * 교신저자 : 조진현 41940 대구중구달구벌대로 2177 경북대학교치과대학치과보철학교실 053 600 7651: e-mail, prosth95@knu.ac.kr 원고접수일 : 2018 년 7 월 24 일 / 원고최종수정일 : 2018 년 9 월 11 일 / 원고채택일 : 2018 년 9 월 12 일 c 2018 대한치과보철학회 cc 이글은크리에이티브커먼즈코리아저작자표시-비영리 3.0 대한민국라이선스에따라이용하실수있습니다. 이논문은 2016 학년도경북대학교연구년교수연구비에의하여연구되었음. 390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6 권 4 호, 2018 년 10 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