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02E204D43545F47535FC3D6C1BEBAB8B0EDBCAD2E687770>



Similar documents
<BBE7B8B3B4EBC7D0B0A8BBE7B9E9BCAD28C1F8C2A5C3D6C1BE E687770>

untitled

°æÁ¦Àü¸Á-µ¼º¸.PDF

<3036C7E2BCF6C3D6C1BEBABB2E687770>

09 강제근로의 금지 폭행의 금지 공민권 행사의 보장 중간착취의 금지 41 - 대판 , 2006도7660 [근로기준법위반] (쌍용자동차 취업알선 사례) 11 균등대우의 원칙 43 - 대판 , 2002도3883 [남녀고용평등법위

<BFDCB1B9C0CE20C5F5C0DAB1E2BEF7C0C720B3EBBBE7B0FCB0E82E687770>

<C1A4C3A5BFACB1B D3420C1A4BDC5C1FAC8AFC0DAC0C720C6EDB0DFC7D8BCD220B9D720C0CEBDC4B0B3BCB1C0BB20C0A7C7D120B4EBBBF3BAB020C0CEB1C720B1B3C0B020C7C1B7CEB1D7B7A520B0B3B9DF20BAB8B0EDBCAD28C7A5C1F6C0AF292E687770>

2005 중소기업 컨설팅 산업 백서

< BACFC7D1B1B3C0B0C1A4C3A5B5BFC7E228B1E2BCFABAB8B0ED D D20C6EDC1FD2035B1B32E687770>

제 출 문 중소기업청장 귀하 본 보고서를 중소기업 원부자재 구매패턴 조사를 통한 구매방식 개선 방안 연구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단 장 최 정 훈 연구책임자 : 이재광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부교수) 공동연구자 : 노성호

< BB0E6C1A65DB0F8B0B32DC1F6BDC4C0E7BBEAC0CEB7C220BCF6B1DEC0FCB8C120BFACB1B85FC0CCC1D6BFAC28C3D6C1BE292E687770>

영암군 관광종합개발계획 제6장 관광(단)지 개발계획 제7장 관광브랜드 강화사업 1. 월출산 기( 氣 )체험촌 조성사업 167 (바둑테마파크 기본 계획 변경) 2. 성기동 관광지 명소화 사업 마한문화공원 명소화 사업 기찬랜드 명소화 사업 240

INDUS-8.HWP


CONTENTS.HWP





세계 비지니스 정보

우루과이 내지-1

기사전기산업_33-40

<B0F8BFB9B9AEC8ADBBEABEF720C0AFC5EB20C8B0BCBAC8ADB8A620C0A7C7D120BFDCB1B920BBE7B7CA20C1B6BBE720BFACB1B828C0CCBFF8C5C2292E687770>

2013년 산업통상자원부 업무보고 창조경제 생태계 기반 조성 글로벌 전문기업 육성

분 기 보 고 서 (제 22 기) 사업연도 2014년 01월 01일 2014년 03월 31일 부터 까지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귀중 2014년 5월 15일 제출대상법인 유형 : 면제사유발생 : 주권상장법인 해당사항 없음 회 사 명 : 주식회사 와이티엔 대 표 이 사 :

< B3E22032BAD0B1E220C4DCC5D9C3F7BBEABEF7B5BFC7E2BAD0BCAEBAB8B0EDBCAD28C3D6C1BE292E687770>

<28C3D6C1BEC0CEBCE2BFEB29BCADBFEFBDC3B0F8B0F8C5F5C0DABBE7BEF7B0FCB8AEC7D5B8AEC8ADB9E6BEC82E687770>

untitled

<BAD2B9FDBAB9C1A620BAB8B0EDBCAD5FC5EBC7D55F FB9DFB0A3BBE7C6F7C7D45F33C2F720B1B3C1A428B1D7B8B22020C3DFC3E2292E687770>

untitled


< B3E220C7CFB9DDB1E2BACEC5CD20C0CCB7B8B0D420B4DEB6F3C1FDB4CFB4D E687770>

<C1F6BFAA5357BBEABEF7C0B0BCBAC1A4C3A5BFACB1B E616C292E687770>

< D31302D B3E2B5B520C1A4BACE20BCBAB0FAB0E8C8B920C6F2B0A15FB4D9BACEC3B35F DC3D6C1BE2E687770>

<3035C0CEB9AEC1A4C3A5BFACB1B8C3D1BCAD E687770>

직업편-1(16일)

< B3E220B3EBBCF7C0CE20B5EEC0C720BAB9C1F6BBE7BEF720BEC8B3BB28C3D6C1BE292E687770>

종사연구자료-이야기방 hwp

목 차 국회 1 월 중 제 개정 법령 대통령령 7 건 ( 제정 -, 개정 7, 폐지 -) 1. 댐건설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 1 2. 지방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 1 3.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촉진법 시행령 일부개정 2 4. 대

인천광역시의회 의원 상해 등 보상금 지급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의안 번호 179 제안연월일 : 제 안 자 :조례정비특별위원회위원장 제안이유 공무상재해인정기준 (총무처훈령 제153호)이 공무원연금법 시행규칙 (행정자치부령 제89호)으로 흡수 전면 개

<C6EDC1FD2DBEC6BDC3BEC6B9AEC8ADC1DFBDC9B5B5BDC3C5F5C0DAC1F8C8EFC1F6B1B8C1F6BFF8B1E2C1D8B9D7C6F2B0A1B9E6B9FD28C3D6C1BE295F6F6BBCF6C1A45F FBCF6C1A42E687770>

<5BC6EDC1FD5DBEEEBEF7C0CCC1D6B3EBB5BFC0DAC0CEB1C7BBF3C8B2BDC7C5C2C1B6BBE7C3D6C1BEBAB8B0EDBCAD28BAB8C0CCBDBABEC6C0CC292E687770>

< DB9CCB7A1B1B3C0B020C3BCC7E8B0FC20C0CCC0FC20B1B8C3E0C0BB20C0A7C7D120BCB3B0E820BFACB1B820B9D720BFEEBFB520C7C1B7CEB1D7B7A520B0B3B9DF2E687770>

< F496E C8A328B1E8BDC2C7F62CB1E8B8B8C1F82928C3D6C1BEB0CBC5E4BABB292E687770>

<5B33B9F8B0FAC1A65D20B9E6BCDBBDC9C0C7BDC3BDBAC5DB20B0B3BCB1B9E6BEC8BFACB1B82DC3D6C3D6C1BE2E687770>

00-1표지

<5BBFACB1B8BAB8B0ED D32375D20B5A5C0CCC5CD20B1E2B9DD20B1B3C0B0C1A4C3A520BAD0BCAE20BFACB1B828A5B229C1F6B9E6B4EBC7D0C0C720B1B3C0B0BDC7C5C220B9D720BCBAB0FA20BAD0BCAE5FB9DABCBAC8A320312E392D2833B1B3292E687770>

<BEC6BFF4BCD2BDCCBAB8B0EDBCAD28C3D6C1BE E687770>

연구요약 1. 서론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 교육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하고, 미래지향적인 정책과제와 전략, 그리고 비전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지 난 15년간의 청소년 교육 환경 및 정책의 변화를 분석하고, 향후 15년간 의 청소년 교육 환경

제 출 문 중소기업청장 귀중 이 보고서를 고급연구인력 기술창업 활성화 방안 정책연 구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1년 6월 연구책임자 :김선우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 공동연구자 :조성현 (창업진흥원 조사연구팀장) 남지희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원)

À̶õ°³È²³»Áö.PDF

제 출 문 국민대통합위원회 위원장 귀하 이 보고서를 연구용역사업 공공갈등의 정치화 경로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4년 12월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장 박 성 완 II

<C1DFB1DE2842C7FC292E687770>

Contents I. 한국의 기업지배구조 지배구조 개편: 선택이 아닌 필수 과제 2. 한국 기업집단 소유지배구조의 특징과 원인 3. 지배구조 개선과 경영 투명성 II. 삼성그룹 지배구조 개요 2. 삼성그룹이 지주 전환하는 이유 3. 자주 거

untitled

제 출 문 노동부 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노동부 수탁연구과제 문화 예술산업 근로실태 조사 및 근로 자 보호방안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한국노동연구원 원장 박 기 성

제24조

99-18.hwp

산업통상자원부 업무보고에 대한 분석.hwp

<BCADBFEFBDC3BFA9BCBAB0A1C1B7C0E7B4DC5FBCADBFEFBDC320B0F8B5BFC0B0BEC6C1F6BFF8BBE7BEF7C0C720C1F6BCD3B0A1B4C9BCBA20B9E6BEC8BFACB1B828BCF6C1A E687770>

<B8F1C2F72C31C0E52E687770>

11민락초신문4호


경제통상 내지.PS

°æÁ¦Åë»ó³»Áö.PDF

목 차 Ⅰ. 조사개요 1 Ⅱ. 용어해설 13 Ⅲ. 조사결과 과학기술인력 양성 및 활용에 관한 거시통계 분석 결과 9 1 가. 과학기술인의 양성 현황 19 나. 과학기술인의 취업 현황 24 다. 과학기술인의 경제활동 현황 27 라. 과학기술인의 고용 현황 28

제 출 문 국토해양부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국내 부동산개발업의 영업실태 분석 및 등록제도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연구용역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9년 6월 국토연구원 원장 박 양호

전자업종.hwp

동강바 반과람 자물과 를고구 꿈기름 꾸같 다이 소 중 한 風 02 letter from CEO... 이용재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 대표이사 인사말 雲 Part 1 우리는 동반자, 더불어 함께 02 Life Partner 1... 함께 구르는 돌 소설가 조정래 시인 김초혜

½Ãº¸616È£±³Ã¼-ÃÖÁ¾

<C3D6C1BEBAB8B0EDBCAD5F F2E485750>


<B0FAC7D0B1E2BCFAC1A4C3A5BFACB1B8BFF82D B3E2B0FAC7D0B1E2BCFAC1A4C3A53130B4EBB0FAC1A62DC6EDC1FD2E687770>

2011 IT 기술예측조사03-요약.indd

정책연구개발사업 2010-위탁 대학 등록금의 합리적 책정을 위한 실행방안 연구 연 구 책 임 자 공 동 연 구 자 송동섭(단국대학교) 이동규(충남대학교) 이창세(재능대학) 한창근(인하공업전문대학) 연 구 협 력 관 장미란(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이 연구는 201

13Åë°è¹é¼Ł


2010회계연도 결산시정요구사항 조치결과 분석

장애인통계-0110-최종.hwp

< DC1A4BAB8C8AD20BBE7C8B8BFA1BCADC0C720C0CEB1C728C3D6C1BE292E687770>

640..

< B3E2C1B6BBE7BAD0BCAEBAB8B0EDBCAD2DBFCFBCBABABB28BEF6C0CDC3B5292E687770>

-목 차 - Ⅰ.주승용의원 대표발의안( ) 1 1.제안경위 1 2.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1 3.검토의견 2 가.중개사무소 개설 등록의 결격사유에 민법 상 성년후견 제도 도입 2 Ⅱ.주승용의원 대표발의안( ) 4 1.제안경위 4 2.제안이유 4

[96_RE11]LMOs(......).HWP

israel-내지-1-4

< B9AEC8ADBFB9BCFA20C6AEB7BBB5E520BAD0BCAE20B9D720C0FCB8C128B1E8C7FDC0CE292E687770>

PHI Research Paper PHI 연구보고서 건강검진은 어떻게 산업 이 되었나? 출판일 2015년 9월 20일 편집인 박 유 경 (시민건강증진연구소 연구원) 공동저자 김 명 희 (시민건강증진연구소 연구원) (가나다 순) 김 창 엽 (

IT현황리포트 내지 완

< B4EBBACFC5E4B7D0C8B82DC0CEBCE228B0E6BCBA292E687770>

2013년 중소기업 플러스 제4호.hwp

<4D F736F F D203032B1E8C1D6BCBA5FC6AFC1FD5F2DC3D6C1BEBCF6C1A45FBCF6C1A42E646F6378>

분 기 보 고 서 (제34기 1분기) 사업연도 부터 까지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귀중 2016년 5월 16일 제출대상법인 유형 : 면제사유발생 : 주권상장법인 해당사항 없음 회 사 명 : (주)웅진 대 표 이 사 : 이 재 진 본

기사스크랩 (160504).hwp


<5BB1E2BABB5D5FB0F8B0F8BACEB9AE5FBDC3B0A3C1A6B1D9B9ABBFCD5FC0B0BEC6C8DEC1F7BFA15FB5FBB8A55FB4EBC3BCC0CEB7C25FC8B0BFEBB0FAC0C75FBFACB0E8B9E6BEC85F2D5FB9AEB9CCB0E62E687770>

미디어펜 기고문

02-14.hwp


iOS ÇÁ·Î±×·¡¹Ö 1205.PDF

<B0B3C0CEC1A4BAB85FBAB8C8A3B9FDB7C95FB9D75FC1F6C4A7B0EDBDC35FC7D8BCB3BCAD C3D6C1BE292E687770>

Transcription: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제 출 문 한국산업기술진흥원장 귀 하 본 보고서를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지원기간: 2012. 1. 2 ~ 2012. 3. 31)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2. 3. 31 연구회명 : MCT K-Star 발굴 연구회 (총괄책임자) 양 현 모 (인) 총괄책임자ː 양 현 모 참여연구위원 : 임 천 수 " : 전 정 재 " : 박 윤 석 " : 김 지 용 " : 정 윤 섭 " : 권 현 구 " : 박 해 련 " : 곽 유 창 " : 송 준 화

요 약 문 Ⅰ. 제 목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 MCT Global Scoreboard 연구 Ⅱ.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연구회 활동의 목적 연구회의 명칭 : MCT K-Star 발굴 연구회 본 연구회 활동을 통하여 우수 부품 소재 중소기업의 해외사업화를 위한 전문 지식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고, 부품 소재산업에 대한 정부 정책 추진 지원체계 를 마련하고자 함 우수 부품 소재 중소기업 발굴 및 발굴된 기업의 해외사업화 지원방안 마련을 통한 부품 소재 중소기업의 성장을 지원 부품 소재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경쟁력 강화 방안을 마련 부품 소재산업 중핵기업 육성정책 에 기여하는 글로벌 시장진출 가속화를 추진 소재 부품산업 미래비전 2020 의 정책 목표 달성에 기여 - i -

2. 연구회 활동의 필요성 국내 부품 소재 중소기업은 독자적으로 해외사업화를 하기 위한 역량이 부족하 므로 이를 지원해주기 위한 정부의 차별화된 지원 정책이 필요 해외사업화 추진 시 중소 제조업체의 가장 큰 애로요인은 해외시장에 대한 정보 확보의 어려움, 해외시장에서의 홍보 및 해외시장 개척활동에 소요되는 많은 비 용, 해외사업화 전문인력 확보의 어려움 등을 들 수 있음 대다수의 중소기업이 겪고 있는 이러한 일반적인 애로사항은 정부의 단기적인 자금지원 정책만으로 단기간에 해결하기에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음 따라서, 부품 소재 중소기업의 해외사업화를 실질적으로 지원해 줄 수 있는 정 부의 차별화된 지원정책이 필요함 MCT Global Scoreboard 연구를 통해 해외시장에서의 홍보 및 시장개척에 어려움 을 겪고 있는 부품 소재 중소기업을 지원하고자 함 해외기업에게 정확한 정보를 편리하게 제공하여 국내 우수 부품 소재 중소기업 의 해외사업화를 촉진 현재 해외기업은 제품조달, 기술협력 및 기술투자 등을 위해 국내 부품 소재 기 업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확보하기가 용이하지 않음 - 국내 부품 소재 기업에 대한 정보의 비대칭성(비정확성) 및 정보 수집과정에서의 높은 탐색비용 등은 해외기업이 국내기업과의 연계활동에서 애로요인으로 작용 따라서, 국내기업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담고 있는 MCT Global Scoreboard를 작 성하여 해외기업에게 제공해 줄 필요성이 존재함 - 해외기업이 국내 우수 부품 소재기업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확 보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 - ii -

(해외기업) 해외기업이 사전에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국내기업과의 연계를 추진 한다면 연계성사율(Matching Ratio)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됨 - 해외기업 입장에서는 정보 탐색비용 및 시간의 절감이 가능 - 정부와 공공기관을 통한 부품 소재기업에 대한 정보 제공은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음 (국내기업) 국내 부품 소재 기업의 입장에서도 MCT Global Scoreboard를 작성하 여 주기적으로 배포한다면 노출효과가 증대되어 해외기업과의 연계성사율 (Matching Ratio)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됨 Ⅲ. 연구내용 및 범위 1. 연구회 활동의 주요내용 MCT K-Star 발굴 연구회의 주요 연구 목표는 크게 우수 부품 소재 기업의 발굴, 해외 수요기업과의 연계를 위한 Scoreboard 작성, 작성된 Scoreboard의 활용방안 제 시로 이루어짐 우수 부품 소재 기업의 발굴 - MCT Global Scoreboard 작성 대상기업 Pool 도출 - 부품 소재 기업 1차 및 2차 평가기준 마련 - 평가기준을 통한 우수 부품 소재 후보기업 발굴 및 최종 우수기업 도출 해외 수요기업과의 연계를 위한 Scoreboard 작성 - MCT Global Scoreboard 작성 항목 및 기재 범위 도출 - MCT Global Scoreboard 양식 확정 - iii -

- MCT Global Scoreboard 100개(국문) 및 3개 샘플(영문) 제시 Scoreboard 활용방안 제시 - MCT Global Scoreboard 배부대상 및 방법 제시 - MCT Global Scoreboard 활용을 위한 정책적 제언 제시 <연구회 활동의 목표> - iv -

2. 연구회 활동의 범위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본 연구의 수행범위를 총 3개의 모듈로 구성하고, 각 모듈별 자문회의 및 전문가위원회 개최를 통해 사업의 신뢰성을 제고함 <연구회 수행 Framework> Module I. 환경분석 및 필요성 도출 부품 소재기업을 둘러싼 산업 및 정책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본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을 도출하고 사업의 추진방향을 정립 - 부품 소재 산업 및 정책 분석 : 부품소재산업 현황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 하고, 유사 지원정책의 추진경과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하여 정부 지원정책의 시사점을 도출 - MCT Global Scoreboard 필요성 도출 : 산업 및 정책분석을 통해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MCT Global Scoreboard의 필요성 및 목적을 도출 Module II. MCT Global Scoreboard Model 및 Process 개발 MCT Global Scoreboard Model 및 Process를 개발하고, 우수 부품 소재 기업을 해 외 수요기업에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Scoreboard 양식을 도출 - 후보기업 Pool 도출 : 다양한 기업 Database를 활용하여 MCT Global Scoreboard의 작성 대상이 되는 부품 소재 후보기업 Pool을 도출 - v -

- 1차 평가(Screening) : 1차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후보기업 Pool을 대상으로 평가 를 실시하여 MCT Global Scoreboard 사업목적에 부합하는 기업을 압축 및 도출 (Screening) - 2차 평가 : 1차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도출된 후보기업을 대상으로 최종 MCT Global Scoreboard 작성 대상이 되는 기업을 도출하기 위한 2차 평가 기준을 마 련하고 조사 및 평가를 실시 - MCT Global Scoreboard 양식 도출 : MCT Global Scoreboard의 효과성을 향상시키 기 위해 활용 목적에 부합하는 기업정보 항목 및 양식을 도출 Module III. MCT Global Scoreboard 2012 작성 개발된 MCT Global Scoreboard Model 및 Process를 활용하여 우수 부품 소재 기 업 100개를 도출하여 MCT Global Scoreboard 2012를 작성하고, Scoreboard 활용방 안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 - 국문 Scoreboard 작성 : MCT Global Scoreboard Model 및 Process를 바탕으로 최 종 발굴된 100개 기업의 MCT Global Scoreboard 2012를 작성 - 영문 Scoreboard 샘플 작성 : 국문으로 작성된 MCT Global Scoreboard 2012 중 대 표적인 3개 기업을 선정하여 영문 Scoreboard 샘플 작성 - Scoreboard 활용방안에 대한 제언 : 최종 작성된 MCT Global Scoreboard 2012에 대한 활용방안을 배포 및 활용, 정부지원측면에서 다양하게 제시 Ⅳ. 연구개발 결과 및 활용에 대한 건의 1. 연구의 의의 및 성과 본 연구는 해외사업화를 희망하는 국내 대표적인 부품 소재 우수 기업을 발굴하 여 해외 글로벌 수요기업과의 연계를 위한 후보군을 도출하는데 의의가 있음 - vi -

최종적으로는 도출된 후보 기업 중 우수기업에 대한 MCT Global Scoreboard를 작 성하여 해외 수요기업과의 연계를 지원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본 연구의 대표적인 성과로는 부품 소재 기업 List-up, 기업 Pool 구축, 우수기업 의 발굴을 들 수 있음 - 연구를 통해서 총 6,490개의 부품 소재 기업 List를 확보하였으며 그 중 1,592개 의 MCT Global Scoreboard 후보기업 Pool을 도출 - 해외사업화 희망 기업은 248개가 도출되었으며, 이중 MCT Global Scoreboard 작 성 대상기업 100개를 선발 우수 부품 소재기업의 해외사업화 지원을 위한 MCT Global Scoreboard 모델 및 프로세스를 개발함 본 연구를 통해 MCT Global Scoreboard 작성을 위한 MCT Global Scoreboard 모델 및 Process를 개발 - MCT Global Scoreboard 모델 및 Process는 후보기업 Pool 도출, 1차 평가 (Screening), 2차 평가 및 Scoreboard 대상 도출, Scoreboard 양식 도출의 4 Step으 로 구성됨 <MCT Global Scoreboard Model 개발 4 Step> - vii -

- Step 1~3에서는 스텝마다 부품 소재 우수기업을 도출하기 위한 평가기준 및 조 사방법을 제시하였음 - Step 4에서는 부품 소재 우수기업을 해외에 효과적으로 알리기 위한 MCT Global Scoreboard의 항목과 양식을 도출 - MCT Global Scoreboard 모델 및 Process는 결과에 대한 Feedback 및 보완을 통해 향후 MCT Global Scoreboard 2013을 작성하는데 활용될 수 있음 체계적인 설문조사를 통해 부품 소재 중소기업의 해외사업화 니즈 및 애로사항 에 대한 정보를 파악 사업 참여 부품 소재 중소기업이 향후 희망하는 해외사업화 지역에 대한 정보 를 확보 <부품 소재 기업의 해외사업화 희망국가(중복응답)> 순위 해외사업화 희망국가 응답 비중 1 일본 53.54% 2 미국 47.47% 3 중국 46.46% 4 EU 45.45% 5 동남아시아 35.35% 6 인도 31.31% 7 중남미 24.24% 8 중동 23.23% 9 러시아 19.19% 사업 참여 부품 소재 중소기업이 해외사업화시 겪는 주요 애로사항에 대한 정 보를 확보 - viii -

<국내 부품 소재 기업의 해외사업화 애로요인(중복응답)> 순위 해외사업화 애로요인 응답 비중 1 제조원가 상승 61.05% 2 해외시장정보 부족 48.42% 3 수출관련 마케팅 인력 부족 44.21% 4 바이어의 제품단가인하 요구 32.63% 5 신흥경쟁국의 경쟁력 강화 30.53% 6 환율 변동에 따른 위험 25.26% 7 수입국의 규제 20.00% 8 국내업체간 과다 경쟁 17.89% 9 기술 및 품질경쟁력 약화 10.53% 사업 참여 부품 소재 중소기업이 해외사업화를 위해 준비하고 있는 사항에 대 한 정보를 확보 <국내 부품 소재 기업의 해외사업화 준비사항> 순위 해외사업화 준비사항 응답 비중 1 외국어 카달로그 제작 76.77% 2 외국어 홈페이지 구축 71.72% 3 국제전시회 참가(해외) 63.64% 4 해외사업 전담부서 및 전담자 보유 59.60% 5 국제전시회 참가(국내) 48.48% 6 해외상품 홍보 및 광고 36.36% 7 해외시장 개척단 참가 21.21% 부품 소재 중소기업의 해외사업화 니즈 및 애로사항에 대한 다양한 정보는 향 후 MCT Global Scoreboard의 향후 정부정책 설정에 참고자료로 제시될 수 있음 - ix -

2. 활용에 대한 건의 MCT Global Scoreboard의 목적성을 고려한 배포처의 설정 MCT Global Scoreboard는 우수 부품 소재 기업과 해외기업의 연계(수출, 기술협 력, 투자유치)를 활성화 하는데 목적이 있으므로, 연계효과(Matching Ratio)의 극 대화를 고려한 배포처의 설정이 중요함 본 연구회에서는 다음의 국가 및 기업을 대상으로 MCT Global Scoreboard를 배포 하는 것을 제안함 - 한국 주재 해외 주요국 대사관 : 해외기업이 한국에 주재중인 자국의 대사관을 통해 국내 부품 소재 기업에 대한 정보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함 - 국내에 사업소(지사)를 운영 중인 글로벌 기업 : 대사관을 거치지 않고 해외기업 에게 직접 배부하여 효과성을 높일 수 있음 - 해외 주재 한국 대사관 : 해외기업이 자국에 주재중인 한국의 대사관을 통해 부 품 소재 기업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함 - 해외기술협력거점(Global Tech) : 지식경제부에서 추진 중에 있는 해외해외기술 협력거점(미주, EU, 러시아 등 7개 거점)을 통해 해외기업이 국내 부품 소재 기 업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함 MCT Global Scoreboard의 효과성을 고려한 배포방법의 설정 MCT Global Scoreboard 책자 제작에서 더 나아가 해외기업에게 상시적으로 국내 부품 소재 기업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배부방법이 필요함 본 연구회에서는 On/Off-Line 배포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MCT Global Scoreboard 를 배포하는 것을 제안함 - 책자 제작 : Hard-Copy 형태의 책자로 제작하여 배포 단, 해외기업의 접근성이 떨어진 다는 단점이 있음 - x -

- 전자문서로 제작 : Soft-Copy 형태의 전자문서로 제작하여 온라인을 통해 배포, 해외 기업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음 - MCT Global Scoreboard Database 구축 : 장기적으로 우수 부품 소재 기업정보를 방대하게 수집하여 Database를 구축하고, 이를 인터넷을 통해 해외기업이 상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 국가 간 특성에 맞는 맞춤형 MCT Global Scoreboard의 제작 MCT Global Scoreboard는 여러 국가의 기업을 대상으로 배포되어야 하므로, 각 국가의 특성에 맞는 정보를 필요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공할 필요성이 있음 본 연구회에서는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MCT Global Scoreboard를 맞춤형 제작 하는 것을 제안함 - 다양한 언어로 제작 : 우선 세계 공용어인 영문제작을 시작으로 하여 장기적으 로는 국내 부품 소재 기업이 해외사업화를 희망하는 국가에 대한 수요조사를 통해 다양한 언어로 제작 - 해당 국가의 수요에 부합하는 분야별로 분류하여 제작 : 해외 각 국가마다 특화 된 부품 소재 영역이 존재하기 때문에 수요가 많이 발생되는 부품 소재 분야 가 모두 상이한 점을 감안하여, 국가적 특성이 반영된 Scoreboard를 부품 소재 분야별로 분류하여 배포 -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제작 : 해외사업화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요 소 중 하나가 바로 해당 국가의 문화적 특성이므로, 배포되는 국가의 문화적 특 성(국가 정서, 선호 및 기피 색상 등)을 고려하여 제작 MCT Global Scoreboard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정부 인증제도 추진 해외기업의 경우 MCT Global Scoreboard에 수록된 국내 부품 소재 기업 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낮을 가능성이 존재함 - xi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장기적으로 정부에서 인정하는 MCT Global Scoreboard 인증제도를 추진하여, 수록된 기업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높여줄 필 요성이 있음 향후, MCT Global Scoreboard 인증제도가 도입된다면, 해외기업과 국내 기업의 연계 (수출, 기술협력, 투자유치)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xii -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차 례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회 활동의 필요성 3 1. 연구회 활동의 배경 3 2. 연구회 활동의 필요성 5 제2절 연구회 활동의 목표 8 1. 연구회 활동의 의의 8 2. 연구회 활동의 목표 및 주요내용 8 제3절 연구회 활동의 추진체계 및 추진방향 10 1. 추진 체계 10 2. 추진 방향 13 제2장 본 론 15 제1절 부품 소재 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 17 1. 부품 소재 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 17 2. 부품 소재 산업 정부 지원정책 26 3. MCT Global Scoreboard 필요성 41 제2절 MCT Global Scoreboard 모델 및 Process 개발 45 1. [Step 1] MCT Global Scoreboard 후보기업 Pool 구축 45 2. [Step 2] 부품 소재 후보기업 1차 평가(Screening) 47 3. [Step 3] 부품 소재 후보기업 2차 평가 50 4. [Step 4] MCT Global Scoreboard 작성 항목 및 양식 도출 54 - xiii -

제3절 MCT Global Scoreboard 2012 작성 결과 57 1. MCT Global Scoreboard 2012 작성 개요 및 결과 57 2. MCT Global Scoreboard 2012 63 제3장 결 론 293 제1절 MCT Global Scoreboard 연구의 의의 및 한계 293 1. 연구의 의의 및 성과 293 2. 연구의 한계 296 제2절 MCT Global Scoreboard 활용방안 298 1. MCT Global Scoreboard 활용방안을 위한 제언 298 1. 전화조사 문답지 / 설문지 303 2. 우수 부품 소재 기업 List (248개 - 가나다순) 312 부 록 회의(OFF-LINE 모임) 개최 일지 - xiv -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표 차례 <표 2-1> 부품 소재 기업 1차 평가(Screening) 기준 48 <표 2-2> 부품 소재 기업 2차 평가 기준 및 배점 52 <표 2-3> 부품 소재 기업 단계별 조사 항목 59 <표 2-4> 부품 소재 무역통계 18 <표 2-5> 부품 소재 육성정책 추진 경과 19 <표 2-6> 부품 소재산업관련 주요 정부 지원정책의 내용 42 <표 2-7> 부품 소재산업관련 주요 정부 지원정책의 평가기준 43 <표 2-8> 소재 부품산업 미래비전 2020 주요 내용 20 <표 2-9> 제2차 부품 소재발전 기본계획의 성과 22 <표 2-10> 첫걸음 부품 소재 기술개발사업 지원 대상 분야 38 <표 2-11> ATC 및 WATC 사업별 평가위원회 평가항목 32 <표 2-12> World Class 300 분야별 주요 평가항목 29 <표 2-13> WPM 사업추진 10개 컨소시엄별 참여기업 36 <표 2-14> WPM 평가위원회 평가항목 34 <표 3-1> 부품 소재 기업의 해외사업화 희망국가(중복응답) 294 <표 3-2> 국내 부품 소재 기업의 해외사업화 애로요인(중복응답) 295 <표 3-3> 국내 부품 소재 기업의 해외사업화 준비사항 295 - xv -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그림 차례 <그림 1-1> 부품 소재 산업의 경제적 위상 6 <그림 1-2> 연구회 사업수행 Framework 14 <그림 1-3> 연구회 활동의 목표 9 <그림 1-4> MCT K-Star 발굴 연구회 추진 체계 10 <그림 2-1> 1차 조사 대상기업 도출 결과 61 <그림 2-2> 국내 부품 소재 업체 현황 25 <그림 2-3> 부품 소재 기술의 종합 경쟁력 상승 23 <그림 2-4> 부품 소재 대 중국 수출 비중 추이 24 <그림 2-5> 부품 소재 대일 무역적자 추이 24 <그림 2-6> 부품 소재 산업의 경제적 위상 17 <그림 2-7> 부품 소재 산업의 범위 구분 66 <그림 2-8> 부품 소재 주요 품목의 국산화율 22 <그림 2-9> 부품 소재 후보기업 1차 평가(Screening) Process 48 <그림 2-10> 부품 소재 후보기업 2차 평가 Process 53 <그림 2-11> 부품소재 Global Partnership 사업 추진체계 40 <그림 2-12> 응답기업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횟수(과거 5년간) 68 <그림 2-13> 응답기업의 국내외 인증 보유건수 69 <그림 2-14> 응답기업의 매출액 대비 수출액 비중( 08~ 10평균) 64 <그림 2-15> 응답기업의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율( 08~ 10평균) 68 <그림 2-16> 응답기업의 매출액( 08~ 10 평균) 64 <그림 2-17> 응답기업의 산업별 분류 현황 66 <그림 2-18> 응답기업의 연구개발 전담인력 수( 08~ 10평균) 67 <그림 2-19> 응답기업의 연구개발 전담조직 현황 67 <그림 2-20> 응답기업의 종업원 수 65 <그림 2-21> 응답기업의 주요 보유 인증현황(중복응답) 69 <그림 2-22> 응답기업의 지식재산권(특허) 보유현황 70 <그림 2-23> 응답기업의 지역별 분포현황 65 <그림 2-24> 응답기업의 해외사업화 대상 국가(중복응답) 71 <그림 2-25> 응답기업의 해외사업화 실시 여부 70 - xvi -

<그림 2-26> 응답기업의 해외사업화 준비도(건수) 72 <그림 2-27> 응답기업의 해외사업화 준비사항(중복응답) 72 <그림 2-28> 응답기업의 해외사업화 희망 사유 74 <그림 2-29> 응답기업의 해외사업화시 애로사항(중복응답) 73 <그림 2-30> 응답기업의 향후 해외사업화 희망 국가(중복응답) 71 <그림 2-31> 정량적 평가를 통한 후보기업 Screening 49 <그림 2-32> 제1차 부품 소재발전 기본계획의 성과 21 <그림 2-33> 첫걸음 부품 소재 기술개발사업 추진체계 37 <그림 2-34> MCT Global Scoreboard 2012 작성 단계 57 <그림 2-35> MCT Global Scoreboard 양식 56 <그림 2-36> MCT Global Scoreboard 후보기업 Pool 도출 Process 46 <그림 2-37> MCT Global Scoreboard Model 개발 Framework 45 <그림 2-38> World Class 300 추진체계 27 <그림 2-39> WPM사업 추진체계 33 <그림 3-1> MCT Global Scoreboard Model 개발 4 Step 294 - xvii -

제1장 서 론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회 활동의 필요성 1. 연구회 활동의 배경 글로벌 아웃소싱의 확대로 인해 국내 중소 부품 소재 중소기업은 성장에 어려움 을 겪고 있음 1980년대 후반, 미국 제조업 분야에서 활용하기 시작한 글로벌 아웃소싱 1) 은 2000 년대 들어 전 세계 기업들로 급속히 확산되기 시작함 - 이러한 글로벌 아웃소싱 열풍은 국내에서도 대기업을 위주로 해외에 사업의 일 부 기능을 이전하거나, 완성품 제조에 필요한 부품 소재를 저가로 수입하려는 추세를 확대시키고 있음 * 05년 기준 국내기업 43,8%가 아웃소싱을 도입하고 있고, 이중 대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71.2%에 달함 2) - 글로벌 아웃소싱은 대기업들에게는 비용절감과 자원의 집중, 핵심역량 강화 등 의 장점으로 인해 기업경영상의 큰 이점으로 작용함 하지만 이러한 글로벌 아웃소싱의 확대는 결국 국내 조달 축소를 야기하여, 주로 국내 대기업을 대상으로 납품을 담당했던 중소기업들의 설 자리를 줄어들게 만 드는 부작용을 유발함 1) 아웃소싱(Outsourcing) 이란 기업이 경쟁력이 없는 특정 업무나 기능을 외부의 전문 업체를 통해 위 탁 처리하여 관리 비용을 줄이고, 핵심 사업에 주력함으로써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목적 으로 행하는 기업 활동을 말함. 2) 국내 기업의 아웃소싱 실태조사, 대한상공회의소(2006. 03) 3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대부분의 부품 소재 중소기업은 기업역량 강화를 위한 자체 능력에 한계를 가지 고 있음 09년 기준 우리나라의 부품 소재기업 중 300인 미만 중소기업이 전체의 98.3% 를 차지 3) - 10인 이상 부품 소재기업은 총 22,185개로 이 중 300인 미만의 중소기업이 21,799개, 300인 이상의 중견~대기업이 386개를 차지하고 있음 따라서, 부품 소재 중소기업의 대부분이 성장에 필요한 자금의 부족, 우수인재 확보의 곤란 등의 애로사항으로 자체적인 기업역량 강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중소기업청의 조사 결과 중소 제조업체의 가장 큰 애로요인은 자금 부족 (30.0%) 과 인력확보 곤란 (26.1%)으로 조사됨 4) 이러한 애로사항은 해외사업화 역량 확보에도 영향을 미쳐 중소기업은 해외사업 화를 위한 정보 수집이나 해외 마케팅 등에도 어려움을 겪게 됨 부품 소재 산업의 수출에 있어 대 중국 의존도가 갈수록 증가하여 수출의 중국편 향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01년 이후 부품 소재 수출 현황을 살펴보면, 중국에 대한 수출이 급격하게 증 가하여 07년 이후로는 수출의 30% 이상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음 - 01년 부품 소재 산업의 중국 수출 비중은 15.5%에 불과했으나, 07년 30%를 돌파한 뒤 꾸준한 상승하여 10년에는 36.3%에 달함 5) 이러한 수출의 중국편향 현상은 부품 소재산업이 지나치게 중국시장에 의존하 는 결과를 낳게 되어, 향후 중국 시장의 급격한 변화(중국쇼크)에 따른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음 3) 부품소재통계 종합정보망, 지식경제부 4) 2011 중소기업 기술통계조사, 중소기업청(2012. 02) 5) 부품소재통계 종합정보망, 지식경제부 4

제1장 서 론 2. 연구회 활동의 필요성 국내 부품 소재 중소기업의 성장을 위한 해외사업화 지원 방안 마련이 필요함 대기업의 글로벌 아웃소싱으로 인해 점차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는 부품 소재 중소기업에게 해외사업화를 지원하여 성장의 기회를 제공해야 함 - 성장 기회제공 측면에서의 해결방안 중의 하나로 국내 부품 소재 기업을 대상 으로 아웃소싱을 원하는 해외 수요기업을 국내 중소기업과 연계시켜주는 글로벌 아웃소싱을 활성화해야 함 * 국내 부품 소재기업이 해외 수요기업의 공급자 및 기술 협력자가 되는 측면의 글로벌 아웃소싱 하지만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대부분의 부품 소재 중소기업은 자체적인 해외 사업화 역량을 확보하고 있지 못한 실정임 - 대다수의 중소 부품 소재기업은 해외 기업과의 연계를 통한 해외사업화를 희망 또는 계획하고 있으나, 기업들의 자체 역량 부족으로 인해 이를 실행에 옮기지 못하고 있음 따라서, 부품 소재 중소기업의 해외사업화 지원방안을 구축하여 부품 소재 중 소기업이 한 단계 더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함 해외사업화 지원방안을 도출하여 부품 소재산업의 수출다변화를 통한 대 중국 의존도 탈피 등, 향후 위협요인이 될 수 있는 리스크 사전 회피가 가능한 해외사 업화 지원방안을 모색해야 함 국가연구개발(R&D)사업 참여 경험이 있는 부품 소재 업체 중 우수 기업을 발굴 하여 사업화 촉진 기회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음 지난 05년 정부는 국가 연구개발 사업화율을 16%에서 30%까지 끌어올리는 목 표 6) 를 제시 6) 제2차 기술이전 사업화 촉진계획, 산업자원부(2005) 5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 연구개발 결과의 사업화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술 공급자와 기술 수요자의 연결고리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함 따라서, 기술 수요자와의 연계를 위한 우수 R&D 기업 후보군을 발굴하고, 사업화 촉진 방안을 마련함과 동시에 상시 관리하고 지원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함 부품 소재산업의 장기적인 발전에 필요한 정부 정책을 지원할 수 있는 지식 플랫 폼 구축이 필요함 정부는 01년 부품 소재 특별조치법 의 제정과 부품 소재발전기본계획(MCT-2010) 의 수립을 기반으로, 부품 소재기술개발사업, 기반구축사업 등을 수행하여 왔음 - 지난 10년간 이러한 정책은 부품 소재 산업의 눈부신 발전을 가져왔으며, 국내 제조업 분야에서 부품 소재 산업의 위상을 높이는데 기여함 <그림 1-1> 부품 소재 산업의 경제적 위상 * 부품 소재산업은 전체 제조업 생산액의 42%, 종사자의 51%, 수출액의 49%, 수입액의 35% 이상을 점유하는 등 국내 제조업의 중추로 자리 매김하고 있음 11년에는 소재 부품산업 미래비전 2020 이 제시되어 우리나라의 소재 부품산 업을 미래 세계시장을 주도하는 주력산업으로 도약시키겠다는 새로운 목표가 설 정됨 - 소재 부품산업 미래비전 2020 은 국내 소재 부품산업을 2020년까지 글로벌 4 대 강국으로 발전시키는 비전을 제시하고 있음 6

제1장 서 론 - 소재 부품산업 미래비전 2020 의 정책 목표는 1세계시장 선점 핵심기술개발, 2소재 부품 중심의 선진국형 제조 강국, 3글로벌 소재 부품 공급기지 달성 의 세 가지로 제시되어 있음 1 세계시장 선점 핵심기술개발 : 30대 전략 핵심소재, 100대 S/W 융합형 부품 2 소재 부품 중심의 선진국형 제조 강국 : 수출 6,500억 불, 무역수지 2,500억 불 달성 3 글로벌 소재 부품 공급기지 달성 : 800개 소재 부품 중핵기업 육성 따라서, 정부의 정책목표 달성에 기여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연구회 활동을 통 해 국가 정책 및 산업을 발전시키는 지식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연구 회 운영이 필요함 7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제2절 연구회 활동의 목표 1. 연구회 활동의 의의 연구회의 명칭 : MCT K-Star 발굴 연구회 본 연구회 활동을 통하여 우수 부품 소재 중소기업의 해외사업화를 위한 전문 지 식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고, 부품 소재산업에 대한 정부 정책 추진 지원체계를 마련하고자 함 우수 부품 소재 중소기업 발굴 및 발굴된 기업의 해외사업화 지원방안 마련을 통한 부품 소재 중소기업의 성장을 지원 부품 소재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경쟁력 강화 방안을 마련 부품 소재산업 중핵기업 육성정책 에 기여하는 글로벌 시장진출 가속화를 추진 소재 부품산업 미래비전 2020 의 정책 목표 달성에 기여 2. 연구회 활동의 목표 및 주요내용 MCT K-Star 발굴 연구회의 주요 연구 목표는 크게 우수 부품 소재 기업의 발굴, 해외 수요기업과의 연계를 위한 Scoreboard 작성, 작성된 Scoreboard의 활용방안 제 시로 이루어짐 우수 부품 소재 기업의 발굴 - MCT Global Scoreboard 작성 대상기업 Pool 도출 - 부품 소재 기업 1차 및 2차 평가기준 마련 - 평가기준을 통한 우수 부품 소재 후보기업 발굴 및 최종 우수기업 도출 8

제1장 서 론 해외 수요기업과의 연계를 위한 Scoreboard 작성 - MCT Global Scoreboard 작성 항목 및 기재 범위 도출 - MCT Global Scoreboard 양식 확정 - MCT Global Scoreboard 100개(국문) 및 3개 샘플(영문) 제시 Scoreboard 활용방안 제시 - MCT Global Scoreboard 배부대상 및 방법 제시 - MCT Global Scoreboard 활용을 위한 정책적 제언 제시 <그림 1-2> 연구회 활동의 목표 9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제3절 연구회 활동의 추진체계 및 추진방향 1. 추진 체계 전문성과 역량을 고려한 통합적 추진체계 구축 본 연구회는 총 10명의 전문 인력을 투입하고, 각 Part별 수행업무를 고려하여 해 당분야의 전문성과 역량이 있는 내 외부 VP(Value Provider)를 배치하여, 최적의 사업 수행체계를 구성함 - 10명의 참여연구원 외에 후보기업별 Profile 조사를 위한 외부 전문 조사 기관을 활용함 또한, 부품소재 관련 기술, 산업, 글로벌 협력 분야의 다양한 전문가 Pool을 구축 하여 연구회 성과물의 질적 제고를 위한 전문가 위원회를 구축하고 연구 추진 단 계별 자문회의를 실시함 <그림 1-3> MCT K-Star 발굴 연구회 추진 체계 10

제1장 서 론 연구회 참여인원의 구성 및 역할분담 내부 연구위원 구 분 소 속 성명/직급 연구회 역할 연구책임자 기술과가치 양현모 이사 연구 총괄 책임 연구참여 기술과가치 임천수 고문 부품소재우수기업 발굴 및 조사 연구참여 기술과가치 연구소 박윤석 소장 MCT Global Scoreboard 활용방안마련 연구참여 기술과가치 박해련 책임VP 부품소재 우수기업 선정체계 구축 연구참여 기술과가치 곽유창 선임VP 부품소재 우수기업 선정체계 구축 연구참여 기술과가치 송준화 전임VP 부품소재 우수기업 선정체계 구축 연구참여 실리콘밸류 정윤섭 이사 부품소재우수기업 발굴 및 조사 연구참여 실리콘밸류 권현구 차장 부품소재우수기업 발굴 및 조사 연구참여 미래사회신경제연구원 전정재 박사 MCT Global Scoreboard 활용방안마련 연구참여 비앤아이 김지용 대표 MCT Global Scoreboard 활용방안마련 11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외부 전문가 위원회 구 분 소 속 성명/직급 연구회 역할 외부전문가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 김재범 과장 디스플레이 분야 부품 소재 자문 위원 외부전문가 한국단자공업(주) 이택기 전자 분야 부품 소재 자문 위원 외부전문가 현대기술투자(주) 최정환 부품 소재 산업 자문 위원 외부전문가 예닮요양병원 최은호 의료분야 부품 소재 자문위원 외부전문가 전북대학교 정윤조 전문관 소재산업 분야 자문위원 외부전문가 PSG 허광범 대표이사 신재생에너지 분야 부품 소재 자문 위원 외부전문가 동반성장위원회 강성욱 전문위원 환경 분야 부품 소재 자문 위원 외부전문가 철도기술연구원 손무성 연구원 기계 분야 부품 소재 자문 위원 외부전문가 드리밍택 노창현 대표이사 전자, IT 분야 부품 소재 자문 위원 외부전문가 LG이노텍 김두호 대리 전자, IT 분야 부품 소재 자문 위원 12

제1장 서 론 2. 추진 방향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본 연구의 수행범위를 총 3개의 모듈로 구성하고, 각 모듈별 자문회의 및 전문가위원회 개최를 통해 사업의 신뢰성을 제고함 Module I. 환경분석 및 필요성 도출 부품 소재기업을 둘러싼 산업 및 정책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본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을 도출하고 사업의 추진방향을 정립 - 부품 소재 산업 및 정책 분석 : 부품소재산업 현황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 하고, 유사 지원정책의 추진경과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하여 정부 지원정책의 시사점을 도출 - MCT Global Scoreboard 필요성 도출 : 산업 및 정책분석을 통해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MCT Global Scoreboard의 필요성 및 목적을 도출 Module II. MCT Global Scoreboard Model 및 Process 개발 MCT Global Scoreboard Model 및 Process를 개발하고, 우수 부품 소재 기업을 해 외 수요기업에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Scoreboard 양식을 도출 - 후보기업 Pool 도출 : 다양한 기업 Database를 활용하여 MCT Global Scoreboard의 작성 대상이 되는 부품 소재 후보기업 Pool을 도출 - 1차 평가(Screening) : 1차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후보기업 Pool을 대상으로 평가 를 실시하여 MCT Global Scoreboard 사업목적에 부합하는 기업을 압축 및 도출 (Screening) - 2차 평가 : 1차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도출된 후보기업을 대상으로 최종 MCT Global Scoreboard 작성 대상이 되는 기업을 도출하기 위한 2차 평가 기준을 마련 하고 조사 및 평가를 실시 - MCT Global Scoreboard 양식 도출 : MCT Global Scoreboard의 효과성을 향상시키 기 위해 활용 목적에 부합하는 기업정보 항목 및 양식을 도출 13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Module III. MCT Global Scoreboard 2012 작성 개발된 MCT Global Scoreboard Model 및 Process를 활용하여 우수 부품 소재 기 업 100개를 도출하여 MCT Global Scoreboard 2012를 작성하고, Scoreboard 활용방 안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 - 국문 Scoreboard 작성 : MCT Global Scoreboard Model 및 Process를 바탕으로 최 종 발굴된 100개 기업의 MCT Global Scoreboard 2012를 작성 - 영문 Scoreboard 샘플 작성 : 국문으로 작성된 MCT Global Scoreboard 2012 중 대 표적인 3개 기업을 선정하여 영문 Scoreboard 샘플 작성 - Scoreboard 활용방안에 대한 제언 : 최종 작성된 MCT Global Scoreboard 2012에 대한 활용방안을 배포 및 활용, 정부지원측면에서 다양하게 제시 <그림 1-4> 연구회 사업수행 Framework 14

제2장 본 론

제2장 본 론 제1절 부품 소재 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 1. 부품 소재 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 가. 부품 소재 산업의 현황 지난 10년간 부품 소재산업은 비약적인 성장을 통해 국내 제조업의 중추 분야로 자리 잡음 01년 정부의 부품 소재 육성 지원정책 이후, 부품 소재산업은 급속한 발전을 통해 우리 경제의 주축으로 자리 잡으며 위상이 급격히 성장하였음 - 부품 소재 산업은 전체 제조업 생산액의 42%, 종사자의 51%, 수출액의 49%, 수입액의 35% 이상을 점유 7) <그림 2-1> 부품 소재 산업의 경제적 위상 7) 부품소재통계 종합정보망, 지식경제부 17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 과거 제조업의 중심은 완제품 시장이었으나, 현재는 부품 소재 산업이 제조업 의 중심이 됨 또한, 부품 소재 산업으로 인해 수출액 및 무역흑자가 지속 증가하는 등의 성과 를 거두었음 - 수출은 04년 1,029억 불에서 10년 2,290불로 증가하였으며, 무역수지 흑자는 04년 152억 불에서 10년 779억 불로 증가 <표 2-1> 부품 소재 무역통계 (단위 : 억불) 구 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수 출 1,079 1,238 1,487 1,682 1,835 1,710 2,290 수 입 927 1,011 1,140 1,318 1,488 1,197 1,512 무역수지 152 227 347 364 348 512 779 * 출처 : 부품 소재산업동향, 한국기계산업진흥회 정부는 2000년대에 들어 산업구조 고도화 및 무역역조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부 품 소재산업의 육성정책을 추진 중임 01년의 부품 소재특별조치법 제정 이래로 글로벌시장 진출, 신뢰성 인프라 확 충 등 다각적인 지원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음 - 부품 소재정책 추진 초기에는 단기성과 창출이 용이한 부품 개발 및 신뢰성, 정보체계 확충 등 인프라 구축에 주력 - 부품 소재 산업의 기반구축에 성공한 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글로벌 시장 진 출을 위한 부품 소재 중핵기업 육성정책을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음 18

제2장 본 론 <표 2-2> 부품 소재 육성정책 추진 경과 주요 대책 주요 내용 부품 소재 1차 기본계획 ( 01.7) 부품 소재중핵기업 대책 ( 06.5) 소재산업 발전 비전 ( 07.7) 부품 소재 2차 기본계획 ( 09.1) 전문화 대형화를 통한 세계적 조달체제 편입 기술개발, 신뢰성 등 부품 소재 발전기반 구축 세계 5위권 50대 모듈 부품 핵심 기술력 확보 미래시장 선점형 50대 소재원천기술 확보 소재개발에 국가기술 역량 집중 창조적 혁신 소재인프라 구축 녹색성장관련 부품 소재와 미래선도 소재 개발 수요대기업과 중소 부품 소재업체간 상생협력 부품 소재경쟁력 제고대책 ( 09.11) 세계시장선점 10대 핵심소재(WPM) 개발 무역역조 10대 소재 자립화 * 출처 : 소재 부품산업 미래비전 2020, 지식경제부(2011. 10) 11년에는 소재 부품 미래비전 2020 을 발표하고 20년까지의 정부 정책 및 중 장기 비전을 새롭게 제시하였음 - 소재 부품 미래비전 2020 은 우리나라의 소재 부품산업을 미래 세계시장을 주도하는 주력산업으로 도약시키겠다는 목표를 담고 있음 - 이와 함께 지난 01년 제정된 부품 소재특별조치법 의 시한을 21년까지 10년 연장하는 것으로 결정(확정) 19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표 2-3> 소재 부품산업 미래비전 2020 주요 내용 비전 2020년 소재 부품 글로벌 4대 강국 달성 1. 세계시장 선점 핵심기술 개발 30대 전략적 핵심소재 100대 S/W융합형 부품 목표 2. 소재 부품 중심의 선진국형 제조 강국 수출 6,500억불 달성 무역수지 2,500억불 달성 3. 글로벌 소재 부품 공급기지 달성 소재 부품 중핵기업 800개 육성 * 출처 : 소재 부품산업 미래비전 2020, 지식경제부(2011. 10) 정부의 부품 소재산업의 육성정책 추진 이후, 부품 소재산업은 비약적인 성과를 달성함 부품 소재발전 1차 기본계획을 통해 무역수지 흑자 달성 및 수출비중 확대 등의 성과를 이룸 - 목표 : 10년 무역수지 흑자 500억불, 수출 비중 50% 달성 - 성과 : 해당 기간( 01~ 10) 동안 부품 소재 분야에서 수출 실적은 3.7배, 무역흑 자 29배 증가 8) * 01년 부품 소재 무역수지 흑자 : 27억불 10년 779억불로 증가 * 01년 부품 소재 수출액 비중 : 41.2% 10년 49.1%로 증가 * 01년 부품 소재 수출액 : 620억불 10년 2,290억불로 증가 8) 소재 부품산업 미래비전 2020, 지식경제부(2011. 10) 20

제2장 본 론 <그림 2-2> 제1차 부품 소재발전 기본계획의 성과 부품 소재발전 2차 기본계획을 통해서는 수출 순위의 향상 및 외국인 투자유치 확대 등의 성과를 이룸 - 목표 : 10년 부품 소재 수출 순위(점유율) 5위(5%) 달성, 외국인 투자 50억 불 유치 - 성과 : 해당 기간( 01~ 10) 동안 부품 소재 분야 수출순위 4계단 상승, 외국인 투자 3.5배 증가 9) * 01년 부품 소재 수출 순위(점유율) 10위(3.4%) 09년 6위(4.6%)로 상승 * 01년 부품 소재 외국인 투자 15억불 10년 52억불로 증가 9) 소재 부품산업 미래비전 2020, 지식경제부(2011. 10) 21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표 2-4> 제2차 부품 소재발전 기본계획의 성과 (단위 : %) 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7위 8위 9위 10위 2001 2007 미국 독일 일본 영국 프랑스 중국 이태리 홍콩 싱가폴 한국 (16.2) (10.7) (9.4) (5.1) (5.0) (4.0) (4.0) (3.6) (3.6) (3.4) 독일 미국 중국 일본 프랑스 홍콩 이태리 한국 싱가폴 영국 (12.3) (11.9) (10.6) (8.2) (4.7) (4.5) (4.4) (4.2) (4.0) (3.5) 독일 중국 미국 일본 홍콩 한국 프랑스 싱가폴 이태리 벨기에 2009 (11.2) (11.0) (10.6) (7.7) (4.8) (4.6) (4.1) (3.8) (3.8) (3.2) * 출처 : UN Comtrade Data 정부의 다양한 지원 정책으로 부품 소재산업의 기술경쟁력은 크게 향상되었으며, 선진국과의 기술격차 또한 감소하는 추세임 부품 소재산업에서 상대적으로 국산화율이 취약했던 주요 품목의 국산화율이 크게 향상됨 10) - 적극적인 기술개발 노력으로 디스플레이, 개별소자, 전지 등 상대적으로 취약했 던 품목의 국산화율이 크게 향상 <그림 2-3> 부품 소재 주요 품목의 국산화율 10) 소재 부품산업 미래비전 2020, 지식경제부(2011. 10) 22

제2장 본 론 또한, 선진국과 비교하여 국내 부품 소재 기술의 상대적인 경쟁력이 증가하여 기술수준이 선진국 수준에 거의 근접하는 수준으로 향상됨 11) - 01년 미국 기술수준의 74.2%에 불과했던 국내 기술수준은 09년 미국대비 92.6%까지 상승 (미국=100) <그림 2-4> 부품 소재 기술의 종합 경쟁력 상승 나. 부품 소재 산업의 문제점 부품 소재 기술력의 향상으로 인한 부품 소재산업의 대일의존도 완화에도 불구 하고, 대일 무역적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국내 부품 소재산업은 많은 발전을 이루었으나 원천기술이 요구되는 일부 첨단 부품 소재에 대해서는 일본에 의존하는 경향이 여전하여, 무역규모가 확대될수 록 대일적자 규모 또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 특히, 부품분야 보다 원천기술이 부족한 소재분야에서 대일역조 현상이 심화 12) * 원천기술 부족으로 대일 무역적자의 58%( 10년 기준)가 소재분야에서 발생 11) 부품 소재기업 종합실태조사,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2001),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09) 12) 부품소재통계 종합정보망, 지식경제부 23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그림 2-5> 부품 소재 대일 무역적자 추이 2000년대에 들어서 부품 소재의 수출국이 중국에 편중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어, 부품 소재 산업의 대 중국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음 01년 이후 부품 소재 수출 현황을 살펴보면, 중국에 대한 수출이 급격하게 증 가하고 있음 - 01년 15.5% 수준이었던 중국에 대한 수출 비중이 10년에는 36.3%까지 증가 13) (단위 : %) <그림 2-6> 부품 소재 대 중국 수출 비중 추이 따라서, 부품 소재 수출국의 다변화 전략을 모색하여 수출국 다변화를 통한 중 국쇼크 대응 등의 리스크 관리가 필요함 13) 부품소재통계 종합정보망, 지식경제부 24

제2장 본 론 국내 부품 소재 업체의 대부분은 300인 미만의 중소기업으로 자체 성장에는 한 계가 존재하여, 성장이 정체되어 있는 실정임 09년 기준 부품 소재 업체는 전체 제조업체의 38.3%(22,185개)를 차지하고 있으 며, 그 중 98.3%(21,799개)의 업체가 300인 미만의 중소기업으로 구성되어 있음 14) - 전체 부품 소재기업 생산액의 51.3%, 부가가치의 31.6%는 중소기업에 의해 창 출되고 있음 <그림 2-7> 국내 부품 소재 업체 현황 부품 소재 중소기업은 기업역량 강화를 위한 사업발굴의 애로, 우수인재 확보 부족 등으로 성장이 정체되고 있음 - 부품 소재 기업은 매출 50억 원, 5백억 원, 5천억 원 구간에서 성장정체가 발생 15) 14) 부품소재통계 종합정보망, 지식경제부 15) 소재 부품기업 성장통 현황, 한국기업데이터 분석 25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2. 부품 소재 산업 정부 지원정책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정책 및 부품 소재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정책의 비교분석을 통한 시 사점을 도출하여 MCT Global Scoreboard의 필요성 및 차별화 Positioning을 도출하고자 함 가. World Class 300 사업의 목적 지식경제부에서 주관하고 있는 World Class 300 사업은 글로벌 기업으로의 성장 가능성이 있는 중소 중견기업을 World Class기업 16) 으로 육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 기업의 미래 성장 동력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한 혁신을 촉진 - 산업 차원의 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성장 동력 확충과 더불어 일자리 창출을 목 적으로 함 추진체계 World Class 300 사업은 지식경제부가 주최하고, World Class 기업지원센터인 한 국산업기술진흥원(KIAT) 하에 총 12개의 지원기간 협력체가 지원조직으로 구성 되어 있음 16) World Class 기업 : 기업 스스로 성장역량을 강화하고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미래 성장 동력과 경 쟁우위를 확보하며, 거래관계의 독립성을 바탕으로 성장 잠재력이 큰 시장에서 글로벌 기업과 경 쟁, 거래, 협력하면서 시장지배력을 확대하는 기업 26

제2장 본 론 <그림 2-8> World Class 300 추진체계 주요내용 World Class 300 사업의 선정기업에 대해서는 향후 5년간 맞춤형 지원에서부터 지속적인 사후관리까지 지원함 - 기술개발지원, 해외진출지원, 출연연 연구인력 파견 및 전문 인력 채용지원, 금 융지원, 컨설팅지원 등을 12개 지원기관 협의체*에 의해 맞춤형 패키지로 지원 * KOTRA,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수출입은행, 산업기술연구회,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중 소기업진흥공단, 정책금융공사, 한국무역보험공사, 중소기업은행, 한국거래소, 산업은행, 신 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R&D 특허센터, 한국지식재산보호협회, 한국발명진흥회 -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및 각 지원기관 협의체의 기업별 전담 인력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시책 연계, 경영애로 해소, 이행점검 등 사후관리가 지속적으로 지원됨 지원기업에게는 지원기간 중 최대 100억 원의 R&D 자금을 지원하며, 기술 확보 부문 및 시장 확대 부문, 인력확보 부문으로 구별하여 지원이 이루어짐 27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 기술 확보 부문 : 총 개발비의 50%이내에서 3~5년간 지원(연간 15억 원 내외) * 시장 확대 부문 : 연 1억 원 내외(기업 50% 부담)로 최장 5년간 지원 * 인력확보 부문 : 이공계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채용을 조건으로 한 장학금을 1인당 350만원 지원 지원대상 World Class 300 사업의 지원대상은 매출액이 1조원 미만인 글로벌 기업으로의 성장 잠재력이 있는 중소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하고 있음 - 최근 3년간 매출액 대비 R&D투자비율이 평균 2% 이상이거나 최근 5년간 연평 균 매출액 증가율(CAGR 17) )이 15% 이상인 기업 선정기준 및 평가항목 World Class 300 사업은 제품경쟁력, 기술력, 기업성장성, 진출전략 및 시장성 등 을 아래와 같이 4단계의 절차를 거쳐 평가함 1 요건심사 : 월드클래스 300 프로젝트 신청자격 요건 충족여부 및 정부지원 부적 격 여부 사전 심사 2 분야평가 : 1을 통과한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 확보, 시장 확대, 투자, 경영혁신 및 고용 등 4개 분야별로 시장 기술현황 분석의 객관성 종합성, 기업역량의 우 수성, 전략목표의 명확성 적정성 달성가능성, 전략 실행계획의 구체성 타당 성 등을 평가 3 현장 확인 및 검증 : 2를 통과한 기업을 대상으로 성장전략서에 제시된 내용의 사실여부, 기업의 성실성, 도덕성 검증 4 종합평가 : 2, 3의 결과를 종합, 비전 및 전략목표의 World Class 수준 부합여부, 성장전략간 정합성, 기대효과 등을 평가 17) CAGR : Compound Annual Growth Rate(연평균성장률) 28

제2장 본 론 <표 2-5> World Class 300 분야별 주요 평가항목 1. 시장 확대 전략 분야 주력시장 경쟁 환경과 시장규모 분석의 객관성, 구체성 및 종합성 주력시장 경쟁 환경과 시장규모 고려 시 향후 성장성 시장 확대 핵심성공 요인 설정의 타당성 시장 확대 조직 및 인력의 우수성 외부 네트워크 등 기타 시장 확대 역량 최근 3년간 시장 확대 추진 실적 시장 확대 목표의 명확성과 달성 가능성 시장 확대 전략과 실행계획의 구체성과 타당성 필요자원 및 역량 확보를 위한 자기노력의 적극성 2. 기술 확보 전략 분야 주력제품 기술현황 조사 분석의 객관성, 구체성 및 종합성 연구인력 우수성 시설, 환경 등 연구역량 기술 확보를 위한 네트워크 역량 최근 3년간 기술개발 및 획득실적의 우수성 주력제품 관련 핵심기술 보유 수준 기술 확보 목표의 명확성, 적정성 기술 확보 전략과 실행계획의 구체성과 타당성 필요자원 및 역량 확보를 위한 자기 노력의 적극성 3. 투자 전략 분야 투자 목표의 타당성과 적정성 외부 조달 방안의 추진가능성 자체 조달 방안의 추진가능성과 적극성 4. CEO리더십과 경영혁신 전략 분야 CEO 경영철학 신념 인력 확보 현황 및 문제 분석의 구체성과 종합성 인력 확보 전략의 구체성과 타당성 인력 확보를 위한 자기 노력의 적극성 조직운영 리스크 분석의 구체성과 종합성 미래 조직운영 방향의 타당성 29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성과 및 파급효과 World Class 300 사업의 성과 및 파급효과는 선정된 기업의 매출급등 및 신규인 력 채용의 증가, 고용창출 등으로 나타나고 있음 - World Class 300 프로젝트 1차 대상 30개 기업의 매출 급증 * 주성엔지니어링, 크루셜텍, 상신브레이크, 인포피아 등 World Class 300 프로젝트 참여기업들 은 11년 한해 총 6조 9,591억 원의 매출액을 기록하였으며, 1,163명의 신규 인력을 채용함 * 30개 참여기업의 총 수출액의 경우 10년 2조 7,879억 원에서 11년 49%가 증가하여 4조 1,532억 원을 기록함 - 신규인력 채용의 증가 및 고용창출 * 11년 한해 신규 인력 총 1,163명을 채용, 기업 당 평균 38.8명의 고용을 창출하였으며, 12 년 1,612명의 신규인력 채용 예상 나. ATC(Advanced Technology Center, 우수기술연구센터) 사업의 목적 ATC사업의 목적은 세계적으로 우수한 기술력 및 상품을 보유한 중소 중견기업 의 기업부설연구소를 지정 및 지원하여 세계적수준의 연구소를 육성하는 것임 추진체계 ATC사업은 지식경제부가 주최기관으로 있으며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이 주관기관으로 사업을 수행함 주요내용 지정 기업에게 최대 5년간 ATC 및 WATC로 구분하여 R&D 활동자금 및 중소기 업 신규 채용인력에 대한 인건비의 현금 등을 지원하며, 12년도부터 중소 중견 기업 대상 연구지원전문가 지원제도가 신설됨 30

제2장 본 론 - ATC : 지원기간은 5년 이내이며, 1단계(2년) 및 2단계(3년 이내)로 구분하여 단 계평가를 통해 차기단계 지원 - WATC : ATC사업을 성공(보통, 우수, 조기종료)으로 평가받은 기업에 한하여 신 청 자격이 주어지며 지원기간은 3년 이내 지원 금액은 총 정부출연금 541.9억 원으로 이 중 신규기업에 대한 지원 금액은 100억 원이며, 기업 당 연간 최대 5억 원 이내로 지원 - 핵심 연구 인력으로 지정된 인력에 대해서는 별도의 연구 인센티브 지급 지원대상 ATC사업은 R&D 집중도와 수출비중이 높고, 우수한 기술 잠재력을 보유한 중 소 중견기업의 부설연구소를 주 대상으로 하고 있음 - 세계 일류상품 생산 또는 3년 내 시장점유율 세계 10위 이내의 상품생산이 가능 한 기업의 부설연구소 중 선별 * 지원대상인 기업부설연구소는 원칙적으로 표준산업분류 상의 제조업에 해당되는 기업의 연구 소를 원칙으로 하되 다음의 업종을 지원 대상에서 포함하거나 제외함 * 제조업 이외 업종 중 포함 업종 : 지식서비스업 중 소프트웨어 개발업, 디자인 서비스업, 연구 개발업, 환경 건축기술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업 * 제조업 중 제외업종 : 식료품 제조업, 음료 제조업, 담배 제조업 선정기준 및 평가항목 기업부설연구소의 연구역량 평가, 기술성 평가의 두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지며, WATC사업의 경우 글로벌 지향성 평가 항목이 추가됨 31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표 2-6> ATC 및 WATC 사업별 평가위원회 평가항목 연구역량(50%) 기술성(50%) 연구역량(30%) 기술성(40%) 글로벌지향성(30%) ATC 연구인력 우수성 및 시설 환경 등 연구역량(H/W) 연구실적 등 연구역량(S/W) CEO 혁신의지 및 기업역량 신청기업의 수출지향 정도 신규인력 확보계획 등 우수기술연구센터 발전방안 기술개발 방법의 구체성 타당성 기술개발 목표의 적정성 명확성 기술개발의 혁신성 차별성 실용화 가능성, 시장진입 가능성 및 성장성 개발성공시 파급효과 WATC ATC사업 성과 우수성 연구인력 시설 환경 연구실적 CEO 혁신의지 및 기업역량 기술개발 방법의 구체성 타당성 기술개발 목표의 적정성 명확성 개발기술의 혁신성 차별성 개발성공시 파급효과 글로벌 독자브랜드 개발 가능성 글로벌 시장점유율 확대 가능성 세계일류기술연구소 발전 전략 성과 및 파급효과 선정된 기업의 매출액 증가, 사업화 성공비율 증가, 고용창출 효과의 세 가지를 들 수 있음 - 03년 사업이 시작된 이래 10년까지 196개의 ATC기업이 지정됨 * 지정기업 수는 03년 19개, 04년 27개, 05년 14개, 06년 14개, 07년 17개이며, 이 중, 13개 기업은 코스닥시장에 상장됨 32

제2장 본 론 - 최근 3년간 ATC기업의 전체매출 62.1%, R&D 투자금액이 99.6% 증가 * 정부출연금 10억 원 당 누적매출액 193억 원 - 04년~ 08년 종료된 ATC기업들의 사업화 성공비율 66.0% - 최근 3년간 늘어난 ATC기업의 종업원 수는 2,790명으로 13.3%의 증가율을 나타냄 * 이 중, 연구인력 증가는 1,025명으로 27.7% 증가함 다. WPM(World Premier Materials, 10대 핵심 소재 사업) 사업의 목적 WPM사업의 목적은 국내 소재기업의 역량 강화와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세 계시장 선점 10대 핵심소재 개발 사업을 선정 및 육성하는 것임 - 향후 WPM사업을 통해 전 세계 소재 시장점유율 30%이상 달성을 목표로 함 추진체계 지식경제부의 주최 하에 기획위원회와, 사무국을 포함한 총 10개의 WPM 사업단 을 통해 운영되고 있음 - WPM 사무국의 경우 KEIT에서 전담하고 있으며, WPM Program의 기획위원회 실무운영과 사업단을 관리함 <그림 2-9> WPM사업 추진체계 33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주요내용 WPM사업의 주요내용은 참여기업에 대해 최대 9년까지 과제별 최대 연간 100억 원 내외의 자금을 지원하고, 과제별 특성에 따라 단축이 가능함 - 1차년도 : 과제별 20억 원 내외 지원 - 2차년도(2011년) : 2011년부터 과제별 연간 100억 원 내외 지원 * 단, 대기업의 경우 정부출연금 활용률은 50% 이내로 제한되며, 이는 중소 중견기업 글로벌 화 촉진 등을 위함임 지원대상 총괄주관기관, 세부주관기관, 참여기관으로 구성된 분야별 컨소시엄 형태로 이루어짐 - 총괄주관기관 : 사업단의 운영기관으로, 기업부설연구소를 보유한 법인사업자 - 세부주관기관 : 원칙적으로 기업체를 구성하되, 필요에 따라 대학 및 연구소도 참여가능 - 참여기관 : 기업, 대학, 연구기관, 사업자단체 및 산업기술혁신촉진법에 의한 산 업기술개발 사업의 실시기관 등 과제성격 평가항목 세부 항목 기술개발 <표 2-7> WPM 평가위원회 평가항목 기술성 및 개발능력(70%) 경제성 및 사업화 가능성(30%) 사전준비성 계획의 구체성과 타당성 개발 목표의 적정성과 명확성 기술의 혁신성과 차별성 기술개발 추진 전략 및 체계의 적정성 총괄책임자 및 사업단 능력 기술적 파급효과 시장 진입 가능성 및 성장성 경제성 및 시장에 미치는 파급 효과 34

제2장 본 론 선정기준 및 평가항목 WPM사업은 기업의 기술성 및 개발능력이 가장 중요하게 평가되며(70%), 이와 함께 경제성 및 사업화 가능성을 평가(30%)하여 선정됨 성과 및 파급효과 WPM사업의 성과 및 파급효과는 사업시작 초기에 높은 성과를 내고 있다는 점과, 사 업 시행으로 인한 지식재산권의 창출 및 해외기관의 참여 유도를 들 수 있음 - 10년 WPM 사업이 시작한 이래로 10개의 각 사업단은 다음과 같은 조기성과를 창출 중에 있음 * 초경량 마그네슘 소재 사업단의 포스코는 1.2m의 광폭 마그네슘 판재 제조 기술 개발 * 나노카본 복합소재 사업단의 LG화학은 지름 20~30nm급의 맞춤형 나노카본 설계기술 개발 * Flexible 디스플레이용 기판사업단은 LCD OLED용 고내열 플라스틱 소재와 필름기술을 세계 최고 일본 스미토모의 85% 수준으로 기술수준 제고 * 고성능 2차 전지 소재사업단의 경우 일본니치아의 82%, 92% 기술수준으로 전기차 및 에너지 저장용 양극 소재 개발 * 초고순도 실리콘카바이드(SiC) 소재 사업단은 세계 최고 수준의 90%에 이르는 초고순도 SiC 분말합성에 성공 - 이러한 성과를 통해 지식재산권 분야에서 10년 3월까지 총 87건의 특허를 출원함 - 또한, 동 기간 동안 23개의 해외기업과 연구기관을 유치하여 해외기관의 참여 유도에 있어서도 좋은 성과를 내고 있음 35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표 2-8> WPM 사업추진 10개 컨소시엄별 참여기업 분 야 친환경 스마트 표면처리 강판 수송기기용 초경량 Mg(마그네슘)소재 에너지 절감/변환용 다기능성 나노복합소재 다기능성 고분자 멤브레인 소재 Flexible 디스플레이용 플라스틱 기판 소재 고에너지 이차전지용 전극소재 바이오 메디컬 소재 초고순도 SiC(실리콘 카바이드)소재 LED용 사파이어 단결정 소재 탄소저감형 케톤계 프리미엄 섬유 참여기업 포스코( ), 오스템, 인포비온, 르노삼성자동차, 벡터필드코리아, 비 즈오션, 티알엠, 코스텍, 지은컨설팅, 노르코일코팅, 지엠대우오토앤 테크놀로지, 동부제철, 포스코 강판, 유니온스틸 포스코( ), 노루코일코팅, 솔루션랩, 신영, KC케미칼, 지엠대우오토 앤테크놀로지, 오스템, 성우하이텍, 엠에스오토텍, 동양강철, 센트랄, 지월드-마그빌, 동남정밀, 명화공업, 성우오토모티브, 현대자동차 LG화학( ), 효성, 바이오니아, 파낙스이엠, 삼성전자, 제일모직, 나 노기술, 현대자동차, 신한세라믹, 일광, 만도, LG이노텍, 나노솔루 션, 에이테크솔루션, 신아티앤씨, 제이오, 디에이치홀딩스, 한주금속, 현대모비스, 후성정공, 크레진 코오롱FM( ), 애경유화, 에어레인, 현대위아, 효성, 삼원엔지니어 링, 웰크론, 삼성정밀화학, 효성에바라, 제일모직, 삼성전자, 한국정 수공업, 코오롱인터스트리, 현대자동차 제일모직( ), 대림화학, 폴리사이언텍,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 삼성 전자, 코오롱인더스트리, 현대모비스, 현대자동차, 잉크테크, 나노신 소재, 엔에피, 에폰, LG화학, 아이컴포넌트, LG디스플레이 삼성SDI( ), 엘엔에프신소재, 제이오, SK에너지, 에너테크인터내셔 널, 테크노세미켐, 한국유미코아, Saft, 코캄, 디엔텍, 한화테크엠, 삼 성전자, 애경유화, SB리모티브, 엠케이전자, 예일전자, 이아이지, 한 국엠테크, 포스코켐텍 아미노로직스( ), 한켐,M 아미노룩스, 코리아본뱅크, 히스토스템, 덴티움, 위노바, 아이진, 케이피씨, 코렌텍, 오스템임플란트 LG이노텍( ), SKC솔믹스, 금강쿼츠, 이노쎄라, 이화다이아몬드공 업, 석경에이티, 포스코, 쌍용머티리얼, 주성엔지니어링, 현대자동차 사파이어테크놀로지( ), 크리스탈온, 서울반도체, 이화다이아몬드 공업, 일진다이아몬드, 일진디스플레이, KCC, 케이씨, 크리스텍 효성( ), 데스코, 신기인터모빌, 알켄즈, 브이엠테크, 한국엔지니어 링플라스틱, 현대자동차, 거성산업자재, 넥센타이어, 삼성교역, 한국 타이어, 알티아이엔지니어링, 태광산업가스 * 자료 : 지식경제부, 신한금융투자 * 주 : 표시기업은 총괄주관기관임 36

제2장 본 론 라. 첫걸음 부품 소재 기술 개발 사업 사업의 목적 첫걸음 부품 소재 기술 개발 사업의 목적은 부품 소재 중소기업 중 현장기술 력이 뛰어나나, 정부 R&D에 접근하기 어려운 숨어있는(Hidden) 강소기업을 집중 적으로 발굴 육성하기 위함임 추진체계 첫걸음 부품 소재 기술 개발 사업은 지식경제부를 중심으로 하여 지원단으로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과 중소기업진흥공단이 각각 최종선정평가위원회, 예비평가위원회 역할을 담당하여 추진됨 <그림 2-10> 첫걸음 부품 소재 기술개발사업 추진체계 주요내용 첫걸음 부품 소재 기술 개발 사업은 선정기업에 대해 첫걸음 부품 소재 R&D 지원단 을 통하여 과제발굴, 홍보강화, 사업계획서 작성지원, 기술개발과제 컨설 팅 및 사업화 등을 2~3년간 지원하게 됨 37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 기업별 지원 금액 규모는 연간 1~3억 원을 지원하며 과제별 지원범위는 과제별 특성에 따라 상이함 - 단, 사업의 성공 시 투자금액의 일부(20%)를 회수 지원 대상 첫걸음 부품 소재 기술 개발 사업은 지원대상을 창업 1년 이상, 매출액 100억 원 미만의 부품 소재 중소기업으로 한정함 - 향후 부품 소재기업의 적극적인 참여유도를 위하여 부품 소재전문기업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및 시행규칙에 명시된 부품 소재의 범위 에 포함된 모든 분야로 지원분야가 확대 될 예정 <표 2-9> 첫걸음 부품 소재 기술개발사업 지원 대상 분야 전기전자 금속 /세라믹 기계 섬유 화학 자동차수송 계 23 24 33 8 25 5 118 선정기준 및 평가항목 첫걸음 부품 소재 기술 개발 사업의 평가항목은 과제발굴 및 최종선정평가의 2 단계로 나누어서 총 10개의 평가지표로 이루어져 있음 - 과제발굴 : 대표자의 개발의지(10%), 개발환경(10%), 기술성(30%), 경제성 및 사 업화가능성(50%) - 최종선정평가 : 매출개선효과(10%), 목표의 적정성 명확성(15%), 계획의 구체 성 타당성(20%), 추진체계 적정성 및 명확성(20%), 사전준비성(5%), 사업화 가 능성(30%) 38

제2장 본 론 성과 및 파급효과 첫걸음 부품 소재 기술 개발 사업의 성과 및 파급효과는 선정기업의 매출액 증 대 및 고용창출 효과를 들 수 있음 - 11년도 지원한 46개 과제가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16년 3,160명의 고용창출 및 3조 2,000억 원의 매출 예상 * 제조업체 제이엠테크의 경우 3년간 총 6억 원의 R&D 지원금을 받아 알루미늄 분말제조 초보 단계 기술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15년 최소 72억 원의 매출 예상 * 선박엔진 부품회사 재성산업의 경우 멤브레인 어큐뮬레이터를 개발 중이며 총 소요 개발비용 6~10억 원 중 4억 원을 투자 받아 13년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음 마. 부품소재 Global Partnership 지원 사업 사업의 목적 부품소재 Global Partnership 지원 사업의 목적은 국내 부품 소재기업의 해외 시 장 진출 및 해외기업과의 협력적 파트너십 구축의 기회를 제공 및 촉진함으로써 부품소재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도모하는 것임 추진체계 부품소재 Global Partnership 지원 사업은 지식경제부를 총괄기관으로 하여 한국산 업기술진흥원(KIAT) 주관기관으로,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전담기관으 로 역할을 수행함 39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그림 2-11> 부품소재 Global Partnership 사업 추진체계 주요내용 공동기술개발, 기술이전, 마케팅(수출/아웃소싱), 투자 및 M&A상담 등의 기회를 제공하고, 해외시장진출에 대한 홍보 및 교육 지원을 최대 3년 이내의 기간 동안 지원 - 글로벌 파트너십 상담회 : 상담부스를 제공하여 해외 수요기업 발굴 지원 및 1:1 비즈니스 상담 기회 제공 - 해외 수요기업 홍보지원 : 부품소재기업의 영문 홍보물 작성 지원 - 글로벌 시장진출 교육지원 : 비즈니스 모델설계, R&BD전략수립, 지재권 관리전 략, 기술마케팅 역량 강화 등을 지원 - 정부사업 연계지원 : 글로벌파트너십 신뢰성사업(KIAT), 부품소재기술개발사업 (KEIT)참가 및 지원에 대하여 우선권 부여 지원대상은 국내에 소재한 부품 소재산업 전 분야를 대상으로 하여, 신청기업 중 해외 수요 기업과 상담이 매칭된 기업을 대상으로 함 40

제2장 본 론 선정기준 및 평가항목 매출액 및 자본금의 기본적인 재무상태 두 가지 항목을 통해 지원 대상 기업을 선정함 - 최근 3년 평균의 매출액 1억~5,000억 원 이내의 기업 - 직전 사업연도의 자본금 1,000억 원 이내 및 자산총액 5,000억 원 이내의 기업 성과 및 파급효과 해외 수요기업과의 연계(아웃소싱, 기술협력, 투자유치) 성사를 통한 기업의 매출 액 증대 효과를 들 수 있음 - 10년 국내외 상담회(17회) 개최 및 1,037개사(해외 322개사, 국내 715개사)가 참 여하여 약 1억불 규모의 해외 수요기업과의 계약 체결 * 공동 R&D 및 납품 3건(6,000만 불), 아웃소싱 8건(1,024만 불), 투자유치 1건(1,500만 유 로), 기타 NDA 5건 체결 3. MCT Global Scoreboard 필요성 가. 정부 지원제도의 시사점 부품 소재 기업의 해외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한 현 정책은 해외 수요기업에게 정 확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음 정부의 부품 소재산업 지원 정책 중 World Class 300, ATC(우수기술연구센터), WPM(10대 핵심 소재 사업), 부품 소재 Global Partnership 지원 사업이 부품 소 재 기업의 해외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한 대표적인 정책으로 볼 수 있음 41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표 2-10> 부품 소재산업관련 주요 정부 지원정책의 내용 구 분 World Class 300 ATC(우수기술연구센터) WPM(10대 핵심 소재 사업) 첫걸음 부품 소재 기술 개발 사업 부품 소재 Global Partnership 지원 사업 지원 내용 기술개발지원, 해외진출지원, 출연연 연구인력 파견 및 전문 인력 채용지원, 금융지원, 컨설팅지원 등 최대 5년간 ATC 및 WATC로 구분하여 R&D 활동자금 및 중소기업 신규 채용인력에 대한 인건비의 현금 등을 지원 참여기업에 대해 최대 9년까지 과제별 최대 연간 100억 원 내외의 자금을 지원 첫걸음 부품 소재 R&D지원단 을 통하여 과제발굴, 홍보강화, 사업계획서 작성지원, 기술개발과제 컨설팅 및 사업화 등을 2~3년간 지원 공동기술개발, 기술이전, 마케팅(수출/아웃소싱), 투자 및 M&A상담 등의 기회를 제공하고, 해외시장진출에 대한 홍보 및 교육 지원을 최대 3년 이내의 기간 동안 지원 하지만 이러한 사업들은 주로 우수 부품 소재 기업을 정부차원에서 능동적으로 발굴하고 지원하기 보다는, 수동적으로 기업의 신청을 받아 해외기업과의 연계를 위한 소극적인 지원(Matching)을 해주는 성격이 강함 - 해외사업화를 위한 정부 정책의 주요 지원내용으로는 대상기업에 대한 자금지원 및 해외 투자상담회 개최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음 따라서, 해외기업(투자자) 입장에서는 국내 부품 소재기업에 대한 정확한 정보 를 사전에 가지고 있지 못하여 연계성사율(Matching Ratio)이 떨어지게 되는 한계 점을 가지고 있음 지원정책의 평가기준 측면에서는 기업의 연구개발 역량, 기술성, 사업화 가능성 측면의 세 가지에 측면에 주로 초점이 맞춰져 있음 정부지원 정책의 평가기준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부품 소재산업을 위한 정부 지원정책은 대부분 기업의 연구개발 역량, 기술성(기술보유 수준 및 실적), 사업 화 가능성(경제성)의 평가에 주안점을 두고 있음 42

제2장 본 론 - 평가기준에 있어서 해외사업화 역량을 알아보기 위한 글로벌지향성에 대한 평가 를 실시하는 사업은 ATC사업 중 WATC 평가기준이 유일 <표 2-11> 부품 소재산업관련 주요 정부 지원정책의 평가기준 구 분 World Class 300 ATC(우수기술연구센터) WPM(10대 핵심 소재 사업) 첫걸음 부품 소재 기술 개발 사업 부품 소재 Global Partnership 지원 사업 주요 평가기준 연구역량(연구인력 우수성 등) 기술성(개발 실적, 보유 수준) 마케팅, 투자, 경영전략 종합평가 ATC : 연구역량(50), 기술성(50) WATC : 연구역량(30), 기술성(40), 글로벌지향성(30) 기술성 및 개발능력(70) 경제성 및 사업화 가능성(30) 기술성(30), 경제성 및 사업화 가능성(30) 경영자 의지 및 환경(20) 매출액 및 자본금의 기본적인 재무상태 나. MCT Global Scoreboard 필요성 국내 부품 소재 중소기업은 독자적으로 해외사업화를 하기위한 역량이 부족하므 로 이를 지원해주기 위한 정부의 차별화된 지원 정책이 필요 해외사업화 추진 시 중소 제조업체의 가장 큰 애로요인은 해외시장에 대한 정보 확보의 어려움, 해외시장에서의 홍보 및 해외시장 개척활동에 소요되는 많은 비 용, 해외사업화 전문인력 확보의 어려움 등을 들 수 있음 대다수의 중소기업이 겪고 있는 이러한 일반적인 애로사항은 정부의 단기적인 자금지원 정책만으로 단기간에 해결하기에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음 따라서, 부품 소재 중소기업의 해외사업화를 실질적으로 지원해 줄 수 있는 정 부의 차별화된 지원정책이 필요함 43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MCT Global Scoreboard 연구를 통해 해외시장에서의 홍보 및 시장개척에 어려움 을 겪고 있는 부품 소재 중소기업을 지원하고자 함 해외기업에게 정확한 정보를 편리하게 제공하여 국내 우수 부품 소재 중소기업 의 해외사업화를 촉진 현재 해외기업은 제품조달, 기술협력 및 기술투자 등을 위해 국내 부품 소재 기 업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확보하기가 용이하지 않음 - 국내 부품 소재 기업에 대한 정보의 비대칭성(비정확성) 및 정보 수집과정에서의 높은 탐색비용 등은 해외기업이 국내기업과의 연계활동에서 애로요인으로 작용 따라서, 국내기업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담고 있는 MCT Global Scoreboard를 작 성하여 해외기업에게 제공해 줄 필요성이 존재함 - 해외기업이 국내 우수 부품 소재기업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확 보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 (해외기업) 해외기업이 사전에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국내기업과의 연계를 추진 한다면 연계성사율(Matching Ratio)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됨 - 해외기업 입장에서는 정보 탐색비용 및 시간의 절감이 가능 - 정부와 공공기관을 통한 부품 소재기업에 대한 정보 제공은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음 (국내기업) 국내 부품 소재 기업의 입장에서도 MCT Global Scoreboard를 작성하 여 주기적으로 배포한다면 노출효과가 증대되어 해외기업과의 연계성사율 (Matching Ratio)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됨 44

제2장 본 론 제2절 MCT Global Scoreboard 모델 및 Process 개발 MCT Global Scoreboard의 모델 및 프로세스 개발과정은 총 4개의 스텝으로 구성됨 개발과정에서 각 스텝별 자문회의 및 전문가위원회 개최를 통해 모델의 신뢰성 을 제고함 <그림 2-12> MCT Global Scoreboard Model 개발 Framework 1. [Step 1] MCT Global Scoreboard 후보기업 Pool 구축 MCT Global Scoreboard 후보기업 Pool 구축 목적 MCT Global Scoreboard 모델 및 Process 개발의 첫 번째 스텝은, Scoreboard의 대 상이 되는 후보기업 Pool을 도출하는 것임 - 후보기업 Pool로 구성되는 부품 소재 기업의 Database는 MCT Global Scoreboard 제작 목적에 부합하는 기업을 포함하고 있는 Source를 발굴하여 최대한 많은 양 의 기업List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함 - 또한, 후보기업 Pool이 되는 각각의 Database Source는 기업의 기본 정보 및 최소 한의 역량 파악이 가능한 정도의 구성요소를 충족시켜야만 Database로서의 가치 가 있음 45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 후보기업 Database의 기업별 기본(최소) 항목 요구사항 : 업체명, 사업자등록번호, 대표자명, 종업원 수, 소재지, 연락처, 산업분류코드, 매출액(최근 3년), R&D투자액(최근 3년) * MCT Global Scoreboard 제작의 목적 - 우수 부품 소재 중소기업 중 잘 알려지지 않은 기업을 대외적으로 홍보 - 기술력은 높으나, 해외사업화 역량이 부족한 기업의 해외사업화 지원 - 우수 부품 소재 기업 중 글로벌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기업을 발굴 MCT Global Scoreboard 후보기업 Pool 도출 Process <그림 2-13> MCT Global Scoreboard 후보기업 Pool 도출 Process 1 연구회 내 외부적으로 확보 가능한 부품 소재 기업 Database Source의 확인 2 확인 된 Database Source 중 MCT Global Scoreboard 제작 목적에 부합하는 Database의 수집 3 수집된 Database의 유효성 검토(중복기업 및 휴 폐업기업 Screening) 작업 4 수집된 Database에 대한 검증(내부 검토회의 및 외부 전문가 자문) 과정을 거쳐 MCT Global Scoreboard 후보기업 Pool을 확정 46

제2장 본 론 2. [Step 2] 부품 소재 후보기업 1차 평가(Screening) 부품 소재 후보기업 1차 평가(Screening) 목적 MCT Global Scoreboard 모델 및 Process 개발의 두 번째 스텝은, 후보기업 Pool을 대상으로 1차 Screening을 통해 MCT Global Scoreboard의 목적에 부합하는 기업을 압축 및 도출하는 것임 - 1차 평가 기준 및 평가 방법은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객관적으로 후보기업이 도 출 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함 1차 평가(Screening) 기준 1차 평가 기준은 크게 정량적 평가(Check 항목)와 MCT Global Scoreboard 참여수 요 확인(확인 항목)의 단계로 구분하여 진행함 - 정량적 평가(Check 항목) : 기업규모, 기술혁신 활동 * 기업규모 : 후보기업의 기본적인 기업규모를 파악하고 MCT Global Scoreboard사업의 목적에 맞지 않는 기업을 Screening하기 위해, 매출액 기준으로 일정수준 이상(예: 중견기업)의 기업 은 상한선을 두어 제외하고, 해외사업화 역량을 가지지 못한 소기업 역시 하한선을 두어 제외 * 기술혁신 활동 : 후보기업의 R&D투자 활동을 파악하고 일정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는 기업(예 : 중소제조업 전체 R&D평균 이하)을 Screening하기 위해, 연구개발비대매출액 기준으로 하한 선을 설정 단, R&D투자비는 기업의 규모와 상관관계가 없으므로 상한선을 두지 않을 수 있음 - 참여수요 확인(필수 항목) : MCT Global Scoreboard 참여 수요확인 * MCT Global Scoreboard 참여 수요 : 기업의 사업 참여 여부를 확인하고 기업정보 제공에 대 한 동의를 얻기 위한 항목 47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구 분 평가항목 평가기준 비 고 기업 규모 기술혁신 활동 MCT Global Scoreboard 참여 수요 <표 2-12> 부품 소재 기업 1차 평가(Screening) 기준 매출액 R&D 투자현황 참여 의사 최근 3년간 매출액 평균 최근 3년간 연구개발비대 매출액평균 사업 참여 및 기업정보 제공 동의 1단계 : 평가항목 (Check) 2단계 : 확인항목 (필수) 부품 소재 후보기업 1차 평가(Screening) Process <그림 2-14> 부품 소재 후보기업 1차 평가(Screening) Process 1 정량적 평가(Check 항목) 실시 - 기업의 매출액과 R&D 투자현황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여 각각 X축과 Y축으로 놓은 뒤 3x3 또는 4x4 Matrix를 구성 * 기업의 매출액과 R&D 투자현황에 대한 기준 마련의 예시 - 매출액(최근 3년치 평균) 구간 설정 기준 : 상한선 - 중소 부품 소재기업의 지원 차원에서 매출액 평균 500억 원 이상의 기업을 제외하도록 설정 하한선 - 신규 설립기업에 대한 지원을 배재하지 않는 차원에서 매출액 평균 20억 원까지의 기업으로 설정 - 연구개발비대매출액(최근 3년치 평균) 구간 설정 기준 : 상한선 - R&D 투자 비중은 높을수록 좋으며, 기업의 규모와는 상관관계가 없으므로 별 도의 상한선을 설정하지 않음 하한선 - 2010 기업경영분석 (한국은행) 자료의 10년도 제조 중소기업 기준 평 균 경상연구개발비 0.63% 이상의 기업으로 설정 48

제2장 본 론 - Matrix 구성을 통해 도출하고자 하는 MCT Global Scoreboard 후보기업의 수는 최 종 작성 대상기업의 15~20배수로 압축 <그림 2-15> 정량적 평가를 통한 후보기업 Screening * MCT Global Scoreboard 작성 대상 목표 기업이 100개일 경우 1,500~2,000개의 기업이 도 출될 수 있도록 Matrix의 하위 기업들을 Screening 2 Matrix 구성(X축, Y축)의 적정성 및 도출된 후보기업에 대한 검증을 내부 검토회 의 및 외부 전문가 자문을 통해 실시 3 확인 평가(필수항목) 실시 - 정량적 평가를 통해 도출된 후보기업을 대상으로 MCT Global Scoreboard 참여 수요 확인을 실시 - 확인 평가는 전화조사 또는 설문지조사 방식으로 실시 가능함 4 확인 평가를 통해 최종 MCT Global Scoreboard 작성 기업의 최소 5배수 이상의 후 보기업을 도출 * MCT Global Scoreboard 작성 대상 목표 기업이 100개일 경우 최소 500개 이상의 기업을 확 인평가를 통해 도출 49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3. [Step 3] 부품 소재 후보기업 2차 평가 부품 소재 후보기업 2차 평가 목적 MCT Global Scoreboard 모델 및 Process 개발의 세 번째 스텝은, 1차 평가를 통해 도출된 후보기업을 대상으로 2차 평가를 통해 최종 Scoreboard 작성 대상 기업을 도출하는 것임 - 2차 평가는 1차 평가를 통해 도출된 Scoreboard 후보기업의 역량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우수기업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이 있으므로, 1차 평가보다 더욱 구체 화된 평가 기준을 마련함 - 2차 평가 기준은 정부 주요지원사업의 평가항목인 기업의 연구역량 및 기술성 평가를 기본으로 하여 MCT Global Scoreboard 사업 목적에 부합하는 해외사업화 평가기준을 추가 2차 평가 기준 2차 평가 기준은 업체규모, 기술/품질, 해외사업화, 기업 신용평가 등급의 총 4가 지 항목 및 세부적인 10개의 평가 기준으로 구성됨 - 업체규모 : 기업의 매출액 하나의 항목으로 구성되며, 후보기업 내에서는 기업의 규모가 클수록 해외사업화 역량을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평가항 목으로 설정 - 기술/품질 : 국내외 인증 보유현황, 산업재산권(특허)보유현황, 연구개발 전담조 직의 형태, 연구개발 인력, 연구개발 투자 비중,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 횟수의 6가지 항목으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지표가 높을수록 기업의 기술 및 품질 역량이 뛰어나다고 볼 수 있으므로 평가항목으로 설정 - 해외사업화 : 매출액 대비 수출액 비중과 해외사업화 준비정도의 2가지 항목으 로 구성되며, 매출액 대비 수출액 비중이 낮은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여 수출을 확대하는 측면 및 사업의 효과성을 고려하여 해외사업화 준비가 잘 된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평가항목으로 설정 50

제2장 본 론 - 기업 신용평가 등급 : 기업 신용평가 등급 하나의 평가항목으로 구성되며, 해외 기업이 믿고 투자할 수 있는 기업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평가항목으로 설정 평가항목의 총점은 60점으로 구성하였으며, 사업의 성격을 고려하여 기술/품질 및 해외사업화 항목의 점수를 업체규모 및 신용평가등급 항목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함 - 업체규모 : 기업 매출액 규모를 반영한 평가기준이며, MCT Global Scoreboard의 지원 목적에 부합하는 중소기업으로 범위를 한정하여 그 규모에 적합한 평가점 수를 부여(총점 5점) * MCT Global Scoreboard 대상기업 선정 Point : 해외사업화 역량을 자체 보유하고 있는 중견 기업보다 상대적으로 해외사업화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발굴하여 해외사업화를 지원하는 측면에서 대상기업을 선정 * 배점 기준은 2011년도 중소기업 기술통계조사 (중소기업청) 자료의 중소기업 평균 매출액인 102.6억 원을 참조하여 도출 - 기술/품질 : 국내외 인증 보유현황, 산업재산권(특허) 보유현황, 연구개발 전담부 서 형태, 연구개발 인력 보유 현황, 매출액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국가연구개발 사업 참여횟수의 총 6개 평가기준을 통해 평가점수를 부여(각 5점/총점 30점) * 국내외 인증 보유현황 :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국내외 주요 인증을 보유 개수로 정량화 하여 평가점수를 부여하였으며, 배점 기준은 해외 신재생에너지설비 인증획득지원사업 (지식경제 부)의 평가표를 참조하여 도출 * 산업재산권(특허) 보유현황 :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국내외 특허 출원 및 등록 실적을 정량화 하여 평가점수를 부여하였으며, 배점 기준은 2011년도 중소기업 기술통계조사 (중소기업청) 자료의 중소기업 지식재산권 보유 평균인 10.9건을 참조하여 도출 * 연구개발 전담부서 형태 : 기업이 운영 중인 연구개발 전담부서의 형태를 일반적인 기준인 (1) 부설연구소, (2)전담부서, (3)일반부서 병행, (4)없음 으로 구분하여 평가점수를 부여 * 매출액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 기업이 매출액에서 연구개발에 지출하고 있는 비용을 정량화 하여 평가점수를 부여하였으며, 배점 기준은 2011년도 중소기업 기술통계조사 (중소기업청) 자료의 중소기업 평균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평균인 3.7% 및 2010 기업경영분석 (한 국은행) 자료의 10년도 제조 중소기업 기준 평균 경상 연구개발비인 0.63%를 참조하여 도출 * 연구개발 인력 보유현황 : 기업이 연구개발 전담인력을 몇 명이나 보유하고 있는가를 정량화 하여 평가점수를 부여하였으며, 배점 기준은 2011년도 중소기업 기술통계조사 (중소기업청) 자료의 기술개발 전문인력 평균인 4.5명을 참조하여 도출 51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 국가 연구개발사업 참여 횟수 : 기업의 과거 5년간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 횟수를 정향화 하여 평가점수를 부여하였으며, 배점 기준은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1년 1회 이상을 우수 기 준으로 도출 - 해외사업화 : 매출액대비 수출액 비중, 해외사업화 준비도의 2개 평가기준으로 구성하고 평가점수를 부여(각 10점/총점 20점) * 매출액대비 수출액 비중 : 기업의 해외사업화 현황을 알아보기 위한 평가지표로 해외사업화 내용 중 가장 대표적인 항목인 수출액을 기준으로 선정하고, 매출액 대비 수출액 비중을 5구 간으로 나누어 평가점수를 부여 단, MCT Global Scoreboard의 지원목적을 고려하여 수출 비중이 낮은 기업이 더 높은 점수를 얻도록 배점기준을 도출 * 해외사업화 준비 정도 : 기업이 해외사업화를 하기 위한 준비가 어느 정도 되어있는가를 정량 화 하여 평가점수를 부여하였으며, 배점 기준은 해외 신재생에너지설비 인증획득지원사업 (지 식경제부)의 평가표를 참조하여 도출 - 기업신용 평가등급 : 한국기업데이터(KED)의 최신 기업 신용평가등급을 조회하 여 평가등급에 따라 점수를 부여(총점 5점) * 기업신용 평가등급 배점 기준은 해외 신재생에너지설비 인증획득지원사업 (지식경제부)의 평 가표를 참조하여 도출 <표 2-13> 부품 소재 기업 2차 평가 기준 및 배점 평가항목 평가기준 배 점 점수 300억원 이상 5 업체규모 (5) 매출액 규모 (최근 3년치 평균) 100억~300억 미만 3 50억~100억 미만 1 5 50억 미만 0 9건 이상 5 국내외 인증 보유 현황 6~8건 3 3~5건 1 5 기술/품질 (30) 2건 이하 0 15건 이상 5 산업재산권(특허)보유 현황 6~14건 3 1~5건 1 5 0건 0 52

제2장 본 론 평가항목 평가기준 배 점 점수 연구개발 전담부서 형태 연구개발 인력 보유 현황 (최근 3년치 평균) 연구개발비 비중(매출액 대비) (최근 3년치 평균) 부설연구소 5 전담부서 3 일반부서 병행(T/F) 1 없음 0 10명 이상 5 6명~10명 미만 3 3명~6명 미만 1 3명 미만 0 7.0 이상 5 3.7~7.0 미만 3 0.63~7.0 미만 1 0.63 미만 0 5 5 5 국가 연구개발사업 참여횟수 (최근 5년간) 4회 이상 5 3회 3 1~2회 1 없음 0 5 해외 사업화 (20) 기업신용 평가등급 (5) 매출액 대비 수출액 비중 (최근 3년치 평균) 해외 사업화 준비도 0~20% 미만 10 20~40% 미만 7 40~60% 미만 5 60~80% 미만 3 80% 이상 0 7건 이상 10 5~6건 7 3~4건 5 1~2건 3 0건 0 AAA~A- BBB+~BBB- BB+~BB- B+~B- 기타 5 4 3 2 1 합 계 60 10 10 5 부품 소재 후보기업 2차 평가 Process <그림 2-16> 부품 소재 후보기업 2차 평가 Process 53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1 1차 평가를 통해 도출된 후보기업을 대상으로, 2차 평가기준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된 설문조사를 실시 2 기업별 설문결과를 평가표의 배점에 따라 평가를 진행 3 이중 상위기업부터 순위화하여 MCT Global Scoreboard 작성 대상 기업으로 확정 * MCT Global Scoreboard 작성 대상 목표 기업이 100개일 경우 1위~100위까지의 기업을 작성 대상기업으로 확정 4 MCT Global Scoreboard 작성 확정 기업에 대한 검증을 내부 검토회의 및 외부 전 문가자문을 통해 실시 4. [Step 4] MCT Global Scoreboard 작성 항목 및 양식 도출 MCT Global Scoreboard 작성 항목 및 양식 도출 목적 MCT Global Scoreboard 모델 및 Process 개발의 마지막 스텝은, MCT Global Scoreboard 작성 항목을 도출하고 양식을 확정하는 것임 - MCT Global Scoreboard는 제작의 취지에 맞게 우수 부품 소재기업을 효과적으 로 대외에 알릴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어야 하며, 특히 해외 수요기업에게 유용 한 정보가 담기는 것이 중요함 - 해외 수요기업에게 유용한 정보는 국내기업의 해외사업화(수출, 기술협력, 투자 유치)를 위한 부품 소재 기업의 주요 제품정보 및 보유기술, 협력 가능 분야가 있음 또한, MCT Global Scoreboard는 단순 기업의 정보를 수록하는 것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해당 기업의 특징을 잘 알릴 수 있는 소개 글(Story)이 수록되어야 함 - 기업을 특징을 잘 알릴 수 있는 글은 회사의 강점, 주요 기술, 사업화 성공사례, 기술개발 과정, 기술 응용능력, 협력 가능분야, 생산 능력, 향후 계획에 대한 내 용이 포함되어야 함 54

제2장 본 론 따라서, 기업의 기본 정보의 수록은 물론 해외기업에게 유용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 Scoreboard 작성 항목을 <표 2-14>와 같이 도출함 <표 2-14> MCT Global Scoreboard 작성 항목 구 분 기업 정보(Company Information) : 기업의 기본 정보에 대한 내용 항 목 기업 구분(Classification) 영문기업명(Company Name) 기업 홈페이지(Web Page) 기업 설립일(Established) 종업원 수(Employee) 경영자(CEO) 기업 보유 인증(Owned Certification) 기업 연락처(Contacts & Fax) 사업장 주소(Address) 고객 및 파트너(Client / Partner) 기업 연력(History) 제품 정보(Product) : 기업의 보유기술 및 주요 제품에 대한 내용 보유 기술(Owned Technology) 주요 제품(Main Products) 재무 정보(Financial Report) : 기업의 재무 현황 (과거 3년치) 총자산(Total Assets) 자본(Capital) 매출액(Sales) 회사소개 글(Story) : 회사의 강점과 특성을 알릴 수 있는 이야기 회사의 비전(Vision) 회사의 강점(Strengths) 성공 사례(Successful Case) 주요 제품(Main Products) 기술개발 과정(Technology Development Process) 향후 목표(Future Goal) 55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MCT Global Scoreboard의 양식 확정에는 기존에 스카이 벤처에서 발간한 바 있는, VC's Investment in Emerging Industry 의 내용 및 양식이 참고자료로 활용됨 - 스카이 벤처에서는 06년 국내 벤처기업의 투자 유치활동을 돕기 위한 책자를 제작하 여 VC(Venture Capital)들에게 배포한 바 있음 - 해당 책자는 국내 IT 벤처기업을 위주로, 해당 기업의 정보(기업정보, 제품정보, 재무정 보) 및 기업과의 인터뷰 내용을 기업 당 2page 분량으로 수록 <그림 2-17> MCT Global Scoreboard 양식 56

제2장 본 론 제3절 MCT Global Scoreboard 2012 작성 결과 1. MCT Global Scoreboard 2012 작성 개요 및 결과 MCT Global Scoreboard 2012의 작성과정은 총 4단계로 구성됨 작성과정에서 각 단계별 결과에 대한 자문회의 및 전문가위원회 개최를 통해 작 성결과의 신뢰성을 제고함 <그림 2-18> MCT Global Scoreboard 2012 작성 단계 가. MCT Global Scoreboard 2012 개요 작성 기간 : 2012년 2월 13일 ~ 3월 26일(약 6주) 1단계 : 기초 조사(기업 Database 확보 및 기업 기본정보 수집) 우수 부품 소재 기업 도출을 위한 기업 Database를 확보하고 한국기업데이터 (KED)의 Cretop 서비스를 이용하여 기업정보 기초 조사를 진행하여 후보기업 Pool 구축 및 Database화를 진행함 - 기초조사는 확보된 기업 Database를 기초로 한 웹 수집 방식으로 진행 57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2단계 : 1차 조사(사업참여 수요확인) 도출된 후보기업 Pool을 대상으로 1차 평가 기준의 1단계 정량평가항목(Check 항 목)에 근거하여 1차 조사 대상기업을 도출함 도출된 1차 평가대상 기업을 기준으로 1차 평가 기준의 2단계 평가항목(확인항목) 을 적용하여 참여 수요확인(의향조사)을 실시하여 2차 평가 대상기업을 도출함 - 1차 평가 기준의 2단계 평가항목에 대한 조사는 전화조사 및 팩스조사 방식으로 진행 3단계 : 2차 조사 및 평가(기업 세부정보 조사) 참여 수요확인(의향조사)에 응답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세부 기업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설문지를 E-Mail로 배포 및 회수하고 추가적인 전화조사를 진행함 4단계 : 3차 조사(MCT Global Scoreboard 작성의뢰) 2차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평가를 실시, 최종 선정된 기업들을 대상으로, MCT Global Scoreboard 양식을 E-Mail로 배포하고 이를 회수하기 위한 안내전화를 진 행함 나. 도출 단계별 조사 항목 총 4단계로 진행된 조사 단계별 조사항목 및 세부항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됨 58

제2장 본 론 <표 2-15> 부품 소재 기업 단계별 조사 항목 구 분 조사항목 세부항목 1단계 - 기초 조사 (Pool 도출 : 기업 DB 확보 및 기업 기본정보 조사) 일반 현황 기업명, 대표자명, 사업자 등록번호, 소재지, 업체 연락처, 매출액(최근 3년) 연구개발 현황 연구개발비 대 매출액(최근 3년) 기업 신용 등급 한국기업데이터(KED) 산정 기업 신용 등급 2단계 - 1차 조사 (1차 평가 : 의향 조사 및 담당자 조사) 3단계 - 2차 조사 (2차 평가 : 기업 세부정보 조사) 4단계 - 3차 조사 (MCT Global Scoreboard 작성의뢰) 의향 조사 (정보제공동의) 주 생산품 해외사업화 여부 담당자 일반 현황 기술/품질 현황 연구개발 현황 해외사업화 현황 사업 참여 목적 MCT Global Scoreboard MCT Global Scoreboard 참여 및 기업정보 제공 동의 부품 소재 관련 주 생산품 수출여부, 매출액 중 수출액 비중 해외사업화 준비 여부 담당자 성명, 직급, 연락처 기업명, 영문회사명, 사업자번호, 회사 설립일, 대표자명, 연락처, 종업원 수, 홈페이지, 회사 주소, 고객/파트너, 회사 연혁, 주요 생산품, 매출 액 및 수출액(최근 3년) 국내외 인증보유 내역 지식재산권(특허) 보유 내역 연구개발 전담조직 형태 연구개발 전담인력(최근 3년) 연구개발비대 매출액(최근 3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횟수 해외사업화 여부 현재 해외사업화 중인 국가 향후 해외사업화 희망 국가 해외 사업화 준비 정도 해외 사업화의 어려움 본 사업 지원을 통해 기업이 얻고자 하는 목적 MCT Global Scoreboard 초안 작성 및 기재사항 업체 검토 59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다. 각 단계별 도출 결과 1단계 : 기초 조사 결과 부품 소재기업 Database를 수집 및 추출하고 한국기업데이터(KED) Cretop 서비 스를 이용하여 기업정보에 대한 검증작업을 진행 한 결과 총 6,490개의 후보기업 Pool을 도출함 - 부품 소재기업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Database는 총 세 가지의 Source를 활용하 였으며, 이를 통해 총 9,584개의 부품 소재 기업 List를 수집함 *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제공 2011 부품 소재기업 종합실태 조사 응답 기업 1,577개 * 지식경제부 부품소재통계 종합정보망 전문기업 자료를 기반으로 2012년 2월 현재 인증이 유 효한 부품 소재 전문기업 2,633개를 추출 * 부품 소재 전문기업 : 당해 기업의 총매출액 중 부품소재 또는 그 생산설비의 매출액의 비율이 50% 이상인 기업으로 지정 후 3년간 자격이 유효 * 한국기업데이터(KED) 자료를 기반으로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KSIC-9)상의 부품 소재코드에 해당되는 기업 5,374개를 추출 - 수집된 9,584개 Database에 대한 유효성 검토(중복기업 및 휴 폐업기업 Screening) 를 실시하여 6,490개의 조사 대상기업을 최종 선별함 2단계 : 1차 조사(정량적 평가) 결과 조사대상 기업 6,490개를 MCT Global Scoreboard 1차 평가 기준의 확인항목에 맞 춰 내부적으로 평가한 결과 총 1,592개의 후보기업이 도출됨 - 도출된 1,592개 기업의 공통사항은 매출액 기준 20억 원 이상~500억 원 이하, 연 구개발비대매출액 기준 0.64 이상의 기업으로 구성됨 * 매출액(최근 3년치 평균) 구간 설정 기준 : 상한선 - 중소 부품 소재기업의 지원 차원에서 매출액 평균 500억 원 이상의 기업을 제외하 도록 설정 60

제2장 본 론 하한선 - 신규 설립기업에 대한 지원을 배재하지 않는 차원에서 매출액 평균 20억 원까지의 기업으로 설정 * 연구개발비대매출액(최근 3년치 평균) 구간 설정 기준 : 상한선 - R&D 투자 비중은 높을수록 좋으며, 기업의 규모와는 상관관계가 없으므로 별도의 상한선을 설정하지 않음 하한선 - 2010 기업경영분석 (한국은행) 자료의 10년도 제조 중소기업 기준 평균 경상연구 개발비 0.63% 이상의 기업으로 설정 <그림 2-19> 1차 조사 대상기업 도출 결과 61

2011년도 부품 소재혁신연구회 MCT Global Scoreboard 최종 Scoreboard 작성 대상기업의 20배수인 2,000개 기업을 목표로 1차 조사 대상 기업을 선별할 계획이었으나, 전문가 자문회의 결과 1,592개 기업만을 도출하여 후속 조사를 진행하기로 함 - 매출액 기준 및 연구개발비대매출액 기준을 더 하향조정하여 대상기업을 늘리는 것은 MCT Global Scoreboard 사업의 목적인 우수기업 도출이라는 측면에 부합하 지 않는다고 판단 2단계 : 2차 조사(참여수요 확인) 결과 1차 조사(필수항목에 대한 전화조사) 결과 : 조사대상 기업 1,592개를 MCT Global Scoreboard 1차 평가 기준의 필수항목에 맞춰 사업 참여 의향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248개의 기업이 참여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됨 의향조사 응답률 : 16%(248/1,592) 사업 참여 의향조사를 통해서는 최소 500개 이상의 후보기업을 도출할 계획이었 으나, 조사대상 기업의 응답률 저조로 인하여 248개의 기업을 도출하는데 그침 - 기업의 응답률이 저조한 이유로는 기업이 MCT Global Scoreboard 사업의 취지 및 효과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 3단계 : 2차 조사 및 평가(기업 세부정보 조사) 결과 의향조사에 응답한 248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2차 평가를 위한 기업 세부정보 조 사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한 결과, 총 103개의 기업이 설문에 응답함 설문지 회수율 : 42%(103/248) 기업 세부정보 설문조사 결과 역시 응답률이 저조하게 나타나 103개의 설문지를 회수하는데 그침 - 응답률 저조의 이유로는 설문조사 기간과 기업의 11년도 회계 결산 기간이 중 복됨으로 인해 기업들이 업무의 과중 요인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됨 62

제2장 본 론 4단계 : 3차 조사(MCT Global Scoreboard 작성의뢰) 결과 2차 조사에 응답한 103개의 기업을 순위화 하여, 상위 100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MCT Global Scoreboard 양식을 배부하고 100개의 Scoreboard를 회수함 Scoreboard 회수율 : 97%(100/103) 상위 100개의 기업을 대상으로만 Scoreboard 양식을 배부하고 회수 할 계획이었 으나, 이 중 3개 기업이 회신을 거부함 - 회신 거부의 사유는 기업정보 공개의 부담감(재무정보 부분) 및 회사 업무의 과 중으로 인한 작성 거부가 있었음 따라서, 나머지 3개의 차 순위 기업에게 Scoreboard 양식을 추가 배부하여 총 100 개의 Scoreboard를 회수 완료함 2. MCT Global Scoreboard 2012 가. MCT Global Scoreboard 2012 응답기업(2차 조사) 통계분석 일반현황 응답기업의 매출액 평균( 08~ 10)은 50억 원 이상~100억 원 미만의 기업과 100억 원 이상~300억 원 미만의 기업이 전체의 66%를 차지하여 성장단계에 있는 기업 들의 참여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됨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