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경제개관러시아자동차시장현황및전망러시아자동차산업의생산구조러시아자동차산업정책시사점 1

Similar documents
러시아의 WTO 가입과 우리의활용방안

C O N T E N T 목 차 요약 / 4 Ⅰ. 서론 Ⅱ. 주요국별대형유통망현황 / Ⅲ. 시사점및진출방안 ( 첨부 ) 국가별주요수입업체

해외경제 투자정보 터키자동차시장, 호황지속전망 1. 터키자동차생산개요 외국계기업이터키자동차시장견인 2010 년기준터키의자동차생산은 13개제조업체가주도하고있으며, 생산량을기준으로 5대기업은피아트 (Fiat Tofas), 르노 (Oyak-Renault), 포드 (Ford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1 Ⅰ. 태국자동차산업현황 2 1. 개관 5 2. 태국자동차생산 판매 수출입현황 우리나라의대태국자동차 부품수출현황 Ⅱ. 태국자동차산업밸류체인현황 개관 완성차브랜드현황 협력업체 ( 부

090609_RU_Car_Industry.hwp

4 주요 시장별 수출 전략차종 투입확대 지역별 신차 투입 모델 비고 미 국 현대 신형 i30, 기아 프라이드 후속, K5하이브리드 등 소형차 및 하이브리드 등 고연비차량 투입 * 현지생산 차종( 중형/SUV) 과 차별화 E U 현대 i40, K5, YF쏘나타 등 중형급

2013년 0월 0일

산업분석 자동차 Overweight (Maintain) 지금이러시아를공략할기회다! 최근루블화가치폭락으로러시아시장이극도의침체기에진입했지만 2020 년이내에유럽최대의자동차시장으로부상할것이확실시된다. 경쟁사들이생산축소, 가격인상을통해방어적인전략을구사하는

200907_RU_Cars_Industries.hwp

자동차 / 기계 Industry Comment Analyst 이상현 02) 비중확대 ( 유지 ) 자동차 미국 2 월판매 : 점유율수성지속 미국 2월신차판매는전월약보합 (-0.4%) 에서개선

자동차 / 기계 Industry Comment Analyst 이상현 02) 비중확대 ( 유지 ) 자동차 미국 7 월판매 : 현대기아, 인센티브축소하며점유율개선 미국 7월자동차산업수요는 15

2013년 0월 0일

Microsoft Word 자동차.doc

Microsoft Word K_01_07.docx

Microsoft Word - Auto Industry _120316_ - Europe retail February 2012 Sales.doc

태양광산업 경쟁력조사.hwp

UDI 이슈리포트제 23 호 도요타리콜사태의영향과 울산의자동차산업 경제산업연구실문상식부연구위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3 Ⅱ. 도요타사태의원인과시사점 5 Ⅲ. 울산자동차

Issue Report Vol 지역이슈 -07 ( ) 해외경제연구소 러시아극동개발추진현황과한 러경제협력방안 : ( ) : ( )

Microsoft Word - Auto Industry_US retail.doc

자동차 / 기계 Industry Comment Analyst 이상현 02) 비중확대 ( 유지 ) 자동차 미국 6 월판매 : 현대기아차점유율개선 미국 6월자동차산업수요는 151만대로전년동월비

Microsoft Word _Auto Industry_US.doc

목 차 < 요약 > Ⅰ. 검토배경 1 Ⅱ. 반도체산업이경기지역경제에서차지하는위상 2 Ⅲ. 반도체산업이경기지역경제에미치는영향 7 Ⅳ. 최근반도체산업의여건변화 15 Ⅴ. 정책적시사점 26 < 참고 1> 반도체산업개관 30 < 참고 2> 반도체산업현황 31

Microsoft Word _Auto_LSH.doc

1712 지역이슈_카자흐스탄의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역내 경제협력관계_암호화해제.hwp

Çö´ëÀ§¾Æ½Ã¾È10

활력있는경제 튼튼한재정 안정된미래 년세법개정안 기획재정부

2013년 0월 0일

Microsoft Word doc

슬라이드 1

자동차업 1. 1 월판매 Data 항목명 단위 YoY YoY YTD (YoY) 17 YoY 15 17F YoY YoY YoY IR F 17F Dec Dec Dec Dec 4Q F 4Q 내수판매 천대 %

SM710월가격표9.30

2007

170523_기회와위협이_공존하는_베트남자동차시장.hwp

슬라이드 1

신규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최종보고서)_v10_클린아이공시.hwp

표 월메이커별중국시장승용차판매 ( 단위 : 대, %) Company Dec 218 Dec 217 % y-y Nov 218 % m-m HMC 86,53 11, , ,9 815, Kia 43,376

경제가빠르게성장하면서자동차보유도크게늘어나 이기간동안자동차등록대수는 배증가한 만 천대에이르렀다 경제가질적 양적으로크게성장한시기로이에걸맞게자동차등록대수도급속하게늘어났다 년에자동차등록대수가 만대를돌파한데이어 년만인 년에 백만대를넘어섰고 년에는 백만대 년에는 천만대를돌파하는등

슬라이드 1

<4D F736F F D20BBEABEF7BAD0BCAE5F B3E25F3132BFF95FB9CCB1B920C0DAB5BFC2F720C6C7B8C52E646F63>

Microsoft Word doc

2007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4D F736F F D20BBEABEF7BAD0BCAE5F B3E25F35BFF95FB9CCB1B920C0DAB5BFC2F720C6C7B8C52E646F63>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Microsoft Word _R2_편집

Microsoft Word docx

Microsoft Word _IBK_Auto_Navigation[1].doc

주요자동차제조사의순이익 1) ( 억달러 ) 중국자동차생산능력및실제생산량 ( 만대 ) 생산능력 (A) 생산량 (B) 차이 (A-B) B/A (%) , ,590 1,

Microsoft Word docx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

CEOReport (최종).hwp

(연합뉴스) 마이더스

<4D F736F F D20BBEABEF7BAD0BCAE5F B3E22034BFF920B1B9B3BB20C0DAB5BFC2F720C6C7B8C52E646F63>

자동차산업 정책발표이후수요회복강도관건 Industry Comment 연초중국자동차시장수요부진심화. 보조금등조만간발표될자동차 정책이후의수요회복강도가관건. 단기수요회복강도가강하지않을 경우, 최근수요부진은내부적요인일가능성. 이는수요전망하향조정 요인. 어떤

<C1B6BBE7BFF9BAB85F385F28C3D6C1BE292E687770>

2010 산업원천기술로드맵요약보고서 - 화학공정소재

Microsoft Word docx

CONTENTS 목 차 요약 / 1 Ⅰ. 이란시장동향 / 2 1. 이란시장개요 2. 주요산업현황 3. 이란의교역및투자동향 Ⅱ. 한 - 이란경제교류현황 / 10 Ⅲ. 경쟁국의이란진출현황 / 12 Ⅳ. 對이란 10 대수출유망품목 / 15 Ⅴ. 對이란진출전략 /

Contents MAY Economic ISSN http www chungnam net http

126559_1.hwp

2016 년자동차산업현황 Ⅰ 자동차산업관련주요이슈 ( 16 년 12 월기준 ) 1. 산업동향 스마트카 ( 자율주행차 ) 자율주행기술을위해 자동차제조사협력 인공지능분야에서주도권을쥐고있는 업체와이를접목시켜실현시키는기술을보 유한완성차업체와의협력관계필요 자율주행차관련기술에대한

Microsoft Word docx

<40C1B6BBE7BFF9BAB85F35BFF9C8A328C3D6C1BE292E687770>

슬라이드 1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中, ( ) ( 对外投资备案 ( 核准 ) 报告暂行办法 ) 3. ECONOMY & BUSINESS 美, (Fact Sheet) 4. FDI STATISTICS 5. FDI FOCU

( 수출현황 ) 품목별실적및특징 반도체 수요 서버및스마트폰등 증가지속등 으로 개월연속 억불대기록및 개월연속수출증가세 디스플레이 액정표시장치 패널경쟁심화속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수요확대에힘입어 개월만에증가전환 휴대폰 프리미엄스마트폰수출호조등으로 개월 연속수출증가 컴퓨터

Global Market Report 한 - 뉴질랜드 FTA 에따른현지반응과 중소기업수출유망품목

Microsoft PowerPoint - CEOReport (표지) [읽기 전용]

Microsoft Word - 10_IO_2008_자동차.doc

외국인투자유치성과평가기준개발

보도자료 2014 년국내총 R&D 투자는 63 조 7,341 억원, 전년대비 7.48% 증가 - GDP 대비 4.29% 세계최고수준 연구개발투자강국입증 - (, ) ( ) 16. OECD (Frascati Manual) 48,381 (,, ), 20

hwp

<B8B6B1D4C7CF2DBAD0BEDFB0CBC5E4BFCF2DB1B3C1A4BFCFB7E128C0CCC8ADBFB5292DC0DBBCBAC0DAB0CBC1F5BFCF2DB8D3B8AEB8BB2DB3BBBACEB0CBC1F52E687770>

<4D F736F F D C0DAB5BFC2F7B8AEC6F7C6AE5F31322D34385FB3BB20BCF6C0D4BFA120B8C2B4C220C2F7B4C25F >

Microsoft Word - Auto Industry _130402_ - Global Factory March 2013 Sales.doc


목 차. 산업의메가트렌드 1 우리의대응실태 8 우리산업의발전방향 기본방향 주요정책과제 산업별추진과제 28



Spot Comment/ 자동차산업 9 월현대차그룹글로벌판매 Spot Comment Analyst 조수홍 02) , - 9월현대 / 기아차글로벌판매 (ex-factory) 는각각 38.7만대 (-2

<332EBBEABEF7C0CCBDB B3E23038BFF9292E687770>

hwp

슬라이드 1

<3034C1DFB5BFC0C7B7E1B1E2B1E2BDC3C0E5B5BFC7E22E687770>

Industry Brief 표1 현대 기아차 2월판매, 영업일수증가폭대비낮은판매성장기록 ( 대, %).2.2 YoY.1 MoM YoY 내수 현대차 53,113 48, , ,213 98, 기아차 39,158 39, ,


중점협력국 대상 국가협력전략 ( 9 개국 ) ᆞ 5 ᆞ 30 관계부처 합동

Microsoft Word _전기차_국문full_수정.docx

<BACEB5BFBBEABDC3C0E520B1B8C1B6B8F0C7FC20BFACB1B D E687770>

<37BFF920B1E2BEF7B0E6B1E2C1B6BBE720B0E1B0FA2E687770>

Microsoft Word _전기차_국문full_수정.docx

Ⅰ. 한국자동차와자동차부품산업의현황및전망 1. 한국자동차산업동향 1-1. 최근이슈 1) 국내이슈 2) 해외이슈 1-2. 자동차생산동향 1) 국내생산 2) 해외생산 1-3. 자동차판매 ( 내수, 수출 ) 동향 1) 연도별판매실적 2) 업체별판매실적 3) 내수판매실적 4)

½Å½Å-Áß±¹³»Áö.PDF

Microsoft Word - src.docx

hwp

인도 웹해킹 TCP/80 apache_struts2_remote_exec-4(cve ) 인도 웹해킹 TCP/80 apache_struts2_remote_exec-4(cve ) 183.8

Issue & News 자동차업 자동차 5 월판매 : 기아차판매, 상대적우위 전재천 문용권 투자의견 Overweight 비중확대, 유지 Rating & Target 종

'15.01 '15.03 '15.05 '15.07 '15.09 '15.11 '16.01 '16.03 '16.05 '16.07 '16.09 '16.11 글로벌 내수 수출 해외 글로벌 내수 수출 해외 2017 년 1 월국내출하 Update Overwei

2013 년 10 월관광객입출국 / 관광수입 지출분석

Transcription:

러시아자동차산업과협력방향 작성자 : 김학기연구위원작성일 : 2012. 11. 20 ( 참조 : 본자료는한국자동차산업협회 (KAMA) 에서 2012 년 11 월에발표한자료입니다 )

러시아경제개관러시아자동차시장현황및전망러시아자동차산업의생산구조러시아자동차산업정책시사점 1

Ⅰ. 러시아경제개관 2

1 최근러시아경제동향 2010 년이후 4% 대성장유지 1990 년대의심각한경제위기이후국제유가상승에힘입어 2000 년이후러시아 GDP 성장률은 8% 전후로매우양호한성장세유지 연간 1,500 억 ~ 2,000 억달러흑자 2008~2009 년세계금융위기를거치면서 2010 년이후는 4% 를다소상회하는성장세 < 최근러시아의주요경제지표추이 >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1-6 GDP 8.2 8.5 5.2-7.8 4.3 4.3 4.5 공업생산량 6.3 6.8 0.6-9.3 8.2 4.7 3.1 농업생산량 3.0 3.3 10.8 1.4-11.3 22.1 4.2 고정자본투자 16.7 22.7 9.8-15.7 6.0 8.3 11.6 수출 (10 억달러 ) 303.6 354.4 471.6 303.4 400.4 522.0 342.7 수입 (10 억달러 ) 164.3 223.5 291.9 191.8 248.7 323.2 200.5 물가상승률 (CPI) 9.0 11.9 13.3 8.8 8.8 6.1 공업생산자가격 10.4 25.1-7.0 13.9 16.7 12.0 화물운송료 15.8 6.8 32.3-2.5 33.1 8.4 자료 : CIS 통계위원회, 러시아중앙은행. 2012 년수출수입은 1~8 월. 3

2 러시아경제전망 우랄유가 100~115달러로보수적으로볼때 2015년까지 GDP는 1~4% 성장전망 - 2011년원유평균수출가격 107.3달러 / 배럴, 2012년 1분기 113.7달러, 2분기 111.7달러 < 러시아경제의시나리오별전망 > 우랄원유가격 ($/b) 실질 GDP 성장률 (%) 고정자본투자 (%) 수출 ( 십억달러 ) 시나리오 2011 2012 2013 2014 2015 C 125.0 125.0 115.0 120.0 2 109.3 1 115.0 97.0 101.0 104.0 A 115.0 82.0 83.0 85.0 C 3.7 4.1 4.0 4.7 2 3.4 3.8 4.4 4.7 4.3 1 3.1 3.6 3.9 4.1 A 3.4 2.0 3.5 4.0 C 7.5 8.8 6.6 7.9 2 6.6 6.4 7.3 7.8 8.3 1 2.3 7.3 7.0 7.8 A 6.6 1.9 4.3 6.8 C 587 608 598 634 2 558 526 551 581 522 1 558 526 550 580 A 558 458 462 475 자료 : 러시아경제개발성. 유가상승 (C), 약간낙관 (2), 보수적 (1), 유가하락및루블안정 (A) 등 4개의시나리오중앙은행은유가 73달러의경우 0.4% 감소, 97달러의경우 3.7% 증가, 121달러의경우 4% 증가예상. 2012년도 1~9월소득증가율은 3.6%, 평균유가는 111달러였음. ( 로시스카야가제타 2012. 11. 8) 4

3 푸틴신정부의경제정책 푸틴신정부, 자원수출형경제를극복하고테크놀로지형경제로재편천명 푸틴신정부는향후 6 년간 강한경제 = 강한러시아 라는기치하에혁신과인력양성, 투자환경및인프라개선강화예정 분야. 기술적후진성극복 혁신정책과인프라정비 투자활성화와자본조달 규제축소와민영화확대 재원확보 < 푸틴신정부의경제정책방향과수단 > 5 주요정책내용 - 자원수출형경제극복, 테크놀로지형경제비중확대 - 의약품, 하이테크화학, 혼합 비금속소재, 항공기, ICT, 나노기술, 원자력, 우주산업등기술산업을중점육성 - 우선육성분야와국가지원에대한투명성과공개성확대 - 응용기술의상업화실현을위한제도구축지속 - 대학및연구센터의국제경쟁력향상 - 기업의연구개발분야투자확대 - 교통망등인프라정비, 대도시권반경 1.5~2 배확대 - 농업분야지원과보조금지급, 농업분야중소비즈니스확대 - 하이테크분야에대한국내외투자유치 - 민간투자활성화를위한여건개선 - 경제정책에서의국가규제완화 - 국가기업자산매각등부분적민영화 - 독점적기업들의타사출자및자산취득제한 - 조달관리, 세출효율화, 연금제도개선, 사치세부과등을통한재원확보 - 신중한재정차입 자료 : 푸틴, 우리경제의과제에대해, 내용정리, 베드모스찌, 2012. 1. 30. 푸틴은러시아의비즈니스환경을 2018년까지 20위가되도록취임직후지시. 2012년 183개국가중 120위, 2013년 112위로다소개선.

Ⅱ. 러시아자동차시장현황및전망 6

1 러시아자동차시장동향 유럽최대시장으로부상 국제원유가상승, 경제회복에힘입어 2000 년대이후크게성장 - 특히 2000 년대중반부터급격히확대 - 2009 년도판매는세계금융위기로인해전년에비해절반가까이줄어든 147 만대 ( 소형 LCV 포함 ) - 2010 년에도침체가계속될것으로예상되었지만약 191 만대판매됨 2010 년에도침체가계속될것으로전망되었으나 3 월에도입된스크랩인센티브조치등에힘입어저가자동차의매출이크게증가 - 2011 년은더욱확대되어약 265 만대판매됨 조만간유럽최대시장으로부상할것으로전망 - 판매대수는프랑스와비슷한규모로조만간독일시장에필적 7

1 러시아자동차시장동향 < 원유가격과러시아자동차판매추이 > 자료 : 자동차판매대수는 IHS 오토모티브 (2011 년은 AEB), 원유가격은 IMF - Primary Commodity Prices. JAMA 자료재인용. 8

1 러시아자동차시장동향 2011년도러시아자동차시장규모약 589억달러 ( 전년대비 70% 증가 ) - 수입차약 48%( 전년대비 63% 증가, 283억달러 ) - 러시아제외국브랜드차약 40%( 전년대비 98% 증가, 237억달러 ) - 러시아산순국산차약 12% ( 전년대비 33% 증가, 69억달러 ) 신차 1대당평균단가 2만 3,500 달러 ( 전년대비 18% 증가 ) - 순국산차약 1만 1,000 달러 - 러시아제외국브랜드차약 2만 3,000 달러 - 수입차약 3만 4,000 달러 9

1 러시아자동차시장동향 저가모델, B segment 이상의크기가인기 2011년도시장의특징은러시아국내에서생산된저가모델중에서도일정한크기이상의자동차가주종을이룸. - 2011년도판매랭킹 4위이내모델은모두 32만루블 ( 약 1만달러 ) 미만 (LADA Kalina, Priora, 사마라, 클래식등모두 LADA 계열 ) - 5위 ( 현대 Solaris)~10위의모델은 50만루블 ( 약 17,150달러 ) 미만 - 상위 10위이내모델은모두 B segment 이상의크기 10

1 러시아자동차시장동향 고급해외브랜드자동차선호 저렴한가격의러시아브랜드보다는고급해외브랜드자동차선호 - 2000년대초반러시아브랜드의시장점유율 90% - 2004년경부터해외브랜드의러시아시장진출크게증가 - 러시아내생산자동차에대한각종인센티브부여로해외메이커의러시아국내생산확대 - 2009년이후순러시아국산차와해외기업의현지생산차판매증가 11

1 러시아자동차시장동향 < 러시아시장에서의현지생산차와수입차의판매추이 > 12

1 러시아자동차시장동향 치열한해외브랜드의점유율경쟁 2010년기준으로러시아국산브랜드의시장점유율은 35% - 기타, 유럽계 22%, 일본계 16%, 한국계 15%, 미국계 11%, 중국계 2% - 유럽계와미국계브랜드의러시아현지생산비율은 60% 이상 - 한국계의경우 2011년부터현대자동차의현지생산에힘입어현지생산비율이크게증가 - 일본계는 13% 정도. 판매량의대부분이수입에의존 13

1 러시아자동차시장동향 < 러시아승용차시장에서의국가별브랜드점유율추이 > 자료 : IHS 오토모티브, JAMA 자료재인용. 주 : 지분구조가아닌브랜드가소재한국가나지역기준 14

1 러시아자동차시장동향 < 러시아승용차시장에서의국가별브랜드의점유율 (2010 년 )> 자료 : IHS 오토모티브, JAMA 자료재인용. 주 : 지분구조가아닌브랜드가소재한국가나지역기준 15

1 러시아자동차시장동향 < 러시아시장에서의주요브랜드별판매대수 (LCV 포함 )> ( 단위 : 대 ) 브랜드 2010 년 2011 년증가율 (%) 1.LADA 522,924 578,387 10.6 2. 쉐보레 116,233 173,484 49.3 3. 현대 87,081 163,447 87.7 4. 르노 96,466 154,734 60.4 5. 기아 104,235 152,873 46.7 6. 닛산 79,614 138,827 74.4 7. 도요타 79,315 119,505 50.7 8. 포드 90,166 118,031 30.9 9.VW 58,989 118,003 100.0 10. 대우 74,419 92,778 24.7 11.GAZ 76,647 89,773 17.1 12. 미쓰비시자동차 45,538 74,166 62.9 13. 스코다 45,631 74,074 62.3 14. 오펠 40,875 67,555 65.3 15.UAZ 49,043 57,148 16.5 16. 푸조 35,734 44,311 24.0 17. 마쓰다 24,926 39,718 59.3 18. 스즈키 28,690 35,469 23.6 19. 메르세데스벤츠 19,724 29,058 47.3 20. 피아트 21,943 28,254 28.8 자료 : AEB. 16

1 러시아자동차시장동향한국계브랜드인기상승 한국계브랜드차평가급속히개선 - 최첨단기능과품질면에서는일본계브랜드에미치지못하나비용면에서높은경쟁력 - 러시아의기후 운전특성에맞춘옵션, 기능등현지화전략성공 (2010년) 브랜드별판매대수기아 3위, 현대 6위 (2011년) 현대 3위. 기아 5위. 닛산 (6위), 도요타 (7위) 등일본계추월 (2012년 1~10월 ) 기아 3위, 현대 5위 ( 합계 30만 425대판매 ) - 기아 15만 7,519대, 현대차 14만 6,739대 - 브랜드별순위 : 라다 ( 러 ), 쉐보레 ( 미 ), 기아, 르노, 현대 - 현대솔라리스 9 만 4,308 대, 기아뉴리오 7 만 2,373(89% 중가 ) 17

1 러시아자동차시장동향 < 주요모델별판매대수 > ( 단위 : 대 ) 모델명 2010년 2011년 전년대비증가율 1.LADA Kalina 108,989 142,930 31.1 2.LADA Priora 125,247 138,697 10.7 3.LADA 사마라 105,457 122,473 16.1 4.LADA 클래식 138,271 112,522-18.6 5. 현대솔라리스 0 97,243 6. 포드포커스 67,041 82,457 23.0 7. 르노로간 62,862 81,909 30.3 8.LADA NIVA 4 4 44,635 60,738 36.1 9. 대우넥시아 43,943 54,567 24.2 10. 쉐보레 NIVA 35,380 54,425 53.8 11.VW 폴로세단 10,410 52,100 400.5 12. 기아리오 29,165 49,858 71.0 13. 오펠아스트라 (Cabrio포함) 30,432 48,030 57.8 14. 르노산데로 19,232 45,694 137.6 15. 쉐보레라세티 31,885 42,100 32.0 16. 스코다옥타비아A5 18,256 41,130 125.3 17. 대우마티스 30,476 38,211 25.4 18. 쉐보레크루즈 18,857 37,710 100.0 19. 닛산 Qashqai 21,489 35,231 63.9 20. 기아 Ceed 26,647 28,868 8.3 21. 도요타 RAV4 16,479 27,206 65.1 22. 도요타카로라 16,417 27,007 64.5 23. 쉐보레아베오 22,784 25,778 13.1 24. 기아 Sportage 20,274 23,880 17.8 25. 닛산 X-Trail 16,158 22,689 40.4 자료 : AEB. 18

1 러시아자동차시장동향 2012 년 1~9 월승용차판매동향 2012년 1 ~ 9 월신차판매실적은총 219 만대 - 저가차중심으로감소 2012 년 1 ~ 9 월신차승용차및 LCV 의판매대수는전년동기대비 14 % 증가한약 219 만대 9 월은전년동월대비약 10% 감소 - 현대솔라리스의매출도감소 - 저가브랜드 Lada 는작년말에발매된 Granta 을제외하고 Kalina, Priora, Samara 등은일제히감소 판매감속원인 - 르노측, 생산체제의변경 - 스즈키, 폐차처리비용제도시작에따른물류상이유이며, 수요감소는없다고설명 (10 월 9 일자코메르산트 ) 19

순위모델브랜드대수전년동기비신장률 대수 (9 월한달 ) 전년동월비 신장률 1 Kalina LADA 96,513-12% 9,315-23% 2 Priora LADA 94,519-12% 11,609-15% 3 Solaris HYUNDAI 84,430 27% 9,096-4% 4 Granta LADA 80,965-14,050-5 Focus FORD 68,332 21% 7,782 6% 6 New Rio KIA 64,353 97% 7,928 733% 7 Polo VW 52,158 49% 6,108 19% 8 Samara LADA 51,009-40% 4,342-60% 9 Logan RENAULT 47,820-23% 3,108-47% 10 Cruze CHEVROLET 46,448 70% 5,091 40% 11 Niva CHEVROLET 44,031 21% 5,050-2% 12 Astra(Astra Cabrio포함 ) OPEL 41,094 19% 3,972 1% 13 Nexia DAEWOO 40,724-3% 4,360-13% 14 4x4 LADA 40,496-9% 5,072-18% 15 Octavia A5 SKODA 37,659 35% 4,833 30% 16 Sandero RENAULT 36,647 20% 2,758-26% 17 Qashqai NISSAN 29,093 25% 2,928 18% 18 2104/2105/2107 LADA 28,449-70% 2,662-67% 19 Lacetti CHEVROLET 27,399-12% 3,057-12% 20 Tiguan VW 27,250-5,042-21 Corolla TOYOTA 26,620 31% 2,706 11% 22 Matiz DAEWOO 25,761-13% 2,673-23% 23 Camry TOYOTA 25,753 58% 2,949 95% 24 Juke NISSAN 24,119 214% 2,764 57% 20 25 New Sportage KIA 23,834 38% 2,691-2%

1 러시아자동차시장동향 일본계브랜드다소퇴조, 미국계는협상을통해경쟁력확보일본계세단차브랜드인기다소퇴조 - 금융위기이전까지는고품질, 높은연비, 충실한애프터서비스등으로러시아브랜드시장점유율과비슷한점유율 - 인기있는 B, C 클래스등의세단타입은러시아국내생산자동차에대한우대조치, 유럽계브랜드의현지생산확대등으로점유율면에서다소밀리는양상 - 젊은이중심으로판매가확대되고있는 SUV 는일본계브랜드의점유율이 40% 이상으로여전히인기 - (2012 년 1~10 월 ) 도요타캠리 2 만 8,707 대 ( 전년비 66% 증가 ) 코롤라 2 만 8,707 대 (33% 증가 ) 미국계브랜드는높은현지생산비율을바탕으로러시아정부와협상, 경쟁력있는비즈니스환경조성 - GM 의경우부품의현지조달비율을높이는대가로특혜관세혜택을받음 21

세단의인기감소, SUV 인기지속적증대승용차시장에서여전히세단의인기가높으나그비중이감소중인반면, 해치백, 스테이션왜건, SUV 의비중은증가세 2010년 2011년 세단 39.1% 35.7% 해치백 28.3% 28.7% 스테이션왜건 6.5% 7.6% SUV 23.4% 25% 2011 년도승용차판매 1/4 이 SUV ( 유럽내 SUV 비중약 10%) - 열악한도로사정과넓은영토로인해인기 - SUV 중에서도소형저가모델이인기세단보다 SUV 가격이대체로높아구매자확보가쉽지않음. - 경제성장으로러시아인구매력증가에따라 SUV 수요확대, 고급모델인기확대예상 2012 년도에도 4WD 차량인기지속, 1~9 월, 시장의약 30% 를차지 ( 베드모스찌, 2012. 10. 12) - 러시아에서가장인기있는크로스오버차량인시보레 Niva 는 21 % 증가한 4 만 4,000 대 - 기아뉴스포티지는 38% 증가 (2 만 3,800 대판매 - Lada 4 4 는국내 2 위로호조이지만, 판매대수는 9% 감소 ( 경제호조시고급차선호경향때문 ) 메이커들은저가세단차는이미포화상태라보고, 급성장중인 4WD 부문에주력하기시작 - 마츠다와솔러스블라디보스톡합작공장 (Mazda Sollers Manufacturing Rus ) 에서크로스오버 SUV CX-5 2012 년 10 월 8 일부터양산시작 초기생산연간 5 만대, 향후 9 만대목표 내년초까지도요타랜드크루저프라도생산예정 ( 연간 2 만 5,000 대능력 ) ( 솔러스극동이라이선스생산중인쌍용크로스오버차량포함 ) 22

2 러시아자동차시장전망수요측면에서확대가능성높음 낮은보유율과신규수요확대가능성러시아 1,000명당약 271대승용차보유 (2012년 1월기준 ) - 인구 1억 3,874만명 (2011년 7월 ) 승용차등록차량 3,500만대중약 1,500만대가 18~20년된낡은자동차로, 대규모교체수요기대자동차재구입주기 3~5년으로짧은편세컨드카구입가정증가여성운전자수크게증가 (2006년 170만명 2011년 307만명 ) 23

2 러시아자동차시장전망 단기적시장불안요인도있음. 단기적시장불안요인 - 아직은저가자동차가주력 - 2010~2011 년의시장확대는정부의보조금정책영향 - 한정된구매력때문에경제가어려워질경우 2009 년과같이다시위축될가능성있음. 고가외국브랜드차판매호조는지속예상 - 러시아순수국산브랜드보다는기술력에서앞선외국브랜드차선호 24

2 러시아자동차시장전망 판로확대를통해매출확대노력 AvtoVAZ, Lada 딜러망을현재 434 개, 2013 년 500 개, 2014 년 600 개로확대할것이라고발표 ( 자료 : 베드모스찌, 2012. 10. 29) - 확대전략의핵심은다른저가차보다크게높은 9.8% 의판매마진때문. - 러시아자동차딜러협회 (ROAD) 에따르면, 중 저가신차판매마진은평균 6% - 신차판매마진의감소로딜러들의판매가격경쟁치열. 아우디같은고급브랜드에도파급 AvtoVAZ 는또한타사에앞서계약기간을 2013 년부터 3 년간으로연장저가격대에서상인은 1 개점포당연간 2,000 대는팔아야채산이맞는데, 점포수가 600 개가되면고객이분산된다는문제가있다는지적도나옴. 러시아반독점청, 자동차딜러와의계약 5 년이상으로권고러시아자동차딜러협회, 계약기간 5 년요구, 반독점금지청에제소 - 기존 1 년계약, 메이커의일방적계약중단위협 (2011 년 8 월, 제소 ) - 판매와유지보수세트진행, 경쟁업체자동차수리금지요구, 딜러판매가격지정등에반발반독점청권고 - 제조또는유통업체의딜러와의계약 5 년이상, 대형투자업체는무기한으로권고은행융자등자금문제도움예상 - 기존 1 년계약시, 은행이융자에난색 ( 자료 : 베드모스찌, 2012. 9. 10) 25

Ⅲ. 러시아자동차산업의생산구조 26

외국브랜드차중심으로자동차생산증가추세 세계금융위기로주춤하던승용차생산이 2010년부터다시증가 - 2009년생산대수는소련해체후최저인 59만 9,265대 - 2010년에는인센티브등에힘입어 120만 7,544대 ( 전년비약 2배증가 ) - 2011년에 173만 8,163대 ( 전년비 43.9% 증가 ) 그중러시아국산차 66만 3,142대 ( 전년비 13.4% 증가 ) 외국브랜드차 107만 5,021대 ( 전년비 72.6% 증가 ) 2010 년에처음으로외국브랜드차생산이러시아국산차생산을추월 - 2011 년에는차이가 2 배가까이확대 27

러시아순국산차생산은급격한감소추세 현재러시아순국산차를생산하고있는메이커는 6개사 - 6개사중 5개사가 AvtoVAZ와관련된회사 - AvtoVAZ가러시아국산차거의대부분을생산 < 러시아순국산차의생산메이커별생산대수 > ( 단위 : 대 ) 메이커 2010년 2011년 증가율 (%) AvtoVAZ 545,450 561,669 3.0 Izh-Avto 5,589 63,753 약 11.4배 UAZ 24,716 30,394 23.0 Super-Avto 3,537 6,111 72.8 체첸 Avto 122 678 455.7 BRONTO 317 535 68.8 GAZ 5,065 1-99.98 ZIL 0 1 합계 584796 663142 13.4 자료 :ASM 홀딩 ZIL 2013 년부터현대자동차와함께상용차생산에관한협정체결 ( 베드모스찌, 2012. 10. 29). 상용차, 중형트럭, 버스생산을검토중현재는세미넉다운, 2015 년상반기전체생산공정 ( 용접, 도장, 조립, 프레스가공 ) 으로전환예정 ZIL 그룹은 2012 년 1~8 월트럭 839 대, 버스 6 대, 리무진 1 대생산 28

외국브랜드차생산의급속한증가 2011년외국브랜드차최대생산공장은러시아회사인 AvtoTOR - 자유경제지역인칼리닌그라드의이점을활용하여각종브랜드를 SKD 방식으로생산 - 2011년생산대수는약 22만 2,000대 기타, 연 10 만대이상을생산하는공장은현대, 아프토후라모스, VW 등 29

< 러시아내외국브랜드차생산현황 > ( 단위 : 대 ) 지역별메이커 2010년 2011년 증가율 (%) AvtoTOR 170,211 222,081 30.5 GM-AvtoVAZ 36,761 55,403 50.7 TagAZ 26,918 26,043-3.3 Derway 11,713 31,503 169 IRITO(IMS) 0 15,235 - 아프토후라모스 86,848 142,304 63.9 포드러시아 80,390 98,807 22.9 IzhAvto 0 2,480 - Sollers( 타타르스탄 ) 10,658 19,397 82 Sollers극동 13,662 25,127 83.9 소계 (A) 437,161 638,380 상트뻬쩨르부르그지역소계 (B) 69,669 258,991 271.7 GM n.a 약 60,000 토요타 15,892 14,131-11.1 닛산 약 24,500 약43,200 현대 0 138,987 칼루가지역소계 (C) 115,918 177,650 53.3 VW n.a 약 134,000 PSA/ 미츠비시 n.a 약 44,000 합계 (A+B+C) 622,748 1,075,021 72.6 자료 : ASM 홀딩, Autostat. 30

외국브랜드차생산증가에따라부품메이커진출활발 최근 1~2 년사이구미부품메이커의러시아진출본격화 - 외국및러시아국내자동차메이커의생산증가 - 외국자동차메이커에대한부품현지조달요구확대 - 러시아정부의자동차산업정책 2005 년에도입된 공업어셈블리 조치등 최근사례 - 독일 VW, 러시아칼루가주에엔진생산공장건설예정 ( 연간 15 만개, 1600cc 가솔린엔진을칼루가 VW 공장과니즈니노브고로드시의협력업체 GAZ 에공급, 2 억 5,000 만유로투자예정 ) - 2012.9.6 마즈다와솔라스블라디보스톡합작공장가동 ( 본격적인가동은 10 월 8 일 ) 에따라부품업체들극동진출 공업어셈블리조치에따라 2 년 6 개월후에전체조립라인가동예정 일본의플라스틱부품, 유리, 서스펜션, 카일렉트로닉스등의업체를유치예정 세미녹다운방식, 초기생산 5 만대, 향후 9 만대목표 31

부품메이커는볼가, 칼루가주, 상트뻬쩨르부르그에집중 러시아자동차및부품메이커가위치하고있는주요지역 - 소련시대부터산업집적지역이었던볼가연안지역 - 르노가위치한모스크바시, 폭스바겐, 푸조시트로엥, 미츠비시등의공장이있는칼루가주포함하는중앙지역 - 외국계조립메이커가집중해있는상트뻬쩨르부르그가위치한북서지역 32

Ⅳ. 러시아자동차산업정책 33

러시아정부는석유 가스등에너지산업에대한의존이심한자국경제의단점을극복하고자가공산업육성을통한산업구조다변화정책을추진중제조업부문의가공산업육성정책의대표적예가자동차산업육성자동차산업과관련한주요정책 2005년부터시행해오고있는 공업어셈블리 정책 2020년까지의러시아자동차산업개발전략 WTO 가입과관련한자동차관련조치 34

공업어셈블리정책 생산능력이나현지조달율에있어러시아정부가정하는기준만족시자동차 ( 완성차및부품 ) 의현지조립프로젝트 ( 러시아자본, 외자의구별없음 ) 에대해특혜제공 - 부품이나원재료의수입관세율을일정기간 0 또는 3~5% 로감면 - 관세감면을포함한동조치의적용에관한협정의유효기간은완성차조립의경우최장 8 년 - 구공업어셈블리조치적용에관한협정의체결은 2007 년 11 월 10 일까지 ( 극동지역등경제발전이늦은지역에대해서는일부예외적용 ) 2005 년이후시행, 외자계완성차 부품메이커가이조치의적용을받아러시아에서현지생산중 35

< 러시아의공업어셈블리정책 > 구공업어셈블리조치신공업어셈블리조치 1 생산능력을협정발효후 4년이내 1 공업어셈블리조치의적용에관한에연간 30만대이상으로함협정발효후 30개월이내에용접 도 2 부품 원재료의현지조달율협정발장라인설치 CKD( 컴플리트넉다운 ) 효후 4년째에 30% 이상, 5년째에방식의생산개시 40% 이상, 6년째이후는 60% 이상으 2 협정발효후 8년이내에생산능력로함을연간 2만 5천대이상으로함 3 생산되는자동차의 30% 대해러시아 3 감면세율에의한부품 원재료의수에서생산한엔진및 ( 또는 ) 트랜스미입가액을 CKD 개시부터 2년후에부션장착품 원재료총액의 10% 상당분감소시 4 협정발효후 4년이내에프레스라인켜, 3년반후와 4년반후에추가적으설치로 10% 상당분씩감소 5 협정발효후 4년이내에 R&D 센터 36 설치

현지진출기업들, 2011 년초신공업어셈블리정책협정체결 현재, 다수의완성차조립과부품조립프로젝트들은신, 구공업어셈블리조치적용에관한협정을체결하였거나진행중 - 신조건에따라협정이체결 (2011 년 5 월말 ) 된사례 1 르노 / 닛산 /AvtoVAZ/IzhAvto 연합 2 포드 /Sollers 연합, 3 VW, 4 GM 등 - 부품조립프로젝트에대해서도 2011 년말현재 50 개이상의외자계메이커가신공업어셈블리조치의적용에관한 메모랜덤 체결 (2011 년 2 월말 ) 최종성공여부는미지수 - 러시아내의소재나부품관련업체의낮은기술수준, 운송지체, 포장단위상의문제등현지조달에는아직도많은문제가있음. 37

WTO 가입으로공업어셈블리정책일부완화 러시아는 2012 년 8 월 23 일 WTO 에정식가입 - WTO 가입조건으로 3~7 년간의이행기간을거쳐최종적으로자동차관세율을 15% 까지인하하기로약속 - 신차관세는 30% 에서 25% 로, 중고차는 35% 에서 25% 로인하 공업어셈블리조치는 WTO 의무역관련투자협정 (TRIM 협정 ) 에위반 TRIM 협정은무역왜곡효과를가져오는투자관련조치를금지 EU 측에서대러시아자동차부품수출감소를예상하여강한우려제기 신공업어셈블리조치일부완화 - WTO 가맹교섭에서신조건의현지조달율에대해비판이집중 - 신조건이의무화하는현지조달율 60% 를완화. 구조건 30% 를 5 포인트웃도는 35% 정도로적용하는선에서적용하기로약속 - 2020 년까지로되어있던신공업어셈블리협정의유효기간을 2018 년 6 월말까지로단축 38

WTO 가입에따른자동차산업보호책강구에고심 WTO 가입으로러시아국산브랜드자동차가곤경에처하게되고, 결국파산을면치못할것이라는전망제기 - 관세가인하되면중고차와함께자동차수입확대로이어져러시아생산신차의판매는영향을받을수밖에없을것 그러나러시아는자국산업보호와경제적지원을목적으로수시로법령을수정 보완 - 관련법령이 WTO 협정과일치하지않는경우도발생할수있다는우려 - 푸틴대통령은 러시아의법령을 WTO 기준과규정에적합하도록하겠다 고발표 러시아정부는 WTO 가입의영향을최소화하려고노력 39

WTO 가입에대응조치 - 2012 년 9 월 1 일부터, 자동차리사이클세도입 리사이클세도입목적 ( 산업 상업성관계자 ) - 러시아에는낡은차비율이매우높고, 향후폐차가될차가급증할것으로전망. 이에대응하는인프라정비목적으로리사이클세를도입 - 또한 WTO 가입에따라예상되는수입관세수입의감소분을보충하는의미도있다고설명실제로는자동차수입을곤란하게하여러시아국내자동차산업을보호하려는것이주목적리사이클세는 WTO 협정위반이라고반발 (EU 등 ) 40

리사이클세세율 산업 상업성이제안하고있는리사이클세기본세율 - 승용차 : 2만루블 ( 약 70만원 ) - 트럭, 버스 15만루블 ( 약 523만원 ) (1루블 = 약 34.3원 ) < 폐차처리료요율표 ( 승용차 )> 승용차 ( 정원 8 명이하, 총중량 3.5 톤이하 ) 신차 3 년이상경과한차 ( 제조일로부터폐차요금납일까지 ) 기본요금 ( 루블 ) 20,000 계수 금액 계수 금액 전기자동차 0.86 17,200 5.30 106,000 배기량 1000cc 이하 0.86 17,200 5.30 106,000 배기량 1000cc 초과, 2000cc 이하 1.34 26,800 8.26 165,200 배기량 2000cc 초과, 3000cc 이하 2.56 51,200 16.12 322,400 배기량 3000cc 초과, 3500cc 이하 3.47 69,400 28.50 570,000 배기량 3500cc를초과하는것 5.50 110,000 35.01 700,200 개인이용을위해개인이수입하는것 0.10 2,000 0.15 3,000 자료 : 2012 년 8 월 30 일자러시아정부결정 870 호, 로시스카야가제타 8. 31. 41

리사이클세도입영향 리사이클세예시 - 3,500 CC 이상수입신차 : 2만루블 x 5.5 = 11만루블 ( 약 377만원 ) - 2,000 CC 미만중고차 : 2만루블 x 8.26 = 16만 5,200 루블 ( 약 567만원 ) 승용차신차의경우큰영향없지만, 중고차는큰영향 - 신차는 WTO 가입에의한관세율인하 (30% 에서 25% 로 ) 혜택이있고, 리사이클세율또한높지않은편. 큰영향없을것으로예상 - 중고차는 2,000 CC 미만의소형차라해도 WTO 가입에의한관세율인하 (35% 에서 25% 로 ) 되어도, 높은리사이클세로비용부담이큰편 7 년이상의중고차수입관세율은 WTO 가입해도그대로유지. 리사이클세부과로더욱큰부담. 42

리사이클세도입영향 리사이클세도입으로관세가인하되기전보다오히려소비자가격이올라가는경우도발생 신차트럭및버스의수입관세율은 WTO 가맹후에 25% 에서 10~15% 로한꺼번에인하 - 러시아내메이커에부정적영향클것으로예상 - 높은리사이클세도입으로 WTO 가입에따른영향으로부터러시아국내의트럭및버스메이커보호목적명백 우크라이나, 폐차처리비용법제정공표 - 배기량 1000cc 미만의신차승용차기준 4,730 흐리브냐 (575 달러 ), 2000cc 미만은 7,370 흐리브냐 (896 달러 ), 3000cc 미만 1 만 4,080 흐리브냐 (1712 달러 ) - 관세동맹 (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 국과마찬가지로우크라이나도과세대상에서제외될것을기대했지만제외되자대응조치강구 - 올상반기러시아에서 ( 관세동맹국외에 ) 수출된승용차 2 만 8,915 대중, 우크라이나에대한수출은 1 만 8,859 대로 50 % 이상은 AvtoVAZ 차량. 금년상반기우크라이나에서판매된승용차는총 10 만 2,795 대, 그중 Lada 브랜드차량의판매는전년동기대비 37 % 감소한 8,525 대 43

장기자동차산업육성전략 2010년 4월 2020년까지의러시아자동차산업개발전략 승인 2020년경주요목표 - 러시아자동차산업의부가가치비중 48% (2008년 21%) - GDP에서차지하는자동차산업비중 2.38% (2008년은 0.98%) - 주민들의자동차보유대수는 100명당 36.3대 (2008년은 22.5대 ) 목표달성을위해다음의정책들이필요하다고강조 - 지속가능한국가자동차산업의창조 - 혁신과수입대체, 생산성증가, 전략적제도 - 자동차클러스터전략 44

러시아자동차산업의위상 (2020 전략작성시점인 2009 년기준 ) 자동차산업은국민총생산의 1% 차지자동차산업과관련된기업총수는약 400개직접적인자동차생산및부품산업관련종사자 40만명 - 하청업체종사자 100만명자동차연관산업 ( 전기기술업체, 야금, 화학, 전기, 기타경공업산업 ) 포함할경우러시아자동차제조업은국가경제에서추가로 450만명고용창출 45

< 러시아자동차관련주요지표 (2020 전략 )> 2008 2009( 평가 ) 2020( 예측 ) GDP ( 디플레이션지표고려 ), 10억루블 32,743 38,743 63,366 주민수, 백만명 142.0 141.9 134.17 노동가능주민수, 백만명 68.5 66.4 67.9 GDP내자동차산업비중, % 0.98% 0.57% 2.38% 전체노동가능주민중 자동차산업종사자비중, % 0.7% 0.6% 0.6% 46

< 러시아자동차시장예측 (2020 전략 )> 단위 : ( 수입중고차제외 ), 천대 2008 2009( 평가 ) 2020( 예측 ) 총계 3,202.3 1,557.4 4,166.6 승용차 (ЛА) 2,801 1,400 3,600 상용경차 (ЛКА) 210 102 350 화물자동차 171 44 190 버스 20,3 11,4 26,6 47

< 러시아자동차생산예측 (2020 전략 )> 단위 : 천대 2008 2009( 평가 ) 2020( 예측 ) 총계 1,793.6 723.6 3,745 승용차 (ЛА) 1,469.4 596.9 3,150 상용경차 (ЛКА) 196.5 75.0 280 화물자동차 103.7 40.1 280 버스 24.0 11.6 35 < 러시아자동차시장등록 (2020 전략 )> 2008 2009( 평가 ) 2020( 예측 ) 승용차등록대수, 백만대, 연말기준 32 33.2 52 주민자동차보유, 대 / 인구천명 225 229 363 48

러시아자동차산업의낙후된 R&D 러시아 R&D는세계적인수준에비해뒤쳐져있음. - 러시아자동차생산업체의 R&D 투자는연수익의 1% 미달 ( 선진국의 R&D 투자는 4~5% 를상회 ) - 새로운모델개발주기매우느림러시아자동차산업의가장기본적인문제점은제품의경쟁력을결정짓는설계와기술의부재중장기적으로경쟁력있는신제품을생산하기위해서는 R&D를위한국가적지원이필요러시아정부가 2020 전략에서추진하고자하는 R&D 전략은중장기전략으로구분 49

< 러시아정부의자동차산업육성을위한중장기 R&D 전략 > 단계 중기 전략 주요 R&D 전략 - 전기차량개발 - 새로운기술개발및대체에너지사용차량개발 - 4륜구동기반로봇기술을사용하는플랫폼생성 - 환경보호와에너지효율제고를위한디젤엔진의유해배출물처리시스템및새로운기술개발 (EURO 5, EURO 6 기준 ) - 지능형 ATS 안전시스템개발, 지능형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의관리, 진단및통제시스템의적용 - 나노기반의복합재료개발 - ATS의친환경적이고안전한활용및에너지효율을위한연구개발지원 - 저압타이어개발등교통흐름을감안한친환경교통수단개발 - 지능형자가통제민간용무인자동차교통수단개발 - 핵에너지활용과첨단기술및효율적에너지의지상모바일플랫폼조성장기 - 나노기반의복합재료개발전략 - 북극해개발용다양한용도의특수차량제작 - «비행자동차» 교통수단개발, 2030년까지예상되는사업용, 군사용, 특수목적의운송서비스시장의첨단기술개발을감안모스크바시는 2008년에자동차연료배기가스규제기준을유로 3 기준도입. 2013년부터유로 4로올릴예정 (2012. 10. 11 로시스카야가제타.) 50

자동차산업클러스터정책 러시아의주요자동차생산지역은북서, 중앙, 볼가관구등에위치조립공장은칼리닌그라드, Taganrog, 예카테린부르크, 노보시비르스크등에위치 - 2009년말에는극동지역에서도자동차생산을시작했지만기본적으로러시아의유럽지역에집중현재, 러시아에는세개의주요자동차클러스터가조성되어있음. 그러나러시아자동차클러스터는발전하지못하고한계를보임. - 자동차클러스터형성에관한정책부재탓 51

권역볼가연안중앙북서 < 러시아의자동차클러스터 (2020 전략 )> 클러스터 - Togliatti 시 / 사마라시 - Naberezhnye Chelny / SEZ "Alabuga - 울리야놉스크 - 니즈니노브고로드 - 모스크바시 / Kaluga 시 - 블라디미르시 - 상트페테르부르크 - 벨리끼노브고로드시 / 프스코프시 < 러시아자동차시범클러스터 (2012 년 8 월확정 )> 지역클러스터의명칭주요사업분야코디네이터 니제고로드주 니제고로드자동차제조 석유화학분야공업이노베이션클러스터 석유 가스가공, 석유 가스화학, 자동차제조 니제고로드주투자정책성 타타르스탄공화국 타타르스탄공화국캄스키이노베이션지역생산클러스터 석유 가스가공, 석유 가스화학, 자동차제조 과학합동 캄스키이노베이션지역생산클러스터 자료 : 2012 년 8 월 28 일, 러시아연방정부제정 52

Ⅴ. 시사점 53

러시아자동차산업의높은성장잠재력에대응한수출및투자 러시아자동차시장확대에따른글로벌기업들의대규모투자진출확대 - 유럽최대시장으로부상, 보다적극적대응전략강구필요 - 카자흐스탄, 벨로루시등관세동맹으로역내시장은더욱확대 ( 관세동맹국가간리사이클세면제및각종세금감면등인센티브제공 ) 러시아시장의수요를감안한대응책강구 전체적으로중소형승용차수요유지될것이지만부유층중심으로중대형차수요도꾸준히증가할것으로예상 RV 차량다양화고급화추세지속될것으로예상 54

러시아정부의각종인센티브및관세정책에대응 자국내산업육성을위한다양한조치지속될것으로예상 WTO 가입에따른자동차관세인하무력화시키는리사이클세도입 공업어셈블리정책에따른현지조달비율감안한투자진출 완성차업체와부품업체의동반진출불가피 ( 상트뻬쩨르부르그현대자동차공장사례 ) 러시아정부의자동차클러스터정책을활용한투자진출 러시아의정부의적극적인산업육성전략의하나인 혁신적지역클러스터정책 활용 - 각종경제특구에준하는인센티브제공및제도적편의제공 확정된자동차클러스터에관심 - 니제고로드와타타르스탄자동차이노베이션클러스터 - 칼리닌그라드, 상트뻬쩨르부르그등예상되는자동차클러스터전략에대응 ( 기아자동차등 ) 55

러시아정부의자동차산업육성을위한중 - 장기 R&D 전략에대응 전기자동차등대체에너지차량개발 나노기반복합재료개발분야협력 북극해개발과관련다용도특수차량제작 비행자동차개발등의분야에서공동연구협력시스템구축등 푸틴신정부의경제정책방향 혁신을통해기존의자원수출형경제를극복하고테크놀로지형경제로탈바꿈하기위해경쟁력있는산업육성과제도개선을추진 선거운동과정에서전략적산업육성을위해정부지원의투명성과공개성확대, 과학기술자임금 2 배확대, 세계적대학육성을통한노동생산성향상, 투자환경개선등을약속 56

기술개발에대한푸틴의생각 현대경제에서는하이테크의개발 보유자는유저에대해서핵심기술에접근시키려하지않는다. 우리나라는세계경제위기속에서러시아기업이국외의자산을매수하려했을때그것을깨닫게되었다. 완전사이클의기술에이야기가미치자마자, 그것이자동차산업이든, 서방파트너들은거기에서스톱이었다. 공급자는통상, 새로운기술을판매할때에설비및기술적프로세스서비스등고급요소는스스로에게남기려한다. 그렇게해서구매자는기술적경제적으로공급자에게의존하게된다. 어느나라나하이테크아웃사이더가되어버리면항상경제적손실을입게된다. 자국에조립생산을유치했다고해도이익의대부분은본사나연구 설계소가위치한곳으로넘어가버린다.... 기술적우위를되찾기위해서는우선분야를주의깊게선정할필요가있다. 그후보가될수있는것은, 의약품, 하이테크화학, 혼합 비금속소재, 항공기, ICT, 나노텍등이될수있을것이다. 물론, 원자력, 우주라고한전통적인분야에서도, 우리나라는우위를잃지않았다. 이리스트는고정된것이아니고, 세계경제상황과각기업의창의성에따라바뀔수있다.... 한국이나중국과같은나라의경제근대화성공의예가보여주고있는것은, 국가에의한지지가필요하고, 그효과는잘못을무릅쓰는리스크보다크다. ( 자료 : 푸틴, 우리경제의과제에대해, 베드모스찌, 2012. 1. 30.) 57

http://top20brands.ru 13 개도시 1,700 명대상조사 / 58

9 월 1 일부터시행된폐차처리비부과로러시아의 9 월상용차수입크게감소 9 월상용차 (LCV 포함 ) 의전년동월대비수입은한국, 중국, 태국, 이탈리아, 독일, 벨라루스등의것으로격감했다. 7 ~ 8 월은갑작스런수요로수입증가 폐차처리비용부과전인지난 8 월에는한국차 3000 대, 중국차 3700 대, 이탈리아차 2500 대, 독일차 1500 대, 스페인차는 1000 대수입등수요급증 8 월 22 일부터러시아의 WTO 가입으로관세가떨어진것도 8 월에집중된한요인 일부업체는폐차처리비용의도입을 8 월부터예상, 7 월에앞당겨수입 수입상용차는특히중국차가폐차처리비용으로큰타격받을전망. 중국차는러시아의상용차시장 (KamAZ 과 MAZ 포함 ) 에서약 15 % 의점유 1 ~ 9 월은전년동기 32.5 % 증가한 1 만 2,800 대수입 앞으로도시베리아와극동을중심으로시장을선점해나갈것으로예상 59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