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음운 - 비 법 전 수 Ⅰ. 말소리 1. 음운과음절 문장은구, 어절, 단어, 형태소로분석된다. 형태소는뜻을가진가장작은언어단위로서몇개의말소리로이루어진것이다. 문장 > 구 > 어절 > 단어 > 형태소음절 : 모음과자음이결합해이루어지는가장작은발음의단위음운 : 말의뜻을구별해주는기능을가진소리의단위 ( 추상적, 심리적 ) 음성 : 발음기관을통해나타나는구체적소리 ( 구체적, 물리적 ) 변이음 : 어떤음성들이서로다른자리에나타나서발음상차이가있기는하지만뜻을구별해주지못할때그들음성을한음운의변이음이라한다. : 음운이환경에따라음성적으로달리실현된것. (1) 음운과음성 1) 음운국어에서 굴, 꿀, 둘, 물, 불, 뿔, 술, 줄 은각각첫소리 ㄱ, ㄲ, ㄷ, ㅁ, ㅂ, ㅃ, ㅅ, ㅈ 에의해서서로다른뜻의단어가되고, 살, 설, 솔, 술, 실 은가운뎃소리 ㅏ, ㅓ, ㅗ, ㅜ, ㅣ 에의해서뜻이다른단어가된다. 이처럼, 말의뜻을구별해주는기능을가진소리의단위를음운 ( 音韻 ) 이라한다. 음소 ( 音素 ) 와운소 ( 韻素 ) 개념 : 음운을음소와운소로나누기도하는데, 음소는자음이나모음같은분절음운을, 운소는소리의 장단, 고저, 세기등비분절음운을가리킨다. check 볼 과 용 은몇개의음운으로이루어져있을까? 볼 의첫소리 ㅂ 를 ㄷ 로바꾸면 돌 이라는다른뜻을가진단어가되고, 가운뎃소리 ㅗ 를 ㅜ 로바꾸면 불 이라는단어가되며, 끝소리 ㄹ 를 ㄱ 로바꾸면 복 이라는단어가되므로 볼 은말의뜻을구별해주는 ㅂ, ㅗ, ㄹ 의세음운으로되어있다고할수있다. 그러나 용 의경우, 주의가필요하다. 용 의첫소리 ㅇ 은음운일까음운이아닐까? 요 를발음해보고 ㅛ 를발음해보자. 발음에차이가전혀없음을발견할수있을것이다. 이렇듯음절의첫소리에나오는 ㅇ 은음가가없는, 즉소리가나지않는형식적인것이다. 그러나 요 를발음해보고 용 을발음해보자. 분명발음의차이가느껴질것이다. 이처럼 ㅇ 은첫소리자리에왔을때는음가가없는형식적인것이요, 끝소리자리에왔을때는음가가있는하나의음운인것이다. 따라서 용 은가운뎃소리 ㅛ 와끝소리 ㅇ 등두개의음운을가지고있는것다. 이상에서살펴본바, 음운은어디까지나소리의단위이기때문에, 국어에서 ㅇ 의경우음절의첫소리에서는음운이아니지만, 끝소리에서는음운이된다는사실을알수가있다. 1
2) 음성 고기 는 ㄱ, ㅗ, ㄱ, ㅣ 의네음운이모여서이루어진단어이다. 그런데두 ㄱ 이발음되는모습을살펴보면, 혀와입천장을이용하여공기의흐름을막았다가터뜨려낸다는공통점이있지만, 첫 ㄱ 과는달리둘째번 ㄱ 은목청을떨어울려낸다는차이점이있다. 이처럼, 구체적인소리하나하나를가리켜음성 ( 音聲 ) 이라한다. 따라서 고기 의두 ㄱ 은같은음운이기는하지만서로다른음성인셈이다.( 심화이렇듯어떤음성들이다른자리에나타나서발음상차이가있기는하지만, 뜻을구별짓는일을하지못할때, 그들음성을가리켜한음운의변이음 ( 變異音 ) 이라한다 ) 음향 개념 : 자연에존재하는대부분의비분절적인소리 (2) 음운의체계 u 자음 : 목안이나입안의어느부분이박히거나좁혀지거나하여밖으로나가는공기의흐름이장애를받아서나는소리 u 모음 : 위와같은장애를받지않고나는소리 1) 자음 - 19 개 소리를내는방법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소리를내는자리 양순음 ( 입술소리 ) 치조음 ( 혀끝소리 ) 경구개음 ( 센입천장소리 ) 연구개음 ( 여린입천장소리 ) 후두음 ( 목청소리 ) 예사소리 ㅂ ㄷ ㄱ 된소리 ㅃ ㄸ ㄲ 거센소리 ㅍ ㅌ ㅋ 예사소리 ㅈ 된소리 ㅉ 거센소리 ㅊ 예사소리 ㅅ ㅎ 된소리 ㅆ 비음 ㅁ ㄴ ㅇ 유음 ㄹ 2) 모음 - 21개 u 단모음 : 발음할때, 입술의모양이변하지않는모음 (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 ) - 10개 u 이중모음 : 발음할때, 입술의모양이변하는모음 ( ㅑ, ㅒ, ㅕ, ㅖ, ㅛ, ㅠ, ㅘ, ㅙ, ㅝ, ㅞ, ㅢ ) - 11개 단모음 ( 單母音 )-10 개 개념 : 발음하는도중에혀나입술이고정되어움직이지않음 2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ㅣ ㅟ ㅡ ㅜ 중모음 ㅔ ㅚ ㅓ ㅗ 저모음 ㅐ ㅏ 이중모음-11개 개념 : 발음하는도중에혀가일정한자리에서시작하여다른자리로옮겨가면서발음되는소리 반모음 l' 로시작하는이중모음 : l (j) 계 - ㅑ, ㅕ, ㅛ, ㅠ, ㅒ, ㅖ 반모음 ㅗ / ㅜ 에서시작하는이중모음 : ㅗ / ㅜ (w) 계 - ㅘ, ㅙ, ㅝ, ㅞ ㅢ : 상향이중모음으로보는입장 [ ], 하향이중모음으로부는입장 [ ], 수평이중모음으로부는입장 [ ] 이있다. 반모음 개념 : 음성의성질로보면모음과비슷하지만, 반드시다른모음에붙어야발음될수있다는점에서자음 과비슷하다. 그러나반모음은스스로음절을이루지못하므로온전한모음이되지는못한다. (3) 음절 발음시한뭉치를이루는소리의덩어리로, 발음상의최소단위를이루는것을음절 ( 音節 ) 이라한다. 집앞으로맑은물이흐른다 를소리나는대로적으면, [ 지바프로말근무리흐른다 ] 와같이되는데, 이때의 지, 바, 프, 로, 등은한뭉치를이루는발음상의최소단위로서, 각각하나의음절이된다. 따라서위의예문은 11개의음절로이루어져있다고할수있다. 2. 음운의변동 개념 : 어떤형태소가다른형태소와결합할때그환경에따라발음이달라지는현상을음운의변동 ( 變動 ) 이라고한다. 교체 ( 交替 ) : 어떤음운이음절의끝에서다른음운으로바뀌는현상 ( 음절의끝소리규칙 ) 동화 ( 同化 ) : 한쪽의음운이다른쪽음운의성질을닮는현상 ( 자음동화-비음화현상, 유음화현상 / 모음동화-모음조화, 전설모음화 / 구개음화 ) 축약 ( 縮約 ) : 두음운이하나의음운으로줄어드는현상 ( 자음축약, 모음축약 ) 탈락 ( 脫落 ) : 두음운중어느하나가없어지는현상 ( 자음탈락, 모음탈락 ) 첨가 ( 添加 ) : 형태소가합성될때그사이에음운이덧붙는현상 ( ㄴ첨가 ) 3
(1) 음절의끝소리규칙 국어에서음절의끝소리가될수있는자음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ㅇ 의일곱소리뿐이다. 이외에어떤자음이라도끝소리가되면위의일곱소리중어느하나로소리값이바뀌게되는데, 이를음절의끝소리규칙이라한다. 1) 대표음화 끝소리 ( 자음받침 ) + 첫소리 ( 자음 ) 에서끝소리의발음은다음과같다. 그대로발음 끝소리 ( 받침 ) 로안쓰임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대표음 ㄱ 로발음대표음 ㄷ 로발음대표음 ㅂ 로발음 예 > 국 [ 국 ], 밖 [ 박 ], 문 [ 문 ], 곧 [ 곧 ], 불 [ 불 ], 곰 [ 곰 ], 답 [ 답 ], 깃 [ 긷 ], 있 [ 읻 ], 강 [ 강 ], 맞 [ 맏 ], 및 [ 믿 ], 엌 [ 억 ], 밭 [ 받 ], 앞 [ 압 ], 낳 [ 낟 ] * 음절의끝소리에서겹받침은하나만발음된다. ᄡ,,,,,, ᄚ : 첫째자음만발음예 > 값 [ 갑 ], 삯 [ 삭 ], 앉 ( 다 )[ 안 ( 따 )], 훑 ( 다 )[ 훌 ( 따 )], : 둘째자음만발음예 > 삶 ( 다 )[ 삼 ( 따 )], 읊 ( 다 )[ 읖 ( 따 ) 음절의끝소리규칙적용 읍 ( 따 )], : 불규칙예 > 읽 ( 고 )[ 일 ( 꼬 )] 얇 ( 다 )[ 얄 ( 따 )] 읽 ( 지 )[ 익 ( 찌 )] 밟 ( 다 )[ 밥 ( 따 )] 2) 연음화 ( 이어발음하기 ) 와절음화 ( 끊어발음하기 ) 끝소리 ( 자음받침 ) + 속소리 ( 모음 ) 에서끝소리의발음은다음과같다. ᄀ연음화끝소리 ( 자음받침 ) + 형식형태소 ( 조사나어미 ) 모음 이어발음하기 ( 연음화 ) 예 > 옷이 [ 오시 ] : 앞음절 ( 옷 ) 의끝소리 ㅅ 이형식형태소인뒤음절 ( 이 ) 의속소리 ㅣ 를만난경우, ㅅ 이뒤음절의첫소리자리 ( 형식적으로음가없는 ㅇ 이지키고있던자리 ) 로넘어가발음된다. 이와같이, 국어에서는뒤음절의첫소리자리에음가없는 ㅇ 이자리하고있는경우, 앞음절의받침이뒤로넘어가발음되는일반적규칙이있다. 4
값이 [ 갑시 ] : 값 을따로발음할때는위에서언급한바와같이, 첫째자음 ㅂ 만발음되어 [ 갑 ] 이되지만, 뒤에모음으로시작되는형식형태소 ( 실질적의미가없는조사나어미와같은형태소 ) 가오면 ㅂ 과 ㅅ 이모두발음된다. 따라서첫째자음 ㅂ 은앞음절의끝소리 ( 받침발음 ) 로남고, 둘째자음 ㅅ 은뒤음절의첫소리자리 ( 형식적으로 ㅇ 이지키고있던자리 ) 로넘어가발음된다. 꽃이 [ 꼬치 ], 짖어 [ 지저 ], 앉아 [ 안자 ], 읊어 [ 을퍼 ] ᄂ절음화끝소리 ( 자음받침 ) + 실질형태소 ( 일정의미를가진자립성이있는형태소 ) 모음 1 대표음화후에끊어발음하고 ( 절음화 ), 2 연음화예 > 옷안 [ 옫 + 안 오단 ] : 앞음절 ( 옷 ) 의끝소리 ㅅ 이모음으로시작되는실질형태소를만난경우, 일단각음절을또박또박끊어읽어 [ 옫 ],[ 안 ] 으로발음 ( ㅅ 은받침으로쓰일때의대표음인 ㄷ 으로발음 ) 한다. 뒤에조사 이 와같이실질적의미가없는형식형태소 ( 모음으로시작되는 ) 가오는경우에는 옷 의의미에아무런영향을끼치지않기때문에바로이어서발음하지만, 일정의미를지닌 안 內 과같은실질형태소 ( 모음으로시작되는 ) 가뒤에오는경우에는일단각각의의미역할을분명히해주기위해 옷안 을한음절씩또박또박 [ 옫 ],[ 안 ] 으로발음 ( 절음화 ) 한뒤에연음화라는일반적규칙을적용 [ 옫안 오단 ] 하는것이다. 맛있다 [ 맏 + 읻다 마딛다 마딛따 ] : 앞음절 ( 맛 ) 의끝소리 ㅅ 이모음으로시작되는실질형태소 있다 를만난경우, 일단각음절을또박또박끊어읽어 [ 맏 ],[ 읻 ],[ 다 ] 가된다. ( ㅅ 과 ㅆ 은받침으로쓰일때의대표음인 ㄷ 으로각각발음 ) 그리고나서보니, 뒤음절의첫소리자리에음가없는 ㅇ 이자리하고있으므로 ([ 읻 ]), 앞음절의받침이뒤로넘어가발음되는일반적규칙을적용하여 [ 마딛다 ] 가되는데, 국어에는안울림예사소리와안울림예사소리가만나면뒤음절의안울림예사소리가된소리로변하는현상 ( 된소리되기 ) 이있으므로 [ 마딛다 마딛따 ] 로발음된다. 웃옷 [ 욷옫 우돋 ], 옷아래 [ 옫아래 오다래 ], 집앞 [ 집압 지밥 ] 탐구 1. 다음에제시한자료들의소리는실제로어떻게나는지조사하여보고, 규칙을발견하여주어진형식으로적어보자. ( 표준발음법 9항 ) 밖 [ 박 ] 밖도 [ 박또 ] 부엌 [ 부억 ] 부엌도 [ 부억또 ] 부엌안 [ 부어간 ] 규칙 : ㄲ, ㅋ ㄱ / 음절의끝소리에서 잎 [ 입 ] 잎도 [ 입또 ] 잎위 [ 이뷔 ] 규칙 : ㅍ [ ㅂ ] / 음절의끝소리에서 옷 [ 옫 ] 옷도 [ 옫또 ] 옷안 [ 오단 ] 있 ( 고 ) [ 읻 ] 낮 [ 낟 ] 꽃 [ 꼳 ] 바깥 [ 바깓 ] 히읗 [ 히읃 ] 규칙 : [ ㅅ, ㅆ, ㅈ, ㅊ, ㅌ ] [ ㄷ ] / 음절의끝소리에서 5
2. 다음밑줄친단어들의발음을알아보자. ( 표준발음법 15 항 ) 맛있는 [ 마딘는 / 마신는 ] 음식을멋있는 [ 머딘는 / 머신는 ] 식당에서먹었다. 뜻있는 [ 뜨딘는 ] 분들의값있는 [ 가빈는 ] 희생에감사합니다. 3. 다음단어들이실제로는어떻게발음되는지모둠별로알아보자. ( 표준발음법 10항, 11항 ) 몫 [ 목 ] 값 [ 갑 ] 외곬 [ 외골 ] 할지 [ 할찌 ] 앉고 [ 안꼬 ] 얇다 [ 얄따 ] 읽지 [ 익찌 ] 젊다 [ 점따 ] 읊지 [ 읍찌 ] 넓둥글다 [ 넙뚱글다 ] 넓죽하다 [ 넙쭈카다 ] 넓다 [ 널따 ] 넓고 [ 널꼬 ] 넓지 [ 널찌 ] 밟다 [ 밥따 ] 밟고 [ 밥꼬 ] 밟지 [ 밥찌 ] 음절 받침유형 음절의끝소리규칙 용례 비고 ㅍ ㅂ 잎 [ 입 ] 홑자음 1 음절겹자음자음이후행모음으로 2 시작하는음실질형태절소가후행이모음으로상시작하는형식형태소가후행 ㅅㅆㅈㅊㅌㅎ ㄷ 옷 [ 옫 ], 있 ( 고 ) [ 읻 ( 고 )], 낮 [ 낟 ] ㅅ 발음의꽃 [ 꼳 ], 바깥 [ 바깓 ], 히읗 [ 히읃 ] 허용 ㄲㅋ ㄱ 밖 [ 박 ], 부엌 [ 부억 ] 몫 [ 목 ], 앉고 [ 안꼬 ], 넓다 [ 널따 ] ㄳㄵㄼㄽㄾㅀㅄ 첫째자음이 ㄼ 은외곬 [ 외골 ], 핥 ( 고 ) [ 할 ( 고 )], 앓는남음예외가있음 알는 [ 알른 ], 값 [ 갑 ] ㄺㄻㄿ 둘째자음이남음 닭 [ 닥 ], 젊다 [ 점 ( 따 )], 읊지 ㄺ 은 [ 읍찌 ], 읽지 [ 익찌 ] 예외가있음 1음절때와동일 값도 [ 갑또 ], 옷도 [ 옫또 ], 앞날 [ 암날 ], 밖도 [ 박또 ], 있고 [ 읻꼬 ] 1음절때와동일 옷안 [ 오단 ], 잎위 [ 이뷔 ], 부엌안 ㄴ 첨가, [ 부어간 ], 나뭇잎 나묻닙 [ 나문닙 ] 비음화 겹자음의 뒤의것이뒤 읽어 [ 일거 ], 옭아 [ 올가 ], 넓어 경우 모음의초성으로됨 [ 널버 ], 밟아 [ 발바 ], 값은 [ 갑쓴 ] 홑자음의 받침이뒤모음의 옷이 [ 오시 ], 별이 [ 벼리 ], 잎은 경우 초성으로됨 [ 이픈 ], 밖에 [ 바께 ] u ㄼ 은예외 : ㄼ 은대개의경우앞의 ㄹ ' 이남는것이일반적이지만 밟 은뒤에자음이오면앞의 ㄹ ' 이탈락되어예외의현상을보인다. 또한 ㄼ 은 넓죽하다, 넓둥글다 의경우에도앞의 ㄹ ' 이탈락되는예외적현상을보인다. 밟다 [ 밥 : 따 ], 밟소 [ 밥 : 쏘 ], 밟지 [ 밥 : 찌 ], 밟는 [ 밥 : 는 ] [ 밤 : 는 ], 밟게 [ 밥 : 께 ], 밟고 [ 밥 : 꼬 ] 넓죽하다 [ 넙쭈카다 ], 넓둥글다 [ 넙뚱글다 ] u ㄺ 은예외 : ㄺ 은대개의경우앞의 ㄹ ' 이탈락되는것이일반적이지만용언의어간말음 ㄺ 은 ㄱ 앞에서뒤의 ㄱ 이탈락되는예외적현상을보인다. 맑게 [ 말게 ], 묽고 [ 물꼬 ], 얽거나 [ 얼꺼나 ] u 맛있다, 멋있다 는 [ 마딛따 / 마싣따 ], [ 머딛따 / 머싣따 ] 로도발음할수있다. ( 표준발음법제 15항 ) 6
(2) 자음동화 음절끝자음 (A) 이그뒤에오는자음 (B) 과만날때, 어느한쪽 (B) 이다른한쪽 (A) 을닮아서그와비 슷한성질을가진자음 (A : 불완전동화 ) 이나같은소리 (A : 완전동화 ) 로바뀌기도하고, 양쪽이서로닮아 서두소리가다바뀌기도하는현상을자음동화라한다. 자음동화현상이일어나는환경은앞음절의끝소 리나뒤음절의첫소리중하나또는둘모두가울림소리 ( 비음 : ㅁ, ㄴ, ㅇ, 유음 : ㄹ ) 이며, 변화되어소리나는음 운도울림소리이다. 순행동화 A + B A + A : 완전동화 ( 칼날 [ 칼랄 ]) (A 가 B 에영향을줌 ) A + A : 불완전동화 ( 남루 [ 남누 ]) 역행동화 A + B B + B : 완전동화 ( 신라 [ 실라 ]) (B 가 A 에영향을줌 ) B + B : 불완전동화 ( 국물 [ 궁물 ]) 상호동화 A + B C + C : 완전동화 ( 몇리 [ 면니 ]) ( 서로영향을줌 ) C + C : 불완전동화 ( 백로 [ 뱅노 ]) 자음동화내용용례 비음화 유음화 파열음이뒤에오는비음에동화되어 비음으로바뀌는현상. ㅂ, ㄷ, ㄱ [ ㅁ, ㄴ, ㅇ ]/ ㅁ, ㄴ앞 비음 ㅁ, ㅇ 이유음 ㄹ 을만나비음 ㄴ 으로변화 ㅁ, ㅇ [ ㄴ ]/ ㄹ앞 ㄴ 과 ㄹ 이만났을때 ㄴ 이 ㄹ 로바 뀌는현상. ㄴ [ ㄹ ]/ ㄹ의앞이나뒤 밥물 [ 밤물 ], 섭리 섭니 [ 섬니 ], 밥는다 [ 반는 다 ], 앞문 압문 [ 암문 ] 닫는 [ 단는 ], 겉문 건문 [ 건문 ] ; 종로 [ 종노 ], 남루 [ 남누 ] 국민 [ 궁민 ], 국물 [ 궁물 ], 깎는 깍는 [ 깡는 ] 신라 [ 실라 ], 천리 [ 철리 ], 논리 [ 놀리 ] ( 설측음 화 ) 칼날 [ 칼랄 ], 찰나 [ 찰라 ], 말눈 [ 말룬 ], 실날같 이 실랄가티 [ 실랄가치 ] 앓는 알는 [ 알른 ], 끓는 끌는 [ 끌른 ], 흝는 훌는 [ 훌른 ] 1) 자음동화유형 1 ( 역행비음동화 ) ㅂ 비음화 ㅁ ㅁ ㄷ ㄴ / ㄱ ㅇ ㄴ 예 > 밥물 [ 밤물 ], 받는다 [ 반는다 ], 닫는 [ 단는 ], 국난 [ 궁난 ] 음절의끝소리규칙적용후자음동화되는예앞날 [ 압날 암날 ], 값만 [ 갑만 감만 ], 밭머리 [ 받머리 반머리 ], 부엌문 [ 부억문 부엉문 ] 흙냄새 [ 흑냄새 흥냄새 ] 2) 자음동화유형 2 ( 순행비음동화 ) 비음화 ㅁ [ ㄹ ] [ ㄴ ] / 예 > 담력 [ 담녁 ], 종로 [ 종노 ], 영리 [ 영니 ] ㅇ 7
3) 자음동화유형 3 ( 상호비음동화 ) 비음화 ㅂ [ ㄹ ] [ ㄴ ] / ㄷ ㄱ ㅂ 비음화 ㅁ ㄷ ㄴ / [ ㄴ ] ㄱ ㅇ 예 > 섭리 [ 섭니 섬니 ], 국력 [ 국녁 궁녁 ], 급류 [ 급뉴 금뉴 ] 4) 자음동화유형 4 ( 유음동화혹은설측음화 ) 유음 ( 설측음 ) 화 [ ㄴ ] [ ㄹ ] / [ ㄹ ] 예 > 찰나 [ 찰라 ], 천리 [ 철리 ], 진리 [ 질리 ], 난로 [ 날로 ] 음절의끝소리규칙적용후자음동화되는예앓는 [ 알는 알른 ], 훑는 [ 훌는 훌른 ] 탐구 1. 다음단어들이실제로소리나는모습을알아보고, 규칙을정리하여보자. 밥물 [ 밤물 ] 잡는다 [ 잠는다 ] 맏며느리 [ 만며느리 ] 받는다 [ 반는다 ] 국물 [ 궁물 ] 속는다 [ 송는다 ] 규칙 : ㅂ, ㄷ, ㄱ [ ㅁ, ㄴ, ㅇ ]/ ㅁ, ㄴ앞에서 남루 [ 남누 ] 종로 [ 종노 ] 규칙 : [ ㄹ ] ㄴ / ㅁ, ㅇ뒤에서 신라 [ 실라 ] 난로 [ 날로 ] 칼날 [ 칼랄 ] 규칙 : ㄴ [ ㄹ ]/ ㄹ의앞이나뒤에서 2. 다음단어들은어떤단계로자음동화가일어나는지설명하여보자. 섭리 [ 섭니 ] [ 섬니 ] 몇리 [ 멷리 ] [ 면니 ] 백로 [ 백노 ] [ 뱅노 ] 풀이 ㅂ, ㄷ, ㄱ 과 ㄹ 이 ㄴ 이되고, 이렇게변해서된 ㄴ 을닮아서그앞의 ㅂ, ㄷ, ㄱ 이각각비음 ㅁ, ㄴ, ㅇ 으로바뀌고 ([ 섭니 ],[ 멷니 ],[ 백노 ]), 이 ㄴ 을닮아서 ㅂ, ㄷ, ㄱ 이각각 ㅁ, ㄴ, ㅇ 이된것 ([ 섬니 ], [ 면니 ],[ 뱅노 ]) 으로설명할수있다. 8
(3) 구개음화 끝소리가 ㄷ, ㅌ 인형태소가모음 ㅣ 로시작하는형식형태소 ( 조사, 접미사 ) 와만나면, 그 ㄷ, ㅌ 가구개음 ㅈ, ㅊ 로발음되는현상이다.( 심화구개음화역시 ㅣ 때문에일어나는동화현상의일종이다.) ㄷ ㅈ / [ ㅣ ] ㅌ ㅊ 예 > 음절의끝소리규칙 (2-ᄀ연음화 ) 적용후구개음화적용되는예굳 + 이 굳이 [ 구디 ] [ 구지 ] 해돋 + 이 해돋이 [ 해도디 ] [ 해도지 ] 미 + 닫 + 이 미닫이 [ 미다디 ] [ 미다지 ] 같 + 이 같이 [ 가티 ] [ 가치 ] 붙 + 이 + 다 붙이다 [ 부티다 ] [ 부치다 ] 쇠 + 붙 + 이 쇠붙이 [ 쇠부티 ] [ 쇠부치 ] 음운축약 ( [ ㄷ ] + [ ㅎ ] [ ㅌ ] ) 후구개음화 ( [ ㅌ ] + [ ㅣ ] [ 치 ] ) 적용되는예굳히다 [ 구티다 ] [ 구치다 ] 닫히다 [ 다티다 ] [ 다치다 ] 묻히다 [ 무티다 ] [ 무치다 ] 걷히다 [ 거티다 ] [ 거치다 ] 9
(4) 된소리되기 ( 경음화현상 ) 1) 된소리되기유형1 두개의안울림예사소리가만나면, 뒤의예사소리가된소리로바뀐다. [ 안울림예사소리 ] + [ 안울림예사소리 ] [ 된소리 ] 예 > 입고 [ 입꼬 ], 책도 [ 책또 ] 음절의끝소리규칙적용후, 된소리되기적용되는예 앞길 [ 압길 압낄 ], 젖소 [ 젇소 젇쏘 ] 2) 된소리되기유형2 끝소리가 ㄴ, ㅁ 인용언어간에예사소리로시작되는어미가이어지면, 그소리는된소리로바뀐다.( 그러나울림소리 ㄴ, ㅁ 뒤의안울림예사소리는된소리가될수도있고울림소리가될수도있다. cf> 안기다 [ 안기다 ]) [ 끝소리ㄴ, ㅁ ] + [ 예사소리로시작되는어미 ] [ 된소리 ] 예 > 신고 [ 신꼬 ], 신지 [ 신찌 ], 안고 [ 안꼬 ], 넘고 [ 넘꼬 ] (5) 모음조화 ㅏ, ㅗ 등의양성모음은양성모음끼리 ㅓ, ㅜ ( ㅡ, ㅣ 는엄밀히말하자면중성모음이지만, 음성모음과가깝다 ) 등의음성모음은음성모음끼리어울리는현상을모음조화 ( 母音調和 ) 라하며, 이러한현상은어간과어미의결합이나의성어, 의태어에서나타난다.( 모음조화현상은중세시대에는엄격히지켜졌으나, 현대에오면서점차문란해지고있다.) 1) 용언의어미 -아/-어, -아서/-어서, -아도/-어도, -아야/-어야, -아라/-어라, -았-/-었- 등은모두이모음조화규칙을따른다. 예 > 깍아, 깍아서, 깍아도, 깍아라, 깍았다먹어, 먹어서, 먹어도, 먹어라, 먹었다 2) 의성어, 의태어 졸졸, 줄줄, 찰랑찰랑, 철렁철렁 등의성어와의태어에서비교적뚜렷이나타난다. 예 > 알록달록, 얼룩덜룩, 팔짝팔짝, 펄쩍펄쩍, 퐁당퐁당, 풍덩풍덩 10
(6) 축약과탈락 1) 축약 1 ㅂ, ㄷ, ㅈ, ㄱ 와 ㅎ 의두음운이만나서한음운 ㅍ, ㅌ, ㅊ, ㅋ 가되거나, 2두형태소가만날때, 앞뒤형태소의두음절이한음절로줄어드는현상을축약 ( 縮約 ) 이라한다. 예 > 1 음운의축약좋고 [ 조코 ], 많다 [ 만타 ], 옳지 [ 올치 ], 먹히다 [ 머키다 ] 축약후구개음화적용되는예굳히다 [ 구티다 ] [ 구치다 ] 닫히다 [ 다티다 ] [ 다치다 ] 묻히다 [ 무티다 ] [ 무치다 ] 걷히다 [ 거티다 ] [ 거치다 ] / ㄷ /+/ ㅎ / / ㅌ / 2 형태소의축약오 + 아서 와서, 두 + 었다 뒀다, 되 + 어 돼, 가리 + 어 가려 2) 음운의탈락형태소와형태소가결합하면서한음운이아예발음되지않는현상을탈락 ( 脫落 ) 이라한다. 예 > 1 자음탈락 : 솔 + 나무 소나무, 딸 + 님 따님, 날- + -니 나니 2 모음탈락 : 가- + -았다 갔다, 건너- + -어도 건너도, 쓰 + 어 써 탈락후축약이적용된예 : 흔하- + -지 흔치 ( ㅏ 탈락후, ㅎ + ㅈ ㅊ ) (1) 자음탈락 1 ㄹ 의탈락ᄀ합성과파생과정에서의 ㄹ 탈락 - 다달이 ( 달-달-이 ) 마되 ( 말-되 ) ᄂ활용과정에서의 ㄹ 탈락 갈다 : 가니간갑니다가시다가오둥글다 : 둥그니둥근둥급니다둥그시다둥그오 2 ㅎ 의탈락낳은 ( 나은 ) 놓아 ( 노아 ) 닳아 ( 다라 ) 싫어도 ( 시러도 ) (2) 모음탈락 1 ㅡ 탈락 뜨다 : 떠, 떴다고프다 : 고파, 고팠다 2 동음탈락 타아 : 타켜어 : 켜펴어 : 펴 (7) 사잇소리현상 두개의형태소또는단어가합쳐져서합성명사를이룰때, 1 앞형태소의끝소리가울림소리이고, 뒤형 태소의첫소리가안울림예사소리이면, 뒤의예사소리가된소리로변하거나, 2 앞형태소가모음으로끝나 11
있고, 뒤형태소가 ㅁ, ㄴ 으로시작되면 ㄴ 소리가덧나기도하며, 3 뒷말이모음 ㅣ 로시작될때는 ㄴ 이 하나혹은둘이겹쳐나기도하는현상을사잇소리현상이라한다. 이러한사잇소리현상은예외가많으므로 주의가필요하다. ( 예외 : 은 + 돈 [ 은똔 ] / [ 은돈 ], 콩 + 밥 [ 콩빱 ] / [ 콩밥 ] ) 1) 음운의변동 [ 울림소리 ] + [ 안울림예사소리 ] [ 된소리 ] 예 > 초 + 불 ( 표기 : 촛불 ) [ 초뿔 ] 배 + 사공 ( 표기 : 뱃사공 ) [ 배싸공 ] * 앞형태소가모음으로끝났으면사이시옷을받침으로적어야한다. 그러나뚜렷한규칙성은없다.( 고래기름, 기와집 ) 밤 + 길 [ 밤낄 ], 봄 + 비 [ 봄삐 ], 산 + 길 [ 산낄 ] 등 + 불 [ 등뿔 ], 말 + 소리 [ 말쏘리 ], 길 + 가 [ 길까 ] 2) 음운의첨가1 [ 모음 ] + [ ㅁ, ㄴ ] [ 모음 + ㄴ ] 예 > 이 + 몸 ( 표기 : 잇몸 ) [ 인몸 ] 코 + 날 ( 표기 : 콧날 ) [ 콘날 ] 비 + 물 ( 표기 : 빗물 ) [ 빈물 ] 3) 음운의첨가2 [ 앞말 ] + [ ㅣ 나반모음 ㅣ 로시작되는뒷말 ] [ ㄴ 이하나혹은둘이겹쳐덧남 ] 예 > 논 + 일 [ 논닐 ] 솜 + 이불 [ 솜니불 ] 집 + 일 1[ 집닐 ] 2[ 짐닐 ] : 1사잇소리현상후 2자음동화 ( 역행비음동화 ) 물 + 약 1[ 물냑 ] 2[ 물략 ] : 1사잇소리현상후 2자음동화 ( 유음동화 ) 부엌 + 일 1[ 부억일 ] 2[ 부억닐 ] 3[ 부엉닐 ] : 1음절의끝소리규칙적용후 2사잇소리현상적용하고, 3자음동화 ( 역행비음동화 ) 4) 한자어의경우앞형태소가모음으로끝났으면사이시옷을받침으로적어야하지만, 한자어로된합성명사의경우다음여섯단어 { 곳간 ( 庫間 ; 고 + 간 ), 셋방 ( 貰房 ; 세 + 방 ), 숫자 ( 數字 ; 수 + 자 ), 찻간 ( 車間 ; 차 + 간 ), 툇간 ( 退間 ; 퇴 + 간 ), 횟수 ( 回數 ; 회 + 수 )} 를제외하고는사이시옷을적지않는다. 예 > 시 ( 詩 )+ 구 ( 句 ) 발음 : [ 시꾸 ], 표기 : 시구 / 싯구 초 ( 焦 )+ 점 ( 點 ) 발음 : [ 초쩜 ], 표기 : 초점 / 촛점 내 ( 內 )+ 과 ( 科 ) 발음 : [ 내꽈 ], 표기 : 내과 / 내과 12
5) 사잇소리현상의유무에따른의미분화사잇소리현상이일어나는가, 일어나지않는가에따라의미가달라지는경우도있다. 예 > 나무 + 집 나무집 [ 나무집 ] : 나무로만든집 나뭇집 [ 나무찝 ] : 나무를파는집고기 + 배 고기배 [ 고기배 ] : 고기의배 고깃배 [ 고기빼 ] : 고기잡이배 참고 < 사이시옷이붙는경우 > 1. 순우리말로된합성어나, 순우리말과한자말이합성된말에서앞의말이모음으로끝난경우로서다음과같은때. 1) 뒷말의첫소리가된소리로나는것. 예 ) 고랫재, 나룻배, 냇가, 댓가지, 혓바늘, 귓병, 머릿방, 찻잔, 전셋집, 햇수 2) 뒷말의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덧나는것. 예 ) 멧나물, 아랫니, 텃마당, 아랫마을, 뒷머리, 잇몸, 깻묵, 냇물, 냇물, 빗물, 곗날, 제삿날, 훗날, 툇마루, 양칫물 3) 뒷말첫소리모음앞에서 ㄴㄴ 소리가덧나는것. 예 ) 뒷윷, 두렛일, 댓잎, 베갯잇, 가욋일, 사삿일, 예삿일 2. 두음절로된다음한자어에한하여. 예 ) 庫間 ( 곳간 ), 茶盞 ( 찻잔 ), 貰房 ( 셋방 ), 數字 ( 숫자 ), 退間 ( 툇간 ), 回數 ( 횟수 ) < 보충 1> 된소리되기규칙 조건 된소리되기 1. 형태소 + 형태소의결합 2. 안울림소리 + 안울림소리 ( 된소리로변화 ) 허용 1. 울림소리 ( ㄴ, ㅁ ) + 안울림소리 ( 된소리로변화 ) 예 특징 현상 1. 체언 + 조사 : 책도, 밥도, 떡과 2. 어간 + 어미 : 깍다, 있던, 낯설다 3. 어근 + 어근 : 국밥, 꽃다발, 앞길, 옆집, 젖소 4. 어근 + 접사 : 덮개, 읊조리다, 값지다 5. ( 허용 ) 안고 -[ 안꼬 ], 넘고 -[ 넘꼬 ] 1. 결정적변화 - 조건만맞으면무조건일어남필연적, 보편적현상 2. 특별한의미변화가없음. 3. 표준발음ㅇ표기반영 < 비교 > 사잇소리 1. 단어 + 단어 - 합성명사를이룰때 2. 울림소리 + 안울림소리 ( 된소리로변화 ) 1. 울림소리 + ㅁ, ㄴ ㄴ소리덧남. 2. 앞말 + ㅣ나반모음 ㄴ또는ㄴㄴ덧남. 1. 촛불, 뱃사공, 밤길, 봄비, 촌사람, 등불, 말소리길가, 시냇가, 나뭇가지 2. 잇몸, 콧날 3. 솜이불, 논일, 물약, 솔잎, 아랫니, 눈요기 4. ( 한자어 ) 찻간, 곳간, 툇간, 횟수, 숫자, 셋방 1. 수의적변화 - 예외가많음.( 산길, 은구슬 ) 2. 의미 : -에있는, -의 3. 의미변화가일어날수도있음.( 고기배, 고깃배 ) 4. 한자어는위의 6자이외에원칙적으로표기않음. 5. 두단어를이어서발음할때도일어남.( 먹은엿 ) 1) 받침ㄱㄷㅂ + ㄱㄷㅂㅅㅈ ㄲㄸㅃㅆㅉ ( 국밥 [ 국빱 ]) - 두개의안울림소리가만날때 2) 받침ㄴㅁ + ㄱㄷㅅㅈ ㄲㄸㅆㅉ ( 신고 [ 신꼬 ]) *2.3번은피동, 사동을제외한용언의어간에만적용 - 안기다 [ 안 13
기다 ] 3) 받침ㄾㄼ + ㄱㄷㅅㅈ ㄲㅇㅆㅉ ( 넓게 [ 널께 ]) 4) 관형사형 -( 으 ) ㄹ + ㄱㄷㅂㅅㅈ ( 할것을 [ 할꺼슬 ]) * 관형사형 '-( 으 ) ㄴ ] 뒤에는예사소리로발음. 한것 [ 한걷 ], 할것 [ 할껃 ] 5) 한자어의받침ㄹ + ㄷㅅㅈ ( 갈등 [ 갈뜽 ]) 6) 표기상사이시옷이없어도관형격의사이시옷자리 ( 문 - 고리 [ 문꼬리 ]) 14